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587B1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587B1
KR100287587B1 KR1019990006427A KR19990006427A KR100287587B1 KR 100287587 B1 KR100287587 B1 KR 100287587B1 KR 1019990006427 A KR1019990006427 A KR 1019990006427A KR 19990006427 A KR19990006427 A KR 19990006427A KR 100287587 B1 KR100287587 B1 KR 100287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orage chamber
closing
pedal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487A (ko
Inventor
가마타니가즈마사
요시미가즈요시
후지이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7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Abstract

회전브러시의 회전동작의 전환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공기를 터빈팬(33)을 경유해서 흡인하는 안내유로(34)와, 터빈팬(33)을 경유하지 않고 흡인하는 우회유로와, 우회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42)를 구비하고 개폐기구(42)에 흡입구본체(23)의 외면에 노출되어서 사용자의 발로 밟는 조작을 하게 되는 페달(34)을 설치한 전기청소기.

Description

전기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터빈팬(turbine fan)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브러시를 갖는 바닥용 흡입구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런 종류의 바닥용 흡입구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6-31967호 공보(A47L9/0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본체내에 흡입구를 갖는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격벽에 형성된 통기구멍을 형성하여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연이어 통하는 터빈수납실을 형성하고, 회전브러시 수납실에 회전브러시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터빈수납실에 전기청소기의 흡인기류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브러시를 회전구동시키는 터빈팬을 수납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터빈수납실을 연이어 통하는 통기구멍을 셔터에 의해 폐쇄시키므로써 터빈팬에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마루바닥이나 다다미 등의 청소시에 회전브러시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셔터는 조작손잡이를 바닥용 흡입구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슬라이드 이동해서 통기구멍을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를 굽혀서 조작하거나, 혹은 바닥용 흡입구를 들어올려서 조작할 필요가 있고 조작성이 나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회전브러시의 회전동작의 전환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청소기본체 직립(up-right)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
도 2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
도 3은 바닥용 흡입구의 가로단면도
도 4는 동 세로단면도
도 5는 다른 부분의 세로단면도
도 6은 다른 부분의 세로단면도
도 7은 다른 부분의 세로단면도
도 8은 바닥용 흡입구의 상면도
도 9는 동 저면도
도 10은 청소기본체의 하면을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은 청소기본체와 지주용파이프와의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 12는 지주용파이프 등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13은 직립형으로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청소기본체를 지주용 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청소기본체의 편리형으로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청소기본체 8. 가요성호스
11. 지주용파이프 23. 흡입구본체
26. 요동관 27. 접속관
30. 회전브러시 수납실 31. 흡입구
32. 회전브러시 34. 터빈팬
35. 안내유로 36. 통기로
39. 연통로 41. 개방구부
42. 통기구멍 43. 개페기구
44. 페달 45. 회전축
46. 폐쇄부 47. 레버
48. 통기구멍개폐부 49. 개방구 개폐부
본 발명의 제1의 수단은 회전브러시 수납실을 갖는 흡입구본체와, 상기한 흡입구본체 저면에 형성되는 흡입구에 면하게 해서 회전브러시 수납실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브러시와, 상기한 흡입구본체에 설치되고 회전브러시 수납실에 연이어 통함과 동시에, 청소기본체에 접속되는 접속관과, 상기한 흡입구본체내의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접속관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브러시를 회전구동시키는 터빈팬과, 상기한 회전브러시 수납실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를 터빈팬을 경유해서 접속관에 도입하는 안내유로와, 상기한 회전브러시 수납실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를 터빈팬을 경유하지 않고 접속관에 도입하는 우회(by pass)유로와, 상기한 우회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를 구비하고 상기한 개폐기구를 흡입구본체 외면으로 노출시켜서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페달과, 그 페달에 연동해서 우회유로를 개방시키는 위치와 폐쇄하는 위치로 요동하는 폐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우회유로에 회전브러시 수납실에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개폐기구에는 페달에 연동해서 개방구부를 개폐시키는 개방구 개폐부를 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한 터빈수납실내에 안내유로에 인접해서 통기로를 형성하고, 터빈수납실에 인접해서 터빈수납실과의 격벽에 통기구멍을 형성하여 연이어 통하고,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통기로를 연이어 통하는 연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개폐기구에는 이 연통로에 배치되어서 페달에 연동해서 요동하고, 통기구멍을 개폐시키는 통기구멍개폐부를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의 수단은 전동송풍기를 내장시킴과 동시에, 집진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그 청소기본체에 접속되고 집진실에 연이어 통하는 가요성호스와, 그 가요성호스에 접속되고 상기한 청소기본체를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시키는 지주용파이프와, 그 지주용파이프에 접속되고 회전브러시 수납실을 갖는 흡입구본체와, 상기한 흡입구본체 저면에 형성되는 흡입구에 면하게 해서 회전브러시 수납실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브러시와, 상기한 흡입구본체내에 배치되고 회전브러시를 회전구동시키는 터빈팬과, 회전브러시 수납실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를 터빈팬을 경유해서 지주용파이프에 도입하는 안내유로와, 상기한 회전브러시 수납실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를 터빈팬을 경유하지 않고 지주용파이프로 도입하는 우회유로와, 상기한 우회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를 구비하고, 상기한 개폐기구를 흡입구본체 외면으로 노출시켜서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페달과, 그 페달에 연동해서 우회유로를 개방시키는 위치와 폐쇄시키는 위치로 요동하는 폐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우회유로에 회전브러시 수납실에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개폐기구에는 페달에 연동해서 개방구부를 개폐시키는 개방구 개폐부를 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한 터빈수납실내에 안내유로에 인접해서 통기로를 형성하고, 터빈수납실에 인접해서 터빈수납실과의 격벽에 통기구멍을 거쳐서 연이어 통하고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통기로를 연이어 통하는 연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개폐기구에는 연통로에 배치되어서 페달에 연동해서 요동하여 통기구멍을 개폐시키는 통기구멍 개폐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한 페달과 일체적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직립상태로 된 청소기본체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를 설치해도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해서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전기청소기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를 지주용파이프(9)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시키는 것에 의한 직립형으로서의 사용상태(도 1, 도 2, 도 13참조), 청소기본체를 지주용파이프로부터 떼어낸 사용상태(도 14참조), 청소기본체(1)만으로 사용하는 편리형으로서의 사용상태(도 15참조)의 3가지의 사용상태를 취할 수 있는 겸용형의 전기청소기이다.
(1)은 청소기본체로서, 내부에 집진실 및 전동송풍기를 수납시키는 전동송풍기 수납실(어느것도 도시생략)을 갖고 있다.
(2)는 상기한 청소기본체(1)의 전면에 형성되는 흡기구로서, 후술하는 가요성호스(6)가 탈착이 자유롭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3)은 청소기본체(1)의 전면하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로서, 후술하는 지주용파이프(11)의 갈고리체(18)가 걸어맞춤과 떼어냄이 자유롭게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4)는 청소기본체(1)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부로서, 후술하는 흡입구본체(23)의 요동관(26)에 형성된 볼록부(28)에 걸어맞춤과 떼어냄이 자유롭게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5)는 청소기본체(1)의 배면에 형성된 조작돌기부로서, 직립형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청소기본체(1)를 직립시켰을 때에 후술하는 개폐기구(43)의 레버(47)를 압축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6)은 청소기본체(1)의 배면에 형성된 평탄부로서, 직립형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후술하는 접속관(27)에 형성된 평탄부(29)에 맞닿고 요동관(26)에 대한 접속관(27)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7)은 청소기본체(1)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로서, 이 손잡이(5)를 잡아서 청소기본체(1)를 들어나르도록 되어 있다.
(8)은 사행상의 호스부(9)를 갖는 가요성호스로서, 호스부(9)의 일단에 상기한 청소기본체(1)의 흡기구(2)에 탈착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접속파이프(10)를 가짐과 동시에, 타단이 후술하는 지주용파이프(11)의 손잡이파이프(12)에 탈착이 자유롭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11)은 지주용파이프로서, 상기한 가요성호스(8)의 타단이 탈착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손잡이파이프(12), 손잡이파이프(12)가 탈착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1의파이프(13), 제1의 파이프(13)에 탈착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제2의 파이프(14)로 구성되어 있다.
(15)는 상기한 손잡이파이프(1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손잡이로서, 도 13에 나타내는 직립형으로서의 사용상태시 및 도 14에 나타내는 청소기본체(1)를 지주용파이프(11)로부터 떼어낸 사용상태시에 사용자는 손잡이(15)를 잡아서 밀고 당기는 조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16)은 상기한 제1의 파이프(13)에 설치된 전원코드를 권취하기 위한 코드후크(code hook)로서, 이 코드후크(16)에는 코드후크(16)간에 부속품(17)을 탈착이 자유롭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18)은 상기한 제2의 파이프(14)에 설치된 클램프(clamp)로서, 상기한 청소기본체(1)의 걸어맞춤부(3)에 걸어맞추고 떼어내는 것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지는 갈고리체(19)를 갖고 있고, 갈고리체(19)에 형성한 조작부(20)를 조작해서 갈고리체(19)의 걸어맞춤부(3)에의 걸어맞춤을 떼어내도록 되어 있다.
(21)은 상기한 제2의 파이프(14)에 설치된 유지부로서, 부속품(22)을 탈착이 자유롭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23)은 흡입구본체로서, 상부케이스(24) 및 하부케이스(25)와, 상부케이스(24) 및 하부케이스(25)와의 사이에 끼워갖게 된 흡입구본체(23)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로운 요동관(26)과 요동관(26)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한 제2의 파이프(14)의 단말부가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접속관(27)을 갖고 있다.
(28)은 상기한 요동관(26)에 일체로 형성된 볼록부로서, 청소기본체(1)의 오목부(4)에 걸어맞춤과 떼어냄이 자유롭게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고, 볼록부(28)가 오목부(4)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갈고리체(19)가 청소기본체(1)의 걸어맞춤부(3)에 걸어맞추어져서 청소기본체(1)를 지주용파이프(11)에 일체적으로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29)는 상기한 접속관(27)에 형성된 평탄부로서, 청소기본체(1)의 배면에 형성된 평탄부(6)에 맞닿고, 요동관(26)에 대한 접속관(27)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30)은 상기한 흡입구본체(1)내의 전면부에 형성된 회전브러시 수납실로서, 흡입구본체(23)의 저면에 흡입구(31)가 개방되어 있다.
(32)는 상기한 흡입구(31)에 면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브러시 수납실(30)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는 회전브러시로서, 후술하는 터빈팬(34)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33)은 상기한 흡입구본체(23)내의 회전브러시 수납실(30)과 요동관(26)과의 사이에 구획형성되는 터빈수납실로서, 그 터빈수납실(33)의 한쪽에 터빈팬(34)이 수납됨과 동시에, 터빈팬(34)에의 안내유로(35)가 구획형성되어 있다.
(36)은 터빈수납실(33)내에 안내유로(35)에 인접해서 형성되는 통기로이다.
(37)은 상기한 회전브러시 수납실(30)과 터빈수납실(33)을 구획하는 격벽(38)의 안내유로(35)에 연이어 통하는 위치에 형성된 연통구멍으로서, 청소기본체(1)의 구동에 의해 흡입구(31)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를 회전브러시 수납실(30), 연통구멍(37), 안내유로(35), 터빈팬(34), 요동관(26) 등을 거쳐서 청소기본체(1)로 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39)는 상기한 터빈수납실(33)의 통기로(36)측의 측면벽(40)에 인접해서 형성되는 연통로로서, 개방구부(41)를 거쳐서 회전브러시 수납실(30)에 연이어 통함과 동시에, 측면벽(40)에 형성한 통기구멍(42)을 거쳐서 터빈수납실(33)의 통기로(36)에 연이어 통하고 있고, 연통로(39)와 통기로(36)에 의해 우회유로를 구성하고, 우회유로를 거쳐서 흡인하므로써 흡입구(31)로부터 흡인한 공기의 대부분을 터빈팬(34)을 통과시키지 않고 청소기본체(1)로 흡인하고 터빈팬(34)의 회전력을 저하시켜서 회전브러시(32)를 거의 정지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43)은 상기한 우회통로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로서, 흡입구본체(23)의 상면에 면하고 사용자에 의해 발로 밟는 조작으로써 요동하는 페달(44)과 페달(44)에 회전축(45)에 의해 연결되는 폐쇄부(46)와 상기한 회전축(45)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서 흡입구본체(23)의 상면에 면하고 청소기본체(1)의 직립시 청소기본체(1)의 배면에 돌출형성된 조작볼록부(5)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4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폐쇄부(46)는 통기구멍(42)을 개폐시키는 통기구멍 개폐부(48)와 통기구멍 개폐부(48)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고, 개방구부(41)를 개폐시키는 개방구 개폐부(49)로 구성되어 있고, 폐쇄부(46)에 의해 개방구부(41)와 통기구멍(42)의 양쪽을 폐쇄시키므로써 회전브러시(32)의 회전에 의해 개방구부(41)를 거쳐서 연통로(39)내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회유로를 경유해서 청소기본체(1)내에 흡인되는 공기의 누설을 극력 저감시켜서 흡진능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50)은 상기한 회전축(45)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돌기로서, 탄성용수철(51)의 한쌍의 오목부(52)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추어지고, 폐쇄부(46)를 통기구멍 개폐부(48) 및 개방구 개폐부(49)가 통기구멍(42) 및 개방구부(41)를 폐쇄시키는 위치와 통기구멍(42) 및 개방구부(41)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53)은 상기한 흡입구본체(23)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전면차륜, (54)는 흡입구본체(23)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후면차륜이다.
이렇게 해서 직립형으로서의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요동관(26)에 형성한 볼록부(28)에 청소기본체(1)의 오목부(4)를 끼워맞추고 클램프(18)의 갈고리체(19)를 청소기본체(1)의 걸어맞춤부(3)에 걸어맞춘다.
이 상태에서는 청소기본체(1)의 평탄부(6)가 접속관(27)의 평탄부(29)에 맞닿고 요동관(26)에 대한 접속관(27)의 회전을 저지하고 청소조작시에 있어서, 접속관(27)이 부주의로 회전하는 불합리함을 해소하고 있다.
융단 등, 회전브러시(32)를 필요로 하는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페달(44)을 발로 밟는 조작으로 도 5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시키고 폐쇄부(46)를 도 4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구멍 개폐부(48)및 개방구 개폐부(49)가 통기구멍(42) 및 개방구부(41)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는 도 6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45)에 설치한 위치결정용돌기(50)가 탄성용수철(51)의 오목부(52)에 걸어맞추어지므로써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청소기본체(1)에 내장된 전동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구본체(23)의 흡입구(31)로부터 흡인된 공기는 회전브러시 수납실(30)로부터 연통구멍(37), 안내유로(35)를 경유해서 터빈팬(34)에 이르고, 터빈팬(34)을 고속회전시켜서 요동관(26)으로부터 청소기본체(1)로 흡인된다.
터빈팬(34)의 회전은 벨트(55)를 거쳐서 회전브러시(32)에 전달되고 회전브러시(32)를 고속회전시킨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는 개방구부(41)를 폐쇄부(46)의 개방구 개폐부(49)에 의해 폐쇄시키고 있으므로 회전브러시(32)에 의해 긁어올려진 먼지 등이 연통로(39)내로 들어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청소동작 종료 후에 운반할 때에 연통로(39)내에 채인 먼지 등이 낙하해서 바닥면을 오염시키는 불합리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 폐쇄부(46)의 통기구멍개폐부(48)가 통기구멍(42)을 연통로(39)측으로부터 폐쇄시키므로 청소기본체(1)의 흡인력에 의해 통기구멍 개폐부(48)가 통기구멍(42)의 둘레가장자리에 밀접되고, 우회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극력 저감된다.
상기한 직립형으로서의 사용상태시, 청소동작 중에 의자 등을 피하는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를 직립상태로 하면 청소기본체(1)의 배면에 형성한 조작돌기부(5)에 의해 레버(47)가 조작되고, 폐쇄부(46)가 도 4 중, 2점사슬금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구멍 개폐부(48)및 개방구 개폐부(49)가 통기구멍(42) 및 개방구부(41)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회전한다.
이 상태는 도 6 중, 2점사슬금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45)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돌기(50)가 탄성용수철(51)의 오목부(52)에 걸어맞추어지므로써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회전브러시 수납실(30)로부터 연통구멍(37), 안내유로(35)를 경유해서 터빈팬(34)을 통과하는 유로와 개방구부(41), 연통로(39), 통기구멍(42), 통기로(36)를 경유하는 우회유로가 형성되지만 터빈팬(34)을 통과하는 유로는 터빈팬(34)이 저항이 되어서 공기가 흐르기 어렵게 되고, 대부분의 공기는 우회유로로 흐른다.
따라서, 터빈팬(34)을 통과하는 공기는 적고, 터빈팬의 회전력이 약하기 때문에 회전브러시(32)가 저항이 되어서 터빈팬(34)은 회전이 정지되고 회전브러시(32)도 회전이 정지된다.
한편, 마루바닥이나 다다미 등의 회전브러시(32)를 필요로 하지 않는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페달(44)을 발로 밟는 조작을 해서 도 5 중, 2점사슬금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회전시키고, 폐쇄부(46)를 도 4중 2점사슬금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구멍개폐부(48)및 개방구 개폐부(49)가 통기구멍(42) 및 개방구부(41)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는 도 6 중, 2점사슬금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45)에 설치한 위치결정용돌기(50)가 탄성용수철(51)의 오목부(52)에 걸어맞추어지므로서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청소기본체(1)의 직립상태와 마찬가지로 회전브러시(32)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형태는 청소기본체(1)를 지주용파이프(11)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시키는 것에 의한 직립형으로서의 사용상태, 청소기본체(1)를 지주용파이프(11)로부터 떼어낸 사용상태, 청소기본체(1)만으로 사용하는 편리형으로서의 사용상태의 3가지 사용상태를 취할 수 있는 겸용형의 전기청소기로 했으나, 이른바 직립형의 전기청소기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페달을 발로 밟아 조작하므로써 회전브러시의 정지, 회전을 전환할 수 있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페달을 발로 밟아 조작하므로써 회전브러시의 정지, 회전을 전환할 수 있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회전브러시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우회유로에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해서 우회유로내로 먼지 등이 채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페달을 발로 밟아 조작하므로써 회전브러시의 정지, 회전을 전환할 수 있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회전브러시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우회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극력 저감시킬 수 있고, 회전브러시의 회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상태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특히 직립형으로서의 사용상태시에 있어서, 페달을 발로 밟아 조작하므로써 용이하게 회전브러시의 정지, 회전을 전환할 수 있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상태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특히 직립형으로서의 사용상태시에 있어서, 페달을 발로 밟아 조작하므로써 용이하게 회전브러시의 정지, 회전을 전환할 수 있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회전브러시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우회유로에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해서 우회유로내로 먼지 등이 채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상태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특히 직립형으로서의 사용상태시에 있어서, 페달을 발로 밟아 조작하므로써 용이하게 회전브러시의 정지, 회전을 전환할 수 있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회전브러시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우회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극력 저감시킬 수 있고, 회전브러시의 회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본체를 직립시켰을 때에 청소기본체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일이 없이 터빈팬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브러시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고, 청소중에 물건을 이동시킬 때의 운전중단시에 있어서의, 융단 등의 상처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7)

  1. 회전브러시 수납실을 갖는 흡입구본체와, 상기한 흡입구본체 저면에 형성되는 흡입구에 면하게 해서 회전브러시 수납실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브러시와, 상기한 흡입구본체에 설치되며 회전브러시 수납실에 연이어 통함과 동시에, 청소기본체에 접속되는 접속관과, 상기한 흡입구본체내의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접속관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브러시를 회전구동시키는 터빈팬과, 상기한 회전브러시 수납실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를 터빈팬을 경유해서 접속관으로 도입하는 안내유로와, 상기한 회전브러시 수납실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를 터빈팬을 경유하지 않고 접속관으로 도입하는 우회유로와, 상기한 우회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를 구비하고, 상기한 개폐기구를 흡입구본체 외면으로 노출시켜서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페달과, 그 페달에 연동해서 우회유로를 개방시키는 위치와 폐쇄시키는 위치로 요동하는 폐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우회유로에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개폐기구에는 페달과 연동해서 개방구부를 개폐시키는 개방구 개폐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터빈수납실내에 안내유로에 인접해서 통기로를 형성하고, 터빈수납실에 인접해서 터빈수납실과의 격벽에 통기구멍을 형성하여 연이어 통하고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통기로를 연이어 통하는 연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개폐기구에는 상기한 연통로에 배치되어서 페달에 연동해서 요동하고 통기구멍을 개폐시키는 통기구멍 개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 전동송풍기를 내장함과 동시에, 집진실을 갖는 청소기본체와, 그 청소기본체에 접속되고 집진실에 연이어 통하는 가요성호스와, 그 가요성호스에 접속되고 상기한 청소기본체를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지주용파이프와, 그 지주용파이프에 접속되고 회전브러시 수납실을 갖는 흡입구본체와, 상기한 흡입구본체 저면에 형성되는 흡입구에 면하게 해서 회전브러시 수납실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브러시와, 상기한 흡입구본체내에 배치되고 회전브러시를 회전구동시키는 터빈팬과, 회전브러시 수납실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를 터빈팬을 경유해서 지주용파이프에 도입하는 안내유로와, 상기한 회전브러시 수납실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를 터빈팬을 경유하지 않고 지주용파이프로 도입하는 우회유로와, 상기한 우회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를 구비하고, 상기한 개폐기구를 흡입구본체 외면으로 노출시켜서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페달과, 그 페달에 연동해서 우회유로를 개방시키는 위치와 폐쇄하는 위치로 요동하는 폐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우회유로에 회전브러시 수납실에 연이어 통하는 개방구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개폐기구에는 페달에 연동해서 개방구부를 개폐시키는 개방구 개폐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터빈수납실내에 안내유로에 인접해서 통기로를 형성하고, 터빈수납실에 인접해서 터빈수납실과의 격벽에 통기구멍을 형성하여 연이어 통하고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통기로를 연이어 통하는 연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한 개폐기구에는 연통로에 배치되어서 페달에 연동해서 요동하여 통기구멍을 개폐시키는 통기구멍개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페달과 일체적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흡입구본체에 대해서 직립상태로 된 청소기본체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19990006427A 1998-03-03 1999-02-26 전기청소기 KR100287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50669A JPH11244205A (ja) 1998-03-03 1998-03-03 電気掃除機
JP10-050669 1998-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487A KR19990077487A (ko) 1999-10-25
KR100287587B1 true KR100287587B1 (ko) 2001-04-16

Family

ID=1286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427A KR100287587B1 (ko) 1998-03-03 1999-02-26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1244205A (ko)
KR (1) KR100287587B1 (ko)
CN (1) CN1131007C (ko)
TW (1) TW42208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036B1 (ko) * 2003-02-21 2010-03-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터빈브러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487A (ko) 1999-10-25
CN1233451A (zh) 1999-11-03
JPH11244205A (ja) 1999-09-14
CN1131007C (zh) 2003-12-17
TW422083U (en) 200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010B2 (en) Dirt collecting system for a floor care appliance
US7418764B2 (en) Mode control arrangement for a floor care appliance
KR100849778B1 (ko) 전기청소기 및 그 흡입구체
JP2003204904A (ja) 電気掃除機
EP1468637B1 (en) Suction cleaner
KR20060011527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1216909B1 (ko) 전기 진공 청소기
KR100287587B1 (ko) 전기청소기
JP2002165733A (ja) 床用吸込具
JP2002000512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H08275910A (ja) 電気掃除機
JP2018075187A (ja) 電気掃除機
JPH01166729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359417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03144358A (ja) 電気掃除機
JPH11244203A (ja) 電気掃除機
JPS6346057Y2 (ko)
KR200159657Y1 (ko) 업라이트청소기의 더스트커버설치구조
JPS5814926Y2 (ja) じゅうたん洗浄掃除機
KR200372947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205466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366787Y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S6232506Y2 (ko)
JPH0335246Y2 (ko)
JP2002065523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