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820B1 - 개찰업무통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찰업무통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820B1
KR100283820B1 KR1019970062921A KR19970062921A KR100283820B1 KR 100283820 B1 KR100283820 B1 KR 100283820B1 KR 1019970062921 A KR1019970062921 A KR 1019970062921A KR 19970062921 A KR19970062921 A KR 19970062921A KR 100283820 B1 KR100283820 B1 KR 100283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card
data
lift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613A (ko
Inventor
마사아키 사와메
마사유키 아카오
야스히로 가지와라
Original Assignee
구와하라아키라
도시바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와하라아키라, 도시바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구와하라아키라
Publication of KR1998006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권 발행기로부터 발행된 비접촉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개찰 업무를 실시하는 복수장소에 배치된 복수의 개찰기 및 회수기를 총괄적으로 관리 운영하는 개찰업무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설비의 상황, 사용하게 하고 싶은 사용자의 상황이 변해도 바로 IC카드, 개찰기, 개찰 게이트 및 회수권의 기준 데이터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집계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개찰 업무 통합관리 시스템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용권 발행기(15)에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를 접속하고, 회수기 컨트롤러(36)에서 복수의 회수기(35)에 회선을 연결하고, 복수의 개찰 게이트(24)에 게이트 컨트롤러(25)를 접속하며, 이 컨트롤러(16,25,36)가 각각 삽입된 메모리 카드(19,33,41)의 프로그램을 해당기기에 전송하고, 이용권 발행기(15)는 투함된 복수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17,40)을 반송하면서 표면의 인자문자를 소거하여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로부터의 이용권 발행 정보를 기록함과 동시에 이용권 발행 상황을 전송하며, 개찰 게이트(24)는 스키어가 개찰 게이트(24)에 오면 이 사용자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내부 데이터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개찰함과 동시에 개찰상황을 전송하고, 또한 회수기(35)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39)가 삽입되면 소정의 회수조건을 만족하고 있을 때 회수를 실시하고, 이 때의 회수상황을 컨트롤러(36)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찰업무 통합관리 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TICKET EXAMINATION WORK}
본 발명은 이용권 발행기로부터 발행한 비접촉 기록매체를 사용하여 개찰 업무를 실시하는 복수 장소에 배치된 복수의 개찰기 및 회수기를 총괄적으로 관리 운영하는 개찰업무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의 대표적인 스포츠인 스키는 그 활주시의 상쾌감 등의 매력에서 폭넓은 연령층의 스키어에게 지지받고 있다. 그러나, 동절기의 주말이라도 되면, 각지의 스키장에는 스키어가 대거 몰려들어 리프트의 운송능력에는 자연히 한계가 있기 때문에, 리프트 승강장은 매우 혼잡을 빚는 경우가 많다.
이 혼잡을 정리하여 스키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또한 스키어의 리프트로의 부정한 탑승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리프트 승강장에는 그 개찰 게이트 부근에 계원을 배치하고 있다. 이 계원은 개찰 게이트를 통과하는 스키어를 감시하고 스키어가 원활하게 지나가도록 배려하면서, 스키어의 팔 등에 홀더에 의해 부착된 리프트 이용권을 개찰한다.
그러나, 이 개찰업무는 동절기의 실외라는 악환경하에서의 업무이고 단순작업이므로, 개찰계원에 있어 매우 괴로운 업무였다.
그래서 개찰계원을 악환경 및 단순한 개찰 업무로부터 해방시키고 개찰에 드는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개찰 관리시스템의 출현이 스키장 관계자 사이에서 요망되고 있었다.
한편,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 등을 목적으로 유락시설인 스키장에 온 스키어에게 매우 일부의 리프트 부정 승차를 도모하는 스키어 때문에 리프트 승강장에서 계원에 의해 감시받으면서 리프트 이용권을 개찰받는 것은 개찰관리상 부득이하다고는 해도 대부분의 스키어가 정당한 리프트 승차권을 갖고 있는 사정을 감안하면, 단지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그다지 기분 좋은 일은 아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건 출원인이 별도로 제안하고 있는 일본 특원평7-114455호 공보에 기재된 비접촉 IC카드를 사용한 스포츠 클럽 등의 시설에서의 이용자의 체류장소를 관리하는 체류장소 관리 시스템에 착안하여 이 체류장소관리 시스템을 스키장에서의 개찰 관리 시스템에 응용할 수 없을까하는 발상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 체류장소 관리 시스템은 이용자의 손목 등에 비접촉 IC카드로 이루어지는 리스트밴드를 설치하고, 이 리스트밴드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자동 ID 판독 장치를 시설내의 각소에 설치하고, 이 자동 ID 판독장치에 이용자마다의 현재의 체류장소 및 시설 이용 상황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집중 제어 장치를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해 두고, 리스트 밴드와 자동 ID 판독장치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하여 자동 ID 판독장치를 통하여 이용자마다의 현재의 체류장소 및 시설 이용 상황 등에 대한 데이터를 집중 제어 장치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이 체류장소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계원은 이용자 마다의 현재의 체류장소 및 시설 이용상황 등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집중제어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이용자마다의 현재의 체류장소 및 시설 이용 상황 등을 앉은 자리에서 알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이용자에 대한 호출이 있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호출이 있다는 것을 빨리 알 수 있는 한편, 시설 관리자에게 있어서는 이 이용자를 사람이 직접 찾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호출이 있는 경우 이외에도 어떤 기간에서의 이용자마다의 시설이용상황 등을 알 수 있으므로, 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해 가는 상에서의 편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그런데, 이용설비는 항상 정상이라고는 한정할 수 없고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조건도 상이하다. 예를 들어 할인권 입장자이다.
그러나, IC카드의 내부 데이터의 변경은 메이커가 아니면 변경할 수 없으므로, 당일의 사용에 맞추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이 시스템을 어떤 사용자에게도 바로 사용하게 하고 싶다면, 이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회사는 여러 종류의 IC카드를 창구에 매우 많이 보관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창구에 넓은 보관장소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예를 들어 넓은 보관장소가 확보되고 사용자의 요망에 맞는 IC카드를 보관할 수 있었다고 해도 이 승차권의 종류에 따라서 IC카드를 찾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특히, 휴일 등에는 설비 이용자가 매우 많아지므로, 창구에서 계원이 바로 대응할 수 없으면 창구도 매우 혼잡하고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해도 체류장소의 확인을 위해서는 중앙제어장치에도 많은 종류의 IC카드의 호출 부호가 필요해지므로, 장치의 해독에도 시간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업무의 종료시에서 이 IC 카드를 회수하는 경우에는, 여러 종류마다 나누어 계원이 보관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계원에게는 매우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단 설비의 이용을 허가한 사용자에 대해서 특정 설비만의 사용을 허가한 경우 등은 설비의 개찰 게이트의 기준 데이터는 여러 사용자의 IC카드 내부 데이터를 등록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용이하게 개찰업무를 개시하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스키장에서는 휴일이 되면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판매소, 개찰 게이트가 매우 혼잡하므로, 사용자의 요망에 맞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찾아 판매한 경우에는 창구에 많은 스키어가 줄지어 서게 된다. 또한, 개찰 게이트의 운용개시가 지연되면 개찰 게이트 앞에 많은 스키어가 줄지어 서게 되므로 스키어에게 매우 불편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설비의 상황,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상황이 변해도 바로 IC카드, 이용권 발행기, 개찰 게이트, 회수기의 기준 데이터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집계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개찰업무 통합관리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개찰업무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구성도,
도 3은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내부 데이터의 설명도,
도 4는 이용권 발행기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개찰 게이트의 평면도,
도 6은 개찰 게이트의 정면도,
도 7은 회수기의 개략 구성도,
도 8은 이용권 발행기의 개략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이용권 발행기의 개략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0은 게이트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1은 개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12는 회수기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및
도 13은 회수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용권 발행기 시스템 11: 개찰 시스템
12: 회수기 시스템 15: 이용권 발행기
16: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 22: 회사 사무소의 퍼스널 컴퓨터
24: 개찰 게이트 25: 게이트 컨트롤러
26: 비접촉 검출장치 27: 플래퍼
28: 개찰기 35: 회수기
36: 회수기 컨트롤러
청구항 1은 비접촉 기록매체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시키고, 복수의 유락시설의 여러 설비의 개찰업무를 관리하는 개찰업무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비접촉의 기록매체를 복수매 한번에 투함시키는 투함구를 구비하고, 이 투함구로부터 비접촉 기록 매체를 한장씩 반송하면서 표면의 인자문자(印字文字)를 소거함과 동시에, 입력된 이용권 종류의 발행정보를 전송된 이용권 발행업무 프로그램에 따라서 비접촉으로 기록하는 한편, 이 이용권 발행상황을 전송하는 이용권 발행기와, 유락시설에 복수개 배치되어 사용자가 해당 게이트의 앞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부착하고 있는 비접촉 기록매체의 내부 데이터를 비접촉으로 읽고, 이 내부 데이터가 소정의 개찰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전송된 개찰 업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판정하여 개찰함과 동시에, 이 때의 개찰 상황을 전송하는 개찰 게이트와, 유락시설에 복수개 설치되고 비접촉 기록매체를 삽입시키는 삽입구를 구비하고, 이 삽입구로부터의 비접촉 기록매체의 내부 데이터가 소정의 회수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전송된 회수업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판정하여 회수함과 동시에 보관권을 반출하는 한편, 이 때의 회수 상황을 송신하는 회수기를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1에서는 이용권 발행기, 회수기, 개찰기는 전송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이하의 처리동작을 실시한다.
이용권 발행기에서 투함구에 투함된 복수의 비접촉 기록매체를 1장씩 반송하면서 표면의 인자문자를 소거한다. 그리고, 이 비접촉 기록매체에 입력된 이용권 종류의 이용권 발행정보가 비접촉으로 기록되어 발행되고, 이 때의 이용권 발행상황이 전송된다.
다음에, 이용권 발행 정보가 기록된 비접촉 기록매체를 몸에 부착한 사용자가 개찰 게이트에 오면, 이 사용자의 비접촉 기록 매체의 내부 데이터인 이용권 발행정보가 비접촉으로 판독되고, 이 내부 데이터가 소정의 개찰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 개찰이 실시됨과 동시에, 이 때의 개찰 상황이 전송된다.
또한, 회수기에 비접촉 기록매체가 삽입되면, 이 비접촉의 기록매체의 내부 데이터가 소정의 회수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 회수가 이루어지고 보관권이 반출되고, 또한 이 때의 회수상황이 전송된다.
이 때문에, 이용권 발행기, 회수기 및 개찰 게이트는 전송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운용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용하는 설비 상황 또는 설비의 운용에 변경이 있어도 이 변경 상황에 따른 이용권 발행업무, 개찰업무 및 회수업무를 바로 실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용권 발행기는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에 접속되고, 이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는 삽입된 이용권 발행용 메모리 카드의 이용권 발행업무 프로그램을 이용권 발행기에 전송하여 원하는 이용권의 종류의 이용권 발행 지시를 이용권 발행기에 송신한 후, 이용권 발행기로부터의 이용권 발행상황을 표시 또는 이용권 발행용 메모리 카드에 등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여기에서는, 이용권 발행기와는 별도로 설치된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가 이용권 발행 업무용 메모리 카드의 삽입에 따라서 이 메모리 카드의 발행업무 프로그램을 이용권 발행기에 전송한 후, 원하는 이용권 종류를 발행하게 하는 지시를 송신함과 동시에, 이용권 발행기로부터의 이용권 발행상황을 표시 또는 메모리 카드에 기록한다.
이 때문에, 이용하는 설비 상황 또는 설비의 운용에 변경이 있어도 이 변경 상황 및 사용자의 소망에 따른 이용권 발행 정보를 기록한 비접촉 기록 매체를 바로 발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의 표시 내용을 보면서 이용권 발행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소망에 따른 이용권 종류의 비접촉 기록 매체를 발행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삽입된 이용권 발행용 메모리 카드에 이용권 발행 상황을 등록하므로, 메모리 카드를 사무소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해석하면, 총 이용권 발행 매수, 이용권 종류 마다의 발행 매수 등의 이용권 발행 상황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의 개찰 게이트는 개찰 게이트 컨트롤러에 접속되고, 이 개찰 게이트 컨트롤러는 삽입된 개찰용 메모리 카드의 개찰업무 프로그램을 복수의 개찰 게이트에 차례로 전송한 후, 개찰 게이트로부터의 개찰 상황을 표시 또는 개찰용 메모리 카드에 등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개찰 게이트에 접속된 한대의 개찰 게이트 컨트롤러가 삽입된 개찰용 메모리 카드의 개찰업무 프로그램을 차례로 전송한다. 그리고, 개찰 게이트로부터의 개찰 상황을 표시 또는 개찰용 메모리 카드에 등록한다.
이 때문에, 이용하는 설비 상황 또는 설비의 운용에 변경이 있어도 이 변경 상황 및 사용자의 요망에 따른 조건으로 곧바로 개찰 업무를 실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개찰 게이트의 개찰 상황을 표시내용을 보면서 개찰할 수 있으므로, 원격 지점으로부터 한 명의 계원이 원활하게 개찰이 실시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삽입된 개찰용 메모리 카드에 개찰 상황을 등록하므로 메모리 카드를 사무소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해석하면, 게이트를 통과한 총인원수, 이용권 종류마다의 총인원수, 에러상황 등을 아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회수기는 회수기 컨트롤러에 접속되고, 이 회수기 컨트롤러는 삽입된 회수용 메모리 카드의 회수업무 프로그램을 복수의 회수기에 차례로 전송한 후, 회수기로부터의 회수상황을 표시 또는 상기 회수용 메모리 카드에 등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회수기에 접속된 한 대의 회수기 컨트롤러가 삽입된 회수용 메모리 카드의 회수업무 프로그램을 차례로 전송한다. 그리고, 개찰기로부터의 회수상황을 표시 또는 회수용 메모리 카드에 등록한다.
이 때문에, 원격지점으로부터 한명의 계원이 각 회수기의 회수상황(회수매수, 고장, 보관권의 잔여수, 이용권 종류 마다의 회수매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삽입된 회수용 메모리 카드에 회수상황을 등록하므로, 메모리 카드를 사무소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해석하면, 본 유락시설의 설비를 실제로 이용한 총원, 이용권 종류마다의 총원 등을 아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5는, 개찰 게이트는 사용자를 검출함과 동시에, 전파를 방사하여 비접촉 기록매체의 내부 데이터를 수신 또는 기록하는 비접촉 검출장치와, 비접촉 검출장치와 분리되어 비접촉 검출장치의 뒤쪽에 소정 간격을 갖고 배치되고, 개찰 게이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비접촉 기록매체의 내부 데이터의 기본 데이터 및 사용실적이 당해 게이트의 통과조건을 만족하고 있을 때, 사용자의 통과를 허가하는 개찰기를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5에서, 사용자는 비접촉 검출장치의 위치에 왔을 때 검출되고, 이 비접촉 검출장치로부터 방사되고 있는 전파에 의해 몸에 부착하고 있는 비접촉 기록 매체의 내부 데이터가 판독된다. 그리고, 이 내부 데이터가 뒤쪽의 개찰기에 의해 통과허가의 판정이 이루어지고, 통과허가의 경우는 게이트를 열어 통과시킨다.
이 때문에, 비접촉 검출장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사용자는 판정결과를 알 수 있다.
청구항 6은, 개찰기는 비접촉 기록매체의 내부 데이터가 통과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 개찰 게이트 컨트롤러로부터 통과 허가 지시가 송신되었을 때는 강제적으로 게이트를 열어 통과를 허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6에서는 기록 매체를 갖지 않는 계원 또는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아도 통과시키고 싶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원격지점에 있는 계원의 판단으로 통과를 허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7은, 개찰기는 비접촉 기록 매체의 내부 데이터를 최신 데이터로 기록 갱신하는데 있어서 이 리프트 이용권의 데이터가 이번의 갱신 시점보다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소정의 기록 갱신 사이클에서 기록 갱신되어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데이터 기록 갱신을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7에서는 비접촉 기록 매체의 내부 데이터를 최신 데이터로 기록 갱신하는 데 있어서 이 데이터가 이번의 갱신 시점보다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소정의 기록 갱신 사이클에서 기록 갱신되고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데이터 기록 갱신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초심자 등이 개찰 게이트의 통과에 시간이 걸려 비교적 장시간 개찰 게이트 부근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 복수회에 걸쳐 비접촉 기록매체와 통신을 실시할 수 있었다고 해도 동일한 것에 대해서 첫번의 통신시에는 데이터의 갱신을 실시하지만 두번째의 데이터 갱신은 실시하지 않는다.
청구항 8은, 비접촉 기록 매체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이고, 이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내부 데이터는 사용하는 스키장의 스키장 코드, 설비를 관리하는 회사 코드, 이용권 종류, 횟수 또는 시간 등의 기본 데이터와, 잔여 횟수 또는 잔여시간, 회수완료인지 여부를 알리는 코드 등의 사용실적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8에서 이용권 발행기는 투함구에 투함된 복수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한장씩 반송하면서 표면의 인자문자를 소거한다. 그리고, 이 리프트 이용권 카드에 스키장 코드, 설비를 관리하는 회사 코드, 이용권 종류, 횟수 또는 시간 등의 기본 데이터로 이루어진 발행 정보가 비접촉으로 기록되어 발행되고, 이 때의 발행상황이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에 전송된다.
다음에, 이와 같은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소지한 스키어가 개찰 게이트에 오면, 이 스키어의 내부 데이터인 이용권 발행 정보가 비접촉으로 판독되고, 이 내부 데이터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 개찰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때의 개찰 상황이 개찰 게이트 컨트롤러에 전송된다.
또한, 회수기에 리프트 이용권 카드가 삽입되면 이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내부 데이터가 소정의 회수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회수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을 때는 회수완료코드를 기록하여 회수가 이루어져 보관권이 반출되고, 이 때의 회수상황이 회수기 컨트롤러에 전송된다.
즉, 이용권 발행기, 회수기 및 개찰 게이트는 전송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운용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곤도라, 리프트의 설비 상황 또는 곤도라, 리프트의 운용에 변경이 있어도 이 변경 상황에 따른 이용권 발행업무, 개찰업무 및 회수업무를 바로 실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키장에서의 개찰 업무의 통합관리 시스템으로서 설명한다.
도 1의 개찰업무 통합관리 시스템은 이용권 발행기 시스템(10), 개찰 시스템(11) 및 회수기 시스템(12)으로 구성되고, 이용권 발행기 시스템(10)에서 스키어의 요망에 답한 이용권 종류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발행하고, 개찰 시스템(11)에서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내부 데이터를 판정하여 개찰시키고, 회수기 시스템(12)에서 사용이 끝난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회수하게 함과 동시에, 이 이용권 발행상황, 개찰 상황 및 회수상황을 원격지점에 있는 감시실, 판매소에 설치한 컨트롤러로 감시하고, 필요에 따라서 각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이 시스템은 시스템을 관리하는 회사의 사무소에서 작성된 메모리 카드의 프로그램에 기초한 방식으로 운용되고, 필요에 따라서 이 메모리 카드에 이용권 발행상황, 개찰상황 또는 회수상황을 등록하여 원격지점에 있는 회사 사무소에 건네준다.
이용권 발행기 시스템(10)은 이용권 발행기(15)와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로 구성된다. 이용권 발행기(15)는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로부터 전송된 이용권 발행업무용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고, 후술하는 투함구에 투함된 비접촉 리프트 이용권 카드(17)의 내부 데이터를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로부터 지시된 이용권 종류 데이터로 갱신하고, 표면에 이용권 종류을 나타내는 문자를 인자(印字)한 리프트 이용권 카드(18)를 발행한다. 또한, 삽입된 메모리 카드(19)에 이용권 종류에 따른 발행 매수를 기록한다.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는 이용권 발행기(15)와 전용선(20)으로 연결되고, 메모리 카드(21)(이용권 발행용)에 기억되어 있는 회사 사무소의 퍼스널 컴퓨터(22)에서 작성된 오늘의 이용권 발행기 시스템(10)의 운용방식을 규정한 이용권 발행업무용 프로그램을 이용권 발행기(15)에 전송한 후에, 표시하고 있는 각종 버튼의 누름에 기초한 이용권 종류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18)를 이용권 발행기(15)로부터 발행하게 한다.
개찰 시스템(11)은 복수의 개찰 게이트(24)와, 이 개찰 게이트(24)의 개찰 상황을 감시함과 동시에, 개찰 업무를 지시하는 게이트 컨트롤러(2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개찰 게이트(24)와 게이트 컨트롤러(25)는 LAN 회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개찰 게이트(24)는 비접촉으로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내부 데이터를 수신 또는 기록하기 위한 전파를 방사하는 비접촉 검출장치(26)와, 게이트 컨트롤러(25)로부터 전송된 개찰 업무용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비접촉 검출장치(26)로부터의 내부 데이터를 판정하여 플래퍼(27)를 개폐하는 개찰 업무를 실시하는 개찰기(2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컨트롤러(25)에는 각 개찰기(28)와 소정의 형식으로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제어장치(30)가 접속되어 있다. 이 게이트 컨트롤러(25)는 메모리 카드(33)에 저장되어 있는 회사 사무소의 퍼스널 컴퓨터(22)에서 작성된 오늘의 개찰 업무를 규정한 개찰 업무용 프로그램을 개찰기(28)에 전송한 후, 임의의 개찰기(28)와 통신을 실시하여 현재의 개찰 상황(통과인원수를 포함)을 표시한다. 또한, 개찰기(28)로부터 전송된 개찰 상황을 메모리 카드(33)(개찰용)에 등록한다.
회수기 시스템(12)은 복수의 회수기(35)와 이 회수기(35)의 회수상황을 감시함과 동시에, 회수시(35)에 대해서 소정의 지시를 실시하는 회수기 컨트롤러(3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수기 컨트롤러(36)와 회수기(35)에는 통신제어장치(37,38)가 접속되어 있다.
회수기(35)는 사용이 완료된 리프트 이용권 카드(39)의 삽입에 따라 이 리프트 이용권 카드(39)를 내부에 반송하여 내부 데이터를 소거한 리프트 이용권 카드(40)를 회수하여 보관권을 반출함과 동시에, 회수상황(회수매수를 포함)을 통신제어장치(38)를 통하여 회수기 컨트롤러(36)에 송신한다.
회수기 컨트롤러(36)는 메모리 카드(41)(회수용)에 저장되어 있는 회사 사무소에서 작성된 오늘의 회수업무용 프로그램을 각 회수기(35)에 전송하고 회수기(35)로부터의 회수 상황을 메모리 카드(41)에 기억시킨다.
〈각 기기의 상세한 설명〉
리프트 이용권 카드(17,18,39,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이 정방형의 사각형이고, 표면의 주위를 따라서 소정폭의 백선(43)이 인자되며, 이 백선(43)의 내부에는 이용권 종류, 년월일, 스키장명 등이 인자되어 있다.
이 리프트 이용권 카드(17,18,39,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44), 안테나(45)를 구동하는 송수신 드라이버(46) 및 메모리(47)를 구비하고 있다.
이용권 발행기(15)로부터 발행된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메모리(47)에는 후술하는 기본 데이터(제 1 기본 데이터, 제 2 기본 데이터를 포함) 및 사용자의 사용실적 등(총칭하여 이용권 발행 정보라 함)이 포맷되고, 제 1 기본 데이터가 어떤 이유에서 이상이 되었을 때, 백업용으로서 설치된 제 2 기본 데이터를 송신한다.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제어부(44)는 안테나(45)가 수신한 무선신호가 입력되면, 송수신 드라이버(46)를 제어하여 수신신호를 증폭한다. 그리고, 이 수신신호를 디코드하고, 수신데이터가 송신 요구를 나타내고 있을 때는 메모리(47)의 제 1 기본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재송요구를 나타내고 있을 때는 제 2 기본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안테나(45)로부터의 수신 데이터가 통과허가를 나타내고 있을 때는 제어부(44)는 메모리(47)의 사용실적 기억영역에 사용시각, 사용횟수 등(총칭하여 사용 실적 데이터라고 함)을 기록한다.
또한, 메모리(47)의 기본 데이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기본 데이터인 스키장의 리프트 이용권 정보(스키장명, 년월일, 이용권 종류, 금액 등)가 기억된 제 1 기본 데이터 기억 영역(P1)과, 이 제 1 기본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제 2 기본 데이터)가 동일한 포맷 형식으로 기억된 제 2 기본 데이터 기억 영역(P3)으로 기억되어 있다. 이 기본 데이터의 이용권 종류는 야간이용권, 1일권, 시간권, 대인용인지 소인용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실적이 기억되는 사용실적 기억영역(P2)이 양쪽의 기본 데이터 영역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기본 데이터 기억영역(P1) 및 백업용 제 2 기본 데이터 영역(P3)에는 스키장 코드(a), 회사 코드(b), 이용권 종류 코드(c), 회수가능(d), 유효개시일(e), 재발행일(f), 빈 영역(g)을 통하여 발행 년월일(h)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최종 사용 시각(i), 이용권 발행기 NO.(j) 및 발행시각(k)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사용실적 기억영역(P2)에는 시리얼 NO(l), 사용횟수(m), 사용일수(n), 첫회사용 년월일(o), 첫회사용시각(p) 및 최종사용 년월일(q)이 기억되어 있다.
이용권 발행기(1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함구인 호퍼(50)에 뿔뿔히 투입된 리프트 이용권 카드(17) 또는 회수완료된 리프트 이용권 카드(35)를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의 지시에 기초한 이용권 종류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18)로 발행함으로써 작업원의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한다.
이 때문에, 이용권 발행기(1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함된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반출구(51)로부터 한장씩 낙하시키는 호퍼(50), 호퍼(50)로부터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제 1 카드 반송용 벨트(52)상에 세우면서 반송하고, 후술하는 표 정열부에 핀치롤러(53,54)를 통하여 투함하는 카드 수직 반송계(55) 및 카드 수직 반송계(55)에 설치된 광센서(56)로 수직 반송중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앞뒤를 검출하게 하고, 그 앞뒤에 맞는 회전으로 항상 스토커(57)에 앞측(문자 정보면)을 위로 한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투함하는 반전기(58) 등으로 이루어진 표 정열부(5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토커(57) 내의 앞측이 위(수평이라고도 함)로 된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제 2 카드 반송용 벨트(60)에 의해 한장씩 꺼내어 수평 반송시키고, 히터(61)에 의해 문자를 제거한 후에 할로겐 롤러(62,63)에 의해 다시 열을 가하여 후술하는 판독/기록 반송계에 투함하는 히터 반송계(64)와, 히터 반송계(64)로부터의 문자가 제거된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전송나사기구부(65)에서 받아 이 전송나사기구부(65)로부터의 한장씩의 문자가 제거된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제 3 카드 반송용 벨트(66)에 의해 제 1 안테나(67)의 아래를 통과시키면서 내부 정보를 지운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얻은 후에 이용권 발행 정보에 기초한 내부 정보를 기록하여 인자 배출기구부(68)로 반송하는 판독/기록 반송계(70)를 구비하고 있다.
인자 배출기구부(68)는 제 1 안테나(67)를 통하여 반송된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표면에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로부터의 이용권 발행정보 또는 키보드(71)로부터의 이용권 발행정보에 기초한 인자정보를 인자한 리프트 이용권 카드(18)를 발행한다.
또한, 인자배출기구부(68)측에는 발행기 컨트롤러(16)와의 정보를 인자배출기구부(68)에 전달하거나 메모리 카드(19)에 이용권 발행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판독 제어부(75), 키보드(71), LCD(79), 컴퓨터 회로부(90)의 지시에 기초하여 각 부분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드라이버 회로부(80), 위를 통과하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에 회수권 정보를 기록하는 제 2 안테나(83)를 구비하고 있다.
컴퓨터 회로부(90)는 각 반송계의 일주기당 반송 속도가 항상 2초가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반송 타이밍의 어긋남이 발생했을 때는 스토커(57)에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축적시키거나 전송나사기구부(65)에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축적시킨다. 그리고, 이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상기의 반송속도로 한장씩 꺼내게 하고 있다.
개찰 시스템(11)의 개찰 게이트(2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접촉의 검출장치(26)와 개찰기(28)가 케이블로 접속되고, 기계적으로도 전기적으로도 분리되어 비접촉 검출장치(26)가 개찰기(28)의 바로 앞에, 약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비접촉 검출장치(26)와 개찰기(28)의 간격은 스키어를 한 명씩 판정하여 원활하게 개찰하기 위한 스키어의 인체의 폭 정도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접촉 검출장치(26)의 인체 검출용 센서(B)와 플래퍼(27)는 250㎜ 정도가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비접촉 검출장치(26)는 주요한 기능을 구비한 본체부(91)를 FRP커버로 덮은 2개의 지주(92a,92b)로 지지되고, 이 지주(92a,92b)의 바닥부를 평판(93)에 고정하며, 지주(92a)측에 스키어가 개찰기(28)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 바(9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91)의 내부에는 장방형 안테나(94)(230㎜×580㎜로 5회 감음)가 부착되고, 이 안테나의 내측에 개찰기(28)와 케이블을 통하여 통신을 실시하면서 안테나(94)를 컨트롤하는 안테나 컨트롤러(95)와 인체를 검출하는 인체 검출 센서(A,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테나(94)는 630㎜ 정도의 입체적인 공간 중에서 소망의 전계 강도를 얻는다.
또한, 개찰기(28)는 주요한 기능을 구비한 본체부(96)를 FRP 커버로 덮고, 이 본체부(96)를 스탠드(97)로 지지하고 있다.
이 본체부(96)에는 감시실에 스키어 또는 계원이 이상을 음성으로 통보하기 위한 인터폰(98),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판정결과 등을 음성으로 스키어에게 통보하기 위한 스피커(99), 저지봉인 플래퍼(27)를 수납하는 플래퍼 수납구(100) 및 일회권인 자기 카드를 삽입하게 하는 카드 삽입구(101)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96)의 상부면에는 각 표시면이 소정 각도로 되어 부착축을 회전 가능하게 한 자기반전 표시기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기반전 표시기부(103)에는 적색 램프(104)와 녹색 램프(10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96)의 내부에는 카드 삽입구(101)로부터의 자기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판독부(107), 플래퍼(27)를 제어하는 플래퍼 제어부(108) 및 각 부분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09) 등이 설치되어 있다.
플래퍼 제어부(108)는 플래퍼(27)를 원기둥 형상의 코일로 연결하고 있으므로, 스키어가 플래퍼(27)를 눌렀을 때, 30도 정도의 범위를 따라서 움직이고, 또한 밀었을 때는 제지하는 반발력을 부여하면서 부정진입 검출센서가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주제어부(109)는 통신처리 기능을 구비하고, 게이트 컨트롤러(25)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하며, 이 요구명령에 맞는 응답을 전송한다. 게이트 컨트롤러(25)로부터의 명령이 통상의 업무개시를 나타내고 있을 때는 비접촉 검출장치(26)의 인체 검출용 센서(A,B)가 스키어를 검출하면, 비접촉 검출장치(26)의 안테나 컨트롤러(95)에 대해서 내부 데이터를 판독하게 하는 신호를 송출하여 내부 데이터를 읽고 소정의 개찰 조건과 비교하여 통과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통과 가능하다고 판정했을 때는 안테나 컨트롤러(95)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시키는 기록신호를 송출한 후에 플래퍼 제어부(108)에 대해서 통과 허가 신호를 송출한다. 이 때 주제어부(109)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내부 데이터의 횟수를 빼고, 뺀 횟수를 자기 반전 표시기(103)에 표시하게 한다.
또한, 1회권인 자기 카드(이하, 1회권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라고 함)가 삽입구에 삽입되면 자기기록매체 판독부인 카드 판독부(107)에 기록 신호를 송출하여 내부에 반송시키고 카드 판독부(107)로부터의 1회권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내부 데이터를 판정하고 통과 가능한 1회권의 경우는 사용완료 코드를 기록시켜 카드 수납부에 투함시킴과 동시에 플래퍼 제어부(108)에 통과 허가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판독된 이 카드가 통과를 허가하는 카드인 경우에는 그 카드 종류에 맞는 통과인원수를 누적한다.
또한, 주제어부(109)는 게이트 컨트롤러(25)로부터 시각,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기본 데이터, 플래퍼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하고 가동상황을 소정의 형식으로 게이트 컨트롤러(25)에 반송하는 통신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주제어부(109)에는 에러의 종류를 표시하게 하기 위한 LCD, 플래퍼 강제해방 SW1 및 시스템 재설정 SW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퇴장 검출용 센서(C)가 후방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비접촉 검출장치(26) 및 개찰기(28)는 내부에 히터를 구비하고, 전원의 투입에 따라서 히터를 구동하여 내부를 소정 온도로 유지한다.
게이트 컨트롤러(25)는 전원의 투입에 따라서 기동 처리를 실시한다. 이 기동처리는 터치패널, LAN 등의 초기화를 실시한 후, 삽입된 메모리 카드(33)의 내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내부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일상업무처리 또는 개찰기(28)의 운용을 변경하기 위한 관리유지 처리를 실시한다.
일상업무처리는 개찰 게이트(24)를 통과하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18) 및 일회권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내부 데이터를 판정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 터치 패널의 소프트 웨어 버튼의 명령을 개찰 게이트(24)로 전송하고, 이 개찰 게이트(24)로부터의 데이터를 소정의 형식으로 표시한다.
회수기 시스템(12)의 회수기(35)는 비접촉 IC카드인 사용완료된 리프트 이용권 카드(39)를 내부에 끼워 넣어 내부 데이터를 판독한 후, 내부 데이터를 소거하여 회수함과 동시에 이용권 종류 데이터 마다의 회수매수를 집계하여 일본은행권(이하 지폐라고 함)을 반출한다. 또한, 카드의 종류마다의 집계 데이터와 지폐의 반출매수 등을 외부로 통보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회수기(3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용 전원을 소망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부분에 공급함과 동시에, 백업용 전원(110)에 이 전력을 충전하는 전원 유닛(111), 리프트 이용권 카드(39)를 카드 삽입/반출구(112)에서 내부로 끼워 넣으면서 안테나(113)에 의해 내부 데이터를 소거하여 카드 수납대(114)에 투함하는 카드 반송부(115) 및 카드 반송부(115)의 안테나(113)의 방사전파를 제어하는 안테나 컨트롤러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폐 배출구(117)로부터 지폐를 한장씩 반출하는 지폐지불부(118)와,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하는 히터부(119), 현재 해당 장치가 어떤 상태인지를 알리는 안내판군(122)과, 각 안내판에 대응하는 LED를 구비한 LED부(123) 및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2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유닛(124)에는 통신 인터페이스(125)인 RS232C가 부착되고, 원격지점의 판매소의 회수기 컨트롤러(37)와 통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유닛(124)은 도어 스위치(125), 키 스위치(12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원 유닛(110)에는 램프(127), 램프 스위치(128)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유닛(111), 카드 반송부(115), 안테나(113), 카드 수납대(114), 안테나 컨트롤러부(116), 지폐 지불부(118), 히터부(119), 제어 유닛(124), 도어 스위치(125), 키 스위치(126), 램프(127), 램프 스위치(128)는 상자(130)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카드 삽입/반출구(112), 지폐 배출구(117), 안내판군(122)과 LED부(123)는 상자(13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다.
카드 반송부(115)는 카드 삽입/반출구(112)로부터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39)를 제어 유닛(124)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내부에 끼워 넣은 후, 끼워 넣어진 리프트 이용권 카드(39)를 제거하여 카드자루(114)에 투함한다. 또한, 소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정규 카드가 아닐 때에는 카드 삽입/반출구(112)로부터 리프트 이용권 카드(39)를 반출한다.
〈동작설명〉
상기과 같이 구성된 개찰 업무의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이하에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한장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발행하기 까지의 이용권 발행기(15)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용권 발행기(15)의 전원을 투입하면 이용권 발행기(15)는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로부터의 프로그램을 판독한다. 그리고, 키보드(71)로부터 이용권 발행 매수 등이 설정되고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가 조작되어 이용권의 종류, 스키장명, 금액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용권 발행정보가 설정되면, 이용권 발행기(15)가 이 정보를 컴퓨터 회로부(90)에 송출한다.
컴퓨터 회로부(90)는 곧 드라이버 회로(80)를 제어하여 각 반송계를 동작 상태로 한다(S801). 이와 같은 상태일 때, 회수기(35)에 의해 회수된 리프트 이용권 카드(40)가 이용권 발행기(15)의 호퍼(50)에 뿔뿔히 투입되어 있으면 호퍼(50)의 반출구(51)로부터 리프트 이용권 카드가 한장씩 배출하여 건네주는 판을 통하여 카드 수직 반송계(55)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카드 수직 반송계(55)에 의해 리프트 이용권 카드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워진 상태에서 반송되고 앞뒤 검출용 센서(56)에 의해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앞뒤의 색이 검출되고, 앞뒤검출신호로서 컴퓨터 회로부(90)에 출력되어 핀치롤러(53,54)에 건네진다.
컴퓨터 회로부(90)는 앞뒤검출용 센서(56)로부터의 앞뒤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앞뒤를 판정한다(S802).
그리고, 판정결과가 앞인 경우에는 반전기(58)를 38도 회전시키는 반전기 제어신호를 드라이버회로(80)에 송출함과 동시에, 핀치롤러(53,54)를 회동시키는 핀치롤러 제어신호를 드라이버회로(80)에 송출하고,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앞을 위로 하여 제 1 스토커(57)에 수평으로 투함시킨다(S803).
또한, 스텝(S802)에서 리프트 이용권 카드가 뒤쪽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반전기(58)를 153도 역회전시키는 반전기 제어신호를 드라이버회로(80)로 송출함과 동시에, 핀치롤러(53,54)를 회동시키는 핀치롤러 제어신호를 드라이버회로(80)에 송출하고,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앞을 위로 하여 제 1 스토커(57)에 수평으로 투함시키고, 처리를 스텝(S805)으로 이동한다(S804).
다음에, 제 1 스토커(57)에 리프트 이용권이 투함되면 판독/기록 반송계(70)에 설치되어 있는 전송나사기구부(65)의 제 2 스토커에 리프트 이용권 카드가 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805). 그리고, 제 2 스토커에 리프트 이용권 카드가 투함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는 소정 매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806).
스텝(S806)에서 소정 매수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때는 제 1 스토커(57)로부터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송출을 대기시킴과 동시에, 판독/기록 반송계(70)의 제 2 스토커로부터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한장씩 나오게 한 후, 제 1 스토커(57)로부터 한장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꺼내게 하는 카드 배출신호를 드라이버(80)에 송출한다(S807).
다음에, 컴퓨터 회로부(90)는 판독/기록 반송계(70)의 제 1 안테나(67)를 구동하고, 전송나사기구부(65)로부터 반송된 한장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로부터 내부 정보를 수신하게 한다(S809).
또한, 스텝(S805)에서 전송나사기구부(65)에 리프트 이용권 카드가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 또는 스텝(S806)에서 전송나사기구부(65)에 소정수 이상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가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는 제 1 스토커(57)로부터 리프트 이용권을 한장 꺼내게 하는 카드 배출신호를 드라이버(80)에 송출한다(S810).
그리고, 전송나사기구부(65)의 제 2 스토커(도시하지 않음)에 리프트 이용권 카드가 투함되면, 즉시 전송나사기구부(65)로부터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배출하는 배출신호를 드라이버(80)에 출력하여 제어를 스텝(S809)으로 되돌아게 한다(S811).
다음에, 컴퓨터 회로부(9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8의 스텝(S809)에서 판독/기록 반송계(70)의 제 1 안테나(67)를 구동했을 때,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내부 정보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901). 즉, 리프트 이용권 카드에 내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901)에서 내부 정보가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는 제 1 안테나(67)를 구동하여 리프트 이용권 카드에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로부터의 이용권 발행정보를 기록한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작성한다(S902). 예를 들어, 스키장명, 년월일, 이용권 종류(1일권, 반일권, 회수권, 야간이용권) 및 금액을 기록한다.
다음에, 인자 배출기구부(68)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가 반송되어 오면,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로부터의 이용권 발행정보를 표에 인자한 리프트 이용권 카드(18)를 발행한다(S903). 예를 들어, 스키장명, 년월일, 이용권 종류 및 금액을 인자한다.
또한, 스텝(S901)에서 리프트 이용권 카드에 내부 정보가 있다고 판정했을 때는 제 1 안테나(67)를 구동하고 그 내부 정보를 소거하여 처리를 스텝(S902)으로 되돌아간다(S904).
또한,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는 1일권, 시간권, 소인권, 대인권 등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발행하게 하는 통상 이용권 발행기능 외에, 수회 사용한 회수권(回數券) 이용권 카드의 횟수를 변경하는 횟수추가기능과 2장의 회수권 카드의 횟수를 합계한 1장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발행시키는 회수합산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횟수추가기능 및 합산 기능은 제 2 안테나(83)에 회수권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위치시켜, 내부 데이터를 판독하게 하고, 횟수추가 데이터 또는 합산 데이터를 반송해 온 리프트 이용권 카드에 기록함으로써 발행한다.
즉, 이용권 발행기 시스템(10)은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16)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리프트 이용권 카드에 이용권 종류 데이터, 스키장 코드, 잔여 횟수/잔여시간 등의 데이터를 기록함과 동시에,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표면에 이용권 종류, 이용권 발행일, 금액 등에 관한 눈에 보이는 데이터를 인쇄하고 발행하여, 스키어로부터 소정의 금액을 보관한다.
또한, 이용권 종류 데이터는 회수권, 1일권, 오전권/오후권/야간이용권 등의 시간권, 시즌권, 소인권 등도 있다. 또한, 스키장 코드는 스키장을 식별하기 위한 스키장 마다 붙여진 고유의 코드이다.
또한, 잔여횟수는 리프트에 이후 몇회 승차할 수 있는지에 대한 횟수 데이터이고, 잔여시간은 리프트에 이후 몇 시간 승차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간 데이터이다.
다음에 개찰 시스템(11)을 설명한다. 게이트 컨트롤러(16)는 임의의 개찰기(28)와 회선을 연결하고, 이 개찰기(28)에 개찰 업무용 프로그램을 전송한 후에 「운용/정지」,「플래퍼의 강제해방」,「시계」,「집계」,「설정」,「유예시간」 등의 소프트웨어 버튼(이하 단지 버튼이라고 함)을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게이트컨트롤러(16)는 도 10에 설명하는 동작을 실시하고 있다.
게이트 컨트롤러(16)는 표시부의 운용/정지 버튼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001), 운용/정지 버튼이 눌러졌을 때는 지정 개찰 게이트(24)에 대해서 운용/정지 요구 명령을 송신하여(S1002) 본 처리를 나온다.
또한, 스텝(S1003)에서 운용/정지 버튼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는 플래퍼를 강제 해방시키는 강제 해방 버튼이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003), 강제 해방 버튼이 눌러졌을 때는 강제 해방의 요구 명령을 송신하여(S1004) 본 처리를 나온다.
또한, 스텝(S1003)에서 강제 해방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는 시계 버튼이 눌려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005), 시계 버튼이 눌려졌을 때는 양력, 월, 일, 시각을 입력시켜 개찰 게이트에 전송하여 설정시키는 시간 설정 처리를 실시하여(S1006) 본 처리를 나온다.
스텝(S1005)에서 시계 버튼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는 유예시간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007), 유예버튼이 눌러졌을 때는 유예 시간을 입력시키고, 확정 버튼이 눌러졌을 때에 이 유예 시각을 개찰 게이트(15)에 전송시키는 유예 시간 처리를 실시하여(S1008) 본 처리를 나온다.
또한, 스텝(S1007)에서 유예 시간 버튼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는 집계 버튼의 선택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009), 집계버튼이라고 판단했을 때는 집계처리를 실행하여(S1010) 본 처리를 나온다. 이 집계 처리는 집계 버튼이 눌러졌을 때 기동하고, 입력된 개찰 게이트에 대해서 집계 명령을 송신하고, 전송되어 온 개찰 게이트(24)의 현재까지의 회사 마다의 이용권 종류의 통과인원수를 메모리 카드에 기록한다. 또한, 집계 처리는 게이트 컨트롤러(16)에 접속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개찰 게이트(24)가 운용을 정지하고 있는 것이 조건이다.
또한, 스텝(S1009)에서 집계 버튼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때는 설정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하고(S1011), 설정 버튼이 눌러졌을 때는 메모리 카드의 프로그램을 개찰 게이트(24)에 전송하는 다운로드처리를 실시하여(S1012) 본 처리를 나온다.
다음에, 설정버튼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는 에러 재설정 버튼이 눌러졌는지여부를 판단하고(S1013), 에러 재설정 버튼이 눌러졌을 때는 입력된 개찰 게이트(24)에 대해서 에러 재설정(reset)을 전송하는 에러 재설정 처리를 실시하여(S1014) 본 처리를 나온다.
또한, 스텝(S1013)에서 에러 재설정 버튼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는 정산 버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015), 정산버튼이 눌러졌다고 판단했을 때는 개찰 게이트(24)에 대해서 정산 명령을 전송하는 정산처리를 실시하여(S1016) 본 처리를 나온다.
한편, 개찰 게이트(24)의 개찰기(28)의 주제어부(109)는 전원 투입에 따라서 각 부분을 체크하여 카운터 등을 클리어함과 동시에, 게이트 컨트롤러(25)로부터의 개찰 업무용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초기설정을 실시한다. 그리고, 게이트 컨트롤러(25)로부터의 명령 또는 시스템 재설정 스위치(SW), 관리유지 스위치의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게이트 컨트롤러(25)로부터의 명령이 운용개시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게이트 컨트롤러(25)로부터 현재시간 및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와 1회권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기본 데이터를 수신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설정하고, 이하에 설명하는 통상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어떤 스위치의 조작이 있었을 때는 게이트 컨트롤러(25)로부터의 명령을 받아 정지하고, 스위치 조작에 기초한 처리를 우선하게 한다.
본 예에서는 게이트 컨트롤러(25)가 운용 개시 명령을 송출한 후에 실시하는 개찰기(28)의 통상의 운용처리를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주제어부(109)는 비접촉 검출장치(26)의 인체 검출 센서(A,B)로부터 인체 검출 신호(A,B)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기다린다(S1101). 스텝(S1101)에서 인체검출신호(A)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는 비접촉 검출장치(26)의 안테나 컨트롤러(95)를 사용하여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내부 데이터를 판독하게 하여 개찰기(28)측에 송출시키고 내부 데이터가 올바르게 판독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02). 스텝(S1102)에서 내부 데이터가 올바르게 판독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때는 올바르게 내부 데이터가 판독될 때까지 재시도를 반복한다. 이 재시도는 최대 3초간이다.
상술한 데이터 판독 처리를 실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소정 시간에 걸쳐 데이터 판독에 실패하면 주제어부(109)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데이터 판독에 어떤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고 판독이상처리(서브루틴(1), 이하 SUB1이라고 함)를 실행한 후 스텝(S1101)의 처리로 돌아간다.
이와 같은 처리는 1회권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자기 카드)가 카드 판독부(107)에 삽입된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한, 스텝(S1102)에서의 데이터 판독 처리에서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데이터 판독에 성공하면 주제어부(109)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내부 데이터의 해독을 실시한다. 또한, 1회권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가 카드 판독부(107)에 삽입된 경우에는 카드 판독부(107)는 이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내부 데이터를 주제어부(109)에 송출한다.
주제어부(109)는 출력된 내부 데이터의 이용권 종류 코드가 1회권 또는 통상의 리프트 이용권을 나타내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03).
스텝(S1103)에서 1회권이라고 판정했을 때는 주제어부(109)는 이 1회권 데이터의 내부 데이터와 게이트 컨트롤러(25)로부터 전송된 1회권의 기본 데이터와 비교하는 1회권 데이터 비교처리(서브루틴 SUB2)를 실행한다. 이 때, 주제어부(109)는 스피커(99)로부터 「1회권용 카드판독에 삽입지시의 메세지」를 발생시킨다.
다음에, 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이 1회권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의 판정을 실시한다(S1104). 스텝(S1104)에서의 판정의 결과, 1회권이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주제어부(109)는 이 1회권의 이상의 이유를 표시하게 하는 등의 이상 상태에 맞는 처리를 실시하는 각종 이상처리(서브루틴, SUB3)를 실행하고 이 실행후에 스텝(S1101)으로 돌아간다. 이 각종 이상처리는 스키장 또는 회사코드의 불일치, 미유효 개시일, 무효권 사용 등의 20항목으로 이루어져 있고, 어떤 이상을 검출했을 때, 게이트 컨트롤러(25)에 통지한다.
스텝(S1104)에서 이용 가능한 1회권이라 판정했을 때는 주제어부(109)는 카드 판독부(107)에 대해서 1회권을 내부에 삽입시키는 지령을 송출하여 카드 수납부에 투함시켜 회수한다(S1105).
또한, 스텝(S1103)에서 통상의 리프트 이용권 카드(18)로 판정되었을 때는 주제어부(109)는 전회의 처리에서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데이터 기록이 실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06). 스텝(S1106)에서의 기록 판정의 결과, 전회의 일련의 처리에서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내부 데이터 기록이 실시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 주제어부(109)는 전회 기록된 내부 데이터와 이번에 판독된 내부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내부 데이터가 갱신 완료되었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시하고(S1107), 이 판정의 결과, 리프트 이용권 카드(18)는 전회에서 내부 데이터를 갱신 완료했다고 판정하면, 주제어부(109)는 플래퍼(27)를 개방위치에 구동시키는 처리를 실시한다.
스텝(S1106)에서 기록 판정을 실시하는 취지는 일련의 처리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전회의 처리에서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내부 데이터 기록이 실시되는 것이 통상인 것을 전제로 하여 이 스텝(S1106)에 의해 일련의 처리가 통상 상태에 있거나 또는 통상 상태에 있지 않는 오래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스텝(S1106 및 S1107)에서의 일련의 처리에 의해 전회의 처리의 흐름에서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내부 데이터 기록이 실시되고 있지 않지만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내부 데이터가 갱신 완료라고 판정되면, 주제어부(109)는 다시 데이터 갱신은 실시하지 않고 플래퍼 제어부(108)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플래퍼(27)를 개방 위치로 구동시켜 스키어를 통과시킨다.
따라서, 초심자인 스키어 등이 개찰기(28)의 통과에 시간이 걸려 비교적 장시간 개찰기(28) 부근에 머물고 있는 동안에, 리프트 이용권 카드(18)가 비접촉 검출장치(26)와 복수회에 걸쳐서 내부 데이터의 수신을 얻었다고 해도, 주제어부(109)는 동일한 리프트 이용권 카드에 대해서 첫회의 통신시에는 내부 데이터의 갱신을 실시하지만 다시 내부 데이터의 갱신은 실시하지 않는다.
그 결과, 주제어부(109)는 실제의 탑승횟수에 대응한 횟수만큼 리프트 이용권 카드(1)에서 횟수를 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개찰기(28)는 통상 허가를 알리는 녹색 램프(105)를 점등시킨다. 또한, 개찰 게이트(24)의 비접촉 검출장치(26)와 개찰기(28)는 기계적, 전기적으로도 분리되어 비접촉 검출장치(26)가 개찰기(28)의 바로 앞에, 약간 어긋나게 배치되고, 자기 반전 표시기부(103)가 약간 각도를 갖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기반전 표시기부(103)에 표시된 잔여횟수, 잔여시간을 스키어가 한눈에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이후 몇 회 또는 이후 몇 시간 활강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스텝(S1106)에서의 기록 판정의 결과, 전회의 처리에서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내부 데이터 기록이 실시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스텝(S1107)에서의 판정 결과, 리프트 이용권 카드(18)는 전회 데이터 갱신을 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주제어부(109)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에서 판독된 기본 데이터와 게이트 컨트롤러(25)로부터의 기본 데이터와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처리(서브 루틴SUB4)를 실행하고, 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리프트 이용권 카드(1)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S1108).
이 판정 결과, 리프트 이용권 카드(1)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주제어부(109)는 이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이상 이유를 표시시키는 등의 이상 상태에 따른 처리를 실시하는 각종 이상 처리(서브루틴, SUB5)를 실행하고 이 실행 후에 스텝(S1101)으로 돌아간다. 이 각종 이상 처리는 예를 들어 스키장 또는 회사 코드의 불일치, 미유효 개시일, 무효권 사용 등의 20항목으로 이루어져 있고 어떤 이상을 검출했을 때, 게이트 컨트롤러(25)에 통지한다.
또한, 스텝(S1108)에서의 판정의 결과, 리프트 이용권 카드(18)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주제어부(109)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18)의 내부 데이터의 기본 데이터인 이용권 종류 데이터, 스키장 코드, 회사 코드 및 사용실적 데이터인 잔여 횟수/잔여시간 등을 기록 갱신하는 후술의 데이터 기록 처리를 실행(서브루틴SUB6)하고, 이 실행후에 주제어부(109)는 서브루틴(SUB6)에서의 데이터 기록이 성공했는지 여부의 판정을 실시한다(S1109). 이 판정 결과, 데이터 기록이 실패했다고 판정되면, 후술하는 서브 루틴(SUB7)의 기록이상처리를 실행한 후에 스텝(S1101)으로 돌아간다. 또한, 서브루틴(SUB6)의 내부 데이터 기록 처리는 첫회의 내부 데이터 기록에 실패하면 스텝(S1101)으로 돌아가서 처음부터 처리를 반복한다. 이 반복횟수는 이 첫회의 데이터 기록 처리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3회를 상한으로 반복적으로 데이터 기록처리가 실행되도록 설정한다.
스텝(S1109)에서 기록이 완료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는 주제어부(109)는 플래퍼 제어부(107)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플래퍼(27)를 개방위치로 구동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S1110). 플래퍼(27)의 개방위치로의 구동 후, 주제어부(109)는 퇴장검지센서C에서의 퇴장검지신호C의 입력을 기다린다(S1111). 이 퇴장검지신호C가 입력되면, 즉 퇴장검지센서C가 게이트에서의 퇴장을 검출하면, 주제어부(109)는 플래퍼(27)를 폐쇄 위치로 구동시키는 처리를 실행(S1112)한 후 스텝(S1101)으로 돌아간다.
다음에, 회수 시스템(12)을 도 12의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는 회수기 컨트롤러(36)로부터 각 회수기(35)에 회수업무용 프로그램이 전송되고 있다.
회수기 컨트롤러(36)는 표시하고 있는 데이터 수집 버튼이 선택되면, 메모리 카드(41)가 끼워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1).
스텝(S1201)에서 메모리 카드(41)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때는 볼륨 라벨이 맞는지의(회수기용 메모리 카드인지의 여부) 여부를 판단한다(S1202). 스텝(S1202)에서 볼륨 라벨이 맞다고 판단했을 때는 회수기 컨트롤러(36)가 감시하는 모든 회수기(35)가 정지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03). 즉, 오늘의 영업이 종료한 시점에서 집계를 내도록 하고 있다.
또한, 모든 회수기가 정지하고 있는지의 판단은 회수기 컨트롤러(36)가 폴링(polling) 방식으로 각 회수기에 대해서 동작 상태 요구 명령을 송신하여 판단한다.
다음에, 스텝(S1203)에서 모든 회수기가 정지라고 판단되었을 때는 끼워진 메모리카드(41)에 각 회수기의 수집 이력 파일이 작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4). 이 수집이력 파일은 데이터를 송신했을 때 붙여지는 송신번호(이하, 데이터 수집번호라고 함)와 수집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수집 데이터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스텝(S1204)에서 각 회수기의 수집 이력 파일이 작성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때는 수집 데이터 요구 명령을 송신하고(S1205), 회수기(35)로부터 수집 데이터를 수신한다(S1206).
또한, 스텝(S1204)에서 메모리 카드에 수집 이력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그 회수기(35)의 수집 이력 파일을 작성하여 처리를 스텝(S1205)으로 되돌아가게 한다(S1207).
다음에, 스텝(S1206)에서 수집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 수집 데이터가 맞게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9).
스텝(S1207)에서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때는 처리는 스텝(S1205)으로 돌아가 다시 수집 데이터(재시도 최대 3회)를 수신한다.
또한, 3회 재시도에서도 수집 데이터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없을 때는 회수기(35)에 대해서 동작 상태 요구 명령을 송신하여 회수기(35)가 유지관리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1). 스텝(S1210)에서 유지관리 중이라고 판단했을 때는 데이터 수집 중지 처리를 실시한다(S1211). 또한, 스텝(S1210)에서 유지관리 중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는 통신 이상 처리를 실시한다(S1212).
또한, 스텝(S1209)에서 데이터를 정상으로 수신했다고 판단했을 때는 수신한 데이터 수집 번호가 갱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13). 이 스텝(S1213)의 판단은 수신 데이터의 데이터 수집번호와 회수 이력 파일의 데이터 수집 번호를 비교함으로써 판단한다.
이 비교의 이유를 설명한다. 회수기 컨트롤러(36)는 데이터 수집 요구 명령을 송신했을 때 메모리 카드(41)로부터 판독하여 데이터 수집 요구 명령에 데이터 수집 번호를 부가하여 송신하고, 회수기(35)는 수집 데이터를 회수기 컨트롤러(36)측에 송신할 때는 데이터 수집이 몇 시인지를 알리기 위해 수신한 회수기 컨트롤러(36)의 데이터 수집번호를 갱신하여 송신하고 있다.
또한, 회수기는 통신 에러가 되었을 때는 데이터 수집 번호의 갱신을 실시하지 않고 에러시에서의 수집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때문에, 회수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데이터 수집 요구 명령을 송신했을 때의 데이터 수집 번호와 회수기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데이터 수집 번호를 비교하면, 회수기(35)로부터의 수신 데이터가 에러시에서의 수집 데이터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다음에, 스텝(S1213)에서 데이터가 갱신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때는 전회에서 이 회수기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14).
스텝(S1214)에서 전회에 같은 회수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는 지금까지의 수집 데이터의 수집매수와 이번에 수신한 수집 데이터의 수집 매수를 가산하고(S1215), 카드 메모리의 수집 데이터의 수집 매수를 이 가산치로 갱신한다(S1216).
그리고 회수기(35)에 대해서 초기화 명령을 송신하고(S1217), 회수기로부터 초기화 명령에 대한 처리를 정상으로 실시한 것을 나타내는 정상응답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18). 스텝(S1218)에서 정상응답이 없다고 판단했을 때는 처리는 스텝(S1217)으로 돌아가서 다시 초기화 명령을 송출한다.
또한, 스텝(S1218)에서 정상 응답을 수신했을 때는 이력 파일의 데이터 번호 갱신 처리를 실시한다(S1219). 그리고 모든 회수기의 수집 데이터를 수집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0). 모든 회수기의 수집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처리는 스텝(S1204)으로 돌아가고, 모든 회수기의 데이터를 수집한 경우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S1213)에서 데이터 수집번호이 갱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는 데이터 내용 갱신 판정 수단이 데이터 내용이 갱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1).
스텝(S1221)에서 데이터의 내용이 갱신되어 있을 때는 현재까지 수집 데이터의 수집 매수에 이번의 수집 데이터의 수집 매수로부터 전회의 수집 데이터의 수집 매수를 감산한 데이터를 가산한다(S1222). 즉, 스텝(S1222)에서는 에러가 발생하여 보내진 전회의 수집 데이터의 수집 매수를 배제하고 있다.
또한, 스텝(S1214)에서 전회에서 수집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는 수집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41)에 기록하여 처리를 스텝(S1216)으로 돌아가게 한다(S1223).
따라서, 업무를 정지한 시점에서 원격지점으로부터, 모든 자동회수기가 회수하여 수집한 수집 매수 데이터를 모아 다른 기록 단체에 등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집 매수 데이터를 수집한 시점에서 다음의 업무 개시에 구비시킬 수 있다.
한편, 회수기는 회수기 컨트롤러(36)로부터의 회수업무용 프로그램을 수신한 후에 운용 개시 지령을 수신했을 때는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도 13은 회수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처음에 회수기는 재시도 카운터를 클리어하고(S1301), 안테나 컨트롤러부(116)에 대해서 리프트 이용권 카드(39)의 기본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1페이지 영역(P1)을 판독시키는 데이터 판독신호를 송출하여 이 영역의 데이터를 안테나 컨트롤러부(116)으로부터 판독하여 일시 기억한다(S1303).
그리고, 판독한 내부의 데이터를 해독할 수 있는지 여부(판독 에러)를 판정한다(S1305). 스텝(S1305)에서 판독 에러라고 판정했을 때는 재시도 카운터를 갱신하고(S1307), 이 재시도 카운터가 「2」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309). 스텝(S1309)에서 재시도 카운터가 「2가 아님」이라고 판정했을 때는 처리를 스텝(S1303)으로 돌아가게 하여 다시 리프트 이용권 카드(39)의 내부 데이터를 판독하게 한다. 이 내부 데이터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39)에 기록되어 있는 기본 데이터와 사용 실적 데이터이다.
또한, 스텝(S1309)에서 재시도 카운터가 「2」로 판정했을 때는 데이터 판정NG처리(S1311)를 실시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 데이터 판정 NG처리라는 것은 카드 반송부(115)의 모터를 역회전시켜 카드 삽입/반출구(112)로부터 리프트 이용권 카드(39)를 반출시키고 안내판군(122)의 「창구 지참」 지시의 LED부(123)를 점등시킨다.
또한, 스텝(S1305)에서 내부 데이터가 정상으로 안테나에 의해 판독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는 판독한 기본 데이터에 회수 플래그가 세워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13). 이 회수 플래그는 「1」이 세워져 있는 경우에는 이미 회수기에 의해 회수완료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S1313)에서 회수 플래그가 세워져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는 판독한 기본 데이터의 스키장 코드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스키장 코드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15).
스텝(S1315)에서 스키장 코드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는 판독한 기본 데이터가 나타내는 발행년월일(시간도 포함)이 「좋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17). 스텝(S1317)에서 발행 년월일이 「좋다」고 판단했을 때는 회사 코드가 소정의 코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19).
스텝(S1319)에서 회사 코드가 소정의 코드라고 판단했을 때는 안테나 컨트롤러부(116)에 대해서 2페이지 영역(P2)의 내부 데이터를 판독하게 하는 명령을 송출하고 안테나 컨트롤러부(116)로부터의 내부 데이터를 판독한다(S1321).
그리고, 판독 에러인지 여부를 판정하고(S1323), 판독에러가 아닐때는 사용횟수가 「0」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1325). 스텝(S1325)에서 사용횟수가 「0」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때, 즉 소정 조건을 만족했을 때는 그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이용권 종류에 대응하는 회수 파일의 매수와 회수시간을 갱신하는 데이터 판정 허가 처리를 실시한다(S1327). 그리고, 안테나 컨트롤러부(116)에 내부 데이터를 소거시키는 명령을 송출하여 리프트 이용권 카드(39)의 데이터 영역을 클리어하여(S1329) 본 처리를 종료한다(S1331).
또한, 재시도 카운터가 「2」가 되었다고 판정했을 때, 회수 플래그 「1」가 세워져 있다고 판정했을 때, 발행 년월일이 「좋지 않다」라고 판정했을 때, 또는 회사 코드가 소정의 코드가 아니라고 판정했을 때, 또는 2페이지 영역(P2)의 내부 데이터가 판독 에러라고 판정했을 때, 또는 사용횟수가 「0」이라고 판정했을 때는 스텝(S1311)으로 돌아가서 데이터 판정 NG처리를 실시한다.
즉, 스키장 코드, 발행 년월일, 회수 플래그 상태, 사용횟수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정 조건을 만족하고 있을 때 데이터 판정 OK처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리프트 이용권 카드에 의해서는 1페이지 영역(P1)에 기본 데이터를 기억함과 동시에 2페이지 영역 이후의 다른 페이지 영역에 같은 기본 데이터를 기억한 것도 있다. 이와 같은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판독했을 때는 스텝(S1309)에서 재시도 카운터가 「2」로 판정한 후에, 스텝(S1303)으로 돌아가서 상술한 것 이외의 페이지 영역을 판독하게 한다.
따라서, 이용권 발행기 시스템(10), 개찰 시스템(11) 및 회수 시스템(12)의 각각의 메모리 카드를 회사 사무소의 퍼스널 컴퓨터(22)에서 해석하면, 스키장에서의 리프트 이용권의 매상과 리프트 단위의 승차인원수, 회사 마다의 매상 등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간대마다의 매상 관리나 리프트 이용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 정보에 기초하여 스키장의 경영자는 사무실에서 있으면서 계원의 채용 또는 스키장내 각 장소로의 배치, 어떤 시간대에 대한 리프트의 가동상황 및 리프트 증설의 요구여부 등의 스키장의 경영 기획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1개의 스키 에리어에 대해서 복수의 경영자가 각각 개별 스키장을 개설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스키어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각 스키장(관리회사가 상이하다)에서 공통의 리프트 이용권을 발행하고 이 스키장 사이를 스키어가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많다. 이 때에 문제가 되는 것이 리프트 이용권의 매상 금액을 복수의 스키장 사이에서 어떻게 분배할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에 관한 개찰 업무의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스키장에 있어서, 각 스키장에서의 회사 단위의 이용권 종류 마다의 스키어의 리프트 이용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무소의 퍼스널 컴퓨터(22)에서 스키 에리어 전체에서의 공통의 리프트 이용권 총매상 금액을 산출한다. 다음에, 이 스키 에리어에서 스키어가 공통 리프트 이용권을 사용하여 리프트를 이용한 총횟수를 산출해 두고, 상기한 각 스키장에서의 스키어가 공통 리프트 이용권을 사용하여 리프트를 이용한 횟수를 상기한 총횟수로 각각 나눈다.
그렇게 하면, 이 스키 에리어 전체에서의 각 스키장에서의 각각의 리프트 이용율이 구해진다. 여기에서 구해진 각 스키장의 리프트 이용율에, 이 스키 에리어 전체에서의 공통의 리프트 이용권의 총매상 금액을 각각 곱하면 공통의 리프트 이용권의 총매상 금액에 대한 리프트 이용율에 따른 각 스키장의 몫을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해진 각 스키장의 몫은 리프트 이용율에 맞는 금액이므로, 이 분배 방법은 상응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한 개의 스키 에리어에 대해서 복수의 경영자가 각각 개별 스키장을 개설할 때의 곤란한 과제를 리프트 이용권의 매상 집계 및 리프트 승차집계 등의 데이터 집계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 집계 데이터에 적절한 정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키장에서 사용하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유락시설의 개찰 업무에 본 시스템을 적용해도 좋다.
청구항 1에 의하면, 이용하는 설비 상황 또는 설비의 운용에 변경이 있어도 이 변경 상황에 따른 이용권 발행 업무, 개찰 업무 및 회수업무를 바로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이용하는 설비 상황 또는 설비의 운용에 변경이 있어도 이 변경 상황 및 사용자의 요망에 맞는 이용권 발행정보를 기록한 비접촉 기록 매체를 바로 발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의 표시 내용을 보면서 이용권을 발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요망에 답한 이용권 종류의 비접촉 기록 매체를 발행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삽입된 이용권 발행용 메모리 카드에 이용권 발행 상황을 등록하므로, 메모리 카드를 사무소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해석하면, 총이용권 발행 매수, 이용권 종류마다의 이용권 발행매수 등의 이용권 발행 상황을 알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이용하는 설비상황 또는 설비의 운용에 변경이 있어도 이 변경 상황 및 사용자의 요망에 따른 조건에서 바로 개찰 업무를 실시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각 개찰 게이트의 개찰 상황을 표시 내용을 보면서 개찰할 수 있으므로 원격지점으로부터 한명의 계원이 원활하게 개찰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삽입된 개찰용 메모리 카드에 개찰 상황을 등록하므로, 메모리 카드를 사무소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해석하면, 게이트를 통과한 총인원수, 이용권 종류 마다의 총인원수, 에러 상황 등을 알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원격지점으로부터의 한명의 계원이 각 회수기의 회수상황(회수매수, 고장, 보관권의 잔여수, 이용권 종류 마다의 회수매수)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삽입된 회수용 메모리 카드에 회수상황을 등록하므로, 메모리 카드를 사무소에 퍼스널 컴퓨터에서 해석하면, 본 유락시설의 설비를 실제로 이용한 총원, 이용권 종류 마다의 총인원 등을 알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청구항 5에 의하면 개찰 게이트의 비접촉 검출장치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을 때, 개찰기에서의 통과 판정결과를 알 수 있다.
청구항 6에 의하면, 기록매체를 갖지 않는 계원 또는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아도 통과시키고 싶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원격지점에 있는 계원의 판단으로 통과를 허가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청구항 7에 의하면, 초심자 등이 개찰 게이트의 통과에 시간을 들여 비교적 장시간 개찰 게이트 부근에 머물고 있는 동안에 복수회에 걸쳐서 비접촉 기록매체와 통신을 실시할 수 있었다고 해도, 동일한 것에 대해서, 첫회의 통신시에는 데이터의 갱신을 실시하지만 다시 데이터 갱신은 실시하지 않는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8에 의하면, 이용권 발행기, 회수기 및 개찰 게이트는 전송된 스키장의 운용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내부 데이터를 판독하고 운용제어하므로, 곤도라, 리프트의 설비 상황 또는 곤도라, 리프트의 운용에 변경이 있어도 이 변경 상황에 맞는 리프트 이용권의 이용권 발행업무, 리프트 이용권의 개찰 업무 및 리프트 이용권의 회수업무를 바로 실시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회수기 컨트롤러측에서는 그날의 리프트, 곤도라의 총사용 인원수를 알 수 있음과 동시에, 개찰기 컨트롤러측에서 현재의 리프트, 곤도라의 이용상황을 이용권 종류마다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Claims (5)

  1. 비접촉 기록매체를 사용자에게 휴대시키고, 유락시설의 개찰 업무를 관리하는 개찰 업무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기록매체를 투함시키는 투함구를 구비하고, 이 투함구로부터의 비접촉 기록매체를 반송하면서 표면의 인자문자를 소거하고, 또 입력된 이용권 종류의 이용권 발행정보를 전송된 이용권 발행업무 프로그램에 따라 비접촉으로 기록하는 한편, 이 이용권 발행상황을 전송하는 이용권 발행기,
    삽입된 이용권 발행용 메모리카드의 이용권 발행업무 프로그램을 상기 이용권 발행기에 전송하여 원하는 이용권 종류의 이용권 발행지시를 상기 이용권 발행기에 전송한 후에, 상기 이용권 발행기로부터의 이용권 발행상황을 표시 또는 상기 이용권 발행용 메모리카드에 등록하도록 상기 이용권 발행기에 접속된 이용권 발행기 컨트롤러,
    상기 유락시설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가 해당 게이트의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비접촉 기록매체의 내부 데이터를 비접촉으로 판독하고, 이 내부 데이터가 소정의 개찰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를 전송된 개찰업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판정하여 개찰하고, 또 이 때의 개찰상황을 전송하는 개찰 게이트,
    삽입된 개찰용 메모리카드의 개찰업무 프로그램을 상기 개찰 게이트에 전송한 후에, 상기 개찰 게이트로부터의 개찰상황을 표시 또는 상기 개찰용 메모리카드에 등록하도록 상기 개찰 게이트에 접속된 개찰 게이트 컨트롤러,
    상기 유락시설에 배치되고, 상기 비접촉 기록매체를 삽입시키는 삽입구를 구비하고, 이 삽입구로부터의 상기 비접촉 기록매체의 내부 데이터가 소정의 회수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를 전송된 회수업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판정하여 회수하고, 또 보관권을 반출하는 한편, 이 때의 회수상황을 송신하는 회수기 및
    삽입된 회수용 메모리카드의 회수업무 프로그램을 상기 회수기에 전송한 후에, 상기 회수기로부터의 회수상황을 표시 또는 상기 회수용 메모리카드에 등록하도록 상기 회수기에 접속된 회수기 컨트롤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업무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찰 게이트는 상기 사용자를 검출하고, 또 전파를 방사하여 상기 비접촉 기록 매체의 내부 데이터를 수신 또는 기록하는 비접촉 검출장치와,
    상기 비접촉 검출장치와는 분리되어 상기 비접촉 검출장치의 후방부에 소정 간격을 갖고 배치되고, 상기 개찰 게이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비접촉 기록 매체의 내부 데이터의 기본 데이터 및 사용실적이 해당 게이트의 통과조건을 만족하고 있을 때, 상기 사용자의 통과를 허가하는 개찰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업무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기록 매체의 내부 데이터가 상기 통과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때, 상기 개찰 게이트 컨트롤러로부터 통과 허가 지시가 송신되었을 때는 강제적으로 게이트를 열고 통과를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업무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기록매체의 내부 데이터를 최신 데이터로 기록 갱신하는데 있어서, 이 기록매체의 데이터가 이번회의 갱신시점보다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소정의 기록 갱신 사이클에서 기록 갱신되어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하여 데이터 기록 갱신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업무 통합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기록매체는 리프트 이용권 카드이고, 이 리프트 이용권 카드의 내부 데이터는 사용하는 스키장의 스키장 코드, 상기 설비를 관리하는 회사 코드, 이용권 종류, 횟수 또는 시간 등의 기본 데이터와, 잔여 횟수 또는 잔여시간, 상기 회수기에 의해 회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코드 등의 사용실적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업무 통합관리 시스템.
KR1019970062921A 1996-12-13 1997-11-26 개찰업무통합관리시스템 KR100283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34117 1996-12-13
JP33411796A JPH10172015A (ja) 1996-12-13 1996-12-13 改札業務の統合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13A KR19980063613A (ko) 1998-10-07
KR100283820B1 true KR100283820B1 (ko) 2001-03-02

Family

ID=1827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921A KR100283820B1 (ko) 1996-12-13 1997-11-26 개찰업무통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172015A (ko)
KR (1) KR1002838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562B1 (ko) * 2005-09-30 2008-05-13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역사 게이트 제어 시스템
JP5292852B2 (ja) * 2008-02-27 2013-09-1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施設利用料金管理システム
JP7266177B2 (ja) * 2021-04-30 2023-04-28 株式会社グッドフェローズ 共通券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72015A (ja) 1998-06-26
KR19980063613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3307A (en) Self service dispensing assembly for lottery tickets
US7213755B2 (en) System for rapidly dispensing and adding value to fare cards
US6505774B1 (en) Automated fee collection and parking ticket dispensing machine
US6595416B1 (en) System for rapidly dispensing and adding value to fare cards
KR100283820B1 (ko) 개찰업무통합관리시스템
KR100305919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JP3784899B2 (ja) 記録単体自動回収装置
JP2545691B2 (ja) パーキングシステム
JP4443964B2 (ja) 乗車券媒体発行装置、改札処理システム、改札処理方法、及びid管理サーバ
JP2961429B2 (ja) 駐車場管理装置
EP1222640A2 (en) System for rapidly dispensing and adding value to fare cards
JPH07320105A (ja) 料金自動精算システム
JP2000155898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及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用駐車コイン
KR100227500B1 (ko) 승차권 부정잼 방지시스템
JP2802927B2 (ja) 遊技媒体貸出システム
JP2005092701A (ja) 自動改札装置
JPH1079007A (ja) データキャリア
JP3083122B2 (ja) 自動改札機
JP3657663B2 (ja) 券発行機
JPH0454559Y2 (ko)
JP3006135B2 (ja) 改札管理装置
JP2767268B2 (ja) 景品交換システム
JP2003016482A (ja) Icカードホルダ、icカード料金収受器、施設利用券の発券装置
JPH04344973A (ja) 証明書自動発行装置
JPH07100262A (ja) パチンコ景品払出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