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063Y1 -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 - Google Patents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063Y1
KR200335063Y1 KR20-2003-0028860U KR20030028860U KR200335063Y1 KR 200335063 Y1 KR200335063 Y1 KR 200335063Y1 KR 20030028860 U KR20030028860 U KR 20030028860U KR 200335063 Y1 KR200335063 Y1 KR 200335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lid
soup
overflow
po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렬
Original Assignee
최중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렬 filed Critical 최중렬
Priority to KR20-2003-0028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0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0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8Cooking utensils with channels or covers collecting overflow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에 관한 것으로, 냄비몸체와 냄비몸체 상단에 얹혀진 뚜껑을 갖는 냄비에 있어서, 냄비몸체 상단이 외향 하측에서 내향 하측으로 둥글고 깊게 만곡지게 형성된 국물받이벽을 갖고, 국물받이벽 하단에서 하향으로 수직절곡되며 그 끝단에서 다시 내측으로 수평절곡되어 뚜껑이 얹혀져 안착되는 뚜껑받이단턱을 구비하여, 내용물이 끓더라도 흘러 넘치지 않고 그 압력으로 인해 뚜껑이 몸체에서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으며 압력손실이 적어 국 또는 찌개가 요구하는 맛을 잃지 않게 되고 조리시간이 단축되는 흘러 넘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cook-pot for not overflow }
본 고안은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끓더라도 흘러 넘치지 않고 그 압력으로 인해 뚜껑이 몸체에서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으며 압력손실이 적어 국 또는 찌개가 요구하는 맛을 잃지 않게 되고 조리시간이 단축되는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솥(caldron)은 밥을 짓거나 물을 끓이는 데 사용되는 취사용구이고, 냄비(cook-pot)는 음식을 끓이고, 튀기고, 삶고, 볶는 데 쓰는 조리 용구로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보통 솥보다는 운두가 낮고 손잡이가 고정되어 있으며, 뚜껑이 있다. 금속제가 대부분이며, 오지냄비도 사용한다. 이를 사용법에 따라 분류하면
첫째, 끓이기 위한 것으로, 긴 손잡이가 1개 있는 것과 짧은 것이 각각 양쪽에 있는 것이 있다. 모양은 운두가 낮은 것, 중간 것, 높은 것의 3종류가 있으며, 조리하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것을 사용한다. 낮은 것은 전골·모듬냄비·탕두부·꼬치류 등을 원형을 살린 채 끓여서 식탁에 내놓을 때 사용한다. 중간 것은 찌개·조림을 만들 때 사용하고, 높은 것은 각종 국·카레 등을 만들 때 사용한다.
둘째, 밥을 짓기 위한 것으로, 냄비 둘레에 단이 있어 밥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냄비의 두께도 다른 것보다 두껍다.
셋째, 찜을 위한 것으로, 냄비라기보다는 찜통을 말하는 것으로 통의 안쪽 아래에 받침을 놓을 수 있는 턱이 만들어져 있어 밑에 물을 붓고 받침을 걸친 후 그 위에 찔 음식을 놓게 되어 있다. 조리법의 성격상 깊은 것이 많다.
다섯째, 볶음을 위한 것으로, 밑바닥이 납작한 것과 둥근 것의 2종류가 있다. 전자는 프라이팬 계통이고 후자는 중국식 냄비, 즉 튀김냄비 계통이다. 이 계통의 냄비는 무거울수록 기름이 타지 않아 좋다.
이외에 기타로는, 주로 식탁 위에서 직접 끓이거나 지지면서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전기냄비가 있다. 전골·탕·찌개·모듬냄비·불고기 등 그 용도가 다양하다.
또한, 냄비를 재료에 따라 분류하면,
첫째, 알루미늄은 열전도가 잘되고 가벼우며 녹이 슬지 않아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알루미늄은 가공하기가 쉬우므로 디자인이 우수한 제품이 많은 반면, 음식에 물기가 없어지면 냄비 바닥이 타서 상하기 쉬운 것이 흠이다.
둘째, 철은 철판으로 만든 것으로 프라이팬·중국냄비·튀김냄비 등이 있고, 주물(鑄物)에는 보통 냄비가 있다. 열전도와 보온이 잘 되고 조리할 때 잘 타지 않는 장점이 있는 데 반해 쉽게 녹이 슬고 무거운 것이 흠이다.
셋째, 법랑은 철판으로 된 본체에 백토(白土)를 입힌 것이다. 아름다운 빛깔에 여러 가지 무늬를 넣을 수 있고, 씻기 쉬우며, 퇴색하지 않고, 보온성도 좋다. 장시간 끓여야 할 음식에 알맞다. 단점은 열전도가 느리고 부딪히면 백토가 떨어져서 속의 쇠에 녹이 슬면서 구멍이 나기 쉬운 점이다. 급격한 온도의 변화에도 약하다.
넷째, 구리는 열전도가 빠른 반면, 값이 비싸고 더러워지기 쉬우므로 자주 닦지 않으면 윤기가 없다.
다섯째, 스테인리스강은 광택이 나며 녹이 슬지 않고 깨끗이 씻기 쉬우며 오래 사용할 수 있다. 그 반면 열전도가 나쁘며 무겁고 가격이 비싸다.
여섯째, 유리는 최근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으로 깨끗하고 아름다운 것이 특징이다. 냄비로서는 열전도가 나쁘고 깨지기 쉬우므로 적합하지 않다.
일곱째, 오지그릇은 보통 뚝배기라는 것으로 열전도가 좋고 보온이 무엇보다 잘 되기 때문에 특히 된장찌개 같은 것을 끓이는 데 적합하다. 생활환경이나 식생활의 변화와 함께 냄비도 인테리어의 일부로서 한몫을 하게 되므로 디자인도 아름답고 사용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점차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냄비는 일반적으로 대체로 바닥면이 평평하고 둘레가 둥근 형상인 냄비몸체와, 전도체가 아닌 재질로 냄비몸체의 일측이나 양측에 고정된 몸체손잡이와, 냄비몸체의 상단에 얹혀진 뚜껑과, 전도체가 아닌 재질로 뚜껑의 중심축에 고정된 뚜껑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냄비의 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확대 단면도로, 이러한 종래의 냄비는 냄비몸체(100) 상단이 외측으로 수평면으로 절곡되고 다시 그 끝단에서 수직으로 상향절곡되어 냄비몸체(100)의 수평면에 뚜껑이 얹혀지는 뚜껑받이단턱(140)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런 뚜껑받이단턱(140)을 갖는 종래의 냄비는 냄비몸체(100) 내부에 담겨진 국 또는 찌개가 끓을 때, 압력이 분출하는 반대방향으로 뚜껑(300)이 완전히 열려서 끓어 넘침이 심하고, 끓어 넘칠 때 옆에서 지켜보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뚜껑(300)이 냄비몸체(100)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다른 종래 냄비의 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확대 단면도로, 이런 종래의 냄비는 냄비몸체(200) 상단이 외향 상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국물받이벽(220)을 갖는 구조이고, 뚜껑(300)은 국물받이벽(220)의 하부에 얹혀진 것으로, 국물받이벽(220)이 높기는 해도 뚜껑(300)을 제자리에 앉혀주는 뚜껑받이단턱이 없기 때문에 국물이 끓을 때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열려지게 되며 따라서, 국물이 끓을 때 이리 저리 튀고 넘치며 이때, 압력이 손실되어 조리시간(끓는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국 또는 찌개가 요구하는 맛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이 끓더라도 흘러 넘치지 않고 그 압력으로 인해 뚜껑이 몸체에서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으며 압력손실이 적어 국 또는 찌개가 요구하는 맛을 잃지 않게 되고 조리시간이 단축되는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냄비몸체와 냄비몸체 상단에 얹혀진 뚜껑을 갖는 냄비에 있어서;
냄비몸체 상단이 외향 하측에서 내향 하측으로 둥글고 깊게 만곡지게 형성된 국물받이벽을 갖고, 국물받이벽 하단에서 하향으로 수직절곡되며 그 끝단에서 다시 내측으로 수평절곡되어 뚜껑이 얹혀져 안착되는 뚜껑받이단턱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뚜껑받이단턱은 다단으로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확대 단면도,
도 2는 종래 냄비의 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확대 단면도,
도 3은 종래 다른 냄비의 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냄비 10,100,200 : 냄비몸체
12,220 : 국물받이벽 14,140 : 뚜껑받이단턱
20,300 : 뚜껑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는 냄비몸체(10) 상단이 외향 하측에서 내향 하측으로 둥글고 깊게 만곡지게 형성된 국물받이벽(12)을 갖고, 국물받이벽(12) 하단에서 하향으로 수직절곡되며 그 끝단에서 다시 내측으로 수평절곡되어 뚜껑(20)이 얹혀져 안착되는 뚜껑받이단턱(14)으로 구성된다.
뚜껑받이단턱(14)은 다단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냄비(1)는 냄비몸체(10) 상단에서 외향 하측에서 내향 하측으로 둥글고 크게 깊으며 만곡진 형상으로 국물받이벽(12)이 형성된다.
국물받이벽(12)의 하단에는 뚜껑바디단턱이 형성되는 바, 국물받이벽(12)에서 하향으로 수직절곡되며 그 끝단에서 다시 내측으로 수평 절곡되는 뚜껑받이단턱(14)이 형성된다. 뚜껑받이단턱(14)은 다단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뚜껑받이단턱(14)에는 뚜껑(20)이 얹혀져 안착된다.
이런 상태에서 냄비(1) 내부에 국이나 찌개와 같은 내용물을 넣고 끓이면, 냄비몸체(10) 내부의 압력은 뚜껑받이단턱(14)에 안착된 뚜껑(20)의 일측을 밀치면서 외부로 분출되는데, 이때, 뚜껑(20) 일측은 뚜껑받이단턱(14)에서 유동되면서 심하면 국물받이벽(12)에 까지 튀어 오를 수도 있으나, 뚜껑(20)은 크게 만곡진 국물받이벽(12)의 내벽면을 타고 다시 뚜껑받이단턱(14)으로 원위치되어 냄비몸체(10) 내부의 중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냄비몸체(10)의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때, 냄비몸체(10) 내부에서 분출되는 압력과 함께 튀는 국물은 국물받이벽(12) 내측면에 닿아 다시 냄비몸체(10) 내부로 서서히 유입되며, 냄비몸체(10) 외부로는 전혀 튀지 않게 되어 냄비몸체(10) 외관은 미려한 모양을 항상 유지하게 된다.
또한, 몸체내부(10)에서 분출되는 압력에 따라 유동되는 뚜껑(20)은 들썩거렸다가 바로 뚜껑받이단턱(14)으로 원위치되어 안착되기 때문에, 냄새 및 맛의 유출도 막게 되고, 몸체내부(10)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 인해 국이나 찌개가 요구하는 고유의 맛을 잃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내용물이 끓더라도 흘러 넘치지 않고 그 압력으로 인해 뚜껑이 몸체에서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으며 압력손실이 적어 국 또는 찌개가 요구하는 맛을 잃지 않게 되고 조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냄비몸체와 냄비몸체 상단에 얹혀진 뚜껑을 갖는 냄비에 있어서;
    냄비몸체(10) 상단이 외향 하측에서 내향 하측으로 둥글고 깊게 만곡지게 형성된 국물받이벽(12)을 갖고, 국물받이벽(12) 하단에서 하향으로 수직절곡되며 그 끝단에서 다시 내측으로 수평절곡되어 뚜껑(20)이 얹혀져 안착되는 뚜껑받이단턱(1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받이단턱(14)은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
KR20-2003-0028860U 2003-09-08 2003-09-08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 KR200335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860U KR200335063Y1 (ko) 2003-09-08 2003-09-08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860U KR200335063Y1 (ko) 2003-09-08 2003-09-08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063Y1 true KR200335063Y1 (ko) 2003-12-01

Family

ID=4934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860U KR200335063Y1 (ko) 2003-09-08 2003-09-08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0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6120B1 (en) Steamer insert, steamer assembly and method
KR20110072862A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JP2007068943A (ja) 調理容器セット
US20170354293A1 (en) Silicone liner for slow cooker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KR200335063Y1 (ko) 흘러 넘치지 않는 냄비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CN204797639U (zh) 一种多功能油炸锅
KR200406364Y1 (ko) 다용도 사각 음식조리기구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CN218683728U (zh) 一种燕窝厨具组件
CN217827546U (zh) 一种多功能近平面结构锅盖及锅具
CN217610513U (zh) 一种具有多蒸层的多功能锅
KR200166413Y1 (ko) 후라이 팬용 기름튀김 방지판의 구조
JP3203119U (ja) 蒸しプレート及び蒸しプレートを有する多機能調理器具
CN215077510U (zh) 一种多功能蒸笼适配器
KR102114976B1 (ko) 다용도 가마솥
CN206151269U (zh) 便携式多功能家用锅
JP2562867Y2 (ja) 電磁調理テーブル用調理容器
KR200239007Y1 (ko) 다용도 불고기판
KR200482851Y1 (ko) 다기능 육류 구이판
KR100288635B1 (ko) 넘침 방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0279277Y1 (ko) 개량된 찜기
KR200328008Y1 (ko) 수육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