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638B1 - 선택적측면플랩을갖는흡수제품 - Google Patents

선택적측면플랩을갖는흡수제품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638B1
KR100287638B1 KR1019950702559A KR19950702559A KR100287638B1 KR 100287638 B1 KR100287638 B1 KR 100287638B1 KR 1019950702559 A KR1019950702559 A KR 1019950702559A KR 19950702559 A KR19950702559 A KR 19950702559A KR 100287638 B1 KR100287638 B1 KR 100287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main body
adhesive
garmen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916A (ko
Inventor
카렌캑즈머렉 리커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5418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8763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95070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61F13/5514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each item packaged si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2013/583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with strips on several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2013/586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on lateral fl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2013/586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on lateral flaps
    • A61F2013/587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on lateral flaps on rear or front ta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Packag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몸체부(22) 및 주 몸체부(22)에 연결된 한 쌍의 플랩(24)을 갖는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플랩은 주 몸체부의 가멘트 면위로 절첩되어 있어서, 플랩 접착부(54) 및 중앙 패드 접착부(56)가 단일 이형 라이너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플랩은 흡수 제품이 사용되는 동안 즉, 흡수 제품이 가랑이 영역의 가장자리 주위로 플랩을 감싸고 사용자의 팬티의 배면에 플랩 접착제를 고정시키는 동안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플랩이 주 몸체부의 가멘트 면상에 절첩된 형태로 남겨져 있을 수 있으며, 플랩 접착부는 중앙 패드 접착부를 따라, 팬티의 내부 가랑이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선택적 측면 플랩을 갖는 흡수 제품.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여성용 생리대 또는 실금자용 성인 패드와 같은 일회용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측면에 플랩을 갖는 일회용 흡수 제품 및 착용자 팬티의 배면에 플랩을 결합시키는 플랩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체액, 예를들어 월경, 뇨 및 배설물을 흡수하도록 고안된 모든 방법 및 다양한 흡수 제품은 물론 공지되어 있다. 흡수 제품, 특히 생리대, 팬티라이너, 실금자용 패드 등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며, 시판중이다.
일반적으로, 플랩을 갖는 흡수제품은 착용자 언더가멘트의 가랑이에 중앙 흡수 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성 부착 수단 또는 중앙 패드 접착부를 갖는 중앙 흡수 수단을 포함한다. 중앙 흡수 수단은 일반적으로 접착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건조되지 않도록 유지하거나, 또는 사용하기 전에 외부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이형 라이너를 갖는다. 이형 라이너는 중앙 패드 접착부에서 벗겨져 접착부가 노출된 뒤, 팬티의 가랑이 중앙 부위에 사용됨으로써 중앙 흡수 수단이 제 위치에 고정된다. 중앙 패드 접착부에서 벗겨진 이형 라이너는 폐기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흡수 제품의 플랩은 중앙 흡수 수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가랑이 영역에서 착용자의 팬티 가장자리 주위로 절첩되도록 고안되어 있다. 따라서, 플랩은 가랑이 영역에서 착용자 팬티의 가장자리와 착용자의 허벅지 사이에 위치한다.
플랩은 2가지 이상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첫째로, 플랩은 배설물이 착용자 팬티의 가장자리를 오염시키지 못하게 한다. 둘째, 플랩은, 특히 플랩이 팬티의 배면에 고정되는 경우, 생리대가 제 위치에서 벗어나 이동하지 않도록 안정화시켜 준다.
다양한 형태의 플랩을 갖는 생리대는 1987년 8월 18일자로 반 틸버그(Van Tilburg)에게 허여된 ";플랩을 갖는 성형된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 4,687,478호; 1986년 8월 26일자로 매팅글리(Mattingly)에게 허여된 ";생리대 부착 수단";이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608,047호; 1986년 5월 20일자로 반 틸버그에게 허여된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589,876호; 1981년 8월 25일자로 맥나이어(McNair)에게 허여된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285,343호; 1968년 8월 20일자로 리커드(Rickard)에게 허여된 ";언더가멘트용 일회용 생리대 차폐물";이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3,397,697호; 및 1957년 4월 2일자로 클라크(Clark)에게 허여된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2,787,271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특허 모두는 본 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플랩에는 플랩을 착용자의 팬티의 배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성 부착 수단 또는 플랩 접착부가 제공된다. 플랩 접착부에는 일반적으로 접착부를 오물과 같은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하고, 착용자의 피부 및/또는 사용에 앞서서 외부 표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형 라이너가 제공된다. 이형 라이너를 플랩 접착부로부터 벗겨내면 접착 표면이 노출되고, 이어서 접착 표면을 팬티의 배면에 접착시켜 플랩을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이형 라이너는 플랩 접착부로부터 벗겨낸 후 폐기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에서는, 각 플랩으로부터 이형 라이너를 제거하기 위해 두 손을 사용해야 한다. 즉, 사용자는 한손으로 플랩을 잡고, 다른 손으로 이형 라이너를 벗겨내야 한다. 또한, 착용자는 생리대의 플랩으로부터 제거된 이형 라이너를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중앙 흡수 수단에 적절히 배열되어 있는 플랩을 가져 이러한 플랩 및 중앙 패드 접착부가 이형재를 보호하는 단일 띠로 덮일 수 있는 생리대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중앙 패드 접착부 및 플랩 접착부 모두를 보호하는 단일 이형 라이너를 포함하는 몇 가지 흡수 제품이 제안되었다. 1987년 10월 20일자로 글러그(Glaug)에게 허여된 ";플랩을 갖는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701,178호에서는 이중 양면 이형 라이너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형 라이너의 제1면은 중앙 패드 접착부를 덮으며 플랩은 접착부가 이형 라이너의 제2면과 접촉한 상태로 이형 라이너위로 절첩되어 있다. 한편, 1992년 7월 28일자로 윌러(Wheeler)에게 허여된 ";생리대용 박쥐 날개형 주기적 접착 시스템";이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5,133,704호에서는 박쥐 날개형 플랩을 갖는 생리대(즉, 플랩이 착용자의 팬티 가장자리 주위로 씌워져 있어서 서로 고정되어 있음)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플랩의 적어도 한 면중 신체쪽을 향하는 면에 결합된 플랩 접착부가 있고 생리대의 흡수 성분의 가멘트 면이 플랩 접착부와 종방향으로 선형적으로 동시에 연결된 접착부를 포함한다. 이형 라이너의 단일 띠의 한 면이 흡수 성분의 접착부와 플랩의 신체 면쪽의 접착부 모두를 덮는다.
종래 기술에 따른 흡수 제품은, 플랩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이 각 플랩의 가멘트면에 연결된 접합부를 갖으며, 각 플랩은 절첩되어 있어서 중앙 패드 접착부 및 플랩 접착부가 단일 이형 라이너의 한면으로 덮혀질 수 있는 것과 같은 본 발명의 특성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 제품은 박쥐 날개형 플랩 또는 종래의 플랩 즉, 다른 플랩에 고정되는 것과 달리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고정되는 플랩을 갖는다.
플랩이 생리대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한편, 생리대의 플랩은 생리대가 착용자의 팬티 가랑이부에 사용되는 것을 방해 또는 지연시킨다. 현재 생리대의 각 플랩은 생리대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종단부 즉, 말단 단부를 갖는다. 일단 중앙 패드 접착부의 이형지가 착용자에 의해 제거되면, 플랩의 말단 단부가 착용자의 팬티 가랑이 부위와 생리대 사이에 오게 되어 중앙 패드 접착부에 접착된다. 그러므로 플랩을 제자리에 위치시켜서 생리대를 팬티에 사용시 방해하지 않는 생리대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한편, 플랩을 갖는 생리대는 통상적으로 플랩이 없는 생리대와 비교하여 오염으로부터 더욱 보호되는 것으로 간주되나, 어떤 여성들은 여전히 플랩이 없는 생리대를 선호하며, 일반적으로 플랩이 있는 생리대를 선호하는 여성들도 때로는(양이 적은 경우) 플랩이 없는 생리대를 선호한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는 플랩이 있는 생리대는 플랩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즉, 착용자의 언더가멘트 가랑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첩되어서 언더가멘트의 배면에 고정된 경우) 적절한 작용을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하기 전 생리대의 플랩이 생리대의 가멘트 면위에 절첩되거나 생리대의 신체를 향하는 면위에 절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생리대가 사용되는 동안 플랩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플랩은 생리대의 신체를 향하는 면상에서 표면에 신체 배설물이 수용되는 것을 방해하거나 생리대의 가멘트 면상에 위치하는 접착부 또는 다른 고정 수단을 방해한다. 그러므로, 생리대가 사용되는 동안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되지 않는 플랩을 갖는 생리대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낱개로 포장되는 생리대와 같은 흡수 제품은 매우 유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낱개 포장된 흡수 제품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1985년 12월 3일자로 스완슨(Swanson)에게 허여된 ";낱개 포장된 일회용 흡수 제품";이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556,146호에서는 흡수 제품의 한쪽 주요 표면을 씌워서, 제품을 절첩하고 포장재를 봉함으로써 낱개 포장된 일회용 흡수 제품으로 제조하는 랩퍼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흡수 제품이 플랩을 갖는 경우 플랩이 랩퍼가 위치하는 것을 방해하여 일반적으로 제품의 신체를 향하는 면상과 같이 랩퍼를 벗어나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낱개 포장된 일회용 흡수 제품에 용이하게 형성되는 플랩을 갖는 향상된 일회용 흡수 제품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첩되어 있는 플랩을 가짐으로써 플랩 접착부 및 중앙 패드 접착부가 이형 라이너의 단일 띠에 의해 보호되는 생리대와 같은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첩 및 배열되어 있는 플랩을 가짐으로써 플랩이 착용자의 팬티 가랑이에 생리대를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생리대와 같은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택적 측면 플랩 즉, 절첩 및 배열됨으로써 흡수 제품이 사용되는 동안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는 플랩을 갖는 생리대와 같은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절첩되어 있는 플랩 및, 제품의 한쪽 주요 표면 및 절첩된 플랩을 씌워서 낱개 포장된 일회용 흡수 제품을 제조하도록 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이외의 다른 목적은 하기에서 상술되는 내용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 더 명확할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서는 플랩을 갖는 생리대와 같은 흡수 제품이 제공된다. 흡수 제품은 절첩된 형상이며 접착 면 및 비접착 면을 갖는다. 흡수 제품은 흡수 조합체 및 연결 선을 따라 주 몸체부에 연결된 플랩을 포함한다. 플랩 접착부는 각 플랩의 가멘트 면에 연결되어 있다. 각 플랩은 절첩되어 있어서 각 플랩의 플랩 접착부의 면이 흡수 제품의 접착 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흡수 코어를 나타내기 위해 일부를 절단한 본 발명의 비절첩 형태의 생리대 실시태양의 상부 평면도이다.
제1a도는 절단선 a-a를 따라 취한, 제1도의 생리대의 횡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절첩 형태의 제1도의 생리대 실시태양의 상부 평면도이다.
제2a도는 절단선 a-a를 따라 취한, 제2도의 생리대의 횡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생리대 실시태양의 상부 평면도이다.
제4도는 여성용 팬티의 가랑이 영역의 투시도이다.
제5도는 사용을 위하여 플랩을 펼쳐서 팬티의 배면에 고정시켜 본 발명의 생리대 실시태양을 위치시킨 제4도에 도시된 여성용 팬티의 동일한 투시도이다.
제6도는 사용을 위하여 절첩된 형태의 플랩을 갖는 본 발명의 생리대 실시태양을 위치시킨 제4도에 도시된 여성용 팬티의 가랑이 영역의 동일한 투시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생리대 실시태양 및 절첩 및 봉하여지기 전, 이와 관련된 랩퍼의 투시도이다.
제7a도는 절단선 a-a를 따라 취한, 제7도의 생리대의 횡단면도이다.
제7b도는 제7도의 생리대 및 단일 절첩선을 따라 절첩 및 봉하여진 후, 이와 관련된 랩퍼의 투시도이다.
제7c도는 제7도의 생리대 및 이중 절첩선을 따라 절첩 및 봉하여진 후, 이와 관련된 랩퍼의 투시도이다.
제8도는 접착제가 생리대의 접착 면에 사용되기 전, 본 발명의 생리대 실시태양의 투시도이다.
제8a도는 제거되도록 고정된 접착 패치를 갖는 이형 라이너의 투시도이다.
제8b도는 플랩 접착부 및 중앙 패드 접착부를 나타내기 위해 일부를 절단한 이형 라이너 및 접착 패치가 사용된 후의 제8도의 생리대의 투시도이다.
제8c도는 이형 라이너가 제거된 후 제8b도의 생리대의 투시도이다.
제8d도는 플랩 하나가 펼쳐진 제8c도의 생리대의 투시도이다.
제9도는 주 몸체부의 중앙과 접하는 직사각형의 플랩을 갖는 본 발명의 생리대 실시태양의 투시도이다.
제9a도는 플랩 하나가 펼쳐진 제9도의 생리대의 투시도이다.
제10도는 접착제가 생리대의 접착 면에 사용되기 전, 본 발명의 생리대 실시태양의 투시도이다.
제10a도는 제거되도록 고정된 성형된 접착 패치를 갖는 이형 라이너의 투시도이다.
제10b도는 플랩 접착부 및 중앙 패드 접착부를 나타내기 위해 일부를 절단한 이형 라이너 및 접착 패치가 사용된 후의 제10도의 생리대의 투시도이다.
제10c도는 이형 라이너가 제거된 후의 제10b도의 생리대의 투시도이다.
제10d도는 플랩 하나가 펼쳐진 제8c도의 생리대의 투시도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상세한 설명]
1. 개론
A. 일반적인 흡수 제품
본 발명은 여성용 생리대와 같은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플랩을 사용자의 팬티의 배면에 고정시키는 플랩 접착부를 갖는 플랩을 갖는 일회용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은 신체 배설물을 흡수하고 함유하는 제품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어는 착용자의 신체와 면하여 또는 근접하게 위치되어 신체로부터 분비되는 배설물을 흡수하고 함유하는 제품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흡수 제품";은 생리대, 팬티라이너 및 실금자용 패드(및 가멘트의 가랑이 부분에 사용되는 다른 제품)을 포함한다. 용어 ";일회용(disposable)";은 일회 사용후에 버리고, 바람직하게는 환경적으로 적합한 방법으로 재생하거나, 퇴비화하거나, 아니면 폐기처리 하도록 고안된 제품이다(즉, 이러한 제품들은 세탁하거나, 아니면 흡수제품으로서 회수하거나 재사용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생리대(sanitary napkin)";는 신체로부터 분비되는 각종 배설물(예를들면, 혈액, 생리혈, 및 뇨)을 흡수하여 함유하도록 고안된, 여성들이 외음부 근처에 착용하는 제품을 지칭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유형 또는 구조의 흡수제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선택적 플랩(optional flaps)";은 생리대가 사용되는 동안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는 플랩을 지칭하는 것으로 즉, 플랩은 생리대의 기능에 역영향을 미치지 않는 채, 가랑이 영역의 가장자리 주위로 감싸져 착용자의 팬티의 배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주 몸체부의 가멘트 면위로 절첩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이형 라이너(release liner)";, ";이형재(release material)"; 또는 ";이형 부재(release member)";는 플랩 접착부와 같은 접착부가 사용하기 전 오염, 건조 또는 외부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연결된(joined)";은 한 요소를 다른 한 요소에 직접적으로 붙여서 한 요소를 다른 한 요소에 직접 고정시킨 형태; 한 요소를 다른 요소에 차례로 붙어있는 중간 부재(들)에 붙여서 한 요소를 다른 한 요소에 간접적으로 고정시킨 형태; 및 한 요소가 다른 한 요소와 일체인, 즉, 한 요소가 다른 한 요소의 본질적인 부분인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흡수 제품이 ";절첩된 형태";로 지칭되는 것은, 흡수 제품의 플랩이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위로 절첩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수 제품이 절첩된 형태인 경우, 흡수 제품은 접착 및 비접착 면을 갖는다. 비접착 면은 주 몸체부 중 신체를 향하는 면을 포함한다. 접착면은 각 플랩의 플랩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접착 면은 또한 주 몸체부의 가멘트 면의 일부 및 패드 고정 부재의 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흡수 제품, 생리대(20)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의 생리대(20)는 절첩되지 않은 형태이므로 생리대의 여러 요소들이 명확히 보여지며 설명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대(20)는 주 몸체부(22) 및 상기에 연결된 두개의 플랩(24)(펼쳐진 모양으로 나타냄)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각 플랩(24)은 이에 연결된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주 몸체부(22)는 흡수 수단(흡수 조합체(46)로 나타냄) 및 패드 중앙 고정 부재(또는 단순히 패드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하기의 고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원에 기술된 생리대는 두개의 플랩을 갖는다. 상기 생리대가 두개의 플랩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두개의 플랩이 한개의 플랩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플랩이 서로 거울상일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플랩에 대한 설명이 다른 하나에 대한 설명이 되고,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제2도의 플랩에 대한 고찰은 생략할 수도 있다.).
생리대(20)는 2개의 중심선, 즉, 종방향 중심선(L) 및 횡방향 중심선(T)을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종방향(longitudinal)";은 일반적으로 생리대(20)를 착용할때 서있는 착용자의 신체를 좌우측으로 절반씩 2 등분하는 수직면과 정렬된(예를들면, 수직면에 대략 평행인) 생리대(20)의 평면내에 있는 선, 축 또는 방향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횡방향(transverse)"; 또는 ";측방향(lateral)";은 서로 교환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종방향에 수직인 생리대(20)의 평면내에 놓인 선, 축 또는 방향을 지칭한다.
생리대(20)는 상면시이트(40), 배면시이트(42), 흡수 코어(44) 및 한 쌍의 플랩(24)으로 구성된다. 적어도 상면시이트(40), 배면시이트(42) 및 흡수 코어(44)의 일부는 주 몸체부(22)의 흡수 조합체를 포함한다. 제1도 및 제1a도에 도시된 플랩(24)은 주 몸체부(22)에 붙어있는 별도의 물질의 단편으로 구성된다(오스본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917,697호와 같은 또다른 실시태양에에서, 플랩(24)은 주 몸체부(22)와 일체가 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상면시이트(40)는 플랩(24) 및 주 몸체부(22)의 한 표면을 형성하고, 배면시이트(42)는 동일한 것의 다른 하나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917,69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생리대(20)의 흡수 물질은 플랩(24)으로 연장되어 플랩 흡수 코어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좀 더 명확히, 생리대의 플랩은 주 몸체부(22)에 고정된 물질의 식별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표시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플랩(24)은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서술되듯이, 추가로 차별적 신장성 대역(들)을 포함한다.
2. 흡수제품의 개별적인 구성요소
생리대(20)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A. 상면시이트
상면시이트(40)는 액체 투과성이고, 생리대(20)를 사용할 경우, 상면시이트(40)는 착용자의 피부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상면시이트(40)는 유연하고, 촉감이 부드럽고, 착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다. 상면시이트(40)는 이러한 용도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면시이트(40)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는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부직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레이온 및 성형된 열가소성 필름이고, 이중에서 성형된 필름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성형된 필름은 1975년 12월 30일자로 톰슨(Thompson)에게 허여된, ";테이퍼화된 모세관을 갖는 흡수 구조물";이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 제3,929,135호; 1982년 4월 13일자로 뮬란(Mullane) 및 스미스(Smith)에게 허여된, ";내응력성 상면시이트를 갖는 일회용 흡수 제품";이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 제4,324,246호; 1982년 8월 3일자로 레이들(Radel) 및 톰슨에게 허여된, ";섬유와 같은 특성을 갖는 탄성가소재 웹";이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 제4,342,314호; 및 1984년 7월 31일자로 아르(Ahr), 루이스(Louis), 뮬란 및 웰렛트(Ouellette)에게 허여된, ";비광택성 가시 표면 및 의복과 같은 감촉을 갖는 거대 연장된 3차원 가요성 웹";이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 제4,463,045호 중에 기술되어 있다. 성형된 필름은 액체를 투과시키지만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상면시이트(40)로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신체와 접촉하는 성형된 필름의 표면은 건조하고 착용자에게 더욱 편안하다.
생리대(20)는 또한 생리대를 착용할 경우, 신장될 수 있는(즉, 특히 종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생리대(20)는 신축되지 않은 상태의 약 15 내지 약 40%로 신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신장성은 개선된 착용감 및 편안함을 제공하고 적게 오염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생리대(20)의 구성요소의 단지 제한된 부분만이 신축될 수 있다.(본 발명의 배향된 훅크 고착물질을 갖지 않는) 이러한 실시태양은 브루스 라바쉬(Bruce(L)avash)등에 의해서 1991년 10월 1일자로 출원되고 계류중인 ";차별적인 신장성의 플랩 및 대역을 갖는 흡수 제품";이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769,891호 중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태양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상면시이트(40)는 미합중국 특허 제4,463,045호에 따라 제조되고 링 롤링되어 종방향 신장성이 제공된 것이다. 적합한 링 롤링 및 ";예비-파형형성"; 방법은 1978년 8월 15일자로 시슨(Sisson)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107,364호; 1989년 5월 30이자로 사비(Sabee)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834,741호; 제랄드 엠. 웨버(Gerald M. Weber)등에 의해서 1991년 2월 28일자로 출원되고 통상양도된, ";탄성을 주기 위해 제로 변형 적층 웹을 점진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662,536호; 1991년 2월 28일자로 켄네쓰 비. 뷰엘(Kenneth B. Buell)등에 의해서 출원된 ";다양한 정도의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비-균일한 방식으로 제로 변형률 적층 웹을 점진적으로 신장시키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662,537호; 및 1991년 2월 28일자로 제랄드 엠. 웨버 등에 의해서 출원된, ";웹을 파괴시키지 않고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제로 변형률 적층 웹을 순차적으로 시키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이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662,543호 중에 기술되어 있다. 상면시이트의 파형중의 절첩선은 상면시이트가 종방향으로 신장성을 갖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면시이트는 1991년 6월 23일자로 출원된 하기 특허원 중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톰슨등에 의해서 출원된, ";개선된 유체방향성, 편안함 및 적합성을 갖는 흡수 제품, 특히 생리대";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734,404호; 톰슨등에 의해서 출원된, ";흡수 제품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체 조절 구조물";이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734,392호; 및 뷰엔저(Buenger)등에 의해서 출원된 ";생리대 제품에서 사용하기 위한 흡수 코어";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734,405. 이러한 특허문헌들을 모두 ";모세관 섬유(Capillary Channel Fiber)"; 특허원으로 부른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상면시이트(40)의 외부 표면(40a)의 적어도 일부는 계면활성제로 처리된다. 계면활성제는 주 몸체부(22)와 겹쳐진 상면시이트(40)의 외부 표면(40a)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완전하게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련분야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서 수행한다. 예를들면, 계면활성제는 분무, 패딩 또는 이동 롤에 의해서 상면시이트(40)에 적용할 수 있다.
상면시이트(40)의 외부 표면(40a)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함으로써 상면시이트(40)의 표면을 더욱 친수성화시킨다. 이로 인하여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지 않을 경우보다 액체가 상면시이트(40)를 더욱 신속하게 투과한다. 이는 생리혈이 흡수코어(44)에 의해서 흡수되지 않고 상면시이트(40)로부터 흘러나오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플랩(24)을 덮은 상면시이트(40)의 일부는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지 않는다. 이는 유체가 플랩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퍼짐으로써 착용자의 허벅지 및 착용자 또는 가멘트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는 경향을 최소화시킨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상면시이트(40)의 내부 표면(40b)은 흡수코어(40)와 접촉한 채로 고정된다. 이러한 접촉상태로 인하여 상면시이트(40)가 흡수코어(44)와 접촉하지 않을 경우보다 액체가 상면시이트(40)를 더욱 신속하게 투과한다. 상면시이트(40)는 내부 표면(40b)에 접착제를 적용함으로써 흡수코어(44)와 접촉한 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유용한 적합한 접착제는 미합중국 특허 제4,917,696호 중에 기술되어 있다. 접착제는 계면활성제가 상면시이트(40)의 외부 표면(40a)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B. 흡수코어
흡수코어(44)는 상면시이트(40)와 배면시이트(42)사이에 위치한다. 흡수코어(44)는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흡수코어(44)는 흡수될 것으로 예상되는 생리혈의 총량보다 훨씬 큰 흡수용량을 가질 필요는 없다. 흡수코어(44)는 일반적으로 압축성, 변형성 및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비자극성을 갖는다. 흡수코어(44)는 이러한 목적으로 관련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예는 일반적으로 에어펠트라고 불리는 분쇄된 목재 펄프, 크레이핑된 셀룰로즈 와딩, 흡수성 발포체, 흡수성 스폰지, 합성 스테이플 섬유, 중합체성 섬유,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겔화제, 토탄이끼, 또는 이들에 상당하는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성 겔화제는 물 또는 체액과 같은 유체(즉, 액체)와 접촉후, 이러한 유체를 흡입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방법에서, 흡수코어(44)중으로 배출된 유체는 포획되고 중합체성 겔화제에 의해서 보유됨으로써 개선된 흡수능 및/또는 개선된 유체 보유능을 갖는 제품을 제공한다.
흡수코어(44)중에 사용되는 중합체성 겔화제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고, 약간 가교결합되고, 부분적으로 중화된, 하이드로겔-형성 중합체 물질이다. 본원에서, ";입자";란 펠렛(pellets), 플레이크(flakes) 또는 섬유와 같은 임의의 형태의 입자를 의미한다. 흡수코어(44)의 특성(본 발명에 사용되는 중합체 물질의 바람직한 형태 및 이러한 중합체 물질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의 형태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오스본(Osborn)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5,009,653호 중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흡수코어(44)는 2개의 공기-층티슈, 제1 및 제2 티슈층(";상부"; 및 ";하부"; 티슈층)사이에 위치한, 입자형태의 초흡수성 중합체 물질의 층으로 구성된 적층물이다. 제1 및 제2 티슈층은 초흡수성 중합체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흡수코어(44)를 통해서 흡수된 배설물의 횡방향 흡입성을 개선시키고 얼마간의 흡수능을 제공한다.
적합한 적층물은 미합중국 아이오와 무스카틴(Iowa, Muscatine)소재의 그레인 프로세싱 코포레이숀(Grain Processing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WATER-LOCK(L)-535";로 시판되는 초흡수성 적층물이다. 이러한 초흡수성 적층물은 1984년 8월 21일자로 페데슨(Perderson)등에게 허여된, ";흡수 필름용 조성물 및 제조 방법";이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 제4,467,012호; 및 1981년 4월 7일자로 린드세이(Lindsay)등에게 허여된, ";적층화된 흡수 방법";이란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 제4,260,443호 중에 개시되어 있다.
흡수코어(44)는 종방향으로 신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틈이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틈이 형성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적층물일 수 있다. 이러한 틈이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틈이 형성된 코어는 상기된 모세관 섬유 특허원중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C. 배면시이트
배면시이트(42)는 액체에 불투과성이며 따라서 생리혈로 사용자의 언더가멘트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물질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물질로는 엠보싱되거나 엠보싱되지 않은 폴리에틸렌 필름 및 적층 티슈이다. 적당한 폴리에틸렌 필름은 시중에서 제품명 필름 제8020호로 시판되고 있다(Monsanto Chemical Corporation).
생리대(20)의 다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태양(전형적으로 상면시이트(40)는 주 몸체부(22)에만 겹쳐지며 신장되어 플랩의 상부 표면을 형성하지 않는다)에서, 배면시이트(42)는 두 층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 배면시이트(42)는 배면시이트의 코어-대향 면(42a)상에 위치하는 높여진 제1 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층의 목적은 착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편안한 비-자극성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높여진 층은 예컨대 부직물과 같은 적당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높여진 층은 소수성 부직물을 포함한다. 제2층은 배면시이트(42)의 가멘트 면(42b)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체 불투과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약 0.01 내지 약 0.05mm, 바람직하게는 약 0.02mm 두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물질이 제2층으로서 잘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져 있다. 비스퀸 지부의 에틸 코포레이션(Ethyl Corporation)에 의해 모델 XP-39385로 시판중인 폴리에틸렌 필름이 이와 같은 제2층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배면시이트(42)는 상면시이트(40)에 비하여 소수성인 부드러운 옷감 같은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올레핀 섬유 배면시이트(42)는 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특히 미합중국 특허 제4,476,180호(Wnuk, 1984년 10월 9일)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필름 및 폴리에스테르 부직물의 적층이 특히 바람직한 부드러운 옷감 같은 배면시이트(42) 물질이다.
특히 바람직한 신장성 배면시이트(42)는 신장된 접착제 필름(제품명 Formula #198-338, The Findley Adhesives Company of Wauwatosa, Wisconsin)이며 이는 다른 특허 출원 명세서(Capillary Channel Fiber)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3. 생리대 구성요소의 조합체 및 플랩의 형성
A. 구성요소의 조합체
제1도 및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시이트(40)는 봉합선(36)과 같은 제1봉합선을 따라 배면시이트(42)에 고정된다. 봉합선(36)은 아교질, 권축 또는 열 봉합과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수단에 의하여 형성된다. 봉합선(36)은 주 몸체부(22)의 주위로 완전하게 신장되어 있는 것으로 제1도에 예시되어 있다. 이는 제조의 편이성을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태양이다(다양한 요소를 일체화하는 다른 수단도 이용할 수 있다).
흡수 조합체(46)는 흡수 코어(44)와 같은 흡수 수단을 함유하는 주 몸체부(22)의 일부이다. 주 몸체부(22)의 흡수 조합체(46)는 액체 투과성 신체 접촉면(제1a도에서 상면시이트(40)로 표시됨) 및 액체 불투과성 대향면(제1a도에서 배면시이트(42)로 표시됨)을 가진다. 예시된 실시태양은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가능한 실시태양중 하나인 것으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다른 가능한 실시태양은 흡수 코어(44)가 배면시이트상에 위치하기 전에 상면시이트로 근본적으로 완전하게 싸여진 것을 들 수 있다. 주 몸체부(22)의 흡수 조합체(46)는, 스스로 지탱하기에 충분한 일체성을 지니며 한 표면은 액체 투과성인 반면 다른 표면은 액체 불투과성이 되도록 처리한 흡수 코어를 또한 포함한다.
주 몸체부(22)의 흡수 조합체(46)는 비교적 두껍거나 비교적 좁고 얇다. 좁은 흡수 조합체(46)가 바람직한데, 생리대(20)의 전반적인 형태 및 사용이 주 몸체부(22)의 흡수 조합체(46)가 신체에 아주 근접하여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흡수 조합체(46)의 그러한 근접성은 그것이 있어야 할 곳에 정확하게, 즉, 질 개구부에서 신체에 매우 가깝게 위치시킨다. 이어서, 주 몸체부(22)의 흡수 조합체(46)는 생리혈(멘스)이 주 몸체부(22)의 측면을 따라 흐르기 전에 거의 대부분을 흡수할 수 있다. 얇은 흡수 조합체는 전형적으로 사용자에 편안하기 때문에 또한 바람직하다.
제1도 및 제1a도는 생리대(20)를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영역에 고정시키기 위한 패드 고정 부재, 중앙 패드 접착부(54), 플랩 고정 부재 및 플랩 접착부(56)를 또한 나타낸다.
본원에서 패드 고정 부재가 중앙 패드 접착부(54)로 기술되고, 플랩 고정 부재가 플랩 접착부(56)로 기술되었으나, 접착제 이외의 다른 고착 수단도 패드 고정 부재 및 플랩 고정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형태의 고착제 또는 고착제의 조합을 상기 목적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리대(20)는 1990년 8월 7일자로 출원된 바트렐(Battrell)에 허여된 ";감압 접착성 고착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이라는 미합중국 특허 제4,946,527호에 기술된 고착제에 의해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고정될 수 있다. 고착 수단의 다른 예들은 당분야에 공지된 기계적 고착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기계적 고착수단은 본 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1991년 6월 21일자로 토마스와 굴레이트(Dennis A. Thomas and J. K. Goulait)의 명의로 출원되고 동시계류중이며 통상적으로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07/718,727호(발명의 명칭: ";재고착가능한 기계적 고착 시스템의 스크린 프린팅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착 시스템";) 및 동시계류중인 데니스 및 데이비드의 명의로 1991년 6월 21일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07/719,211호의 ";방위각을 이룬 갈퀴형 부재를 갖는 재고착가능한 기계적 고정 시스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정 시스템";에 기술되어 있다. 생리대와 같은 흡수 제품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기계적 고착수단은 본 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1992년 12월 10일자로 굴레이트 및 토마스(J. K. Goulait and Dennis A. Thomas)의 명의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07/988,636호(P&;G Case No. 4785, ";마모되지 않는 기계적 고정 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및 1992년 12월 10일자로 굴레이트, 토마스 및 스탠리(J. K. Goulait, Dennis A. Thomas and Maureen E. Stanley)의 명의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07/988,636호(P&;G Case No. 4785, ";개선된 기계적 고정 시스템을 갖는 흡수 제품";)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패드 고정 부재 및 플랩 고정 부재는 통상적인 접착성 부착 수단, 즉, 중앙 패드 접착부(54) 및 플랩 접착부의 관점에서 기술될 것이다.
중앙 패드 접착부(54)는 팬티의 가랑이 영역에서 주 몸체부(22)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성 부착 수단을 제공한다. 플랩의 말단 단부(34)에 인접한 플랩(24)의 외측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플랩 접착부(56)로 피복되어 있다. 플랩 고정 부재(82)는 하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팬티의 가랑이 영역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싼 후 플랩(24)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플랩(24)을 언더가멘트 또는 반대쪽 플랩에 부착시킴으로써 플랩(24)을 제자리에 유지시킬 수 있다. 적합한 접착성 고착제는 미합중국 특허 제4,917,697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접착성 부착 수단은 접착제가 오염되거나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하기 전에 접착제가 외부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제거 가능한 이형 라이너로 덮여져 있다. 각 접착성 부착 수단은 분리된 이형 라이너로 제공된다. 그러나, 중앙 패드 고정 부재 및 각 플랩 고정 부재는 하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단일 이형 라이너로 덮여 있다. 적합한 이형 라이너는 미합중국 특허 제4,917,697호에 기술되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생리대의 실시태양을 기술하였지만, 플랩을 갖는 다수의 다양한 생리대의 실시태양이 사용가능하고 문헌중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생리대에는 본 발명의 절첩된 선택성 플랩(24)이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플랩을 갖는 생리대들은 1991년 5월 21일자로 오스본등에 의해서 출원된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부착시키기 위한 측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수단을 갖는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707,233호; 1991년 4월 23일 및 1990년 8월 21일자로 각각 오스본에게 허여된 ";얇은 가요성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5,009,653호 및 제4,950,264호; 1990년 7월 10일자로 샐러노(Salerno)에게 허여된 ";신장가능한 플랩을 갖는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940,462호; 1990년 4월 17일자로 오스본 3세등에게 허여된 ";플랩 및 응력 제거 수단을 갖는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917,697호; 1990년 3월 27일자로 마빈커브(Mavinkurve)에게 허여된 ";탄성 형상화 수단을 갖는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911,701호; 1990년 2월 13일자로 맥코이(McCoy)에게 허여된, ";팬티를 모아주는 플랩을 갖는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900,320호; 1987년 8월 18일자로 반 틸버그(Van Tilburg)에게 허여된 ";플랩을 갖는 형상화된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687,478호; 1986년 8월 26일자로 매틴글리(Mattingly)에게 허여된 ";생리대 부착 수단";이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608,047호; 1986년 5월 20일자로 반 틸버그에게 허여된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589,876호; 1981년 8월 25일자로 맥네어(McNair)에게 허여된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285,343호; 1968년 8월 20일자로 릭카드(Rickard)에게 허여된 ";언더가멘트를 보호하기 위한 일회용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3,397,697호; 및 1957년 4월 2일자로 클라크(Clark)에게 허여된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2,787,271호에 기술되어 있다.
팬티라이너 형태의 접합한 흡수 제품은 1988년 4월 19일자로 오스본에게 허여된 ";팬티라이너";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738,676호에 기술되어 있다. 적어도 얼마간이 실금자용 제품인, 적합한 흡수제품들은 1991년 1월 3일자로 베리 알 페이스트(Barry R.Feist)등에 의해서 출원된 ";신속하게 포획하는 랩핑된 다중 층 흡수부를 갖는 흡수 제품";이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637,571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및 그들의 허여된 특허, 및 상응하는 외국 특허원), 및 공개문헌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참고문헌들이 본 발명을 교지하거나 개시하는 것은 아니다.
B. 플랩의 제조
플랩(24)의 특성을 지금부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플랩(24)의 일반적인 제조는 본원에서 참조문헌으로 인용된 오스본(Osborn)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917,697호 및; 부르스 라바쉬(Bruce Lavash)등이 1991년 10월 1일 출원한 ";플랩 및 개별확장부를 갖는 흡수제품";이라는 미합중국 특허원 제07/769,891호; 카오루 니하라(Kaoru Niihara)및 토마스 W. 오스본 Ⅲ세(Thomas W. Osborn, Ⅲ)명의로 1992년 2월 7일 출원한 ";내부로 접히는 평면 플랩을 갖는 흡수 제품";이라는 미합중국 특허원 제07/832,246호에 더욱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플랩(24)의 전체 크기는 본 분야에서 숙달된 자에 의해 쉽게 선택될 수 있다. 최대로 펼쳤을때 플랩의 말단 단부(34)사이에서 생리대(20)의 너비가 약 4 내지 약 23㎝가 되도록 플랩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각 플랩(24)의 길이는 생리대의 주 종방향 중심선(L)에 수평방향으로 약 5 내지 약 19㎝이상이다. 그러나, 플랩(24)의 길이는 주 종방향 중심선(L)에 수평방향으로 0.5㎝ 정도일 수도 있다.
플랩(24)의 형태는 본 분야에서 숙달된 자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랩(24)이 서로 거울상일 뿐 아니라, 각 플랩(26) 및 (28)의 두 절반부들은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에 대해 대칭적이다. (본원에서 기술한 플랩의 형태 및 배향은 바람직한 실시태양들임을 숙지해야 한다. 이들은 필수적인 디자인이 아니다.)
제1도에 나타낸 생리대(20)과 같이, 플랩(24)은 생리대의 주 횡방향 중심선(T)의 약간 앞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경우,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은 생리대(20)의 주 횡방향 중심선(T)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플랩(24)은 생리대의 주 종방향 중심선(L)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플랩(24)은 접합부(30)의 선을 따라 주 몸체부(22)와 연결된다. 접합부의 선은 주 종방향 중심선(L)에 대해 오목하거나 직선형 또는 볼록형일 수 있다. 접합부의 선(30)은 분리된 플랩 부재가 주 몸체부(22)와 연결되는 선 또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플랩(24)이 주 몸체부(22)와 일체화된 구조라면, 접합부(30)의 선은 주 몸체부(22)와 플랩(24)사이의 경계선일 수도 있다(비록 명확한 경계선이 필요없다고 할지라도).
플랩(24)은 수많은 상이한 방법으로 주 몸체부(22)에 연결될 수 있다. 1991년 4월 16일 출원한 오스본(Osborn)등에 허여된 ";분리된 생리대";라는 제목의 미합중국 특허 제5,007,906호에는 구성성분(플랩(24) 같은)이 다른 구성성분과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하는"; 많은 다양한 방법들이 용어로서 정의되어 있다. 플랩들이 별도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이들은 본 분야의 숙달된 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주 몸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접착제, 열 또는/및 압력, 초음파 등이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랩(24)이 주 몸체부(22)의 종방향 가장자리(22a)로부터 연장(또는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결)될 필요는 없다. 1990년 2월 13일 출원한 맥코이(McCoy)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900,32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랩(24)는 종방향 가장자리(22a)로부터 종방향 중심선(L)쪽으로 내부(또는 ";몸체내";)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플랩(24)은 주 종방향 중심선(L) 또는 주 몸체부(22)의 종방향 가장자리(22a)를 따라, 또는 주 종방향 중심선(L) 및 주몸체(22)의 종방향 가장자리(22a)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주 몸체부(22)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플랩(24)은 일반적으로 주 종방향 중심선(L)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C. 선택적 플랩
제2 및 2a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생리대(20)의 실시태양을 나타낸다. 제2 및 2a도의 생리대(20)는 절첩된 형태이다. 제2도는 절첩된 형태의 생리대(20)의 접착 면(9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좀 더 명확히, 이형 라이너(58)는 제2도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절첩된 형태에서의 플랩(24)의 경우, 각 플랩(24)의 플랩 접착부(56)의 면(87)은 생리대(20)의 접착 면(90)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생리대(20)는 패드 고정 부재를 착용자의 팬티의 가랑이에 고정하고, 착용자의 팬티의 가장자리 주위로 플랩(24)의 말단 단부(34)를 감싸고, 언더가멘트의 배면에 플랩(24)을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는, 생리대(20)는 절첩된 형태에서 플랩(24)을 제거하고 플랩 고정 부재 및 패드 고정 부재를 착용자의 팬티의 가랑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플랩(24)은 흡수 조합체(46)의 체액 흡수력에 역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과 같이, 생리대(20)의 기능에 역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1도를 참조하여, 생리대(20)의 각 플랩(24)은 절첩선(86), 절첩선(86)의 내부의 제1부(84) 및 절첩선(86)의 외부의 제2부(85)를 포함한다. 제1a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플랩(24)은 제2부(85)의 가멘트 면(85')에 연결된 플랩 접착부(56)를 포함한다. 플랩 접착부(56)는 제2부(85)의 가멘트 면(85')으로부터 떨어져 배향된 면(87)을 포함한다. 면(87)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언더가멘트의 일부에 접착되는 플랩 접착부(56)의 일부이다.
제1a도를 참조하면, 생리대(20)은 가멘트 면(20') 및 신체를 향하는 면(20'')을 포함한다. 생리대(20)의 가멘트 면(20')은 일반적으로 생리대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영역에 사용될 경우 언더가멘트쪽으로 배향하는 측면이다. 생리대(20)의 신체를 향하는 면(20'')은 일반적으로 생리대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영역에 사용될 경우 체액을 흡수하고 신체쪽으로 배향되는 측면이다.
제1a도를 참조하면, 주 몸체부(22)는 가멘트 면(22') 및 신체를 향하는 면(22'')을 포함한다. 플랩(24)은 또한 가멘트 면(24') 및 신체를 향하는 면(24'')을 포함한다. 생리대(20)의 성분 중 가멘트 면은 플랩(24)이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영역의 가장자리 주위로 감싸져 언더가멘트의 배면에 고정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쪽으로 배향되는 측면이다. 생리대(20)의 성분 중 신체를 향하는 면은 가멘트의 반대 측면이다. 성분 중 가멘트 면은 일반적으로 주요 요소의 번호에 의거하여 프라임(')으로 표기된다. 요소중 신체를 향하는 면은 일반적으로 주요 요소에 의거하여 이중 프라임('')으로 표기된다. 본 발명의 생리대(20)가 플랩(24)을 이용하지 않은 채 즉, 플랩을 가랑이 영역의 가장자리 주위로 감싸고 언더가멘트의 배면에 고정하여서 사용될지라도, 각 플랩(24)의 가멘트 면은 플랩의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영역의 가장자리 주위로 감싸진다면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쪽으로 배향되는 플랩(24)의 면이다.
제2a도를 참조하면, 생리대(20)는 절첩된 형태이며 접착 면(90) 및 비접착 면(91)을 포함한다. 비접착 면(91)은 주 몸체부(22)의 신체를 향하는 면(22'')을 포함한다. 접착 면(90)은 플랩 접착부(56)의 면(87),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22')의 일부 및 패드 고정 부재, 중앙 패드 접착부(56)를 포함한다.
제2 및 2a도를 참조하면, 각 플랩(24)은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22') 위로 절첩되어 있어서,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22')의 일부가 각 플랩(24)의 제1부(84)의 가멘트 면(84')에 의해 겹쳐져 있다. 각 플랩은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첩선(86)을 따라 절첩되어서, 제2부(85)의 신체를 향하는 면(85'')이 제1부(84)의 신체를 향하는 면(84'')의 일부와 겹쳐져 플랩 접착부(56)가 연결된 제2부(85)의 가멘트 면(85')이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22')으로부터 떨어져 배향된다. 그러므로, 생리대(20)가 이러한 절첩된 형태인 경우 플랩 접착부(56)의 면(87)이 생리대(20)의 접착 면(90)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단일 이형 라이너(58)는 제2a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앙 패드 접착부(54) 및 플랩 접착부(56) 모두를 덮고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제1 및 2도를 참조하면, 중앙 패드 접착부(54)가 고정 영역(92) 및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22')상의 비고정 영역(93)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a도를 참조하면, 플랩(24)이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22') 위로 절첩되는 경우, 플랩이 주 몸체부(22)의 비고정 영역(93)을 겹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플랩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형 또는 파괴 가능한 핀포인트 가열 봉합, 접착 본드등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플랩은 또한 플랩(24) 자체의 구조적 결합성에 의해 즉, 플랩의 절첩된 형태로 스스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제3도는 플랩(24)이 주 몸체부(22)의 중앙 패드 접착부(54)에 의해 형성된 고정 영역(92)의 적어도 일부를 겹치는 본 발명의 생리대 실시태양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고정 영역(92)은 플랩을 생리대(20)의 가멘트 면상의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러한 점은 플랩이 주 몸체부(22)를 겹쳐서 각 플랩(24)이 고정 영역(92)의 일부를 겹치는 영역내의 더 큰 고정 영역을 형성하는 중앙 패드 접착부(54)를 사용하여 완성된다. 또는,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22')위로 절첩되는 경우, 주 몸체부(22)의 고정 영역(92)의 적어도 일부를 겹칠 수 있는 플랩(22)를 갖는 생리대(20)를 제공하여 완성된다. 제3도의 생리대 실시태양이 하기에서 더욱 자세히 기술된다.
본 발명의 생리대는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생리대는 이후에 기술되듯이 플랩(24) 및 주 몸체부(22)를 조합하고, 주 몸체부(22)에 중앙 패드 접착부(54)를 적용하고,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22') 위로 플랩을 절첩하여서 각 플랩(24)의 플랩 접착부(56)의 면(87)이 생리대(20)의 접착 면(90)을 형성하도록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중앙 패드 접착부(54) 및 플랩 접착부(56)는 적당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접착부를 일회용 흡수 제품에 적용하는 방법은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접착부를 일회용 흡수 제품에 적용하는 적당한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 프린트법(그라비어법 또는 스크린법)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패드 접착부(54) 및 플랩 접착부(56)가 동시에 사용된다. 중앙 패드 접착부(54) 및 플랩 접착부(56)가 동시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방법은 이형 라이너의 한쪽 면을 감압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 층으로 코팅한 뒤, 이형재를 생리대(20)의 접착 면(90)에 적용함으로써 감압 접착제가 자동적으로 주 몸체부(22) 및 플랩(24)으로 전이되는 것이다.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접착제가 연결되어 있는 이형재로는 오하이오주, 코빙턴 소재 3 시그마사(사우스 캐롤라이나주, 콜럼비아소재 안커컨티넨탈사의 지부)에 의해 판매되는 ";실드테입(Shield Tape)"; 또는 ";3 시그마-실드(3 Sigma-Shield)";가 있다.
제8도에서와 같이, 생리대(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주 몸체부(22) 및 플랩(24)을 조합하고, 플랩을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22') 위로 절첩하여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22') 상에 접착 수용부(54')를 형성시키고, 말단 단부(34)에 인접하는 각 플랩(24)을 절첩시킴으로써 각 플랩(24)의 가멘트 면(24')의 일부가 외부쪽을 향하여서 접착 수용부(56')를 형성하도록 하여 제조된다. 이어서, 적당한 접착제를 이형 라이너(58)의 일면에 적용하여 제8a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접착 패치(57)를 형성한다. 이어서, 이형재(58)를 생리대(20)에 적용함으로써 이형 라이너(58)의 접착 패치(58)가 각 플랩(24)의 접착 수용부(56') 및 주 몸체부(22)의 접착 수용부(54')로 전이된다. 이러한 결과, 제8b도의 일부를 절단한 투시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앙 패드 접착부(54) 및 플랩 접착부(56)를 덮는 단일 이형 라이너(58)를 갖는 생리대(20)가 얻어진다. 제8c도는 이형 라이너(58)가 제거되어서 접착 패치(57)가 이형 라이너(58)로부터 전이된 후, 플랩 접착부(56) 및 중앙 패드 접착부(54)가 보여지는 생리대(20)는 나타낸다. 제8d도는 제8도의 생리대(20) 중 하나의 플랩(24)이 펼쳐진 형태를 나타낸다.
제9도는 이형 라이너(58)가 제거되어서 접착 패치(57)가 이형 라이너(58)로부터 전이된 후, 플랩 접착부(56) 및 중앙 패드 접착부(54)가 보여지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생리대 실시태양을 나타낸다. 제9도의 생리대(20)는 절첩선(86)과 접하는 플랩(24)을 포함한다. 제9a도는 제9도의 생리대(20) 중 하나의 플랩(24)이 펼쳐진 형태를 나타낸다.
비록 제8 및 9도에서 보여지는 생리대(20)의 플랩(24) 및 접착 패치(57)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이나, 이러한 것이 플랩(24) 및 접착 패치(57)의 가능한 유일한 형태인 것을 알아야만 한다. 또 다른 형태가 제10도에 나타난다. 제10도의 생리대(20)는 일반적으로 사인 곡선 형태이며, 절첩되어서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22')상의 접착 수용부(54') 및 각 플랩(24)의 가멘트 면(24')상의 접착 수용부(56')를 형성하는 플랩(24)을 포함한다. 제10a도는 역시 일반적으로 사인 곡선형태의 접착 패치(57)을 갖는 이형 라이너(58)를 나타낸다. 제10b도는 이형 라이너(58)가 생리대(20)로 전이된 후, 접착 패치(57)의 일부가 이형 라이너(58)로부터 각 플랩(24)의 접착 수용부(56') 및 주 몸체부(22)의 접착 수용부(54')로 전이되는 것을 나타낸다. 제10c도는 이형 라이너(58)가 제거된 생리대(20)를 나타낸다. 제10d도는 생리대(20) 중 하나의 플랩(24)이 펼쳐진 형태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각 플랩(24)의 말단 단부(34)가 주 몸체부(22)의 주변부(23)의 뒤쪽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형태에서 플랩(24)의 말단 단부(34)가 그랩 탭 부재(190)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플랩(24)은 그랩 탭 부재(190)을 제공한다. 본 원에서 사용되듯이, 용어 ";그랩 탭 부재(graspable tab member)";은 생리대(20)가 절첩된 형태일 경우 주 몸체부(22)의 주변 뒤쪽으로 연장되는 플랩(24)의 일부, 요소 또는 성분을 지칭한다. 그랩 탭 부재(190)은 주 몸체부(22)의 가멘트 면(22')에서 플랩(24)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랩 탭 부재(190)는 바람직하게는 주 몸체부(22)의 주변부(23) 뒤쪽으로 적어도 약 2 밀리리터 내지 약 5 밀리리터 연장된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탭 부재(90)는 주 몸체부(22)의 주변부(23) 뒤쪽으로 적어도 약 5 밀리리터 내지 약 10 밀리리터 연장된다. 주 몸체부(22)의 주변부(23) 뒤쪽으로 연장되는 플랩(24)의 말단 단부(34)를 갖는 여러 상이한 절첩된 형태가 있다. 제10 내지 10c도에서, 탭 부재(90)를 형성하는 플랩(24)의 말단 단부를 갖는 특히 좀 더 바람직한 절첩된 형태의 예가 나타나 있다. 당 분야의 업자들에게는 다른 적당한 절첩된 형태가 이미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생리대(20)는 생리대의 한쪽 주요 표면을 씌우는 랩퍼를 포함하며, 생리대를 절첩하고 랩퍼를 봉함으로써 독립적으로 포장된 일회용 흡수 제품이 얻어진다. 이러한 실시태양이 제7도에 나타나 있다. 제7도를 참고로 하면, 이형 라이너(58)에 연결된 랩퍼(95)를 볼 수 있다. 랩퍼(95)는 주 몸체부(22)의 흡수 조합체(46)의 주변부(23) 뒤쪽으로 연장되는 단부 일부(96)을 포함한다. 랩퍼(95)가 고정되어 있는 생리대(22)는 제7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 하나 이상의 절첩-축이 절첩되어 있어서 랩퍼(95)의 단부 일부(96)가 겹쳐져 있다. 그 뒤 단부 일부(96)는 쉽게 파손되도록 함께 봉해져 독립적으로 포장된 일회용 흡수 제품을 형성한다. 비록, 랩퍼(95) 및 이형 라이너(58)가 함께 봉해진 분리된 성분처럼 보여지나, 랩퍼(95)는 실리콘으로 처리되어 이형 라이너(58)처럼 작용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는, 랩퍼(95)가 고정되어 있는 생리대(22)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절첩-축을 따라 절첩된 뒤, 랩퍼(95)의 단부 일부(96)가 쉽게 파손되도록 봉해져 독립적으로 포장된 일회용 생리대(20)을 형성한다. 제7c도는 두개의 절첩-축(F1,F2)을 따라 절첩된 이러한 생리대이다. 이형 라이너(58)는 제7a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랩퍼(95)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랩퍼(95)는 이형 라이너(58)에 연결된 물질의 식별 부분일 수 있다.
가장자리부(96)는 공지된 봉합기술을 이용하여 쉽게 파손되도록 봉하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자리부(96)는 가열 봉합하거나, 접착제로 접착, 또는 초음파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개별적으로 포장된 생리대(본 발명의 절첩된 선택적 플랩(24)이 없는)는 스완슨(Swanson)등에게 1985년 12월 3일자로 허여된 ";개별적으로 포장된 일회용 흡수 제품";이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 제4,556,14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본원에 참고로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택일적인 생리대 실시태양의 횡방향 단면도는 제3도에 나타나 있다. 생리대(20)의 플랩(24)의 일부가 중앙 패드 접착부(54)의 일부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생리대(20)는 절첩된 형태로 유지된다. 중앙 패드 접착부(54)에 겹쳐지는 플랩(24)의 일부는 중앙 패드 접착부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각 플랩(24)에는 중앙 패드 접착부(54)의 일부에 겹쳐지는 단일한 이형재가 제공되어 플랩(24)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한다. 플랩(24)에 단일 이형재(80)를 제공하는 많은 상이한 방법이 있다. 단일한 이형재(80)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제품(본 발명의 절첩된 선택적 플랩이 없는)은 본 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1992년 6월 30일자로 오스본과 라바쉬(Thomas W. Osborn, Ⅲ and Bruce W. Lavash)의 명의로 출원되고 통상적으로 양도되었으며 동시계류중인 ";일체형 이형재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이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906,629호에 더욱 상세히 논의되어 있다. 상기 특허원에 기술된 단일한 이형재는 본 발명의 플랩(24)의 이형재(80)로서 사용할 수 있다. 택일적인 실시태양에서, 생리대의 플랩은 하나 이상의 차별적 신장성 대역(또는 ";신장성 대역"; 또는 단순히 ";대역";)(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차별적 신장성 대역을 제공하는 방법은 브루스 W. 라바쉬(Bruce W. Lavash)등의 명의로 1991년 10월 1일자로 출원되고 통상적으로 양도되고 동시-계류중인 ";플랩 및 차별적인 신장성을 갖는 흡수 제품";이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769,891호 및 중 카오루 니하라(Kaoru Niihara) 및 토마스 W. 오스본 Ⅲ세(Thomas W. Osborn, Ⅲ)의 명의로 1992년 2월 7일자로 출원되고 통상적으로 양도되고 동시-계류중인 ";내부로 절첩된 주름진 플랩을 갖는 흡수 제품";이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832,246호에 더욱 상세하게 논의되어 있다. 상기 특허원들은 본원에 참고로서 인용되어 있다.
또다른 택일적인 실시태양에서, 생리대(20)에는 탄성중합성 스트랜드(strand), 탄성중합성 리본, 탄성중합성 필름과 같은 탄성중합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태양에서, 주 몸체부(22)는 각 종방향 가장자리(22a)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는 상기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생리대는 다이앤 스넬러(Diane Sneller), 쥬운 브레녹(June Brennock) 및 칼 버그만(Carl Bergman)의 명의로 1991년 12월 20일자로 출원된 ";탄성 생리대";란 명칭의 미합중국 특허원 제07/811,34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원은 본원에 참고로서 인용되어 있다.
D.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와 관련한 생리대 및 선택적 플랩의 기능
본 발명의 생리대의 기능을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제4도는 팬티로서 공지되어 있는, 다수의 여성에 의해 통상적으로 착용되는 형태의 언더가멘트(11)의 가랑이 영역(14)를 나타낸 것이다. 팬티(11)는 전방부(10), 후방부(12), 및 전방부 및 후방부에 연결된 가랑이 영역(14)을 포함한다. 가랑이 영역(14)은 2개의 측면 가장자리(16) 및 중앙 가랑이 영역(1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리대(20)는 고정 부재로부터 이형 라이너(58)를 제거하고, 제6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생리대(20)를 팬티(11)에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주 몸체부(22)의 중앙은 팬티의 가랑이 영역(14)에 위치되고, 주 몸체부(22)의 한 말단부는 팬티의 전방부(10)을 향하여 연장되며, 다른 말단부는 팬티의 후방부(12)를 향하여 연장된다. 배면 시이트(42)는 팬티의 중앙 가랑이 영역(18)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여 위치된다. 플랩(24)은 절첩된 형태로 유지되고, 플랩 접착부(56)의 면(87)은 언더가멘트에 고정된다. 중앙 패드 접착부(54) 및 플랩 접착부(56)는 주 몸체부(22)를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팬티는 착용자의 몸위로 끌어올려진다. 플랩(24)이 절첩된 형태로 사용되거나 유지되지는 않지만, 플랩 접착부(56)는 중앙 가랑이 영역(18)에서 주 몸체부(22)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도록 도울 것이다.
택일적으로, 본 발명의 생리대(20)는 고정 부재로부터 이형 라이너(58)를 제거하고, 제5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생리대(20)를 팬티(11)에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주 몸체부(22)의 중앙은 팬티의 가랑이 영역(14)에 위치되고, 주 몸체부(22)의 한 말단부는 팬티의 전방부(10)을 향하여 연장되며, 다른 말단부는 팬티의 후방부(12)를 향하여 연장된다. 배면 시이트(42)는 팬티의 중앙 가랑이 영역(18)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여 위치된다. 중앙 패드 접착부(54)는 주 몸체부(22)를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각 플랩(24)은 팬티(11)와 주 몸체부(22) 사이로부터 제거되고, 플랩(24)의 말단 가장자리(34)는 팬티의 측면 가장자리(16) 주위로 절첩되고, 플랩 접착부(56)은 팬티는 배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한 이형 라이너의 한 면에 의해 덮일 수 있는 플랩 접착부 및 중앙 패드 접착부를 갖는 생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태양이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당분야의 숙련가에게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기타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

  1. 흡수 조합체, 신체-대향 면, 가멘트 면, 및 종방향 가장자리 및 횡방향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주 몸체부, 및 한쌍의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플랩이 접합부를 따라 상기 주 몸체부에 연결되어 있고, 접착부에 인접한 인접 가장자리, 접합부와 떨어져 있는 말단 가장자리, 신체-대향 면 및 가멘트 면을 포함하며;
    각각의 플랩이 제1플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주 몸체부의 가멘트 면 위에 절첩되어 있고, 신체-대향 면 및 가멘트 면을 갖는 제2플랩부를 형성하기 위해 다시 절첩되고, 상기 제2플랩부의 상기 가멘트 면이 상기 주 몸체부의 상기 가멘트 면에서 빗나가 있어, 흡수 제품의 절첩된 형태에서 상기 주 몸체부의 상기 가멘트 면 및 상기 제2플랩부의 상기 가멘트 면이 모두 상기 주 몸체부의 상기 신체-대향 면과 반대쪽을 향하고, 플랩 고정 부재가 상기 각각의 플랩의 상기 제2플랩부의 상기 가멘트 면에 연결되므로써 상기 제2플랩부상의 상기 플랩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 몸체부와 겹쳐져 상기 플랩 고정 부재가 흡수 제품의 상기 접착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면 및 비-접착면을 갖는 절첩된 형태의 흡수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고정 부재가 감압 접착제 또는 기계적 고정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부의 가멘트 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패드 고정 부재를 또한 포함하는 흡수 제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고정 부재가 감압 접착제 또는 기계적 고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랩 고정 부재와 겹쳐 있는 보호 이형 라이너, 및 상기 보호 이형 라이너에 연결된 외부 랩퍼(wrapper)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외부 랩퍼가 상기 주 몸체부의 주변부 뒤쪽으로 연장된 종방향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 제품 및 상기 보호 이형 라이너가 하나이상의 절첩-축 둘레에서 일체부로서 절첩되어 있고, 상기 종방향 가장자리 일부가 쉽게 파손되도록 봉하여진 흡수 제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제품 및 상기 보호 이형 라이너가 2개의 절첩-축 둘레에서 일체부로서 절첩되어 있고, 상기 종방향 가장자리 일부가 쉽게 파손되도록 봉하여진 흡수 제품.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랩의 상기 말단 가장자리가 쥘 수 있는 탭(tab)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주 몸체부의 종방향 가장자리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흡수 제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고정 부재가 상기 주 몸체부의 가멘트 면상에 고정 영역 및 비고정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플랩이 절첩되어 주 몸체부의 비-고정 영역과 겹치거나 또는 주 몸체부의 고정 영역에 이형가능하게 고정되는 흡수 제품.
  9. (a) 가멘트 면, 신체-대향 면, 흡수 조합체를 포함하는 주 몸체부, 및 접합부를 따라 상기 주 몸체부에 연결된 한쌍의 플랩(각각의 플랩은 접합부에 인접한 인접 가장자리 및 접합부에서 멀리 떨어진 말단 가장자리를 포함한다)을 포함하는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각각의 플랩을 상기 흡수 제품의 상기 가멘트 면위로 절첩시키는 단계;
    (c) 상기 각각의 플랩의 가멘트 면의 일부가 겹쳐지고 상기 주 몸체부의 가멘트 면으로부터 빗나가 있어 상기 각각의 플랩상에 접착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각각의 플랩을 2회 절첩시키는 단계; 및
    (d) 플랩 고정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접착제를 상기 각각의 플랩의 적어도 상기 접착 수용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착면, 비-접착면, 및 흡수 제품의 접착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플랩 접착부를 갖는 플랩을 포함하는 절첩된 형태의 흡수 제품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상기 각각의 플랩의 적어도 상기 접착 수용부에 도포하는 단계(d)가, (1) 패드 고정 부재를 형성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주 몸체부의 가멘트면의 일부에 도포하고; (2) 상기 접착제를 상기 각각의 플랩의 상기 접착 수용부 및 상기 주 몸체부의 상기 가멘트 면 상에 프린팅(printing)시킴을 포함하는 방법.
KR1019950702559A 1992-12-22 1993-12-16 선택적측면플랩을갖는흡수제품 KR100287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95462 1992-12-22
US07/995462 1992-12-22
US07/995,462 US5330461A (en) 1992-12-22 1992-12-22 Absorbent article having folded side flaps
PCT/US1993/012262 WO1994014398A2 (en) 1992-12-22 1993-12-16 Absorbent article having optional side flap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916A KR950703916A (ko) 1995-11-17
KR100287638B1 true KR100287638B1 (ko) 2001-04-16

Family

ID=2554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559A KR100287638B1 (ko) 1992-12-22 1993-12-16 선택적측면플랩을갖는흡수제품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5330461A (ko)
EP (1) EP0675704B2 (ko)
JP (1) JPH08504640A (ko)
KR (1) KR100287638B1 (ko)
CN (1) CN1090486A (ko)
AT (1) ATE159168T1 (ko)
AU (1) AU691498B2 (ko)
BR (1) BR9307716A (ko)
CA (1) CA2151718C (ko)
CZ (1) CZ284191B6 (ko)
DE (1) DE69314664T3 (ko)
DK (1) DK0675704T3 (ko)
EG (1) EG20272A (ko)
ES (1) ES2108972T5 (ko)
FI (1) FI953105A0 (ko)
GR (1) GR3025067T3 (ko)
HK (1) HK1003824A1 (ko)
HU (1) HU218523B (ko)
MA (1) MA23063A1 (ko)
MX (1) MX9400028A (ko)
MY (1) MY110176A (ko)
NO (1) NO304676B1 (ko)
PE (1) PE3895A1 (ko)
PH (1) PH30291A (ko)
SG (1) SG52355A1 (ko)
TR (1) TR27497A (ko)
TW (1) TW297272U (ko)
WO (1) WO199401439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706B1 (ko) * 2001-07-12 2009-07-07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생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4803A (en) * 1989-07-18 1995-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nflected barrier cuffs
US5281209A (en) * 1992-06-30 1994-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tucked flaps
US5520676A (en) * 1991-10-01 1996-05-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unitary release member joined to a flap retaining member
US5643245A (en) * 1991-10-01 1997-07-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tucked flaps
US5681303A (en) * 1991-10-01 1997-10-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
CA2079537C (en) * 1991-10-01 1999-01-05 Bruce William Lavash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and zones of differential extensibility
GR1002328B (el) * 1992-09-17 1996-05-15 Mcneil-Ppc Inc. Μεθοδος προσαρτησης συγκολλητικης ουσιας σε πτερυγωτο απορροφητικο ειδος (απορροφητικο ειδος με επιρραμμα).
PH31459A (en) * 1992-11-30 1998-11-03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side flaps and wings.
FR2700468B1 (fr) 1993-01-15 1995-02-17 Kaysersberg Sa Serviette périodique ou similaire à volets latéraux et procédé de fabrication.
US5558662A (en) * 1994-04-20 1996-09-24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ttachment mechanism and a method of attaching
CA2127759A1 (en) * 1994-04-20 1995-10-21 Thomas Peter Van Iten Panty shield
EP0750485A1 (en) * 1994-04-28 1997-0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versheet with extendible flaps
JPH07299093A (ja) * 1994-05-10 1995-11-14 Uni Charm Corp 体液吸収性着用物品
US5851935A (en) * 1996-08-29 1998-12-22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Cross-directionally stretchable elastomeric fabric laminated by thermal spot bonding
US6025050A (en) * 1994-06-15 2000-02-15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Thermally appertured nonwoven laminates for wipes and coverstock for hygienic articles
US5662636A (en) * 1994-08-31 1997-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uffs with unsecured rear distal edges
US6074376A (en) * 1995-01-30 2000-06-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side flap fastener cover
AU4905196A (en) * 1995-02-03 1996-08-21 Procter & Gamble Company, The Absorbent articles having side extensions
IN187897B (ko) * 1995-06-15 2002-07-20 Johnson & Johnson Inc
EP0764433A1 (en) * 1995-09-19 1997-03-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pull out wings
CA2233944C (en) * 1995-10-06 2003-02-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a deformed hinge and zones of extensibility
SE9503818L (sv) 1995-10-30 1997-04-28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med längsgående utskjutande fastsättningsflikar i ett förpackningsomslag samt förpackning för ett absorberande alster
AU5429298A (en) * 1996-11-13 1998-06-03 Procter & Gamble Company, The Releasable cover arrangement for fasteners on absorbent articles
AU6111198A (en) 1997-03-25 1998-10-20 Procter & Gamble Company,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a protective, releasable cover on the topsheet upper surface
JP3406205B2 (ja) * 1997-10-08 2003-05-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821269B1 (en) 1998-05-01 2004-11-23 Roger Boulanger Sanitary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JP3492234B2 (ja) 1998-05-29 2004-0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176850B1 (en) * 1998-06-24 2001-01-23 Mcneil-Ppc. Inc. Adhesive patterns for feminine articles
BR9803741A (pt) * 1998-08-12 2000-03-28 Johnson & Johnson Ind Com Absorvente ìntimo feminino.
AU752524B2 (en) * 1998-08-12 2002-09-19 Johnson & Johnson Industria E Comercio Ltda A sanitary napkin
EP0998888A1 (en) 1998-11-02 2000-05-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with improved flap disposition
EP0998889A1 (en) 1998-11-02 2000-05-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ition aide for a sanitary napkin with side flaps
JP4464586B2 (ja) * 2001-07-31 2010-05-1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
US6802833B2 (en) * 2002-02-01 2004-10-12 Uni-Charm Corporation Hygiene product
US20050124960A1 (en) * 2003-12-09 2005-06-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bination pouch/backing sheet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with mechanical attachment system
US7811271B2 (en) * 2005-09-09 2010-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 activation
WO2009005423A1 (en) * 2007-06-29 2009-01-08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fastening flaps
JP4540127B2 (ja) * 2007-09-26 2010-09-0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42211B2 (ja) * 2008-03-26 2013-07-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55730B2 (ja) * 2008-05-07 2013-03-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20016328A1 (en) * 2010-07-19 2012-01-19 Bo Shi Biodegradable films
JP5832164B2 (ja) * 2011-06-30 2015-12-1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454921A4 (en) 2016-05-13 2020-02-12 C.R. Bard, Inc. CATHETER FASTENING DEVICE WITH A GUIDE NOSE
JP6263581B1 (ja) * 2016-07-27 2018-01-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335683B1 (en) * 2016-12-19 2021-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undergarment fastening elements
WO2020214856A1 (en) 2019-04-17 2020-10-22 Bard Access Systems,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including extended anchor pad and release liner clasping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91234A1 (de) * 1965-04-08 1969-04-03 Toshiko Saijo Damenbinde
US3397697A (en) * 1965-09-07 1968-08-20 Kimberly Clark Co Disposable sanitary shield for undergarments
US3800796A (en) * 1972-04-13 1974-04-02 E Jacob Disposable diaper with semielastic strip fasteners
US3929134A (en) * 1974-08-29 1975-12-30 Colgate Palmolive Co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US3926191A (en) * 1974-11-20 1975-12-16 Johnson & Johnson Disposable diaper having adhesive tabs and release strips therefor permanently attached at marginal edges of diaper
US4166464A (en) * 1976-06-23 1979-09-04 Johnson & Johnson Absorbent dressing
US4285343A (en) * 1979-10-16 1981-08-25 Mcnair Rosetta M Sanitary napkin
US4327732A (en) * 1980-07-08 1982-05-04 Weyerhaeuser Company Incontinent pad
FR2502001B1 (fr) * 1981-03-19 1985-07-12 Beghin Say Sa Articles d'hygiene pour l'absorption des liquides corporels
JPS58180601A (ja) * 1982-04-14 1983-10-22 ユニ・チヤ−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DE3319421A1 (de) * 1983-05-28 1984-11-29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Damenbinde
US4589876A (en) * 1983-07-05 1986-05-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US4687478A (en) * 1984-03-20 1987-08-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sanitary napkin with flaps
DE3326026A1 (de) * 1983-07-20 1985-02-07 Vereinigte Papierwerke Schickedanz & Co, 8500 Nürnberg Damenbinde, slipeinlage oder dergl. mit klebeetikett
US4597759A (en) * 1983-10-21 1986-07-01 Kimberly-Clark Corporation Extendable hygienic pad
BR8406441A (pt) * 1983-12-19 1985-10-15 Johnson & Johnson Fralda descartavel
US4985025A (en) * 1983-12-19 1991-01-15 Mcneil-Ppc, Inc. Adhesive closure system for disposable diapers
US4556146A (en) * 1984-02-08 1985-1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dividually packag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4944735A (en) * 1984-02-21 1990-07-31 Kimberly-Clark Corporation Shaped napkin with elasticized edges
US4615696A (en) * 1984-04-30 1986-10-07 Kimberly-Clark Corporation Sanitary napkin with folded cover
US4605404A (en) * 1985-01-16 1986-08-12 Sneider Vincent R Disposable pad for panty hose
US4608047A (en) * 1985-05-28 1986-08-26 Personal Products Company Sanitary napkin attachment means
US4596570A (en) * 1985-08-29 1986-06-24 Personal Products Company Napkin with extendable tabs
US4701174A (en) * 1985-09-06 1987-10-20 Kimberly-Clark Corporatio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ngled direction stretchable outer cover
US4701171A (en) * 1985-09-06 1987-10-20 Kimberly-Clark Corporatio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zoned stretchable outer cover
US4756709A (en) * 1985-09-06 1988-07-12 Kimberly-Clark Corporatio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3-section stretchable outer cover
US4704114A (en) * 1985-09-06 1987-11-03 Kimberly-Clark Corporatio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two-direction stretchable outer cover
CA1291327C (en) * 1985-11-04 1991-10-29 Dawn Ilnicki Houghton Absorbent article having liquid impervious shelves
US4654040A (en) * 1986-02-27 1987-03-31 Personal Products Company Smooth-edged contoured sanitary napkin
US4900320C1 (en) * 1986-06-16 2001-07-03 Mcneil Ppc Inc Sanitary napkin with panty gathering flaps
US4690680A (en) * 1986-06-27 1987-09-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hesive attachment means for absorbent articles
US5135521A (en) * 1986-07-15 1992-08-04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with composite cover
FR2604621B1 (fr) * 1986-10-06 1991-09-27 Beghin Say Sa Dispositif formant serviette periodique ou similaire comportant des ailes ou volets lateraux soudes ensemble ameliorant l'etancheite laterale, de preference pourvus de plis
US4701178A (en) * 1986-12-01 1987-10-20 Personal Products, Inc. Sanitary napkins with flaps
US4747846A (en) * 1987-04-03 1988-05-31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US4936839A (en) * 1987-08-27 1990-06-26 Mcneil-Ppc, Inc. Winged napkin having cross-channeling
US4795455A (en) * 1987-08-31 1989-01-03 Personal Products Company Sanitary napkin pad liner
FR2620936B1 (fr) * 1987-09-25 1997-01-24 Kaysersberg Sa Serviette periodique ou similaire a volets lateraux impermeables aux fluides
US4857067A (en) * 1987-12-04 1989-08-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shirred ears
US4834739A (en) * 1987-12-17 1989-05-30 Kimberly-Clark Corporation External feminine protection device with skid-resistant coating for holding the device in place
JPH0793937B2 (ja) * 1988-02-19 1995-10-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使い捨て吸収性物品
US4940462A (en) * 1988-02-26 1990-07-10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with expandable flaps
US4911701A (en) * 1988-02-26 1990-03-27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having elastic shaping means
US4917697A (en) * 1988-03-31 1990-04-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having flaps and stress relief means
US5125918A (en) * 1988-04-14 1992-06-30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having an attachment system comprising biased hinges
NZ229232A (en) * 1988-06-06 1992-06-25 Mcneil Ppc Inc Sanitary napkin with flaps: single release strip covers adhesive on flap and on absorbent element
US4900319A (en) * 1988-09-29 1990-02-13 Richwine Mark H Sanitary napkin
US5151091A (en) * 1988-10-24 1992-09-29 Mcneil-Ppc, Inc. Absorbent structure having multiple canals
SG64918A1 (en) * 1989-11-01 1999-05-25 Procter & Gamble Sanitary napkin having laterally extensible means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of the wearer
US5154715A (en) * 1990-03-12 1992-10-13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clasp and a method of fastening the absorbent article to an adjacent garment
JP2889348B2 (ja) * 1990-06-07 1999-05-1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5087254A (en) * 1990-07-06 1992-02-11 Mcneil-Ppc, Inc. Absorbent products having integral transverse retaining tab and pocket
CA2049168A1 (en) * 1990-08-17 1992-02-18 Deborah Jean Parr Absorbent articles with integral release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same
CA2049240A1 (en) * 1990-08-17 1992-02-18 Thomas Joseph Luceri Absorbent articles with integral release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same
CA2048716A1 (en) * 1990-08-17 1992-02-18 William B. Mattingly, Iii Absorbent articles with integral release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5217448A (en) * 1990-08-17 1993-06-08 Mcneill-Ppc, Inc. Absorbent products having optional side panel usage
JPH04127746A (ja) * 1990-09-19 1992-04-28 Fujitsu Ltd Atm網における回線情報遅延差吸収方式
WO1992017130A1 (en) * 1991-03-29 1992-10-15 Patrick Aebischer Local immunosuppression by polymer release of defined combinations of immunosuppressants
FR2675687B1 (fr) * 1991-04-29 1998-10-23 Kaysersberg Sa Serviette periodique a soufflets lateraux.
MA22660A1 (fr) * 1991-10-01 1993-04-01 Procter & Gamble Article absorbant comportant des rabats et des zones d'extensibilite differentielle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706B1 (ko) * 2001-07-12 2009-07-07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생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14664D1 (de) 1997-11-20
EP0675704B2 (en) 2003-06-25
CZ284191B6 (cs) 1998-09-16
EG20272A (en) 1998-05-31
FI953105A (fi) 1995-06-21
US5330461A (en) 1994-07-19
NO952523L (no) 1995-06-22
NO952523D0 (no) 1995-06-22
AU691498B2 (en) 1998-05-21
MX9400028A (es) 1994-07-29
HK1003824A1 (en) 1998-11-06
PE3895A1 (es) 1995-02-13
EP0675704B1 (en) 1997-10-15
KR950703916A (ko) 1995-11-17
AU6809394A (en) 1994-07-19
FI953105A0 (fi) 1995-06-21
JPH08504640A (ja) 1996-05-21
HU218523B (hu) 2000-09-28
SG52355A1 (en) 1998-09-28
DK0675704T3 (da) 1997-11-03
NO304676B1 (no) 1999-02-01
ES2108972T3 (es) 1998-01-01
HUT71927A (en) 1996-02-28
CZ164795A3 (en) 1995-11-15
CA2151718C (en) 2000-02-01
ATE159168T1 (de) 1997-11-15
TW297272U (en) 1997-02-01
WO1994014398A2 (en) 1994-07-07
DE69314664T2 (de) 1998-02-12
MY110176A (en) 1998-02-28
TR27497A (tr) 1995-06-07
CN1090486A (zh) 1994-08-10
EP0675704A1 (en) 1995-10-11
MA23063A1 (fr) 1994-07-01
BR9307716A (pt) 1999-08-31
WO1994014398A3 (en) 1995-02-02
ES2108972T5 (es) 2004-03-16
PH30291A (en) 1997-02-20
DE69314664T3 (de) 2004-08-19
GR3025067T3 (en) 1998-01-30
HU9501824D0 (en) 1995-08-28
CA2151718A1 (en) 199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638B1 (ko) 선택적측면플랩을갖는흡수제품
KR100295522B1 (ko) 끼워진(tucked)플랩을갖는흡수제품
KR100253773B1 (ko) 플랩 및 차별적 신장성 대역을 갖는 흡수성 위생 제품
JP4938095B2 (ja) フラップ及び応力軽減手段を有する生理用ナプキン
KR100305100B1 (ko) 날개지지부분에접합된점착분리물을갖는흡수물품
US5860965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leasable adhesive patch
US5520676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unitary release member joined to a flap retaining member
US5578026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unitary release material
KR100322306B1 (ko) 자가이형가능한접착성고정수단을갖는흡수제품
KR100322305B1 (ko) 이형가능한접착성패치를갖는흡수제품
US5743897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self releasable adhesive securement means
KR100305388B1 (ko) 주름겹단이있는플랩을가진흡수제품
JP3468769B2 (ja) 一体の剥離材料を有する吸収体物品
JPH08510668A (ja) 側部フラップに接合された一体剥離部材を有する吸収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