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644B1 - 일체형 연속주조단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연속주조단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644B1
KR100283644B1 KR1019980050225A KR19980050225A KR100283644B1 KR 100283644 B1 KR100283644 B1 KR 100283644B1 KR 1019980050225 A KR1019980050225 A KR 1019980050225A KR 19980050225 A KR19980050225 A KR 19980050225A KR 100283644 B1 KR100283644 B1 KR 10028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ging
mold
rotary unit
casting
tr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381A (ko
Inventor
이광학
김억수
Original Assignee
구본호
학교법인울산공업학원
이현우
동남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호, 학교법인울산공업학원, 이현우, 동남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호
Priority to KR101998005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64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8/00Pressure casting; Vacuum casting
    • B22D18/02Pressure casting making use of mechanical pressure devices, e.g. cast-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서로 대향하는 복수 쌍의 서포트로 구성되는 로터리 유니트; 상기 로터리 유니트를 상기 주축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로터리 유니트의 회전휠을 소정 회전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로터리 유니트의 일측에 상기 서포트 위치에 설치되는 주조금형; 상기 주조금형의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회전각도 회전한 위치에 설치되는 단조금형; 및 상기 단조금형의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회전각도 회전한 위치에 설치되는 트리밍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주조금형에서 주조된 주조품이 상기 서포트에 의해 지지된 후, 상기 로터리 유니트가 회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단조 금형에서 단조되고, 상기 트리밍 금형에서 트리밍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단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연속주조단조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용탕을 주조한 후 이를 단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조공정과 단조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공정수를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연속 주조단조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연속 주조단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금속 소재 가공법 중 하나인 단조는 소재를 압축 가공함으로써 주조조직 내의 유해한 결함을 압착하여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는 동시에 목적하는 형상의 제품을 제조하는 가공법이다. 특히, 알루미늄 단조품은 비강도(강도/비중)가 큰 특징이 있어 주로 항공기 부품에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연비 향상을 위한 경량화 소재로 주목받으면서 자동차, 선박, 일반기계 등의 중요 부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알루미늄 단조품은 철강 단조품 및 주철제품에 비해 약 50%, 알루미늄 주조품에 비해 약 30%의 경량화를 가능케한다.
종래에 알루미늄 단조품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 주조재를 균질화 처리한 후 압출한 것을 소재로 하여 열간단조로 마무리함으로써 제품 형상을 얻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신뢰성이 높은 제품을 얻을 수는 있지만 압출재를 만들고 압출소재를 다시 가열하여 복잡한 형상의 최종 단조품으로 마무리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이러한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과다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주조공정과 압출공정을 합친 연속주조를 통해 주조재를 생산하여 이를 단조가공하는 방법이 등장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도 그 제조비용이 철강 단조품에 비해 약 3.3배, 알루미늄 주조품에 비해 약 1.8배로 높아 여전히 제조비용의 부담을 가져왔다.
최근 일본 등에서 고신뢰성을 가진 단조품의 특성을 살리면서 생산원가를 절감시키는 방법으로서, 제품의 형상과 비슷한 예비성형체(preform)를 미리 제조하고 이 예비성형체에 의해 주조된 소재를 열간단조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캐스트 단조(Cast & Forging)법 또는 세미-단조법이라는 새로운 공법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은 기존의 단조 공정을 상당히 개선한 것이기는 하나, 예비성형체에 의해 주조된 주조재를 다시 가열하여 열간단조하므로 주조 및 단조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그 생산성이 여전히 낮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주조공정과 단조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일체형 연속 주조단조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사용한 연속 주조단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단조 장치의 로터리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유니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단조 장치에 구비된 주조금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주조금형 및 서포트의 그루브에 용탕이 급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주조금형에서 주조된 주조품이 로터리 유니트의 서포트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단조 장치에 구비된 트리밍 금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트리밍된 여유분의 주조품이 서포트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로터리유니트 11...회전휠
13...승강수단 14...회전수단
20,21a,21b,22a,23a,23b...서포트 20a...연장부
20b...가이드부 30...그루브
40...주조 금형 41...오버플로우 홈
50...단조 금형 60...트리밍 금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단조 장치는,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서로 대향하는 복수 쌍의 서포트로 구성되는 로터리 유니트; 상기 로터리 유니트를 상기 주축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로터리 유니트의 회전휠을 소정 회전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로터리 유니트의 일측에 상기 서포트 위치에 설치되는 주조금형; 상기 주조금형의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회전각도 회전한 위치에 설치되는 단조금형; 및 상기 단조금형의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회전각도 회전한 위치에 설치되는 트리밍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주조금형에서 주조된 주조품이 상기 서포트에 의해 지지된 후, 상기 로터리 유니트가 회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단조 금형에서 단조되고, 상기 트리밍 금형에서 트리밍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 중 상기 서포트의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주조금형으로 주입된 용탕이 흘러 넘쳐 응고됨으로써 주조품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속 주조단조 장치를 사용한 연속 주조단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로터리 유니트를 하강시켜 상기 서포트를 상기 주조금형에 위치시킨 후 용탕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공급된 용탕이 상기 주조금형의 오버플로우 홈을 통해 상기 서포트의 그루브로 흘러 나가 응고됨으로써 주조품이 지지되는 단계; (c) 상기 로터리 유니트를 상승시켜 상기 주조품을 분리하고 소정 회전각도 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하강시켜 상기 주조품을 상기 단조금형에 위치시키는 단계; (d) 상기 단조금형에 의해 상기 주조품을 단조시키는 단계; (e) 상기 로터리 유니트를 상승시켜 상기 단조품을 분리하고 소정 회전각도 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하강시켜 상기 단조품을 상기 트리밍 금형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f) 제품 형상에 따른 트리밍 홀과 펀칭돌기가 형성된 상기 트리밍 금형에 의해 상기 단조품을 트리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단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연속 주조단조 장치에 따르면, 금형 주조 후 그 열을 그대로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단조 공정이 수행되는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단조 장치의 일 구성품인 로터리 유니트(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로터리 유니트(10)는 회전휠(11)에 결합된 주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축(12)은 예컨대 유압실린더 등의 승강수단(13)에 의해 상하로 승강가능하다. 또한, 상기 주축(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같은 회전수단(14)이 구비된다. 이러한 로터리 유니트(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하며 승강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휠(11)의 외주면에는 복수 쌍의 서포트(20)가 결합된다. 즉, 서포트(21a,21b)이 한 쌍의 서포트를 구성한다. 인접하는 서포트(21b,22a)는 상호 볼트(15)로 체결되거나 기타 통상의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포트(20)는 회전휠(1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0a)와 상기 한 쌍의 서포트(21a,21b)가 상호 평행하도록 굽어져 연장되는 가이드부(20b)로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서포트(21a,21b)가 상호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부(20b)의 대향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탕이 흘러 들어가 응고되는 그루브(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그루브(30)는 주조된 주조물이 서포트(2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마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터리 유니트(1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각각의 공정을 거쳐 제품이 완성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로터리 유니트(10)의 회전각도는 상기 서포트(20) 쌍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서포트(20)의 수는 공정에 적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8쌍의 서포트가 마련되어 각 공정간 로터리 유니트(10)의 회전각도가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속 주조단조 공정은 주조단계, 가열 및 냉각단계, 단조단계, 냉각단계, 트리밍(Trimming)단계, 취출단계 등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공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 유니트(10)가 회전하면서 각각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로터리 유니트(10)의 각 서포트(20)들이 대응되는 위치에서는 주조단계, 가열 및 냉각단계, 단조단계, 냉각단계, 트리밍단계 및 취출단계 등이 수행되며, 이러한 단계들의 위치는 서포트(20)의 형성 수 및 위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8쌍의 서포트(20)가 구비된 경우, 로터리 유니트(10)의 회전각도는 45°가 되며, 1회전각도마다 상기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데, 여분의 회전각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는 각 공정간의 대기단계 또는 버퍼단계를 두거나 별도의 공정들을 추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단계 위치에는 주조 금형(40)이 설치되며, 단조단계 위치에는 단조 금형(50)이, 그리고 트리밍 단계에서는 트리밍 금형(60)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취출단계 위치에는 취출용 실린더(70)가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단조 장치의 동작과 연속 주조단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주조 단계를 위해 로터리 유니트(10)의 서포트(20)가 승강수단(13)에 의해 하강하여 주조 금형(40)의 하부금형(도3의 41) 측면에 위치한다. 주조 금형(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미도시)에 고정된 상기 하부금형(41)과 별도의 승강장치에 의해 하강되는 상부금형(42)으로 구성된다. 하부금형(41)에는 용탕주입구(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조금형(40) 측면에는 주입된 용탕이 흘러 넘쳐 그 측면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 홈(4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서포트(20)가 하부금형(41)의 측면에 자리잡은 후 상부금형(42)이 내려와 결합되면, 이어서 용탕의 주입이 이루어진다. 용탕 주입구(43)를 통해 주입되는 용탕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45)를 채우고 난 뒤, 주조 금형(40) 측면으로 형성된 오버플로우 홈(44)을 통해 흘러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오버플로우 홈(44)은 서포트(20)의 가이드부(20b) 내면에 형성된 그루브(3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흘러 나온 용탕은 그루브(30) 내로 주입된다. 이러한 주조 단계에 있어서, 주조품은 최종 성품보다 약 10∼50%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탕 주입이 끝난 후 일정 시간 주물을 냉각시킨 후 상부금형(42)을 상승시켜 개형한다. 다음으로, 상기 로터리 유니트(10)를 승강수단(13)에 의해 상승시킨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흘러 나온 용탕이 서포트(20)의 그루브(30)에 주입되어 응고된 상태이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품(100)은 서포트(20)에 의해 지지되어 함께 상승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의 편의를 위해 나머지 서포트 들은 도시하지 않았다.
주조 단계가 끝나면 상기 상승된 로터리 유니트(10)가 도 2에서 보듯이 반시계방향으로 예컨대, 45°회전하여 가열 및 냉각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후속적인 서포트(23a,23b)가 주조 금형(40) 위에 다시 위치하며, 상기 주조 금형(40)은 공기가 분사되어 그 내부가 청소된 뒤 이형재가 분사되어 다음 주조작업을 준비한다.
한편, 가열 및 냉각 단계에서는 상기 주조된 물품이 단조하기에 적당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가열 또는 냉각된다. 이때, 주조 합금의 냉각 정도는 그 종류에 따라 상이하며, 보통 Cu 합금의 경우에는 약 800∼900℃ 정도, Al 합금의 경우에는 약 420∼520℃ 정도가 단조하기에 적당하다.
상기 냉각은 공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은 가스 또는 전기 히터(미도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은 주로 두께가 얇은 제품에 적용된다. 또한, 냉각 및 가열은 해당 제품에 따라 적절한 시간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조 단계 후에 적절한 온도로 응고시켜 이를 바로 단조단계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주조단계에서의 열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가열 및 냉각공정을 거친 후 상기 로터리 유니트(10)는 다시 1회전각도(45°) 만큼 회전하여 주조품(100)이 지지된 서포트(21a,21b)는 단조단계 위치로 옮겨간다. 상기 로터리 유니트(10)가 다시 하강하여 베이스에 고정된 하부 단조 금형 위에 주조품을 고정시키면 상부 단조 금형이 내려온다. 상부 단조 금형이 주조품에 닿으면 별도의 가압장치(미도시)에 의해 단조금형이 가압되어 일정시간 동안 주조품을 가압한다.
이어서, 가압이 해제되면 상부 단조 금형이 상승하여 개방되고 다시 로터리 유니트(10)가 상승함으로써 주조품(100)은 단조금형(50)으로부터 분리된다. 단조 가공된 주조품을 다음 공정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로터리 유니트(10)는 다시 1회전각도 만큼 회전하며, 이때 단조금형(50)은 공기 분사에 의해 청소된 후 이형재가 분사되어 후속적인 주조품의 단조를 준비한다.
단조단계 위치로부터 1회전각도 회전된 단조품은 다시 냉각단계를 거치게 되며, 이 단계에서 제품은 적절히 냉각된다.
냉각된 단조품이 다시 1회전각도 만큼 회전하여 이번에는 트리밍 단계로 진행한다. 회전된 로터리 유니트(10)가 다시 하강하여 하부 트리밍 금형(61) 위에 놓이면 상부 트리밍 금형(62)이 하강하면서 최종적으로 주조단조된 제품을 프레스하여 트리밍하게 된다. 상기 하부 트리밍 금형(61)에는 성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트리밍 홀(63)이 하방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트리밍 금형(62)에는 상기 트리밍 홀(63)에 삽입되어 펀칭하는 펀칭돌기(6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트리밍 금형(60)에 의해 펀칭된 최종 성품은 트리밍 홀(63)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출된다.
트리밍 공정이 끝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로터리 유니트(10)가 다시 상승한 후 회전하여 최종 취출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서포트(20)의 가이드부(20b)에 지지된 트리밍 여부분의 주조품(100')은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유분의 주조품(100')의 취출은 취출용 실린더(7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취출용 실린더(70)의 플런저(71)가 화살표 방향으로 주조품(100')을 밀어 서포트(20)의 가이드부(20b)의 그루브(30)로부터 주조품(100')을 분리시켜 밖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주조품(100')이 취출된 상기 가이드부(20b)의 그루브(30)에는 공기를 분사하여 세척한다. 상기 취출용 실린더(70)는 로터리 유니트(10)와 별도로 그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로터리 유니트(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취출된 트리밍 여유분은 다시 재활용되어 제품제조에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트리밍 단계와 취출 단계 사이, 그리고 취출 단계와 주조 단계 사이는 다음 공정을 위한 대기 단계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터리 유니트(10)가 1회전각도 단위로 회전하여 개별적인 공정을 거치며 이때 각각의 서포트쌍(20)에 대해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8쌍의 서포트를 가진 로터리 유니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서포트의 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회전각도 및 각 단계도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 단계 및 대기 단계 등은 적절한 공정 사이에 추가로 삽입되거나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단조 장치 및 방법은, 여러 단계의 작업이 로터리 유니트의 회전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복잡한 단조공정을 최소화하여 제품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주조열을 그대로 이용하여 단조함으로써 기존에 단조 소재의 별도 예열로 인한 비용 및 시간 소모를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단조기의 가압능력을 감안하여 소형제품의 경우에는 주조금형의 탕구부위를 연결하여 여러 캐비티의 단조를 행할 수 있으므로 단조비용이 절감되고 기존의 비철 단조소재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주조단조 장치 및 방법은 Cu합금을 소재로 한 유압장치 부품, 밸브류와 Al합금을 소재로 한 유압기기 부품, 에어컨용 피스톤, 회전사판(Swash plate), 매니폴드(Manifold), 실린더 헤드 등과 각종 내압 기밀 부품의 제조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한정된 조성을 가진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범용적인 Al-Si합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Claims (9)

  1.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서로 대향하는 복수 쌍의 서포트로 구성되는 로터리 유니트;
    상기 로터리 유니트를 상기 주축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로터리 유니트의 회전휠을 소정 회전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로터리 유니트의 일측에 상기 서포트 위치에 설치되는 주조금형;
    상기 주조금형의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회전각도 회전한 위치에 설치되는 단조금형; 및
    상기 단조금형의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회전각도 회전한 위치에 설치되는 트리밍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주조금형에서 주조된 주조품이 상기 서포트에 의해 지지된 후, 상기 로터리 유니트가 회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단조 금형에서 단조되고, 상기 트리밍 금형에서 트리밍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단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단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금형은 하부에 고정된 하부금형과 상부로부터 승강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금형의 측면에는 오버플로우 홈이 상기 서포트의 그루브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단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금형은,
    제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트리밍 홀이 하방까지 관통 형성된 하부금형; 및
    상기 트리밍 홀에 삽입되어 펀칭하는 펀칭돌기가 형성된 상부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단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금형의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회전각도 회전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주조품의 여유분을 취출하는 취출용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단조 장치.
  6.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그 대향면에 그루브가 형성된 복수 쌍의 서포트를 구비하는 로터리 유니트; 상기 로터리 유니트를 상기 주축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로터리 유니트의 회전휠을 소정 회전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로터리 유니트의 일측에 상기 서포트 위치에 설치되는 주조금형; 상기 주조금형의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회전각도 회전한 위치에 설치되는 단조금형; 및 상기 단조금형의 위치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회전각도 회전한 위치에 설치되는 트리밍 금형;을 포함하는 연속 주조단조 장치를 사용한 연속 주조단조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로터리 유니트를 하강시켜 상기 서포트를 상기 주조금형에 위치시킨 후 용탕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공급된 용탕이 상기 주조금형의 오버플로우 홈을 통해 상기 서포트의 그루브로 흘러 나가 응고됨으로써 주조품이 지지되는 단계;
    (c) 상기 로터리 유니트를 상승시켜 상기 주조품을 분리하고 소정 회전각도 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하강시켜 상기 주조품을 상기 단조금형에 위치시키는 단계;
    (d) 상기 단조금형에 의해 상기 주조품을 단조시키는 단계;
    (e) 상기 로터리 유니트를 상승시켜 상기 단조품을 분리하고 소정 회전각도 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하강시켜 상기 단조품을 상기 트리밍 금형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f) 제품 형상에 따른 트리밍 홀과 펀칭돌기가 형성된 상기 트리밍 금형에 의해 상기 단조품을 트리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단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된 단조품의 여유분을 실린더로 밀어 취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단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분리된 주조품을 적절히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단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는 45°이며, 상기 각 단계들 사이에 대기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단조 방법.
KR1019980050225A 1998-11-23 1998-11-23 일체형 연속주조단조 장치 및 방법 KR10028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225A KR100283644B1 (ko) 1998-11-23 1998-11-23 일체형 연속주조단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225A KR100283644B1 (ko) 1998-11-23 1998-11-23 일체형 연속주조단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381A KR20000033381A (ko) 2000-06-15
KR100283644B1 true KR100283644B1 (ko) 2001-03-02

Family

ID=1955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225A KR100283644B1 (ko) 1998-11-23 1998-11-23 일체형 연속주조단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6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381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44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facturing a flashless metal connecting rod
CA1281168C (en) Vertical die casting machine
CN102699094B (zh) 一种用于高精度复杂铜合金止推轴承座挤压成形的模具
CN106735083B (zh) 一种高气压铸造头部预制件增强活塞模具
CN113000757A (zh) 一种汽车铝合金轮毂锻造方法
KR100283644B1 (ko) 일체형 연속주조단조 장치 및 방법
CN103182480B (zh) 一种发动机缸盖重力浇铸工艺
EP358700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d bi-metallic casting composit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d bi metallic casting composite
CN108044054B (zh) 一种轮毂的制备方法
CN115041664B (zh) 一种汽车车轮的低压浇注液态模锻成形模具及其成形方法
CN115041636B (zh) 镁合金轮毂的挤压铸造成型模具
CN100381225C (zh) 制造包括一个或多个凹槽的模制锻造件的方法及其实现装置
CN109622835A (zh) 一种轴套类零件的铸锻复合形成装置
CN1093447C (zh) 非金属型液锻或挤铸成形工艺及模具
CN1876279A (zh) 一种铸造车用空调压缩机缸体、缸盖坯件的工艺方法
CN210233811U (zh) 一种分次注塑模具
CN112207260A (zh) 改进的轮毂铸造模具系统及轮毂铸造方法
CN116516189B (zh) 一种镁合金车轮铸锻成形方法
CN2855585Y (zh) 金属型铸球模具覆砂型板
KR100360685B1 (ko) 반용융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KR0168160B1 (ko) 카 에어컨용 와블식 압축기의 소켓플레이트 제조방법
CN1136634A (zh) 一种锌合金挂锁锁体及其制造方法
CN218983119U (zh) 一种多型腔压铸模具
CN219074332U (zh) 一种气压充型液压挤锻的多浇口复合成形装置
CN116748494A (zh) 一种镁合金车轮制造组合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