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906B1 -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906B1
KR101416906B1 KR1020100129465A KR20100129465A KR101416906B1 KR 101416906 B1 KR101416906 B1 KR 101416906B1 KR 1020100129465 A KR1020100129465 A KR 1020100129465A KR 20100129465 A KR20100129465 A KR 20100129465A KR 101416906 B1 KR101416906 B1 KR 10141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lt
fixing nut
enclosure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7845A (ko
Inventor
이영만
홍정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9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7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2Mounting on perforated supports by means of screws or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형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는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서 폐쇄형 주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구부내로 삽입 및 회전가능한 기저부와, 상기 삽입구부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와, 상기 상부로부터 상기 기저부로 연장 형성되고 나사면이 형성된 제 1 볼트구부를 갖는 고정 너트; 제 2 볼트구부를 갖는 기저 판부(base plate portion)와, 상기 기저 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세워지게 형성되고 각각 제 3 볼트구부를 가지며 상기 보조 프레임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를 가진 연결 판 부재; 연결 판부재의 제 2 볼트구부와 고정 너트의 제 1 볼트구부에 접속되는 제 1 고정 볼트; 및 보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판부재의 제 3 고정볼트구부에 끼워져 상기 보조 프레임을 상기 연결 판 부재와 접속하는 제 2 고정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COUPLING APPARATUS OF FRAMES IN SWITCHGEAR ENCLOSURE}
본 발명은 스위치기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frame)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배전용 스위치기어는 전력계통상의 전력을 수용가에 안전하게 공급하는 전력기기로서, 해당 스위치기어에 있어서 외함용 프레임은 외함 골격의 폭과 높이 및 깊이를 결정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주 프레임(main frame)과, 외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기어의 전기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주 프레임에 조립되는 보조 프레임(auxiliary fram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스위치기어에 있어서 외함용 프레임의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은 연결 및 조립을 위해서 각각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볼트 관통구를 구비하며, 해당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연결 조립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볼트구멍이 형성된 "U"자형의 금속재 접속 판과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연결 및 조립 구성은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이 모두 "U"자형으로 횡단면이 개방면을 가진 개방형(Opern Loop형) 인 경우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폐쇄형(Closed Loop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진 주 프레임이 사용되는 경우 주 프레임내에서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불가능하므로, 종래기술에 따른 "U"자형의 금속재 접속 판과 볼트 및 너트에 의한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연결 및 조립 구성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폐쇄형 주 프레임과, 개방형 또는 폐쇄형의 보조 프레임을 용이하게 접속 및 조립할 수 있는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를 갖는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패쇄형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외함용 프레임의 결합장치로서,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주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구부내로 삽입 및 회전가능한 기저부와, 상기 삽입구부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와, 상기 상부로부터 상기 기저부로 연장 형성되고 나사면이 형성된 제 1 볼트구부를 갖는 고정 너트;
상기 고정 너트가 설치된 위치의 상기 폐쇄형 주 프레임의 면상에 설치되며, 제 2 볼트구부를 갖는 기저 판부(base plate portion)와, 상기 기저 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세워지게 형성되고 각각 제 3 볼트구부를 가지며 상기 보조 프레임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를 가진 연결 판 부재;
상기 연결 판부재의 제 2 볼트구부와 상기 고정 너트의 제 1 볼트구부에 접속되는 제 1 고정 볼트; 및
상기 보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판부재의 제 3 고정볼트구부에 끼워져 상기 보조 프레임을 상기 연결 판 부재와 접속하는 제 2 고정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에 있어서,
복수의 삽입구를 가진 패쇄형 주 프레임;
상기 패쇄형 주 프레임과 접속되고, 볼트 접속구를 갖는 보조 프레임;
상기 폐쇄형 주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구부내로 삽입 및 회전가능한 기저부와, 상기 삽입구부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와, 상기 상부로부터 상기 기저부로 연장 형성되고 나사면이 형성된 제 1 볼트구부를 갖는 고정 너트;
상기 고정 너트가 설치된 위치의 상기 폐쇄형 주 프레임의 면상에 설치되며, 제 2 볼트구부를 갖는 기저 판부(base plate portion)와, 상기 기저 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세워지게 형성되고 각각 제 3 볼트구부를 가지며 상기 보조 프레임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를 가진 연결 판 부재;
상기 연결 판부재의 제 2 볼트구부와 상기 고정 너트의 제 1 볼트구부에 접속되는 제 1 고정 볼트; 및
상기 보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판부재의 제 3 고정볼트구부에 끼워져 상기 보조 프레임을 상기 연결 판 부재와 접속하는 제 2 고정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는, 폐쇄형 주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구부내로 삽입 설치되는 고정 너트와, 보조 프레임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를 가진 연결 판 부재와, 연결 판부재의 제 2 볼트구부와 고정 너트의 제 1 볼트구부에 접속되는 제 1 고정 볼트 및 보조 프레임을 관통하여 연결 판부재의 제 3 고정볼트구부에 끼워져 보조 프레임을 연결 판 부재와 접속하는 제 2 고정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폐쇄형 구조의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을 접속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에 있어서, 고정 너트는 삽입구부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 최상부를 구비하므로, 고정 너트가 주 프레임의 삽입구부내로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에 있어서, 주 프레임의 삽입구부는 각형의 삽입구부로 형성되고, 고정 너트는, 폐쇄형 주 프레임의 삽입구에 삽입 후 회전시킬 때, 삽입구부의 벽면에 닿아 고정 너트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평면부와, 평면부를 제외한 곡면부를 포함하는 지지 외주면부를 더 포함하므로, 고정 너트를 주 프레임의 삽입구에 삽입하고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평면부가 삽입구부의 벽면에 닿아 고정 너트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주 프레임에서 고정 너트의 위치고정 및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은, 복수의 삽입구를 가진 패쇄형 주 프레임과, 볼트 접속구를 갖는 보조 프레임과, 폐쇄형 주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구부내로 삽입 및 회전가능한 기저부와 삽입구부 외부로 노출되는 최상부와 최상부로부터 상기 기저부로 연장 형성되고 나사면이 형성된 제 1 볼트구부를 갖는 고정 너트와, 보조 프레임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를 가진 연결 판 부재와, 연결 판부재의 제 2 볼트구부와 고정 너트의 제 1 볼트구부에 접속되는 제 1 고정 볼트 및 보조 프레임을 관통하여 연결 판부재의 제 3 고정볼트구부에 끼워져 보조 프레임을 연결 판 부재와 접속하는 제 2 고정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폐쇄형 구조의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을 접속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에 있어서, 고정 너트는 삽입구부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 최상부를 구비하므로, 고정 너트가 주 프레임의 삽입구부내로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에 있어서, 주 프레임의 삽입구부는 각형의 삽입구부로 형성되고, 고정 너트는, 폐쇄형 주 프레임의 삽입구부에 삽입 후 회전시킬 때, 삽입구부의 벽면에 닿아 고정 너트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평면부와, 평면부를 제외한 곡면부를 포함하는 지지 외주면부를 더 포함하므로, 고정 너트를 주 프레임의 삽입구에 삽입하고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평면부가 삽입구부의 벽면에 닿아 고정 너트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주 프레임에서 고정 너트의 위치고정 및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위치기어의 외함 구성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의 조립 상태 외형을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조립상태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중 보조 프레임과 연결 판 부재의 접속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보조 프레임을 횡단하여 도시한 부분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중 고정 너트와 폐쇄형 주 프레임의 접속구조를 보여주기 위해서 폐쇄형 주 프레임을 종단하여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중 폐쇄형 주 프레임에 고정 너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조립 상태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중 고정 너트의 특징적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중 고정 너트의 특징적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도 6의 고정 너트를 A-A'선으로 잘라 위에서 본 고정 너트의 횡단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에 있어서 폐쇄형 주 프레임에 고정 너트를 삽입하고 90도 회전시킨 다음 고정 너트의 상부면에 연결 판 부재를 설치한 후, 고정 볼트로 연결 판 부재와 폐쇄형 주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조립 과정도로서,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에 있어서 폐쇄형 주 프레임의 삽입구부 상에 조립할 고정 너트 및 연결 판 부재와 제 1 고정 볼트 및 너트를 준비한 상태를 상부로부터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에 있어서 고정 너트를 주 프레임의 삽입구부에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에 있어서 고정 너트를 주 프레임의 삽입구부에 삽입한 후 90도 회전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에 있어서, 고정 너트의 상부면에 연결 판 부재를 설치한 후, 고정 볼트로 연결 판 부재와 폐쇄형 주 프레임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2 내지 도 13은 고정 너트를 주 프레임의 삽입구부에 삽입한 후 90도 회전시켜서 고정 너트중 지지 외주면부의 평면부가 삽입구부의 벽면에 닿아 정지시키는 과정을 별도로 보여주는 부분 횡단면도로서,
도 12는 고정 너트를 주 프레임의 삽입구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주 프레임과 고정 너트의 삽입구부와 지지 외주면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횡단면도이고,
도 13은 고정 너트를 주 프레임의 삽입구부에 삽입한 후 90도 회전시켜서 고정 너트중 지지 외주면부의 평면부가 삽입구부의 벽면에 닿아 고정 너트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횡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및 결합장치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고정 너트와의접속 구성이 나타나게 폐쇄형 주 프레임은 종단하여 보여주는 부분 종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및 결합장치에 있어서, 연결 판 부재를 관통하여 제 1 고정 볼트를 고정 너트에 나사체결할 때, 고정 너트가 삽입구부내로 삽입되는 깊이가 유지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 종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위치기어의 외함 구성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스위치기어의 외함은, 바닥에서 상부 스위치기어의 구성품들을 지지하는 기대(base frame)(B)와, 외함 골격의 폭과 높이 및 깊이를 결정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패쇄형(다시 말해 폐곡선형태)으로 형성되는 주 프레임(main frame)(1)과, 주 프레임(1)과 접속되고 보조 지지용 골조를 형성하는 보조 프레임(2)과, 보조 프레임(2)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 프레임(1)은 도 5,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한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미리 결정된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구부(1a)를 가진다. 삽입구부(1a)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각형의 삽입구부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삽입구부(1a)는 4각형의 삽입구부로 형성된다. 주 프레임(1)과 보조 프레임(2)은 바람직하게 철재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 프레임(2)도 도 2 또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미리 결정된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볼트 접속구(2a)를 가진다. 보조 프레임(2)은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개방형이어도 좋고, 주 프레임(1)처럼 폐쇄형(횡단면이 폐곡선을 형성)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보조 프레임(2)은 개방형이거나 또는 폐쇄형이거나 관계없이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中空)의 구조를 가지며, 양 단부의 단면이 중공의 내부와 연통하게 개방된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스위치기어의 외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패쇄형 주 프레임(1)과 보조 프레임(2)의 결합장치의 구성과 조립방법 및 작용을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는 고정 너트(3)와, 연결 판 부재(4), 제 1 고정 볼트(6) 및 제 2 고정 볼트(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너트(3)는 상기 폐쇄형의 주 프레임(1)에 형성된 삽입구부(1a)내로 삽입 및 회전가능한 기저부(3a1, 3a2)와, 삽입구부(1a) 외부로 노출되는 최상부(3c)와, 최상부(3c)로부터 (3a1, 3a2)로 연장 형성되고 나사면이 형성된 제 1 볼트구부(3d)를 갖는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너트(3)에 더 포함되는 최상부(3c)의 바로 하위에 위치한 지지 외주면부(3b)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구성을 가진다. 즉, 도 6의 A-A'선 단면도인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주 프레임(1)의 삽입구부(1a)에 삽입 후 90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삽입구부(1a)의 벽면(1a1)에 닿아 고정 너트(3)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평면부(3b1)와, 평면부(3b1)를 제외한 곡면부(3b2)를, 지지 외주면부(3b)가 포함한다.
상기 기저부(3a1, 3a2)는 고정 너트(3)의 최하부를 형성하는 제 1 기저부(3a1)와, 수직방향상 제 1 기저부(3a1)와 지지 외주면부(3b)사이에 위치하는 제 2 기저부(3a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기저부(3a1)는 실시예상 4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횡단면적이 삽입구부(1a)의 면적보다 많이 작다. 제 2 기저부(3a2)는 실시예상 4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횡단면적이 삽입구부(1a)의 면적과 거의 같거나 삽입구부(1a)의 면적보다 미리 결정된 공차만큼 작게 구성된다.
도 15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너트(3)가 삽입구부(1a)내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도록, 고정 너트(3)의 최상부(3c)는 삽입구부(1a)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고정 너트(3)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판 부재(4)는 고정 너트(3)가 설치된 위치의 주 프레임(1)의 면상에 설치된다. 연결 판 부재(4)는, 기저 판부(base plate portion)(4a)와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4b)를 포함한다.
기저 판부(4a)는 제 2 볼트구부(도 8 내지 도 10의 부호 4c 참조)를 갖는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4b)는 기저 판부(4a)의 양측으로부터 세워지게 형성되고 각각 제 3 볼트구부(4d)를 가진다.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4b)는 보조 프레임(2)내부로 삽입된다. 보조 프레임(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형이거나 또는 폐쇄형이거나 관계없이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中空)의 구조를 가지며, 양 단부의 단면이 중공의 내부와 연통하게 개방된 구성을 가지므로,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4b)는 보조 프레임(2)의 양 단부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의 개방된 단면을 통해서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2)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볼트(6)는 연결 판부재(4)의 제 2 볼트구부(4c)와 고정 너트(3)의 제 1 볼트구부(3d)에 접속된다. 다시말해서, 제 1 고정 볼트(6)는 연결 판부재(4)의 제 2 볼트구부(4c)를 관통 연장하여 고정 너트(3)의 제 1 볼트구부(3d)에 나사체결되어 접속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 볼트(5)는 볼트 접속구(도 2 또는 도 4의 부호 2a 참조)를 통해 보조 프레임(2)을 관통하여 연결 판부재(4)의 제 3 고정볼트구부(4d)에 끼워져 보조 프레임(2)을 연결 판 부재(4)와 접속한다. 여기서, 제 2 고정 볼트(5)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한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의 작용효과를 첨부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에 의한 주 프레임(1)과 보조 프레임(2)의 조립방법을 설명함에 의해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 프레임(1)과 보조 프레임(2) 및 본 발명에 따른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의 고정 너트(3)와, 연결 판 부재(4), 제 1 고정 볼트(6), 제 2 고정 볼트(5) 및 와셔(7)를 준비한다.
다음, 도 8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주 프레임(1)중 보조 프레임(2)을 결합할 해당 위치의 삽입구부(1a)에 고정 너트(3)를 끼운다. 이때 삽입구부(1a)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최상부(도 5 및 도 15의 부호 3c 참조)는 삽입구부(1a)의 외부로 노출되고, 고정 너트(3)중 지지 외주면부(도 5의 부호 3b참조)의 곡면부(도 12의 부호 3b1)가 삽입구부(1a)의 벽면과 접촉하게 된다.
삽입구부(1a)에 고정 너트(3)를 끼우는 동작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것 상태로, 고정 너트(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프레임(1)중 삽입구부(1a)의 벽면(1a1)에 곡면부(3b2)가 접촉하고 있던 고정 너트(3)의 지지 외주면부(3b)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a1)에 평면부(3b1)이 접촉하게 되면서 더 이상의 회전이 되지 않게 정지된다.
다음, 도 1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너트(3)가 설치된 위치의 주 프레임(1)의 면상에 연결 판 부재(4)를 설치한다. 이때 연결 판 부재(4)의 제 2 볼트구부(4c)와 고정 너트(3)의 제 1 볼트구부(3d)가 연통하도록 정렬시킨 후, 제 1 고정 볼트(6)를 연결 판 부재(4)의 제 2 볼트구부(4c)와 고정 너트(3)의 제 1 볼트구부(3d)에 나사 체결하여, 주 프레임(1)과 연결 판 부재(4)를 결합한다. 또한 이때 바람직하게 제 1 고정 볼트(6)와 연결 판 부재(4)간의 마찰력 증가를 위해서, 연결 판 부재(4)의 제 2 볼트구부(4c)상에 제 1 고정 볼트(6)의 관통을 허용하는 와셔(7)를 개재시킨다.
다음, 도 3 내지 도 4 및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연결 판 부재(4)와 보조 프레임(2)의 결합 동작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1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판 부재(4)의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4b)를 보조 프레임(2)의 양 단부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의 개방된 단면을 통해서 보조 프레임(2)내부로 삽입한다. 보조 프레임(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형이거나 또는 폐쇄형이거나 관계없이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中空)의 구조를 가지며, 양 단부의 단면이 중공의 내부와 연통하게 개방된 구성을 가지므로, 보조 프레임(2)의 양 단부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의 개방된 단면을 통해서 보조 프레임(2)내부로 연결 판 부재(4)의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4b)를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도 4 및 도 1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 볼트(5)를 볼트 접속구(도 2 또는 도 4의 부호 2a 참조)를 통해 보조 프레임(2)을 관통하여 연결 판부재(4)의 제 3 고정볼트구부(4d)에 끼우면, 보조 프레임(2)와 연결 판 부재(4)가 접속(결합)된다. 그러면, 이미 주 프레임(1)과 연결 판 부재(4)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국 폐쇄형의 주 프레임(1)과 보조 프레임(2)이 확고히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삽입구부를 가진 패쇄형 주 프레임(1); 상기 패쇄형 주 프레임(1)과 접속되고, 볼트 접속구(2a)를 갖는 보조 프레임(2); 폐쇄형 주 프레임(1)에 형성된 삽입구부(1a)내로 삽입 및 회전가능한 기저부(3a1, 3a2)와, 삽입구부(1a) 외부로 노출되는 최상부(3c)와, 최상부(3c)로부터 상기 기저부(3a1, 3a2)로 연장 형성되고 나사면이 형성된 제 1 볼트구부(3d)를 갖는 고정 너트(3); 고정 너트(3)가 설치된 위치의 폐쇄형 주 프레임(1)의 면상에 설치되며, 제 2 볼트구부(4c)를 갖는 기저 판부(base plate portion)(4a)와, 기저 판부(4a)의 양측으로부터 세워지게 형성되고 각각 제 3 볼트구부(4d)를 가지며 보조 프레임(2)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4b)를 가진 연결 판 부재(4); 연결 판부재(4)의 제 2 볼트구부(4c)와 고정 너트(3)의 제 1 볼트구부(3d)에 접속되는 제 1 고정 볼트(6); 및 보조 프레임(2)을 관통하여 연결 판부재(4)의 제 3 고정볼트구부(4d)에 끼워져 상기 보조 프레임(2)을 상기 연결 판 부재(4)와 접속하는 제 2 고정 볼트(5);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에 대한 더욱 상세한 구성과 작용효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에 대한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및 해당 결합장치를 갖는 외함용 프레임은, 폐쇄형 주 프레임(1)에 형성된 삽입구부(1a)내로 삽입 설치되는 고정 너트(3)와, 보조 프레임(2)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4b)를 가진 연결 판 부재(4)와, 연결 판부재(4)와 고정 너트(3)에 접속되는 제 1 고정 볼트(6) 및 보조 프레임(2)을 관통하여 연결 판부재(4)의 제 3 고정볼트구부(4d)에 끼워져 보조 프레임(2)을 연결 판 부재(4)와 접속하는 제 2 고정 볼트(5)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폐쇄형 구조의 주 프레임(1)과 일부 개방형 또는 폐쇄형의 보조 프레임(2)을 용이하게 접속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및 해당 결합장치를 갖는 외함용 프레임에 있어서, 고정 너트(3)는 삽입구부(1a)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 최상부(3c)를 구비하므로, 고정 너트(3)가 주 프레임(1)의 삽입구부(1a)내로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및 해당 결합장치를 갖는 외함용 프레임에 있어서, 주 프레임(1)의 삽입구부(1a)는 각형의 삽입구부로 형성되고, 고정 너트(3)는, 폐쇄형 주 프레임(1)의 삽입구부(1a)에 삽입 후 회전시킬 때, 삽입구부(1a)의 벽면(1a1)에 닿아 고정 너트(3)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평면부(3b1)와, 평면부(3b1)를 제외한 곡면부(3b2)를 포함하는 지지 외주면부(3b)를 더 포함하므로, 고정 너트(3)를 주 프레임(1)의 삽입구부(1a)에 삽입하고 90도만큼 회전시키면 평면부(3b1)가 삽입구부(1a)의 벽면(1a1)에 닿아 고정 너트(3)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주 프레임(1)에서 고정 너트(3)의 위치고정 및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잇점이 있다.
1: 주 프레임 1a: 삽입구부
1a1: 벽면(삽입구부) 2: 보조 프레임
2a: 볼트 접속구 3: 고정 너트
3a1: 제 1 기저부 3a2: 제 2 기저부
3b: 지지 외주면부 3b1: 평면부
3b2: 곡면부 3c: 최상부
3d: 제 1 볼트구부 4: 연결 판 부재
4a: 기저 판부 4b: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 4c: 제 2 볼트구부 4d: 제 3 볼트구부
5: 제 2 고정 볼트 6: 제 1 고정 볼트
7: 와셔 10: 도어
B: 기대(base frame)

Claims (3)

  1. 스위치기어의 패쇄형 주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외함용 프레임의 결합장치로서,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주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구부내로 삽입 및 회전가능한 기저부와, 상기 삽입구부 외부로 노출되는 최상부와, 상기 최상부로부터 상기 기저부로 연장 형성되고 나사면이 형성된 제 1 볼트구부를 갖는 고정 너트;
    상기 고정 너트가 설치된 위치의 상기 폐쇄형 주 프레임의 면상에 설치되며, 제 2 볼트구부를 갖는 기저 판부(base plate portion)와, 상기 기저 판부의 양측으로부터 세워지게 형성되고 각각 제 3 볼트구부를 가지며 상기 보조 프레임내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보조 프레임 연결돌부를 가진 연결 판 부재;
    상기 연결 판부재의 제 2 볼트구부와 상기 고정 너트의 제 1 볼트구부에 접속되는 제 1 고정 볼트; 및
    상기 보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판부재의 제 3 고정볼트구부에 끼워져 상기 보조 프레임을 상기 연결 판 부재와 접속하는 제 2 고정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고정 너트가 상기 삽입구부내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최상부가 상기 삽입구부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부는 각형의 삽입구부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폐쇄형 주 프레임의 삽입구에 삽입 후 회전시킬 때, 상기 삽입구부의 벽면에 닿아 상기 고정 너트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를 제외한 곡면부를 포함하는 지지 외주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KR1020100129465A 2010-12-16 2010-12-16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KR101416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465A KR101416906B1 (ko) 2010-12-16 2010-12-16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465A KR101416906B1 (ko) 2010-12-16 2010-12-16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845A KR20120067845A (ko) 2012-06-26
KR101416906B1 true KR101416906B1 (ko) 2014-07-08

Family

ID=4668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465A KR101416906B1 (ko) 2010-12-16 2010-12-16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3678B1 (en) * 2019-08-21 2021-04-13 Legrand France Fastening element for attachment of a mounting rail of a housing for accommodating electrical, electronic and/or optical equipment, assembly of said mounting rail and said fastening element, and a housing comprising said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224Y1 (ko) 2000-04-17 2000-12-15 이민구 배전반함 골격 후레임 연결구
KR100287954B1 (ko) 1995-07-15 2001-05-02 뮬러 노베르트 프레임과 외장재를 구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JP2001257481A (ja) 2000-03-09 2001-09-21 Nitto Electric Works Ltd 電気機器収納用箱体のフレーム構造
KR101270556B1 (ko) 2013-04-24 2013-06-03 (주)서전기전 다중 절곡 방식에 의하여 형상화된 외함구조 보강형 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954B1 (ko) 1995-07-15 2001-05-02 뮬러 노베르트 프레임과 외장재를 구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JP2001257481A (ja) 2000-03-09 2001-09-21 Nitto Electric Works Ltd 電気機器収納用箱体のフレーム構造
KR200207224Y1 (ko) 2000-04-17 2000-12-15 이민구 배전반함 골격 후레임 연결구
KR101270556B1 (ko) 2013-04-24 2013-06-03 (주)서전기전 다중 절곡 방식에 의하여 형상화된 외함구조 보강형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845A (ko) 201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909B1 (ko) 전기 캐비넷/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금속구조물
KR20130001935U (ko) 전기기계식 박스용 결합 프레임
EP2638199B1 (en) A washer/dryer comprising a connection member
US6796623B1 (en) Element for the frame of a cabinet
KR101416906B1 (ko) 스위치기어의 외함용 프레임 결합장치
EP1243057B1 (en) Cabinet of an electrical panel
KR101373145B1 (ko) 가구용 금속프레임의 연결구 조립구조
KR101639803B1 (ko) 컨트롤 센터의 캐비닛 골조용 코너부재
JP4465317B2 (ja) ハウジング開口をカバーするフロントフレームを備えたハウジング
KR200445798Y1 (ko) 배전반
KR20170064690A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JP2009281101A (ja) 蝶番
KR20160003412U (ko)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JP2002319778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
KR102174792B1 (ko)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한 패널용 수직프레임
KR20190001060U (ko) 수배전반용 프레임 연결 브래킷
JP4953963B2 (ja) 電子電気機器収納用箱
KR200433303Y1 (ko) 스위치 고정판의 비틀림 방지구조
CN213987360U (zh) 一种机箱
JP2010267854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固定構造
KR102114988B1 (ko) 랙 또는 함체의 프레임 결합구
JP2010112022A (ja) 間仕切構造
KR200214596Y1 (ko) 캐비닛프레임의 결합장치
KR950008782Y1 (ko) 조립식 칸막이의 도어용 프레임 고정 장치
KR101636845B1 (ko) 조립식 건축용 프레임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