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357B1 -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357B1
KR100283357B1 KR1019980026135A KR19980026135A KR100283357B1 KR 100283357 B1 KR100283357 B1 KR 100283357B1 KR 1019980026135 A KR1019980026135 A KR 1019980026135A KR 19980026135 A KR19980026135 A KR 19980026135A KR 100283357 B1 KR100283357 B1 KR 100283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ear
oil supply
bea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646A (ko
Inventor
오중탁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8002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35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1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베어링으로 오일을 공급할 때 오일공급압을 높일 수 있는 오일 유도구를 설치함으로서 베어링으로의 오일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오일공급부족으로 인한 베어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매뉴얼 트랜스밋션에 각각 배치되는 축에 변속을 위한 기어 군이 설치되며, 이들 기어 군의 회전 또는 정지를 위해 각 축에 설치된 베어링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이 설치된 각 축의 중공홀 입구단에 오일공급홀로부터 유입된 오일을 베어링부로 압송할 수 있는 오일유도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본 발명은 매뉴얼 트랜스밋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랜스밋션의 구동 중에 트랜스밋션 케이스 내에 있는 오일이 각 축에 설치된 베어링에 공급될 때 축의 중공부를 통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오일공급부족으로 인한 베어링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가 설치된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요부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매뉴얼 트랜스밋션(10)의 각 축 및 기어 배치구조를 살펴보면 클러치와 연결되는 입력축(12)과, 이 입력축(12)을 사이에 두고 중간축(14)과 출력축(16)이 배치되며, 출력축(16)의 하부에는 차동장치(18)가 배치된다.
상기 중간축(14)에는 제 1허브 어셈블리(20)를 사이에 두고 1단기어(22)와 2단기어(24) 및 그 단부에는 부축기어(26)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축(12)에는 제 2허브 어셈블리(28)를 사이에 두고 3단기어(30)와 4단기어(32)가 설치되고, 또한 부축기어(34) 및 상기 1단기어(22)와 2단기어(24)에 맞물리는 제 1기어(36) 및 제 2기어(38)가 설치된다.
상기 출력축(16)에는 제 3허브 어셈블리(40)를 사이에 두고 5단기어(42) 및 후진기어(44)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3단기어(30)와 4단기어(32)에 맞물리는 제 3기어(46) 및 제 4기어(48)가 설치되고, 차동장치(18)에 동력을 전달하는 차동구동기어(5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중립상태에서는 제 1허브 어셈블리(20), 제2허브 어셈블리(28) 및 3허브 어셈블리(4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이고, 이때 1단기어(22)와 2단기어(24)는 각각 제 1기어(36)와 제 2기어(38)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이같은 상태에서 부축기어(26)와 5단기어(42)가 회전하고, 동시에 제 2허브 어셈블리(28)도 회전한다. 이때 제 1허브 어셈블리(28)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중간축(14)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
역시 출력축(16)은 5단기어(42)가 회전하지만 제 3허브 어셈블리(4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정지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시안된 시프트 레버를 1단 위치로 넣게 되면, 제 1허브 어셈블리(20)에 의해 1단기어(22)와 중간축(14)이 연결된다.
따라서 1단기어(22)의 회전력으로 중간축(14)이 회전하고, 중간축(14)의 후단에 연결된 부축기어(26)를 매개로 3단기어(30)가 회전하고, 이에 연결된 제 3기어(46)가 회전한다.
상기 제 3기어(46)의 회전으로 출력축(16)이 회전하여 차동구동기어(50)가 차동장치(18)를 1단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다음 2단 상태를 설명한다.
시프트 레버를 2단으로 넣게되면, 제 1허브 어셈블리(20)가 1단기어(22)에서 빠져서 2단기어(24)에 연결되고, 2단기어(24)의 회전력이 제 1허브 어셈블리(20)를 통해서 중간축(14)을 회전시킨다.
상기 중간축(14)의 회전으로 전술한 1단 변속위치에서 일어나는 동작으로 출력축(16)이 회전하여 차동구동기어(50)가 차동장치(18)를 2단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다음 3단 상태를 설명한다.
시프트 레버를 3단으로 넣게 되면, 제 2허브 어셈블리(28)는 3단기어(30)에 연결되고, 따라서 입력축(12)의 회전력이 3단기어(30)를 통해 제 3기어(46)에 전달되고, 제 3기어(46)의 회전으로 출력축(16)이 회전하고, 출력축(16)에 연결된 차동구동기어(50)를 매개로 차동장치(18)가 3단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때 중간축(14)은 3단기어(30)와 연결된 부축기어(26)를 통해 회전하고, 동시에 1단기어(22)와 2단기어(24)도 제 1기어(36)와 제 2기어(38)에 의해 회전하지만 제 1허브 어셈블리(2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이들의 회전은 서로를 구속하지 못하고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다음 4단 상태를 설명한다.
시프트 레버를 4단으로 넣게 되면, 제 2허브 어셈블리(28)는 3단기어(30)로부터 4단기어(32)에 연결되고, 따라서 입력축(12)의 회전력이 4단기어(32)에 연결된 제 4기어(48)에 전달되고, 제 4기어(48)에 연결된 출력축(16)이 회전하고, 출력축(16)에 연결된 차동구동기어(50)를 매개로 차동장치(18)가 4단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때 3단기어(3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3단기어(30)에 연결된 부축기어(26)가 정지하고, 동시에 입력축(12)의 제 1기어(36)와 제 2기어(38)에 각각 연결된 1단기어(22)와 2단기어(24)도 회전하지만 제 1허브 어셈블리(20)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중간축(14)은 정지한 상태이다.
다음 5단 상태를 설명한다.
시프트 레버를 5단으로 넣게 되면, 제 3허브 어셈블리(40)가 5단기어(42)와 출력축(16)을 연결한다. 따라서 입력축(12)에 연결된 부축기어(34)를 통해 회전하는 5단기어(42)의 회전력이 제 3허브 어셈블리(40)를 매개로 출력축(16)을 회전시키고, 출력축(16)에 연결된 차동구동기어(50)를 통해 차동장치(18)가 5단으로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매뉴얼 트랜스밋션(10)에 있어서, 각각의 중간축(14)과 입력축(12) 및 출력축(16)에는 제 1허브 어셈블리(20), 제 2허브 어셈블리(28), 제 3허브 어셈블리(40)가 설치되어 시프트 레버의 기어변속에 따라 상기 제 1,2,3허브 어셈블리(20)(28)(40)가 이동하여 각 기어(22)(24),(30)(32),(42)(44)를 단속시키게 되는 바, 이를 위해 각 기어(22)(24),(30)(32),(42)(44)들은 축(14)(12)(16)에서 롤러 베어링(52) 또는 니들 베어링(54)을 매개로 설치되어 그 결과 각각의 기어(22)(24),(30)(32),(42)(44)들은 축(14)(12)(16)에서 회전하거나 또는 정지상태를 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각 축(14)(12)(16)에 설치된 베어링(52)(54)에는 원활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트랜스밋션 케이스(56) 내에 있는 오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베어링부 오일 공급장치에 있어, 중간축(14)에 설치된 베어링(52)(54)의 오일 공급을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밋션 케이스(56) 내에 오일을 중간축(14)과 연통되게 하는 오일공급홀(58)과,
상기 트랜스밋션 케이스(56)에 설치된 실링캡(60)을 통해 설치된 공간부(62)와,
상기 중간축(14)에 형성된 중공홀(14a) 및 이 중공홀(14a)을 통해 각 베어링(52)(54)과 연통되는 유도홀(14b)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베어링부 오일 공급장치에 의하면, 트랜스밋션(10)의 구동시 트랜스밋션 케이스(56) 내에 있는 오일은 오일공급홀(58)을 통해 공간부(62)로 유입됨에 따라 회전되는 중간축(14)에 형성된 중공홀(14a)과 유도홀(14b)을 통해 각 베어링(52)(54)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오일 공급장치는 트랜스밋션 케이스(56) 내의 오일이 오일공급홀(58)과, 공간부(62)를 거쳐 중간축(14)으로 공급되는 단순한 오일경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오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그 결과 각 베어링(52)(54)에서의 오일 공급부족으로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초기 트랜스밋션(10) 구동시 각 베어링(52)(54)에서의 오일 공급부족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각 베어링으로 오일을 공급할 때 오일공급압을 높일 수 있는 오일 유도구를 설치함으로서 베어링으로의 오일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오일공급부족으로 인한 베어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매뉴얼 트랜스밋션에 각각 배치되는 축에 변속을 위한 기어 군이 설치되며, 이들 기어 군의 회전 또는 정지를 위해 각 축에 설치된 베어링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이 설치된 각 축의 중공홀 입구단에 오일공급홀로부터 유입된 오일을 베어링부로 압송할 수 있는 오일유도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오일유도구는 축의 중공홀 입구단에 설치되어 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중공축부와,
상기 중공축부로부터 굽힘되어 오일을 받이하는 원형판과,
상기 원형판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원형판으로 받이된 오일을 상기 중공축부로 압송시키는 다수의 유도날개와,
상기 원형판 둘레의 유도날개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오일공급홀로 유입된 오일을 유도하는 오일유도홈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매뉴얼 트랜스밋션이 구동함에 따라 트랜스밋션 케이스 내의 오일이 오일공급홀을 따라 유입되면 축과 함께 회전되는 오일유도구가 오일을 압송하여 각 축에 설치된 베어링에 공급하게 되어 종래에 비해 오일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가 설치된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요부 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가 설치된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요부 상세도.
도 3은 도 2에 설치된 본 발명의 오일 유도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매뉴얼 트랜스밋션 12 : 입력축
14 : 출력축 14a : 중공홀
14b : 유도홀 16 : 출력축
52, 54 : 베어링 56 : 트랜스밋션 케이스
58 : 오일공급홀 60 : 실링캡
64 : 리테이너 70 : 오일유도구
72 : 중공축부 74 : 원형판
76 : 유도날개 78 : 오일유도홈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가 설치된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요부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에 설치된 본 발명의 오일 유도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뉴얼 트랜스밋션(10)에 배치된 중간축(14)의 중공홀(14a) 입구단에 리테이너(64)를 매개로 하여 오일공급홀(58)로부터 유입된 오일을 상기 중간축(14)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52)(54)으로 압송할 수 있는 오일유도구(7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오일유도구(70)는 중간축(14)의 중공홀(14a) 입구단에 설치되어 중간축(14)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중공축부(72)와, 상기 중공축부(72)로부터 굽힘되어 오일을 받이하는 원형판(74)과, 상기 원형판(74)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원형판(74)으로 받이된 오일을 상기 중공축부(72)로 압송시키는 다수의 유도날개(76)와, 상기 원형판(74) 둘레의 유도날개(76)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오일공급홀(58)로 유입된 오일을 유도하는 오일유도홈(7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매뉴얼 트랜스밋션(10)이 구동함에 따라 트랜스밋션 케이스(56) 내의 오일이 오일공급홀(58)을 따라 유입되면 중간축(14)과 함께 회전되는 오일유도구(70)가 오일을 압송하여 중간축(14)에 설치된 베어링(52)(54)으로 공급하게 된다.
즉, 오일공급홀(58)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은 오일유도구(70)의 오일유도홈(78)을 따라 원형판(74)으로 받이되며, 이때 원형판(74)에 형성된 유도날개(76)에 의해 오일이 안내되어 중공축부(72)로의 압송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오일은 중간축(14)에 형성된 중공홀(14a)과 유도홀(14b)을 통해 각 베어링(52)(54)으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중간축(14)에 설치된 오일유도구(70)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오일유도구(70)를 도시되지 않은 입력축(12)과 출력축(16)의 설치하여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축에 오일유도구를 설치하여 각 축에 설치된 베어링에 오일을 공급함으로서 오일의 공급을 보다 원활하게 하여 베어링부의 오일공급부족을 해소하여 베어링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그 결과 트랜스밋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매뉴얼 트랜스밋션(10)에 각각 배치되는 축(12)(14)(16)에 변속을 위한 기어 군이 설치되며, 이들 기어 군의 회전 또는 정지를 위해 각 축에 설치된 베어링(52)(54)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52)(54)이 설치된 각 축(12)(14)(16)의 중공홀 입구단에 오일공급홀로부터 유입된 오일을 베어링(52)(54)부로 압송할 수 있는 오일유도구(7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도구(70)는 중간축(14)의 중공홀(14a) 입구단에 설치되어 중간축(14)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중공축부(72)와,
    상기 중공축부(72)로부터 굽힘되어 오일을 받이하는 원형판(74)과,
    상기 원형판(74)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원형판(74)으로 받이된 오일을 상기 중공축부(72)로 압송시키는 다수의 유도날개(76)와,
    상기 원형판(74) 둘레의 유도날개(76)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오일공급홀(58)로 유입된 오일을 유도하는 오일유도홈(7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KR1019980026135A 1998-06-30 1998-06-30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KR100283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135A KR100283357B1 (ko) 1998-06-30 1998-06-30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135A KR100283357B1 (ko) 1998-06-30 1998-06-30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46A KR20000004646A (ko) 2000-01-25
KR100283357B1 true KR100283357B1 (ko) 2001-08-07

Family

ID=1954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135A KR100283357B1 (ko) 1998-06-30 1998-06-30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96135A1 (en) * 2020-12-18 2022-06-23 Nidec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device, motor unit, and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96135A1 (en) * 2020-12-18 2022-06-23 Nidec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device, motor unit,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46A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2514B2 (ja) プラネタリギヤの潤滑装置
JP4998185B2 (ja) 自動変速機
WO2008084307A1 (en) Lubrication of a planetary gearset
DE102011104324B4 (de) Hocheffiziente Konstantförderflügelzellenpumpe
JPH07208584A (ja) 複式歯車変速機のアイドラ歯車取付構造
JP4646785B2 (ja) 風力発電機
DE69913452T2 (de) Abgestufte Dichtung und Buchse
KR100283357B1 (ko)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EP0097138A2 (en) A hydraulic pump or hydraulic motor
JP3511423B2 (ja) 自動変速機の油潤滑構造
JP2001153212A (ja) 遊星歯車装置
JP3318287B2 (ja) 伝動装置ユニットの噛合い歯を潤滑する方法
KR20000004645A (ko)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JPS6330544B2 (ko)
KR20000010340A (ko) 매뉴얼 트랜스밋션의 베어링부 오일공급장치
KR0130036Y1 (ko) A/t용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샤프트 구조
CN214578763U (zh) 行星轮系传动机构的自润滑油路结构
CN217463180U (zh) 一种换挡拨叉机构
KR100287370B1 (ko) 클러치 하우징
KR100439980B1 (ko) 수동변속기의 윤활구조
KR20000019175U (ko) 수동 변속기의 오일 공급 장치
KR100506990B1 (ko) 수동 변속기의 윤활구조
KR100281573B1 (ko) 변속기
KR100309336B1 (ko) 수동변속기의윤활구조
CN117515116A (zh) 一种取力器低油位润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