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265B1 -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265B1
KR100284265B1 KR1019990001293A KR19990001293A KR100284265B1 KR 100284265 B1 KR100284265 B1 KR 100284265B1 KR 1019990001293 A KR1019990001293 A KR 1019990001293A KR 19990001293 A KR19990001293 A KR 19990001293A KR 100284265 B1 KR100284265 B1 KR 100284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control
level
reference level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056A (ko
Inventor
김학재
유승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01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26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된 영상 신호에서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이득 제어 증폭부의 제어 이득과 저속 전자 셔터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레벨을 가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사 광량이 미리 정해진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 이상이면 조리개 제어 수단에 의해 조리개를 제어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상기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에 맞추고, 입사 광량이 상기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제어 이득이나 저속 전자 셔터 개방 시간을 조절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미리 정해진 제어이득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로 맞추는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영역의 휘도 신호의 대표값을 연산하는 수단 및 상기 연산 수단에서 제공된 각 분할 영역의 휘도 신호의 대표값을 처리하여 당해 입력 영상의 전체 휘도 레벨 및 움직임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이득이나 저속 전자 셔터의 동작 범위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전체 휘도 레벨을 상기 제어이득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로 유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VIDEO CAMERA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ING LOW SPEED ELECTRONIC SHUTTER}
본 발명은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한 피사체 밝기에서도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영상 증폭 이득 및 저속 전자 셔터의 개방 시간을 가변 범위를 두고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셔터 속도가 고정되어 있는 비디오 카메라의 감도는 광전 변환 소자의 광전 변환 효율과 영상 증폭기의 이득에 의해 결정되는데,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영상 증폭기의 이득을 높이는 것만으로는 노이즈도 함께 커지기 때문에 원하는 휘도 레벨을 갖는 실용적인 화질을 얻을 수가 없다.
이를 감안하여 셔터 개방 시간을 늘려서 광전 변환 소자의 광전 변환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는 바, 표준 텔레비전 방식과의 호환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초당 50장 또는 60장의 그림을 보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 방식에서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부족한 화면수를 보충해 주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저속 전자 셔터(이하, 간단히 저속 셔터라고도 한다)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소자(4), 피사체의 광학상을 광전 변환 소자(4) 면에 맺히도록 하는 렌즈부(1), 렌즈부(1)를 통과하는 광량을 결정하는 조리개(2), 조리개(2)를 제어하여 렌즈부(1)를 통과하는 광량을 제어하는 조리개 제어부(3), 광전 변환 소자(4)를 설정된 셔터 상태에 따라 구동시키는 광전 변환 소자 구동부(12), 광전 변환 소자(4)에서 출력된 미약한 영상 신호를 전치 증폭하는 전치 증폭부(5), 일정 조도 이하의 어두운 환경에서 영상 이득을 키워 주는 이득 제어 증폭부(6), 영상 신호를 기억하고 재생하는 메모리부(8),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메모리부(8)를 통해 기억시킬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7), 메모리부(8)를 통해 출력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9), D/A 변환부(9)를 통해 출력된 영상 신호에 감마 보정, 윤곽 보정, 색신호 처리, 엔코딩 등을 수행하여 복합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10), 복합 영상 신호를 검지하여 일정한 휘도 레벨이 되도록 이득 제어 증폭부(6), 광전 변환 소자 구동부(12) 및 메모리부(8)를 제어하는 이득 및 저속 셔터 제어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일정량(c) 이상의 광량이 입사될 때는 렌즈부(1)를 통해 입사된 광학상의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이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입사 광량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지 못하고 조리개(2)를 통해 제어되어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A)을 유지한다. 그러나, 만일 입사광량이 상기한 조리개 제어 범위(c) 이하이고 저속 셔터 제어 범위(a-b) 이상이 되면 이득 및 저속셔터 제어부(11)에서 이것을 검지하여 이득 제어 증폭부(6)의 이득을 크게 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레벨이 이득 제어 및 저속 셔터의 기준 레벨(B)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입사 광량이 이득 제어 범위(b-c)보다 더 작아지는 경우에 이득 및 저속 셔터 제어부(11)에서는 이득 제어 만으로는 노이즈 없이 원하는 휘도 레벨을 갖는 화상을 얻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현재의 제어 이득을 유지한 상태에서 저속 셔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출력 영상 신호의 레벨이 이득 제어 및 저속 셔터 기준 레벨(B)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이득 제어 증폭부에 의한 이득 제어 범위와 저속 셔터에 의한 제어 범위의 경계가 기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어떻든 동일 기종에서는 고정된 값으로 주어져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와는 관계 없이 입사 광량에 따라 화질의 상태가 결정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득 제어 증폭부가 동작되는 영역에서는 어두워질수록 노이즈가 크게 증가하고 저속 셔터가 동작되는 영역에서는 어두워질수록 화면 끌림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로 야간의 박물관 내부를 감시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입사광량이 기준치보다 크면 움직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제어 이득을 키움으로써 노이즈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고, 반대로 야간의 주차장과 같이 차량의 통과를 감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입사광량이 상기 기준치보다 적으면 무조건 저속 셔터를 동작시킴으로써 동화 끌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촬상된 영상 신호에서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이득 제어 증폭부의 제어 이득과 저속 전자 셔터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레벨을 가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사 광량이 미리 정해진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 이상이면 조리개 제어 수단에 의해 조리개를 제어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상기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에 맞추고, 입사 광량이 상기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제어 이득이나 저속 전자 셔터 개방 시간을 조절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미리 정해진 제어이득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로 맞추는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영역의 휘도 신호의 대표값을 연산하는 수단 및 상기 연산 수단에서 제공된 각 분할 영역의 휘도 신호의 대표값을 처리하여 당해 입력 영상의 전체 휘도 레벨 및 움직임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이득이나 저속 전자 셔터의 동작 범위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전체 휘도 레벨을 상기 제어이득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로 유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방법은 입사 광량이 미리 정해진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 이상이면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상기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에 맞추고, 입사 광량이 상기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제어 이득이나 저속 전자 셔터 개방 시간을 조절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미리 정해진 제어이득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로 맞추는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을 소정 개수로 분할하여 얻어진 각 영역에 대한 휘도 신호의 대표값을 제공받아 입력 영상의 전체 휘도 레벨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전체 휘도 레벨이 상기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 영상에서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가변되는 이득 제어 가능 범위를 연산하는 단계; 제어하고자 하는 이득이 상기 이득 제어 가능 범위 내에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이득이 상기 이득 제어 가능 범위 내에 있으면 제어 이득을 조정하고,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이득이 상기 제어 이득 가능 범위 외에 있으면 상기 저속 전자 셔터의 개방 시간을 조정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상기 제어이득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로 맞추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a는 본 발명에서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의 저속 셔터 제어 범위와 이득 제어 범위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 5b는 움직임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의 저속 셔터 제어 범위와 이득 제어 범위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1: 렌즈,2, 22: 조리개,
3, 23: 조리개 제어부,4, 24: 광전 변환 소자,
5, 25: 전치 증폭부,6, 26: 이득 제어 증폭부,
7, 27: A/D 변환부,8, 29: 메모리부,
9, 31: D/A 변환부,10: 영상 신호 처리부,
11: 이득 및 저속셔터 제어부,12, 35: 광전 변환 소자 구동부
28: 제 1 DSP부,30: 제 2 DSP부,
32: Y/C 믹서부,33: 메모리 제어부,
34: 마이컴부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소자(24), 피사체의 광학상을 광전 변환 소자(24) 면에 맺히도록 하는 렌즈부(21), 렌즈부(21)를 통과하는 광량을 결정하는 조리개(22), 조리개(22)를 제어하여 렌즈부(21)를 통과하는 광량을 제어하는 조리개 제어부(23), 광전 변환 소자(24)를 설정된 셔터 상태에 따라 구동시키는 광전 변환 소자 구동부(35), 광전 변환 소자(24)에서 출력된 미약한 영상 신호를 전치 증폭하는 전치 증폭부(25), 일정 조도 이하의 어두운 환경에서 영상 이득을 키워주는 이득 제어 증폭부(26), 영상 신호를 기억하고 재생하는 메모리부(29),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메모리부(29)를 통해 기억시킬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27), 화상의 전처리 및 분할 영역의 대표값을 연산하는 제 1 DSP(Digital Signal Processor)부(28), 색신호 처리 및 엔코딩을 수행하는 제 2 DSP부(30),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31), 휘도 신호(Y)와 크로마 신호(C)를 적절하게 합성하여 복합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Y/C 믹서부(32), 저속 셔터의 동작시 표준 텔레비전 방식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메모리부(29)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33), 제 1 DSP부(28)로부터 입력되는 분할 영역의 대표값 연산 정보를 입력받아 이득 제어 증폭부(26), 광전 변환 소자 구동부(35) 및 메모리 제어부(36)를 제어하는 마이컴부(34)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제 1 DSP부(28)는 셔터 주기로 발생하는 인터럽트에, 1 필드 분 또는 1 프레임 분의 영상을 소정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이렇게 분할된 영역에서 휘도 신호의 대표값을 연산하여 마이컴부(34)에 전송한다. 다음, 마이컴부(34)에서는 이렇게 전송된 대표값을 연산하여 당해 필드 분 또는 프레임 분의 화상의 전체 휘도 레벨을 분석하고, 또한 상기 전송된 대표값을 연산하여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고 이러한 움직임 정보에 의거하여 이득 제어 가능 범위를 연산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을 본 발명의 제어 방법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서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 있어서의 저속 셔터 제어 범위와 이득 제어 범위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 5b는 움직임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의 저속 셔터 제어 범위와 이득 제어 범위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움직임이 적은 화상, 즉 동화의 끌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저속 셔터가 동작하는 범위를 증가시키는 대신에 이득 제어 범위는 감소시켜서 노이즈가 적은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고, 움직임이 많은 화상에서는 이와 반대로 이득 제어 범위를 증가시키는 대신에 저속 셔터가 동작하는 범위를 감소시킴으로써 동화 끌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화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적용된 비디오 카메라로 야간의 박물관 내부를 감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움직임이 거의 없을 것이기 때문에 적은 제어 이득 하에서 저속 셔터가 동작하여 노이즈 없는 선명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고, 반대로 야간의 주차장과 같이 차량의 통과를 감시하는 경우에는 제어 이득을 크게 함으로써 동화 끌림 현상이 없는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셔터 주기로 생성되는 인터럽트 발생 시마다 반복하여 동작하는데,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10)에서 제 1 DSP부(28)는 A/D 변환부(27)를 거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의 각 분할 영역에서의 대표값을 연산하여 마이컴부(34)로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마이컴부(34)에서는 각각의 분할 영역의 대표값을 연산하여 해당 필드 분 또는 프레임 분의 휘도 레벨을 분석한다. 여기에서 단계(S12) 이하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마이컴부(34)가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밝혀 둔다. 다음, 단계(S12)에서는 이렇게 분석된 1 필드 분 또는 1 프레임분의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과 도 5a 및 도 5b에서의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A) 사이의 대소 관계를 판단한다. 단계(S12)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 입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이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A)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S30)로 진행하여 저속 셔터가 동작 중에 있는 지, 즉 직전의 휘도 레벨 제어가 저속 셔터 제어 범위에서 이루어졌는 지를 판단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어두운 상태에서 전등을 켬으로 인하여 갑자기 밝아지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직전까지 저속 셔텨가 동작하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단계(S30)에서의 판단 결과, 저속 서터가 동작 중인 경우에는 단계(S32)로 진행하여 광전 변환 소자 구동부(35) 및 메모리 제어부(33)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저속 셔터의 개방 시간이 표준 텔레비전 방식에서 정해진 시간이 될 때까지 미리 정해진 비율로 감소시킨다. 한편, 단계(S30)에서의 판단 결과, 저속 셔터가 동작 중이지 아니한 경우에는 단계(S34)로 진행하여 이득 제어 증폭부(26)의 제어 이득이 조리개 제어 범위 하에서의 기준치보다 상향되어 있는 상태인 지를 판단한다. 단계(S34)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의 제어 이득이 상기 기준치보다 상향 상태인 경우에는 이득 제어 증폭부(26)를 제어하여 제어 이득을 상기 기준치가 될 때까지 미리 정해진 비율로 감소시킨다. 이와 동시에 전치 증폭부(25)에서는 조리개 제어부(23)를 제어하여 조리개(22)를 미리 정해진 정도까지 닫음으로써 조리개 제어 범위가 작동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점등된 상황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도 5a 및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개 제어 범위(c의 오른쪽 구간)가 작동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레벨이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A)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단계(S12)에서의 판단 결과 1 필드 분 또는 1 프레임분의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이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A)보다 적은 경우에는 단계(S14)로 진행하여 상기 전송받은 분할 영역의 대표값을 분석하여 움직임 정도를 연산하고, 이와 동시에 움직임 정도에 따른 이득 제어 가능 범위를 연산한다. 여기에서 움직임 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그 정도에 비례하여 이득 제어 가능 범위가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늘어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움직임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그 정도에 비례하여 이득 제어 가능 범위가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줄어들게 된다.
다음, 단계(S16)에서는 현재의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과 이득제어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B) 사이의 대소 관계를 판단한다. 단계(S16)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의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이 이득제어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B)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단계(S20)로 진행하여 현재의 제어 이득이 상기 이득 제어 가능 범위 이내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S20)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의 제어 이득이 상기 이득 제어 가능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이득 제어만으로도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이득제어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B)에 맞출 수 있다는 것이므로 단계(S22)로 진행하여 이득을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증가시키게 된다. 반면에, 현재의 제어 이득이 상기 이득 제어 가능 범위를 벋어난 경우에는 이득 제어만으로는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이득제어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B)에 맞출 수 없다는 것이 되므로 단계(S24)로 진행하여 저속 셔터의 개방 시간을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증가시킨다.
한편, 단계(S16)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의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이 이득제어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B)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S18)로 진행하여 현재의 제어 이득이 상기 이득 제어 가능 범위 이내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S18)에서의 판단 결과, 현재의 제어 이득이 상기 이득 제어 가능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이득 제어만으로도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이득제어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B)에 맞출 수 있다는 것이므로 단계(S26)로 진행하여 이득을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감소시키게 된다. 반면에, 현재의 제어 이득이 상기 이득 제어 가능 범위를 벋어난 경우에는 이득 제어만으로는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이득제어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B)에 맞출 수 없다는 것이 되므로 단계(S28)로 진행하여 저속 셔터의 개방 시간을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셔터 주기 인터럽트로의 동작이나 움직임 정보를 분할 영역에 대한 휘도 신호의 대표값에서 추출하는 방식은 다른 방식으로 적절하게 대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촬상된 영상 신호에서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이득 제어 증폭부의 제어 이득과 저속 전자 셔터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레벨을 가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입사 광량이 미리 정해진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 이상이면 조리개 제어 수단에 의해 조리개를 제어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상기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에 맞추고, 입사 광량이 상기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제어 이득이나 저속 전자 셔터 개방 시간을 조절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미리 정해진 제어이득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로 맞추는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영역의 휘도 신호의 대표값을 연산하는 수단 및
    상기 연산 수단에서 제공된 각 분할 영역의 휘도 신호의 대표값을 처리하여 당해 입력 영상의 전체 휘도 레벨 및 움직임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 이득이나 저속 전자 셔터의 동작 범위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전체 휘도 레벨을 상기 제어이득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로 유지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2. 입사 광량이 미리 정해진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 이상이면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상기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에 맞추고, 입사 광량이 상기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제어 이득이나 저속 전자 셔터 개방 시간을 조절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미리 정해진 제어이득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로 맞추는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을 소정 개수로 분할하여 얻어진 각 영역에 대한 휘도 신호의 대표값을 제공받아 입력 영상의 전체 휘도 레벨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전체 휘도 레벨이 상기 조리개 제어 기준 레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 영상에서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가변되는 이득 제어 가능 범위를 연산하는 단계;
    제어하고자 하는 이득이 상기 이득 제어 가능 범위 내에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이득이 상기 이득 제어 가능 범위 내에 있으면 제어 이득을 조정하고,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이득이 상기 제어 이득 가능 범위 외에 있으면 상기 저속 전자 셔터의 개방 시간을 조정하여 출력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상기 제어이득 및 저속셔터 기준 레벨로 맞추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정보의 추출은 상기 각 분할 영역에 대한 휘도 신호의 대표값을 분석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들은 상기 저속 전자 셔터의 인터럽트 주기마다 반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 방법.
KR1019990001293A 1999-01-18 1999-01-18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KR100284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293A KR100284265B1 (ko) 1999-01-18 1999-01-18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293A KR100284265B1 (ko) 1999-01-18 1999-01-18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056A KR20000051056A (ko) 2000-08-16
KR100284265B1 true KR100284265B1 (ko) 2001-03-02

Family

ID=1957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293A KR100284265B1 (ko) 1999-01-18 1999-01-18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989B1 (ko) * 2001-11-14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 및 그의 모션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056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5919B2 (en) Motion detecting device, motion detecting method, imag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KR100396203B1 (ko) 노광장치및방법,그노광장치를가지는비디오카메라
US7403231B2 (en) Camera with exposure correction dependent upon brightness detected in a frame with the lowest brightness compared to average brightness
US8023004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for selectively controlling gain in a normal imaging mode and a combined imaging mode
KR20030097687A (ko) 화상 처리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그 자동 노광 제어 방법
JP2000224468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522015B2 (ja) 撮像装置
JP531692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284265B1 (ko) 저속 전자 셔터를 이용한 비디오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JPH06189182A (ja) 撮像装置
JP365836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0570565B1 (ko) 줌 일체형 감시용 카메라의 자동노출제어방법
JP2817820B2 (ja) ビデオカメラ用露出制御装置
JPH05122599A (ja) ビデオカメラ用露出制御装置
JPH1023324A (ja) 撮像装置
JPH08237544A (ja) ビデオカメラの露出制御方法
KR100200851B1 (ko) 캠코더
JPH0556331A (ja) 撮像装置
JPH05219431A (ja) ビデオカメラ用露出制御装置
JP2936824B2 (ja) ビデオカメラ用露出制御装置
JPH0556338A (ja) 撮像装置
JP2002118787A (ja) 露出制御装置、画像信号生成装置、媒体、および情報集合体
JPH0556330A (ja) 撮像装置
JP2982479B2 (ja) テレビカメラ装置
JPH0523681U (ja) テレビジヨンカメラのオートアイリ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