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954B1 - 프레임과 외장재를 구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 Google Patents

프레임과 외장재를 구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954B1
KR100287954B1 KR1019980700287A KR19980700287A KR100287954B1 KR 100287954 B1 KR100287954 B1 KR 100287954B1 KR 1019980700287 A KR1019980700287 A KR 1019980700287A KR 19980700287 A KR19980700287 A KR 19980700287A KR 100287954 B1 KR100287954 B1 KR 100287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claws
spring member
switchgear cabine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985A (ko
Inventor
뮌히 우도
노이호프 마르쿠스
로이터 볼프강
로오트 파울
Original Assignee
뮬러 노베르트
리탈-베르크 루돌프 로흐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뮬러 노베르트, 리탈-베르크 루돌프 로흐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뮬러 노베르트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96/002861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04631A1/de
Publication of KR19990028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5Gaskets or seals
    • H05K9/0016Gaskets or seals having a spring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진 랙을 가지고, 개방된 측면이 외장재 및 도어에 의해 닫힐 수 있으며, 프레임 부재 및 외장재에 페인트가 칠해져 있고, 프레임 부재가 외장재에 수직으로 배치된 한 측면에 적어도 일렬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고정 구멍을 가지는 스위치기어 캐비닛에 관한 것이다. 외장재와 프레임 부재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프레임 부재의 고정 구멍에 고정되고 연결될 부재들에 스프링 작용 클로에 의해 지탱되며 페인트를 침투하는 특수한 구조의 U자형 스프링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프레임과 외장재를 구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Switchgear Cubicle with Frame and Cladding}
이러한 타입의 스위치기어 캐비닛이 독일특허공보 DE 33 44 598 C1호에 개시되어 있다.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래커가 칠해져 있는 부재들 사이는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전기적 접속은 그 부재들이 서로 볼트로 조여질 경우에는 확실히 보장되지 않는다. 패널 부재와 랙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필요한 경우, 이들 부재가 접지선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목적을 위해, 양 부재들에 적절한 연결 부재들이 제공되어야 하고, 접지선의 부착을 위해 부가적인 많은 수고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프레임 부재로 조립된 랙(rack)을 구비하고, 개방된 측면이 패널 부재 및 캐비닛 도어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패널 부재에 래커(lacquer)가 칠해져 있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상기 패널 부재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된 일렬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고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기어 캐비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랙(rack)의 프레임 부재와 패널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U자형 스프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측벽 및 바닥판이 랙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바닥판과 미끄럼 레일 사이의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밀봉 부재가 삽입된 상태의 도 3의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프레임 부재에 대한 보유가 향상되고 프레임 부재와 패널 부재 사이의 간격 공차를 보상하는데 특히 적합하게 된 스프링 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사용된 스프링 부재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에서 언급된 타입의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패널 부재와 랙 사이의 확실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목적은, 프레임 부재와 외장재인 패널 부재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2개의 측면 다리와 그 측면 다리들을 연결하는 중앙 다리를 가지는 U자형의 스프링 부재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속에 충분히 깊이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측면의 상기 고정 구멍의 벽에는 한쪽 측면 다리의 보유 클로(claw)에 의해 스프링 장력하에 지지되고, 상기 패널 부재의 대향 측면에는 다른쪽 측면 다리의 말단 클로에 의해 스프링 장력하에 지지되게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프레임 부재의 측면의 어느 임의의 고정 구멍내에 삽입될 수 있고, 한쪽 측면 다리의 보유 클로가 고정 구멍에 걸려 고정되고, 프레임 부재와의 전기적 접촉을 이룬다. 다른쪽 측면 다리의 말단 클로는 패널 부재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보유 클로 및 말단 클로는 래커(lacquer)층에 침투하여, 프레임 부재와 패널 부재 사이의 확실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스프링 부재의 양 측면 다리가 스프링 장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래커층에 침투하는데 충분한 힘이 생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라, U자형 스프링 부재의 측면 다리는 패널 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된 고정 구멍의 칫수와 일치하는 폭을 가지며, 그 U자형 스프링 부재가 그의 중앙 다리를 앞으로 하여 고정 구멍 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 부재는 고정 구멍내에서 이 방향으로는 빠지지 않는다.
삽입된 스프링 부재가 정해진 조립 위치에 있도록, 일 실시예에 따르면, U자형 스프링 부재의 측면 다리들이 그의 자유단부쪽에 각진 단부 부분을 가지며, 그 단부 부분은 넓게 되어 있어, 프레임 부재의 측면의 고정 구멍 속으로의 스프링 부재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한 멈추개를 형성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부재는, 보유 클로가 제공된 스프링 부재의 측면 다리의 단부 부분이 스프링 부재의 삽입 위치에서 프레임 부재의 측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고, 다른쪽 측면 다리의 단부 부분이 다시 각이 져이루어진, 말단 클로가 제공된 말단 부분이 패널 부재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부려져 있다.
상기 측면들중 하나는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는 미끄럼 레일의 일부이고, 그 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지지부가 그 측면에 제공되고, 바닥판으로 사용되는 패널 부재가 그 지지부상에 직접 또는 밀봉 부재를 개재시킨 채 배치되는 경우,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랙과 바닥판을 전지전도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스프링 부재는, 그 스프링 부재의 측면 다리들 사이의 간격이 패널 부재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고정 구멍의 칫수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 위치로부터 스프링 부재를 제거하는 것은, 보유 클로를 가진 한쪽 측면 다리의 단부 부분에 단순히 손가락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상기 한쪽 측면 다리에는, 스크루드라이버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스프링 부재의 한쪽 측면 다리에의 보유 클로의 배치는, 그 보유 클로가 한쪽 측면 다리의 좁은 부분의 양 측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그 보유 클로가 고정 구멍의 반대쪽 벽에 걸려 고정된다.
스프링 부재에 의한 랙과 패널 부재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측면 다리들의 멈추개를 클로(claw)로 형성하는 경우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강 띠(band)로 이루어진 스프링 부재(10)는 2개의 측면 다리(11, 12)와 그 측면 다리들을 연결하는 중앙 다리(13)를 가지는 U자형으로 구부러져 있다. 측면 다리(11, 12)의 폭은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랙의 프레임 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사각형의 고정 구멍의 칫수에 맞도록 되어 있고, 그 측면 다리(11, 12)들 사이의 거리는 후에 설명될 고정 구멍의 칫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한쪽 측면 다리(11)의 한쪽 끝에는, 그 측면 다리보다 넓게 되어 클로(claw)와 같은 멈추개(17, 18)를 형성하고 있는 각진 단부 부분(16)이 형성되어 있다. 그 단부 부분(16)에는, 스크루드라이버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19)이 제공될 수 있고, 다른쪽 측면 다리(12)의 넓게 된 단부 부분(20)에도 그러한 구멍(24)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측면 다리(12)의 단부 부분(20)도 그 측면 다리보다 넓게 되어 클로와 같은 멈추개(25)를 형성하고 있다. 측면 다리(11)의 좁은 부분의 끝(즉, 클로 멈추개(17, 18) 바로 앞)에는, 그 측면 다리(11)의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1개 또는 다수 개의 보유 클로(14, 15)가 형성되어 있고, 그 보유 클로는 프레임 부재의 고정 구멍내에의 스프링 부재(10)의 삽입 과정에서 그 고정 구멍의 대향하는 벽에 걸리고, 도포된 래커(lacquer)층에 침투하도록 되어 있다. 측면 다리(12)의 단부 부분(20)은 한 번더 각이 져, 말단 부분(21)을 이루고 있고, 그 말단 부분의 끝에는 말단 클로(22, 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10)는 그의 중앙 다리(13)를 앞으로 하여, 그 스프링 부재의 측면 다리(11, 12)의 멈추개(17,18, 25)가 랙의 프레임 부재(30)의 측면(31)과 접촉할 때까지 그 측면(31)에 일렬로 형성된 고정 구멍(32)들중 하나에 삽입된다. 프레임 부재(30)의 측면(31)은 부착될 패널 부재(36)(본 실시예에서는 측벽이 된다)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한다. 말단 부분(21')(도 2)은 말단 클로(22, 23)가 패널 부재(36)의 내측면에 스프링 장력하에 지지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측면 다리(11)의 보유 클로(14, 15)는 고정 구멍(32)의 안쪽에 걸려 고정된다.
단부 부분(16, 20 또는 21)을 가진 측면 다리(11, 12)는, 조립 위치에서 단부 부분(16)이 프레임 부재(30)의 측면(31)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고 말단 클로(22, 23)를 가진 말단 부분(21)이 패널 부재(36)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부러져 있다.
바닥판을 이루는 패널 부재(40)가 미끄럼 레일(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미끄럼 레일(33)은 프레임 부재(30)와 연결되고, 일렬의 고정 구멍(35)을 가지고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34)이 조립체 판(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 스트립을 구성한다. 미끄럼 레일(33)은 측면(34)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지지부(37)를 가지고 있고, 바닥판을 이루는 패널 부재(40)가 도 4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 부재(38)를 사이에 두거나 두지 않고 미끄럼 레일(33)의 지지부(37)상에 지탱된다. 측면(34)의 고정 구멍(35)속에 삽입된 스프링 부재(10)는 그 스프링 부재의 측면 다리(11, 12)들 사이 또는 그들의 단부 부분(16, 20, 21) 사이의 간격의 감소에 의해, 보유 클로(14, 15)와 말단 클로(22, 23)의 기능을 방해함이 없이 패널 부재(40)의 상이한 두께(도 3) 및 패널 부재(40)와 밀봉 부재(38)의 결합된 두께(도 4)에 적응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10)의 말단 부분(21)은 바닥판을 이루는 패널 부재(40)에 접촉할 때 고정 구멍(35)과 패널 부재(40) 사이의 짧은 간격에 적응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의 측면 다리(11, 12)의 멈추개(클로)(17, 18, 25)가 프레임 부재의 측면(31 또는 34)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전기적 접속을 향상시킨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멈추개)들은 측면 다리(11)를 스탬핑(stamping)하거나 구부려 형성될 수 있고, 패널 부재(40)로부터 먼쪽으로 향한 고정 구멍(35)의 평행 벽에 탄력적으로 결합하여 지탱된다.
개선된 구조의 스프링 부재(10)에 의해 패널 부재(36)와 프레임 부재(30)를 접촉시킨 구성이 도 5에 부분 단면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경우, 한쪽 측면 다리(11)의 넓은 단부 부분(16)쪽의 부분에 형성된 멈추개(클로)(17, 18)와 다른쪽 측면 다리(12)의 넓은 단부 부분(20)쪽의 부분에 형성된 멈추개(클로)(25)가 프레임 부재(30)의 측면(31)에 걸릴 때까지 측면(31)의 고정 구멍(32)속으로 삽입된 2개의 측면 다리(11, 12)는 서로 예각으로 배치된다. 스프링 부재의 측면 다리(11, 12)는 고정 구멍(32)의 칫수에 맞게 되어 있고, 측면 다리(11)의 좁은 부분의 양측에는 그 좁은 부분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보유 클로(14, 15, 또는 14', 15')를 가지고 있다. 이들 보유 클로(14, 15, 또는 14', 15')는 도 6의 아래 측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스듬히 연장한다. 그 보유 클로들은 대략 삼각형으로 되어 있고, 측면 다리(11, 12)들이 고정된 후에 고정 구멍(32)의 뒤에서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고정 구멍(32)내에의 스프링 부재(10)의 보유를 향상시킬 수 있다. 측면 다리(12)는 그 측면 다리의 보유 클로(14', 15') 뒤에서 넓게 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30)의 측면(31)에 지탱되고 래커층에 침투하는 클로로 작용하는 멈추개(25)를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다리(12)의 넓게 된 부분이 바로 말단 부분(21)으로 이어지고, 그 말단 부분의 끝에는 패널 부재(36)에 지탱되는 말단 클로(22, 23)가 형성되어 있다. 향상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말단 클로(22)와 말단 클로(23) 사이의 부분은, 도 6에서 부호 29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형으로 형성된다. 패널 부재(36)에 대한 지탱이 탄력성이도록 그리고 프레임 부재(30)와 패널 부재(36) 사이의 간격 공차를 보상하도록, 말단 부분(21)이 대략 Z자 형상으로 경사져 있어, 굴곡부(27, 28)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자체로 탄력성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말단 부분(21)과 패널 부재(36) 사이에 공차가 보상되면서도 충분한 압력이 생성된다. 어떠한 경우에라도 그 압력은 래커층에 침투하고 확실한 결합을 제공하는데 충분하다.

Claims (12)

  1. 다수의 프레임 부재로 조립된 랙(rack)을 구비하고, 개방된 측면이 패널 부재 및 캐비닛 도어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패널 부재에 래커(lacquer)가 칠해져 있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상기 패널 부재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된 일렬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고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기어 캐비닛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30, 33)와 상기 패널 부재(36, 4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2개의 측면 다리(11, 12)와 그 측면 다리들을 연결하는 중앙 다리(13)를 가지는 U자형의 스프링 부재(10)가 상기 프레임 부재(30, 33)의 측면(31, 34)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멍(32, 35)속에 충분히 깊이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10)가 상기 측면(31, 34)의 상기 고정 구멍(32, 35)의 벽에는 한쪽 측면 다리(11)의 보유 클로(claw)(14, 15)에 의해 스프링 장력하에 지지되고, 상기 패널 부재(36, 40)의 대향 측면에는 다른쪽 측면 다리(12)의 말단 클로(22, 23)에 의해 스프링 장력하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의 스프링 부재(10)의 상기 측면 다리(11, 12)의 폭이 상기 패널 부재(36, 40)와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고정 구멍(32, 35)의 칫수와 맞게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10)가 그의 중앙 다리(13)를 앞으로 하여 상기 고정 구멍(32, 35)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의 스프링 부재(10)의 상기 측면 다리(11, 12)가 자유 단부쪽에 각진 단부 부분(16, 20, 21)을 가지고 있고, 그 단부 부분은 넓게 되어 있어, 상기 측면(31, 34)의 상기 고정 구멍(32, 35)내로의 상기 스프링 부재(10)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한 멈추개(17, 18, 25)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클로(14, 15)가 제공된 상기 스프링 부재(10)의 한쪽 측면 다리(11)의 단부 부분(16)이, 상기 스프링 부재(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31, 34)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고, 다른쪽 측면 다리(12)의 단부 부분(20)은 재차 각이 져, 상기 패널 부재(36, 40)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는 말단 부분(21)이 제공되어 있고, 그 말단 부분(21)에는 톱니형으로 된 말단 클로(22, 23)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34)이 상기 프레임 부재(30)와 연결되는 미끄럼 레일(33)의 일부이고, 상기 측면(34)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지지부(37)가 상기 측면(34)에 연결되어 있고, 바닥판을 이루는 패널 부재(40)가 밀봉 부재(38)를 개재시킨 채 또는 그 밀봉 부재 없이 직접 상기 지지부(37) 위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클로(14, 15)를 가진 상기 측면 다리(11)의 단부 부분(16)에 스크루드라이버를 수용하기 위한구멍(1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10)의 상기 측면 다리(11, 12)들 사이의 간격이 상기 패널 부재(36, 40)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고정 구멍(31, 35)의 칫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클로(14, 15)가 한쪽 측면 다리(11)의 좁은 부분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그 좁은 부분에서 상기 측면 다리(11)의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다리(11, 12)의 상기 멈추개(17, 18, 25)가 클로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10)의 2개의 측면 다리(11, 12)가 서로 예각으로 배치되어 있고, 한쪽 측면 다리(11)의 좁은 부분의 양측에서 바깥쪽 측방으로 돌출하는 보유 클로(14, 15)가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부재(30)의 측면(31)의 고정 구멍(32)의 일 측면 뒤에서 부분적으로 연장하며, 다른쪽 측면 다리(12)에는, 그 측면 다리(12)의 좁은 부분의 양측에서 바깥쪽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30)의 측면(31)의 고정 구멍(32)의 반대쪽 측면 뒤에서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보유 클로(14', 15')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쪽 측면 다리(12)가 말단 클로(22, 23)를 가진 말단 부분(21)으로 직접 이어지고, 대략 Z자 형상으로 각이 져 있어 상기 패널 부재(36)의 대향 측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1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쪽 측면 다리(12)가 말단 클로(22, 23) 사이의 영역에 톱니(29)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KR1019980700287A 1995-07-15 1996-07-01 프레임과 외장재를 구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KR100287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25879.7 1995-07-15
DE19525879 1995-07-15
DE19540300.2 1995-10-28
DE19540300A DE19540300C1 (de) 1995-07-15 1995-10-28 Federelement zur elektrischen Verbindung von Rahmenschenkeln eines Rahmengestells und Verkleidungselementen eines Schaltschrankes
PCT/EP1996/002861 WO1997004631A1 (de) 1995-07-15 1996-07-01 Schaltschrank mit rahmengestell und verkleidungselemen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85A KR19990028985A (ko) 1999-04-15
KR100287954B1 true KR100287954B1 (ko) 2001-05-02

Family

ID=776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287A KR100287954B1 (ko) 1995-07-15 1996-07-01 프레임과 외장재를 구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87954B1 (ko)
DE (1) DE19540300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906B1 (ko) 2010-12-16 2014-07-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612444A (pt) * 1996-01-17 1999-07-13 Loh Kg Rittal Werk Instalação para ligação eletricamente condutora de uma placa de montagem montada em um armário de distribuição
DE19601615C1 (de) * 1996-01-18 1997-04-30 Loh Kg Rittal Werk Vorrichtung zum elektrisch leitenden Verbinden einer in einen Schaltschrank eingebauten Montageplatte
WO1997026689A1 (de) * 1996-01-18 1997-07-24 Rittal-Werk Rudolf Loh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lektrisch leitenden verbinden des rahmengestells oder des schrankkorpus eines schaltschrankes mit der türe
DE19601614C1 (de) * 1996-01-18 1997-04-17 Loh Kg Rittal Werk Vorrichtung zum elektrisch leitenden Verbinden des Rahmengestelles oder des Schrankkorpus eines Schaltschrankes mit der Türe
DE29711068U1 (de) * 1997-06-25 1997-08-14 Rehau Ag & Co Vorrichtung zum Potentialausgleich
DE19730430C2 (de) * 1997-07-16 1999-07-15 Loh Kg Rittal Werk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schrank
DE19805352A1 (de) * 1998-02-12 1999-08-19 Abb Daimler Benz Transp Anordnung zur abgedichteten Verbindung von Gehäusekomponenten bei einem elektrischen Gerät
DE102012007771C5 (de) * 2012-04-20 2019-03-14 Rittal Gmbh & Co. Kg Montageplattenhalter für einen Schaltschrank sowie ein Befestigungsmittel zur Verwendung bei diesem
CN105072838B (zh) * 2015-08-19 2018-01-05 苏州吴江春宇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工业控制机机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35383U1 (de) * 1983-12-09 1984-04-05 Rittal-Werk Rudolf Loh Gmbh & Co Kg, 6348 Herborn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schrank
CH663509A5 (en) * 1986-03-04 1987-12-15 Siemens Ag Albis Cabinet for accommodating electronic devices
DE3740495A1 (de) * 1987-11-30 1989-06-08 Standard Elektrik Lorenz Ag Frontplatte eines abzuschirmende elektrische baugruppen enthaltenden einsatzes
DE4107747A1 (de) * 1991-03-11 1992-09-17 Knuerr Mechanik Ag Hochfrequenz-geschirmtes gehaeuse
DE9310330U1 (de) * 1993-07-12 1994-11-17 Dirak Dieter Ramsauer Konstruk Vorreiberverschluß zur Befestigung von Klappen, Seitenverkleidungen, für das Schließen von Türen o.ä., die aus elektrisch leitendem, mit oberflächlicher Isolierschicht versehenem Wandmaterial, wie lackiertem Stahlblech besteh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906B1 (ko) 2010-12-16 2014-07-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85A (ko) 1999-04-15
DE19540300C1 (de) 199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954B1 (ko) 프레임과 외장재를 구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US5295873A (en) Double leaf spring contact with stop device
KR900001067A (ko) 전기 연결자용 이동식 패널 장착부
GB2254490A (en) Insert assembly for hf-impermeable housings of electronic equipment
US6042395A (en) Switchgear cubicle with frame and cladding
US6118071A (en)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rame or cabinet housing of a switching cabinet with the door
US5044987A (en) Mounting plate for telecommunications wall outlet
US6120304A (en) Electrical contacts for housings
JPH0748334B2 (ja) 電気機器用のケーシング
KR900005847A (ko) 전기기기의 레일부착장치
JPH08335480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ハウジング
KR100269562B1 (ko) 모듈 지지구조의 앞쪽 모듈 레일과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접촉소자
US4174878A (en) Security structure for positioning a clip on a connector tab
US6335484B1 (en) Electrical equipment support for attachment to trunking
KR102087383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US6137052A (en) Shielded mounting rack for electrical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provided with a spring conductive strip
US6159024A (en) Device for creating an electrically conducting connection for an assembly panel fitted in a switch cabinet
US7540454B2 (en) Device for holding at least two oblong articles
KR950034929A (ko) 기판 고정기구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JP2000074020A (ja) 部材の取付具
JP3359880B2 (ja) ブレーカ取付具
WO1998010492A1 (en)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20054786A1 (en) Cable connector retainer for angled cable assembly
JPH0311911Y2 (ko)
JPH0645011A (ja) ばね鋼板の接触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