KR100289624B1 - 무선선택호출수신기 - Google Patents

무선선택호출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624B1
KR100289624B1 KR1019980016891A KR19980016891A KR100289624B1 KR 100289624 B1 KR100289624 B1 KR 100289624B1 KR 1019980016891 A KR1019980016891 A KR 1019980016891A KR 19980016891 A KR19980016891 A KR 19980016891A KR 100289624 B1 KR100289624 B1 KR 100289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rate
timing
changed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961A (ko
Inventor
가주후미 고또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8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선택 호출 신호의 송신 속도가 변경될 수 있는 선택 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선택 호출 신호의 송신 속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1 및 제2 로우 패스 필터들을 포함한다. 데이타 판정부는 송신 속도가 변경될 때 수신된 신호의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선택된 로우 패스 필터를 관통하는 수신된 신호의 데이타 판정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본 발명은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 중에 데이타 송신 속도가 변경되는 선택 호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그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택 호출 수신기들의 광범위한 보급에 따라, 통신 시스템의 전체 채널에 대한 채널 점유율이 증가되어, 호출용 채널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제 1-502870호에 비트 레이트 가변 수신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수신기에는 수신된 신호의 비트 레이트에 따라 로우 패스 필터의 차단(cut-off)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로우 패스 필터는 비트 레이트 주파수 보다 큰 주파수 성분을 차단하여 잡음 성분을 제거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발명자는 로우 패스 필터의 차단 주파수를 변경하게 되면 이 로우 패스 필터를 관통하는 수신된 신호의 위상 시프트(phase shift)가 생성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면, 비트 레이트가 1600bps(bits per second)에서 3200bps로 스위칭되는 경우에, 로우 패스 필터의 차단 주파수 또한 1600bps에서 3200bps로 스위칭된다. 이 경우, 수신된 신호는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정된 시주기 T만큼 동위상 시프트한다. 이러한 위상 시프트가 무시된다면, 수신된 신호가 최고점(crest)과 최저점(trough)에 도달하는 각 시간에서 데이타 판정을 수행할 수 없게 되어, 수신 오류가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 중에 송신 속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확실한 데이타 판정을 달성할 수 있는 선택 호출 수신기 및 그 수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 속도가 가변되는 선택 호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선택 호출 신호의 성분들의 선택 주파수 범위를 필터링하여 수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며, 이 선택 주파수 범위는 선택 호출 신호의 송신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수신 신호의 데이타 판정을 수행하는 데이타 판정부와, 제1 송신 속도가 제2 송신 속도로 변경될 때 수신 신호의 선정된 변경에 기초하여 기준 타이밍 신호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타이밍 발생기를 더 포함한다.
제1 송신 속도가 제2 송신 속도로 변경될 때 수신 신호의 선정된 변경에 기초하여 타이밍 신호가 발생되기 때문에, 데이타 판정부는 수신 신호에 동기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수신 신호의 데이타 판정을 수행하여 송신 속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신뢰할 만한 수신 동작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선택 호출 신호의 신호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3a는 데이타 판정 타이밍 시프트 데이타를 ROM에 저장하기 위한 ROM 세팅 루틴를 나타낸 흐름도.
도 3b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수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4a는 비트 레이트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 로우 패스 필터를 관통하는 수신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종래의 데이타 판정 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타 판정 타이밍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안테나
102 : 무선 시스템
103 : 판별기
104, 105 : 로우 패스 필터
106 : 데이타 판정부
107 : 프로세서
108 : 비트 레이트 판정부
109 : LPF 스위치 제어기
110 : 타이밍 제어기
111 : 클럭 발생기
112 : ROM
113 : RAM
114 : ROM용 기입 단자
115 : 표시부
116 : 경고부
도 1을 참조하면, 안테나(101)는 무선 시스템(102)에 접속되는데, 이 무선 시스템(102)는 안테나(101)를 통하여 선택 호출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시스템(102)은 수신된 무선 신호를 무선 주파수(RF)에서 중간 주파수(IF)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를 포함한다. 이 수신된 IF 신호는 복조기부로 송신되며, 이 복조기부는 수신된 IF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복조한다.
복조기부는 판별기(103)와 복수개의 로우 패스 필터들(LPF; 104, 105)로 구성된다. 판별기(103)은 수신된 IF 신호의 주파수 전압 변환을 수행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베이스밴드 신호는 로우 패스 필터들(104, 105) 중 선택된 하나를 관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로우 패스 필터(104)는 초기 비트 레이트(여기서는, 1600bps)로 설계되고 로우 패스 필터(105)는 이 보다 높은 비트 레이트(여기서는, 3200bps)로 설계된다.
선택된 로우 패스 필터를 관통하는 베이스밴드 신호는 타이밍 신호 TD에 따라 베이스밴드 신호의 데이타 판정을 수행하여 수신 데이타 DRCV를 생성하는 데이타 판정부(106)로 출력된다. 이 수신 데이타 DRCV는 프로세서(107)과 비트 레이트 판정기(108)로 출력된다.
비트 레이트 판정기(108)는 수신 데이타 DRCV의 비트 레이트를 판정하여 이 판정 신호를 LPF 스위치 제어기(109)와 타이밍 제어기(110)로 출력한다. LPF 스위치 제어기(109)는 비트 레이트 판정기(108)로부터 수신된 판정 신호에 따라 로우 패스 필터들(104, 105) 중 하나를 선택한다. 타이밍 제어기(110)에는 프로세서(107)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시프트 ΔT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가 제공되고 판정 신호에 따라 클럭 발생기(111)로부터 수신된 클럭 신호 CLK로부터 타이밍 신호 TD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신호 TD는 비트 레이트가 1600bps로부터 3200bps로 변경될 때 타이밍 시프트 ΔT 만큼 시프트된다. 클럭 신호 CLK의 주파수는 153.6kHz일 수도 있다. 또한, 클럭 발생기(111)은 클럭 신호를 프로세서(107)에 공급한다.
프로세서(107)은 ROM(112), RAM(113) 및 ROM(112)용 기입 단자(114)에 접속된다. ROM(112)는 EEPROM(Electrically-Erasable Programmable ROM)일 수도 있으며 수신될 그룹를 가리키는 그룹 정보, 수신기 자체의 식별 번호 및 타이밍 시프트 ΔT를 저장한다. RAM(113)은 수신된 메세지 데이타와 다른 필수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기입 단자(114)는 타이밍 시프트 데이타 ΔT를 ROM(112)에 기입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세서(107)은 LCD(Liquid-Crystal Display)를 포함하는 표시부(115)와 비퍼(beeper), 진동기 및/또는 발광다이오우드를 포함하는 경고부(116)을 제어한다.
더우기, 프로세서(107)은 공지된 간헐적 제어 시퀀스(intermittent control sequence)에 따라 무선 시스템과 복조기부를 제어한다. 전원 공급 스위치(117)가 닫혀질 때 수신 동작을 시작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포맷을 가지는 동기화된 무선 호출 신호를 송신한다. H 시간의 1 사이클은 하나의 동기부 SYNC와 N개의 블럭들로 각기 이루어진 M개의 그룹들로 구성된다. 동기부 SYNC는 제1 동기부 SYNC-1, 그룹 정보부 및 제2 동기부 SYNC-2로 구성된다. N개의 블럭들은 어드레스부와 메세지 데이타부를 포함한다.
제1 동기부 SYNC-1는 초기 비트 레이트에 해당되며 수신된 비트 레이트가 제2 동기부 SYNC-2의 타이밍 Tα이후에 변경되는 비트 레이트 변경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타이밍 시프트 데이타 ΔT는 외부로부터 ROM(112)에 저장될 수 있다. 타이밍 시프트량 ΔT는 각각의 서로 다른 비트 레이트들 간의 스위칭 및 비트 레이트들에 해당되는 로우 패스 필터들 간의 스위칭에 의해 미리 획득될 수도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07)은 ROM 기입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301). 이 ROM 기입 요구가 수신되면(단계 S301에서의 예), 프로세서는 기입 단자(114)로부터 타이밍 시프트 데이타 ΔT를 수신하여 이를 ROM(112)에 저장한다. 이때, 그룹 정보와 ID 번호는 ROM(112)에 저장될 수도 있다. ROM 기입 요구가 수신되지 않으면(단계 S301에서의 아니오), 프로세서(107)은 상태 쿼오(quo)를 보유하거나 디폴트(default) 값을 타이밍 시프트 데이타 ΔT로서 ROM(112)에 저장한다(단계 S303).
단계들 S301-S303은 복조기부의 설계 변경 또는 새로운 설계가 행해질 경우에만 수행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수신기의 수신 동작은 후술될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전력 공급 스위치(117)가 닫혀졌을 경우(단계 S304에서의 예), 프로세서(107)은 ROM(112)으로부터 타이밍 시프트 데이타 ΔT를 판독하여 이를 타이밍 제어기(110)에 저장한다(단계 S305). 타이밍 시프트 데이타 ΔT가 미리 타이밍 제어기(110)의 레지스터에 저장되기 때문에, 타이밍 제어기(110)은 지연 없이 타이밍 시프트 데이타 ΔT를 사용하는 데이타 판정 타이밍 신호 TD의 타이밍을 빠르게 변경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07)은 비트 레이트 판정기(108)를 초기 비트 레이트로 초기화하고나서(단계 S306), 신호를 수신 대기한다(단계들 S307과 S308).
선택 호출 신호를 수신할 경우(단계 S308에서의 예), 비트 레이트 판정기(108)은 초기 비트 레이트 정보를 LPF 스위치 제어기(109)로 출력한다. 초기 비트 레이트 정보가 수신될 때, LPF 스위치 제어기(109)는 초기 비트 레이트용 로우 패스 필터(LPF1; 104)를 선택한다(단계 S309).
더우기, 비트 레이트 판정기(108)은 초기 비트 레이트 정보를 타이밍 제어기(110)에 출력한다. 초기 비트 레이트 정보가 수신될 경우, 타이밍 제어기(110)은 클럭 신호 CLK로부터 초기 비트 레이트용 타이밍 신호 TD를 생성한다. 데이타 판정부(106)은 초기 비트 레이트용 타이밍 신호 TD에 따라 로우 패스 필터(LPF1; 104)로부터 출력된 수신된 베이스밴드 신호의 데이타 판정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07)은 수신된 데이타 DRCV의 제1 동기부 SYNC-1용 동기부 SYNC를 검색하는 반면에 무선 시스템(102)는 선택 호출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한다(단계 S310). 제1 동기부 SYNC-1가 수신 데이타 DRCV내에서 발견되지 않는다면(단계 S310에서의 아니오), 제1 동기부 SYNC-1에 대한 검색은 일정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수행된다.
제1 동기부 SYNC-1가 수신 데이타 DRCV내에서 발견되면(단계 S310에서의 예), 비트 레이트 판정기(108)은 제1 동기부 SYNC-1의 비트 레이트 정보를 체크한다(단계 S311). 더우기, 프로세서(107)는 현재의 그룹 정보를 체크하여 수신 타이밍을 결정한다(단계 S312).
제1 동기부 SYNC-1의 비트 레이트 정보가 비트 레이트 변경을 가리킨다는 것이 비트 레이트 판정기(108)에 의해 판정될 경우(단계 S313에서의 예), 비트 레이트 판정기(108)은 비트 레이트 변경 판정 신호를 LPF 스위치 제어기(109)로 출력한다. 비트 레이트 변경 판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LPF 스위치 제어기(109)는 로우 패스 필터(LPF1)(104)를 다른 로우 패스 필터, 즉 더 높은 비트 레이트용 로우 패스 필터(LPF2)(105)로 스위치한다(단계 S314). 또한, 비트 레이트 판정기(108)은 비트 레이트 변경 판정 신호를 타이밍 제어기(110)로 출력한다. 이 비트 레이트 변경 판정 신호가 수신될 때, 타이밍 제어기(110)은 레지스터 내에 저장되어 있는 타이밍 시프트 데이타 ΔT를 사용함으로써 더 높은 비트 레이트용 타이밍 신호 TD를 생성한다(단계 S315). 보다 구체적으로, 타이밍 제어기(110)는 클럭 신호 CLK로부터 발생된 타이밍 신호의 위상을 타이밍 시프트 데이타 ΔT만큼 시프트하여 수신된 신호가 최고점과 최저점에 도달될 때 마다 데이타 판정부(106)가 데이타 판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데이타 판정 타이밍이 변경되었을 경우(단계 315), 프로세서(107)은 더 높은 비트 레이트용 타이밍 신호 TD에 의해 수신 데이타 DRCV의 제2 동기부 SYNC-2용 동기부 SYNC를 검색한다(단계 S316). 한편, 제1 동기부 SYNC-1의 비트 레이트 정보가 어떠한 비트 레이트 변경도 가리키지 않았다는 것이 비트 레이트 판정기(108)에 의해 판정될 경우(단계 S313에서의 아니오)에도, 프로세서(107)는 수신 데이타 DRCV의 제2 동기부 SYNC-2용 동기부 SYNC를 검색하지만, 이 경우에는 초기 비트 레이트용 타이밍 신호 TD에 의해 검색한다(단계 316).
제2 동기부 SYNC-2가 수신 데이타 DRCV내에서 발견되지 않는 경우(단계 S316), 제어는 비트 레이트 판정기(108)가 초기 비트 레이트로 초기화되는 단계(306)로 귀환된다.
제2 동기부 SYNC-2가 수신 데이타 DRCV내에서 발견되는 경우, 프로세서(107)은 셀프 어드레스용 어드레스부를 검색하여 이 어드레스부 내에 포함된 어드레스들을 ROM(112)에 저장된 ID 번호와 일대일 비교한다. ID 번호가 어드레스부 내에서 발견되지 않는 경우, 제어는 단계 S306으로 귀환된다. ID 번호가 어드레스부 내에서 발견되는 경우, 프로세서(107)은 메세지부가 셀프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여진 메세지를 포함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318). 수신기 자체에 어드레스된 메세지가 발견되는 경우(단계 S318), 프로세서(107)는 표시부(115)와 경고부(116)를 제어하여 인커밍되는 호출에 대하여 음향, 빛의 깜박임 및/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수신된 메세지는 표시부(115) 상에 표시된다(단계 S319). 프로세서(107)은 이 수신된 메세지를 RAM(113)에 송신하여 사용자가 나중에 그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단계 S320). 이후, 제어는 단계 S306으로 귀환된다. 수신기 자체에 어드레스된 메세지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단계 S318), 프로세서(107)는 경고부(116) 만을 제어하여 인커밍되는 호출에 대하여 음향, 빛의 깜박임 및/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단계 S321). 이후, 제어는 단계 S306으로 귀환된다.
1600bps의 초기 비트 레이트에서 3200bps의 더 높은 비트 레이트로 변경되는 경우가 이하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더우기, 비트 레이트가 변경될 때 발생되는 타이밍 시프트 ΔT가 ROM(112)에 이미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된다.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기 비트 레이트용 로우 패스 필터(104)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가 입력될 때, 데이타 판정부(106)는 1600Hz의 타이밍 신호 TD에 따라 동작되어 타이밍 신호 TD의 하강 에지가 도 4b와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신된 신호의 최고점 및 최저점에서 동기되게 된다.
그러나, 수신된 신호의 비트 레이트가 1600bps에서 3200bps로 변경되고 로우 패스 필터(104)가 로우 패스 필터(105)로 스위칭되는 타이밍 Tα에서, 3200bps의 수신 신호의 최고점 및 최저점은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이밍 시프트 데이타 ΔT 만큼 시프트된다.
따라서, 1600Hz의 타이밍 신호 TD가 3200Hz의 타이밍 신호로 스위칭되어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로 동기화되는 경우, 3200bps의 수신 신호가 최고점 및 최저점에 도달되는 각 타이밍에서 데이타 판정을 수행하는데 페일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밍 신호 TD는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이밍 시점 Tα에서 타이밍 시프트 ΔT 만큼 시프트된다. 따라서, 데이타 판정부(106)가 3200Hz의 타이밍 신호 TD에 따라 동작되어 타이밍 신호 TD의 하강 에지가 도 4a 및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신 신호의 최고점 및 최저점에서 동기되게 된다. 수신 중에 송신 비트 레이트가 변경될 때 조차도 연속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타이밍 시프트 ΔT가 로우 패스 필터의 변경으로 인해 위상 시프트 정보로부터 생성되고 로우 패스 필터를 관통하는 수신 신호의 최고점과 최저점에서 동기시키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데이타 수신의 신뢰도는 고속 데이타 송신시 향상된다.

Claims (12)

  1. 송신 속도가 변경될 수 있는 선택 호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선택 호출 신호의 성분들의 선택된 주파수 범위 - 상기 선택된 주파수 범위는 상기 선택 호출 신호의 송신 속도에 따라 결정됨 - 를 필터링하여 수신 신호(received signal)를 생성하기 위한 필터와,
    타이밍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의 데이타 판정을 수행하는 데이타 판정부와,
    제1 송신 속도가 제2 송신 속도로 변경될 때 상기 수신 신호의 선정된 변경에 기초하여 기준 타이밍 신호로부터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타이밍 발생기
    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 발생기는 상기 제1 송신 속도가 상기 제2 송신 속도로 변경될 때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 만큼 위상이 시프트되는 상기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은 상기 제1 송신 속도가 상기 제2 송신 속도로 변경될 때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전에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은 상기 제2 송신 속도에서 상기 타이밍 신호가 상기 수신 신호의 최고점(crests)과 최저점(troughs)에 동기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제공된 외부 단자를 통하여 상기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을 상기 메모리에 기입하기 위한 기입 제어기(write controller)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발생기는 파워 온될 때 상기 메모리로부터 송신된 상기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을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5. 송신 속도가 변경될 수 있는 선택 호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선택 호출 신호의 성분들의 서로 다른 주파수 범위를 각기 블로킹(blocking)하여 수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필터들과,
    타이밍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의 데이타 판정을 수행하는 데이타 판정부와,
    제1 송신 속도가 제2 송신 속도로 변경될 때 상기 수신 신호의 선정된 변경에 기초하여 주파수 및 위상이 변경되는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타이밍 발생기와,
    상기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송신 속도를 판정하기 위한 송신 속도 판정기와,
    상기 선택 호출 신호의 현재 송신 속도에 따라 상기 필터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 발생기는 상기 제1 송신 속도가 상기 제2 송신 속도로 변경될 때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 만큼 위상이 시프트되는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은 상기 제1 송신 속도가 상기 제2 송신 속도로 변경될 때 상기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사전에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은 상기 제2 송신 속도에서 상기 타이밍 신호가 상기 수신 신호의 최고점 및 최저점에 동기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7.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의 송신 속도가 변경될 수 있는 선택 호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택 호출 신호의 성분들의 선택된 주파수 범위 - 상기 선택된 주파수 범위는 상기 선택 호출 신호의 송신 속도에 따라 결정됨 - 를 필터링하여 수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타이밍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의 데이타 판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제1 송신 속도가 제2 송신 속도로 변경될 때 상기 수신 신호의 선정된 변경에 기초하여 기준 타이밍 신호로부터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밍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속도가 상기 제2 송신 속도로 변경될 때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 만큼 위상이 시프트되는 상기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은 상기 제1 송신 속도가 상기 제2 송신 속도로 변경될 때 상기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사전에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신호의 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은 상기 제2 송신 속도에서 상기 타이밍 신호가 상기 수신 신호의 최고점 및 최저점에 동기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신호의 수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에 제공된 외부 단자를 통하여 상기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을 메모리에 기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신호의 수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위상 시프트량은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데 신속하게 사용되도록 상기 메모리로부터 레지스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신호의 수신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선택 호출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할 때 선정된 초기 송신 속도에 대응되는 선정된 필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선정된 필터를 상기 선정된 초기 송신 속도 보다 고속의 송신 속도에 대응되는 다른 필터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KR1019980016891A 1997-05-12 1998-05-12 무선선택호출수신기 KR100289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1322A JP3068499B2 (ja) 1997-05-12 1997-05-12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97-121322 1997-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961A KR19980086961A (ko) 1998-12-05
KR100289624B1 true KR100289624B1 (ko) 2001-05-02

Family

ID=1480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891A KR100289624B1 (ko) 1997-05-12 1998-05-12 무선선택호출수신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35676B1 (ko)
JP (1) JP3068499B2 (ko)
KR (1) KR100289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999B2 (ja) 1997-06-05 2000-11-0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装置
US9621935B2 (en) * 2015-04-01 2017-04-11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Using bitrate data to output an alert indicating a functional state of back-up media-broadcas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4761A (ja) * 1995-01-31 1996-08-09 Casio Comput Co Ltd 無線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940A (ja) 1982-09-20 1984-03-27 Fujitsu Ltd 時分割多方向通信方式
JPS5961644U (ja) * 1982-10-15 1984-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選択呼出受信機
JPH06101699B2 (ja) 1986-10-21 1994-12-12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受信機のビットレートを変更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無線通信受信機
DE69031463T2 (de) * 1990-01-02 1998-03-26 Motorola Inc Zeitmultiplex-signalisierungssystem für selektivruf
JP3128859B2 (ja) 1991-06-19 2001-01-29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無線電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4761A (ja) * 1995-01-31 1996-08-09 Casio Comput Co Ltd 無線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68499B2 (ja) 2000-07-24
JPH10313468A (ja) 1998-11-24
US6335676B1 (en) 2002-01-01
KR19980086961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3771C2 (ru) Архитектура размещения идентификационных данных сети для системы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роуминга
CA211455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synchronization in a simulcast system
KR910008756B1 (ko) 신속 주파수-호핑 시간 동기 방법 및 장치
US5206855A (en) Multiple frequency message system
US6256304B1 (en) Mobile station using synchronization word order information for improved channel acquisition
EP0632599A1 (en) Purging apparatus having a battery saving function
EP0622966B1 (en) Radio paging receiver capable of improving accuracy of frame synchronization
KR0153351B1 (ko) 평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페이징 수신기
US5625351A (en) Messaging system having roaming capability
KR0129043B1 (ko) 가변 길이 메시지 캐리-온을 갖는 데이타 통신 수신기
AU7568694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selective call receivers and method therefor
KR100289624B1 (ko) 무선선택호출수신기
US5491469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temporarily directing radio receivers to a second radio frequency
KR950011078B1 (ko) 선택 호출 수신기
EP0935398B1 (en) 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and channel selecting method thereof
JPH09130841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EP09201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mobile equipment and mobile equipment
KR100252558B1 (ko) 2진 부호 전송시 소비전력 감소 모드를 갖는 가변 포맷의 무선 페이저
KR100290133B1 (ko) 자동 rs232/rs485통신컨버터
GB2345396A (en) Frequency hopping receiver capable of real time demodulation
JP3123991B2 (ja) 無線選択呼出し受信機
WO1991010300A1 (en) Multiple frequency scanning in a selective call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23564A (ko) 통신용 반도체 집적회로와 그의 배터리 절전 방법
JP3793724B2 (ja) 受信回路及び受信方法
JP2596983B2 (ja) 複数チャネル受信式無線呼出用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