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026B1 -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026B1
KR100285026B1 KR1019970060031A KR19970060031A KR100285026B1 KR 100285026 B1 KR100285026 B1 KR 100285026B1 KR 1019970060031 A KR1019970060031 A KR 1019970060031A KR 19970060031 A KR19970060031 A KR 19970060031A KR 100285026 B1 KR100285026 B1 KR 100285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od
shift lever
opening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808A (ko
Inventor
김준회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026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02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차량의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후드가 완전하게 로킹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시프트 레버를 자동으로 로킹시킴으로써, 차량 주행시 후드가 개방되어 윈드 실드 글라스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프트 레버(1)와 함께 회동되는 시프트 로킹레버(2)가 파킹단(P), 후진단(R), 중립단(N) 및 전진단(D)중 어느 한 단과 결합되어 변속되는 시프트 레버 시프팅 장치에 있어서: 후드의 개방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센서(10)와; 로킹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버(1)의 시프팅 작동을 로킹시키는 로킹수단(30)과; 상기 개방감지센서(10)에 의하여 상기 후드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로킹수단(30)으로 로킹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시프트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후드가 완전하게 로킹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시프트 레버를 자동으로 로킹시킴으로써, 차량 주행시 후드가 개방되어 윈드 실드 글라스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Shift Leve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Opened Hood)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드일 2 단계로 로킹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개방된 후드를 가볍게 닫으면 후드는 자체 하중에 의하여 1 단으로 약하게 걸린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후드에 힘을 가하게 되면 후드를 2 단으로 걸리게 됨으로써, 완전한 로킹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후드를 로킹시키는 과정에서, 후드와 차체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있거나, 후드 래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후드가 완전히 로킹되지 않고 1 단으로만 걸린상태가 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시킬 경우, 후드가 바람의 힘에 의하여 갑자기 열리면서 윈드 실드 글라스를 파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윈드 실드 글라스의 파손은 운전자를 당황하게 할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가리게 됨으로써, 대형사고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후드가 완전하게 로킹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시프트 레버를 자동으로 로킹시킴으로써, 차량 주행시 후드가 개방되어 윈드 실드 글라스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2는 도 1중 제어부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시프트 레버, 2:시프트 로킹레버, 10:개방감지센서, 20:제어부, 21:시동 스위치, 22:인히비터 스위치, 23:제 1 릴레이, 24:제 2 릴레이, 25:브레이크 록 스위치, 30:로킹수단, 31:실린더, 32:피스톤, 33:전자석, 34:리턴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프트 레버와 함께 회동되는 시프트 로킹레버가 파킹단(P), 후진단(R), 중립단(N) 및 전진단(D)중 어느 한 단과 결합되어 변속되는 시프트 레버 시프팅 장치에 있어서: 후드의 개방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센서와; 로킹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팅 작동을 로킹시키는 로킹수단과; 상기 개방감지센서에 의하여 상기 후드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로킹수단으로 로킹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중 제어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방감지센서(10), 제어부(20) 및 로킹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감지센서(10)는 차량의 후드를 닫힘 및 개방을 구별되게 감지하는 센서로서, 후드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0)로 소정의 전류를 출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자동변속 차량은, 시프트 레버(1)가 회동됨에 따라, 이 시프트 레버(1)의 하단에 결합된 시프트 로킹레버(2)가 파킹단(P), 후진단(R), 중립단(N) 및 전진단(D)중 어느 한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차량이 파킹, 후진, 중립 및 전진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로킹수단(30)은, 로킹신호의 입력시, 상기 시프트 로킹레버(2)가 전진단(D)에 걸리지 못하도록 시프트 로킹레버(2)를 홀딩시킴으로써, 차량이 전진 구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로킹수단(30)은, 실린더(31), 피스톤(32), 전자석(33) 및 리턴 스프링(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피스톤(32)은 상기 실린더(31) 내측에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 피스톤(32)이 왕복됨에 따라, 상기 중립단(N)과 전진단(D) 사이에 돌출되어 상기 시프트 로킹레버(2)가 중립단(N)으로부터 전진단(D)으로 시프팅되지 못하도록 하는 로킹위치와, 상기 시프트 로킹레버(2)가 중립단(N)과 전진단(D) 사이로부터 이탈되어 시프트 로킹레버(2)가 중립단(N)으로부터 전진단(D)으로 시프팅될 수 있도록 하는 해제위치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33)은 전류의 입력시, 상기 피스톤(32)을 로킹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31)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리턴 스프링(34)은 상기 전자석(33)에 인가되는 전류의 차단시, 상기 피스톤(32)을 해제위치로 리턴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31)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개방감지센서(10)로부터 소정의 전류가 입력되면, 상기 로킹수단(30)으로 로킹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 제어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릴레이(23)와 제 2 릴레이(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릴레이(23)는, 코일단이 상기 개방감지센서(10)의 개방단자(a)를 통하여 전원(B)에 접속되며, 스위칭단의 입력단자가 시동 스위치(21)를 통하여 전원(B)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릴레이(24)는, 코일단이 인히비터 스위치(22)의 중립단(N)을 통하여 전원(B)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며, 스위칭단의 양단자는 상기 제 1 릴레이(23) 스위칭단의 출력단자와 상기 전자석(33)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방감지센서(10)가 개방단자(a)로 스위칭됨과 동시에,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22)가 중립단(N)으로 스위칭되면, 상기 제 1 릴레이(23)와 제 2 릴레이(24)가 스위칭됨으로써, 상기 전자석(33)에 전류가 입력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 브레이크 록 스위치(25)와 액추에이터(40)는, 시프트 레버(1)를 파킹단(P)으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시프팅시킬 경우, 이 시프트 레버(1)의 로킹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차량의 갑작스런 구동을 방지하는 종래의 장치를 본 발명의 장치와 연동하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즉, 상기 브레이크 록 스위치(25)는,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22)의 파킹단(P)을 통하여 상기 개방감지센서(10)의 닫힘단자(b)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개방감지센서(10)가 닫힘단자(b)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 록 스위치(25)에 의하여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진 것이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액추에이터(40)가 작동되어 상기 파킹단(P)에 로킹되어 있는 시프트 레버(1)가 시프팅 가능한 상태로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시프트 레버(1)가 파킹단(P)에 로킹되어 있을 때에는, 차량의 후드가 닫혀서 상기 개방감지센서(10)가 닫힘단자(b)에 스위칭됨과 동시에,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져서 상기 브레이크 록 스위치(25)가 스위칭된 경우에만, 상기 액추에이터(40)가 작동되어 시프트 레버(1)의 로킹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시프트 레버(1)의 시프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시프트 레버(1)를 중립단(N)에 걸어놓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후드를 열었다가 닫으면서 완전하게 로킹시키지 않게 되면, 상기 개방감지센서(10)가 개방단자(a)로 스위칭됨으로써, 상기 제 1 릴레이(23)를 스위칭하여 시동 스위치(21)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B)을 제 2 릴레이(24)의 스위칭단자에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22)의 중립단(N)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B)에 의하여 제 2 릴레이(24)가 스위칭된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전자석(33)에 전원(B)의 전류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석(33)이 피스톤(32)을 로킹위치로 당겨서 피스톤(32)이 중립단(N)과 전진단(D) 사이에 걸쳐지게 됨으로써, 이 피스톤(32)에 의하여 상기 시프트 로킹레버(2)가 전진단(D)으로 시프팅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를 완전하게 로킹시키게 되면, 상기 개방감지센서(10)가 닫힘단자(b)로 스위칭됨으로써, 상기 제 1 릴레이(23) 및 제 2 릴레이(24)를 통하여 전자석(33)으로 입력되던 전류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32)이 리턴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하여 로킹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시프트 로킹레버(2)와 함께 시프트 레버(1)가 전진단(D)으로 시프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에 의하여, 후드가 완전하게 로킹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시프트 레버가 자동으로 로킹됨으로써, 차량 주행시 후드가 개방되어 윈드 실드 글라스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안정성 및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시프트 레버와 함께 회동되는 시프트 로킹레버가 파킹단(P), 후진단(R), 중립단(N) 및 전진단(D)중 어느 한 단과 결합되어 변속되는 시프트 레버 시프팅 장치에 있어서:
    후드의 개방을 감지하는 개방감지센서와;
    로킹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시프트 레버의 시프팅 작동을 로킹시키는 로킹수단과;
    상기 개방감지센서에 의하여 상기 후드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로킹수단으로 로킹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왕복되는 피스톤을 내설하되, 상기 피스톤이, 상기 중립단(N)과 전진단(D) 사이에 걸쳐져서 상기 시프트 로킹레버의 시프팅을 차단시키는 로킹위치와, 상기 중립단(N)과 전진단(D)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해제위치 사이를 왕복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을 로킹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자석과; 상기 피스톤을 해제위치로 리턴시키는 리턴 스프링;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감지센서에서 후드의 개방을 감지함에 따라 스위칭되어 출력단자로 전류를 출력하는 제 1 릴레이와; 인히비터 스위치의 중립단(N)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에 의하여 스위칭되어 상기 제 1 릴레이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류를 상기 로킹수단에 인가하는 제 2 릴레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
KR1019970060031A 1997-11-14 1997-11-14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 KR10028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031A KR100285026B1 (ko) 1997-11-14 1997-11-14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031A KR100285026B1 (ko) 1997-11-14 1997-11-14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808A KR19990039808A (ko) 1999-06-05
KR100285026B1 true KR100285026B1 (ko) 2001-03-15

Family

ID=6609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031A KR100285026B1 (ko) 1997-11-14 1997-11-14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0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808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9112A (en) Motor vehicle having an automatically shifted transmission
US6084315A (en) System for operating a control device in a motor vehicle
KR100285026B1 (ko) 후드 개방에 따른 시프트 레버 로킹장치
US20040045391A1 (en) Device for actuating a gearbox and pulse control method
US20200066471A1 (en) Method for detecting faults in a switch assembly,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6817966B2 (en) Brake shift Interlock system with a single park position switch
JP2600910B2 (ja) 車両用変速制御装置
EP0722854B1 (en) Transmission Activating and Neutraliz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e
KR20040041935A (ko) 차량의 세차모드 전환장치
KR100187133B1 (ko) 자동차 도어 개방시 출발 방지 장치
KR100391495B1 (ko) 변속레버 조작기구
KR200142581Y1 (ko) 자동 변속기 차량 시프트록 안전장치
JPH0616820Y2 (ja) 動力取出装置の駆動回路
KR100520367B1 (ko) 대형트럭의 캡 틸트제어회로
JPS6244207Y2 (ko)
KR920008964Y1 (ko) 도어/트렁크 개방시 차량의 발진방지장치
KR970043787A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
KR100188155B1 (ko) 실리콘 제어정류기를 이용한 차량용 윈도우 제어회로
JPS5962754A (ja) 自動変速機のクリ−プ防止機構
KR920001767Y1 (ko) 자동해제 가능한 주차브레이크
KR100190397B1 (ko) 차량용 변속레버 락킹장치
JPH0616821Y2 (ja) 動力取出装置の駆動回路
KR20030024482A (ko) 도어 개방시 출발 방지 장치
KR970046663A (ko) 자동차의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KR19980039864U (ko) 오토 차량의 후진시 변속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