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010B1 -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압출장치 및 이를 사용한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압출장치 및 이를 사용한 도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87010B1 KR100287010B1 KR1019980705153A KR19980705153A KR100287010B1 KR 100287010 B1 KR100287010 B1 KR 100287010B1 KR 1019980705153 A KR1019980705153 A KR 1019980705153A KR 19980705153 A KR19980705153 A KR 19980705153A KR 100287010 B1 KR100287010 B1 KR 1002870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sliding
- plate
- substrate
- slide shaf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1) 위에 2액반응 경화형재료를 각각 수납한 양 튜브 (2) 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경동되는 누름판 (12) 을 설치하고, 기판 (1) 의 하면측에 설치한 그립부 (8) 를 쥐고 이 그립부 (8) 의 전방에 위치하는 레버부 (9) 를 잡아당김으로써 누름판 (12) 을 하방으로 경동시켜 양 튜브 (2) 를 눌러 양 재료를 동시에 압출시킬 수 있도록한 압출장치 (C), 및 이 압출장치 (C) 에 설치되며, 또한 양 튜브 (2) 에 접속되어 양 튜브 (2) 로부터 압출된 양 재료를 합류시켜 토출하는 노즐부 (B) 를 설치한 도포장치 (A)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종래,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대표예인 2액 접착제의 압출장치 및 이 압출장치를 사용한 도포장치로서는, 평행하게 상호대향하는 3 장의 누름판 사이에 2액형 접착제의 2 개의 튜브를 끼워넣고, 중앙부를 경계로 역나사로 된 나사봉을 상기 3 장의 누름판에 관통시킴과 동시에 외측의 2 장의 누름판의 나사구멍과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나사봉을 돌려 외측의 2 장의 누름판 사이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양 튜브에서 동시에 접착제를 압출할 수 있는 압출장치와, 이 압출장치를 사용하고 각 튜브에 접속된 노즐부를 설치하여, 압출된 양 접착제를 노즐부에서 합류시켜 토출시킬 수 있는 도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2-138183 호).
또한, 따로따로 2액형 접착제를 수납한 2 개의 실린더상 카트리지와, 그립부, 레버부 및 각각 선단에 피스톤상 압출부를 갖는 2 개의 압출 로드를 구비한 압출장치와, 이 압출장치를 사용하고 카트리지의 선단에 접속된 노즐부를 설치하여 2 개의 압출 로드를 후방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2 개의 카트리지를 압출장치에 장착하고, 그립부를 쥐고 레버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압출부에 의해 각 카트리지내의 접착제를 노즐부에 압출 합류시켜 토출할 수 있도록 한 도포장치도 공지되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5-80563 호).
그러나, 상기 튜브로부터 접착제를 압출하는 압출장치 및 이를 사용한 도포장치의 경우에는, 장치 자체를 한쪽 손으로 잡고 다른 쪽 손으로 나사봉을 돌려 접착제를 토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에 양손을 사용해야만 한다. 또한, 나사봉을 돌릴 때에 압출장치가 흔들려 접착제가 소정의 토출위치를 벗어나기 쉬우므로 작업성이 나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접착제를 압출하는 압출장치 및 이를 사용한 도포장치의 경우에는, 2액형 접착제를 전용 카트리지에 수납한 것을 별도로 제조하거나, 일반적으로 튜브가 장착되어 시판되고 있는 2액형 접착제를 전용 카트리지에 채워 넣어 사용할 필요가 있다. 2액형 접착제를 전용 카트리지에 수납한 것을 별도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 실린더로 기능하는 카트리지 부분이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튜브에 비하여 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채워넣는 일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렴하게 보급되어 있는 튜브-장착 2액반응 경화형재료를 튜브가 장착된 상태로 한손으로 압출할 수 있는 압출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 압출장치를 사용한 도포장치로써 도포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그립부와 이 그립부의 전방의 레버부를 그의 하면측에 가지며, 또한 각각의 마우스부가 전방으로 향해 있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튜브들을 그의 상면 위에 갖는 기판과 ; 그의 후단이 상기 기판의 후단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기판 위에서 상하로 경동 (傾動)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양 튜브의 몸통부를 기판과의 사이에 유지하고 있는 누름판과 ; 상기 레버부를 잡아당기는 힘을, 상기 누름판을 하방으로 경동시키는 힘으로서 누름판에 전달하는 누름판 경동수단을 포함하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압출장치와, 이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압출장치에 있어서, 기판상의 양 튜브의 마우스부에 접속되어, 양 튜브로부터 압출된 양 재료를 합류시켜 토출하는 노즐부를 설치한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도포장치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압출장치에 의하면, 한손으로 그립부를 쥐고 레버를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2 개의 튜브를 기판과 누름판 사이에 끼워넣어 압압할 수 있으므로, 양 튜브로부터 동시에 재료들을 압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치에 의하면, 한손만으로의 조작에 의해 양 재료를 합류시키면서 노즐부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도포작업이 용이하고 편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 (A) 의 측면도이고, 도 2 는 그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도포장치 (A) 는, 노즐부 (B) 와, 압출장치 (C) 를 포함한다.
먼저, 노즐부 (B) 에 대하여 설명한다.
노즐부 (B) 는, 압출장치 (C) 의 기판 (1) 상에 위치하는 2 개의 튜브 (2) 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어, 각 튜브 (2) 로부터 압출된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각 재료를 합류시켜 토출시키는 것으로서, 노즐 본체 (3) 와 유도관 (4) 으로 구성된다. 노즐 본체 (3) 는 착탈가능하게 유도관 (4) 의 선단에 접속된다. 유도관 (4) 은 그의 후단측이 2 개의 튜브 (2) 의 마우스부 (5) 를 향하여 분기되고, 분기된 각각은 튜브 (2) 에 접속된다. 이 유도관 (4) 은 각 튜브 (2) 로부터 압출된 재료를 합류시키지 않고 노즐 본체 (3) 에 유도하는 것으로서, 양 재료는 노즐 본체 (3) 에서 합류하여 토출된다.
그런데, 유도관 (4) 을 2 개의 튜브 (2) 로부터 압출된 재료를 합류시키지 않고 노즐 본체 (3) 에 유도하도록 하는 것은, 도중에 도포장치의 사용을 중단 또는 중지한 경우에도 유도관 (4) 내에서 재료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유도관 (4) 과 노즐 본체 (3) 를 1 회용으로 하거나, 또는 사용할 때마다 이들 양자를 청소한다면, 유도관 (4) 내에서 양 재료를 합류시켜도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유도관 (4) 내에서는 양 재료를 합류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노즐 본체 (3) 를 유도관 (4) 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면, 유도관 (4) 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사용후에 노즐 본체 (3) 만 청소하면 되므로 바람직하다.
유도관 (4) 과 노즐 본체 (3) 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에 의해 열화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된다. 유도관 (4) 의 구성재료로서는, 예컨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본체 (3) 의 구성재료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각 튜브 (2) 의 마우스부 (5) 와 유도관 (4) 의 접합은, 특히 도 4 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도관 (4) 의 말단에 림부 (6) 를 형성하여 이 림부 (6) 와 걸어맞춤하는 박스-너트상의 캡 (7) 을 마우스부 (5) 에 나사결합하여 조이고 유도관 (4) 의 말단면과 마우스부 (5) 의 선단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어서, 압출장치 (C)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서, 도면부호 1 은 기판이고, 기판 (1) 의 하면측에는 그립부 (8) 와, 이 그립부 (8) 의 전방에 위치하는 레버부 (9) 가 형성된다. 레버부 (9) 는 후술하는 누름판 경동수단 (10) 과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판 (1) 위에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2 개의 튜브 (2) 가 각각의 마우스부 (5) 를 전방으로 향하여 두고서 지지되어 있다.
기판 (1) 위에는, 후단이 기판 (1) 의 후단에 접판 (hinge : 11) 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기판 (1) 위에서 상하로 경동할 수 있는 누름판 (12) 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누름판은 기판 (1) 과의 사이에 양 튜브 (2) 의 몸통부 (13) 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레버부 (9) 의 전방에는 그립부 (8) 및 레버부 (9) 와 일체로 누름판 경동수단 (10) 이 설치된다. 이 누름판 경동수단 (10) 은, 상단부가 누름판 (12) 의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유격을 갖고 접속된 슬라이드축 (14) 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누름판 경동수단 (10) 은, 레버부 (9) 를 잡아당겼을 때에 슬라이드축 (14) 을 끌어내림으로써 누름판 (12) 을 하방으로 경동시키는 작동을 하는 것이다. 즉, 레버부 (9) 의 잡아당김과 그 해제를 반복하여 슬라이드축 (14) 을 단계적으로 서서히 끌어내리면, 그에 따라 누름판 (12) 은 하방으로 경동하여 결국 도 3 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1) 의 전방부 중앙부분이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 (15)를 갖도록 형성하여, 이 오목부 (15) 내에 양 튜브 (2) 의 숄더부 (16) 가 위치하도록 해두면, 통상 강성의 숄더부 (16) 가 오목부 (15) 내에 수용되므로 몸통부 (13) 를 균일하게 누르기가 쉽게 된다.
이어서, 도 5 ∼ 도 7 에 의거하여 누름판 경동수단 (10) 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누름판 경동수단 (10) 은, 상기 기판 (1) (도 1 ∼ 도 3 참조) 을 통해 하방으로 돌출한 슬라이드축 (14) 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관통한 눌러내림판 (17) 및 스토퍼판 (18) 을 갖는다.
특히, 도 5 에 명시된 바와 같이, 눌러내림판 (17) 은 그 일단측에 슬라이드축 (14) 이 관통하고 타단측의 상면에는 레버부 (9) 를 잡아당겼을 때에 하방으로 경동하는 압압핀 (19) 이 맞닿아 있으므로, 당해 눌러내림판 (17) 의 타단측은 레버부 (9) 를 잡아당겼을 때에 하방으로 압압된다. 또한, 눌러내림판 (17) 은 제 1 스프링 (20) 에 의해 상방으로 압압되고 있다. 눌러내림판 (17) 은, 이 제 1 스프링 (20) 의 압압력에 의해, 레버부 (9) 가 잡아당겨져 있지 않은 상태에는 슬라이드축 (14) 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슬라이딩 자세에 있다. 즉, 슬라이드축 (14) 을 관통시키기 위하여 눌러내림판 (17) 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이 슬라이드축 (14) 의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방향을 향한 자세가 된다.
한편, 특히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판 (18) 은 그 중간부를 슬라이드축 (14) 이 관통함과 동시에, 그 일단은 그립부 (8) 와 일체인 케이스 (21) 에 개구된 지지공 (22) 에 의해 지지되고, 그 타단은 케이스 (21) 밖으로 연장돌출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판 (18) 은 제 2 스프링 (23) 에 의해 상방으로 압압되고 지지공 (22) 에 의한 지지부분을 지점 (支点) 으로 상방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레버부 (9) 가 잡아당겨져 있지 않은 상태에는 슬라이드축 (14) 과 맞물려 슬라이드축 (14) 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맞물림 자세에 있다. 즉, 슬라이드축 (14) 을 관통시키기 위하여 스토퍼판 (18) 에 형성된 구멍은, 스토퍼판 (18) 이 상방으로 경사져 있음으로 인해 당해 구멍의 주연부가 슬라이드축 (14) 과 맞물려서 슬라이드축 (14) 의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방향을 향한 자세가 된다.
도 5 의 상태로부터 도 7 의 상태로 레버부 (9) 를 잡아당기면, 눌러내림판 (17) 의 단부가 압압핀 (19) 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짐으로써 먼저 눌러내림판 (17) 이 슬라이드축 (14) 의 관통부분을 지점 (支点) 으로 하방으로 약간 경동된다. 이 약간의 하방으로의 경동에 의해, 눌러내림판 (17) 은 상기 스토퍼판 (18) 과 동일한 맞물림 자세가 된다. 따라서, 그 이후의 눌러내림판 (17) 은 레버부 (9) 의 잡아당김에 의해 제 1 스프링 (20) 에 대항하여 슬라이드축 (14) 과 함께 눌러내려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축 (14) 의 하방으로의 슬라이딩이 개시되면, 그 때까지 맞물림 자세에 있던 스토퍼판 (18) 은 슬라이드축 (14) 의 슬라이딩과 함께 제 2 스프링 (23) 에 대항하여 약간 하방으로 경동함으로써 레버부 (9) 의 잡아당김 이전의 눌러내림판 (17) 과 동일한 슬라이딩 자세가 되어, 슬라이드축 (14) 의 하방으로의 슬라이딩을 더 허용한다. 따라서, 슬라이드축 (14) 은 레버부 (9) 의 잡아당김에 수반하여 잡아당김량에 상응하는 양만큼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누름판 (12) (도 1 ∼ 도 3 참조) 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끌어오게 된다.
필요량만큼 레버부 (9) 를 잡아당긴 후에, 레버부 (9) 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슬라이드축 (14) 을 하방으로 눌러내리는 힘이 없어지기 때문에, 스토퍼판 (18) 은 제 2 스프링 (23) 의 압압력에 의해 올려지므로 즉시 본래의 맞물림 상태로 복귀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축 (14) 을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고자 하는 힘이 지지공 (22) 에 의한 지지부분을 지점으로 스토퍼판 (18) 을 상방으로 더욱 경사지게 하여, 스토퍼판 (18) 과 슬라이드축 (14) 의 맞물림을 더욱 강하게 하므로, 슬라이드축 (14) 의 상방으로의 슬라이딩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즉, 누름판 (12) (도 1 ∼ 도 3 참조) 에 의해 압압된 튜브 (2) (도 1 ∼ 도 3 참조) 의 반발력에 의한 슬라이드축 (14) 의 복귀가 방지된다.
한편, 눌러내림판 (17) 은, 압압핀 (19) 에 의한 압압력이 해제된 결과, 제 1 스프링 (20) 에 의해 올려져, 상기 슬라이딩 자세로 복귀하고, 상기 스토퍼판 (18) 에 의해 상방으로의 슬라이딩이 저지된 슬라이드축 (14) 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본래의 위치까지 복귀한다. 이 때, 동시에 압압핀 (19) 도 올려져 레버부 (9) 를 그의 잡아당김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 (9) 를 잡아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스토퍼판 (18) 의 케이스 (21) 밖으로의 연장돌출부분을 하방으로 압압하면 스토퍼판 (18) 을 슬라이딩 자세로 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축 (14) 을 상방으로 슬라이딩시켜 누름판 (12) (도 1 ∼ 도 3 참조) 의 전단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토퍼판 (18) 의 일단은, 케이스 (21) 에 개구된 지지공 (22) 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의 경동의 지점 (支点) 이 된다. 이 지점은 지지공 (22) 이 상하방향으로 약간의 여유를 갖는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상하로 유격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해두면, 레버부 (9) 를 잡아당겼을 때에 지지공 (22) 의 하단측으로 이동한 스토퍼판 (18) 의 지점측 단부가 레버부 (9) 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였을 때에 지지공 (22) 의 상단측으로 이동한 후에, 스토퍼판 (18) 이 맞물림 자세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부 (9) 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였을 때에, 양 튜브 (2) (도 1 ∼ 도 3 참조) 의 탄성력에 의해 이 유격분만큼 누름판 (12) (도 1 ∼ 도 3 참조) 이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레버부 (9) 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한 직후의 양 튜브 (2) 내의 압력을 완화할 수 있고, 레버부 (9) 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한 후에 노즐 본체 (3) 로부터 양 재료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판 (18) 의 지점부근을 하방으로 압압하는 보조 스프링 (24) 은, 레버부 (9) 를 잡아당겼을 때에 스토퍼판 (18) 의 지점측 단부를 확실하게 지지공 (22) 의 하단측에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스토퍼판 (18) 의 지점은 스토퍼판 (18) 의 단부를 지지공 (22) 으로 지지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지는, 스토퍼판 (18) 의 상하방향에 대한 경동의 지점이 되는 것이라면, 지지공 (22) 뿐만 아니라, 축 핀 (도시하지 않음) 을 사용하여 지지하여도 된다. 축 핀을 사용하여 지지하는 경우, 축 핀을 헐겁게 장착함으로써 전술한 유격을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9 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포장치 (A′) 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도포장치 (A′) 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노즐부 (B) 와,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다른 누름판 경동수단 (10′) 을 갖는 압출장치 (C′) 로 구성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의 누름판 경동수단 (10′) 은, 레버부 (9) 를 잡아당기는 힘을 누름판 (12) 을 하방으로 경동시키는 힘으로서 상기 누름판 (12) 에 전달하는 슬라이딩판 (25) 과 톱날멈춤부 (26) 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9 에서 도 1 및 도 2 와 동일부호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슬라이딩판 (25) 은 하단이 레버부 (9) 에 연결핀 (27) 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장착되고 레버부 (9) 의 조작으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기판 (1) 및 누름판 (12) 을 관통하여 누름판 (12) 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슬라이딩판 (25) 은 전면측에 하향의 톱날부 (28) 를 갖고 있으며, 누름판 (12) 에 장착된 만곡한 판스프링 (29) 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압압된다. 또한, 슬라이딩판 (25) 의 전면측에는 누름판 (12) 에 장착된 톱날멈춤부 (26) 가 위치하며, 이 톱날멈춤부 (26) 와 슬라이딩판 (25) 의 톱날부 (28) 의 날이 맞물린다.
더 설명하면, 레버부 (9) 를 잡아당기면 슬라이딩판 (25) 은 하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때, 판스프링 (29) 에 의해 눌려 톱날부 (28) 의 날이 톱날멈춤부 (26) 와 맞물려지기 때문에, 누름판 (12) 을 하방으로 끌어내리면서 슬라이딩하고, 레버부 (9) 의 잡아당김량에 따라 양 튜브 (2) 가 눌린다. 한편, 레버부 (9) 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레버부 (9) 가 레버 스프링 (30) 의 힘에 의해 복귀하며, 이 복귀에 수반되어 슬라이딩판 (25) 이 상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이 때, 톱날부 (28) 가 하향이기 때문에, 슬라이딩판 (25) 을 판스프링 (29) 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경동시키면서 톱날부 (28) 가 톱날멈춤부 (26) 를 따라 슬라이딩하므로, 슬라이딩판 (25) 의 상방으로의 슬라이딩이 톱날멈춤부 (26) 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그런데, 레버부 (9) 를 잡아당겨 양 튜브 (2) 를 어느 정도 누르면, 누름판 (12) 은 그 이전의 상태보다 낮은 위치 (기판 (1) 에 가까운 위치) 로 경동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레버부 (9) 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여 슬라이딩판 (25) 을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슬라이딩판 (25) 은 거의 이전의 위치까지 복귀하므로, 레버부 (9) 의 잡아당김시에 톱날멈춤부 (26) 와 걸어맞춤되어 있던 톱날부 (28) 의 날보다 하방에 있는 날이 새로 톱날멈춤부 (26) 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레버부 (9) 의 잡아당김과 그 해제를 반복하는 것만으로, 서서히 양 튜브 (2) 를 눌러 2 종류의 재료를 동시에 압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하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로서는, 대표적인 2액형 접착제 외에 2액형 코킹재, 실링재, 도료 등을 들 수 있다. 2액형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아크릴계 접착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비닐 에스테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및 다른 중합반응 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2 재료의 합류가 충분치 않아도 높은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아크릴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2 재료의 충분한 혼합이 요구되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 (예컨대, 에폭시계 접착제) 에 대해서는, 고정형 믹서를 내장한 노즐 본체 (3)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아크릴계 접착제의 경우, 각 튜브 (2) 로부터 압출되는 A제 및 B제가 어느 정도 상호접촉하면 높은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2액반응 경화형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 (3) 가 편평한 토출구 (31) 를 갖도록 형성하여, 유도관 (4) 으로부터 노즐 본체 (3) 로의 양 재료 (A제 및 B제) 의 압출을 이 편평한 토출구 (31) 의 연장영역을 사이에 둔 위치에서 실시하고, 토출구 (31) 의 연장영역에서 양 재료가 겹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비용이 드는 고정형 믹서를 내장시키지 않고서도 확실한 경화를 얻을 수 있는 상태로 양 재료를 접촉시키면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토출형태를 취하는 노즐부 (B) 로서는 다음과 같은 2 가지 타입이 있다.
제 1 타입은, 도 1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제 (32a) 및 B제 (32b) 의 노즐 본체 (3) 로의 압출을 토출구 (31) 의 연장영역을 사이에 둔 위치에서 실시하고 A제 (32a) 와 B제 (32b) 가 겹친 영역을 얇은 적층물과 같은 상태로 압출하여, 경화영역 (33) 이 노즐 본체 (3) 의 토출구 (31) 의 주연부와만 접하고 노즐 본체 (3) 외의 내주면에는 접하지 않도록한 타입이다. 그리고, 경화영역 (33) 이란, A제 (32a) 와 B제 (32b) 를 노즐 본체 (3) 내에서 겹치도록 압출하였을 때에 노즐 본체 (3) 내에서 경화하는 영역을 말한다.
이 제 1 타입의 경우, 장시간의 작업 중단 또는 정지로 인해 상기 경화영역 (33) 이 경화한 후에 노즐 본체 (3) 를 유도관 (4) 에서 제거하면, 도 1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영역 (33) 은 판상으로 유도관 (4) 측에 부착하여 잔존하고, 노즐 본체 (3) 내에는 미경화된 A제 (32a) 와 B제 (32b) 만이 남은 상태가 된다. 즉, 경화영역 (33) 은 거의 노즐 본체 (3) 와 접하여 있지 않으므로 노즐 본체 (3) 에 접착되지 않으며, 경화영역 (33) 이 노즐 본체 (3) 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유도관 (4) 의 선단에 판상으로 남는 경화영역 (33) 을 떼어내어 제거함과 동시에 노즐 본체 (3) 내의 미경화된 A제 (32a) 및 B제 (32b) 를 닦아내는 것만으로, 동일 노즐 본체 (3) 를 이용하여 작업을 다시 개시할 수 있으므로, 노즐 본체 (3) 를 반복사용할 경우에 유리하다.
제 2 타입은, 도 1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타입과 동일하나, 경화영역 (33) 이 노즐 본체 (3) 의 토출구 (31) 의 주연부 뿐만 아니라 노즐 본체 (3) 의 전방 내주면과도 접하도록한 타입이다.
이 제 2 타입의 경우, 경화영역 (33) 이 경화된 후에 노즐 본체 (3) 를 유도관 (4) 에서 제거하면, 도 1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영역 (33) 이 미경화된 A제 (32a) 및 B제 (32b) 와 함께 노즐 본체 (3) 내에 부착된 상태로 제거된다. 즉, 경화영역 (33) 은 노즐 본체 (3) 의 전방 내주면과도 접하고 있으므로 노즐 본체 (3) 에 접착되게 된다. 따라서, 유도관 (4) 측에 오물이 남지 않고 새로운 노즐 본체 (3) 를 장착함으로써 작업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노즐 본체 (3) 를 1 회용으로 할 경우에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타입 및 제 2 타입 모두,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도관 (4) 의 선단면에는 편평한 토출구 (31) 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부재 (34) (돌출길이는 1 ∼ 10 ㎜ 정도가 바람직함) 를 형성해두고 토출구 (31) 의 연장영역에서의 양 재료의 겹침을 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및 도 14 는 노즐 본체 (3) 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토출구 (31) 의 하측이 토출구 (31) 에 이어지는 경사진 가이드면 (35) 으로 되어 있다. 이 가이드면 (35) 은, 도 14 에 명시된 바와 같이, 도포면 (36) 에 맞닿는 것으로서, 압출된 양 재료를 일정한 두께로 소요위치에 도포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것으로서, 한손으로 그립부 (8) 를 쥐고 레버부 (9) 를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각 튜브 (2) 로부터 2액반응 경화형재료를 압출하여 노즐부 (B) 에서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을 한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 (8) 를 쥐고 레버부 (9) 를 잡아당기는 한손으로의 작업이므로, 노즐부 (B) 의 선단을 원하는 위치를 따라 움직이면서 접착제를 토출시키는 것이 쉽고, 작업성이 뛰어나며, 또한 정확한 접착제의 도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2 개의 튜브에 따로따로 수납되어 있으며 2액형 접착제로 대표되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를 동시에 압출할 수 있는 압출장치, 및 이 압출장치에 의해 압출된 2액반응 경화형재료를 합류시킨 상태로 토출하는 노즐부를 구비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도포장치의 측면도,
도 2 는 그 평면도,
도 3 은 튜브의 몸통부를 누른 상태의 측면도,
도 4 는 튜브의 마우스부와 유도관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5 는 누름판 경동수단의 측면확대 단면도,
도 6 은 누름판 경동수단의 정면확대 단면도,
도 7 은 레버부를 잡아당긴 상태의 누름판 경동수단의 측면확대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도포장치의 일부측면도를 남긴 단면도,
도 9 는 그 평면도,
도 10 은 바람직한 노즐부 (노즐 본체 부근) 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 (a) 및 (b) 는 도 10 에 나타낸 노즐부의 제 1 타입의 설명도,
도 12 (a) 및 (b) 는 도 10 에 나타낸 노즐부의 제 2 타입의 설명도,
도 13 은 바람직한 노즐 본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 는 도 13 의 노즐 본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Claims (7)
- 그립부와 이 그립부의 전방의 레버부를 그의 하면측에 가지며, 또한 각각의 마우스부가 전방으로 향해 있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튜브들을 그의 상면 위에 갖는 기판과,그의 후단이 상기 기판의 후단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기판 위에서 상하로 경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양 튜브의 몸통부를 기판과의 사이에 유지하고 있는 누름판과,상기 레버부를 잡아당기는 힘을, 상기 누름판을 하방으로 경동시키는 힘으로서 누름판에 전달하는 누름판 경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압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 경동수단이, 기판을 관통하고 또한 그의 상단부가 누름판의 선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유격을 가지며 접속된 슬라이드축과, 기판의 하방에서 이 슬라이드축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관통하는 눌러내림판 및 스토퍼판을 가지며,상기 눌러내림판은, 제 1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압압됨으로써 상기 레버부를 잡아당기기 전에는 슬라이드축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슬라이딩 자세에 있고, 레버부를 잡아당겼을 때에는 눌러내림판의 일단부가 레버부에 의해 눌려져 하방으로 경사짐으로써 슬라이드축과 맞물려 슬라이드축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맞물림 자세가 되며, 제 1 스프링에 대항하여 슬라이드축과 함께 눌러내려지고, 레버부를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제 1 스프링의 압압력에 의해 슬라이딩 자세로 복귀하고,상기 스토퍼판은, 일단부를 지점으로 제 2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압압되어 경사짐으로써 레버부를 잡아당기기 전에는 슬라이드축과 맞물려 슬라이드축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맞물림 자세에 있고, 레버부를 잡아당겼을 때에는 슬라이드축의 하방으로의 슬라이딩과 함께 제 2 스프링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경동함으로써 슬라이드축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슬라이딩 자세가 되며, 레버부를 잡아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제 2 스프링의 압압력에 의해 맞물림 자세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압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스토퍼판의 지점에 상하로 유격이 주어져 있으며, 또한 스토퍼판의 지점부근을 하방으로 압압하는 보조 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압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 경동수단이, 누름판에 장착된 톱날멈춤부와, 이 톱날멈춤부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압압되며 하향의 톱날부를 갖는 슬라이딩판을 구비하고, 이 슬라이딩판은, 그의 하단이 레버부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레버부의 잡아당김에 수반되어 하방으로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레버부의 복귀에 수반되어 상방으로 슬라이딩하며, 또한 레버부의 잡아당김에 수반되는 하방으로의 슬라이딩시에는 톱날부가 톱날멈춤부와 맞물려 누름판을 끌어내리고, 레버부의 복귀에 수반되는 상방으로의 슬라이딩시에는 톱날부가 톱날멈춤부를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압출장치.
- 기판상의 양 튜브의 마우스부에 접속되어, 양 튜브로부터 압출된 양 재료를 합류시켜 토출하는 노즐부를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압출장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도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선단의 노즐 본체와, 양 튜브의 마우스부로부터 압출되는 양 재료를 합류시키지 않고 상기 노즐 본체에 유도하는 유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 본체는 유도관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도포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편평한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도관으로부터 상기 노즐 본체로의 양 재료의 압출은 상기 편평한 토출구의 연장영역에서 양 재료가 겹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6-318933 | 1996-11-29 | ||
JP31893396 | 1996-11-29 | ||
JP97-74720 | 1997-03-27 | ||
JP7472097 | 1997-03-27 | ||
JP97-074720 | 1997-03-27 | ||
PCT/JP1997/004354 WO1998023387A1 (fr) | 1996-11-29 | 1997-11-28 | Extrudeuse de matiere de polymerisation par reaction en deux parties et machine a enduire utilisant cette extrudeu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7022A KR19990077022A (ko) | 1999-10-25 |
KR100287010B1 true KR100287010B1 (ko) | 2001-04-16 |
Family
ID=2641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5153A KR100287010B1 (ko) | 1996-11-29 | 1997-11-28 |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압출장치 및 이를 사용한 도포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019251A (ko) |
EP (1) | EP0878243B1 (ko) |
KR (1) | KR100287010B1 (ko) |
CN (1) | CN1078107C (ko) |
DE (1) | DE69735233T2 (ko) |
TW (1) | TW515344U (ko) |
WO (1) | WO199802338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16915B1 (en) * | 1999-08-24 | 2001-04-17 | Owens-Brockway Plastic Products Inc. | Dual chamber package |
US7194847B2 (en) * | 1999-09-09 | 2007-03-27 | Sashco, Inc. | Method of filling dispensing cartridges having collapsible packages |
WO2001017869A1 (en) * | 1999-09-09 | 2001-03-15 | Sashco, Inc. | Packaging for multi-component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FR2826641B1 (fr) * | 2001-06-29 | 2003-09-05 | Oreal | Dispositif pour la distribution simultanee de deux produits conditionnes separement |
US20030136859A1 (en) * | 2002-01-18 | 2003-07-2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ethod of applying two-component pavement markings and apparatus |
US20060165020A1 (en) * | 2004-11-24 | 2006-07-27 | Allen Schultz | Audio conference system |
US20080073372A1 (en) * | 2004-12-30 | 2008-03-27 | Medmix Systems Ag | Multicomponent Dispensing Device For Liquid And Powdery Materials |
CA2666080A1 (en) * | 2009-05-14 | 2010-11-14 | Colour Revolution Inc. | Applicator |
SE534359C2 (sv) * | 2009-11-25 | 2011-07-26 | Asept Int Ab | Anordning för utmatning av flytande eller halvflytande produkter ur en hopklämbar behållare av flexibelt material |
US20110170804A1 (en) * | 2010-01-13 | 2011-07-14 | Marc Mamiye | Slide dispensing sealed pouch |
US9174775B2 (en) * | 2010-06-03 | 2015-11-03 | Elix, Llc | Actuator-driven dispenser |
WO2012094678A2 (en) * | 2011-01-07 | 2012-07-12 | United Space Structures, Inc. | Fluid extrusion space structure system |
US9085002B2 (en) * | 2011-05-19 | 2015-07-21 | Illinois Tool Works Inc. | Modular manifold adhesive gun |
DE102017112440A1 (de) | 2017-06-06 | 2018-12-06 | Shin-Etsu Silicones Europe B.V. | Gebinde und Dosiervorrichtung für viskose Materialien |
CN110801763A (zh) * | 2019-11-09 | 2020-02-18 | 山东博科生物产业有限公司 | 反应管抓取混匀装置及分析仪 |
US11084629B1 (en) * | 2021-03-25 | 2021-08-10 | Kletcher, LLC | Reusable pusher for integrated squeezable container |
US20230210317A1 (en) * | 2023-03-14 | 2023-07-06 | Shenzhen Karon Electric Technology Co., Ltd. | Full-automatic induction extrusion apparatus for emulsion and paste in tube packages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50623A (en) * | 1957-06-26 | 1960-10-05 | Pfizer & Co C | Dispensing device for collapsible tubes |
US3187951A (en) * | 1963-10-04 | 1965-06-08 | H V Hardman Co Inc | Caulking gun |
DE1486405A1 (de) * | 1965-04-15 | 1969-06-04 | H V Hardman Company Inc | Vorrichtung zum Mischen und Abgeben von Materialien |
FR1591250A (ko) * | 1968-11-05 | 1970-04-27 | ||
EP0087029A1 (de) * | 1982-02-05 | 1983-08-31 | Hans Klaus Schneider | Vorrichtung zum Mischen von Dentalmassen |
JPS62298473A (ja) * | 1986-06-18 | 1987-12-25 | Masago Sangyo Kk | 二液吐出装置 |
US4840294A (en) * | 1988-02-12 | 1989-06-20 | Illinois Tool Works Inc. | Adjustable dispensing tool |
US4805805A (en) * | 1988-02-19 | 1989-02-21 | Ocheskey Glen D | Tube dispenser |
JPH02138183U (ko) | 1989-04-22 | 1990-11-19 | ||
JPH0419909A (ja) * | 1990-05-14 | 1992-01-23 | Murata Mfg Co Ltd | 誘電体磁器組成物 |
GB9110366D0 (en) * | 1991-05-14 | 1991-07-03 | Boc Group Plc | Pressure swing adsorption apparatus |
US5217144A (en) * | 1991-10-08 | 1993-06-08 | Valco Cincinnati, Inc. | Apparatus for squeezing material from collapsible tubes |
US5195660A (en) * | 1991-12-23 | 1993-03-23 | Lekes Joseph A | Clamping type caulking gun |
US5192008A (en) * | 1992-01-23 | 1993-03-09 | Dai Shyun Enterprise Co., Ltd. | Pulling mechanism of an adhesive-dispensing gun |
JPH0580563U (ja) | 1992-01-28 | 1993-11-02 | 松下電工株式会社 | 粘性液剤押し出し機 |
JPH07163925A (ja) * | 1993-12-14 | 1995-06-27 | Washi Chuetsu Board Kk | 流動体の混合吐出用具 |
US5501374A (en) * | 1994-06-17 | 1996-03-26 | Vital Products, Co. | Device for extruding high viscosity fluid having multiple modes of operation |
-
1997
- 1997-11-28 WO PCT/JP1997/004354 patent/WO1998023387A1/ja active IP Right Grant
- 1997-11-28 US US09/101,190 patent/US6019251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1-28 CN CN97191936A patent/CN107810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1-28 DE DE69735233T patent/DE69735233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1-28 KR KR1019980705153A patent/KR10028701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11-28 EP EP97913469A patent/EP087824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1-29 TW TW090203526U patent/TW515344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515344U (en) | 2002-12-21 |
WO1998023387A1 (fr) | 1998-06-04 |
KR19990077022A (ko) | 1999-10-25 |
DE69735233T2 (de) | 2006-10-19 |
CN1209761A (zh) | 1999-03-03 |
EP0878243B1 (en) | 2006-02-08 |
US6019251A (en) | 2000-02-01 |
EP0878243A1 (en) | 1998-11-18 |
CN1078107C (zh) | 2002-01-23 |
EP0878243A4 (en) | 2004-06-09 |
DE69735233D1 (de) | 2006-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87010B1 (ko) | 2액반응 경화형재료의 압출장치 및 이를 사용한 도포장치 | |
US4198756A (en) | Manual extruder | |
US6155463A (en) | Viscous material dispenser | |
US20120046689A1 (en) | Wound Closure Material Applicator | |
US8985402B2 (en) | Cove base nozzle for dispensing applications | |
US8714409B2 (en) | Dispensing cartridge | |
JPH07241507A (ja) | 二成分配合ガン用マニホールドユニットおよび配合ガンならびにその変換キット | |
US579769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spreading flowable material upon a surface | |
US6382466B1 (en) | Device for dispensing flowable materials from a plurality of cartridge assemblies | |
JP2014221476A (ja) | 修理ノズル | |
US5456388A (en) | Thumbwheel operated metering dispenser for adhesives | |
US20100237104A1 (en) | Cove Base Nozzle for Dispensing Applications | |
EP0593510A1 (en) | Dispenser | |
JP3411802B2 (ja) | 2液反応硬化型材料の押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塗布装置 | |
US20030178446A1 (en) | Offset caulking nozzle | |
JP3273311B2 (ja) | 2液反応硬化型材料の吐出ノズル及び塗布装置 | |
EP0654419B1 (en) | Package assembly comprising a nozzle with piercing means | |
JP3300626B2 (ja) | 2液反応硬化型材料の塗布装置用ノズル部 | |
WO1990006815A1 (en) | Container nozzle guide | |
JP2022001352A (ja) | 押出しガン | |
JPH0380959A (ja) | 押出しガン用粘性材装填装置 | |
JP3230049B2 (ja) | 2液反応硬化型材料の押し出し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塗布装置 | |
US20230021810A1 (en) | Applicator for Applying Material Near the Edges of a Vehicle Door | |
JPH1085645A (ja) | 粘稠液体の押出装置 | |
WO1997038799A1 (en) | A combined fluid dispenser and cla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