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395B1 -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395B1
KR100288395B1 KR1019980035930A KR19980035930A KR100288395B1 KR 100288395 B1 KR100288395 B1 KR 100288395B1 KR 1019980035930 A KR1019980035930 A KR 1019980035930A KR 19980035930 A KR19980035930 A KR 19980035930A KR 100288395 B1 KR100288395 B1 KR 10028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subscriber
extension
switching system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370A (ko
Inventor
정홍경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3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395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2Calling substations, e.g. by rin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2Pag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5Broad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2Broad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대한 지역에 다수의 사업장이 있고, 각 사업장에 소형 교환기를 설치 운용하는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해당 사업장에 소음이 많은 경우에도 페이징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환 시스템에서는 스피커를 통해 통화 대기자가 통화하기를 원하는 특정 내선 가입자의 이름과 해당 통화 대기자의 내선번호를 단순 방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해당 스피커가 설치된 사업장에서 기계 등에 의해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이름은 들어도 해당 내선번호를 확실히 듣지 못하게 되어 통화 대기자와 통화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교환 시스템이 전용선을 통해 상호 연결된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별도의 선로를 설치하지 않고 해당 전용선을 이용하여 페이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페이징 기능 수행시 방송 기능뿐 만 아니라 응답 대기 기능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통화 대기자와 통화로를 형성함으로 해당 통화 대기자의 전화번호를 방송할 필요가 없어 소음이 많은 장소에서의 사용 효율이 향상되며, 비상시 페이징을 위해 특정 내선을 할당하여 비상 상황 발생을 각 교환 시스템의 모든 내선 가입자에게 신속, 간편하게 경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
본 발명은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대한 지역에 다수의 사업장이 있고, 각 사업장에 소형 교환기를 설치 운용하는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해당 사업장에 소음이 많은 경우에도 페이징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환 시스템에서 외부 존 페이징 기능을 위한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선 인터페이스부(1)와, 내선 인터페이스부(2)와, 스위칭 회로부(3)와,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4)와, 제어 처리부(5) 및 메모리부(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국선 인터페이스부(1)는 국선을 접속하여 해당 국선을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여 주며, 내선 인터페이스부(2)는 내선을 접속하여 해당 내선을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여 준다.
스위칭 회로부(3)는 제어 처리부(5)의 제어에 따라 교환 시스템에서의 통화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며,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4)는 다수개의 스피커를 접속하여 해당 스피커와 연결된 방송라인을 통해 전류를 공급한다.
제어 처리부(5)는 페이징 그룹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그룹 점유 메시지를 생성하고, 스위칭 회로부(3)를 제어하여 각 인터페이스부와의 음성 통화로 및 방송을 위한 음성 경로를 형성한다.
메모리부(6)는 보류음과 각 스피커에 대응하는 페이징 그룹 코드를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가 국선 또는 내선을 통해 통화를 하다가 상대방이 특정 내선 가입자와의 통화를 요구하는 경우, 해당 내선 가입자는 전화기의 훅 스위치를 조작하여 훅 플래쉬(Hook Flash)를 수행한 후, 해당 특정 내선 가입자가 정취할 수 있도록 방송을 하기 위해 페이징 그룹 코드를 입력하는데, 이때 제어 처리부(5)는 메모리부(6)로부터 보류음을 인출한 후, 스위칭 회로부(3)와 국선 인터페이스부(1)를 통해 상대방 측으로 제공한다.
또한, 해당 제어 처리부(5)는 내선 가입자로부터 페이징 그룹 코드가 입력됨에 따라 스위칭 회로부(3)를 제어하여 해당 페이징 그룹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그룹 점유 메시지를 생성하여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4)에 인가하면, 해당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4)에서 페이징 그룹 점유 메시지에 대응하는 방송라인을 통해 스피커에 전류를 공급하여 해당 스피커를 동작시킴에 따라 해당 내선 가입자와 스피커 사이에 방송을 위한 음성 경로가 형성된다.
이에, 해당 내선 가입자는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통화 대기자의 존재를 해당 특정 내선 가입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게 된다.
이때, 만약 통화 대기자가 해당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인 경우에는 특정 내선 가입자의 이름과 통화 대기자의 내선번호를 방송하여 해당 특정 내선 가입자가 방송을 청취하고 해당 내선번호로 전화하여 해당 통화 대기자와 통화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만약 통화 대기자가 국선 가입자인 경우에는 해당 페이징 요구호를 다른 내선번호로 전환함과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특정 내선 가입자의 이름과 전환된 호의 내선번호를 방송하여 해당 특정 내선 가입자가 방송을 청취하고, 자신이 위치한 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청취한 내선번호로 전환된 페이징 요구호를 픽업(Pick-Up)기능을 이용, 착신하여 해당 통화 대기자와 통화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교환 시스템에서는 스피커를 통해 통화 대기자가 통화하기를 원하는 특정 내선 가입자의 이름과 해당 통화 대기자의 내선번호를 단순 방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해당 스피커가 설치된 사업장에서 기계 등에 의해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이름은 들어도 해당 내선번호를 확실히 듣지 못하게 되어 통화 대기자와 통화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개의 교환 시스템이 전용선을 통해 상호 연결된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별도의 선로를 설치하지 않고 해당 전용선을 이용하여 페이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페이징 기능 수행시 방송 기능뿐만 아니라 응답 대기 기능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통화 대기자와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해당 통화 대기자의 전화번호를 방송할 필요가 없어 소음이 많은 장소에서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비상시 페이징을 위해 특정 내선을 할당하여 비상 상황 발생을 각 교환 시스템의 모든 내선 가입자에게 신속, 간편하게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개별 그룹 외부 존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내선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페이징 그룹 코드가 해당 내선 가입자가 연결된 교환 시스템에 속한 페이징 그룹 코드인가를 확인하는 단계(a);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페이징 그룹 코드가 해당 교환 시스템에 속한 페이징 그룹 코드이면, 상기 페이징 그룹 코드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동작시켜 방송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로 하여금 방송하게 하고,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b); 해당 교환 시스템에 속한 페이징 그룹 코드가 아니면, 해당 페이징 그룹 코드가 포함된 교환 시스템과 연결된 전용선을 통해 상기 페이징 그룹코드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연결해 방송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로 하여금 방송하게 하고,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c); 페이징 요구 가입자를 페이징 응답 대기 상태로 전환시켜 소정시간 동안 페이징 응답을 대기하게 하는 단계(d); 특정 내선 가입자로부터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단계(b) 내지 (c)에서 저장된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 중 해당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페이징 요구 가입자와 특정 내선 가입자 사이에 자동으로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하게 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전체 그룹 외부 존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내선 가입자로부터 전체 그룹 페이징 코드가 입력되면 해당 내선 가입자가 연결된 교환 시스템의 모든 스피커를 동작시켜 방송 경로를 형성하여 방송하게 하고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요구 가입자를 페이징 응답 대기 상태로 전환시켜 소정시간 동안 페이징 응답을 대기하게 하는 단계; 특정 내선 가입자로부터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 중 해당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페이징 요구 가입자와 특정 내선 가입자 사이에 자동으로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비상시 외부 존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비상 페이징 용으로 지정된 내선 전화기가 오프 훅되는 것이 감지되면, 교환 시스템의 모든 스피커를 동작시켜 방송 경로를 형성하는 단계; 통화중인 모든 내선 전화기에 대한 통화로를 복구하는 단계; 상기 방송 경로가 형성된 스피커를 통해 비상 상황 발생을 방송하는 단계; 종단 교환 시스템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연결된 다른 교환 시스템으로 비상 상황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다중 교환 시스템의 모든 내선 가입자에게 비상 상황 발생을 방송하게 하는 단계; 종단 교환 시스템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비상시 외부 존 페이징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환 시스템에서 외부 존 페이징 기능을 위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외부 존 페이징 기능을 위한 각 교환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개별 그룹 외부 존 페이징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1 : 국선 인터페이스부 12, 22 : 내선 인터페이스부
13, 23 : 스위칭 회로부 14, 24 :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
15, 25 : 전용선 인터페이스부 16, 26 : 제어 처리부
17, 27 : 메모리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외부 존 페이징 기능을 위한 해당 각 교환 시스템의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하므로, 해당 제1 교환 시스템(PBX1)의 구성을 대표하여 설명하면 해당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선 인터페이스부(11)와, 내선 인터페이스부(12)와, 스위칭 회로부(13)와,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14)와, 전용선 인터페이스부(15)와, 제어 처리부(16) 및 메모리부(1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국선 인터페이스부(11)는 국선을 접속하여 해당 국선에 대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여 주며, 내선 인터페이스부(12)는 내선을 접속하여 해당 내선에 대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여 준다.
스위칭 회로부(13)는 제어 처리부(16)의 제어에 따라 교환 시스템(PBX1)에서의 통화로 및 방송 경로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며,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14)는 다수개의 스피커를 접속하여 해당 스피커와 연결된 방송라인을 통해 전류를 공급한다.
전용선 인터페이스부(15)는 전용선을 통해 주변 교환 시스템을 접속하여 입출력되는 신호를 정합하여 주며, 제어 처리부(16)는 페이징 그룹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그룹 점유 메시지를 생성하고, 스위칭 회로부(13)를 제어하여 각 인터페이스부와의 음성 통화로 및 방송 경로를 형성하며, 페이징 응답 대기상태에서 입력되는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요구 가입자와 자동으로 통화로를 형성한다.
메모리부(17)는 보류음과 각 스피커에 대응하는 페이징 그룹 코드와, 페이징 그룹 점유를 요구한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와, 페이징 그룹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개별 그룹 외부 존 페이징 동작은 첨부한 도면 도 3과 같은 순서로 수행된다.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페이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가 국선 또는 내선을 통해 통화를 하다가 상대방이 특정 내선 가입자와의 통화를 요구하는 경우에 수행하는 해당 내선 가입자에 의한 페이징 동작으로, 해당 내선 가입자는 훅 스위치를 조작하여 훅 플래쉬를 수행한 후, 해당 특정 내선 가입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방송을 하기 위해 페이징 그룹 코드를 입력하여 수행하는데(스텝 S31), 이때 제어 처리부(16)는 메모리부(17)로부터 보류음을 인출한 후, 스위칭 회로부(13)와 국선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상대방 측으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가 특정 내선 가입자와 통화를 하고자하여 수행하는 페이징 동작으로, 해당 내선 가입자는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어 오프 훅한 후, 해당 특정 내선 가입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방송을 하기 위해 페이징 그룹 코드를 입력하여 수행한다(스템 S31).
이에, 해당 제어 처리부(16)는 내선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페이징 그룹 코드가 해당 교환 시스템(PBX1)에 속한 페이징 그룹 코드인가를 확인한 후(스텝 S32), 해당 페이징 그룹 코드에 대응하는 스피커와 방송 경로를 형성하는데, 만약 입력된 페이징 그룹 코드가 해당 교환 시스템의 페이징 그룹 코드인 경우 해당 제어 처리부(16)는 스위칭 회로부(13)를 제어하여 해당 페이징 그룹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그룹 점유 메시지를 생성하여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14)에 인가하고, 이에 해당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14)에서 인가된 페이징 그룹 점유 메시지에 대응하는 방송 라인을 통해 스피커에 전류를 공급하여 해당 스피커를 동작시킴에 따라 해당 내선 가입자와 스피커 사이에 방송을 위한 음성 경로가 형성된다(스텝 S33).
이때, 제어 처리부(16)는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메모리부(17)에 저장한다.
그런데, 만약 입력된 페이징 그룹 코드가 해당 교환 시스템의 페이징 그룹 코드가 아닌 경우 해당 제어 처리부(16)는 해당 페이징 그룹 코드가 포함된 교환 시스템(예를 들어 제 2 교환 시스템(PBX2))을 연결하여 해당 페이징 그룹 코드에 대응하는 스피커와 해당 내선 가입자 사이에 방송을 위한 음성 경로를 형성하는데, 먼저 해당 제어 처리부(16)는 스위칭 회로부(13)를 통해 전용선 인터페이스부(15)를 제어하여 해당 페이징 그룹 코드가 포함된 교환 시스템(PBX2)과 연결된 전용선을 점유한 후, 해당 페이징 그룹 코드와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점유한 전용선을 통해 교환 시스템(PBX2) 측으로 제공한다(스텝 S40).
이에, 해당 교환 시스템(PBX2)의 제어 처리부(26)는 전용선 인터페이스부(25)를 통해 페이징 그룹 코드가 입력됨에 따라 스위칭 회로부(23)를 제어하여 해당 페이징 그룹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그룹 점유 메시지를 생성하여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24)에 인가하면, 해당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24)에서 페이징 그룹 점유 메시지에 대응하는 방송라인을 통해 스피커에 전류를 공급하여 해당 스피커를 동작시킴에 따라 해당 내선 가입자와 스피커 사이에 방송을 위한 음성 경로가 형성된다(스텝 S33).
이후, 해당 내선 가입자는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통화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해당 특정 상대 가입자가 속한 스피커를 통해 방송한 후(스텝 S34), 해당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온 훅하여 페이징 응답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스텝 S35).
그리고, 해당 내선 가입자가 포함된 교환 시스템(PBX1)의 제어 처리부(16)는 내선 가입자의 페이징 요구가 전환 페이징 요구인가를 확인하여(스텝 S36), 전환 페이징 요구인 경우 메모리부(17)로부터 보류음을 인출한 후, 스위칭 회로부(13)와 국선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해당 내선 가입자에게 최초로 페이징을 요구한 발신자 즉, 페이징 요구 가입자에게 해당 보류음을 소정시간 동안 제공하면서 페이징 응답을 대기하게 한다(스텝 S37).
그런데, 만약 내선 가입자의 페이징 요구가 전환 페이징 요구가 아닌 경우 해당 제어 처리부(16)는 해당 내선 가입자 즉, 페이징 요구 가입자의 내선을 소정시간 동안 통화중(Busy) 처리하여 페이징 응답에 의한 호 착신 외의 호 착신을 거부하면서 페이징 응답을 대기하게 한다(스텝 S41).
이때, 제어 처리부(16)는 특정 내선 가입자로부터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가 입력되는가 즉, 특정 내선 가입자가 방송을 청취하고 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를 입력하는가를 확인하여(스텝 S38), 해당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페이징 동작을 종료하고, 만약 해당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제어 처리부(16)는 해당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요구 가입자와 특정 내선 가입자 사이에 자동으로 통화로를 형성하는데(스텝 S39), 만약 내선 가입자의 페이징 요구가 전환 페이징인 경우에는 스위칭 회로부(13)를 제어하여 페이징 응답 대기중인 국선 가입자와 자동으로 통화로를 형성하고, 만약 내선 가입자의 페이징 요구가 전환 페이징이 아닌 경우에는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페이징 요구 가입자의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하여 응답하면 스위칭 회로부(13)를 제어하여 해당 페이징 요구 가입자와 특정 내선 가입자 사이에 자동으로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하게 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해당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전체 그룹 외부 존 페이징 동작은 내선 가입자가 페이징 하고자하는 특정 내선 가입자 속한 페이징 그룹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 수행되는데, 먼저 내선 가입자로부터 전체 그룹 페이징 코드가 입력되면, 해당 내선 가입자가 연결된 교환 시스템(PBX1)의 제어 처리부(16)는 스위칭 회로부(13)와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14)를 통해 모든 스피커를 동작시켜 방송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해당 내선 가입자가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이용하여 통화 대기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스피커를 통해 방송한 후, 해당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온 훅하여 페이징 응답 대기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특정 내선 가입자로부터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가 입력되면, 제어 처리부(16)는 해당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인출하여 해당 페이징 요구 가입자와 특정 내선 가입자 사이에 자동으로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하게 한다.
또한, 해당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비상시 외부 존 페이징 동작은 교환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상 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 수행되는데, 먼저 해당 교환 시스템에서 비상 페이징 용으로 지정된 내선 전화기가 오프 훅(Off-Hook)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 처리부에서 스위칭 회로부와 방송장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모든 스피커를 동작시켜 방송 경로를 형성한 후, 비상 상황 발생을 방송한다.
이때, 해당 제어 처리부는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하여 현재 통화중인 모든 내선 전화기에 대한 통화로를 복구하여 방송을 듣을 수 있도록 하며, 전용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해당 교환 시스템과 연결된 다른 교환 시스템으로 전용선을 통해 해당 비상 상황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해당 비상 상황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교환 시스템의 제어 처리부는 전술한 교환 시스템에서의 비상시 외부 존 페이징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고, 자신이 외부 존 페이징 동작을 수행하는 종단 교환 시스템으로 지정되지 않았으면 연결된 다른 교환 시스템으로 전용선을 통해 해당 비상 상황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다중 교환 시스템의 모든 내선 가입자에게 비상 상황 발생을 신속, 간편하게 경고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의 교환 시스템이 전용선을 통해 상호 연결된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별도의 선로를 설치하지 않고 해당 전용선을 이용하여 페이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페이징 기능 수행시 방송 기능뿐 만 아니라 응답 대기 기능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통화 대기자와 통화로를 형성함으로 해당 통화 대기자의 전화번호를 방송할 필요가 없어 소음이 많은 장소에서의 사용 효율이 향상되며, 비상시 페이징을 위해 특정 내선을 할당하여 비상 상황 발생을 각 교환 시스템의 모든 내선 가입자에게 신속, 간편하게 경고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개별 그룹 외부 존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내선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페이징 그룹 코드가 해당 내선 가입자가 연결된 교환 시스템에 속한 페이징 그룹 코드인가를 확인하는 단계(a);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페이징 그룹 코드가 해당 교환 시스템에 속한 페이징 그룹 코드이면, 상기 페이징 그룹 코드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동작시켜 방송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로 하여금 방송하게 하고,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b); 해당 교환 시스템에 속한 페이징 그룹 코드가 아니면, 해당 페이징 그룹 코드가 포함된 교환 시스템과 연결된 전용선을 통해 상기 페이징 그룹코드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연결해 방송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내선 가입자로 하여금 방송하게 하고,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c); 페이징 요구 가입자를 페이징 응답 대기 상태로 전환시켜 소정시간 동안 페이징 응답을 대기하게 하는 단계(d); 특정 내선 가입자로부터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단계(b) 내지 (c)에서 저장된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 중 해당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페이징 요구 가입자와 특정 내선 가입자 사이에 자동으로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하게 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페이징 그룹 코드가 포함된 교환 시스템과 연결된 전용선을 통해 방송 경로를 형성하여 방송하게 하는 단계는, 해당 페이징 그룹 코드가 포함된 교환 시스템과 연결된 전용선을 점유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징 그룹 코드와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전용선을 통해 상기 교환 시스템 측으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 시스템에서 인가된 페이징 그룹 코드에 대응하는 스피커를 동작시켜 방송 경로를 형성하여 방송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
  3.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전체 그룹 외부 존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내선 가입자로부터 전체 그룹 페이징 코드가 입력되면 해당 내선 가입자가 연결된 교환 시스템의 모든 스피커를 동작시켜 방송 경로를 형성하여 방송하게 하고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요구 가입자를 페이징 응답 대기 상태로 전환시켜 소정시간 동안 페이징 응답을 대기하에 하는 단계; 특정 내선 가입자로부터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 중 해당 페이징 그룹 응답 코드에 대응하는 페이징 요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페이징 요구 가입자와 특정 내선 가입자 사이에 자동으로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
  4.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 비상시 외부 존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비상 페이징 용으로 지정된 내선 전화기가 오프 훅되는 것이 감지되면, 교환 시스템의 모든 스피커를 동작시켜 방송 경로를 형성하는 단계; 통화중인 모든 내선 전화기에 대한 통화로를 복구하는 단계; 상기 방송 경로가 형성된 스피커를 통해 비상 상황 발생을 방송하는 단계; 종단 교환 시스템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연결된 다른 교환 시스템으로 비상 상황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다중 교환 시스템의 모든 내선 가입자에게 비상 상황 발생을 방송하게 하는 단계; 종단 교환 시스템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비상시 외부 존 페이징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
KR1019980035930A 1998-09-01 1998-09-01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 KR10028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930A KR100288395B1 (ko) 1998-09-01 1998-09-01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930A KR100288395B1 (ko) 1998-09-01 1998-09-01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370A KR20000018370A (ko) 2000-04-06
KR100288395B1 true KR100288395B1 (ko) 2001-05-02

Family

ID=1954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930A KR100288395B1 (ko) 1998-09-01 1998-09-01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3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070B1 (ko) * 1996-08-24 1999-06-15 윤종용 교환시스템의 방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070B1 (ko) * 1996-08-24 1999-06-15 윤종용 교환시스템의 방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370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934B1 (ko) 전자식 간이 교환 장치의 통화 대기 및 교대통화방법
JPH07154482A (ja) 電話呼処理方法
KR100288395B1 (ko) 다중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존 페이징 방법
KR100228300B1 (ko) 교환시스템의 그룹 예약 호 서비스방법
KR100207823B1 (ko) 사설교환기에서 자동안내기능을 이용한 발신자정보 처리방법
KR100298339B1 (ko) 교환시스템의호블러킹방법
KR100233912B1 (ko) 교환기에서 번호 변경 호 연결 방법
KR100293949B1 (ko) 교환시스템에서 보류된 국선의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
KR0164424B1 (ko)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전용선을 통한 응답모드 변경방법
KR19980015994A (ko) 교환시스템에서 전용선을 이용한 일제지령 방송방법
JP2007166399A (ja) 電話交換装置及び電話交換装置のグループ着信制御方法
JP2000197119A (ja) Phs用構内交換機の内線予約方法及びこれを利用するphs用構内交換機
JPH04252648A (ja) 交換方式
JPH0225146A (ja) コールウェイティング着信呼の制御方式
KR100250669B1 (ko) 사설 교환기의 안내대 회의 통화 서비스 방법
KR100229871B1 (ko) 자동 다자 통화 구현방법
KR100233081B1 (ko) 일반전화기의 기능 서비스 방법
JPH05191514A (ja) 構内交換機システム
JPH03201756A (ja) 応答拒否サービス方式
KR19990016005A (ko) 교환시스템의 국선호 착신 서비스방법
JPH0336864A (ja) キャンプオンの案内機能をもつ交換機
KR20000044299A (ko) 음성사서함장치를 이용한 회의 방법
KR19990001597A (ko) 교환기 시스템의 부재중 자동 방송 방법
JPH04230152A (ja) 公衆網における話中不在時ヘルプサービス方式
JPH05300244A (ja) 交換機におけるコールウェイテ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