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635B1 -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635B1
KR100288635B1 KR1019980044706A KR19980044706A KR100288635B1 KR 100288635 B1 KR100288635 B1 KR 100288635B1 KR 1019980044706 A KR1019980044706 A KR 1019980044706A KR 19980044706 A KR19980044706 A KR 19980044706A KR 100288635 B1 KR100288635 B1 KR 100288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oking vessel
main body
recovery space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6944A (ko
Inventor
박채수
Original Assignee
박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채수 filed Critical 박채수
Priority to KR101998004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63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8Cooking utensils with channels or covers collecting overflow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솥, 냄비 등과 같이 내용물을 가열하여 조리를 하도록 하는 조리용기에 있어, 내용물을 가열시 이의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주위의 환경을 청결히 유지하면서도 가열기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내용물의 넘침으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을 방지토록 하는 것으로, 이는 조리용기의 본체 개구부를 외향으로 둥글게 회수공간부를 돌출 형성하여, 본체내에서 끓어 넘치는 내용물을 와류시켜 재차 회수토록 함과 동시에 내용물이 뒤틀려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토록 구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은 개구부의 내측으로 깊숙히 삽입되는 형태로 개폐토록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본 발명은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솥, 냄비, 주전자 등과 같이 각종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를 하도록 하는 조리용기에 있어, 조리용기를 가열시 내용물이 끓어서 넘치는 것을 방치토록 함으로써 주위의 환경을 청결히 유지하면서도 가열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내용물의 넘침으로 인하여 영양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솥, 냄비 등의 조리용기는 밥, 국, 찌게 등의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주방기구의 하나로서, 이러한 조리용기는 내용물을 넣고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본체와 이를 개폐토록 하는 뚜껑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써 용기본체를 가열기로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조리용기에 음식물을 조리시에는 조리용기가 가열되면서 그 내부의 내용물이 끓어 넘치게 됨으로써 주위를 더럽히게 되거나 또는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가열기를 소화시켜 가스로 인한 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었고, 또한 음식물 속의 각종 영양분이 손실되어 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조리용기내의 내용물이 끓어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종래에도 이미 제안되어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을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먼저 실용신안 공고 제96-2975호를 들수 있는데, 이는 용기 본체의 상단 외주연상에 돌출테두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테두리의 내부에는 주벽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어돌편을 구비함으로써 내벽을 타고 끓어오르는 내용물이 제어돌편 및 돌출테두리에 의해 넘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제어돌편이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내용물의 입출입에 따른 불편함으로 적용 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끓게되면 외부로 튀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실용신안 공고 제91-3117호의 조리용 넘침방지기는 용기의 상단 외주연에 별도의 넘침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즉 외주연상에 요홈과 외향으로 돌출되는 돌조가 구비되는 넘침방지기의 하부인 요홈에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패킹을 끼워서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넘침방지기를 본체와 뚜껑 사이에 별도로 구성하여야 하는 것으로써 이는 제조에 따른 공정수와 부품수가 많음으로써 제조성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성능면에 있어서도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구성외에도 실용신안 공고 제96-3289호의 개량냄비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냄비의 외둘레를 만곡된 돌출부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뚜껑의 외둘레에는 냄비의 돌출부내에 체결되는 만곡요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만곡요부에는 다수개의 증기배출공을 천공하여 이를 통하여 배출되는 수증기를 와류시키도록 하는 공간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공간부가 약 5mm 정도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증기가 배출되어 와류되는 공간부를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임으로써 와류가 발생하더라도 충분히 제기능을 하지 못하여 내용물이 넘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한편, 상기한 구성외에도 여러 가지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구성들에 있어서는 내용물이 쉽게 외부로 튀게 되는 등 기대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성이 좋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리용기의 상단 개구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내용물이 끓어서 넘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외향으로 돌출되는 반원형의 회수공간부를 갖추어 구성하면서도 상기 회수공간부의 상단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차단벽을 일체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회수공간부의 내부측에는 뚜껑이 닫힐 시 이를 받쳐주도록 하는 받침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뚜껑은 조리용기 내부로 깊숙히 삽입되어 받침부에 받쳐지는 상태로 닫히게 됨으로써 내용물이 끓어서 넘치더라도 상기 회수공간부에서 일단 와류되어 조리용기내로 회수됨과 동시에 내용물이 뒤틀려 외부로 튀는 것이 방지되어지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조리용기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조리용기의 단면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구성도로서 뚜껑을 닫은 상태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구성도로서 뚜껑을 열은 상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리용기 10 : 본체
11,21 : 손잡이 12 : 개구부
13 : 회수공간부 14 : 차단부
15 : 받침부 20 : 뚜껑
22 : 플랜지 A : 만곡면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외측을 향해 둥글게 돌출되는 회수공간부를 구비하여 내용물이 끓어서 넘칠 경우 조리용기 내부로 회수토록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회수공간부의 상단에는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차단부를 구비하여 회수공간부에서 뒤틀려 외부로 튀는 것을 차단토록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회수공간부의 하단에는 받침부를 구비하여 뚜껑을 개구부 내측으로 깊숙히 개폐토록 하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제1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넘침방지수단을 구비한 솥, 냄비, 주전자 등과 같은 조리용기를 나타내고 있고,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조리용기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조리용기(100)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으면서도 양측면상에는 손잡이(11)를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를 개폐토록 하면서도 그 상단부에는 역시 손잡이(21)을 가지는 뚜껑(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것으로서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0)의 상부 개구부(12)상에 내용물이 끓어서 넘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방지수단을 갖추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방지수단은 본체(10)의 개구부(12)상에 외향으로 둥글게 돌출되게 구비되는 회수공간부(13)와, 상기 회수공간부(13)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차단부(14)와, 그리고 상기 회수공간부(13)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뚜껑(20)이 닫힐 시 이를 받치도록 하는 받침부(15)로 구성된다.
상기 회수공간부(13)는 개구부(12)의 상부에 외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그 내측 벽면은 반구형의 만곡면(A)을 이루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만곡된 내벽면을 따라 넘치는 내용물은 와류를 일으키면서 그 내부에 고인 후, 뚜껑(20)이 증기에 의해 산발적으로 열리는 순간 본체(10) 내부로 회수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수공간부(13)의 만곡면(A)은 본체(10) 내부에서 뚜껑(20)을 밀고 상승되는 국물과 증기가 만곡면(A)을 타고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곡면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것이고, 이의 반경(R)은 대략 5-20m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부(14)는 회수공간부(13)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으로써 회수공간부(13)내에서 미쳐 본체(10) 내부로 회수되지 못하고 외부로 넘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차단벽의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부(14)의 높이(h)는 약 5-10m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뚜껑(20)의 외경보다는 큰 내경을 갖추어 구성되는 것은 필연적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수공간부(13)의 하부에는 본체(10)와 연결되는 받침부(15)가 구비되는데, 이의 받침부(15)는 뚜껑(20)이 닫힐 시 뚜껑(20)의 플랜지(22)를 받쳐주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15)의 내경(D1)은 차단부(14)의 내경(D2)보다는 작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는 뚜껑(2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차단부(14)를 통하여 내용물의 넘침을 최대한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회수공간부(13)의 받침부(15)와, 차단부(14)와, 반경(R) 값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충족하는 것이 좋다.
즉, 받침부(15)의 내경(D1)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임의의 반경(R)을 갖는 반원형으로 하되, 상기 반원형의 상단 차단부(14)는 임의의 높이(h)와 내경(D2)을 갖고, 또 상기 반경(R)의 중심점은 적어도 내경(D2)과 같은 위치이거나 내경(D2)보다 더 외측에 있도록 해야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100)는 다음과 같은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며 이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리용기(100)의 본체(10)는 금속재질의 판체형 소재를 유압프레스와 금형을 이용하여 용기형으로 성형토록 하는 제1공정과, 1차성형된 용기의 상단부를 커팅하는 제2공정과, 용기의 내외부 표면을 다이아몬드칼로서 연마토록 하는 연마공정의 제3공정과, 유압로울러로서 용기 개구부의 넘침방지수단을 성형토록 하는 제4공정과, 본체(10)의 외연을 볼록한 형태로 성형토록 하는 본체성형공정의 제5공정을 이룬다.
그리고, 그 형태가 완성된 본체(10)의 내,외부면을 다시 연마토록 하는 제6공정을 이룬다음, 열처리 및 광택을 내는 마무리공정의 제6공정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본체(10)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20)은 소재를 프레스로 성형하여 형상을 가공한 다음 플랜지의 선단부를 커팅하고, 내,외부면을 연마하여 손잡이구멍, 공기구멍 등의 펀칭공정을 행하여 열처리, 광택에 따라 마무리공정을 행함으로써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조 및 구성되는 본 발명은 조리용기(100)의 본체(10)내부에 통상에서와 같이 내용물을 넣고 가열기로서 가열하게 되면, 그 내부의 내용물은 고온으로 가열되면서 끓게 되고, 이에 따라 증기압과 함께 끓는 내용물은 뚜껑(20)을 밀어올리면서 본체(10)의 내측벽을 타고 그 상부의 넘침방지수단으로 분출된다.
즉, 증기와 내용물이 뚜껑(20)이 닫힌 본체(10)의 받침부(15)를 통하여 본체(10)의 회수공간부(13)내로 분출되어 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분출도는 내용물은 회수공간부(13)의 만곡면(A)을 타고 와류되어 회수공간부(13)내에 고인 후, 뚜껑(20)이 산발적으로 들릴 때 다시 본체(10) 내부로 회수되어 진다.
이때, 상기 회수공간부(13) 및 뚜껑(20)의 표면온도는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는 본체(10)보다는 훨씬 낮기 때문에 회수공간부(13)내로 상승되는 기체상태의 증기와, 고온으로 끓는 내용물은 이들 표면에 닿는 순간 열교환에 의해 응축되어져 다시 액체상태로 변환되어 본체(10)내로 회수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수공간부(13)내에서 와류되는 내용물은 그 내부에서 뒤틀림이 발생되어 지는 것이나, 반원형의 회수공간부(13) 구조를 볼 때, 반경(R)의 중심점이 내경(D2)보다도 더 바깥쪽에 있기 때문에 회수공간부(13)는 천장을 가지는 셈이 되고, 이 천정에서 안쪽으로 타고 흐르다가 다시 떨어질 수 밖에 없으며, 여기서 일부 튀어 나가려고 하는 것이 있어도 상부에 구비되는 차단부(14)에 의해 조리용기(100) 내부로 튀므로 넘침이 최대한 차단되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차단부(14)는 끓어서 넘치는 내용물을 회수공간부(13)에서 회수하여 차단하게 되는 것이나, 여기서 미쳐 회수되지 못하고 외부로 튀거나 넘치려는 내용물을 재차 차단하게 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솥, 냄비, 주전자 등의 각종 조리 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내용물을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이 가열되어 끓어 넘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효과는 주변환경을 청결히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안전사고의 방지와 더불어 음식물의 맛과 영양을 보존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조리용기의 본체 상부를 외향으로 돌출되는 회수공간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의 내부면에는 반구형의 만곡면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 용기 내에서 끓어 넘치는 내용물은 상기 회수공간부의 만곡면을 타고 본체 내부로 용이하게 회수되어져 외부로 넘치는 것이 방지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수공간부의 상단부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차단부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 뚜껑이 조리용기의 본체 내부에 깊숙히 들어가는 형태로 개폐됨으로써 뚜껑이 접하는 부분으로 내용물이 넘치더라도 회수공간부에 의해 안정되게 회수되어 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끓일 때 그 내용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단에 회수공간부(13)를 형성한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한 회수공간부(13)는 받침부(15)의 내경(D1)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임의의 반경(R)을 갖는 반원형으로 하되, 상기 반원형의 상단에서는 임의의 높이(h)와 내경(D2)으로 수직의 차단부(14)를 형성하고, 상기 반경(R)의 중심점이 적어도 내경(D2)과 같은 위치이거나 내경(D2)보다 더 외측에 있도록 형성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받침부(15)상에 얹힐 수 있도록 외주연의 플랜지(22) 직경이 받침부의 내경(D1)보다는 크고 차단부(14)의 내경(D2)보다는 작도록 형성한 뚜껑(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공간부(13)는 그 반경(R)을 5-20mm와, 차단부(14)는 높이(h) 5-10mm로 구성하고, 받침부(15)의 내경(D1)을 차단부(14)의 내경(D2)보다는 작게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1019980044706A 1998-10-24 1998-10-24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10028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706A KR100288635B1 (ko) 1998-10-24 1998-10-24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706A KR100288635B1 (ko) 1998-10-24 1998-10-24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944A KR20000026944A (ko) 2000-05-15
KR100288635B1 true KR100288635B1 (ko) 2001-05-02

Family

ID=1955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706A KR100288635B1 (ko) 1998-10-24 1998-10-24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574B1 (ko) * 2005-03-17 2007-02-22 서명철 조리용 가열용기의 뚜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7138U (ko) * 1986-08-28 1988-03-10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7138U (ko) * 1986-08-28 1988-03-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944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0132B2 (ja) 料理道具の蓋・取っ手組立体
KR200440495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기구용 뚜껑
EP1240860B1 (en) Cooking vessel
KR100288635B1 (ko)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0323694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319119Y1 (ko) 넘침 방지 냄비
KR200472099Y1 (ko)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100893326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0352161Y1 (ko) 넘침 방지용 냄비
KR101138925B1 (ko) 다기능 조리용 뚜껑
CN217161761U (zh) 一种防溢锅具
KR200287863Y1 (ko) 끓어 넘침이 방지되는 조리용기
KR200429603Y1 (ko) 개폐구 및 개폐구 덮개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KR200166413Y1 (ko) 후라이 팬용 기름튀김 방지판의 구조
KR200423951Y1 (ko) 조리기용 뚜껑
KR200305018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구비한 전골냄비겸용 찜솥
KR200335063Y1 (ko)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
CN213786751U (zh) 一种汤锅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200329657Y1 (ko) 개량형 무쇠솥 뚜껑구조
KR200330301Y1 (ko) 음식물 넘침방지 냄비
KR200312275Y1 (ko) 패킹이 장착된 조리구
KR100763338B1 (ko) 스팀배출 조절가능 조리용기
KR200340078Y1 (ko) 조리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