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600B1 -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600B1
KR100289600B1 KR1019990002289A KR19990002289A KR100289600B1 KR 100289600 B1 KR100289600 B1 KR 100289600B1 KR 1019990002289 A KR1019990002289 A KR 1019990002289A KR 19990002289 A KR19990002289 A KR 19990002289A KR 100289600 B1 KR100289600 B1 KR 100289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using
shaft
circumferential surfac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711A (ko
Inventor
백형진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9000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600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Dc Machiner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모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브러쉬 베이스가 억지 끼워 삽입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타단부로부터 억지 끼워 삽입되며, 중심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케이스가 결합된 하우징의 타단 외주면에 마련되며, 하우징의 타측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과; 브러쉬 베이스와 인접된 케이스상에 위치되며, 브러쉬 베이스의 브러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외부로 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커뮤테이터와; 하우징의 가이드 구멍에 끼워 삽입된채 일단이 브러쉬 베이스의 내주면에 위치되고, 타단이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는 샤프트와; 하우징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마그네트와; 마그네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커뮤테이터를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과; 케이스의 내,외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샤프트를 미끄럼 지지하는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과;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샤프트의 단부에 끼워 삽입되며, 무게중심이 샤프트의 중심에 비해 편심되게 설치된 분동;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케이스의 내면에 끼워 삽입되는 하우징을 케이스의 타단부에 마련된 걸림턱을 통해 지지함으로써 외부로 부터의 충격이나 낙하 테스트과정에서 하우징이 유동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외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코일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됨으로써 안정된 전자기력을 얻을 수 있게되어 모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진동모터{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또는 호출기등에 내장되어 착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통신기술 발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가 개인휴대 통신의 등장이며, 이러한 개인휴대 통신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이 휴대폰 및 호출기이다.
이와같은 개인휴대 통신장비에서 휴대폰은 송수화가 모두 가능한 반면 호출기는 수신 메시지의 기능만을 하도록 하고 있는바 이들의 주된 공통점은 착신신호를 갖는다는 것이다.
즉, 송신시 이들이 전달하는 메시지는 음성이나 문자등으로 표현되지만 그 전에 우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입력되고 있음을 상대편의 휴대 통신장비에 즉, 휴대폰이나 호출기에 착신신호로서 알리게된다.
이러한 착신신호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벨이다.
이러한 벨에도 그 종류가 대단히 많은데 이를 크게 나누면 멜로디와 단순 반복음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의로 한 종류의 벨을 선택해서 착신음으로 사용하며, 선택된 착신음은 음량조절이 가능하므로 주위의 소음상태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같이 착신음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할 지라도, 공공장소등에서 소음의 원인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착신음에는 벨 기능과 함께 진동기능을 함께 갖추도록 하고 있다.
즉, 진동기능은 사용자만 알 수가 있으므로 소음 피해를 방지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는바 이러한 진동기능은 간단히 사용자가 임의로 벨 모드에서 진동 모드로 기기의 착신기능을 전환시키므로서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와같이 착신음으로 진동을 진동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즉, 진동유발수단으로 사용되는 부품이 진동모터이다.
도 1에는 이와같은 일반적인 진동모터를 나타내 보였다.
이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케이스(case;10)를 구비한다.
케이스(10)의 일단에는 리드 와이어(lead wire;21)를 통해 컨넥터(connector;미도시)와 연결된 브러쉬 베이스(brush base;20)가 억지 끼워 삽입된다.
케이스(10)의 타단에는 중심 외면에 삽입홈(31)이 형성된 하우징(housing;30)이 결합된다.
하우징(30)의 일단은 케이스(10)의 내부를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되며, 중심면에는 가이드 구멍(32)이 관통 형성된다.
브러쉬 베이스(20)와 인접된 케이스(10)의 내면에는 브러쉬 베이스(20)의 브러쉬(22)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커뮤테이터(commutator;40)가 위치된다.
케이스(10)중심에는 샤프트(shaft;50)가 위치되는 바, 이 샤프트(50)의 일단은 브러쉬 베이스(20)의 내주면과 인접된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며, 타단은 하우징(30)의 가이드 구멍(32)을 따라 케이스(10)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된다.
케이스(10)의 내면으로 연장된 하우징(30)의 외주면에는 마그네트(M)가 마련되며, 이 마그네트(M)와 소정거리 이격된 부위에는 커뮤테이터(40)로 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C)이 위치된다.
샤프트(50)는, 케이스(10)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개재되는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60,60')을 통해 미끄럼 지지된다.
내측 오일리스 베어링(60)은 하우징(30)의 단부에 결합되며, 외측 오일리스 베어링(60')은 하우징(30)의 외면에 형성된 삽입홈(31)에 결합된다.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된 샤프트(50)의 단부에는 무게중심이 샤프트(50)의 중심에 비해 편중되게 형성된 분동(weight counter;70)이 결합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진동모터는, 외부로 부터 전원이 리드 와이어(21)와 브러쉬 베이스(20)의 브러쉬(22) 그리고 커뮤테이터(40)와 코일(C)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코일(C)과 하우징(30)의 외주면에 결합된 마그네트(M)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60,60')을 통해 미끄럼 지지된 샤프트(50) 및 분동(70)이 회전된다.
이때 분동(70)은 샤프트(50)의 중심에 비하여 무게중심이 편중되게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진동이 유발되게 되어 이를 착신신호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진동모터에 있어서는, 샤프트(50)가 끼워 삽입되고 마그네트(M)가 설치되는 하우징(30)이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의해 케이스(10) 외측으로 쉽게 유동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하우징(30)이 케이스(10)에 억지 끼워 삽입되어 있는 것이지만, 외부로 부터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기타 낙하 충격테스트 등을 수행할 때 별도로 하우징(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하우징(30)이 유동될 경우에는 코일(C)과 마그네트(M)간에 일정한 전자기력이 발생되지 못함으로써 모터의 특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케이스에 결합되는 하우징의 유동을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뮤테이터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마그네트와 코일사이의 전자기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됨으로써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진동모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110 : 걸림턱
200 : 브러쉬 베이스 210 : 리드 와이어
220 : 브러쉬 300 : 하우징
310 : 가이드 구멍320 : 삽입홈
400 : 커뮤테이터500 : 샤프트
600,600' :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
700 : 분동C : 코일
M : 마그네트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는, 일단에 브러쉬 베이스가 억지 끼워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로부터 억지 끼워 삽입되며, 중심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가 결합된 하우징의 타단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과; 상기 브러쉬 베이스와 인접된 케이스상에 위치되며, 브러쉬 베이스의 브러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외부로 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커뮤테이터와;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구멍에 끼워 삽입된채 일단이 브러쉬 베이스의 내주면에 위치되고, 타단이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커뮤테이터를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과; 상기 케이스의 내,외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샤프트를 미끄럼 지지하는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샤프트의 단부에 끼워 삽입되며, 무게중심이 샤프트의 중심에 비해 편심되게 설치된 분동;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걸림턱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걸림턱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한 특징은, 상기 걸림턱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을 콕킹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는, 원통형상의 케이스(case;100)를 구비한다.
케이스(100)의 일단에는 리드 와이어(lead wire;210)를 통해 컨넥터(connector;미도시)와 연결된 브러쉬 베이스(brush base;200)가 억지 끼워 삽입된다.
케이스(100)의 타단에는 브러쉬 베이스(200)를 향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 구멍(310)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housing;300)이 끼워 삽입된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타단에는 끼워 삽입되어진 하우징(3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걸림턱(110)이 연장 형성된다.
이 걸림턱(110)은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 형성되거나 또는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환형으로 전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110)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단가절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케이스(100)의 타단을 콕킹(caulking)함으로써 일체로 성형되어진다.
브러쉬 베이스(200)와 인접된 케이스(100)의 내면에는 브러쉬 베이스(200)의 브러쉬(22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커뮤테이터(commutator;400)가 위치된다.
케이스(100)중심에는 샤프트(shaft;500)가 위치되는 바, 이 샤프트(500)의 일단은 브러쉬 베이스(200)의 내주면과 인접된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며, 타단은 하우징(300)의 가이드 구멍(310)을 따라 케이스(100)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된다.
케이스(100)의 내면으로 연장된 하우징(300)의 외주면에는 마그네트(M)가 마련되며, 이 마그네트(M)와 소정거리 이격된 부위에는 커뮤테이터(400)로 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C)이 위치된다.
샤프트(500)는, 케이스(10)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개재되는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600,600')을 통해 미끄럼 지지된다.
내측 오일리스 베어링(600)은 하우징(300)의 단부에 결합되며, 외측 오일리스 베어링(600')은 하우징(3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삽입홈(320)에 결합된다.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된 샤프트(500)의 단부에는 무게중심이 샤프트(500)의 중심에 비해 편중되게 형성된 분동(weight counter;700)이 결합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진동모터는, 외부로 부터 전원이 리드 와이어(210)와 브러쉬 베이스(200)의 브러쉬(220) 그리고 커뮤테이터(400)와 코일(C)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코일(C)과 하우징(300)의 외주면에 결합된 마그네트(M)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600,600')을 통해 미끄럼 지지된 샤프트(500) 및 분동(700)이 회전된다.
이때 분동(700)은 샤프트(500)의 중심에 비하여 무게중심이 편중되게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진동이 유발되게 되어 이를 착신신호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때 전술한 케이스(100)상에 외부로 부터의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낙하 테스트 시험을 행하게 되어도, 케이스(100)의 내면에 끼워 삽입된 하우징(300)이 걸림턱(110)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 이탈 및 유동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M)와 코일(C)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정된 전자기력을 얻을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에 의하면, 케이스의 내면에 끼워 삽입되는 하우징을 케이스의 타단부에 마련된 걸림턱을 통해 지지함으로써 외부로 부터의 충격이나 낙하 테스트과정에서 하우징이 유동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외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코일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됨으로써 안정된 전자기력을 얻을 수 있게되어 모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일단에 브러쉬 베이스가 억지 끼워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로부터 억지 끼워 삽입되며, 중심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가 결합된 하우징의 타단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과;
    상기 브러쉬 베이스와 인접된 케이스상에 위치되며, 브러쉬 베이스의 브러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외부로 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커뮤테이터와;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구멍에 끼워 삽입된채 일단이 브러쉬 베이스의 내주면에 위치되고, 타단이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커뮤테이터를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과;
    상기 케이스의 내,외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샤프트를 미끄럼 지지하는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샤프트의 단부에 끼워 삽입되며, 무게중심이 샤프트의 중심에 비해 편심되게 설치된 분동;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을 콕킹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KR1019990002289A 1999-01-25 1999-01-25 진동모터 KR100289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289A KR100289600B1 (ko) 1999-01-25 1999-01-25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289A KR100289600B1 (ko) 1999-01-25 1999-01-25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711A KR20000051711A (ko) 2000-08-16
KR100289600B1 true KR100289600B1 (ko) 2001-05-02

Family

ID=1957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289A KR100289600B1 (ko) 1999-01-25 1999-01-25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616B1 (ko) * 2000-11-24 2003-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KR20050089494A (ko) * 2004-03-05 2005-09-08 삼성전기주식회사 바타입 진동모터의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8009U (ko) * 1977-02-28 1978-09-20
KR830006851A (ko) * 1980-08-11 1983-10-06 이와마 가즈오 모터 정류자
JPH10322971A (ja) * 1997-05-16 1998-12-04 Tokyo Parts Ind Co Ltd 偏心非磁性コアを備えた径方向空隙型振動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8009U (ko) * 1977-02-28 1978-09-20
KR830006851A (ko) * 1980-08-11 1983-10-06 이와마 가즈오 모터 정류자
JPH10322971A (ja) * 1997-05-16 1998-12-04 Tokyo Parts Ind Co Ltd 偏心非磁性コアを備えた径方向空隙型振動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711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5403B2 (en) Vibration device
EP1008394A4 (en) ELECTRICAL / MECHANICAL / SOUND CONVERTER AND ELECTRICAL / MECHANICAL / SOUND CONVERSION APPARATUS
US6734594B2 (en) Vibration motor
KR100389631B1 (ko) 진동모터
KR100295101B1 (ko) 진동모터
KR100289600B1 (ko) 진동모터
KR101152417B1 (ko) 진동 발생 장치
KR100289561B1 (ko) 진동모터
KR100541103B1 (ko) 바-타입 진동모터
KR20030051292A (ko) 모터
KR100316902B1 (ko) 진동모터
KR20000044136A (ko) 진동모터
KR20000044122A (ko) 진동모터
KR20000051551A (ko) 진동모터
KR20010010908A (ko) 진동모터
KR100323076B1 (ko) 진동 스피커
KR200282655Y1 (ko) 통신기기용 진동 모터 일체형 양방향 스피커
KR100310750B1 (ko) 진동모터의분동코팅방법
KR100355851B1 (ko) 진동 스피커
KR100355848B1 (ko) 진동 스피커
KR100405067B1 (ko) 통신기기용 진동 및 호출음 발생장치
KR100401107B1 (ko) 진동모터
KR20020009408A (ko) 모터
KR100541100B1 (ko) 조립성이 용이한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진동모터
KR1003244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신호용 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