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928B1 - 힌지 - Google Patents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928B1
KR100286928B1 KR1019980024926A KR19980024926A KR100286928B1 KR 100286928 B1 KR100286928 B1 KR 100286928B1 KR 1019980024926 A KR1019980024926 A KR 1019980024926A KR 19980024926 A KR19980024926 A KR 19980024926A KR 100286928 B1 KR100286928 B1 KR 100286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pair
connecting member
engag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664A (ko
Inventor
카즈요시 오오시마
신이찌로우 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가쓰야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가쓰야,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가쓰야
Priority to KR101998002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692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6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연결부재(30)의 앞쪽 끝부분과 뒤쪽 끝부분에는 긴구멍(34)(35)이 각각 형성된다. 긴구멍(34)(35)에는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이 각각 이동 가능하게 끼워 진다. 조작부재(50)의 앞쪽 끝부분에는 관통구멍(52)이 형성되고, 뒤쪽 끝부분에는 긴구멍(53)이 형성된다. 관통구멍(52)에는 걸어맞춤축(41)이 끼워진다. 조작부재(50)는 연결부재(30)에 걸어맞춤축(41)을 통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긴구멍(53)에는 걸어맞춤축(42)이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긴구멍(35)은 걸어맞춤 오목부(17)와 동일 각도로 경사지게 한다. 긴구멍(53)은 수평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힌지
본 발명은 문짝을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는 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와, 문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연결부재가 베이스부재에 연결됨으로써 문짝을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런 종류의 힌지는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따라서 다음의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연결부재의 한쪽 끝에 고정된 걸어맞춤축과 연결부재의 다른쪽 끝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레버에 의해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연결하는 것이다(미국특허 제4800621호 참조). 다른 하나는, 연결부재의 양 끝부분에 설치된 한 쌍의 걸어맞춤축을 베이스부재에 걸어 맞춤으로써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연결하는 것이다(일본 특허공개 평3-197783호 공보참조).
전자의 힌지에 있어서는, 레버를 회전 조작하면서 연결부재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반면,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연결할 때에는 반드시 걸어맞춤축을 베이스부재에 걸어맞춘 후에 레버를 베이스부재에 걸어맞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결의 순서가 일의적으로 정해져 버려서 연결순서를 바꾸는 것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레버를 베이스부재에 걸어 맞춘 후에 걸어맞춤축을 베이스부재에 걸어 맞추는 것이 불가능하다.
후자의 힌지는,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연결할 때에 한 쌍의 걸어맞춤축 중의 어느 걸어맞춤축을 베이스부재에 먼저 걸어 맞추게 하여도, 다른 걸어맞춤축을 베이스부재에 걸어 맞추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결의 순서를 적어도 2가지로 선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반면, 연결부재를 힌지부재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한 쌍의 걸어맞춤축이 연결된 조작부재를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연결부재의 분리조작을 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걸어맞춤축에 의해서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연결하는 타입의 힌지이면서, 한 쌍의 걸어맞춤축이 연결된 조작부재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b, 도 3c, 도 3d는 각각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설치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연결부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4는 조작부재를 이간 회전 시켰을 때의 후단측의 걸어맞춤축과 걸어맞춤 오목부와 연결부재의 긴구멍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a는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b, 도 8c, 도 8d는 각각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설치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연결부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제1의 변형예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제2의 변형예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제3의 변형예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부재 14a, 16a : 경사면
15, 17 : 걸어맞춤오목부 30 : 연결부재
34, 35, 53, 58 : 긴구멍 41, 42 : 걸어맞춤축
50 : 조작부재
본 발명은 몸체에 문짝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힌지이고,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의 제1, 제2의 끝부분에 한 쌍의 제1, 제2의 걸어맞춤오목부(15)(17)가 형성된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문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30)의 길이 방향의 제1, 제2의 끝부분에 각각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각각 걸거나 벗겨질 수 있도록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연결부재(30)를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제2의 걸어맞춤축(41)(42)과, 길이 방향의 제1, 제2의 끝부분에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이 각각 연결된 조작부재(50)와,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을 상기 조작부재(50)를 통해서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걸어 맞추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65)을 구비한 힌지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50)가 상기 연결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 중의 적어도 상기 연결부재(30)의 제1의 끝부분에 설치된 제1의 걸어맞춤축(42)이, 상기 제1의 걸어맞춤오목부(17)에 대해서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부재(5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적어도 상기 조작부재(50)의 제1의 끝부분과 상기 연결부재(30)의 제1의 끝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조작부재(50)의 제1의 끝부분을 상기 베이스부재(10)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제1의 걸어맞춤축(42)을 상기 제1의 걸어맞춤오목부(17)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조작부재(50)가 그 길이 방향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연결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이 상기 연결부재(30)에 상기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대해서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이 상기 조작부재(50)에 상기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대해서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재(50)가 회전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이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대해서 각각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연결부재(30)의 제1의 끝부분과 상기 조작부재(50)의 제1의 끝부분의 사이에는 이동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30)의 제2의 끝부분과 상기 조작부재(50)의 제2의 끝부분의 사이에는 제2의 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4에 나타낸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 실시예의 힌지(A)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진 베이스부재(10)와, 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문짝(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진 본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재(10)는 금속제의 판재를 프레스 성형한 것이고, 장방형의 판형상을 이루는 기판부(11)와, 이 기판부(11)의 양측부로부터 위로 돌출된 한 쌍의 측판부(12)(12)와, 각 측판부(12)의 옆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고정판부(13)(13)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재(10)는 기판부(11)의 길이 방향이 몸체의 전, 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기판부(11)의 삽입구멍(11a) 및 고정판부(13)의 삽입구멍(13a)으로 끼워진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몸체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한 쌍의 측판부는 몸체의 상, 하 방향으로 마주보게 된다.
상기 측판부(12)(12)의 선단면(도 2에 있어서 상단면)의 앞쪽에는 돌출부(14)(1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14)의 전방을 향한 측면에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기판부(11)에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14a)이 형성됨과 더불어, 전방으로 향해서 개방된 걸어맞춤오목부(15)가 경사면(14a)에 이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오목부(15)는 거의 수평으로 전방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측판부(12)(12)의 선단면(도 2에 있어서 상단면)의 뒤쪽 끝부분에는 돌출부(16)(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16)의 후방을 향한 측면에는,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기판부(11)에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16a)이 형성됨과 더불어, 후방으로 향해서 개방된 걸어맞춤오목부(17)가 경사면(16a)에 이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오목부(17)는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기판부(11)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다. 각 고정판부(13)의 기단부에는 고정판부(13)의 선단측의 부분보다 폭이 좁아진 폭협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문짝에 설치되는 컵부재(21)와, 이 컵부재(21)에 암(22)(22)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본체부재(23)와, 이 본체부재(23)에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연결부재(30)와, 이 연결부재(30)에 걸어맞춤축(41)(42)을 통해서 연결된 조작부재(50)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컵부재(21)는 본체부재(23)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문짝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체부(20)를 베이스부재(10)에 연결하면, 문짝이 몸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본체부재(23)는 천판부(23a)와, 그 양측부로부터 베이스부재(10)쪽으로 각각 돌출되는 측판부(23b)(23b)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재(23)의 내측의 폭, 결국 측판부(23b)(23b)의 대향면간의 거리는 선단측에서 후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좁게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천판부(31)와, 그 양측부로부터 베이스부재(10)측으로 향해서 각각 돌출된 측판부(32)(3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재(30)는 본체부재(23) 내에 삽입되어 있다. 연결부재(30)의 외측의 폭, 결국 한쪽의 측판부(32)의 외면에서 다른 쪽의 측판부(32)의 외면까지의 거리는, 본체부재(23)의 뒤쪽 끝부분에 있어서 내측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0)는 본체부재(23)에 대해서 몸체의 전, 후 방향 및 좌, 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뒤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몸체의 상, 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부재(23)에 대한 연결부재(30)의 전, 후 방향 및 좌, 우 방향의 위치, 그리고 상, 하 방향의 회전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다음의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즉, 상기 본체부재(23)의 천판부(23b)의 뒤쪽 끝부분에는 볼트삽입구멍(2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삽입구멍(23c)은,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 뒤쪽 끝부분은 개방되어 있다. 볼트삽입구멍(23c)에는 볼트(61)가 끼워져 있다. 이 볼트(61)는 연결부재(30)의 천판부(31)에 형성된 암나사구멍(33)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61)를 조이는 것에 의해 볼트삽입구멍(23c)의 길이만큼 본체부재(23)를 전, 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서 문짝을 몸체의 전, 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조절 후, 볼트(61)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연결부재(30)를 본체부재(23)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부재(23)의 측판부(23b)(23b)의 내측면의 후단측에는 내측으로 행해서 형성된 걸림돌기(23d)(23d)(도 2에 한쪽의 걸림돌기(23d)만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돌기(23d)는 볼트(61)가 볼트삽입구멍(23c)에서 후방으로 빠져나오기 직전까지 연결부재(30)가 본체부재(23)에 대해서 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연결부재(30)의 천판부(31)의 후단면에 부딪친다. 이것에 의해 연결부재(30)가 본체부재(23)에서 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그러나, 볼트(61)가 많이 느슨해지고 본체부재(23)의 천판부(23a)의 뒤쪽 끝부분이 연결부재(30)로부터 크게 벌어지면, 걸림돌기(23d)가 연결부재(30)의 천판부(31)에 부딪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걸림돌기(23d)는 연결부재(30)가 본체부재(23)에서 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불합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본체부재(23)의 천판부(23a)에는 볼트삽입구멍(23c)을 둘러싼 오목부로서의 볼트시트(23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시트(23e)의 폭은 볼트(61)의 두부(61a)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지만, 그 뒤쪽 끝부분은 두부(61a)의 직경보다 좁게 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23d)가 천판부(31)에 부딪치는 것이 불가능한 정도까지 본체부재(23)의 천판부(23a)가 연결부재(30)의 천판부(31)로부터 크게 벌어진 경우에도 볼트(61)의 두부(61a)가 볼트시트(23e)에 접촉하고 있다면, 연결부재(30)가 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두부(61a)가 볼트시트(23e)의 뒤쪽 끝부분에 부딪친다. 이것에 의해 연결부재(30)가 본체부재(23)에서 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본체부재(23)의 회전위치에 따라서는 걸림돌기(23d)가 연결부재(30)의 천판부(31)에서 벌어지고, 또한 볼트(61)의 두부(61a)가 볼트시트(23e)에서 그 깊이만큼 떠오르는 것이 있다. 이러한 위치로 본체부재(23)가 회전하면, 걸림돌기(23d) 및 볼트시트(23e)는 연결부재(30)가 본체부재(23)에서 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체부재(23)가 상기 위치로 회전하는 것은 본체부재(23)를 사람 손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부재(30)가 본체부재(23)의 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거의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30)에는 조절부재(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절부재(62)는 연결부재(30)의 천판부(31)의 내면을 따라서 배치된 종판(62a)과, 이 종판(62a)의 앞쪽 끝부분에 고정된 횡판(6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판(62a)의 폭은 연결부재(30)의 내측의 폭보다 좁다. 따라서, 종판(62a)은 연결부재(30)의 폭방향(몸체의 상, 하 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다. 종판(62a)의 뒤쪽 끝부분에는 나사구멍(62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62c)에는 연결부재(30)의 천판부(31)의 긴구멍(36)을 관통하는 볼트(63)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종판(62a)은 볼트(63)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연결부재(30)의 폭방향으로 위치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볼트(63)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연결부재(30)에 고정된다.
횡판(62b)의 길이는 연결부재(30)의 외측 폭보다 길다. 횡판(62b)의 양 끝부분은 연결부재(30)에 형성된 노치(37)를 통해서 연결부재(30)로부터 돌출되고, 본체부재(23)의 양 측판부(23b)(23b)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볼트(63)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본체부재(23)를 그 뒤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몸체의 상, 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본체부재(23)의 회전에 따라서 조절부재(62)가 몸체의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체부재(23)의 회전위치를 적당히 조절한 후, 볼트(63)를 단단히 조이면, 본체부재(23)가 조절부재(62)에 의해서 연결부재(30)에 위치 고정된다. 본체부재(23)를 회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문짝의 상, 하 방향의 위치가 조절되고, 본체부재(23)를 연결부재(30)에 고정함으로써 문짝의 상, 하 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문짝의 좌, 우 방향의 위치조절은 종래의 힌지와 같이 조절나사(64)에 의해서 행해진다. 조절나사(64)는 본체부재(23)의 천판부(23a)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23f)에 좌, 우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또한 전, 후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나사결합하는 한편, 조절부재(62)에 형성된 암나사구멍(62d)에 나사결합 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나사(64)를 적당히 회전시키면, 본체부재(23)가 그 뒤쪽 끝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몸체의 좌, 우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서 문짝의 좌, 우 방향의 위치조절이 행해진다.
상기 연결부재(30)는 다음의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부재(11)에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부재(30)의 측판부(32)(32)의 앞쪽 끝부분에는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긴구멍(34)(3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긴구멍(34)에는 걸어맞춤축(41)의 양 끝부분이 긴구멍(34)의 긴쪽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연결부재(30)의 측판부(32)(32)의 뒤쪽 끝부분에는 긴구멍(35)(35)이 형성되어 있다. 각 긴구멍(35)은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베이스부재(10)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고, 그 경사각도는 연결부재(30)를 베이스부재(10)에 설치했을 때에 걸어맞춤오목부(17)의 경사각도와 동일하게 되는 경사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각 긴구멍(35)에는 걸어맞춤축(42)의 양 끝부분이 긴구멍(35)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30)의 내부에는 비교적 경질의 수지로 이루어진 조작부재(50)의 조작부본체(51)가 수용되어 있다. 이 조작부본체(51)의 앞쪽 끝부분에는 관통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52)에는 상기 걸어맞춤축(41)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조작부본체(51)는 연결부재(30)에 대해서 걸어맞춤축(4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함과 더불어 긴구멍(34)의 길이만큼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조작부본체(51)의 뒤쪽 끝부분에는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긴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구멍(53)에는 상기 걸어맞춤축(42)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긴구멍(53)은 긴구멍(35)과 협동해서 걸어맞춤축(42)을 걸어맞춤오목부(17)에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확동캠기구를 구성한다. 긴구멍(35)(53)에 의해서 구성되는 확동캠기구는 조작부본체(51)가 걸어맞춤축(41)을 중심으로 해서 베이스부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그 회전에 따라서 걸어맞춤축(42)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걸어맞춤축(42)이 긴구멍(35) 또는 긴구멍(53)의 뒤쪽 끝부분에 부딪히면 더이상 걸어맞춤축(42)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그것에 의해서 조작부본체(51)의 베이스부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회전범위가 제한되고 있다. 확동캠기구는 조작부본체(51)가 걸어맞춤축(41)을 중심으로 해서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도록 회전한 경우에는 걸어맞춤축(42)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걸어맞춤축(42)이 긴구멍(35) 또는 긴구멍(53)의 앞쪽 끝부분에 부딪히면 더이상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그것에 의해서 조작부본체(51)의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회전범위가 제한되고 있다.
이 힌지(A)에 있어서는 긴구멍(35)이 전, 후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고, 긴구멍(53)이 수평을 이루고 있지만, 긴구멍(35)을 수평으로 하고 긴구멍(53)을 경사지게 해도 좋고, 양쪽의 구멍(35)(53)을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해도 된다.
조작부본체(51)와 연결부재(30)의 사이에는 용수철(탄성지지부재)(65)이 배치되어 있다. 이 용수철(65)은 조작부본체(51)를 경사진 후방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조작부본체(51)를 후방으로 탄성 지지함과 동시에,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부본체(5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는, 걸어맞춤축(41)이 긴구멍(34)의 뒤쪽 끝부분에 위치하고 걸어맞춤축(42)이 긴구멍(35)(53)의 앞쪽 끝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용수철(65)을 이용하는 대신에 조작부본체(51)를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용수철과, 조작부본체(51)를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용수철의 2가지의 용수철을 이용해도 된다.
조작부본체(51)의 뒤쪽 끝부분에는 조작편부(54), 박육부(55) 및 커버부(56)가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편부(54)는 베이스부재(10)측의 면이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손을 사용해서 조작부본체(51)를 간격을 두고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박육부(55)는 유연하고, 이 박육부를 거의 180°만곡(彎曲)시키면 커버부(56)가 본체부재(23)의 천판부(23a)를 따라서 늘어나서, 볼트(61)(63) 및 조절나사(64)를 덮는다. 그리고, 커버부(56)의 선단부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57)을 조절나사(64)에 끼워 넣음으로써 커버부(56)가 천판부(23a)에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힌지(A)의 본체부(20)를 베이스부재(10)에 붙였다 떼었다 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에는 힌지(A) 중의 베이스부재(10), 걸어맞춤축(41)(42) 및 조작부재(50)만이 도시되고, 다른 부재는 생략되어 있다.
본체부(20)를 베이스부재(10)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3가지의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의 연결방법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의 걸어맞춤축(41)을 걸어맞춤오목부(15)에 미리 걸어 맞추어 둔 것이다. 그 경우에는 본체부재(23)(연결부재(30))를 걸어맞춤축(41)을 중심으로 해서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도록 회전시키고, 걸어맞춤축(42)을 경사면(16a)에 부딪히게 한다. 그 상태에서 연결부재(30)를 더욱 회전시키면 걸어맞춤축(42)이 경사면(16a)에 의해 긴구멍(35)(53) 내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진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본체(51)가 간격을 두고 회전한다. 걸어맞춤축(42)이 경사면(16a)을 타고 넘어서 걸어맞춤오목부(17)와 마주보면, 조작부본체(51)가 용수철(65)의 탄성지지력에 의해서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진다. 조작부본체(51)가 회전하면 걸어맞춤축(42)이 긴구멍(35)(53)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져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오목부(17)에 끼워 넣어진다. 걸어맞춤축(41)(42)이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연결부재(30)가 베이스부재(10)에 연결된다.
걸어맞춤축(41)(42)이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걸어 맞추어 진 상태에서는 연결부재(30)의 측판부(32)(32)의 각각의 중앙부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32a)가 베이스부재(10)의 폭협부(13b)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연결부재(30)가 베이스부재(10)에 대해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걸어맞춤축(41)(42)이 걸어맞춤오목부(15)(17)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부재(30)가 베이스부재(10)에 확실히 연결된다.
제2의 연결방법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축(42)을 걸어맞춤오목부(17)에 미리 걸어 맞추어 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재(30)를 걸어맞춤축(42)을 중심으로 해서 앞쪽 끝부분이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도록 회전시키고, 걸어맞춤축(41)을 경사면(14a)에 부딪히게 한다. 그 상태에서 연결부재(30)를 더욱 회전시키면 걸어맞춤축(41)이 경사면(14a)에 의해 긴구멍(34) 내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지고, 걸어맞춤축(41)과 함께 조작부본체(51)가 용수철(65)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해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진다. 이때 걸어맞춤축(42)은 걸어맞춤오목부(17)에 의해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있기 때문에 조작부본체(51)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지는 않고, 긴구멍(35)(53) 내를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할 뿐이다. 걸어맞춤축(41)이 경사면(14a)을 타고 넘어서 걸어맞춤오목부(15)에 대향하면, 조작부본체(51) 및 걸어맞춤축(41)이 용수철(65)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지고, 걸어맞춤축(41)이 걸어맞춤오목부(15)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연결부재(30)가 베이스부재(10)에 연결된다.
제3의 연결방법은, 문짝이 몸체에 다른 힌지에 의해서 미리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 매우 적당한 방법이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 연결부재(30)를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도록 회전시키고,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축(41)(42)을 경사면(14a)(16a)에 부딪히게 한다. 그 상태에서 연결부재(30)를 그 앞쪽 끝부분 또는 뒤쪽 끝부분이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도록 회전시킨다. 연결부재(30)의 회전에 의해 걸어맞춤축(41) 또는 걸어맞춤축(42)이 경사면(14a) 또는 경사면(16a)을 타고 넘으면, 걸어맞춤오목부(15) 또는 걸어맞춤오목부(17)에 끼워 넣어진다. 다음에, 연결부재(30)를 그 반대방향의 끝부분이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도록 회전시키고 걸어맞춤축(42) 또는 걸어맞춤축(41)을 걸어맞춤오목부(17) 또는 걸어맞춤오목부(15)에 걸어 맞춘다.
연결부재(30)를 베이스부재(1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3가지의 분리방법의 어느 하나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의 분리방법은 조작부본체(51)를 베이스부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이다. 조작부본체(51)를 멀어지게 회전시키면 긴구멍(35)(53)의 캠작용에 의해 걸어맞춤축(42)이 걸어맞춤오목부(17)를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해서 거기에서부터 빠져나온다. 그 후, 연결부재(3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걸어맞춤축(41)을 걸어맞춤오목부(15)로부터 빼냄으로써 연결부재(30)를 베이스부재(10)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의 분리방법은, 조작부본체(5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우선 조작부본체(51)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축(41)을 긴구멍(34)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걸어맞춤오목부(15)로부터 이탈시킨다. 다음에,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결부재(30)를 그 앞쪽 끝부분이 베이스부재(10)에서 멀어지도록 회전시킨다. 그 후, 연결부재(30)를 걸어맞춤오목부(17)를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걸어맞춤축(42)을 걸어맞춤오목부(17)에서 빼낸다. 이것에 의해 연결부재(30)를 베이스부재(1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의 분리방법은, 제1, 제2의 분리방법을 조합시킨 것으로, 이 방법에서는 우선 조작부본체(51)의 뒤쪽 끝부분을 베이스부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걸어맞춤축(42)을 걸어맞춤오목부(17)에서 이탈시킨다. 그 후, 조작부본체(51)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축(41)을 걸어맞춤오목부(15)에서 이탈시킨다. 이 결과,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축(41)(42)이 걸어맞춤오목부(15)(17)에서 이탈하기 때문에 연결부재(30)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하지 않고,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베이스부재(10)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제3의 분리방법을 실시할 때에는 제1의 방법으로 조작부재(50)를 회전시킨 후, 걸어맞춤축(42)을 전방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조작부본체(51) 및 걸어맞춤축(41)만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긴구멍(53)의 길이를 길게 하고, 제1의 분리방법에 의해서 조작부재(50)를 회전시켰을 때에 걸어맞춤축(42)이 긴구멍(53)의 뒤쪽 끝부분에 부딪히지 않도록 해둘 필요가 있다.
상기의 힌지(A)에 있어서는 걸어맞춤축(41)(42)이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법이 없다. 따라서, 한쪽의 걸어맞춤축(41(42))을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걸어 맞춘 상태에서 다른쪽의 걸어맞춤축(42(41))을 걸어맞춤오목부(17(15))에 걸어 맞출 때에 한쪽의 걸어맞춤축(41(42))이 걸어맞춤오목부(15(17))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없다. 따라서 연결부재(30)를 베이스부재(10)에 확실히 연결할 수 있다.
또, 이 힌지(A)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조작부재(50)의 조작편부(54)에 물건이 부딪히는 등의 의외의 사고에 의해서 조작부본체(51)가 베이스부재(10)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연결부재(30)가 베이스부재(10)에서 떨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3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조작부재(50)의 조작편부(54)와 커버부(56)(커버부(56)가 본체부(23)에서 떨어져 있을 때에는 본체부(23))를 2개의 손가락으로 좁아지게 해서, 조작부본체(51)를 베이스부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연결부재(30)를 베이스부재(10)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지만, 의외의 사고로 조작부본체(51)에만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조작부본체(51)가 베이스부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조작부본체(51)에만 외력이 작용한 경우를 우선 설명한다. 조작부본체(51)가 외력에 의해서 베이스부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면, 긴구멍(35)(53)의 캠작용에 의해 걸어맞춤축(42)이 걸어맞춤오목부(17)를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조작부본체(51)의 멀어지는 회전에 따라서 연결부재(30)가 회전하기 때문에, 그 회전량만큼 긴구멍(35)의 경사각도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구멍(35)과 걸어맞춤오목부(17)의 경사각도가 서로 상위하게 된다. 이 결과 걸어맞춤축(42)이 걸어맞춤오목부(17) 내를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그 이상 조작부재(50)가 멀어지게 회전하는 것이 불가능해 진다. 따라서, 걸어맞춤축(42)이 걸어맞춤오목부(17)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연결부재(30)가 의외의 사고로 인해서 베이스부재(1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2개의 손가락으로 조작부재(50)의 조작편부(54)와 커버부(56)를 좁게 해서 조작부본체(51)를 베이스부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한 경우에는 조작부재(50)가 멀어지게 회전하면 그만큼 긴구멍(35)의 경사각도가 걸어맞춤오목부(17)의 경사각도에 대해서 변화한다. 그러나 2개의 손가락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조작부본체(51)의 회전량만큼 연결부재(30)를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 조작부본체(51)의 베이스부재(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한 긴구멍(35)과 걸어맞춤오목부(17)의 경사각도의 상위량을 상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걸어맞춤축(42)을 걸어맞춤오목부(17)에서 스무스하게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결부재(30)를 베이스부재(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같은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재(10)의 걸어맞춤오목부(15)(17)가 서로 역방향인 점은 상기 실시예의 형태와 동일하지만, 각각의 개방부분이 서로 마주 보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해서 연결부재(30)의 긴구멍(35)이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베이스부재(10)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고, 경사면(14a)(16a)이 상기 실시예와 역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용수철(65)의 탄성지지력(F)이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본체(51)에 대해 경사진 전방으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0)가 베이스부재(10)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걸어맞춤축(41)이 긴구멍(34)의 앞쪽 끝부분에 위치하고, 걸어맞춤축(42)이 긴구멍(35)의 뒤쪽 끝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부재(30)를 베이스부재(10)에 대해서 설치, 분리하는 경우에는 걸어맞춤축(41)(42)이 상기의 힌지(A)와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되지만, 그것 이외에는 상기 힌지(A)와 같다.
도 6∼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힌지(B)에 있어서는 조작부본체(51)의 중간부가연결부재(30)의 중간부에 지지축(65)을 통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더욱이, 지지축(65)이 연결부재(30)에 위치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본체(51)는 연결부재(30)에 대해서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부본체(51)의 앞쪽 끝부분에는 상기 힌지(A)의 관통구멍(52)을 대신해서 긴구멍(5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구멍(58)에는 걸어맞춤축(41)이 긴구멍(58)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긴구멍(58)은 연결부재(30)에 형성된 긴구멍(34)과 확동캠기구를 구성하는 것이고,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베이스부재(10)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조작부본체(51)를 연결부재(30)에 대해서 회전시키면, 걸어맞춤축(41)이 2개의 긴구멍(34)(58)에 의해 걸어맞춤오목부(15)에 대해서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조작부본체(51)의 회전에 의한 걸어맞춤축(41)의 이동방향은 걸어맞춤축(42)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이다. 즉, 조작부본체(51)가 도 8a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어맞춤축(42)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서 걸어맞춤축(41)은 후방으로 이동한다. 조작부본체(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어맞춤축(42)이 후방으로 이동하는데 대해서 걸어맞춤축(41)은 전방으로 이동한다. 조작부본체(51)의 회전범위는 걸어맞춤축(41)이 긴구멍(34) 또는 긴구멍(58)의 끝부분에 부딪히던지 혹은 걸어맞춤축(42)이 긴구멍(35)(53)의 끝부분에 부딪히는 것에 의해서 제한되고 있다.
상기 긴구멍(34)(58)에 대해서는 조작부본체(51)가 회전하였을 때, 긴구멍(34)(58)이 걸어맞춤축(41)을, 긴구멍(35)(53)이 걸어맞춤축(42)을 회전시키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고 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한, 긴구멍(34)을 경사시키고, 긴구멍(58)을 수평으로 해도 좋고, 혹은 양 구멍(34)(58)을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시켜도 된다.
또, 조작부본체(51)와 연결부재(30)의 사이에는 용수철(탄성지지부재)(6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용수철(66)은 조작부본체(51)의 뒤쪽 끝부분이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도록 조작부본체(51)를 회전 탄성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부본체(51)에 외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한, 걸어맞춤축(41)은 긴구멍(34)(58)의 뒤쪽 끝부분에 위치하고 걸어맞춤축(42)은 긴구멍(35)(53)의 앞쪽 끝부분에 위치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힌지(B)의 본체부(20)를 베이스부재(10)에 설치, 분리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도 8에는 베이스부재(10), 걸어맞춤축(41)(42) 및 조작부재(50)만이 도시되고, 다른 부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의 걸어맞춤축(41)을 걸어맞춤오목부(15)에 미리 걸어 맞추어 둔 경우에는, 본체부재(23)(연결부재(30))를 그 뒤쪽 끝부분이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도록 회전시키고, 걸어맞춤축(42)을 경사면(16a)에 부딪히게 한다. 그 상태에서 연결부재(30)를 더욱 회전시키면 걸어맞춤축(42)이 경사면(16a)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진다. 걸어맞춤축(42)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조작부본체(51)가 연결부재(30)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걸어맞춤축(42)이 경사면(16a)을 타고 넘어서 걸어맞춤오목부(17)에 대향하면, 조작부본체(51)가 용수철(66)의 탄성지지력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지고,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축(42)이 걸어맞춤오목부(17)에 끼워 넣어 진다. 이 결과 양 걸어맞춤축(41)(42)이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각각 걸어 맞추어지고 연결부재(30)(본체부재(20))가 베이스부재(10)에 연결된다.
역으로, 후측의 걸어맞춤축(42)을 걸어맞춤오목부(17)에 미리 걸어 맞추어 둘 경우에는, 연결부재(30)를 그 앞쪽 끝부분이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도록 회전시키고, 걸어맞춤축(41)을 경사면(14a)에 부딪히게 한다. 그 상태에서 연결부재(30)를 더욱 회전시키면, 걸어맞춤축(41)이 경사면(14a)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진다. 걸어맞춤축(41)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조작부본체(51)가 연결부재(30)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걸어맞춤축(41)이 경사면(14a)을 타고 넘어서 걸어맞춤오목부(15)에 대향하면, 조작부본체(51)가 용수철(66)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지고, 걸어맞춤축(41)이 걸어맞춤오목부(15)에 끼워 넣어 진다. 이것에 의해서, 연결부재(30)가 베이스부재(10)에 연결된다.
문짝이 다른 힌지에 의해서 몸체에 미리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연결부재(30)를 베이스부재(10)에 접근하도록 회전시키고,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축(41)(42)을 경사면(14a)(16a)에 부딪히게 한다. 그 상태에서 연결부재(30)를 더욱 회전시키면, 걸어맞춤축(41)이 경사면(14a)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걸어맞춤축(42)이 경사면(16a)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진다. 걸어맞춤축(41)(42)의 이동에 따라서 조작부본체(51)가 연결부재(30)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진다. 걸어맞춤축(41)(42)이 경사면(14a)(16a)을 타고 넘어서 걸어맞춤오목부(15)(17)와 대향하면, 조작부본체(51)가 용수철(66)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지고, 걸어맞춤축(41)(42)이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각각 걸어 맞추어 진다.
연결부재(30)를 베이스부재(1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조작부본체(5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긴구멍(34)(58)의 캠작용에 의해서 걸어맞춤축(41)이 걸어맞춤오목부(15)를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되어짐과 동시에, 긴구멍(35)(53)의 캠작용에 의해서 걸어맞춤축(42)이 걸어맞춤오목부(17)를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되어진다.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걸어맞춤축(41)(42)이 걸어맞춤오목부(15)(17)에서 빠져 나오면, 걸어맞춤축(41)(42)에 의한 베이스부재(10)에 대한 연결부재(30)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 연결부재(30)(본체부(20))를 베이스부재(10)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상기 힌지(B)의 제1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베이스부재(10)의 걸어맞춤오목부(15)가 후방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해서 긴구멍(58)이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베이스부재(10)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축(41)(42)은 조작부본체(51)가 회전할 때, 동일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조작부본체(5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어맞춤축(41)(42)이 전방으로 이동해서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각각 걸어 맞추어 지고, 조작부본체(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어맞춤축(41)(42)이 후방으로 이동해서 걸어맞춤오목부(15)(17)에서 각각 이탈한다.
도 10은 상기 힌지(B)의 제2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베이스부재(10)의 걸어맞춤오목부(17)가 전방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해서 긴구멍(35)이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베이스부재(10)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축(41)(42)은 조작부본체(51)가 회전하면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조작부본체(5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어맞춤축(41)(42)이 후방으로 이동해서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각각 걸어 맞추어 지고, 조작부본체(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어맞춤축(41)(42)이 전방으로 이동해서 걸어맞춤오목부(15)(17)에서 각각 이탈한다.
도 11은 상기 힌지(B)의 제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베이스부재(10)의 걸어맞춤오목부(15)(17)가 서로 마주보도록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해서 긴구멍(58)이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베이스부재(10)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고, 긴구멍(35)이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베이스부재(10)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축(41)(42)은 조작부본체(51)가 회전하면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조작부본체(5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어맞춤축(41)이 전방으로 이동해서 걸어맞춤오목부(15)에 걸어 맞추어 짐과 더불어, 걸어맞춤축(42)이 후방으로 이동해서 걸어맞춤오목부(17)에 걸어 맞추어진다. 조작부본체(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어맞춤축(41)이 후방으로 이동해서 걸어맞춤오목부(15)로부터 이탈함과 더불어 걸어맞춤축(42)이 전방으로 이동해서 걸어맞춤오목부(17)에서 이탈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걸어맞춤축에 의해서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연결하는 타입의 힌지로서, 한 쌍의 걸어맞춤축이 연결된 조작부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한 쌍의 걸어맞춤축과 베이스부재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연결부재를 베이스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몸체에 문짝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힌지이고,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의 제1, 제2의 끝부분에 한 쌍의 제1, 제2의 걸어맞춤오목부(15)(17)가 형성된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문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30)의 길이 방향의 제1, 제2의 끝부분에 각각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각각 걸거나 벗겨질 수 있도록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연결부재(30)를 상기 베이스부재(10)에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제2의 걸어맞춤축(41)(42)과, 길이 방향의 제1, 제2의 끝부분에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이 각각 연결된 조작부재(50)와,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을 상기 조작부재(50)를 통해서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걸어 맞추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65)을 구비한 힌지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50)가 상기 연결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 중의 적어도 상기 연결부재(30)의 제1의 끝부분에 설치된 제1의 걸어맞춤축(42)이, 상기 제1의 걸어맞춤오목부(17)에 대해서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부재(5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적어도 상기 조작부재(50)의 제1의 끝부분과 상기 연결부재(30)의 제1의 끝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조작부재(50)의 제1의 끝부분을 상기 베이스부재(10)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제1의 걸어맞춤축(42)을 상기 제1의 걸어맞춤오목부(17)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0)에는 각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이어지는 경사면(14a)(16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경사면(14a)(16a)은 상기 연결부재(30)를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연결할 때에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이 부딪히고, 각 걸어맞춤축(41)(42)이 각 경사면(14a)(16a)을 타고 넘어서 상기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걸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 중의 상기 연결부재(30)의 제2의 끝부분에 설치된 제2의 걸어맞춤축(41)이 상기 조작부재(50)의 제2의 끝부분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재(50)가 상기 제2의 걸어맞춤축(41)과 함께 상기 연결부재(30)에 대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가 캠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가 상기 연결부재(30)의 제1의 끝부분과 상기 조작부재(50)의 제1의 끝부분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긴구멍(35)(53)을 갖고 있고, 각 긴구멍(35)(53)에는 상기 제1의 걸어맞춤축(42)이 끼워지고, 이 2개의 긴구멍(35)(53)이 상기 조작부재(50)의 제1의 끝부분을 상기 제2의 걸어맞춤축(41)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베이스부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제1의 걸어맞춤축(42)을 상기 제1의 걸어맞춤오목부(17)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서로 경사지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걸어맞춤축(42)이 걸어 맞추어지는 상기 제1의 걸어맞춤오목부(17)가 상기 연결부재(30)의 제1의 끝부분의 긴구멍(35)과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5)(17)는 각각의 개방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8. 제 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5)(17)는 각각의 개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50)가 그 길이 방향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연결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이 상기 연결부재(30)에 상기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대해서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이 상기 조작부재(50)에 상기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대해서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재(50)가 회전했을 때에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이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대해서 각각 걸거나 벗겨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연결부재(30)의 제1의 끝부분과 상기 조작부재(50)의 제1의 끝부분의 사이에는 이동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30)의 제2의 끝부분과 상기 조작부재(50)의 제2의 끝부분의 사이에는 제2의 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0)에는 각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연결되는 경사면(14a)(16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경사면(14a)(16a)은 상기 연결부재(30)를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연결할 때에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이 부딪히고, 각 걸어맞춤축(41)(42)이 각 경사면(14a)(16a)을 타고 넘어서 상기 걸어맞춤오목부(15)(17)에 걸어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의 이동기구가 제1, 제2의 캠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캠기구가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조작부재(50)의 각 제1의 끝부분 사이에 형성된 제1의 한 쌍의 긴구멍(35)(53)을 갖고, 상기 제2의 캠기구가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조작부재(50)의 각 제2의 끝부분 사이에 형성된 제2의 한 쌍의 긴구멍(34)(58)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축(41)(42)이 상기 제1, 제2의 한 쌍의 긴구멍[(35)(53), (34)(58)]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조작부재(50)의 제1의 끝부분이 상기 베이스부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제1의 걸어맞춤축(42)이 상기 제1의 걸어맞춤오목부(17)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의 한 쌍의 긴구멍(35)(53)이 서로 경사져 있고, 상기 조작부재(50)의 제1의 끝부분이 상기 베이스부재(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제2의 걸어맞춤축(41)이 상기 제2의 걸어맞춤오목부(15)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의 한 쌍의 긴구멍(34)(58)이 서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걸어맞춤오목부(17)가 상기 연결부재(30)의 제1의 긴구멍(35)과 동일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4. 제 9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5)(17)는 각각의 개방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5. 제 9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오목부(15)(17)는 각각의 개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KR1019980024926A 1998-06-29 1998-06-29 힌지 KR10028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926A KR100286928B1 (ko) 1998-06-29 1998-06-29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926A KR100286928B1 (ko) 1998-06-29 1998-06-29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664A KR20000003664A (ko) 2000-01-25
KR100286928B1 true KR100286928B1 (ko) 2001-04-16

Family

ID=1954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926A KR100286928B1 (ko) 1998-06-29 1998-06-29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6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6427A (zh) * 2019-05-25 2019-09-06 广东联迅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缓冲铰链快速拆装结构
CN115839584A (zh) * 2021-09-18 2023-03-24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664A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85892B2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ロック装置
JP3589982B2 (ja) スライドロッド閉鎖装置
KR101019314B1 (ko) 스테이
MXPA04011183A (es) Montaje de resorte para manija de puerta.
JPH0758015B2 (ja) 掛金装置
KR100286928B1 (ko) 힌지
JP5291835B2 (ja) ヒンジ装置
JP3054098B2 (ja) ヒンジ
JP2004076452A (ja) すべり出し窓
JP3190286B2 (ja) ヒンジ
JP3054097B2 (ja) ヒンジ
KR200457517Y1 (ko) 도어잠금장치
KR100360849B1 (ko) 레버형 튜브라 도어록
JP3138479U7 (ko)
JP3645837B2 (ja) 開閉体取付装置
KR100701958B1 (ko) 냉장고의 틸팅 어셈블리
JP3138479U (ja) セルフロック式カンヌキ錠
KR100407308B1 (ko) 냉장고의 도어힌지
JP4008571B2 (ja) ガスコンセント
JP3648318B2 (ja) 戸先錠
JP2004353447A (ja) ヒンジ
JP2605787Y2 (ja) ドア錠受金具
KR200339928Y1 (ko) 도어잠금장치
KR200340792Y1 (ko) 도어록 장치
JP3128724B2 (ja) 家具用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