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054B1 - 테이프카세트및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카세트및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054B1
KR100282054B1 KR1019930023291A KR930023291A KR100282054B1 KR 100282054 B1 KR100282054 B1 KR 100282054B1 KR 1019930023291 A KR1019930023291 A KR 1019930023291A KR 930023291 A KR930023291 A KR 930023291A KR 100282054 B1 KR100282054 B1 KR 100282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eras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detecting
predetermin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374A (ko
Inventor
오타슈이치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4001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38Visual features other than those contained in record tracks or represented by sprocket holes the visual signals being auxiliary signals
    • G11B23/42Marks for indexing, speed-controlling, synchronising, or tim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on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14Auxiliary fea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adapted for use with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or configurations; adaptor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11B2220/652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said memory being attached to the recording medium
    • G11B2220/655Memory in cassette [MIC]

Landscapes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정보 검출용단자를 갖춤과 동시에 공통의 기록재생장치에 사용되는 크고 작은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와 이들 테이프 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에 관하여, 크고 작은 테이프 카세트에 공통의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전기적정보 검출용단자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를 독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적정보 검출용단자(4a~4d, 14a~14d)가 배치되는 위치를 카세트 케이스(2, 12)의 한편의 외측면(2b, 12b)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로 한다. 테이프 카세트에 설치된 전기적정보 검출용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정보를 독해하는 커넥터(25)와 오소거방지요소(8, 18)를 검출하는 검출스위치(24)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검출블럭이 장착되는 테이프 카세트의 대소를 판별하고 장착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대응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테이프 카세트 및 기록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의 일 실시예에 관한 큰 테이프 카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큰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제3도는 작은 테이프 카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4도는 작은 테이프 카세트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인 기록재생장치의 일 실시예에 관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큰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된 상태와 작은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된 상태를 중첩하여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Ⅵ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5도의 Ⅶ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8도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9도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11도는 리모콘 커맨더에서의 독해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카세트 2 : 카세트 케이스
2b : 일방의 외측면 4a,4b,4c,4d : 전기적정보 검출용단자
8 : 오소거방지요소 11 : 테이프 카세트
12 : 카세트 케이스 12b : 일방의 외측면
14a,14b,14c,14d : 전기적정보 검출용단자
18 : 오소거방지요소 21 : 기록재생장치
22 : 검출블럭 24 : 검출스위치
25 : 커넥터
본 발명은 신규한 테이프 카세트 및 기록재생장치에 관한것이다. 상세히는, 당해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복수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를 갖춤과 동시에 공통의 기록재생장치에 사용되는 크고 작은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와 이들 테이프 카세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고, 크고 작은 테이프 카세트에 공통의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전기적 정보 검출용 단자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를 독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테이프 카세트는 당해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복수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를 설치한 것이고, 이것이 기록재생장치에 장착된 때에 상기 기록재생장치에 설치된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를 독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는,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는, 크기가 다른 크고 작은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유형의 것, 즉, 소위 호환가능(convertable)형의 기록재생장치가 있었다.
그리고, 호환가능형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상기한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를 갖춘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는 경우, 테이프 인출의 동작, 즉, 테이프 로딩의 동작의 편리상, 대소의 테이프 카세트로 테이프 인출 위치가 공통으로 되도록 테이프 출구나 테이프 인출부인 마우스부라 칭하는 오목부 등의 위치가 동일하게 되도록 카세트 장착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의 위치는 대소의 테이프 카세트로 다른 위치로 되지 않으면 아니되며, 따라서, 크고 작은 테이프 카세트 각각에 대하여 전용의 검출수단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는 공통의 기록재생장치에 장착된 크고 작은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전기적 정보 검출용 단자가 배치되는 위치를 카세트 케이스의 한편의 외측면으로 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테이프 카세트에 설치된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 정보를 독해하는 커넥터와 오소거방지 요소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검출블럭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크고 작은 어느것의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도,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가 배치된 위치의 한편의 외측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므로,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와 접촉하는 검출수단을 이동시키고 상기 한편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등에 의해, 하나의 검출수단을 크고 작은 테이프 카세트에 공통의 검출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 및 기록재생장치의 상세를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부호(1)는 큰 편의 테이프 카세트, 즉, 큰 테이프 카세트이다.
부호(2)는 그것의 카세트 케이스이고, 평면에서 보아 좌우로 긴 장방형을 하고 있고, 상하폭이 작은 편평한 상자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카세트 케이스(2)내에 도시하지 않은 자기 테이프의 양단이 멈추어지고 또한 감겨 저장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릴이 회전자재로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자기테이프의 일부는 카세트 케이스(2)의 전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출구에서 카세트 케이스(2) 바깥으로 도출되고 그 앞면을 따라 위치하고 있다.
부호(3)은 카세트 케이스(2)의 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자재로 지지된 앞면 덮개이고, 카세트 케이스(2)의 앞면을 따라 위치하고 있는 자기테이프의 앞면을 개폐하는 것이다.
카세트 케이스(2)의 뒷면에는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4a, 4b, 4c, 4d)가 노출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4a∼4d)는 프린트기판(5)상에 형성되고, 싱기 프린트기판(5)이 카세트 케이스(2)의 후면벽(2a)의 내면에 형성된 얕은 오목부(6)내에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4a∼4d)가 후방을 향한 방향으로 끼워 맞춰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오목부(6)에 형성된 창(7)을 통하여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4a∼4d)가 외부로 면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단자의 위치(4a)를 전원과 접속되는 전원단자로 하고, 나머지 3개의 단자(4b, 4c, 4d)가 전원단자(4a)와 접속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의해 [0,1의 2치화신호를 나타내도록 하고, 이 3비트의 신호에 의해 소정의 복수의 정보를 나타내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프린트기판(5)에 IC를 탑재하고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4a∼4d)를 그 IC단자로서 구성하고, 상기 IC에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고 있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들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4a∼4d)는 서로 같은 간격(D1)으로 좌우로 늘어서 있고, 또한 제일 오른쪽 단자(4a)와 카세트 케이스(2)의 오른쪽 외측면(2b)과의 사이의 간격은 (D2)로 되어 있다.
부호(8)은 카세트 케이스(2)의 저면벽(2c)안에서 오른쪽 후단부에 형성된 오소거방지 판별공이고, (9)는 카세트 케이스(2)의 후면벽(2a)안에서 단자(4a)와 오른쪽 외측면(2b)사이의 중간의 위치에 형성된 오소거 방지 판별창이다.
그리고, 오소거 방지 판별공(8)의 오른쪽 외측면(2b)으로부터의 간격은 (D3)이고 또한 후면벽(2a)에서의 간격은 (D4)로 되어 있다. 또한, 오소거 방지 판별창(9)의 오른쪽 외측면(2b)으로부터의 간격은 (D5)로 되어 있다.
부호(10)는 카세트 케이스(2)내의 오른쪽 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자재로 배치된 슬라이드부재이고, 상기 슬라이드부재(10)가 그 이동범위의 좌단에 위치하여 있고, 상기 오소거방지 판별창(9)을 개방하고 있을 경우, 상기 오소거방지 판별공(8)도 개방되어 있고, 이것이 기록가능한 상태이다. 또, 슬라이드부재(10)가 그 이동범위의 오른쪽 단에 위치하고 있고, 오소거방지 판별공(9)을 폐색하고 있을 경우, 이 슬라이드부재(10)가 오소거방지 판별공(8)도 폐색하고 있고, 이것은 기록불능한 상태이다.
부호(11)는 작은 편의 테이프 카세트, 즉, 작은 테이프 카세트이다.
부호(12)는 그것의 카세트 케이스이고, 평면에서 보아 좌우로 긴 장방형을 하고 있고, 상하폭이 작은 편평한 상자형상을 하고 있다. 이 카세트 케이스(12)는 상기 큰 테이프 카세트(1)의 카세트 케이스(2)와 비교하여 전후폭 및 좌우폭 모두 꽤 작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하폭도 큰 테이프 카세트(1)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카세트(12)내에 도시하지 않은 자기테이프의 양단이 멈추어 지고 또한 감겨 저장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릴이 회전자재로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자기테이프의 일부는 카세트 케이스(12)의 앞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출구에서 카세트 케이스(12)바깥으로 도출되고 그 앞면을 따라 위치하고 있다.
부호(13)는 카세트 케이스(12)의 전단부에 상하방향에 회동자재로 지지된 앞면 덮개이고, 카세트 케이스(12)의 앞면을 따라 위치하고 있는 자기테이프의 전면을 개폐하는 것이다.
카세트 케이스(12)의 뒷면에는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14a,14b,14c,14d)가 노출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14a∼14d)도 프린트기판(15)상에 형성되고, 상기 프린트기판(15)이 카세트 케이스(12)의 후면벽(12a)의 내면에 형성된 얕은 오목부(16)내에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14a∼14d)가 후방을 향한 방향으로 끼워 맞춰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오목부(16)에 형성된 창(17)을 통하여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14a∼14d)가 외부로 임하고 있다.
또한, 이 작은 테이프 카세트(11)의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14a∼14d)도, 단자의 하나(14a)를 전원과 접속되는 전원단자로 하고, 남은 3개의 단자(14b,14c,14d)가 전원단자(14a)와 접속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의해 [0,1]의 2 치화신호를 나타내도록 하고, 이 3비트의 신호에 의해 소정의 복수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프린트기판(15)에 IC를 탑재하고,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14a∼14d)를 그 IC의 단자로서 구성하고, 상기 IC에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고 있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상기 큰 테이프 카세트(1)에 있어서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들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14a∼14d)는 서로 같은 간격(D1)으로 좌우로 늘어서 있고, 또한 제일 오른쪽 단자(14a)와 카세트 케이스(12)의 오른쪽 외측면(12b)과의 사이의 간격은 (D2)로 되어 있다.
부호(18)는 카세트 케이스(12)의 저면벽(12c) 중 오른쪽 후단부에 형성된 오소거방지 판별공이고, (19)는 카세트 케이스(12)의 후면벽(12a)의 안쪽 단자(14a)와 오른쪽 외측면(12b)과의 사이의 중간의 위치에 형성된 오소거방지 판별창이다.
그리고, 오소거방지 판별공(18)의 오른쪽 외측면(12b)으로부터의 간격은 (D3)이고 또 후면벽(12a)으로부터의 간격은 (D4)로 되어 있다. 또한, 오소거방지 판별창(19)의 오른쪽 외측면(12b)에서의 간격은 (D5)로 되어 있다.
즉, 이들 간격(D1∼D5)은 큰 테이프 카세트(1)에 있어서 각 간격(D1∼D5)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부호(20)는 카세트 케이스(12)내의 오른쪽 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자재로 배치된 슬라이드부재이고, 상기 슬라이드부재(20)가 그 이동범위의 좌단으로 위치하고 있고, 상기 오소거방지 판별창(19)을 개방하고 있을 때, 상기 오소거방지 판별공(18)도 개방되어 있고, 이것이 기록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슬라이드부재(20)가 그 이동범위의 오른쪽 단으로 위치하고 있고, 오소거방지 판별창(19)을 폐색하고 있는 경우, 이 슬라이드부재(20)가 오소거방지 판별공(18)도 폐색하고 있고, 이것은 기록불가능한 상태이다.
부호(21)는 상술한 크고 작은 테이프 카세트(1,11)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소위 호환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다.
상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1)에는 검출블럭(2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검출블럭(22)은 이동이 자유로운 베이스(23)에 테이프 카세트(1,11)의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4a∼4d)가 표시하는 정보를 독해하는 커넥터와 오소거방지 판별공(8,18)의 개방, 폐색을 검출하는 오소거방지 판별스위치가 지지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베이스(23)는 상방에서 보아 약 L자형상을 하고 있고, 그 우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조금 돌출한 돌출부의 상면에 오소거방지 판별스위치(24)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오소거방지 판별스위치(24)의 케이스(24a)의 상단에서 검출핀(24b)이 상방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23)의 좌우방향에 걸쳐 있는 부분의 상면에 커넥터(25)가 탑재되어 있다.
커넥터(25)는 케이싱(26)과, 검출접점(27a,27b,27c,27d)과, 상기 검출접점(27a∼27d)을 케이싱(26)에 지지하는 지지축(28)등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싱(26)은, 합성수지등의 녹색재료로 형성되고, 그 전면에 전방과 상방으로 개구한 배치오목부(29)가 형성되고, 그 후면의 하단부근의 위치에 상기 배치오목부(29)의 하단부에 연속하는 안쪽오목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안쪽오목부(30)가 형성됨으로서 배치오목부(29)의 하단부전면을 보호덮개부(31)가 형성된다.
배치오목부(29)의 상단부에는 좌우에 같은 간격으로 늘어서서 지지벽(32,32,32)이 설립되어 있고, 이들 지지벽(32,32,32)과 배치오목부(29)의 좌우양쪽 내측면과의 사이에 같은 간격의 지지공간(33,33,33,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부(31)안에 상기 지지공간(33,33,…)에 대응한 위치에는 위치결정절결(34,34,…)이 형성되어있다.
케이싱(26)의 배치오목부(29)의 바닥부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중간부분에서 전후방향으로부터 보아 각 지지공간(33,33,…)과 각 위치결정절결(34,34,…)을 연결하는 선상의 위치에 그곳이 전후로 관통된 관통공(35,35,…)이 형성되어 있다.
검출접점(27a∼27d)은 전도성을 가지는 선스프링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검출접점(27)은 집게스프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의 코일부(36)를 통하여 후편(37)과 전편(38)이 일체로 형성되고, 후편(37)은 그 선단부에 다른 부분에 대하여 직각으로 후방을 향하여 절곡된 접속편(37a)이 형성되어 있다.
전편(38)의 선단부근의 부분이 역V자형으로 전방으로 절곡되어 접촉부(38a)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38a)의 선단에서 약간 아래쪽으로 걸쳐 있는 부분(38b)이 걸림편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접점(27)은, 그 코일부(36)가 케이싱(26)의 지지공간(33)내에 배치되고 후편(37)의 접속편(37a)을 제하는 부분이 케이싱(26)의 배치오목부(29)의 안쪽 저면을 따라 위치되고, 접속편(37a)이 관통공(35)을 앞에서 뒤로 관통하고 그 후단부가 케이싱(26)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검출접점(27)의 전편(38)의 접촉부(38a)의 하단부는 위치결정절결(34)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고, 걸림편(38b)는 보호덮개부(31)의 후면안에 위치결정절결(34)의 아래 가장자리보다 아래의 부분에 후방으로부터 대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코일부(36)의 위치가 후술하는 것같이 고정되고, 또한 전편(38)이 상방으로부터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편(38)은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이동력이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그 걸림편(38b)이 보호덮개부(31)의 후면으로 걸어 맞추고, 그것에 의해 전편(38)의 전후방향에서의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각 검출접점(27a∼27d)이,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26)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축(28)이 케이싱(26)의 배치오목부(29)의 좌우를 한정하고 있는 벽의 후단부, 각 지지벽(32,32,…), 검출접점(27,27,…)의 코일부(36,36,…)로 삽통되고, 또한, 그 상태로 케이싱(26)에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각 검출접점(27,27,…)이 상기한 상태로 케이싱(26)에 지지된다.
그리고,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1)에 큰 테이프 카세트(1)가 장착되어 오면, 그것을 검지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1)는 검출블럭(220을 제 5도에 A로 나타내는 큰 카세트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큰 테이프 카세트(1)가 소정의 카세트 장착위치로 하강되어 오면, 검출블럭(22)의 오소거방지 판별스위치(24)의 검출핀(24b)이 큰 테이프 카세트(1)의 오소거방지 판별공(8)에 대응한 위치로 온다. 따라서, 상기 오소거방지 판별공(8)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는, 검출핀(24b)이 가압되지 않고 오소거방지 판별공(8)에서 카세트 케이스(2)내로 삽입되어 가므로, 기록가능한 테이프 카세트인 것이 검출된다. 역으로, 오소거방지 판별공(8)이 슬라이드부재(10)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슬라이드부재(10)에 의해 검출핀(24b)이 케이스(24a)내로 밀고 들어가므로, 이것에 의해, 기록불가능한 테이프 카세트인 것이 검출된다.
또, 큰 테이프 카세트(1)가 소정의 카세트 장착위치로 하강하여 오는 것에 의해, 커넥터(25)의 검출접점(27a∼27d)은, 카세트 케이스(2)에 의해 가압되어 후방으로 휘어지고, 그리고, 큰 테이프 카세트(1)가 카세트 장착위치로 장착되면, 검출접점(27a∼27d)의 접촉부(38a,38a,…)가 큰 테이프 카세트(1)의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4a∼4d)에 각별히 대응되어 그것에 축적되어 있는 탄발력에 의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이들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4a∼4d)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독해가능 하게 된다.
또,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1)에 작은 테이프 카세트(11)가 장착되어 오면, 그것을 감지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21)는 검출블럭(22)을 제 5도에 B로 나타내는 작은 카세트 위치로도 이동시킨다.
그리고, 작은 테이프 카세트(11)가 소정의 카세트 장착위치로 하강되어 오면, 검출블럭(22)의 오소거방지 판별스위치(24)의 검출핀(24)의 작은 테이프 카세트(11)의 오소거방지 판별공(18)에 대응한 위치로 온다. 따라서, 상기 오소거방지 판별공(18)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는, 검출핀(24b)이 눌려지지 않고 오소거방지 판별공(18)으로부터 카세트 케이스(12)내로 삽입되어 가므로, 기록가능한 테이프 카세트인 것이 검출된다. 역으로, 오소거방지 판별공(18)이 슬라이드부재(20)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슬라이드부재(20)에 의해 검출핀(24b)이 케이스(24a)내에 눌려들어가므로, 이것에 의해, 기록불가능한 테이프 카세트인 것이 검출된다.
또, 작은 테이프 카세트(11)가 소정의 카세트 장착위치로 하강하여 오는 것에 의해, 커넥터(25)의 검출접점(27a∼27d)은, 카세트 케이스(12)에 의해 가압되어 후방으로 휘어지고, 그리고 작은 테이프 카세트(11)가 카세트 장착위치로 장착되면, 검출접점(27a∼27d)의 접촉부(38a,38a,…)가 작은 테이프 카세트(11)의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14a∼14d)에 각별히 대응되고 그것에 축적된 탄발력에 의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이들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14a∼14d)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독해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1∼11)에 있어서는, 그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4a∼4d,14a∼14d)가 나란히 오소거방지 판별공(8,18)이 어느 것도 기준위치 즉, 카세트 케이스(2,12)의 오른쪽 외측면(2b,12b)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동일의 검출블럭(22)이 장착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따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만큼 각각의 테이프 카세트에 대하여 각종정보의 검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에 의하면, 공통의 리모콘 커맨더로 그 표시내용을 읽어 들이므로, 이것을 화면등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1도에 나타낸 부호(39)는 리모콘 커맨더이고, 그 케이싱(40)의 전단부에는 절결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41)의 우측면이 기준면(41a)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결부(41)의 전방을 향한 면에 오소거방지 판별스위치(42) 및 검출스위치(43a,43b,43c,43d)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소거방지 판별스위치(42)는 상기 기준면(41a)으로부터 (D5)의 간격보다 약간 큰 간격을 두고, 검출스위치(43a)는 기준면으로부터 간격 (D2)를 두고, 각 검출스위치(43a,43b,43c,43d)의 간격은 (D1)의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카세트(1 혹은 11)를 그 우측 외측면(2b 혹은 12b)을 리모콘 커맨더(39)의 기준면(41a)에 맞닿은 상태로, 리모콘 커맨더(39)와 테이프 카세트(1 혹은 11)의 후면과를 상대적으로 근접하면, 오소거방지 판별스위치(42)는 오소거방지 판별창(9 혹은 19)에 검출스위치(43a∼43d)는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4a∼4d 혹은 14a∼14d)에 각각 대응하고, 이것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를 독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 기재한 것으로부터 명백한 것같이, 본 발명의 테이프 카세트는 공통의 기록재생장치에 장착되는 크고 작은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가 배치되는 위치를 카세트 케이스의 한편의 외측면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위치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테이프 카세트에 설치된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 정보를 독해하는 커넥터와 오소거방지요소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검출블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크고 작은 어느것의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도,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가 배치된 위치의 한편의 외측면으로부터의 거리가 같으므로, 전기적 정보검출용 단자와 접촉하는 검출수단을 이동시켜 상기 한편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등에 의해, 하나의 검출수단을 크고 작은 테이프 카세트에 공통의 검출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나타낸 각부의 구체적 형상이나 구조는, 어느 것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체화한 것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고, 이것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서는 안되는 것이다.

Claims (3)

  1. 제1카세트와; 상기 제1카스트보다 작은 제2카세트와; 소거가 가능한 제1위치와 소거가 방지된 제2위치 사이를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카세트 위에 형성된 제1오소거방지부와; 소거가 가능한 제1위치와 소거가 방지된 제2위치 사이를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카세트 위에 형성된 제2오소거방지부와; 상기 제1오소거방지부 근처에 위치한 상기 제1카세트의 제1소정위치에 형성된 정보 검출용 단자로서, 상기 제1소정위치가 상기 제1카세트의 소정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오소거방지부와 소정의 위치적 관계를 갖는 제1열(set)의 정보 검출용 단자와; 상기 제2오소거방지부 근처에 위치한 상기 제2카세트의 제2소정위치에 형성된 정보 검출용 단자로서, 상기 제2소정위치가 상기 제1카세트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제2카세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소정위치와 상기 제1오소거방지부가 갖는 것과 동일한 위치적 관계를 상기 제2소정위치와 상기 제2오소거방지부가 갖는 제2열의 정보 검출용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동작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고 커넥터와 검출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동작가능 검출수단이 상기 제1동작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열의 정보 검출용 단자와 인터페이스하게 되며 상기 제2동작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2열의 정보 검출용 단자와 인터페이스하게 되고, 상기 동작가능 검출수단이 상기 제1동작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검출스위치가 상기 제1오소거방지부의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제2동작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2오소거방지부의 위치에 대응함으로서, 상기 제1 또는 제2카세트가 상기 동작가능 검출 수단과 함께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테이프 카세트.
  2. 제2카세트보다 큰 제1카세트로서, 소거가 가능한 제1위치와 소거가 방지된 제2위치 사이를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카세트 위에 형성된 제1오소거방지부와; 상기 제1오소거방지부 근처에 위치한 상기 제1카세트의 제1소정위치에 형성된 정보 검출용 단자로서, 상기 제1소정위치가 상기 제1카세트의 소정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소정위치가 상기 제1카세트의 소정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오소거방지부와 소정의 위치적 관계를 갖는 제1열(set)의 정보 검출용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카세트가 소거가 가능한 제1위치와 소거가 방지된 제2위치 사이를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카세트 위에 형성된 제2오소거방지부와; 상기 제2오소거방지부 근처에 위치한 상기 제2카세트의 제2소정위치에 형성된 정보 검출용 단자로서, 상기 제2소정위치가 상기 제1카세트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제2카세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소정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소정위치와 상기 제1오소거방지부가 갖는 것과 동일한 위치적 관계를 상기 제2소정위치와 상기 제2오소거방지부를 갖는 제2열의 정보 검출용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동작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고 커넥터와 검출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동작가능 검출수단이 상기 제1동작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열의 정보 검출용 단자와 인터페이스하게 되며 상기 제2동작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2열의 정보 검출용 단자와 인터페이스하게 되고, 상기 동작가능 검출수단이 상기 제1동작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검출스위치가 상기 제1오소거방지부의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제2동작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2오소거방지부의 위치에 대응함으로서, 상기 제1 또는 제2카세트가 상기 동작가능 검출 수단과 함께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카세트.
  3. 제2카세트보다 작은 제1카세트로서, 소거가 가능한 제1위치와 소거가 방지된 제2위치 사이를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카세트 위에 형성된 제1오소거방지부와; 상기 제1오소거방지부 근처에 위치한 상기 제1카세트의 제1소정위치에 형성된 정보 검출용 단자로서, 상기 제1소정위치가 상기 제1카세트의 소정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소정위치가 상기 제1카세트의 소정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오소거방지부와 소정의 위치적 관계를 갖는 제1열(set)의 정보 검출용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카세트가 소거가 가능한 제1위치와 소거가 방지된 제2위치 사이를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카세트 위에 형성된 제2오소거방지부와; 상기 제2오소거방지부 근처에 위치한 상기 제2카세트의 제2소정위치에 형성된 정보 검출용 단자로서, 상기 제2소정위치가 상기 제1카세트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제2카세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소정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소정위치와 상기 제1오소거방지부가 갖는 것과 동일한 위치적 관계를 상기 제2소정위치와 상기 제2오소거방지부를 갖는 제2열의 정보 검출용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동작위치 사이를 움직일 수 있고 커넥터와 검출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동작가능 검출수단이 상기 제1동작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열의 정보 검출용 단자와 인터페이스하게 되며 상기 제2동작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2열의 정보 검출용 단자와 인터페이스하게 되고, 상기 동작가능 검출수단이 상기 제1동작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검출스위치가 상기 제1오소거방지부의 위치에 대응하며, 상기 제2동작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2오소거방지부의 위치에 대응함으로서, 상기 제1 또는 제2카세트가 상기 동작가능 검출 수단과 함께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카세트.
KR1019930023291A 1992-11-25 1993-11-04 테이프카세트및기록재생장치 KR100282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677992A JP3287423B2 (ja) 1992-11-25 1992-11-25 テープカセット及び記録再生装置
JP92-336779 1992-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374A KR940012374A (ko) 1994-06-23
KR100282054B1 true KR100282054B1 (ko) 2001-02-15

Family

ID=1830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291A KR100282054B1 (ko) 1992-11-25 1993-11-04 테이프카세트및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06736A (ko)
EP (1) EP0599718B1 (ko)
JP (1) JP3287423B2 (ko)
KR (1) KR100282054B1 (ko)
CN (1) CN1088707A (ko)
BR (1) BR9304814A (ko)
DE (1) DE69325631T2 (ko)
MY (1) MY1127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870A (en) * 1992-06-01 1995-02-21 Sony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cassette and 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EP0797202B1 (en) * 1992-08-14 1999-11-03 Sony Corpor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TW230252B (en) * 1993-03-17 1994-09-11 Sony Co Ltd A cassette having a recording medium and 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use with the cassette
JP3334256B2 (ja) * 1993-06-07 2002-10-15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3208621B2 (ja) * 1993-07-12 2001-09-1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KR960706171A (ko) * 1994-09-06 1996-11-08 이데이 노부유끼 기록 매체 장치(recording medium device)
KR100231389B1 (ko) * 1994-10-05 1999-11-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자기기록재생장치
JPH08138289A (ja) * 1994-11-08 1996-05-31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の磁気テープ整巻装置
JP3475587B2 (ja) * 1995-07-19 2003-1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ッケージ中継端子及び記録再生機器
BE1009562A3 (fr) * 1995-09-01 1997-05-06 Staar Sa Dispositif de lecture d'informations contenues dans le circuit memoire d'une cassette.
JP2636826B2 (ja) * 1996-06-28 1997-07-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KR100200597B1 (ko) * 1996-07-15 1999-06-15 윤종용 테이프 레코더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접속장치
JP3921727B2 (ja) * 1997-03-21 2007-05-30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0331451A (ja) * 1999-05-18 2000-11-30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テープカセット
JP2003317346A (ja) * 2002-04-19 2003-11-07 Sony Corp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カセット
JP4219844B2 (ja) * 2004-04-09 2009-0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媒体装着装置
ES2554777T3 (es) 2008-12-25 2015-12-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artucho de cinta e impresora de cinta
MY156926A (en) 2008-12-25 2016-04-15 Brother Ind Ltd Tape cassette
EP3546232B1 (en) 2009-03-31 2023-11-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WO2010113365A1 (ja) 2009-03-31 2010-10-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5136503B2 (ja) 2009-03-31 2013-0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WO2010113440A1 (en) 2009-03-31 2010-10-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CN101850662B (zh) 2009-03-31 2015-02-11 兄弟工业株式会社 带式打印装置
WO2011001487A1 (en) 2009-06-30 2011-01-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EP2845743B1 (en) 2009-12-16 2018-01-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EP2520437B1 (en) 2009-12-28 2015-05-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984A (en) * 1985-09-25 1988-05-10 Ampex Corporation Scheme for encoding a magnetic tape cassett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6553A (fr) * 1973-03-09 1973-07-02 Staar Sa Dispositif de lecture selective de plusieurs supports d'enregistrements
US4593337A (en) * 1983-03-16 1986-06-03 Alfredo Leone Video cassette play counting, storing and reading system
DE3435506A1 (de) * 1984-09-27 1986-04-0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n einem gegenstand zur markierung angebrachte anordnung mit einem informationsspeicher
US4839875A (en) * 1986-05-19 1989-06-13 Anritsu Corporation Technique for automatic tracking of cassette rentals and managing of information related thereto
KR920003643B1 (ko) * 1986-07-18 1992-05-0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테이프카세트
JPH056630Y2 (ko) * 1987-09-21 1993-02-19
JP2730106B2 (ja) * 1988-11-25 1998-03-25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用アダプタ
AT391220B (de) * 1988-12-14 1990-09-10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system und kassette fuer ein solches system
DK385489D0 (da) * 1989-08-07 1989-08-07 Bang & Olufsen As Optage- og gengivesystem, navnlig videosystem, med baandkassetter
US5140487A (en) * 1989-12-06 1992-08-18 Sony Corporation Magnetic tape cassette having dynamic tape guide
US5325255A (en) * 1991-08-12 1994-06-28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Self identifying universal data storage element
US5390870A (en) * 1992-06-01 1995-02-21 Sony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cassette and 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984A (en) * 1985-09-25 1988-05-10 Ampex Corporation Scheme for encoding a magnetic tape cass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06736A (en) 1996-04-09
JP3287423B2 (ja) 2002-06-04
BR9304814A (pt) 1994-05-31
EP0599718A3 (en) 1995-02-15
EP0599718B1 (en) 1999-07-14
JPH06162726A (ja) 1994-06-10
DE69325631T2 (de) 2000-03-02
CN1088707A (zh) 1994-06-29
DE69325631D1 (de) 1999-08-19
KR940012374A (ko) 1994-06-23
MY112703A (en) 2001-08-30
EP0599718A2 (en) 199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054B1 (ko) 테이프카세트및기록재생장치
KR880001727B1 (ko) 자기테이프 카셋트
EP0185364B1 (en) Magnetic disk cartridge with erasure-preventing device
US5541796A (en) Cassette case board and release part for recording medium cassette
US8045288B2 (en) Tape drive with cartridge thickness detecting sensors
KR100338448B1 (ko) 내부에기록매체를유지하는다양한치수의카세트및신호기록재생시스템
US5791578A (en) Recording medium device with memory terminals and shutter sized and shaped in relation thereto
US4314294A (en) Tape cassette holder
KR100230507B1 (ko) 테이프 카셋트
KR100312294B1 (ko) 기록매체카세트및기록재생장치
US5414573A (en) Cassette accommodating type electronic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windows for identifying the amount of remaining tape and the side label of the cassette accommodated in the device
US6028734A (en) Cassette display viewer device
JPH0514390Y2 (ko)
KR200171472Y1 (ko) 테이프레코더의카세트가이드장치
JPH0416307Y2 (ko)
SU1119614A3 (ru) Кассета дл носител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JPS63164085A (ja) 記録再生装置
JP2001167552A (ja) テープカセット
JP2001307457A (ja) テープカセット
JPH06325545A (ja) 記録媒体カセット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0113636A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の入出庫装置及び該装置により取り扱われる磁気テープカセット
JPH0963242A (ja) 接点端子を備えた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H0831143A (ja) 記録再生用カセット
KR19980032076U (ko) 컴퓨터기기의 드라이브장치
JP2003036631A (ja) テープ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