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773B1 - 자동차 클러치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 Google Patents

자동차 클러치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773B1
KR100281773B1 KR1019930013374A KR930013374A KR100281773B1 KR 100281773 B1 KR100281773 B1 KR 100281773B1 KR 1019930013374 A KR1019930013374 A KR 1019930013374A KR 930013374 A KR930013374 A KR 930013374A KR 100281773 B1 KR100281773 B1 KR 100281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blade
support
central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440A (ko
Inventor
자끄트리옹드브리엘
앙드레달비에
지노빌리따
미셸블라르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208710A external-priority patent/FR2693778B1/fr
Priority claimed from FR9303193A external-priority patent/FR2702811B1/fr
Priority claimed from FR9307475A external-priority patent/FR2706958A1/fr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940005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2013/642Clutch-plates; Clutch-lamellae with resilient attachment of frictions rings or linings to their supporting discs or plates for allowing limited axial displacement of these rings or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특히 차량에 이용되는 마찰 클러치는 클러치 마찰 휘일을 가지며, 상기 휘일은 중앙부(16)와 외주부를 가진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가지며, 상기 외주부는 블레이드(17)들로 나누어져 있고, 마찰 라이너는 지지 디스크의 양면에 구비되고 블레이드에 고정된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블레이드(17)의 최소한 일부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중심 지지 표면 영역(21A, 23B) 및 두개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21B, 23A)을 가진 트리포드 형으로 되어 있다. 중심 영역은 일차적으로 접선 폴드(80,81)를 거쳐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에 연결되고, 이차적으로 경사진 폴드(22A, 22B)를 거쳐 블레이드(21A, 23B)의 주변 영역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클러치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갖는 클러치 마찰 휠의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2-2선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하측 절반부의 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클러치 마찰 휠의 허브와 허브 플레이트 사이에서 작동하는 느슨한 커플링 수단의 개략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일부를 더 상세히 도시하는 정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참조번호(6)로 표시된 제 5 도의 박스(box) 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7-7선 단면도,
제 8 도의 제 6 도의 8-8선 단면도,
제 9 도는 마찰 라이너의 정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의 10-10선 단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형 지지체의 반부의 정면도,
제 12 도는 제 11 도의 환형 지지체를 갖는 마찰 라이너의 반부의 정면도,
제 13 도는 제 12 도의 13-13선 단면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 6 도와 유사한 부분의 확대 정면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일부의 정면도,
제 16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제 15 도와 유사한 정면도,
제 17 도는 제 16 도의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
제 18 도는 제 17 도의 18-18선의 단면도,
제 19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정면도,
제 20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 19 도와 유사한 정면도,
제 21 도 및 제 22 도는 연속적인 마찰 라이너를 갖는 제 1 도 및 제 2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이중 제 22 도는 제 21 도의 22-2선 단면도임,
제 23 도는 최대 부하상태에 있는 마찰 라이너를 구비한 종래의 지지 블레이드의 횡단면 전개도,
제 24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구비하며 제 22 도와 유사한 클러치 마찰 휠의 축방향 단면도,
제 25 도는 제 24 도의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일부의 확대 정면도로서, 지지 표면 영역이 사선으로 표시되었음,
제 26 도는 제 25 도의 26-26선 확대 단면도,
제 27 도는 제 25 도의 27-27선 확대 단면도,
제 28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구비한 클러치 마찰 휠의 일부의 축방향 단면도,
제 29 도는 제 28 도에 도시된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확대 정면도로서, 디스크의 표면 영역이 사선으로 표시되었음,
제 30 도는 제 29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 29 도에 도시된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제 1 변형예를 도시함,
제 31 도는 제 29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 29 도에 도시된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제 2 변형예를 도시함,
제 32 도는 제 29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 29 도에 도시된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제 3 변형예를 도시함,
제 33 도는 제 1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 29 도에 도시된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제 4 변형예를 도시함,
제 34 도는 제 1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마찰 휠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35 도는 제 34 도의 35-35선 부분 단면도,
제 36 도는 제 34 도에 도시된 장치의 일부인 이중 블레이드 부재의 단면도,
제 37 도 및 제 38 도는 각기 2개의 마찰 라이너의 반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 가이드 링 3 : 허브
4 : 허브 플레이트 5, 6 : 탄성 수단 또는 스프링
8 : 스페이서 바 16 : 중앙부
17 : 블레이드 20 : 마찰 수단
40 : 환형 지지체 55 : 트러스트 링
56 : 스프링 57 : 마찰 링
170, 171, 172, 272, 372, 472, 572, 672, 771, 971, 1071, 1271, 1272 : 삼각 블레이드
141, 142, 241, 242 : 마찰 패드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의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a liner support disc)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마찰 라이너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반경방향 블레이드로 분할된 중앙부 및 주변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블레이드는 푸트부(foot)를 통해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그리고 중앙부의 중앙 평면에 대체로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 영역을 구비한다. 지지 표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에 고정된다. 클러치 마찰 휠에 있어서, 마찰 라이너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외주부의 양 측면상에 배치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클러치 마찰 휠 또는 클러치 플레이트와, 이에 고정되는 각종 부품은 작동중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 특히 저더(judder)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저더의 영향은 주행 도중의 기어 변속이나 또는 언덕길 출발시 걸리는 고 토크에서 뿐만아니라 주차 동작시 걸리는 저 토크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지지 표면 영역은 필요한 것보다 때로는 크다. 이 경우는 매몰(embedding)이라 불리는 간섭 현상이 야기될 수 있는바, 매몰이라 함은 지지 디스크중 하나의 블레이드의 2개의 지지 표면사이에 존재하는 중공부에 마찰 라이너가 매몰되는 것을 말한다. 매몰 현상은 가요성을 감소시키는바, 가요성 부족은 최대 부하상태에서 저더의 영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야기시킨다. 이러한 가요성 부족은 매우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2 094 693A 호에는 각 블레이드에 의해서 제공된 지지 표면의 갯수를 가급적 증가시키고, 또 블레이드 자체의 수도 증가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프랑스 특허 출원 제 2 094 693A호의 도면은 대칭 형태를 갖는 블레이드를 도시하는데, 이 블레이드는 절결부를 구비한다. 그 결과 이 블레이드는 소망하는 바 만큼 큰 원심력에 대한 저항을 가지지 못한다.
또한, 특히 클러치의 압력판과의 접촉 문제도 있다. 마찰 라이너는 각 클러치의 결합 동작중 클러치의 압력판과 반동판사이에 점차적으로 협지된다. 이러한 동작중에는 상당한 마찰력이 발생되어 열을 발생시킨다. 열이 발생되면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2,902,13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 압력판이 점차 원추 형태로 변형된다. 이러한 효과는 비록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반동판에서도 나타난다.
그 결과로서, 마찰 라이너나 클러치의 라이너와 판 사이에서 압력을 받기 쉬운 영역이 반경방향 내향, 즉 조립체 축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마찰 라이너의 불균일한 마모를 발생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전달되는 토크를 감소시키므로써 라이너의 효율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이것은 저더의 영향을 발생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히 표준화를 위해서, 유기적 형태의 마찰 라이너 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마찰 라이너에도 적합한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간단한 수단으로 저비용으로 극복하는데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발명은 매몰 및 저더의 영향을 적게 받고 원추 형태에 쉽게 부합하면서 증가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표준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마찰 라이너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반경방향 블레이드로 분할된 중앙부 및 주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 라이너의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고 마찰 라이너에 고정되기 위해서 상기 각 블레이드는 푸트를 통하여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부에 결합되고 상기 중앙부의 중앙 평면에 거의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 영역을 가지는, 상기 라이너 지지 디스크로서, 상기 블레이드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앙 영역의 양 측면상에 배치된 2개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과 함께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을 구비한 형태의 삼각 형태(a tripod type)이며,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은 상기 주변 지지 표면 영역에 대해 그리고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1차적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직각인 접선방향 접속층(a tangential fold)을 통해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에 그리고 2차적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해 경사진 접속층을 통해 상기 주변 지지 표면 영역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블레이드의 수와 지지 디스크의 블레이드 지지 표면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각 블레이드의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은 매우 넓은 원주방향 폭을 갖게 됨으로써, 블레이드의 푸트의 폭도 매우 크고 매우 강하게 된다.
따라서, 라이너의 전체 면적의 25% 더 큰 접촉 표면적을 가질 수 있고, 한편 2개의 연속적인 중앙 지지 표면 영역 사이의 거리가 감소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삼각 형태의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매몰 효과는 특히 상술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2 094 693A 호에서와 같이 유기적 형태의 마찰 라이너가 사용되는 경우에 감소된다. 또한, 블레이드는 더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고, 종전보다 원심력에 더 잘 견딜 수 있다. 또한 저더의 영향을 감소될 수도 있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상당히 긴 사용수명을 갖고, 마찰 라이너의 마모가 줄어든다. 게다가, 블레이드 중앙부는 반드시 어떤 절결부가 제공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제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의 형상 때문에, 블레이드는 압력판이 원추 형태로 점진적 변형하는 것에 적합할 수 있고, 작동중의 압력은 적절히 분포된다.
각각의 삼각 블레이드의 주변 영역은 중앙 영역에 접하고, 접선방향 접속층은 블레이드의 푸트의 일부를 구성한다. 그 중앙 영역은 외주쪽으로 보다 좁게 되며, 주변 표면 영역의 표면적보다 큰 표면적을 갖고 있다.
축방향 오프셋을 제공하는 접속층 때문에, 블레이드의 안정성은 보다 좋아지고, 마찰 라이너와, 예컨대 압력판사이의 평행성이 좋아진다. 설명한 내용으로 인하여 클러치의 맞물림 동안 점진적인 축방향 운동이 좋아진다. 아울러 설계시에, 여러가지 접속층의 폭과 길이를 적절히 조정하므로써, 블레이드의 가요성을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원주방향에서, 접선방향 접속층은 넓은 폭을 갖고, 블레이드를 매우 단단하게 제조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이런 블레이드는 2개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고, 각 블레이드 그룹은 다른 블레이드 그룹과 교호를 이뤄 형성되며, 적절한 선택, 예를들면 접선방향 접속층의 길이에 의해서 일 그룹의 블레이드와 다른 그룹의 블레이드 사이에 상이한 가요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 또는 라이너들을 통하여 압력판과 접촉하는 성향이 있는 이들 블레이드는 라이너 또는 라이너들을 통하여 반동판과 접촉하는 성향이 있는 이런 블레이드 접속층보다 더 긴 접선방향 접속층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원추 형태로 변형하는 압력판의 성향이 반동판에서 보다 더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경사진 접속층은 블레이드의 외주(이런 접속층은 편리하게는 주변 접속층으로 불려진다)로 연장하고, 클러치의 맞물림 동안 요구되는 점진적 축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해서 길이, 즉 이들 접속층의 지지 표면 영역간의 거리를 증가시키므로써, 주변 영역의 가요성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반동판에 결합된 일련의 블레이드는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와 동일한 평면에 놓여 있는 반경방향 텅(radial tongue)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런 장치에 의하면, 삼각 블레이드의 원주방향 길이를 증가시키며, 그에 따라 블레이드의 지지 표면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환형 마찰 라이너 전체 표면적의 30% 이상의 접촉 면적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텅의 반경방향 높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주변 지지 표면 영역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범위가 매우 넓으며, 블레이드의 강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유기적 형태의 마찰 라이너나, 다수의 마찰 패드로 구성되는 마찰 라이너를 사용할 수 있다.
삼각 블레이드와 텅을 상술한 방법으로 원주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배열한 변형예에 있어서, 마찰 라이너가 클러치의 압력판과 반동판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점차 파지될 경우에, 상기 압력판에 결합된 마찰 라이너(개별 라이너 요소로 분할될 수 있는 라이너)는 그 주변 지지 표면 영역을 통하여 다른 마찰 라이너로 반응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잘 지지된다.
상술한 내용은 다른 마찰 라이너, 즉 텅에 지지된 마찰 라이너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다시 이 라이너는 개별 마찰 요소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텅과 대향 관계에 있는 라이너의 이들 영역은 라이너의 마모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보다 적게 마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텅중 적어도 몇몇의 각 텅은 그것의 자유 단부에 결합 접속층에 의해 지지된 보충 지지 표면 영역을 갖고, 그것에 의해서 상기 영역은 블레이드의 중앙 영역을 향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이런 구성에 의하면, 마찰 라이너의 탄성 압축 동안, 텅에 관련된 하나의 마찰 라이너는 새로운 보충 지지 표면 영역에 의해서 반동 표면을 제공하고, 다른 마찰 라이너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텅에 의해 지지된 라이너의 마모가 보다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매몰 현상이 감소된다.
또한, 이러한 라이너에 대해서 텅의 지지 표면 영역이 보충 결합 표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삼각 블레이드와 결합된 라이너에서의 마모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텅은 감소된 원주방향 폭을 갖는 자유 단부를 구비한다. 이것은 블레이드의 지지 표면 영역을 매우 가요성 있게 하며, 삼각 블레이드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의 원주방향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라이너 지지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텅은 그 외주를 향해 가늘어지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부에 각 텅을 결합하는 루트 영역이 증가하여 지지 디스크의 강도도 증가된다. 또한 이것은 텅의 지지 표면 영역의 강성을 줄일 수도 있다.
클러치 마찰 휠이 대형인 경우(즉 대경인 경우에) 또는 마찰 라이너가 얇아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상에 리벳팅하여 고정된 얇은 금속성 판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일련의 삼각 블레이드를 이용하는 원리는 변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상이한 직경의 피치원에 끼워맞춰지는 최소한의 다수열 리벳을 수용해야 하며, 삼각 블레이드의 중앙 영역내에 증가된 갯수의 패스너용 구멍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마찰 라이너를 적당히 고정하기 위해 실질적인 반경방향 거리로 리벳 구멍을 이격시켜야 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삼각 블레이드의 중앙 영역은 푸트 요소를 통하여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에 연결되는데, 상기 푸트 요소는 삼각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직각인 종방향 접속층 또는 접선방향 접속층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삼각 블레이드의 적어도 몇몇의 각 중앙 영역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종방향 접속층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규정된 중앙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연장부에는 마찰 라이너용의 다른 패스너를 수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각 패스너를 수납하기 위해 삼각 블레이드의 중앙 영역내에 서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동일한 평면에 적어도 2개의 구멍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각기 서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2세트의 리벳 또는 다른 적절한 패스너에 의해서 제 1 일련의 삼각 블레이드의 중앙 영역에 마찰 라이너(마찰 패드로 분할되어 있든지 그렇지 않든지 상관없음)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라이너가 상당한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공구에 중대한 변형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 간편한 공구를 사용하여 슬릿을 제공하고 2열의 패스너 구멍을 형성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제 2 패스너 구멍을 갖는 각 블레이드에서 중앙 영역의 연장부는 종방향 접속층의 기계적 강도를 전혀 감소시키지 않고 관련된 마찰 라이너의 지지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마찰 라이너용의 최대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하고 지지 표면사이에의 거리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 블레이드의 갯수가 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블레이드는 감소된 원주방향 폭을 갖는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와 동일한 평면에 있는 중앙 영역을 가진 다른 삼각 블레이드 형태로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와 대체로 동일한 평면에 있는 상술한 텅을 중앙 영역의 양 측면상의 2개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에 부합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클러치를 맞물려서 마찰 라이너의 탄성 압축동안에 텅에 관련된 라이너는 대향 관계인 마찰 라이너를 향해 접촉하도록 배치된 새로운 주변 지지 표면 영역내에 있다.
또한, 매몰 효과는 줄어들고, 텅에 관련된 마찰 라이너의 마모는 더 균일하게 이뤄진다. 또한, 텅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이 보충 베어링 표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 1 일련의 블레이드와 관련된 마찰 라이너의 마모가 감소된다. 또한, 대향 마찰 라이너에서 마모가 보다 더 일정하게 이뤄진다.
물론 상술한 텅은 제 2 일련의 삼각 블레이드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술한 슬릿을 갖는 각 블레이드에 있어서, 슬릿은 상기 연장부의 영역에서의 파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삼각 블레이드의 중앙 영역내로 일부가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과 장점은 단지 예로서 주어지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읽음으로써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2개의 환형 마찰 라이너를 구비한 라이너 지지 디스크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디스크는 자동차 클러치용 클러치 마찰 휠에 적합하다.
클러치 마찰 휠 자체는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5, 6) 및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 수단(20)(제 1 도, 제 22 도, 제 24 도 및 제 34 도)의 작용에 대해서 하나가 다른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장착된 2개의 동축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 장치에 있어서, 2개의 동축 부분중 하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와 함께 2개의 가이드 링을 포함하며, 다른 동축 부분은 대체로 반경방향 허브 플레이트 또는 댐퍼 플레이트와, 허브 플레이트가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허브, 즉 허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별개의 부품인 허브 플레이트가 결합 또는 고정되어 있는 허브를 구비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클러치 마찰 휠에 있어서, 가이드 링(1, 2)은 서로 동일하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허브는 참조번호(3)로 표시되어 있고, 댐퍼 플레이트 또는 허브 플레이트는 참조번호(4)로 표시되어 있다(제 1 도, 제 2 도, 제 34 도 및 제 35 도 참조). 댐퍼 플레이트는 압연된 조인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되거나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느슨한 커플링 수단(60)에 의해서 허브에 결합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느슨한 커플링 수단(60)은 허브(3)의 외주부에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의 치형과, 허브 플레이트(4)의 내주부에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의 치형을 구비하고 있다. 2세트의 치형은 치형사이에 원주방향 간극을 유지하면서 서로 맞물려 있다. 저탄성 스프링(9)은 허브(3)와 허브 플레이트(4) 사이에 마련된다. 각 스프링(9)의 단부는 허브(3) 및 허브 플레이트(4)에 형성된 슬롯에 장착되는 인서트 컵(90)에 맞물려 2개의 허브(3) 및 허브 플레이트(4)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물론 이런 구조는 역으로도 가능한 바, 예를 들어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허브 플레이트(4)에 고정되어 허브(3)에 대하여 이동되며, 한편 가이드 링(1, 2)은 허브(3)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허브 플레이트(4)에 고정될 수 있고, 허브 플레이트는 허브(3)에 고정되며, 다음에 클러치 마찰 휠은 제 2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체이다.
도면에 있어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특정 리벳(도시되지 않음) 또는 제 2 도, 제 22 도, 제 24 도 및 제 3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페이서 바아(8)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링(1)을 가압한다. 널리 알려진 방법에 있어서, 이 스페이서 바(8)가 허브 플레이트(4)에 형성된 구멍(7)을 통해 간극을 두고 통과하여, 가이드 링(1, 2)을 함께 고정하며, 가이드 링은 허브 플레이트(4)의 양 측면(축방향의)상에 배치된다.
상술된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은 제 1 도에서 쌍으로 장착되고 제 34 도에서 단독으로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5, 6)을 포함한다. 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코일 스프링이 탄성 블럭 또는 쿠션 패드로 교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5, 6)은 상이한 길이를 가진 윈도우(10, 11)내에 어떠한 간극도 없이 장착되며, 상기 윈도우는 가이드 링(1, 2)내에 형성된다. 스프링(5)은 또한 허브 플레이트(4)내에 형성된 윈도우(12)내에 어떠한 간극도 없이 장착되며, 스프링(6)은 허브 플레이트(4)내에 형성된 윈도우(13)에 간극을 갖고 장착된다. 윈도우(12, 13)는 각기 윈도우(10), 11)와 대면 관계로 배치된다.
상술한 마찰 수단(20)은 1차적으로 가이드 링(1)에 인접한 라이너 지지 디스크와 허브 플레이트(4)사이에 배치된 제 1 마찰 링(57)과, 2차적으로 허브 플레이트(4)와 가이드 링(2)사이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56)과 트러스트 링(55)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서, 스프링(56)은 파형 링으로 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는 접시 링일 수 있다. 스프링(56)은 가이드 링(2)을 가압하며, 마찰 링(57)이 파지되도록 트러스트 링(55)을 바이어스시켜 허브 플레이트(4)와 접촉시킨다. 링(57)은 스페이서 바아(8)에 의해 중앙에 위치되며; 선택적으로 외주부상에 형성되고 가이드 링(1)내에 형성된 구멍(54)내로 관통하는 핀(59)(제 3 도)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트 링(55)은 이 트러스트 링과 가이드 링(2)을 연결해서 함께 회전시키도록 구멍(54)내에 결합하는 한 세트의 축방향 러그(58)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변형예에서, 트러스트 링(55)은 스페이서 바아(8)와 맞물리는 슬롯형 반경방향 러그를 구비할 수 있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L자형 감마 베어링(51, 52)은 허브(3)와 가이드 링(1, 2)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중간 링(53) 및 탄성 링(61)이 또한 제공된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편평한 환형 중앙부(16)를 포함한다. 상기 환형 중앙부(16)에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 스프링(5, 6), 러그(58), 핀(59) 및 스페이서 바아(8)를 수용하는 다양한 슬롯 및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슬로 및 통로는 참조를 위해 제 5 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중앙부(16)외에 주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주변부는 지지 블레이드, 예를 들면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제 1 도의 블레이드(17)로 분할된다. 이들 블레이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20 도와, 제 35 도 내지 제 38 도에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2개의 환형 마찰 라이너(31, 32)를 배면대 배면을 지지시켜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에 있어서, 마찰 라이너는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의 압력판과 반동판 사이에 통상 파지되어 있다. 마찰 라이너는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토크는 압력판과 반동판으로부터 허브(3)로 전달된다. 허브(3)는 연결용 내부 구멍을 구비하고 자동차의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와 함께 회전한다. 클러치의 작동 동안에, 제 1 단계에서 스프링(5)은 압축되고, 그 후에 스프링(6)은 차동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마찰 수단(20)은 마찰 수단(20)의 마찰 링(57)과 트러스트 링(55)과 접촉되어 있는 허브 플레이트(4)의 마찰로 일정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물론 이 탄성은 이들 스프링의 단지 하나의 단계로 이뤄질 수도 있다.
클러치가 분리되는 경우, 마찰 라이너(31, 32)는 클러치의 압력판 및 반동판과 접촉하지 않는다. 제 1 도 내지 제 10 도에서, 각 마찰 라이너(31, 32)는 환형 마찰 패드(41, 42)로 분할된다. 이들 마찰 패드(41, 42)는 소결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카본 화이버 또는 세라믹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각 세트의 패드(41, 42)는 2개의 무단 환형 지지체(40)의 각각의 하나에 고정된다. 이러한 환형 지지체는 제 9 도에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 9 도를 참조하면, 각 환형 지지체(40)는 공동의 반경방향 평면에 마찰 패드(41, 42)가 고정되어 있는 제 1 부분(33)과, 원주방향으로 제 1 부분(33)과 엇갈리는 제 2 부분(34)을 구비하고, 각 제 2 부분(34)은 2개의 연속적인 제 1 부분(33)과 함께 연결되어 있다.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멍(43)이 제 2 또는 중간 부분(34)의 각각의 중간을 통해 형성되어 있어서 제 2 부분(34)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각의 환형 지지체(40) 및 마찰 패드(41, 42)를 포함하는 각 마찰 패드(31, 32)가 고도의 가요성과 저도의 관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물론, 환형 지지체는 각각의 부분(34)에 하나 이상의 구멍(43)을 형성하여 부분을 관통시킬 수 있지만, 관성을 저하시키고 환형 지지체(40)의 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지 중량 감소 구멍(43)만이 바람직하다. 환형 지지체의 제 1 또는 패드 지지 부분(33)의 각각에는 텅(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텅은 중간 부분(34)의 내주연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환형 지지체(40)는 각기 8쌍의 마찰 패드(41, 42)가 고정된 8개 패드 지지 부분(33)을 갖고 있다.
각 마찰 패드(41, 42)를 통해 그리고 환형 지지체의 각 패드 지지 부분(33)을 통해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 부분(33)은 관통 구멍(45)(제 10 도 참조)을 구비하는 반면에, 각 마찰 패드(41, 42)는 대응하는 구멍(45)보다 큰 고정 구멍(44)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44, 45)은 서로 정렬되어 있으며, 패스너(47)(본 실시예에서 리벳)는 구멍(44)내의 비드와, 환형 지지체의 구멍(45)을 통과하는 자루부와 함께 이들 구멍에 장착되어 있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31)의 마찰 패드(41)는 마찰 라이너(32)의 패드(42)로부터 마찰 라이너중 어느 한쪽의 인접 패드 사이에 규정된 원주방향 피치의 절반 정도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각 패드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블레이드(17)중 각각의 블레이드와 정렬되므로써 선택적 블레이드(17)가 각 마찰 라이너에 결합된다. 각 블레이드에는 관련된 라이너(31, 32)의 리벳 구멍(44, 45)에 정렬된 관통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떤 하나의 마찰 패드에 관계하는 정렬된 리벳 구멍(19, 44, 45)이 다른 마찰 라이너의 환형 지지체에 있는 구멍(43)중 각각의 구멍에 정렬될 수 있다. 이것은 마찰 라이너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하여 블레이드의 구멍(19)에는 구멍(43)을 통해 전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 리벳(47)에 의해 라이너(31, 32)를 끼워맞추는 것은 용이하다. 요약하면, 환형 지지체(40)는 강성이 아니며, 마찰 패드로 설정된 마찰로 인한 열의 영향하에서 클러치의 압력판내에 발생하는 변형에 밀접하게 순응할 수 있는 반면에, 라이너의 환형 지지체의 구멍은 관성을 감소시키며, 마찰 라이너의 패드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통풍을 양호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환형 지지체는 많은 구성 요소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반면,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블레이드는 보다 강성으로 제조될 수 있어서, 상기 지지 디스크는 디스크 블레이드의 어떠한 파손 위험성 없이 매우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 디스크에 라이너를 끼워맞추는 것은 환형 지지체의 가요성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환형 지지체(40)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원심력에 대해 완전한 일체성을 제공하도록 지지 디스크의 관련 블레이드(17) 및 중앙부(16)보다 두께가 두껍고, 동시에 허용가능한 관성을 가질 수 있다. 환형 지지체(40)에 의해 이뤄질 수 있는 블레이드의 두께의 감소에 의한 파손과 관성의 영향을 줄어들게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제조시에 재료가 적게 들어 경제적이고, 지지 디스크의 블레이드는 환형 지지체(40) 자체에 의해 결합된다.
물론 마찰 패드(41, 42)는 각 패드 부분(33)상에 접착 또는 납땜하므로써 고정되고, 블레이드(17)에 적절하게 끼워맞춰진다. 이런 블레이드는 축방향으로 탄성적이고 삼각 형태이며,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보다 더 두꺼운 각 지지 디스크에 있어서, 그 중앙 부분(34)을 통해 형성된 구멍(43)은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이다. 각각의 이런 구멍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상의 가장 긴 측면이 환형 지지체(40)의 내주부에 가장 근접하고, 구멍(43)의 코너는 곡선으로 된다. 따라서, 구멍(43)은 외측을 향해서 더 좁아지고, 또 환형 지지체(40)는 그 내주부에서 연속된다. 앞에 설명된 구멍(44, 45, 19)에 접근하는 것은 이들 구멍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이런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부분(34)은 패드 지지 부분(33) 및 패드(41, 42)와 동일한 외주상에서 연장된다.
각 마찰 패드(41, 42)는 대략 삼각 형상이며,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향된 라운드된 정점에 의해 비스듬한 또는 경사지게 작용하는 힘으로부터 발생하는 어떤 상당한 저더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텅 또는 돌기(46)가 각각의 환형 지지체(40)의 각각의 제 1 패드 지지 부분(33)의 내주부에 제공되는 것이 도시된다. 이들 텅(46)은 관련된 패드(41, 42)의 라운드된 정점을 지지하도록 라운드되어 있다. 유사하게, 각 부분(33)은 편평한 기부 및 2개의 경사진 측방 측면을 구비한 리세스(48)를 그 외주에 구비하고 있다. 각 패드(41, 42)는 상보적인 슬롯(49)을 구비하고, 대응 슬롯(48)에 정합하는 편평한 기부 및 경사진 측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슬롯(48, 49)은 관성을 줄이고 통풍을 향상시킨다. 블레이드(17)가 삼각 구조(앞에 설명되고 묘사됨)이기 때문에, 슬롯(48, 49)은 마찰 패드와 그것의 환형 지지체의 기계적 일체성을 향상시킨다.
요약하면, 마찰 패드(41, 42)는 라운드된 2개의 외측 귀부와, 내측으로 접한 라운드된 정점을 가진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구멍(43)은 환형 지지체의 패드 지지 부분(33)의 원주방향 폭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하고, 구멍(43)의 가장자리는 마찰 패드(41, 42)의 측면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패드는 그 외주부에서 원주방향 길이가 보다 길며, 패드는 그 내주부에서 보다 좁다. 그러므로 패드(41, 42)는 제 1 도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에서 부분적으로 중첩 관계로 된다. 이것은 마찰 라이너의 병렬 관계가 개선되게 한다.
이런 장치와 구멍(43)으로 인해, 마찰 패드(41, 42)는 클러치의 압력판이 원추 형상으로 점진적으로 변형되는 것에 적절히 부합하게 된다. 마찰 패드는 반동판의 원추 변형에도 비슷하게 적절히 부합하지만, 압력판에서 보다는 부합성이 작은데, 이런 변형은 열적 영향으로 인한 것이다. 또한, 마찰 라이너(31, 32)가 클러치의 압력판 및 반동판과 접촉되는 경우, 비스듬한 또는 경사지게 작용하는 힘이 가해질 때, 저더의 영향은 최소가 된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마찰 라이너(31, 32)는 압력판과 반동판 사이에서 점진적이고 부드럽게 파지된다. 즉, 축방향 파지력이 부드럽게 증가한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블레이드(17)의 형상은 축방향 탄성을 부여하여 이러한 장점을 제공한다. 제 1 도 내지 제 10 도에 있어서, 블레이드(17)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블레이드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와 함께 일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후술하는 제 14 도 내지 제 33 도에 도시된 구성에서도 마찬가지다. 중앙부(16) 및 그 블레이드(17)를 포함한 제 1 도 내지 제 10 도의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블레이드(17)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교호 그룹의 블레이드(71, 72)(예를 들면 8개)로 이격되어 있으며, 어느 한 그룹의 각 블레이드는 다른 교호 그룹의 인접 블레이드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45°각도로 오프셋되어 있다. 2개의 연속적인 블레이드 사이의 각도는 22°30' 이다. 이것은 블레이드의 삼각 형상을 도시한 제 6 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으며, 각 단부는 제 6 도에서 참조번호(21A, 21B)와 참조번호(23A, 23B)로 표시된 3개의 편평한 지지 표면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와 대칭적으로, 블레이드의 수가 증가되고, 마찰 라이너의 환형 지지체(40)의 두께보다 얇으며, 동시에, 각 블레이드의 푸트부는 더 넓은 원주폭을 갖고, 튼튼하다.
제 6 도는 하나의 그룹의 블레이드(71)와, 다른 그룹내의 인접한 블레이드(72)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72)를 고려하면,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가 대칭적이고, 관련된 환형 지지체(40)와 접촉하고 이에 고정할 큰 편평한 중앙 지지 표면 영역(21A)을 구비하고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 구멍(19)은 환형 지지체(40)를 블레이드에 고정하기 위해 상술한 각 리벳(47)을 수용하기 위해서 영역(21A)에 형성되어 있다.
중앙 영역(21A)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외주부쪽으로 수렴되어 있다(모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음). 외주부에서는 형상이 대체로 삼각형이지만,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삼각형 부분은 선단이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블레이드(71, 72)의 중앙 영역의 내측부는 수렴하는 외측부에 비해서 원주방향으로 보다 넓다.
또한, 블레이드(72)는 2개의 편평한 지지 표면 영역(21B)을 갖고, 상기 영역(22B)은 서로 동일평면상에 있으며, 다른 마찰 라이너의 환형 지지체와 협력하기에 적합하다. 이런 영역(21B)은 블레이드의 외주에서 연장되고, 한쌍의 귀부를 규정한다. 영역(21B)은 중앙 영역(21A)의 양 측면상에 배치되고, 삼각형 형상이며,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하여 대칭인 경사진 접속층(22A)을 통하여 영역(21A)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영역(21B, 21A)은 서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다(제 7 도 및 제 8 도 참조).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속층(22A)의 내측 단부와 영역(21A)의 결합부에는, 대체로 구부러진 결합 에지가 형성되어 있다.
영역(21A)은 접선방향으로 배향되고 종방향 접속층이라고 하는 다른 접속층(80)을 통해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접속층은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과 직교한다. 따라서, 제 7 도 및 제 8 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21A)은 중앙부(16)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접속층을 중앙부(16)와 영역(21A)에 결합하도록 접속층(80)의 원주방향 단부에서 가장자리 결합부는 라운드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접속층(80)은 목부를 형성한다. 또한, 각 블레이드는 중앙 슬롯(50)을 그 외주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중앙 슬롯은 상술한 슬롯(48, 49)(제 9 도)과 대체로 상보적인 형상이다.
일반적인 블레이드(72)의 형상은 고양이 머리 형상이다. 인접 블레이드(71)의 대칭 형상은, 블레이드(72)의 중앙 영역(21A)이 블레이드(72)의 중앙 영역(21A)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블레이드(72)의 형상과 동일하며, 이러한 중앙 영역(23B)은 블레이드(72)의 영역(21B)과 동일한 평면에 놓여 있다. 유사하게, 블레이드(71)의 2개의 편평한 영역(23A)은 그 중앙 영역(23B)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블레이드(72)의 중앙 영역(21A)과 동일 평면에 존재한다.
2개의 영역(23A)은 블레이드(72)의 접속층(22A)으로부터 대향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사진 접속층(22B)을 통하여 영역(23B)에 결합된다. 중앙 영역(23B)은 블레이드(72)의 종방향 접속층(80)으로부터 대향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선방향 접속층(81)을 통해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블레이드의 각기 루트 요소를 구성하는 종방향 접속층(80, 81)은 본 실시예와 동일한 원주방향 폭을 갖고 있다. 각 블레이드의 중앙부(16)와 중앙 지지표면 영역 사이의 거리는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를 나타낸다.
요약하면, 제 1 도 내지 제 10 도에 도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각 금속 블레이드는 2개의 마찰 라이너중 하나와 접촉하는 중앙 지지 표면 영역과, 다른 마찰 라이너와 접촉하는 2개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중앙 영역은 주변 영역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고[또한,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영역(16)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음], 블레이드의 중앙 영역과 주변 영역은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의 중간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주변 영역은 부분적으로 마찰 패드(41, 42)의 주변 귀부를 지지하는데, 이 때문에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경상인 삼각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주변 영역은 블레이드의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의 양 측면으로 연장되고, 블레이드는 우선 접선방향 접속층을 통해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에 그리고 2차적으로 경사진 중첩부를 통해 외주 영역에 결합되어 있다.
경사진 주변 접속층(22A, 22B)은 절두체의 V자의 형상이다. 각 블레이드(71)는 제 6 도의 반경방향 슬롯(24)에 의해서 인접한 블레이드(72)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슬롯은 그 푸트에서 폭넓은 막힌 부분(26)에서 종지되며, 접속층(22A, 22B)의 레벨에서 제 2 의 폭넓은 부분(25)을 구비한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의 환형 지지체(40)는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동일 평면에 있지 않고, 중앙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또한, 접속층(80, 81)을 구성하는 블레이드의 푸트 요소는 서로 매우 가까이 있고, 폭이 매우 넓으며 단단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블레이드(71, 72)는 반경방향 대칭으로 인해서 종전보다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어서, 원심력의 영향하에서 블레이드의 푸트 요소내의 굽힘력을 제거한다. 블레이드의 주변 영역(21B, 23A)은 마찰 패드(41, 42)의 외주부와 접촉하도록, 보다 정확하게는 삼각 블레이드인 블레이드의 귀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슬롯(50)은 그 외주부에서 중앙에 각 블레이드상에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경사진 측면을 구비한다. 마찰 패드 및 환형 지지체(40)의 대응 슬롯과 함께, 슬롯은 주변 접촉 영역(21B, 21A)사이에 놓여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패드(41)는 그 외주에서 패드(42)와 어느정도 중첩된다. 따라서, 예컨대 블레이드(71)의 영역(23B)은 이에 고정된 패드(41)를 지지하는 반면에, 영역(23A)은 마찰 패드(42)의 주변 귀부를 지지하도록 작용한다.
이런 구조체는 환형 지지체(40)를 횡단면에 대해서 편향될 수 있으며, 클러치의 압력판과 반동판이 원추 형상으로 변형되는 경향을 수용할 수 있다. 환형 지지체가 플레이트의 변형에 순응하는 성질은, 판의 내주부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로부터 이격되는 사실로 인해 이뤄진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에 대해서 영역(21A, 21B)이 오프셋됨과 동시에 영역(21B, 23A)은 클러치 결합 작동에 대해서 이미 언급한 양호한 축방향 진행을 유도한다.
또한, 블레이드(71, 72)는 두 방향으로 배향되고, 2개의 마찰 라이너(31, 32) 사이의 거리의 1/2 거리가 블레이드(72)에 의해서 형성되고, 한편, 다른 1/2 거리는 블레이드(71)에 의해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블레이드, 특히 구멍(19) 및 리벳(47)을 경제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또한, 블레이드는 마찰 패드(41, 42)의 형태에 적합하고, 축방향으로 탄성적이다.
제 9 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구멍(43)의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외측 웨브(web)의 모든 부분 또는 일부분을 제거하므로써, 각 환형 지지체의 제 2 부분(34)에 있는 재료의 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라이너에 대한 또다른 형태의 환형 지지체를 도시하는 제 11 도 및 제 12 도를 참조한다. 제 11 도 및 제 12 도에 있어서, 호나형 지지체와, 마찰 패드와, 환형 지지체의 중간 부분이 각기 참조번호(141, 142, 134)로 표시되어 있다. 환형 지지체의 제 1 또는 패드 지지 부분(33)은 이미 설명된 것과 동일한 형태를 갖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 중간 부분(134)에는 각각 구멍(143)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은 중간 부분(134)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열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 부분(134)의 내주 영역은 어떤 파손의 위험성이 발생함이 없이, 제 1 부분(33)에 대해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마찰 패드(141, 142)의 경사진 측면은 모따기가 되어 있어서, 패드가 삼각 형상이 되게 하며, 홈(49)은 2개의 모따기된 측면(250)을 가진 각 삼각형의 기부에 형성된다. 상기 모따기된 측면(250)은 마찰 패드(41, 42)와 환형 지지체(4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어떤 결합 불량을 감소시킨다. 이와 관련해서, 특히 마찰 패드가 소결된 물질로 제조될 경우, 보다 특히 마찰 패드가 구리 입자를 포함할 경우에, 환형 지지체(140)는 열의 영향하에서 마찰 패드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한다. 모따기된 측면(250)은 마찰 패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4 도를 참조하면,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블레이드는, 각 블레이드가 외주 텅(151)을 형성함으로써 보강되는 중앙 지지 표면 영역(121A, 123B)를 갖는 변형된 형태로 될 수 있다. 이들 텅은 통풍되고 마찰 패드의 슬롯(48, 49)(제 9 도)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14 도에서, 개괄적으로 참조번호(170)로 표시된 삼각 블레이드는 2세트의 블레이드(171, 172)로 분할되며, 이 구조에 의하면, 이들 블레이드는 내압력을 증가시킨다. 접선방향 접속층 또는 푸트 요소(180, 181)는 상이한 폭을 가져서 블레이드에 상이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이것은 블레이드의 푸트 폭이 제 1 위치에서 종래의 폭보다 더 크게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제 14 도에 있어서, 블레이드(172)는 다른 블레이드(171)의 접속층(181) 보다 폭이 더 넓은 접속층(180)을 갖는다. 따라서, 블레이드(172)는 블레이드(171) 보다 더 강하다. 사실, 이들 블레이드(171)는 클러치의 압력판과 맞물려지는 마찰 라이너에 고정된다.
또한,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로부터 영역(121A)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는 것은 영역(123B)과 중앙부(16) 사이의 축방향 오프셋과는 상이하다. 이 축방향 오프셋은 보다 강한 블레이드(즉, 반동판 측면에 대한 오프셋)를 보다 작게 제조할 수 있게 하며, 이것은 클러치를 서서히 결합하는 성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반동판과 관련된 블레이드(172)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보다 강성으로 되지만, 이것은 반동판이 원추 형태로 더 적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것은 아니다. 동일 효과는 폭은 동일하지만 길이가 상이한[예를 들면 관련된 블레이드의 중앙부(16) 및 영역(121A, 123B)사이의 거리가 상이함] 접속층(180, 181)을 제공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제 14 도에서, 2개의 연속적인 블레이드사이의 슬롯(24)을 변형시켜, 폭이 넓은 부분(125, 126)이 대칭이 되도록 한다. 또한, 주변 지지 영역(121B, 123A)은 형태가 상이하며, 영역(121B)은 대략 삼각형 형상이며, 한편 영역(123A)은 원주방향으로 더 신장된 4변형 형상이다. 또한, 다른 블레이드의 비스듬한 주변 접속층(122A)과 이에 대응하는 접속층(122B)사이의 사이즈는 상이하며, 접속층(122A)은 접속층(122B) 보다 더 길고(지지 영역간의 거리에 대해서), 따라서 더 가요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중앙 지지 영역의 양 측면으로 연장하는 주변 지지 영역의 강도는 블레이드의 경사진 외주 접속층의 길이 및 폭을 변경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제 15 도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15 도에 있어서, 2개의 연속 블레이드는 참조번호(271, 272)로 표시되며, 폭이 증가된 주변 접속층(222A)을 구비한다. 또한, 2개의 연속 블레이드(271, 272)사이의 각 반경방향 슬롯(124)은 그것의 반경방향 길이에 걸쳐서 폭이 일정하고 더 좁아지기도 한다.
또한, 제 15 도에 있어서, 지지 영역(223B, 221A)은 외측 단부에 표시되어 있으며, 이들 영역은 한쌍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반경방향 연장 러그(226)가 그 내주부에 구비하는 삼각형 형상이고, 이들 러그(226)사이에는 길이가 감소된 접선 방향 접속층(280, 281)이 접해 있다.
이제 제 16 도 내지 제 18 도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련의 삼각 블레이드만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블레이드는 그 외주부가 제 14 도의 외주부와 다소 유사하며, 그 내주부는 제 15 도의 내주부와 유사하다. 다른 일련의 블레이드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동일 평면에 놓여 있는 반경방향 텅의 형태로 간단한 반경방향 블레이드(371)로 대체된다. 이런 경우에, 각각의 디스크 블레이드(371)는 단지 하나의 지지 표면을 구비하는 반면에, 다른 블레이드는 제 14 도 또는 제 15 도의 블레이드와 비교할 때 원주방향 폭이 더 넓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 삼각 블레이드(372)는 텅 블레이드(371) 세트로 대체하여 배치된다. 그러나 각각의 삼각 블레이드(372)는 30°각도에 해당하는 원주 길이를 갖는 한편, 각 텅 블레이드(371)는 단지 15°각도에 해당하는 원주 길이를 갖는다. 블레이드(372, 371)의 축사이의 원주 길이 또는 피치는 상기와 같이 22°30' 각도를 유지하며, 이것은 제 17 도에 도시되어 있다.
텅(371)은 반동판이 원추 형상이 되는 경향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탄성을 가진다. 또한, 블레이드(372)의 접속층(380, 322A)의 폭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블레이드(372)의 중앙 지지 표면 영역(321A)사이가 축방향으로 오프셋될 때 증가한다. 블레이드(372)는 가요성이 증가된다.
제 19 도를 참조하면, 블레이드(472)의 주변 지지 영역(422B)의 표면이 실질적으로 증가되는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 16 도 내지 제 18 도의 반경방향 텅(371)은, 블레이드(472)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반경방향의 텅(471)의 형태인 블레이드로 대체될 수 있다. 텅(471)은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동일한 평면내에 있으며, 각 텅의 다른 단부는 라운드되어 있으며 인접한 블레이드(472)의 주변 영역(422B)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영역은 대체로 새의 날개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지지영역(422B)은 부분적으로 반경방향 텅 블레이드(471)를 둘러싸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블레이드(471)를 둘러싸는 2개의 연속적인 블레이드(472)의 2개의 인접한 영역(422B)이 있으며, 블레이드(471)는 이 영역(422B)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놓여 있고, 블레이드(471)는 제 17 도의 블레이드(371)보다 짧다. 즉 하나의 블레이드(471)는 2개의 연속적인 블레이드(47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물론 제 15 도에서의 블레이드(271, 272)와 유사한 형태를 각 삼각 블레이드에 제공되는 주변 접속층의 폭, 즉 자유 에지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참조를 위해 도시한 제 20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20 도에서, 제 19 도의 삼각 블레이드(472)는 삼각 블레이드(572)로 대체되어 있으며, 그 주변 접속층(222A)은 제 19 도의 접속층(322A)보다 폭이 넓다. 이러한 경우에, 라운드된 블레이드 또는 텅(471)과 삼각 블레이드(572)사이에는 작은 갭이 있다.
제 14 도 내지 제 20 도의 모든 도면에서, 마찰 라이너는 쉽게 편향될 수 있다. 2개의 세트 또는 시리즈로 분할된 제 16 도 내지 제 20 도의 블레이드는 클러치의 압력판과 결합되는 마찰 라이너(31)를 지지하기 위한 최대 표면적을 제공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설명한 상이한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의 지지 링의 제 2 또는 중간 부분의 구멍은 서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구멍들 중 일부는 개방되고 그 나머지는 폐쇄될 수도 있다. 비슷하게 이들 중간부의 일부는 장원형 구멍으로 제공되고, 나머지는 사다리꼴형 구멍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마찰 라이너(31, 32) 중 한쪽 또는 양쪽 모두는 직사각형 마찰 패드와, 삼각형의 다른 패드를 동시에 구비할 수 있다. 마찰 패드의 귀부는 편평한 원주방향 가장자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제 제 21 도 및 제 22 도와 제 24 도 내지 제 28 도에 대해 설명하겠다. 이 도면들은 마찰 라이너(131, 132)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마찰 휠을 도시하며, 마찰 라이너는 프랑스 특허 출원 제 2 094 693A 호의 명세서에 기술된 유기적인 형태의 라이너일 수 있는데, 즉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이거나 또는 무단이고, 예로 유리 섬유, 케블라(KEVELAR) (등록상표임)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강화된 라이너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마찰 라이너는 환형 지지체나 마찰 패드를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변형예로서, 마찰 라이너는 다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세그멘트는 2개의 마찰 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세그먼트는 하나의 라이너와 나머지 라이너 사이에 얽혀져 있다.
또한, 장치는 서로 접촉되어 있는 2개의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구비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 디스크들중 하나는 예로서 제 14 도의 블레이드(172)를 구비하고 나머지는 제 14 도의 블레이드(171)를 구비한다. 이 경우, 디스크의 두께는 감소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블레이드는 큰 표면적을 제공하는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을 가지며, 표면 영역의 내부 영역은 원주방향에 대해 외부 영역보다 넓으며, 외부는 조립체의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이것은 마찰 라이너가 적절한 평행면상에 위치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매몰 및 저더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압력판의 형상이 원추형에 더욱 가까워질 때 그 변화를 수용하면서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물론 블레이드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바, 특히 주변 지지 표면 영역에서, 한 블레이드는 다른 블레이드와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접선방향 접속층과 경사진 접속층은 삼각 블레이드에 우수한 안정성을 부여하여, 마찰 라이너가 특히 클러치의 압력판과 우수한 접촉을 할 수 있게 하는 바, 이것은 라이너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블레이드의 푸트 요소는 단순하게 상응하는 접선방향 접속층만으로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는 바, 접선 접속층은 푸트부 또는 루트부를 거쳐 지지 디스크 중앙 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지지 표면 영역을 가지는 텅의 형태로 각 블레이드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장치는 이후에 설명하는 제 24 도 내지 제 33 도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 24 도 내지 제 27 도를 참조하면, 이 도면들에 도시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중앙부(16)와, 이 중앙부와 연결된 주변부를 가지며, 주변부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동일 평면상에, 텅(671) 형태의 다른 일련의 반경방향 블레이드와 그 원주방향상에 교대로 위치하는 삼각 형태의 반경방향 지지 블레이드(672)로 분할된다. 여기서, 블레이드(672) 및 텅(672)은 원주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렬되어 있다.
굴곡진 또는 삼각형의 각 블레이드(672)는 푸트 요소(480)를 거쳐 디스크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하나의 중앙 지지 표면 영역(423)과 2개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422)을 가진다. 중앙 영역(423)은 마찰 라이너(132)를 블레이드(672)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다른 마찰 라이너(131)는 텅(671)에 고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텅(671)과, 블레이드(672)의 중앙 영역(423)은 구멍(19)들을 가지며, 구멍은 가령, 본 실시예에는 제 24 도에 도시된 리벳 수단(47)에 의해, 라이너(131, 132)를 라이너 지지 디스크에 고정하기 위해 같은 피치원상에 서로 이격되어 있다.
더욱 정확히 말하자면, 마찰 라이너(131, 132)를 가진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여기서는 2개의 동축부를 구비한 클러치 마찰 디스크의 일부가 되며, 동축부들은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5) 및 마찰 수단(20)의 작용에 대해 서로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축방향으로 작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도 내지 제 4 도처럼, 제 4 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종류의 느슨한 커플링 수단의 작용이 가해져 댐퍼 플레이트(4)는 허브(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마찰 수단은 댐퍼 플레이트(4)와 가이드 링(1)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마찰 링과, 가이드 링(2)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된 축방향 러그에 의해 회전하도록 가이드 링사이에 장착된 트러스트 링을 포함한다. 스프링은 가이드 링(2)상에 지지되며, 트러스트 링을 편향시켜 댐퍼 플레이트(4)에 접촉시킨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에는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의 양 측면에 배면대 배면으로 장착된 2개의 환상 마찰 라이너(131, 13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도 지지 디스크는 금속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찰 라이너(131, 132)는 통상 자동차의 내연 기관의 크랭크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는 클러치의 압력판과 반동판(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파지되어 있으며, 허브(3)는 내부의 스플라인형 구멍에 의해 자동차의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클러치 분리 조작(또는 디클러칭 조작) 동안에, 마찰 라이너(131, 132)는 이완되어, 압력판 및 반동판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클러치가 다시 결합될 때 라이너(131, 132)는 탄성적 또는 탄력적 점진 방식으로 압력판과 반동판 사이에 죄어진다. 이 점진 파지 동작은 주로 삼각 블레이드(672)로 인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블레이드의 주변 지지 영역(422)에 기인한다.
각 블레이드(652)의 삼각 형태는 각기 세개의 편평한 지지 표면 영역(422, 423)에 의해 규정된다. 편평한 중앙 영역(423)은 압력판과 결합하는 마찰 라이너(132)와 접촉하여 마찰 라이너(132)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모든 도면에서, 이 영역(423)은 클러치 지지 디스크의 외주부쪽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영역(422)은 중앙 영역(423)의 양 측면상에서 주변으로 연장되어 있다. 영역(422)은 대체로 삼각 형태이며 경사진 접속층(421)을 통해 중앙 영역(423)과 연결되어 있고, 접속층들은 블레이드(672)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해 대칭이다. 영역(422, 423)은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서로 나란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영역(422)은 클러치의 반동판과 결합된 마찰 라이너(131)와 접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영역(422)은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앙 영역(423)은 접선방향으로 배향된 접속층(480)(또는 종방향 접속층)을 거쳐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연결되고, 상기 접속층(480)은 블레이드의 반경 방향 대칭축에 대해 직각이고 대칭이다. 축방향으로 경사진 이 접속층(480)은 블레이드의 푸트부를 구성하고, 영역(423)을 중앙부(16)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시킨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131, 132)가 압축될 때 영역(422)은 축방향으로 변형된다. 접속층(480)은 상당한 폭을 가지게 되며, 그에 따라 매우 강하며, 영역(423)은 푸트 요소(480)를 에워싸는 2개의 내측 영역을 구비한다. 블레이드(672)는 슬롯(24)에 의해 텅(671)으로부터 분리되며, 각 슬롯은 갈고리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슬롯들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외주부에서 개방되어 있고, 각 슬롯(24)의 내측 단부는 접속층(480)에 결합된 "C"자형으로 폐쇄된 단부이다.
각 블레이드(672)는 상당한 폭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들 블레이드는 본 실시예에서 45°의 피치를 규정하고, 블레이드(672)의 대칭축과 인접한 텅(671)의 대칭축사이의 각도는 22°30' 가 된다. 따라서, 22°30' 의 각도는 2개의 연속적인 구멍(19) 사이에서도 규정된다. 그에 따라 각 삼각 블레이드(672)는 2개의 텅(671)에 의해 일정한 방법으로 에워싸여 있고, 구멍(19)도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텅(671)중에 적어도 몇개의 텅에는 텅의 외측 단부에서 보충 지지 표면 영역(622)이 배열된다. 이 영역(622)은 결합 접속층(621)을 거쳐 텅의 메인 본체에 결합되며, 이에 의해 영역(622)은 인접한 삼각 블레이드의 중앙 영역(423)쪽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131, 132)를 압축하는 동안에, 이 영역(622)은 라이너(132)와 접촉하여 반동 표면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영역(622)은 안정화 영역을 구성하는 바, 본 실시예에서 영역(622)은 경사진 접속층(621)을 거쳐 인접한 삼각 블레이드(672)의 중앙 영역(423)과 동일 평면내로 연장된다. 변형예로서, 영역(622)은 영역(423)에 대해 약간 후퇴될 수도 있다.
이런 장치에 의하면 라이너(131)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태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텅(671)은 매우 가늘고, 그 루트 영역[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에 결합됨)은 상술한 보충 지지 영역(622)으로 구성된 외주부 보다 폭이 넓게 된다. 영역(622)의 외주부는 삼각 블레이드(672)의 외측원주와 동일한 반경상에놓여 있다. 따라서, 각 텅(671)은, 구멍(19)에 의해 라이너(131)를 지지 및 고정하는 메인부(623)와, 반경방향 결합 접속층(621) 및 지지 표면 영역(622)을 서로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접속층(621)의 깊이는 표면(622)의 깊이보다 깊다. 따라서, 이러한 반경방향으로 위치한 텅(671)은 유연하고 가요성이다. 이러한 가는 형상은 접속층(621)과 지지 표면(622)의 조합체에도 상당한 가요성을 부여한다.
각 텅(671)의 자유 단부(622, 621)는 감소된 원주방향 폭을 가지는 바, 그것이 표면(622)에 더욱 큰 가요성을 부여한다. 또한, 표면(622)은 지지 디스크의 외주부에서 2개의 영역(422) 사이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마찰 라이너(131, 132)가 평행한 평면내에 있기 때문에 그 외주부에 큰 지지 표면 영역을 갖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매몰 및 저더의 영향이 감소된다. 따라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 및 클러치 마찰 휠 자체는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압력판 및 반동판이 원추 형태로 되게 하는 압력판 및 반동판의 변형에 적합하다. 다른 효과로는 마찰 라이너가 균형적으로 마모되게 하는 것이 있다.
접속층(480, 621)은 클러치 마찰 디스크에 우수한 안정성을 부여하여, 마찰 라이너가 압력판 및 반동판과 우수한 접촉을 하도록 하게 되며, 다음에 이것은 마찰 라이너의 마모를 더욱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각 텅의 지지 영역(622)의 반경방향 길이는 삼각 블레이드의 주변 표면(422)의 반경방향 길이보다 작다. 접속층(621) 및 영역(622)의 주변 높이는 대체로 블레이드(672)의 경사진 영역(422)의 높이와 동일하다. 이와 관련해서, 이것으로 구하기 위한 것으로는 가요성이 있는 추가의 지지체가 있다.
변형예로서, 접속층(621)의 길이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영역(622)의 강성을 변화시켜서, 텅의 외주부가 블레이드(677)의 외주부의 원주 방향 길이에 대한 직경보다 작거나 큰 직경의 원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러치 마찰 휠의 우수한 평형상태와, 마찰 라이너의 우수한 평탄성은 특히 고정 구멍(19)의 일정한 간격과, 텅(671) 및 삼각 블레이드(672)의 대칭축상의 그 구멍의 위치에 의해 이뤄진다.
또한, 이들 부품의 제조는 간단하다. 이들 부품은 반경방향 변위로 인해서 상이한 높이의 삼각 블레이드 및 텅을 구비한 디스크를 절삭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클러치가 결합될 때[마찰 라이너(131, 132)가 파지됨], 2개의 라이너(131, 132)사이에는 공간이 있어서, 블레이드(672)는 전체적으로 일률적으로 가압되지 않는다. 따라서, 라이너는 압력판과 반동판의 형상에 부합할 수 있다.
제 25 도에서 파단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층(621) 및 영역(622)은 반드시 대칭일 필요가 없음은 당연하고, 하나의 텅에서 다른 텅까지 비대칭으로 교호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는 상술한 리벳(47)과 같은 패스너의 갯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제 28 도 내지 제 33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치에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중앙부(16)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동일한 평면내에 있는 일련의 반경방향 텅(772)과 일정한 간격으로 교호적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반경방향 블레이드(771)로 분할된 주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도면들에서, 블레이드(771) 및 텅(772)은 중앙부(16)와 일체이다.
각각의 블레이드(771)는 푸트 요소(724)를 거쳐 중앙부(16)에 연결되고, 하나의 중앙 지지 영역(722)과 2개의 주변 지지 영역(723)을 구비하고 있다. 중앙영역(722)은 마찰 라이너(132)를 고정하는 작용을 하며, 텅(722)은 다른 마찰 라이너(131)를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블레이드(771)의 텅(772) 및 중앙 영역(722)은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너(131, 132)를 라이너 지지 디스크에 고정하기 위해 구멍(19)을 구비하는 바,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이러한 고정은 제 28 도에 도시된 리벳(47)을 사용하여 이뤄진다.
상세히 말하자면, 라이너(131, 132)를 구비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댐퍼 플레이트(4)에 리벳팅으로 고정된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포함하는 클러치 마찰 휠(제 28 도)의 일부이다. 댐퍼 플레이트는 허브(3)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클러치 마찰 휠은 강체 유형이 된다. 환형 라이너(131, 132)는 제 24 도 내지 제 27 도에서와 같이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의 양 측면에 배면대 배면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클러치가 재결합되면, 라이너(131, 132)는 클러치의 압력판과 반동판 사이에 점진적으로 그리고 탄성적으로 파지된다. 이러한 점진적인 파지 동작은, 본 예에서는 주로 삼각 블레이드(771)로 인해 이뤄지며, 특히 그 주변 지지 영역(723)으로 인해 그리고 푸트 요소(724)로 인해 이뤄진다. 블레이드(771)의 삼각 형상은 각기 참조번호(723, 722)로 표시된 세개의 편평한 지지 또는 결합 표면으로 규정된다.
편평한 중앙 영역(722)은 압력판과 결합된 마찰 라이너(132)와 접촉하며,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외주부쪽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영역(723)은 중앙 영역(722)의 양 측면상에서 주변에 배치된다. 영역(723)의 형상은 대체로 삼각형이며, 영역(723)은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경사진 접속층(721)을 통해 영역(722)에 결합된다. 이들 접속층(721)은 반경방향에 경사져 있으며, 축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영역(723, 722)은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지만 서로 나란하다. 보다 상세하게, 영역(723)은 클러치의 반동판과 결합된 마찰 라이너(131)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영역(723)은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동일 평면에 있다.
중앙 영역(722)은,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직각인 접선방향으로 배향된 접속층(723) 또는 종방향 접속층을 거쳐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에 연결된다. 축방향으로 경사진 접속층(724)은 블레이드의 푸트 또는 루트 요소를 구성하고, 중앙부(16)에 대해 영역(722)의 축방향 오프셋을 규정한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131, 132)가 압축되어 있는 동안에, 영역(723)은 축방향으로 변형된다. 접속층(724)은 상당한 폭을 가지며 그에 따라 매우 강하다. 수직 슬롯(224)은 블레이드(771)와 텅(772)을 분리시킨다. 이 슬롯들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외주부에서 개방되어 있고, 각 슬롯의 폐쇄된 내측 단부는 원형이며, 접속층(724)에 그리고 중앙부(16)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굴곡진 블레이드(771)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원주방향 길이보다 작게 연장되어, 텅(772)의 원주방향 폭이 증가되며, 이러한 폭은 블레이드(771)의 폭에 근접한 정도로 크다. 각 마찰 라이너의 지지 표면은 가능한한 근접해 있다. 그 목적은 마찰 라이너(131, 132)에 필요한 지지 표면적을 가장 크게 확보하지만, 결합 영역사이의 거리는 가능한한 작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블레이드의 수가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형인 클러치 마찰 휠에는 마찰 라이너(131, 132)를 고정하기 위해 상술한 리벳이나 나사, 볼트 같은 패스너가 적어도 2열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771)중 적어도 몇몇은 적어도 2개의 체결 구멍(19)을 구비하며, 이 구멍을 통해 적절한 패스너가 통과된다. 따라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삼각 블레이드(771)의 적어도 몇개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중앙 영역(722)은 종방향 접속층(724)에 형성된 슬릿(726)에 의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25)를 구비하며, 중앙 영역의 연장부(725)에는 예컨대 리벳(47)과 같은 패스너를 수납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132)용의 전체 지지 표면이 증가된다.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적인 고정 구멍(19)은 블레이드(771)의 외주부와 중앙 영역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19)은 동일 평면상에 놓여 있고, 상당한 거리로 서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구멍(19)은 블레이드(771)의 대칭축상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텅(772)의 외형은 블레이드(771)의 외형과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각 텅(772)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동일한 평면에 있는 중앙 영역(823)과, 중앙 영역(823)의 양 측면에 있는 2개의 주변 안정화 영역(822)을 동시에 구비한다. 반경방향으로 경사지고 축방향으로 기울어진 접속층(821)은 각 영역(822)을 중앙 영역(823)의 주변부에 연결한다. 안정화 영역(822)은 블레이드(771)의 중앙영역(722) 쪽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공통 평면상에 있는 2개의 고정 구멍(19)은 각 중앙 영역(823)에 제공된다. 이 구멍(19)은 텅(772)의 반경방향 대칭축상에서 서로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며, 블레이드(771)의 구멍(19)과 동일한 피치원상에 배치된다. 텅(772)들의 일부에 있어서, 이들 구멍은 허브(3)의 플랜지에 리벳팅에 의해 그 자체가 고정된 댐퍼 플레이트(4)에 중앙부(16)를 고정하기 위한(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팅에 의해) 고정 구멍(119)과 반경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제 29 도에서 파단선으로 도시된 변형예가 가능하며, 변형예에서 텅(772)은 블레이드(771)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일련의 굴곡된 제 2 삼각 블레이드로 대체되고, 종방향 접속층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에 중앙 영역을 연결하고, 일련의 제 2 블레이드의 각각은 슬릿(726)과 유사한 슬릿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슬릿(726)은 V자 형상이지만, 제 2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가 라운드된 형상이며, V자 형상의 정점은 클러치 마찰 휠의 축쪽[즉,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의 축쪽]으로 배향되어 있다. 따라서, 연장부(725)의 형상도 또한 라운드된 V자 형상이다. 연장부(725)는 다른 도면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러그를 구성한다. 상기 슬릿(726)은 접속층(724)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또한 중앙 영역(722)의 일부분 및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내로 국부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접속층(724)은 상술한 파지 효과를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접속층(724)은 이러한 슬릿이 존재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으로 강하다.
연장부(725)는 중앙 영역(722)에 대해 발산하는 루트 영역에 의해 결합된다. 이것은 파열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슬릿(726)의 반경방향 대칭축은 블레이드(771)의 반경방향 대칭축과 일치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이제 제 30 도를 참조하는 바, 제 30 도는 텅(972)과 교대로 배열된 삼각 블레이드(971)를 가진 변형된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도시한 것이다. 제 30 도에서, 텅(972)의 적어도 몇몇은 그 자유 단부에서 말단 지지 표면 영역(932)과 정렬되어 있고, 영역(932)은 접합 접속층(931)을 거쳐 나머지 텅 부분에 결합된다. 영역(932)은 삼각 블레이드(971)의 중앙 영역(922)쪽으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각 텅(972)의 자유 단부는 원주방향 폭이 감소된다. 텅(972)은 그 외주부가 좁은 반면에 그 중앙이 넓다. 이 텅들은 중앙부(16)쪽으로 좁아지며, 텅(972)의 메인부는 중앙부(16)의 평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텅(972)을 블레이드(971)로부터 분리하는 슬롯(324)은 굽혀진 형상이며, 각 슬롯의 내주부에 수직부를 포함하며, 경사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다음에 블레이드(971)의 외주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블레이드(971)의 주변 지지 영역(923)은 경사진 접속층(921)을 거쳐 블레이드의 중앙영역(922)에 연결되고, 각 블레이드는 대체로 T자 형상이며, 제 2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926)이 가로질러 형성된 종방향 접속층(92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슬릿(926)은 U자 형상이며, U자 형상의 단부는 원형이며 중앙 영역(922)에 위치된다. 따라서, 연장부(925)도 또한 U자 형상이며, 중앙 영역(922)과 연결되는 좁은 루트 영역을 구비한다. 연장부(925)의 U자 형상의 기부는 조립체의 축쪽으로 배향된다. 즉, 중앙부(16)의 축쪽으로 배향된다.
이제 제 31 도를 참조하는 바, 제 31 도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 31 도에서 삼각 블레이드는 참조번호(1071)로 표시되어 있고, 텅(1072) 형태의 블레이드와 교호로 정렬된다. 블레이드(1071)는 반경방향으로 경사진 접속층(1021) 및 종방향 접속층(1024)을 구비하되, 이 접속층들은 텅(1072)과 규칙적으로 원주상에 교호로 배열된다. 텅(1072)은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블레이드(1071)와 유사한 외형을 가진다. 즉, 텅(1072)은 주변 지지 표면 영역(1122) 및 경사진 접속층(1131)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 각 텅(1072)의 외주부는 원주방향으로 넓혀져 있고, 각 블레이드(1071)의 외주부는 외측으로 굴곡져 있어서, 텅(1072)으로부터 블레이드(1071)를 분리하는 슬롯(424)은 꾸불꾸불한 형상이다.
제 29 도 내지 제 31 도에서 텅들은 안정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지지 영역을 제공한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131, 132)가 압축될 때, 각기 개별영역 또는 영역(932, 822, 1122)들은 라이너(132)에 접촉하도록 정렬되어져, 라이너에 반동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영역들은 안정화 영역을 구성하며, 안정화 영역은 접속층(931, 821, 1131)에 의해 중앙 영역(722)과 동일 평면으로 연장되어 있다.
변형예에서, 이들 영역은 중앙 영역에 대해 약간 후퇴될 수도 있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131)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마찰 라이너(131, 132)가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내에 있기 때문에 그 외주에 큰 지지표면 영역을 갖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매몰 및 저더의 영향이 감소된다. 따라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 및 클러치 마찰 휠은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압력판 및 반동판이 원추형태로 되게 하는 압력판 및 반동판의 변형에 적합하다. 또한, 마찰 라이너가 균형적으로 마모되게 하는 것이 있다.
접속층(724, 924, 1024, 931, 921, 821, 1131, 1021)은 라이너 지지 디스크에 우수한 안정성을 부여하며, 이 디스크는 압력판 및 반동판과 마찰 라이너가 양호하게 접촉될 수 있게 한다. 다음에 이것은 라이너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또한, 클러치 마찰 휠의 우수한 평형 상태와 그 마찰 라이너의 우수한 편평성은, 특히 체결 구멍(19)의 일정한 간격과, 텅의 대칭축과 삼각 블레이드의 대칭축의 위치로 인해서 이뤄진다.
클러치가 결합된 위치, 즉 마찰 라이너(131, 132)가 파지되어 있을 때, 2개의 마찰 라이너(131, 132)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하여, 블레이드(771, 971, 1071)가 전체적으로 편평해지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것은 마찰 라이너가 압력판 및 반동판의 형상에 부합될 수 있게 한다. 종방향 접속층(724, 924, 1024)은 그 자체에 의해 블레이드의 푸트 요소를 구성할 필요는 없다. 대신에, 상술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접속층은 다른 푸트부를 통해 디스크의 중앙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적절한 접착 밴드가 부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밴드는 하나의 고정 구멍(19)으로부터 다른 구멍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여 마찰 라이너의 고정에 안정도를 향상시킨다.
러그 및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크기가 허용되는 한도에서, 부가적인 패스너를 부가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가적인 체결 구멍(19)을 추가할 수 있다.
물론 블레이드 및/또는 텅의 일부는 부가적인 체결 구멍(19)을 구비할 필요는 없고, 연장부(725, 925, 1025)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설명한 실시예의 특징을 모든 조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9 도에서의 텅(772)은 그 중앙에 배치된 단지 하나의 고정 구멍(19)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제 32 도를 참조한다. 제 32 도에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는 밴드(116)로 분할된다. 각 밴드(116)는 제 29 도의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삼각 블레이드(771) 및 텅(772) 형태의 블레이드를 구비한다. 각 블레이드(771)는 관련 밴드(116)와 일체로 되고, 관련 밴드(116)는 환형 부분의 형태이다. 이 밴드(116)는 하나의 블레이드(771)를 텅(772)에 결합하고, 예컨대 리벳팅에 의해 댐퍼 플레이트(4)에 밴드(116)를 고정하기 위한 2개의 구멍(229)이 형성되어 있다.
또다른 변형예가 도시된 제 33 도를 참조하면, 중앙부(16)는 밴드(226)로 분할되어 있으며, 밴드의 원주 단부의 각각에는 귀부가 형성되어 있다. 귀부에는 구멍(229)이 형성되어 있고, 귀부는 텅(1072)으로부터 연속적인 삼각 블레이드(1071)까지 중첩된다. 밴드(226)는 구멍(229)을 통해 리벳팅에 의해 댐퍼 플레이트(4)에 고정된다.
제 32 도 및 제 33 도에서, 댐퍼 플레이트(4)는 밴드(116, 226)를 함께 결합시킨다. 따라서, 클러치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는 두 부분, 즉 밴드(116, 226) 및 댐퍼 플레이트(4)로 각기 구성된다.
제 15 도 내지 제 20 도를 다시 참조하면, 물론 러그사이의 종방향 접속층(280, 281)에 접해 있는 러그(226)(제 15 도)에 부가적인 구멍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삼각 블레이드(271, 272)에 대해 삼각형의 정점에 각기 배치된 세개의 체결 구멍을 제공할 수 있는 데, 즉 대칭축내의 구멍(19)과, 2개의 러그(226)에 대해서 각 러그에 하나의 구멍으로서 부가적인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 라이너의 체결은 세개의 구멍에 의해 양호해진다.
물론, 제 12 도의 모따기된 마찰 패드는 제 34 도 내지 제 38 도에 도시된 방법(이하에 설명됨)으로 제 9 도의 환형 지지체(40)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블레이드는 제 1 도 내지 제 33 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비교해서 구동 토크를 전달하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제 34 도 내지 제 38 도에서의 블레이드의 유일한 기능은 압력판과 반동판 사이에서 마찰 라이너를 축방향으로 서서히 파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블레이드들은 앞에서 도면들과 관련하여 기술한 장치와 동일한 장점을 제공하며, 특히 접촉 표면이 증가된다는 점과, 매몰 및 저더의 영향이 감소된다는 점과, 마찰 라이너의 마모가 감소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제 34 도 내지 제 38 도에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중앙부(16)를 가지며, 이 중앙부(16)는 중앙부(16)와 동일한 평면에서 한 세트의 지지 텅 또는 반경방향 지지 블레이드(260)를 그 외주부에 구비하고 있다(제 35 도 참조). 이 텅(260)은 제 3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마찰 라이너(32)쪽으로 경사진 부분을 그 외주부에 구비하고 있다. 텅(260)은 마찰 라이너(31)의 환형 지지체(40)상에서 접촉되며, 텅은 클러치의 반동판과 협동하는 라이너이다.
구멍(43)을 가진 환형 지지체(40)는 리벳(147)에 의해 이들 텅(260)에 고정된다. 이 리벳은 계단 형상(stepped form)이며, 지지 핀을 형성하는 자루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리벳 자루부는 마찰 라이너(32)의 환형 지지체(40)를 장착하기 위한 직경이 큰 부분을 구비한다. 이러한 직경이 큰 자루부는 숄더로서, 라이너(32)의 환형 지지체(40)를 부착시키는 작용을 하며, 리벳(147)의 자루부의 변형된 루트는 다른 환형 지지체(40), 즉 라이너(31)의 지지체를 부착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 12 도와 유사한 마찰 패드(241, 242)는 환형 지지체(40)상에 고정되어 환형 지지체와 함께 마찰 라이너(31, 32)를 구성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마찰 패드들은 유연하고 가요성이 있으며, 구멍(43)으로 인해서 관성이 감소된다.
구멍(144, 45, 145, 245, 345)(본 실시예에서 중앙부에 위치함)은 리벳(147)의 자루부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더욱 정확히 말하자면, 마찰 라이너(32)의 환형 지지체(40)에 형성된 구멍(245)의 직경은 다른 환형 지지체(40)에 형성된 구멍(45)의 직경, 라이너(31)의 직경보다 크다.
제 36 도에 도시된 이중 블레이드 요소(1270)는 제 3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텅(260)과 라이너(32)의 환형 지지체(40)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되어져 있다. 이 이중 블레이드 요소(1270)의 두께는 텅 또는 블레이드(260)의 두께보다 작아서, 보다 가요성이 있다. 각 이중 블레이드 요소(1270)는 2개의 블레이드(1271, 1272)를 포함하며, 블레이드(1271, 1272)의 회전을 방지하는 일체형 스트립(1223)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 블레이드는 대체로 제 14 도의 블레이드(171, 172)와 같다.
따라서, 블레이드(1271, 1272)는 고양이 머리 모양의 삼각형 형태이며, 각 블레이드는 큰 표면적을 제공하는 중앙 지지 표면 영역(273)과, 대응하는 영역(273)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2개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275)을 가진다. 각 블레이드에서, 텅(260) 및 중앙부(16)의 외주부쪽으로 갈 수 있도록 좁아지는 중앙 영역(273)은,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해 경사진 접속층(1222)을 거쳐 귀부 형상을 하고 있으며 모두 동일한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배향된 주변 영역(275)에 연결되어 있다. 영역(275)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블레이드(260)에 접촉하도록 정렬된다. 제 3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273)은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의 양 측면에 있는 접선방향 접속층(224)을 거쳐 2개의 푸트부(225)에 연결되며, 푸트부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접촉한다.
지지 핀 또는 리벳 자루부(147)는 패드에 형성된 중앙 구멍(144)을 경유하여 마찰 패드(241, 242)를 통과한다. 리벳 자루부는 중앙 영역(273)의 각각에 형성된 구멍(145)을 경유하여 중앙 영역(273)의 중앙을 통해 그리고 각 개별 구멍(345)을 경유하여 텅 또는 블레이드(260)를 통해 통과한다. 각 리벳의 머리부는 마찰 라이너(32)의 환형 지지체(40)를 지지한다. 패드(241, 242)에 형성된 구멍(144)은 물론 제 9 도 및 제 12 도에서의 구멍보다 크다.
구멍(144, 45, 145, 245, 345)은 서로 축방향으로 정합되어 있다. 구멍(345, 45)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며, 구멍(245, 145)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각 리벳(147)의 푸트부는 관련있는 환형 지지체(40)를 블레이드(260)에 고정하며, 다른 환형 지지체(40)와 이중 블레이드 요소(1270)는 증가된 직경을 가지는 리벳 자루부의 일부상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함으로써, 리벳 자루부를 경유하여 블레이드(260)와 중앙부(16)에 연결된다.
따라서, 지지 텅(260)은 마찰 라이너(31, 32)를 구비하며, 자루부(147)를 경유하여 이중 삼각 블레이드 요소(1270)를 구비하는 바, 라이너(31)는 자루부(147)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다른 라이너(32) 및 이중 블레이드 요소(1270)는 리벳 자루부(147)를 따라 축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도록 자유상태이다. 이런 방법으로 라이너(32)는 구동 토크를 전달하며, 이중 블레이드는 축방향으로 탄성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이중 블레이드 요소(1270)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구멍(245, 345)과 리벳(147)의 머리부 사이에는 반경방향 간극이 제공되어, 마찰 라이너(32)는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압력판의 변형에 반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2개의 환형 지지체(40)사이의 최대 축방향 이격은 리벳의 자루부(147), 즉 머리부상에 규정된 어깨부로부터 각 리벳 자루부의 푸트부까지의 분리된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는 반경방향 텅 또는 블레이드(260)를 경유하여 삼각 블레이드(1271, 1272)를 구비하며, 블레이드(1271, 1272)는 각 블레이드의 푸트 요소를 거쳐 중앙부(16)에 연결된다. 이러한 푸트 요소의 각각은 대응하는 접속층(224) 및 푸트부 또는 말단 텅(225)으로 구성되고, 푸트부 또는 말단 텅은 중앙부(16)와 접촉하도록 그리고 중앙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각 푸트 요소(224, 225)는 대체로 삼각형 텅의 형태이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블레이드(1272, 1271)는 제 3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배행된다. 물론 마찰 패드(241, 242)는 서로 동일하다.
이중 블레이드 요소(1270) 세트로 인해서, 마찰 라이너(32)는 쉽게 압력판의 원추형으로의 변형에 순응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271, 1272)는 그것들을 함께 연결시키는 스트립 재료(1223)에 의해 피봇회전이 방지된다. 스트립(1223)은 가요성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접선방향으로 배향되어 2개의 중앙 영역(273)을 함께 연결한다. 각 스트립의 단부(1223)는 경사진 접속층(122)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그리고 구멍(145)의 피치원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대응하는 영역(273)을 결합한다. 이것은 제 36 도에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파손의 위험없이 매우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중 블레이드 요소(1270)의 두께는 요구되는 탄성의 크기에 따라 선택되는 바, 탄성은 동력을 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제 19 도의 영역(4228)의 단부에 추가 접속층을 부가시키는 것이 제 19 도 및 제 20 도에서 물론 가능하다. 이 추가 접속층은, 제 19 도에서 파단선으로 표시된 추가 말단 지지 표면 영역의 한계를 정한다. 이 말단 지지 표면 영역은 지지 표면 영역(422B)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따라서, 추가 지지 표면 영역이 얻어진다.
상기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삼각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대칭형의 중앙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블레이드에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부여한다. 마찰 라이너가 압축되면, 주변 지지 표면 영역은 경사진 접속층의 전개로 인해, 블레이드의 중앙 영역쪽으로 보다 가까이 움직여서 중앙 영역과 작용하는 마찰 라이너에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클러치의 결합 동안에 자연스런 전진 동작이 얻어진다.
마지막으로, 블레이드는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9)

  1. 클러치 마찰 휠용의 라이너 지지 디스크(a liner support disc)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중간면을 규정하는 중앙부와,
    다수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레이드로 분할되는 주변부로서, 상기 블레이드는 각 블레이드를 상기 중앙부에 연결하는 푸트 요소(a foot element)를 구비하는, 상기 주변부와, 상기 블레이드상에 지지된 다수의 마찰 라이너와; 상기 각각의 마찰 라이너를 상기 블레이드중 적어도 일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으로서, 상기 각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부의 중간면과 대체로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 영역을 구비하는, 상기 체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의 양 측면에 배치된 중앙 지지 표면 영역 및 2개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을 구비하는 삼각 블레이드(tripod blades)이며,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은 상기 주변 지지 표면에 대해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삼각 블레이드는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대칭축과, 상기 삼각 블레이드의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을 상기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 영역에 결합하는 접선방향 제 1 접속층(a tangential first fold)과, 상기 삼각 블레이드의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을 그 각각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에 각각 결합하며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대칭축에 대해 각기 경사져서 배향된 2개의 제 2 접속층을 포함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삼각 블레이드의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은 반경방향 내측부와, 반경방향 외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경방향 외측부는 상기 반경방향 내측부보다 원주방향으로 좁아지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삼각 블레이드는 그내에 중앙의 리세스를 형성하는 외주부를 구비하는 클러치 마찰 활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은 외주 텅(an external peripheral tongue)을 구비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삼각 블레이드에서,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은 뽀족한 단부를 구비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삼각 블레이드에서,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은 대응하는 제 1 접속층에 접하는 2개의 러그를 형성하는 내주부를 구비하고 있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블레이드는 2세트의 블레이드로 분할되며, 상기 각 세트의 블레이드에서,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과 동일평면에 있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세트의 삼각 블레이드내의 상기 제 1 접속층의 길이는 다른 세트의 삼각 블레이드내의 상기 제 1 접속층의 길이와 상이한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세트의 삼각 블레이드내의 상기 제 2 접속층의 길이는 다른 세트의 삼각 블레이드내의 상기 제 2 접속층의 길이와 상이한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부와 동일평면에 있으며, 상기 삼각 블레이드와 원주방향에서 교호적으로 배치된 일련의 반경방향 텅을 더 포함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삼각 블레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은 상기 반경방향 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텅은 라운드된 자유 단부를 구비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텅의 적어도 일부는 보충 지지 표면 영역과, 상기 보충 지지 표면 영역을 나머지에 결합하는 결합 접속층을 텅의 자유 단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 접속층은 상기 보충 지지 표면 영역이 인접한 삼각 블레이드의 상기 중앙 영역쪽의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배향되어 있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반경방향 텅은 원주방향 폭이 감소된 자유 단부를 형성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텅은 그 외주부쪽으로 가늘어지는 형상이며, 상기 텅을 상기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부에 결합하는 루트 영역(root zone)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상기 루트 영역의 사이즈가 증가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블레이드 및 반경방향 텅은 슬롯을 형성하며, 각각의 슬롯은 상기 인접한 텅으로부터 상기 삼각 블레이드를 분리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텅의 상기보충 지지 표면 영역의 반경방향 높이는 상기 인접한 삼각 블레이드의 상기 주변 영역의 반경방향 높이보다 작으며, 상기 결합 접속층의 반경방향 높이보다 작은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삼각 블레이드의 상기 중앙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삼각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의 각각에는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의 반경방향 내측의 중앙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접속층을 가로질러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에는 제 2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제 1 관통 구멍내에 수납된 제 1 패스너와, 상기 제 2 관통 구멍내에 수납된 제 2 패스너를 포함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장부는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러그를 포함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슬릿은 대응하는 블레이드의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슬릿은 기부가 라운드형으로 된 대략 V자 형상이며, 상기 V자 형상의 정점은 상기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의 축쪽으로 배향되어 있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장부는 U자 형상이며, 이 연장부를 대응하는 블레이드의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에 결합하는 감소된 폭의 루트 영역을 형성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을 구비한 상기 각각의 삼각 블레이드는 그 반경방향 대칭축과 일치되는 슬릿의 반경방향 대칭축을 형성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블레이드와 대체로 유사하며 원주방향으로 상기 삼각 블레이드와 교호하는 다수의 텅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텅은 상기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와 동일평면에 있는 중앙 지지 표면 영역과, 상기 텅의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의 양 측면상에 배치된 2개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을 구비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25. 제 18 항에 있어서, 원주방향에서 상기 삼각 블레이드와 교호하는 다수의 텅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텅은 그 자유 단부에 있는 지지 표면 영역과, 결합 접속층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 접속층은 상기 지지 표면 영역을 텅의 나머지에 결합하며, 인접한 삼각 블레이드의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쪽의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26.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이중 블레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며, 각 블레이드 부재는 한쌍의 삼각 블레이드와, 삼각 블레이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한쌍의 블레이드를 함께 결합하는 일체식 스트립을 포함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부에 결합된 다수의 반경방향 지지 텅과, 상기 지지 텅에 의해 지지된 다수의 지지 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중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지지 핀상에서 축방향 활주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중 블레이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에는 상기 지지 핀을 수납하고 상기 지지 핀 둘레에 반경방향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29. 클러치 마찰 휠용의 라이너 지지 디스크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중간면을 규정하는 중앙부와, 다수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레이드로 분할되는 주변부로서, 상기 블레이드는 각 블레이드를 상기 중앙부에 연결하는 푸트 요소를 구비하는, 상기 주변부와, 상기 지지 디스크의 상기 주변부의 양 측면상에 배치된 2개의 마찰 라이너로서, 상기 각각의 마찰 라이너는 다수의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 교호로 배치된 다수의 제 2 부분으로 구성되는 무단 환형 지지체(an endless support crown)을 포함하며, 상기 각 제 2 부분은 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각 마찰 라이너는 상기 제 1 부분에 고정된 다수의 마찰 패드를 포함하며, 각 마찰 패드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향된 정점을 형성하는 삼각형 형상인, 상기 마찰 라이너와, 상기 각각의 마찰 라이너를 상기 블레이드중 적어도 일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으로서, 상기 각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부의 중간면과 대체로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 영역을 구비하는, 상기 체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의 양 측면에 배치된 중앙 지지 표면 영역 및 2개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을 구비하는 삼각 블레이드이며,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은 상기 주변 지지 표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삼각 블레이드는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대칭축과, 상기 삼각 블레이드의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을 상기 지지 디스크의 상기 중앙 영역에 결합하는 접선방향 제 1 접속층과, 상기 삼각 블레이드의 상기 중앙 지지 표면 영역을 그 각각의 주변 지지 표면 영역에 각각 결합하며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대칭축에 대해 각기 경사져서 배향된 2개의 제 2 접속층을 포함하는 클러치 마찰 휠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KR1019930013374A 1992-07-15 1993-07-15 자동차 클러치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KR100281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208710A FR2693778B1 (fr) 1992-07-15 1992-07-15 Disque porte-garnitures,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FR92-08710 1992-07-15
FR9303193A FR2702811B1 (fr) 1993-03-19 1993-03-19 Disque porte-garnitures pour support de garnitures de frottement,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FR9303193 1993-03-19
FR92-03193 1993-03-19
FR93-07475 1993-06-21
FR9307475A FR2706958A1 (en) 1993-06-21 1993-06-21 Lining backing disc for supporting friction linings,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FR9307475 1993-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440A KR940005440A (ko) 1994-03-21
KR100281773B1 true KR100281773B1 (ko) 2001-10-24

Family

ID=2725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374A KR100281773B1 (ko) 1992-07-15 1993-07-15 자동차 클러치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52783A (ko)
EP (1) EP0579554B1 (ko)
JP (1) JP3510293B2 (ko)
KR (1) KR100281773B1 (ko)
DE (1) DE69301071T2 (ko)
ES (1) ES2082609T3 (ko)
TR (1) TR271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0255B2 (ja) * 1993-03-19 2004-03-22 ヴァレオ 自動車の摩擦ライニングを支持するライニングホルダ板
WO1995000769A1 (fr) * 1993-06-21 1995-01-05 Valeo Disque porte-garnitures, notta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5794754A (en) * 1993-11-09 1998-08-18 Valeo Liner support disc for a clutch friction wheel,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FR2728642B1 (fr) * 1994-11-08 1997-04-04 Valeo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friction d'embra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26618B1 (fr) * 1994-11-08 1996-12-13 Valeo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friction d'embra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42166B1 (fr) * 1995-12-07 1998-01-02 Valeo Procede de decapage chimique d'un disque de support de garnitures de friction, post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et installation comportant un tel poste
FR2743127B1 (fr) 1995-12-27 1998-02-13 Valeo Procede de fixation par collage de garnitures de friction sur un disque de support
FR2745351B1 (fr) * 1996-02-27 1998-04-24 Valeo Disque a garnitures de friction pour embrayage mecanique
US5857551A (en) * 1996-03-19 1999-01-12 Exedy Corporation Clutch disk assembly having cushioning plates and paired friction pads riveted together
FR2753756B1 (fr) * 1996-09-06 1999-01-22 Mecanisme d'embrayage pour embrayage a friction a faible effort de debrayage
FR2758864B1 (fr) 1997-01-28 2000-01-07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en particulier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61432B1 (fr) * 1997-03-27 1999-05-28 Valeo Disque a garnitures de friction pour embrayage mecanique
FR2764015B1 (fr) 1997-05-30 1999-08-06 Valeo Mecanisme d'embrayage pour embrayage a friction
JP2970671B2 (ja) * 1997-11-07 1999-11-0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バンジョウ型継手に用いられるバンジョウ部材のためのプロテクトキャップ及びプロテクトキャップを装着したバンジョウ型継手付ホース
JP2001527192A (ja) * 1997-12-18 2001-12-25 ルーク ラメレン ウント クツプルングスバ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クラッチディスク
FR2787533B1 (fr) 1998-12-21 2001-02-09 Valeo Disque de friction perfectionne, notamment pour un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WO1999039110A1 (fr) 1998-01-28 1999-08-05 Valeo Disque de friction perfectionne, notamment pour un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US6145645A (en) * 1998-07-04 2000-11-14 Borg-Warner Automotive, Gmbh Disk assembly
FR2782138B1 (fr) * 1998-08-07 2001-03-02 Valeo Disque porte-garnitures pour support de garnitures de frottemen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857232C1 (de) * 1998-12-11 2000-01-27 Daimler Chrysler Ag Mitnehmerscheibe
FR2817005B1 (fr) * 2000-11-20 2002-12-27 Valeo Dispositif de fixation par collage de garnitures de friction et procede de fixation
FR2817002B1 (fr) 2000-11-20 2003-01-31 Valeo Disque de fric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garniture le composant
EP1364134B1 (de) * 2001-03-02 2007-08-15 ZF Sachs AG Kupplungsanordnung
FR2860844B1 (fr) 2003-10-13 2006-01-06 Valeo Materiaux De Friction Double embrayage comportant des garnitures de friction collees sur des disques elastiques
US20060231369A1 (en) * 2005-04-15 2006-10-19 Eaton Corporation Clutch disc assembly with direct bond ceramic friction material
US8418829B2 (en) 2006-04-03 2013-04-16 Eaton Corporation Cushioned ceramic driven disc assembly with ceramic friction pads fixed to slotted backer plates
US7815030B2 (en) * 2006-04-03 2010-10-19 Eaton Corporation Key hole slots for cushioned ceramic driven disc assembly incorporating direct bond cushioned ceramic facings
US10436267B2 (en) * 2014-08-08 2019-10-08 Bam Inc. Non-woven, fracture reducing brake rotor preforms and pads
DE102016207627A1 (de) * 2016-05-03 2017-11-09 Zf Friedrichshafen Ag Kupplungsscheibe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68143A (fr) * 1933-12-11 1934-07-31 Borg & Beck Co Perfectionnements aux embrayages à friction
US2078276A (en) * 1934-10-08 1937-04-27 Borg Warner Clutch plate
GB459006A (en) * 1935-02-15 1936-12-31 Borg And Beck Compan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utch plates
GB461594A (en) * 1935-04-25 1937-02-19 Borg & Beck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utch plates
US2195666A (en) * 1939-03-25 1940-04-02 Gen Motors Corp Friction clutch
US2477016A (en) * 1944-12-18 1949-07-26 Dava Corp Clutch plate
US2587837A (en) * 1947-05-10 1952-03-04 George I Goodwin Clutch plate
US2725966A (en) * 1951-11-01 1955-12-06 Dana Corp Friction clutch plates
FR1067727A (fr) * 1951-12-17 1954-06-17 Daimler Benz Ag Embrayage à friction, en particulier embrayage à disques pour voitures antomobiles
US3241644A (en) * 1963-03-11 1966-03-22 Borg Warner Clutch disc
FR1387565A (fr) * 1964-03-06 1965-01-29 Borg Warner Disque d'embrayage
FR2094693A5 (ko) * 1970-06-30 1972-02-04 Ferodo Sa
GB1465913A (en) * 1974-11-08 1977-03-02 British Leyland Uk Ltd Clutch drive plates
FR2370893A1 (fr) * 1976-11-15 1978-06-09 Ferodo Sa Disque porte-garniture et disque de friction le comportant, notamment pour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DE3041102A1 (de) * 1980-10-31 1982-06-09 Kurt 5000 Köln Stahl Traegerplatte fuer scheibenbremseinreibbloecke aus hartkeramik
FR2565305B1 (fr) * 1984-05-30 1989-10-27 Valeo Disque de friction a engagement progressif ameliore, notamment pour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GB8706964D0 (en) * 1987-03-24 1987-04-29 Sheepbridge Sintered Products Friction clutch element
FR2639694B1 (fr) * 1988-11-29 1993-04-09 Valeo Disque porte-garnitures, notamment pour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440A (ko) 1994-03-21
US5452783A (en) 1995-09-26
JPH06185539A (ja) 1994-07-05
DE69301071D1 (de) 1996-02-01
ES2082609T3 (es) 1996-03-16
DE69301071T2 (de) 1996-06-13
EP0579554B1 (fr) 1995-12-20
TR27131A (tr) 1994-11-09
JP3510293B2 (ja) 2004-03-22
EP0579554A3 (ko) 1994-03-30
EP0579554A2 (fr) 199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773B1 (ko) 자동차 클러치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US6021878A (en) Multi-plate dry clutch having hub movement limiting means
US8056694B2 (en) Disc clutch assembly with separating device
US4646900A (en) Friction material and carrier plate assembly
US2448879A (en) Friction clutch plate
US4580673A (en) Clutch disc for automotive clutches
US6305522B2 (en) Clutch disc
JPS61105322A (ja) ねじり振動止め装置
CN106838075B (zh) 特别地用于机动车辆的摩擦盘
GB2289318A (en) Clutch plate
JP3510255B2 (ja) 自動車の摩擦ライニングを支持するライニングホルダ板
CN107420450B (zh) 用于离合器摩擦盘的累进装置和集成有这种装置的摩擦盘
US5224576A (en) Damper disk
US5601173A (en) Liner support disc for supporting friction liners,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US5355985A (en) Clutch friction wheel,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clutch
US5105921A (en) Damper disk
GB2269641A (en) Clutch disc assembly with lining springs
US5794754A (en) Liner support disc for a clutch friction wheel,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US4234068A (en) Torsion damping assembly especially for a friction clutch plate assembly
US5186293A (en) Damper disk
US6267216B1 (en) Friction plat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clutch
US7650975B2 (en) Clutch disk arrangement for a multi-disk clutch
KR100326783B1 (ko) 라이너지지디스크
KR100326785B1 (ko) 라이너지지디스크
US4542813A (en) Frictional clutch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