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902B1 -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902B1
KR100316902B1 KR1019990030020A KR19990030020A KR100316902B1 KR 100316902 B1 KR100316902 B1 KR 100316902B1 KR 1019990030020 A KR1019990030020 A KR 1019990030020A KR 19990030020 A KR19990030020 A KR 19990030020A KR 100316902 B1 KR100316902 B1 KR 100316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emi
cylindrical body
shaf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895A (ko
Inventor
박재운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9003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9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163Local as well as remote control pane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2Servomotor, servo controller kind till VSS
    • G05B2219/42247Remote reference transmitted to serv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모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일단에 브러쉬 베이스가 억지 끼워 삽입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타단부로부터 억지 끼워 삽입되며, 중심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브러쉬 베이스와 인접된 케이스상에 위치되며, 브러쉬 베이스의 브러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외부로 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커뮤테이터와; 하우징의 가이드 구멍에 끼워 삽입된채 일단이 브러쉬 베이스의 내주면에 위치되고, 타단이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는 샤프트와; 하우징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마그네트와; 마그네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커뮤테이터를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과; 케이스의 내,외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샤프트를 미끄럼 지지하는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과;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며, 소정크기를 갖는 반원통형 바디와, 이 반원통형 바디의 평면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반원통형 바디와의 경계부위에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는 보조 바디로 이루어진 분동;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반원통형 바디와 함께 분동을 구성하고 있는 보조 바디가 매우 작은 크기를 갖고 있게됨으로써 편심량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큰 진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또한 샤프트에 걸리는 부하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게되어 이를 통한 회전수 증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진동모터{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또는 호출기등에내장되어 착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통신기술 발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가 개인휴대 통신의 등장이며, 이러한 개인휴대 통신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이 휴대폰 및 호출기이다.
이와같은 개인휴대 통신장비에서 휴대폰은 송수화가 모두 가능한 반면 호출기는 수신 메시지의 기능만을 하도록 하고 있는바 이들의 주된 공통점은 착신신호를 갖는다는 것이다.
즉, 송신시 이들이 전달하는 메시지는 음성이나 문자등으로 표현되지만 그 전에 우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입력되고 있음을 상대편의 휴대 통신장비에 즉, 휴대폰이나 호출기에 착신신호로서 알리게된다.
이러한 착신신호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벨이다.
이와같은 벨에도 그 종류가 대단히 많은데 이를 크게 나누면 멜로디와 단순 반복음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의로 한 종류의 벨을 선택해서 착신음으로 사용하며, 선택된 착신음은 음량조절이 가능하므로 주위의 소음상태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같이 착신음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할 지라도, 공공장소등에서 소음의 원인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착신음에는 벨 기능과 함께 진동기능을 함께 갖추도록 하고 있다.
즉, 진동기능은 사용자만 알 수가 있으므로 소음 피해를 방지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는바 이러한 진동기능은 간단히 사용자가 임의로 벨 모드에서 진동 모드로 기기의 착신기능을 전환시키므로서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와같이 착신음으로 진동을 진동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즉, 진동유발수단으로 사용되는 부품이 진동모터이다.
도 1에는 이와같은 일반적인 진동모터를 나타내 보였다.
이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케이스(case;10)를 구비한다.
케이스(10)의 일단에는 리드 와이어(lead wire;21)를 통해 컨넥터(connector;미도시)와 연결된 브러쉬 베이스(brush base;20)가 억지 끼워 삽입된다.
케이스(10)의 타단에는 중심 외면에 삽입홈(31)이 형성된 하우징(housing;30)이 결합된다.
하우징(30)의 일단은 케이스(10)의 내부를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되며, 중심면에는 가이드 구멍(32)이 관통 형성된다.
브러쉬 베이스(20)와 인접된 케이스(10)의 내면에는 브러쉬 베이스(20)의 브러쉬(22)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커뮤테이터(commutator;40)가 위치된다.
케이스(10)중심에는 샤프트(shaft;50)가 위치되는 바, 이 샤프트(50)의 일단은 브러쉬 베이스(20)의 내주면과 인접된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며, 타단은 하우징(30)의 가이드 구멍(32)을 따라 케이스(10)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된다.
케이스(10)의 내면으로 연장된 하우징(30)의 외주면에는 마그네트(M)가 마련되며, 이 마그네트(M)와 소정거리 이격된 부위에는 커뮤테이터(40)로 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C)이 위치된다.
샤프트(50)는, 케이스(10)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개재되는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60,60')을 통해 미끄럼 지지된다.
내측 오일리스 베어링(60)은 하우징(30)의 단부에 결합되며, 외측 오일리스 베어링(60')은 하우징(30)의 외면에 형성된 삽입홈(31)에 결합된다.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된 샤프트(50)의 단부에는 무게중심이 샤프트(50)의 중심에 비해 편중되게 형성된 분동(weight counter;70)이 결합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진동모터는, 외부로 부터 전원이 리드 와이어(21)와 브러쉬 베이스(20)의 브러쉬(22) 그리고 커뮤테이터(40)와 코일(C)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코일(C)과 하우징(30)의 외주면에 결합된 마그네트(M)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60,60')을 통해 미끄럼 지지된 샤프트(50) 및 분동(70)이 회전된다.
이때 분동(70)은 샤프트(50)의 중심에 비하여 무게중심이 편중되게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진동이 유발되게 되어 이를 착신신호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진동모터에 있어서는, 충분한 진동의 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분동(70)이 샤프트(50)에 미치는 부하량이 커 회전수 증가를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도 2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50)를 중심으로 하여 편심을 야기시키고 있는 분동(70)의 형상이 편심량을 감소시키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분동(70)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반원통형 바디(71)와, 이 반원통형 바디(71)와 일체로 마련되며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보조 바디(72)로 이루어지는 바, 이 보조 바디(72)가 반원통형 바디(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편심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에의해서는 샤프트(50)에 가해지는 중량의 증가에 의한 부하량의 증가에 의해 회전수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편심량의 증가와 회전수의 증가를 도모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모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진동모터에 있어서, 분동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분동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200 : 브러쉬 베이스
210 : 리드 와이어 220 : 브러쉬
300 : 하우징 400 : 커뮤테이터
500 : 샤프트 600,600' :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
700 : 분동 710 : 반원통형 바디
720 : 보조 바디 730 : 가이드 구멍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는, 일단에 브러쉬 베이스가 억지 끼워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로부터 억지 끼워 삽입되며, 중심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브러쉬 베이스와 인접된 케이스상에 위치되며, 브러쉬 베이스의 브러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외부로 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커뮤테이터와;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구멍에 끼워 삽입된채 일단이 브러쉬 베이스의 내주면에 위치되고, 타단이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커뮤테이터를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과; 상기 케이스의 내,외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샤프트를 미끄럼 지지하는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며, 소정크기를 갖는 반원통형 바디와, 이 반원통형 바디의 평면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반원통형 바디와의 경계부위에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는 보조 바디로 이루어진 분동;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보조 바디는, 상기 반원통형 바디의 중심부분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보조 바디는, 상기 반원통형 바디의 어느 일측으로 치우친 외측단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분동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는, 원통형상의 케이스(case;100)를 구비한다.
케이스(100)의 일단에는 리드 와이어(lead wire;210)를 통해 컨넥터(connector;미도시)와 연결된 브러쉬 베이스(brush base;200)가 억지 끼워 삽입된다.
케이스(100)의 타단에는 브러쉬 베이스(200)를 향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며, 가이드 구멍(310)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housing;300)이 끼워 삽입된다.
브러쉬 베이스(200)와 인접된 케이스(100)의 내면에는 브러쉬 베이스(200)의 브러쉬(22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커뮤테이터(commutator;400)가 위치된다.
케이스(100)중심에는 샤프트(shaft;500)가 위치되는 바, 이 샤프트(500)의 일단은 브러쉬 베이스(200)의 내주면과 인접된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며, 타단은 하우징(300)의 가이드 구멍(310)을 따라 케이스(100)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된다.
케이스(100)의 내면으로 연장된 하우징(300)의 외주면에는 마그네트(M)가 마련되며, 이 마그네트(M)와 소정거리 이격된 부위에는 커뮤테이터(400)로 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C)이 위치된다.
샤프트(500)는, 케이스(10)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개재되는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600,600')을 통해 미끄럼 지지된다.
내측 오일리스 베어링(600)은 하우징(300)의 단부에 결합되며, 외측 오일리스 베어링(600')은 하우징(3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삽입홈(320)에 결합된다.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된 샤프트(500)의 단부에는 무게중심이 샤프트(500)의 중심에 비해 편중되게 형성된 분동(weight counter;700)이 결합된다.
분동(700)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크게 반원통형 바디(710)와 보조 바디(720)로 이루어진다.
반원통형 바디(710)은 보조 바디(7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고있으며, 보조 바디(720)는 반원통형 바디(710)의 평탄한 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때 보조 바디(720)는 특히 도 3 및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반원통형 바디(710)의 중심면에 소정크기로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진다.
또한 반원통형 바디(710)와 보조 바디(720)의 경계부위에는 전술한 샤프트(500)가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구멍(730)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는, 외부로 부터 전원이 리드 와이어(210)와 브러쉬 베이스(200)의 브러쉬(220) 그리고 커뮤테이터(400)와 코일(C)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코일(C)과 하우징(300)의 외주면에 결합된 마그네트(M)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600,600')을 통해 미끄럼 지지된 샤프트(500) 및 분동(700)이 회전된다.
이때 분동(700)은 샤프트(500)의 중심에 비하여 무게중심이 편중되게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진동이 유발되게 되어 이를 착신신호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반원통형 바디(710)와 함께 분동(700)을 구성하고 있는 보조 바디(720)가 반원통형 바디(710)의 평탄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종래 분동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편심량을 얻을 수 있게되며, 이에의해서는 회전시 큰 진동을 얻게될 뿐만 아니라 샤프트(500)에 걸리는 부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되어 회전수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에 의하면, 반원통형 바디와 함께 분동을 구성하고 있는 보조 바디가 매우 작은 크기를 갖고 있게됨으로써 편심량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큰 진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또한 샤프트에 걸리는 부하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게되어 이를 통한 회전수 증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일단에 브러쉬 베이스가 억지 끼워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타단부로부터 억지 끼워 삽입되며, 중심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브러쉬 베이스와 인접된 케이스상에 위치되며, 브러쉬 베이스의 브러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외부로 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커뮤테이터와;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구멍에 끼워 삽입된채 일단이 브러쉬 베이스의 내주면에 위치되고, 타단이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커뮤테이터를 통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과;
    상기 케이스의 내,외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샤프트를 미끄럼 지지하는 내,외측 오일리스 베어링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며, 소정크기를 갖는 반원통형 바디와, 이 반원통형 바디의 평면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반원통형 바디와의 경계부위에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끼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는 보조 바디로 이루어진 분동;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디는, 상기 반원통형 바디의 중심부분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바디는, 상기 반원통형 바디의 어느 일측으로 치우친 외측단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KR1019990030020A 1999-07-23 1999-07-23 진동모터 KR100316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020A KR100316902B1 (ko) 1999-07-23 1999-07-23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020A KR100316902B1 (ko) 1999-07-23 1999-07-23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895A KR20010010895A (ko) 2001-02-15
KR100316902B1 true KR100316902B1 (ko) 2001-12-22

Family

ID=1960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020A KR100316902B1 (ko) 1999-07-23 1999-07-23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2840A (zh) * 2019-05-05 2019-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升降装置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895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4594B2 (en) Vibration motor
KR100389631B1 (ko) 진동모터
KR100295101B1 (ko) 진동모터
KR100316902B1 (ko) 진동모터
KR100541103B1 (ko) 바-타입 진동모터
KR101152417B1 (ko) 진동 발생 장치
KR100289600B1 (ko) 진동모터
KR100289561B1 (ko) 진동모터
JP3796238B2 (ja) モールド型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2005198482A (ja) バータイプ振動モータ
KR20010010908A (ko) 진동모터
KR20000044136A (ko) 진동모터
KR20000051551A (ko) 진동모터
JP3737765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KR20000044122A (ko) 진동모터
KR100310750B1 (ko) 진동모터의분동코팅방법
KR100401107B1 (ko) 진동모터
KR1003244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신호용 진동장치
KR200284572Y1 (ko) 이동통신기기 및 소형 게임기용 진동모터 내장형 스피커
KR100303881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355850B1 (ko) 진동 스피커
JP3737762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KR200284574Y1 (ko) 이동통신기기 및 소형 게임기용 진동모터 내장형 회전식스피커
KR20010003850A (ko) 진동모터의 코뮤테이터
JP3737764B2 (ja) モータ及び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