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111B1 - 니코틴을 비롯한 유독성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담배잎의가공방법 - Google Patents

니코틴을 비롯한 유독성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담배잎의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111B1
KR100289111B1 KR1019990017566A KR19990017566A KR100289111B1 KR 100289111 B1 KR100289111 B1 KR 100289111B1 KR 1019990017566 A KR1019990017566 A KR 1019990017566A KR 19990017566 A KR19990017566 A KR 19990017566A KR 100289111 B1 KR100289111 B1 KR 10028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bacco
water
tobacco leaf
nicotine
treatmen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0049A (ko
Inventor
김인재
Original Assignee
주미화
주식회사구강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화, 주식회사구강물산 filed Critical 주미화
Priority to KR1019990017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111B1/ko
Priority to CNB008076553A priority patent/CN1236706C/zh
Priority to AU46198/00A priority patent/AU4619800A/en
Priority to PCT/KR2000/000474 priority patent/WO2000069289A1/en
Priority to RU2001133742/13A priority patent/RU2001133742A/ru
Priority to EP00927887A priority patent/EP1209989A4/en
Priority to JP2000617756A priority patent/JP3533183B2/ja
Priority to US09/979,092 priority patent/US6694985B1/en
Publication of KR2000003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1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Landscapes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기존 담배잎에 비해 니코틴, 타르를 비롯한 담배의 유독물질의 함량을 기존 담배잎에 비해 5 내지 10% 수준으로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담배잎의 가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물, 술, 또는 물과 술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1 내지 9회 증자시키는 것으로 된다. 한편, 담배의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처리 중에 황토, 감초, 흑두, 소금, 식초 또는 인삼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첨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니코틴을 비롯한 유독성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담배잎의 가공방법{PROCESS FOR LOWERING NICOTINE CONTENTS IN TOBACCO}
본 발명은 담배잎 중의 니코틴을 비롯한 유독성분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담배잎, 즉 연초를 한방처리함으로써, 연초의 니코틴, 타르 및 기타 유독성분의 함량을 기존 연초에 비해 획기적으로 저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에 따라 담배가 인디언으로부터 유럽사회에 전래된 이래, 담배는 전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전파되어, 우리나라에도 임진왜란시 일본으로부터 담배가 들어왔다는 기록이 있다. 담배는 한때 정신과 치료요법에도 사용되고, 향불과 같은 의전용으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세월이 흐름에 따라 차츰 담배의 습관성과 유독성이 알려지게 되었다.
담배가 신체나 정신건강에 미치는 유해성이 얼마나 심각한지는 새삼스러운 사실이 아니다. 특히, 최근 여성흡연자가 증가하고, 흡연자의 연령층이 점차 하향되는 추세를 감안하면 개인 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미치는 담배의 해악은 결코 좌시될 수 없는 사항이다.
담배에는 7천여가지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 30여가지는 인체에 치명적인 유독성 물질로서 특히 대표적인 것으로는, 암 유발인자로 판명된 타르, 혈액속의 산소를 고갈시키는 일산화탄소, 기관지염을 일으키는 물질, 중독성이 강한 니코틴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니코틴은 자체 독성 뿐만 아니라, 그 중독성이 마약과 같이 강력한 물질로서 수많은 흡연자들이 금연하기 힘들어 하는 이유도 바로 니코틴 중독에 의한 습관적인 의존때문이다. 과거에는 니코틴이 신체적 의존성이 없는 것으로 오인되어 코카인과 구별하였지만, 니코틴도 신체적 의존성이 있다는 것이 판명되어, 1996년 미국 식품의약청 (FDA)은 공식적으로 담배를 중독성 물질로 규정하기에 이르렀고, 세계보건기구 (WHO)도 최근 담배와의 전쟁을 선포한 바 있다.
이와 같이 담배의 중독성을 대표하는 무색의 알칼로이드인 니코틴은, 담배를 피울태 구토, 현기증, 두통을 유발하는 물질로서, 담배를 피우는 과정에서는 파괴되지 않고, 폐로 흡입되어 불과 7초만에 뇌에 도달한다. 니코틴은 중독성 뿐만 아니라, 그 자체 매우 유독하여 성인의 치사량은 체중 1 kg 당 니코틴 1 mg이다. 따라서 일반 성인의 평균 체중을 60 kg로 할 때, 60 mg의 니코틴이 일시에 혈액에 흡수되면 사망에 이르게 되고, 담배 1개비 당 니코틴의 함량이 10 내지 20 mg인 점을 고려하면 담배 3 - 6개비를 씹어먹을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는 결론에 이른다. 이러한 니코틴의 유독성은 청산가리의 치사량이 체중 60 kg의 성인의 경우 150 mg인 것과 비교할 때 실로 청산가리 독성의 2 내지 3배에 달하는 맹독성 물질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저니코틴 담배 등이 많이 개발되어 왔고, 심지어 다른 약초를 담배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니코틴 함량의 저하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후자의 경우, 담배잎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니코틴도 함유되지 않은 반면, 담배 고유의 향도 즐길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니코틴을 비롯한 유독성분의 함량이 획기적으로 감소된 담배잎의 가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담배 중 유독성분의 함량은 크게 감소된 반면 담배 고유의 향은 변함없이 즐길 수 있는 담배잎의 가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는 이상과 같은 목적을 위해 집중적으로 연구한 결과, 물, 술 또는 물과 술의 혼합물 (이하 처리액이라 칭함)에 담배잎을 침지시켜두거나 또는 담배잎 위에 상기 처리액을 분무한 다음 상기 처리액을 이용하여 담배잎을 증자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담배 중의 니코틴 등의 유독성분의 함량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단계는 9회까지 반복할 수 있다. 반복회수가 많을수록 니코틴 함량 저하효과가 크다.
한편, 상기 처리에 더해, 정화, 해독기능 및 원적외선 발산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황토와 각종 독소의 해독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감초, 흑두, 식초, 소금, 또는 인삼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부가처리함으로써, 추가적인 해독작용은 물론담배의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었다. 인삼으로는 홍삼, 수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초, 흑두, 식초, 소금, 또는 인삼은 니코틴 등의 유독성분의 저하보다는 담배의 맛과 향을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극히 미량 첨가해도 좋다.
처리액으로서 술과 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경우 비율은 1 : 1 내지 5의 비율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술의 종류와 알콜도수는 크게 중요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소주, 고량주, 탁주, 정종, 맥주, 양주, 보드카, 포도주 등의 술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격과 효과의 측면에서 탁주가 바람직하다.
상기 증자 처리에 앞서, 물, 술 또는 물과 술의 혼합물은 임의로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가열 온도는 30 내지 150℃의 온도범위로 할 수 있다. 가열시킬 경우, 처리 효과가 더 잘 나타난다. 또한, 황토, 감초, 흑두, 소금, 식초, 또는 인삼을 첨가할 경우에도, 상기 처리액의 가열전이나 가열후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마찬가지로 담배잎을 상기 처리액에 넣은채로 가열해도 좋고, 가열된 처리액으로 담배잎을 처리해도 좋다.
또한, 증자시에는, 약한불로 하거나 센불로 하거나 간에 무방하며 화력과 증자되는 담배잎의 양에 따라 증자시간이 달라짐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담배잎 가공방법은 황토, 감초, 및 흑두를 물 또는 물과 술에 용해시켜 만든 혼합액에 6 내지 24시간 동안 담배잎을 침지시켰다가 건조시킨 후, 상기 건조된 담배잎에 골고루 술을 분무하고, 소금과 식초를 소량 첨가한 술과 물의 1:1 내지 3 비율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증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액의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열과정을 거칠 수 있는데, 상기 황토, 감초 및 흑두와 물 또는 물과 술의 혼합액을 가열시킨 후에 담배잎을 침지시켜도 좋고, 상기 혼합액에 담배잎을 침지시킨 다음 가열시켜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담배잎 가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물에 황토, 감초, 및 담배잎을 잘 용해시켜 30 내지 100℃로 가열함으로써 탕을 만든다. 이 때, 상기 탕에 함유되는 황토, 감초 및 흑두의 양은 물 5 리터에 대해 각각 5 내지 300g, 5 내지 300g, 및 100 내지 200 g의 양으로 첨가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탕에 농가로부터 수확된 담배잎을 넣고 6 내지 24시간 침지시킨다.
(2) 상기 침지 처리한 담배잎을 그늘에서 하루동안 건조시킨 후 여기서 소주, 고량주, 탁주, 정종, 맥주, 양주, 보드카, 또는 포도주 중에서 선택된 술을 골고루 분무한다.
(3) 상기 술에 골고루 적셔진 담배잎을 시루에 넣고, 술과 물을 1:1 내지 5의 비율로 한 혼합액에 소금 및 식초를 약간량 첨가하여 얻은 술과 물의 혼합액을 시루 밑에 넣고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찐다.
(4) 위와 같이 시루에서 쪄낸 담배잎을 다시 하루동안 건조시키고 상기 (3)번 작업을 필요에 따라 2 내지 9회 반복한다. 반복회수가 많은수록 니코틴 감소효과가 뛰어나다.
(5) (4) 단계 처리를 마친 담배잎에 수삼, 건삼, 홍삼 등의 인삼을 소량 넣고 다시 (2) 단계에서와 같이 술을 뿌린다음 (3) 단계를 다시 한번 수행한 후 건조시킨다.
상기의 방법은 그 순서를 달리 하거나, 병용해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1)번과 (2)번 단계를 통합해서, 즉, 술과 황토, 감초, 흑두, 물, 식초, 및 소금을 혼합한 탕에 담배잎을 침지시킨 후 가열한 다음 건조시켜도 되고, 상기의 탕을 미리 가열한 후에 담배잎을 침지시킨 다음 건조시켜도 무방하다. 또는, 상기의 탕에 담배잎을 침지시키거나 상기의 탕을 담배잎에 분무한 후 시루에 쪄서 건조시켜도 좋다.
실시예 1
물 5 리터에 황토 10g, 감초 15g, 및 흑두 50g을 잘 혼합하여 6시간 가열하여 얻어진 탕에 담배잎 1근 (600g)을 12시간 가량 침지시켰다. 침지후, 담배잎을 건져서 그늘에서 하루동안 자연건조시킨 다음 탁주를 담배잎에 뿌려 담배잎이 골고루 적셔지도록 하였다. 시루 밑에 탁주와 물의 1:3 혼합물에 식초와 소금을 소량 넣고 시루에 상기 탁주에 적셔진 담배잎을 넣고 1시간 가량 쪄냈다. 이것을 다시 하루동안 건조시킨 다음 이번에는, 수삼 1 - 2g을 탁주와 함께 담배잎에 첨가하고, 다시 탁주와 물의 1:3 혼합물에 식초와 소금을 가한 혼합액을 시루밑에 넣고 담배잎을 다시 찐 다음 건조시켰다.
실시예 2
물과 탁주의 1 : 3 비율의 혼합물 약 5 리터에 담배잎 1근을 12시간 가량 침지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시루에서 담배잎을 증자하고, 건조시키는 단계를 3회 반복하였다. 실시예 1과 달리, 황토, 감초, 흑두, 식초, 소금 및 인삼을 첨가하지 않았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가공된 담배잎 중의 니코틴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특성분석센터에 분석을 의뢰하였다. 시험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담배잎 3점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시료 1은 일반 담배잎이고, 시료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시료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처리된 담배잎이다.
시료번호 니코틴 함량 (중량%)
1 0.735
2 0.040
3 0.053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시료 2 및 시료 3의 담배잎의 니코틴 함량은 시료 1의 미처리 담배잎에 비해, 니코틴 함량이 각각 5.4% 및 7.2%로 크게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시료 2의 담배잎을 파이프에 넣어 피우자, 일반 담배의 맛과 향과 크게 다름이 없었다. 그러나 시료 3의 담배잎은 시료 2의 담배잎에 비해 담배의 맛과 향은 많이 줄어 있었다. 또한, 타르의 함량은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못하였으나, 시료 1의 담배를 흡연하는데 사용된 파이프의 내부 배기구 주변은 흡연 횟수를 거듭할 수록 까맣게 이물질이 낀반면, 시료 2와 시료 3의 담배잎을 흡연하는데 사용된 파이프 내부는 흡연전과 다름없이 깨끗하게 유지된 것으로 미루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처리된 시료 2와 시료 3의 담배잎으로부터, 니코틴 뿐만 아니라 타르성분도 거의 완벽하게 제거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기타의 유독성분의 함량도 크게 저하되었으리라고 추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담배잎 가공방법에 따라 니코틴을 비롯한 기타 유독성분의 함량을 기존 잎담배의 10% 미만 수준으로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부가처리에 따라, 담배의 향은 거의 손상없이 유지시킬 수 있어, 담배의 맛과 향을 그대로 즐기면서 담배에 직접적으로 기인하는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래된 흡연자의 금연을 도와줌은 물론, 특히 막 흡연을 시작한 흡연자들의 니코틴 중독 예방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6)

  1. 탁주 또는 탁주와 물의 혼합물 (처리액)에 담배잎을 침지시켜두거나 또는 담배잎 위에 상기 처리액을 분무한 다음 상기 처리액과 함께 담배잎을 증자한 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코틴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담배잎의 가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에 황토, 감초, 흑두, 식초, 소금 또는 인삼을 첨가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처리액으로서 탁주와 물의 혼합물을 이용할 경우, 탁주와 물의 혼합비를 1 : 1 내지 5의 비율 (부피비)로 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증자와 건조 단계를 2 내지 9회 반복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황토, 감초 및 흑두를 물 5 리터에 대해 5 내지 300g, 5 내지 300g 및 100 내지 200g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가열시킨 처리액으로 담배잎을 침지 또는 분무시키거나 또는 담배잎을 처리액에 침지시킨 채 또는 처리액을 담배잎에 분무한 후 처리액과 담배잎을 함께 가열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KR1019990017566A 1999-05-17 1999-05-17 니코틴을 비롯한 유독성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담배잎의가공방법 KR10028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566A KR100289111B1 (ko) 1999-05-17 1999-05-17 니코틴을 비롯한 유독성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담배잎의가공방법
CNB008076553A CN1236706C (zh) 1999-05-17 2000-05-16 降低烟草中的尼古丁含量的方法
AU46198/00A AU4619800A (en) 1999-05-17 2000-05-16 Process for lowering nicotine contents in tobacco
PCT/KR2000/000474 WO2000069289A1 (en) 1999-05-17 2000-05-16 Process for lowering nicotine contents in tobacco
RU2001133742/13A RU2001133742A (ru) 1999-05-17 2000-05-16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содержания никотина в табаке
EP00927887A EP1209989A4 (en) 1999-05-17 2000-05-16 PROCESS TO REDUCE TOBACCO NICOTINE CONTENT
JP2000617756A JP3533183B2 (ja) 1999-05-17 2000-05-16 ニコチン含量を減少させるためのタバコ葉の加工方法
US09/979,092 US6694985B1 (en) 1999-05-17 2000-05-16 Process for lowering nicotine contents in tobacc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566A KR100289111B1 (ko) 1999-05-17 1999-05-17 니코틴을 비롯한 유독성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담배잎의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049A KR20000030049A (ko) 2000-06-05
KR100289111B1 true KR100289111B1 (ko) 2001-04-16

Family

ID=1958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566A KR100289111B1 (ko) 1999-05-17 1999-05-17 니코틴을 비롯한 유독성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담배잎의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1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57A (ko) * 2001-06-09 2002-12-16 임선 표고버섯 성분을 함유한 담배잎 제조방법
KR20030009006A (ko) * 2001-07-21 2003-01-29 김동현 한약재, 막걸리 및 식초를 이용한 건강 담배
KR20190086181A (ko) 2018-01-12 2019-07-22 이프담배 (주) 담뱃잎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담뱃잎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631A (ko) * 2001-04-27 2002-11-04 주식회사 다민바이오텍 황토 함유 담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61795B1 (ko) * 2001-06-01 2004-12-14 전창호 연기의 발생이 없는 담배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83951B1 (ko) * 2002-03-05 2005-04-18 주식회사 다민바이오텍 황토-함유 담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11983B1 (ko) * 2021-05-21 2021-10-13 이규선 니코틴과 타아르를 저감시키는 담배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57A (ko) * 2001-06-09 2002-12-16 임선 표고버섯 성분을 함유한 담배잎 제조방법
KR20030009006A (ko) * 2001-07-21 2003-01-29 김동현 한약재, 막걸리 및 식초를 이용한 건강 담배
KR20190086181A (ko) 2018-01-12 2019-07-22 이프담배 (주) 담뱃잎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담뱃잎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049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7632B2 (ja) 緑茶を主成分とする煙草代替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01292170B2 (en) A cigarette filter with scavenging effect on free radicals in cigarette smoke and its preparation method
JP3533183B2 (ja) ニコチン含量を減少させるためのタバコ葉の加工方法
KR20000038203A (ko) 니코틴이 없는 담배
AU2001292170A1 (en) A cigarette filter with scavenging effect on free radicals in cigarette smoke and its preparation method
KR100289111B1 (ko) 니코틴을 비롯한 유독성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담배잎의가공방법
KR100844444B1 (ko) 시가엽과 기능성필터를 이용한 담배 및 이의 제조방법
US2172946A (en) Tobacco smoke purifier
KR20030010166A (ko) 은행잎 성분을 이용한 권련용 여재 및 그 제조방법
US4959380A (en) Method of treating people to stop smoking and composition
CN110693071A (zh) 发烟基质及其制备方法
US3110315A (en) Denicotinization of tobacco
KR100345476B1 (ko) 니코틴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담배잎의 가공방법
KR100700977B1 (ko) 엽연초 분말을 이용한 담배의 제조 방법
KR20220121937A (ko) 케나프 잎을 이용한 담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99288B1 (ko) 니코틴 함량이 낮은 담배의 제조방법
KR101393482B1 (ko) 국화꽃 녹차의 제조 방법
KR101924754B1 (ko) 청미래덩굴을 이용한 담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담배
CN114931232B (zh) 一种加热卷烟烟弹及其制备方法
KR100292073B1 (ko) 니코틴과 타르가 제거된 순한 담배의 제조방법
KR20190086181A (ko) 담뱃잎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담뱃잎
KR20060025486A (ko) 흡연시 유해성분을 감소시키고, 비타민이 발생되는 잎담배첨가물
CN108272129A (zh) 一种具有防癌作用的香烟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