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737B1 - 고압 고속 절단 팁노즐 - Google Patents

고압 고속 절단 팁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737B1
KR100286737B1 KR1019980056846A KR19980056846A KR100286737B1 KR 100286737 B1 KR100286737 B1 KR 100286737B1 KR 1019980056846 A KR1019980056846 A KR 1019980056846A KR 19980056846 A KR19980056846 A KR 19980056846A KR 100286737 B1 KR100286737 B1 KR 100286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ion hole
oxygen
fuel gas
hole group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3274A (ko
Inventor
분노스케 우시오다
다미야 요시노
Original Assignee
분노스케 우시오다
닛폰 스핑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분노스케 우시오다, 닛폰 스핑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분노스케 우시오다
Publication of KR1999006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2Nozzles for torches; for blow-pipes
    • F23D14/54Nozzles for torches; for blow-pipes for cutting or welding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고속절단팁노즐에 관한 것으로, 이 고압고속절단팁노즐은 선단면에 절단산소분출홀(2b)을 구비하고, 이 절단산소분출홀(2b)을 중심으로 하여 그 내부로부터 같은 중심으로 제 1 산소분출홀그룹(7a),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8c),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8a), 그리고 산소분출오프닝(9a)을 구비하며, 스틸은 절단산소분출홀(2b)에서 분출되는 고압의 가스 플로우에 의해서 절단된다. 특히, 산소분출오프닝(9a)에 이르는 유로(9)에서 분기되는 유로들(9b와 9c)의 선단이,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에서, 제 1 및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8c와 8a)에 이르는 유로(8과 8b)의 측면 상에 개구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효율을 가지면서 안전하게 스틸의 가스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압 고속 절단 팁노즐(HIGH PRESSURE RAPID CUTTING TIP NOZZLE)
본 발명은 연속스트랜드가스절단장치와 같은 두꺼운 철판을 가스로 절단하기 위한 고압고속절단팁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특허출원 평성 9년 제 361519 호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되어 수록되었다.
종래에, 본 발명자들은 일본실용신안 평성 5년 제 39293호에서 고압고속절단팁노즐(이하, 팁노즐이라 한다)을 제안했다. 이 팁노즐은 중심에 절단산소분출홀을 두고, 그 주위로 안쪽으로부터 제 1 산소분출홀그룹,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 그리고 제 2 산소분출홀그룹 혹은 산소분출오프닝(oxygen jet opening)이 상기 절단산소분출홀들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며 구성된다. 또한 열효율을 증가하기 위해서 인접한 연료가스분출홀들 사이에, 산소분출홀들까지 연결된 유로(flow path)에서 분기된 산소분출홀들이 설치되었다.
스틸(steel)을 절단할 때, 상기 절단산소분출홀에서 고압의 절단산소가 고속으로 분출된다. 제 1 가열화염그룹은 상기 절단산소분출홀을 둘러싸서 분출되는 연료가스와 산소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 제 2 가열화염그룹은 상기 제 1 가열화염그룹의 주위로 형성된다. 또한, 이들 가열화염그룹들의 증가효과때문에 특별히 상기 절단산소를 덮고 있는 상기 제 1 가열화염그룹이 팽창되고 지속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절단산소분출홀들에서 배출되는 상기 절단산소의 분출효과가 증가하고, 두꺼운 스틸에서도 동일한 높은 가스절단 효율이 얻어진다.
그러나, 일본실용신안 평성 5년 제 39293호의 팁노즐은 믹싱(mixing)(또한, 후믹싱(post mixing)이라 함)이라고 하는 혼합시스템을 사용하여 연료가스와 산소를 노즐의 끝에서 혼합한다. 상기 연소가스와 상기 산소가 팁노즐의 바깥에서 혼합되므로, 이 시스템의 혼합비율은, 팁노즐이 설치된 취관(blow pipe)안에서 혼합이 실행되는, 토치믹싱(torch mixing)과 팁노즐(tip nozzle)에서 실행되는 팁믹싱(tip mixing)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그래서 연소효율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가스절단기에서 사용되는 연소되는 혼합가스의 불꽃이 3000도 이상이고 분출이 고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만약 유동이 절단슬래그(cutting slag)에 의해서 팁(tip)이 막혀 버리면, 절단중에 불꽃이 팁노즐이나 취관으로 역류한다. 즉 이른바 플래시백(flash back) 혹은 역화(back fire)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이와 같은 경우에 특별히 많은 산소와 연소가스가 소비되는 두꺼운 스틸의 절단에는 팁노즐의 바깥에서 혼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팁노즐의 바깥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연소가스와 산소를 잘 혼합하고 절단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도 1은 도 2의 라인 I-I를 따라 부분절단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팁노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화살표 II의 방향에 의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팁노즐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라인 III-III을 따라 부분절단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팁노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과 같은 방법으로 팁노즐을 부분절단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팁노즐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6의 라인 V-V를 따라 부분절단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팁노즐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화살표 VI의 방향에 의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팁노즐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라인 VII-VII를 따라 부분절단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팁노즐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9의 라인 VIII-VIII를 따라 부분절단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팁노즐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화살표 IX의 방향에 의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팁노즐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b : 절단산소분출홀 8, 8b, 9, 9b, 9c : 유로
7a : 제 1 산소분출홀그룹 8a :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
8c :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 9a : 산소분출오프닝
9e : 제 2 산소분출홀그룹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단(end)에서 절단산소분출홀이 개방되어 있고 중심에 절단산소분출홀이 있는 고압고속절단팁노즐은 안쪽으로부터 제 1 산소분출홀그룹,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 그리고 산소분출오프닝의 순서로 동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산소분출오프닝에서 분출되는 고압가스에 의해 스틸을 절단한다. 상기 산소분출오프닝으로 이르는 유로에서 분기되어 선단측(the front end side)까지 연결된 유로의 선단(the front end)은 상기 단면(end surface)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에 상기 제 1 연료가스와 상기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으로 연결되는 유로의 측면부에 개구(opening)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산소분출오프닝도 역시 상기 절단산소분출홀주위에 동심으로 배열된 제 2 산소분출홀그룹이 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산소분출홀그룹과 상기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 사이에, 상기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은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그룹을 중심으로 산소분출홀그룹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단면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에 상기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과 상기 산소분출오프닝으로 분할된 관의 선단을 절단했을 경우, 상기 산소분출오프닝과 상기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으로 연결된 유로에서 분기된 유로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과 상기 산소분출홀그룹도 제거할 수 있으며, 연료가스분출홀그룹이 나타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튜브를 형성하는 팁노즐(1)의 기단(base end)(도 1의 단의 위쪽)은 산소와 연료가스공정을 위한 취관(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 탭핑(tapping)된 표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탭핑된 표면(1a)위에는, 각기 산소를 받는 요면(concavity)(1b), 연료가스를 받는 요면(1c) 그리고 취관으로부터 공급된 산소를 받는 요면(1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면(1b)으로부터 팁노즐의 안쪽을 향한 유로(1e)가 형성되어 있다. 첨가하여 상기 요면(1c)과 상기 요면(1d)으로부터, 상기 팁노즐(1)의 선단으로 연결된 복수의 유로들(1f와 1g)이 상기 팁노즐(1)과 동축이 되도록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팁노즐(1)에는 관식 슬리브(sleeve)(2)가 기단으로부터 삽입되었고 너트(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슬리브(2)의 중심에는 절단산소공급을 위한 유로(2a)가 상기 슬리브(2)와 동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로의 선단은 단(end)까지 연결된 절단산소분출홀(2b)이다.
상기 슬리브(2)의 주위는 팁노즐(1)의 선단에 설치된 관(4)이 덮고 있다. 상기 관(4)은 원형이며 상기 관(4)의 주위는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팁노즐(1)의 선단에 설치된 원형관(5)이 감싸고 있다. 상기 관(5)의 주위는 커버(6)로 덮여 있고, 상기 커버(6)의 기단의 바깥쪽주위에는, 상기 취관과 상기 팁노즐을 장착하는 스크류(screw)(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팁노즐에서는 일본실용신안 평성 5년 제 39293호로 공개된 팁노즐처럼 취관에 장착될 때 탭핑된 표면(1a)이 취관과 안전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관(5)과 상기 커버(6)사이에는 작은 틈(gap)이 생긴다.
상기 관(4)의 설치를 따라서 상기 슬리브(2)와 상기 관(4)사이에는 산소공급을 위해서 유로(7)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7)의 기단은 유로(1e)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로(7)의 선단은 팁노즐(1)을 둘러싸도록 배열된 제 1 산소분출홀그룹(7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관(4)과 상기 관(5)사이에서, 연료가스공급용의 유로(8)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8)의 기단은 유로(1f)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로(8)의 기단은 반경방향의 바깥쪽에서 팁노즐(1)과 동축을 이룬 원주상에 배치된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8a)이 된다. 덧붙여서, 상기 관(5)과 상기 커버(6)사이에는 산소공급용의 유로(9)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9)의 기단은 유로(1g)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로(9)의 선단은 반경방향의 바깥쪽에서 팁노즐(1)과 동축을 이룬 원주상에 형성된 산소분출오프닝(9a)이 된다.
부호(7b와 8b)는 유로(7과 8)에서 분기된 관(4)의 유로이고 각기 선단측(front end sides)을 향해 기울어져 연결되어 있다. 상기 관(4)의 선단면위의 상기 유로들(7b와 8b)의 선단은 제 1 산소분출홀그룹(7a)과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8a)사이의 관(4)위에 원형태로 교대로 개방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산소분출홀그룹(7a)과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8a)사이에, 산소분출홀그룹(7c)과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8c)은 예열과 연소를 위하여 팁노즐(1)과 동심이 되기 위해 교대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팁노즐에서 상기 유로(9)에서 분기되어 선단까지 기울여져 연결되는 유로들(9b와 9c)의 선단은 팁노즐의 선단면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에서, 제 2 연료가스배출구그룹(8a)에 이르는 유로(8)의 측면과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8c)에 이르는 유로(8b)의 측면에 각각 개구(opening)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팁노즐은 상기 팁노즐(1)에서 유로(9c)까지의 구조로 배치된다.
스틸을 절단할 때는 우선 팁노즐을 취관에 장착하고 취관의 밸브를 열어 연료가스가 유로(1f)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유로(1f)와 유로들(8과 8b)을 통해 상기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8c)과 상기 제 2 연료가수분출홀그룹(8a)으로부터 연소가스가 분출된다. 덧붙여, 동시에 유로들(1e와 1g)은 산소를 공급하고 산소는 1e, 1g, 7, 7b, 9를 통해서 제 1 산소분출홀그룹(7a), 산소분출홀그룹(7c) 그리고 산소분출오프닝(9a)에서 분출된다.
본 발명의 팁노즐에서 상기 유로(9)로 공급되는 산소의 일부분은 유로들(9b와 9c)을 통해서 팁노즐의 선단면으로부터 10mm 이내 지점에 있는 유로들(8과 8b)에 공급된다. 그 결과 제 1 연소가스분출홀그룹(8c)과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8a)에서 연료가스와 산소의 혼합기체가 분출된다.
이 시점에서 팁노즐이 점화되어 절단될 스틸이 가열되고 혹은 위에서 서술된 연료가스와 산소의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유로(2a)에 산소가 공급되고 절단산소분출홀(2b)로부터 고압의 산소가 분출된다. 그래서 도 3에 보이는 것처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2b)로부터 산소분출에 의해, 고속도의 절단산소분출 플로우(cutting oxygen jet flow)(도 3의 문자 C참조)가 생성된다. 또한 절단산소분출 플로우(C)의 주위에 제 1 가열화염그룹(도 3의 문자 A참조)이 산소와 연료가스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열화염그룹의 주위에 제 2 가열화염그룹(도 3의 문자 B참조)이 형성되었다. 제 1 가열화염그룹(A)이 제 2 가열화염그룹(B)의 상승효과를 신장시켜 주기 때문에 절단산소분출 플로우(C)의 운동에너지의 감소를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절단산소분출 플로우(C)의 분출효과가 증가되고, 상기 절단산소분출 플로우(C)에 의한 가스절단은 두꺼운 스틸에서도 매우 효과적이다.
특별히 본 발명의 팁노즐에 있어서, 연료가스의 유로(8과 8b)에 유로(9b)와 유로(9c)를 통해서 산소가 공급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8c)과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8a)에서는 뒤섞인 연료가스와 산소의 혼합기체가 배출되고 상기 혼합기체에 팁노즐의 선단의 내측, 외측 및 가열용 산소가 나타나서 합쳐지면, 제 1 가열화염그룹(A)과 제 2 가열화염그룹(B)이 형성된다.
연료가스와 산소가 팁노즐의 선단에서 혼합되는 종래의 팁노즐과 비교하면 가열화염그룹(A와 B)의 연료가스와 산소의 혼합비율은 크게 증가하였다. 그 결과 화염이 강해지고 크기가 늘어나서 두꺼운 스틸의 가스절단이 더욱 효과적이 되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팁노즐을 사용해서 철판을 자르는 절단시험에서 종래의 팁노즐과 비교해서 절단을 위한 예열시간이 20~30%나 감소했고, 절단속도도 5~15%이나 증가하였다. 덧붙여서 연료가스와 산소가 팁노즐의 선단면의 10mm 이내 지점에서 혼합되기 때문에 즉 팁노즐의 선단에 극히 가까운 곳에서 혼합되므로 역화(back fire)나 플래시백(flash back)이 생기지 않으므로 절단시의 안정성도 보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이며 도 3과 동일한 방향에서 본 팁노즐을 보인 것이다. 이 팁노즐에서 관(5)의 선단은 팁노즐이 선단면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에서 절단되어 상기 관(5)의 길이는 짧아짐에 따라 연료가스의 통로가 하부(the bottom)에 노출되고 산소용의 유로(9b)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제거된다. 그 결과 상기 팁노즐에서 연료가스와 산소는 관(5)의 선단측에 형성된 통로(9d)의 일부에서 연료가스와 산소가 혼합된다. 덧붙여, 관(4)의 선단(4a)은 산소의 유출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상기 팁노즐에서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8c)으로 가는 유로(8b)에, 산소분출홀(9a)로 이르는 유로(9)에서 분기된 유로(9c)를 팁노즐의 선단면에서 10mm 이내의 지점에서 합류시켜 더 높은 화염효율이 일어난다. 이것은 제 1 실시예와 같은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품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팁노즐 중에서 관(5)의 선단부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확대하였다.(커버(6)와 접촉하는 외측원주에서 작은 틈이 발생한다.) 도 1의 부호(9a)에 보이는 것처럼 산소분출오프닝의 모양은 원형이고 부호(9e)에 보이는 것처럼 팁노즐(1)의 중앙에 위치한 원의 형태인 다수개의 홀들(제 2 산소분출홀그룹)로 변경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팁노즐에서, 산소분출홀그룹(7c)과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8a)을 제거했다. 또한 유로(8)의 선단은 단일한 연료가스분출홀그룹을 만드는 유로(8b)와 연결되어 있다. 동시에 같은 원에서 제 1 연소가스분출홀(8c)의 숫자는 증가한다. 상기 팁노즐도 역시 상기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8c)에 이르는 유로(8b)에, 산소분출오프닝(9a)에 이르는 유로(9)로부터 분기된 유로(9c)를 팁노즐 선단면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에서 합류시켜 연소효율의 상승을 이룬 것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도 6에 보이는 것처럼, 산소분출오프닝(9a)을 팁노즐(1)의 중심에 위치한 복수개의 원형산소분출홀그룹으로 만들 수 있다.
상술한 팁노즐에서, 산소분출홀들(7a)과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8a)을 슬리브(2)와 관(4)의 선단을 원주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으로 홈을 파서 형성한다. 하지만, 이 홀(hole)들은 전체적으로 팁노즐(1)의 중심에서 원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개의 원형홀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산소분출오프닝에 이르는 유로에서 분기되어 선단측에 도달하는 유로의 선단을 팁노즐 선단면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에서 연료가스분출홀그룹에 도달하는 유로의 측면에 개방시켜 연료가스와 산소를 혼합함으로써, 연료가스와 산소의 혼합비율이 한층 상승되어 강력한 화염을 얻게 된다. 그러므로 연료가스와 산소를 팁노즐의 선단에서 혼합하는 종래의 팁노즐보다 절단시작시간을 위한 예열시간이 20~30% 감소하고 절단속도는 5~15% 증가한다. 또한 혼합지점이 팁노즐의 선단면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이므로 팁노즐의 선단면과 아주 가까워서 역화(back fire)나 플래시백(flash back)이 발생하지 않아서 절단시의 안전도 보장된다. 따라서 종래의 두꺼운 스틸의 가스절단시에도 보다 높은 효율로 안전하게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중심에 위치되고, 단(end)에서 개방되어 스틸(steel)의 절단시 고압의 가스 플로우가 분출되는 절단산소분출홀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절단산소분출홀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제 1 산소분출홀그룹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제 1 산소분출홀그룹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산소분출오프닝 및;
    상기 산소분출오프닝에 이르는 유로에서 분기되어 선단측(front end side)까지 연결되고, 상기 단면(end surface)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료가스분출홀들에 이르는 유로의 측면(side surface)에 개구(opening)를 가지는 유로의 선단을 포함하는 고압고속절단팁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분출오프닝은 중심의 절단산소분출홀의 주위에 동심으로 배열된 제 2 산소분출홀그룹인 것을 포함하는 고압고속절단팁노즐.
  3. 중앙에 위치하고, 단(end)에서 개방되어 스틸의 절단시 고압의 가스 플로우가 분출되는 절단산소분출홀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절단산소분출홀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제 1 산소분출홀그룹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제 1 산소분출홀그룹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산소분출오프닝과;
    상기 절단산소분출그룹이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산소분출홀그룹과 상기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의 사이에 위치하고, 산소분출홀그룹들과 교대로 배열된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 및;
    상기 산소분출오프닝에 이르는 유로에서 분기되어 선단측까지 연결되고, 상기 선단면(front end surface)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에서 제 1 과 제 2 연료가스분출홀들로 연결된 유로들의 측면에 각각 개구(opening)된 유로의 선단을 포함하는 고압고속절단팁노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분출오프닝은 상기 절단산소분출홀에 동심으로 배치된 제 2 산소분출홀그룹인 것을 포함하는 고압고속절단팁노즐.
  5. 중앙에 위치하고, 단(end)에서 개방되어 스틸의 절단시 고압의 가스 플로우가 분출되는 절단산소분출홀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절단산소분출홀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제 1 산소분출홀그룹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제 1 산소분출홀그룹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산소분출오프닝과;
    상기 산소분출오프닝에 이르는 유로에서 분기되어 선단측까지 연결되고,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에서 상기 제 1 연료가스분출홀들에 이르는 유로의 측면에 개구된 유로의 선단 및;
    상기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과 산소분출오프닝을 분할하고,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에서 잘려진 관형 몸체의 선단을 포함하는 고압고속절단팁노즐.
  6. 중앙에 위치하고, 단(end)에서 개방되어 스틸의 절단시 고압의 가스 플로우가 분출되는 절단산소분출홀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절단산소분출홀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제 1 산소분출홀그룹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제 1 산소분출홀그룹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제 1 연료가스분출홀그룹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과;
    상기 절단산소분출홀과 동축을 이루며 상기 제 2 연료가스분출홀그룹의 바깥쪽 원주상에 구성되는 산소분출오프닝 및;
    상기 산소분출오프닝으로 이르는 유로에서 분기되어 선단측까지 연결되고, 상기 선단면으로부터 10mm 이내의 지점에서 상기 제 1 연료가스분출홀들로 이르는 유로의 측면에 개구된 유로의 선단을 포함하는 고압고속절단팁노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분출오프닝은 상기 절단산소분출홀에 동심으로 배치된 제 2 산소분출홀그룹인 것을 포함하는 고압고속절단팁노즐.
KR1019980056846A 1997-12-26 1998-12-21 고압 고속 절단 팁노즐 KR100286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61519 1997-12-26
JP36151997A JP3188671B2 (ja) 1997-12-26 1997-12-26 高圧高速切断火口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274A KR19990063274A (ko) 1999-07-26
KR100286737B1 true KR100286737B1 (ko) 2001-06-01

Family

ID=1847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846A KR100286737B1 (ko) 1997-12-26 1998-12-21 고압 고속 절단 팁노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62495A (ko)
JP (1) JP3188671B2 (ko)
KR (1) KR100286737B1 (ko)
CN (1) CN1134611C (ko)
TW (1) TW39335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183B1 (ko) * 2021-04-20 2022-09-30 (주) 대명테크놀러지 반도체용 세라믹 기판 천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32303A1 (de) * 2004-09-02 2006-03-08 Aute AG Gesellschaft für autogene Technik Brennschneidwerkzeug zum schnelleren, glatteren und sicheren Sauerstofftrennen von dickeren Werkstücken aus heissem oder kalten Stahl mit verbesserter Wartungsmöglichkeit und verbesserter Nutzung des sicher verfügbaren Sauerstoffvordruckes
KR100640405B1 (ko) * 2004-12-16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섬유 모재 증착용 버너
US8696348B2 (en) * 2006-04-26 2014-04-1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Ultra-low NOx burner assembly
JP5424556B2 (ja) * 2007-12-07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転対称性を有しない吐出口を有する液体吐出ヘッド
CN102229016A (zh) * 2011-06-25 2011-11-02 章丘市裕丰气割队 火焰清理枪割嘴
KR101180213B1 (ko) * 2012-03-14 2012-09-05 조중래 절단토치용 노즐
JP6087466B1 (ja) * 2016-08-09 2017-03-01 大陽日酸株式会社 ポストミックス水素用火口及び水素ガス切断方法
RU206602U1 (ru) * 2021-04-06 2021-09-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таль" Резак газовы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87437A (en) * 1917-11-24 1918-12-10 Joy S Reynolds Gas-burner.
US1971287A (en) * 1930-10-02 1934-08-21 Air Reduction Torch tip
US2520001A (en) * 1947-06-06 1950-08-22 Sebastian C Pugliese Cutting torch tip
US2655206A (en) * 1949-02-07 1953-10-13 Nat Cylinder Gas Co Cutting torch tip, including high and low velocity preheat passages
JPH0539293A (ja) * 1991-01-23 1993-02-19 Kyowa Hakko Kogyo Co Ltd 免疫調節剤及びチアゾロピリミジン誘導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183B1 (ko) * 2021-04-20 2022-09-30 (주) 대명테크놀러지 반도체용 세라믹 기판 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90503A (ja) 1999-07-13
TW393358B (en) 2000-06-11
CN1230657A (zh) 1999-10-06
US6062495A (en) 2000-05-16
CN1134611C (zh) 2004-01-14
JP3188671B2 (ja) 2001-07-16
KR19990063274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8470A (en) Dual-fuel burner
JP3169663U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に用いられる予混合バーナ
US52749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omizing water in a combustor dome assembly
JPS59145412A (ja) 水又は補助燃料を供給することのできる燃料噴射組立体
US6325618B1 (en) Fuel lance for spraying liquid and/or gaseous fuels into a combustion chamber
JP2007113888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焼器構造
KR100286737B1 (ko) 고압 고속 절단 팁노즐
JP2008517241A (ja) ガスタービン用バーナー
JPH10110912A (ja) 予混合バーナ
EP1033536B1 (en) Combustor for gas turbine
RU2003115308A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кумулятивной струи и инжектор для создания кумулятивной струи с единственной кольцевой пламенной оболочкой
EP1279897B1 (en) Pilot nozzle of gas turbine combustor
JPH03225117A (ja) 燃焼装置及びその燃焼方法
KR20040080978A (ko) 증강 장치
JP3974596B2 (ja) タービンエンジンのオグメンタノズルおよびタービンエンジン用オグメンタの再生方法
CA2168638A1 (en) Burner
JP2002139212A (ja) 粉体溶融バーナ
JPH1172204A (ja) 酸素吹液体燃料バーナ
JP3888229B2 (ja) 旋回型低NOx燃焼器
JPH04206399A (ja) プラズマトーチ
JP3747038B2 (ja) 高圧高速切断火口
JPH01104914A (ja) 渦室式デイーゼルエンジンのピストン
JPH0129364Y2 (ko)
JPS5817369B2 (ja) 火「えん」ジエツトバ−ナ−
JP2006300441A (ja) 燃焼コーンを持った自己再循環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