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783B1 - 라이너지지디스크 - Google Patents

라이너지지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783B1
KR100326783B1 KR1019940704147A KR19940704147A KR100326783B1 KR 100326783 B1 KR100326783 B1 KR 100326783B1 KR 1019940704147 A KR1019940704147 A KR 1019940704147A KR 19940704147 A KR19940704147 A KR 19940704147A KR 100326783 B1 KR100326783 B1 KR 100326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ongue
band
lin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1719A (ko
Inventor
자끄뜨리옹드브리엘
앙드레달비에
지노빌리따
미쉘블라르
Original Assignee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303193A external-priority patent/FR2702811B1/fr
Priority claimed from FR9307475A external-priority patent/FR2706958A1/fr
Priority claimed from US08/091,060 external-priority patent/US5452783A/en
Priority claimed from FR9313341A external-priority patent/FR2712945B1/fr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filed Critical 발레오
Priority claimed from PCT/FR1994/000297 external-priority patent/WO1994021934A1/fr
Publication of KR95070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1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2013/642Clutch-plates; Clutch-lamellae with resilient attachment of frictions rings or linings to their supporting discs or plates for allowing limited axial displacement of these rings or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자동차용 클러치 마찰 휠 구성에 적합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중앙부(16)와, 상기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같은 평면내 일련의 반경방향 설부재(671)를 원주방향으로 변형하는 반경 블레이드(672)로 나누어진 외주부를 구비하고, 굽힘부(421)에 의해 연결된 중앙 지지 영역(423)은 하나의 중앙 지지영역(423)과 상기 영역(423)의 양 측면상에 두 외주 지지영역(422)을 갖고, 상기 외주영역(422)은 상기 중앙영역(423)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되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설부재(671)는 접속 굽힘부(621)에 의해 블레이드(672)의 중앙영역을 향해 축방향으로 오프

Description

라이너 지지 디스크
본 발명은 마찰 라이너를 지지하기 위한 라이너 지지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 마찰 휠 구성에 적합하고, 중앙부와, 상기 마찰 라이너가 수용되며 각기 풋(foot)을 통해 상기 중앙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반경방향 블레이드로 분리되어 있는 외주부와, 상기 중앙부의 평균 높이의 평면(mean plane)에 거의 평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마찰 라이너와 접촉하여 마찰 라이너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을 구비하는 유형의 라이너 지지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어떤 클러치 마찰 휠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외주부의 양 측면상에 놓인다.
작동시 클러치 마찰 휠은 저더(judder)라 통칭되는 유쾌하지 않는 진동(disagreeable vibration)을 발생하기 쉽다. 이런 저더는 주행중 기어변속시의 고 토오크에서 만큼 주차 조작 동안의 저 토오크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 지지대역은 때때로 필요한 만큼 크지 않아서, 동일 블레이드의 두개의 지지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동내에 마찰 라이너가 끼워지는 임베딩 효과(embedding effect)를 발생시킨다. 상기 임베딩 효과는 유연성(flexibility) 손실을 가져오며, 이런 유연성 손실은 최대 부하에서 저더 효과를 부분적으로 가중시킨다.
게다가, 특히 클러치 압력판과의 접촉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매번 클러치가 결합할 때마다, 마찰 라이너는 압력판(apressure plate)과 반동판(a reaction plate) 사이에 점진적으로 파지된다.
마찰에 의한 발열은 필연적으로 미국 특허 출원 제 2 902 130 호에 예를들어 기술된 바와 같이 압력판을 원뿔형상으로 변형시키고, 비록 변형 정도는 작지만 반동판도 마찬가지로 변형시킨다. 그 결과, 이들 압력판이나 반동판으로부터 압력의 영향을 받는 마찰 라이너 영역이 조립체의 축을 향해 점진적으로 오프넷되어, 상기 마찰 라이너를 연속적으로 비균일 마모시키며 그 효율을 저하시키며(즉 토오크 전달이 감소됨) 저더 효과조차 발생시킨다.
이런 결점을 극복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 0 579 554 호에는 중앙 지지대역과, 상기 중앙 지지대역의 양 측면상에 두개의 외주 지지대역을 갖는 삼각대형(tripod type)의 블레이드가 제공되어 있다.
중앙 지지대역은 외주 지지대역에 대해, 그리고 중앙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일련의 텅이 원주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된다.
삼각대형 블레이드는 그 중앙대역에 마찰 라이너중 하나(이 경우, 클러치의 압력판과 결합되는 것)를 고정하는 작용을 하며, 텅은 다른 마찰 라이너(이 경우, 클러치의 반동판과 결합되는 것)의 고정 수단으로서 작용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텅은 원뿔형을 취하려는 반동판의 경향에 따를 수 있는 충분한 탄성을 가지며, 삼각대형 블레이드는 원뿔형을 취하려는 압력판의 경향에 따르며 넓은 접촉 표면을 갖는 긴 원주방향 길이를 갖는다.
또한, 임베딩 효과 및 저더 효과가 감소되어, 블레이드가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마찰 라이너가 압력판과 반동판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그리고 탄성적으로 파지될 때, 분리형태일 수도 있고 압력판과 결합될 수도 있는 마찰 라이너는 그 외주 지지대역을 경유하여 다른 마찰 라이너에 반동력(reaction force)을 제공하기 때문에, 충분히 지지된다.
이러한 지지 효과는 분리형태일 수도 있고 텅이 달려 있을 수도 있는 다른 마찰 라이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텅에 대면하는 라이너의 지지대역이 천천히 덜 마모되며, 이 결과에 의해 라이너의 마모가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런 결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상기 텅중 적어도 일부가 접속 굽힘부(a connecting bent portion)에 의해 블레이드의 중앙 대역을 향해 축 방향으로 오프셋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 라이너가 탄성 압축하는 동안, 텅과 결합된 마찰 라이너는 새로운 지지 대역에 의해 발생된 반동력을 받게 되어, 안정대역(stabilizing zone)이 형성되며, 이 안정대역은 다른 마찰 라이너와 결합하는데 적합하다.
라이너의 텅이 더 균일하게 마모되기 때문에, 임베딩 효과가 감소된다.
또한, 블레이드와 결합된 라이너의 마모 효과도 텅의 지지대역이 추가 지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감소한다. 이 다른 라이너의 마모도 더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보충 지지대역(supplementary support zone)은 텅의 자유단의 높이에, 즉 텅의 외주에 따라 배열될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이 지지대역은 슬롯에 의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고, 이 지지대역은 내향으로 또는 외향으로 배향되어진다.
물론, 두개의 보충 지지대역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데, 하나는 텅의 자유단에 제공되며, 다른 하나는 그 보다 내측에 제공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텅은 삼각대형 블레이드와 거울상을 이룰 수도 있으며, 두개의 보충 외주 지지대역을 가질 수도 있다. 가능한 이들 모든 장치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보충 지지를 위해 삼각대형 블레이드중 적어도 일부상에 마찰 라이너를 접착제로 고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당해 마찰 라이너는 상기 블레이드의 중앙 대역 전체상에 직접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관성을 휠씬 더 감소시키며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상당히 고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당해 마찰 라이너는 리벳 결합이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그 어떤 두께의 증가가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효 두께만을 갖는다. 또한, 리벳 구멍의 수가 줄어 들게 되어서, 클러치 마찰 휠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균열(fracture)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유럽 특허 출원 제 0 579 55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굽힘부내로의슬롯에 의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삼각대형 블레이드의 중앙대역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 종방향 굽힘부에 의해 라이너에 제공된 지지대역과 고정대역을 훨씬 넓힐 수 있다. 다른 라이너는 리벳팅에 의해 반경방향 텅에 고정될 수 있지만, 마찰 휠의 관성을 더 감소시키기 때문에, 다른 마찰 라이너는 물론 상기 텅상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과 정반대로, 하나의 라이너를 리벳텅에 의해 삼각대형 블레이드상에 고정하고 다른 라이너를 접착제로 상기 형상에 고정할 수 있다. 두개의 조합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전술된 방식으로 삼각대형 블레이드의 중앙대역중 적어도 약간의 길이를 연장시켜, 리벳중 하나가 유럽 특허 출원 0 579 55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내에 고정되는 2열의 리벳에 의해 마찰 라이너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텅내에 2열의 리벳을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특히 당해 라이너가 접착제로 고정될 때, 삼각대형 블레이드의 원주대역 또는 중앙대역에 보충 지지대역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 리벳 구멍이 생략되기 때문에, 상기 보충 지지대역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고 박리(peeling)의 발생을 줄여 더욱 안정된 결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텅은 보충 지지대역이 달린 원주방향 폭(reduced circumferential width)이 좁은 자유단을 가진다. 이것은 텅의 보충 지지대역이 양호한 유연성을 갖게 하며, 삼각대형 블레이드 외주 지지대역의 원주방향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텅은 그 외주를 향해 테이퍼져,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와 연결된 루트대역(root zone)이 확대되어, 상기 디스크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또한 텅의 보충 지지대역의 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개시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 지지 디스크가 설치된 클러치 마찰 휠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상기 라이너 지지 디스크가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3-3 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4-4 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 5 도 내지 제 10도, 제 12 도는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 4 도에 유사한 확대 단면도.
제 11 도는 제 10 도의 11-11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13 도는 제 12 도의 13-13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이들 도면은 자동차용 클러치 마찰 휠의 일부분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도시한다.
이 마찰 휠은 이것과 일체로 된 중앙부(16)와, 반경방향 블레이드(672)로 분리된 외주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경방향 블레이드(672)는 번갈아 외주부의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일련의 반경방향 텅(671)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의 평면내 배열되어 있다.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 0 579 55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레이드는 종방향 풋(longitudinal foot)(480)을 통해 중앙부(16)에 연결되고, 블레이드는 한개의 중앙 지지대역(423)과 두개의 외주 지지대역(422)을 갖는다.
중앙 지지대역(423)은 중앙부에 대해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평면내의 외주 지지대역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넓은 중앙 지지대역(423)은 마찰 라이너(132)의 고정 수단으로 작용을 하는 한편, 텅(671)은 다른 마찰 라이너(131)의 고정 수단으로 작용을 한다. 결국, 블레이드(672)의 텅(671)과 중앙 지지대역(423)에는 상기 라이너(131, 132)를 이 실시예에서는 리벳(47)(제 1 도 참조)에 의해 라이너 지지 디스크에 고정하기 위해서 공통 피치원(common pitch circle)상에 이격된 구멍(19)이 형성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구명(19)은 공통 피치원상에 놓이지 않고 지그재그형으로 규정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제 고정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고정 구멍을 제거시켜, 이후에 기술되는 방식으로 블레이드의 강도를 개선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너(131, 132)가 구비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이 실시예에서 클러치 마찰 휠의 일부분이며, 이 클러치 마찰 휠은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수단(5)과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마찰수단(20)의 작동에 대해 서로 이동하도록 장착된 두개의 동축 부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런 마찰 휠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유럽 특허 출원 제 0 579 554 호와, 미국 특허 제 5 014 842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부품중 하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와 함께 두개의가이드 링(1, 2)을 포함하는 한편, 동축 부품중 다른 하나는, 본 경우에 있어서는, 특히 미국 특허 제 5 014 842 호의 제 3 도에서 볼 수 있는 해제 커플링 수단(loose coupling means)에 의해, 또는 시이밍(seaming)(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허브(3)에 고정된 댐퍼판(4)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들 수단은 허브(3)의 외주 및 댐퍼판(4)의 내주에 형성된 사다리꼴 치형부(trapezoidel teeth)를 포함하는데, 상기 치형부는 서로 맞물리며 치형부 사이에 틈새를 갖는다.
저 강성 스프링(low stiffness springs)(도시하지 않음)은 그 단부 각각이 허브(3)와 댐퍼판(4)의 슬롯내에 고정된 컵부재(cup members)와 스프링 단부에서 결합하여 상기 요소들 사이에 탄성 커플링(elastic coupling)을 제공한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가 댐퍼판(4)에 고정되고, 이 댐퍼판이 허브(3)에 대해 회전가능한 반면, 가이드 링을 허브(3)에 고정시켜 구조체를 정반대로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댐퍼판(4)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 댐퍼판 자체는 허브(3)에 고정되고, 클러치 마찰 휠은 강성형(rigid type)이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그 중앙부(16)에서 가이드 링(1)과 접속하고, 댐퍼판(4)내 형성된 개구(aperture)(7)를 통해, 틈새로 연장된 스페이서(spacer)에 의해 가이드 링에 고정된다.
상기 스페이서(8)는 댐퍼판(4)의 양 측면상에 배열된 가이드 링(1, 2)에 서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수단(5)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이 코일 스프링은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가이드 링(1, 2)과 댐퍼판(4)내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윈도우(windows)내에 쌍으로 설치된다.
마찰 수단(20)은 댐퍼판(4)과 링(1)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재된 마찰 링과, 가이드 링(2)에 형성된 개구와 결합하는 축방향 러그에 의해 상기 가이드 링(2)상에 장착되어 가이드 링(2)과 함께 회전하는 트러스트 링을 포함한다.
스프링은 링(2)을 지탱하고 댐퍼판(4)과 접촉하는 트러스트 링을 가압한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중앙부(16)의 양측면상에 배면끼리 대면하는(back-to-back) 두개의 환상 마찰 라이너(131, 132)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마찰 라이너는 유기 조직형(organic type)이며,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이며, 케블라(KEVLAR) 등의 유리 섬유로 보강된다.
클러치에 있어서, 라이너(131, 132)는 클러치의 압력판과 반동판(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통상적으로 파지되고, 클러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크랭크 샤프트에 고정되어 그와 함께 회전하는 한편, 허브(3)가 그 스플라인 내경(splined internal bore)을 통해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에 연결되어 입력 샤프트와 회전한다.
클러치의 해제 작동동안 클러치의 해제 위치에서 마찰 라이너(131, 132)가 해제되며, 라이너들은 상기 압력판과 반동판과 접촉하지 않는다.
클러치가 재결합할 때, 라이너(131, 132)는 상기 판들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탄성적으로 파지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점진적인 파지 동작(gripping action)은 주로 사다리꼴 블레이드(672), 특히 유연성 외주 지지대역(422)에 기인한다.
상기 블레이드(672)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각기 3개의 평면 지지대역(421,422, 423)을 갖는다.
편평한 중앙 지지대역(423)은 압력판과 결합되는 마찰 라이너(132)와 접촉하고, 상기 라이너(132)의 고정부로서 기능을 한다. 이 중앙 지지대역(423)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외주를 향해 폭이 좁아진다. 따라서 그 내주가 폭이 더 넓다.
외주 지지대역(422)은 중앙 지지대역(423)의 양측으로 블레이드(672)의 외주에 놓인다. 이 지지대역의 형상은 거의 삼각형이고 경사 굽힘부(421)를 통해 중앙 지지대역(423)에 결합되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 블레이드(672)의 반경방향의 대칭축에 대해 대칭이다. 이들 굽힘부(421)는 상기 반경방향 축에 대해 기울어져 연장되고 외주 지지대역(422)과 중앙 지지대역(423) 사이에 축방향 오프셋을 제공한다.
상기 대역(422, 423)들은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지만 서로 평행을 이룬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 지지대역(422)은 클러치의 반동판과 결합하는 마찰 라이너(131)와 접촉하도륵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주 지지대역(422)은 중앙부(16)의 평면내에서 연장된다.
중앙 지지대역(423)은 접선방향으로 배향된 굽힘부(480), 또는 종방향 굽힘부를 통해 중앙부(16)에 연결되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부(16)는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 축에 대해 직각을 이룬다. 굽힘부(480)는 여기서 블레이드의 반경 방향의 대칭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연장된다. 이 경사진 굽힘부(480)는 블레이드의 풋으로 구성되고, 중앙부(16)에 대해 중앙 지지대역(423)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게한다.
따라서, 라이너(131, 132)가 압축될 때, 외주 지지대역(423)은 축방향으로 변형된다. 종방향 굽힘부(480)의 폭이 크므로 매우 강성이며, 중앙 지지대역(423)은 풋(480)과 접하는 두개의 내측 대역을 갖는다. 지팡이형 슬롯(cane shaped slots)(24)이 블레이드(672)와 텅(671)을 분리한다. 이들 슬롯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외주에서 개방되고, 굽힘부(480)와 연결되는 C자형 폐쇄 내측 단부(C-shaped closed inner end)를 갖는다.
블레이드(672)는 원주방향으로 기다랗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레이드는 45°각도로 서로 분리되며, 블레이드(672)의 대칭 축과 텅(671)의 대칭 축 사이, 즉 두개의 구멍(19) 사이에는 22° 30'의 각도가 존재한다. 따라서 블레이드(672)는 두개의 텅(671)에 의해서 규칙적으로 그 측면이 접하며, 구멍(19)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텅(671)은 원주방향으로 길이가 짧으며, 반경방향으로 길이가 길어 유연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유형의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상기 텅(671)중 적어도 일부가 접속 굽힘부(621)에서 삼각대형 블레이드의 중앙 지지대역(423)을 향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적어도 하나의 보충 지지대역(6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라이너(131, 132)가 압축될 때, 상기 보충 지지대역(622)은 라이너(132)와 접촉하여, 반동력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이 보층 지지대역(622)은 안정대역(stabilizing zone)[본 경우, 중앙 지지대역(423)의 평면내에서 연장함]을 형성하는데, 이는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경사 굽힘부(621)에 기인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보충 지지대역(622)은 중앙 지지대역(423)보다 약간 뒤에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라이너(131)는 적절히 편평하게 유지된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는, 보충 지지대역이 텅(671)의 자유단, 즉 텅의 외주에 형성된다. 텅(671)은 테이퍼진 형상이고, 그 중앙부(16)와 연결된 텅의 루트 대역은 상술한 보충 지지대역(622)으로 구성된 외주보다 폭이 더 넓고, 텅의 외주는 블레이드(672)의 외주와 동일 원주상에 놓인다.
따라서 텅(671)은 라이너(131)를 지지하고 구멍(19)에 의해 라이너(131)를 고정하기 위한 일체형 주표면(623)과, 반경방향 접속 굽힘부(621)와, 보충 지지대역(622)을 갖는다. 굽힘부(621)의 깊이는 지지대역(622)의 깊이보다 깊다. 이들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텅(671)은 탄성을 갖는 유연한 부재이다. 이러한 테이퍼는 표면(621, 622)에 탄성을 제공한다.
텅(671)의 자유단(622, 621)의 원주방향 길이는 짧아져, 보충 지지대역(622)을 더 유연하게 하며, 이 지지대역은 디스크 외주의 두개의 외주 지지대역(422)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이것은 외주 지지대역(422)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찰 라이너(131, 132)가 적절하게 평행한 평면내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그 외주에 넓은 지지대역을 가지며, 이 지지대역은 가열 가압등으로 기계가 멈추는 시징 효과(seizing) 및 저더링 효과(judderingeffect)를 감소시킨다. 라이너 지지 디스크, 즉 클러치 마찰 휠은 이처럼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원뿔형이 되려는 압력판과 반동판의 경향에 따른다. 라이너 마모의 분포가 훨씬 향상된다.
굽힘부(480, 621)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에 적절한 안정성을 제공하고, 압력판 및 반동판이 마찰 라이너와 적절한 접촉을 이를 수 있게 하며, 마찰 라이너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충 지지대역(622)의 깊이는 외주 지지대역(422)의 깊이보다 얕다. 굽힘부(621)의 깊이와 지지대역(622)의 깊이는 경사진 외주 지지대역(422)의 깊이와 거의 같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추구되는 것은 보충 지지대역(622)이 안정대역을 구성하도록 하는 보충 적용점과 유연성이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굽힘부(621)의 길이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보충 지지대역(622)의 강성을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렇게 하여 텅의 외주는 블레이드(672)의 외주의 원주보다 작거나 큰 직경을 갖는 원주를 갖게 연장될 수 있다.
클러치 마찰 휠의 양호한 평형상태(equilibrium)와, 그 클러치 마찰 라이너의 양호한 평탄함(flatness)은 특히 고정구멍(19)의 등간격과, 텅(671)과 블레이드(672)의 대칭 축상의 고정구멍(19)의 위치에 기인한다.
이런 장치 제조가 간단하다는 것을 또한 주목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프레스 도구를 반경방향으로 변위하게 제조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디스크를 다른 깊이의 블레이드와 텅을 갖게 제조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치가 결합하는 위치[라이너(131, 132)가 부착됨으로써]에서, 두개의 라이너(131, 132)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여 블레이드(672)는 완전히 압착되지 않으며, 상기 라이너는 압력판과 반동판의 형상에 적합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삼각대형 블레이드는, 예컨대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 0 579 55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제 5 도에서, 삼각대형 블레이드(971)는 그 외주의 폭이 감소된 중앙 지지대역(922)을 가지며, 이 중앙 지지대역은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해 경사진 굽힘부(921) 및 상기 대칭 축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종방향 굽힘부(924)에 의해 중앙부(16)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중앙대역(922)은 종방향 굽힘부(924)내에 형성된 U자형 중앙 슬롯(926)에 의해 중앙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 연장부는 거의 러그(925)의 형상 또는 텅의 형상을 이루며, 이 러그는 중앙대역(922)에 결합하는 루트부를 갖고, 슬롯(926)의 수직단부는 원형 구멍으로 개방된다.
러그(925)는 조립체의 축을 향해 배향되고, 라운드형 자유단부를 갖는다.
외주 지지대역(923)은 거의 중앙부(16)의 평면내에 존재한다. 이 외주 지지대역(923)은 중앙대역(922)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돌출하여, 블레이드(971)는 거의 T자형을 이룬다.
이런 형상은 반경방향 중간 대역내의 명의 원주방향 폭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들 텅(972, 973)은 반경방향 중앙부가 자유단보다 넓으며 또한중앙부(16)와 결합되는 대역의 폭보다 더 넓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반경방향 텅(972, 973)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다. 이들 텅은 원주방향으로 블레이드(971)와 규칙적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텅(972)의 자유단은 원주방향 폭이 감소되며, 접속 굽힘부(941)를 통해 텅의 주표면에 결합된 지지대역(922)과 유사한 형태의 보충 지지대역(942)을 갖고, 지지대역(922)의 중앙 대역을 향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이 접속 굽힘부(941)는 유연성이 좋도록 대역(942)의 높이에서 일정한 폭을 갖는다. 이 굽힘부(941)는 그 기저부의 폭이 넓어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보충 지지대역(942)은 블레이드(971)의 지지대역(922)의 평면내에 위치된다. 상기 보충 지지대역(942)은 물론 지지대역(922)에 대해 축방향으로 약간 뒤에 위치할 수 있다.
텅(973)는 자유단에 굽힘부(931)를 통해 텅(973)의 주표면에 결합된 지지대역(932)을 갖는다.
여기서 중앙대역(922)의 평면내에 존재하는 굽힘부(931) 및 지지대역(932)은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다양한 폭의 굽힘부(941, 931)는 제 2 도의 굽힘부(621)보다 깊이가 낮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개의 세트의 텅 때문에, 클러치가 결합하는 동안 라이너는 적절히 지지되도록 보충 지지대역(942)과 지지대역(932) 사이에 축방향 오프셋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부(16)는 가이드 링(1), 또는 경우에 따라서 댐퍼판(4)을 중앙부(16)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119)를 갖는다.
슬롯(926)은 굽힘부(924)의 중앙에 형성되어, 굽힘부를 둘로 분리하여 블레이드(971)의 점진적인 파지를 향상시킨다. 이 굽힘부는 슬롯이 존재하더라도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블레이드(971)로부터 텅(972, 973)을 분리하는 슬롯(324)은 상기 텅의 중앙부가 넓어지는 것에 기인하여 곡선형(nonstraigt shape)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너(131, 132)는 텅(972, 973)의 주표면과 블레이드(971)의 중앙대역(922)상에 접착제에 의해 직접 고정된다. 러그 연장부(925)는 접착하기에 바람직하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이들 모든 구성에 의해, 라이너(131, 132)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도 내지 제 4 도의 실시예와 같이 두꺼운 리벳(47)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라이너(131, 132)는 필요한 만큼의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클러치 마찰 휠의 관성이 이처럼 감소되어, 클러치가 해제되는 동안, 허브(3)가 그 입력 샤프트상에 장착된 기어박스의 기어를 보존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블레이드와 텅은 리벳을 수용하는 구멍이 없기 때문에 강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로부터, 예를들어 텅(972)에, 보충 지지대역(944)을 형성하여, 이 보충 지지대역(944)이 중앙부(16)의 평면내의 텅(972)의 주표면과 보충 지지대역(944)을 결합시키는 굽힘부(945)에 의해 중앙대역(922)을 향해 축방향으로 오프셋 되게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 보충 지지대역은 슬롯(946)에 의해서 제공되며, 이 슬롯은 거의 V자형이고 슬롯(925)과 반대로 반경방향 내향으로 배향된다.
따라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배향된 텅 또는 러그(944, 945)는 텅(972)의 반경방향의 대칭축에 대해 대칭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물론, 보충 지지대역(925)의 제공에 의해 보충 구멍이 리벳팅에 의해 라이너(132)를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6 도에서, 각각의 텅(1072)과 각각의 삼각대형 블레이드(1071)는 라이너(131, 132)용 고정부재를 관통하는 두개의 구멍(19)을 갖는다.
이들 구멍은 반경방향 텅(1072)과 블레이드(1071)의 반경방향의 대칭축상에 반경방향으로 정렬된다.
구멍(19)중 하나가 U자형 슬롯(1026)으로 규정된 중앙대역의 연장부(1025) 대역에 배치되며, 이 U 자형 슬롯은 블레이드(1071)의 종방향 굽힘부(1024)의 중앙에 형성된다. 텅 또는 러그의 형상인 연장부(1025)는 블레이드(1071)의 중앙 지지대역(1022)과 동일 높이의 평면내에 존재하며, 이 지지대역(1022)은 굽힘부(1021,1024)에 의해 중앙대역(16)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며, 블레이드(1071)의 반경 방향의 대칭축에 대해 경사진다.
굽힘부(1021)는 외주 지지대역(1023)에 거의 평행하게 결합된다.
외주 지지대역(1023)은 거의 중앙부(16)의 평면내에 존재한다.
텅(1072)의 형상은 블레이드(1071)의 형상과 거의 유사하며, 단지 주부분이 중앙부(16)와 동일한 평면내에 존재한다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반경방향 텅(1072)은 그 외주에 블레이드(1071)의 중앙 지지대역(1022)과 거의 같은 평면내에 높이는 두 개의 보충 외주 지지대역(1122)를 갖는다.
이들 외주 지지대역(1122)은 굽힘부(1121)를 통해 결합되고, 텅(1072)의 반경방향 대칭축과, 상기 텅의 주표면에 대해 경사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블레이드(1071)는 외주의 폭이 넓어지고, 텅(1072)은 외주의 원주방향 길이가 넓어진다.
텅 및 삼각대형 블레이드는 물론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예컨대 구멍(229)에 의해 가이드 링(1) 또는 댐퍼판(4)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 7 도에 있어서, 삼각대형 블레이드(722)는 반경방향 텅(771)과 원주방향으로 번갈아 존재하고, 제 6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블레이드(722)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텅(771)의 내주(316)에는 두개의 구멍(229)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리벳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가이드 링(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텅(771)은 그 중앙부에 보충 지지대역(1125)을 갖는다.
이 지지대역(1125)은 블레이드(772)의 중앙대역과 동일 평면내 존재하고, 텅(771)의 주평면(1128)에 굽힘부(1124)를 통해 결합된다.
이 모든 것은 거의 V자형인 슬롯(1126)에 의해 이루어진다.
데이퍼진 지지대역(1125)을 갖는 굽힘부(1124)는 대체로 제 5 도의 실시예와 반대로, 조립체의 축을 향해 배향된 텅 또는 러그를 구성한다.
텅(772)은 조립체의 축을 향해, 그 종방향 굽힘부를 지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구멍(229)의 도움으로 가이드 링에 고정될 수 있다.
제 8 도를 참조하떤, 텅(771)과 블레이드(772)는 물론 그 기저부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 경우에, 각각의 블레이드(771)는 일체형 스트립(116)과 일체 형성되어, 거의 환상 섹터(angular sector)의 형상을 갖는다.
스트립(116)은 하나의 블레이드(771)를 하나의 텅(772)에 고정하고, 이 경우 리벳팅에 의해 가이드 링(1) 또는 댐퍼판(4)에 고정하기 위한 3개의 고정 구멍(229)을 갖는다.
제 7 도 및 제 8 도에 있어서, 그 중앙대역이 조립체의 축을 향해 배향된 거의 V자형 러그(1025, 1124, 1125)를 갖기 때문에, 블레이드(772) 및 텅(771)은 서로 거울상(mirror images)을 이룬다.
러그(10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텅(772)의 종방향 굽힘부내에 형성된다.
제 9 도를 참조하면, 중앙부를 그 원주방향 단부 각각에서 귀형부(ear)를 갖는 스트립(226)에 의해 분리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귀형부는 구멍(229)이 제공되어, 텅과 연속 블레이드(772) 사이에서 겹친다.
스트립(22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229)을 통해 리벳팅에 의해 가이드 링(1)에 고정된다.
제 10 도 및 제 11 도를 참조하면, 블레이드(1371)의 중앙대역(1322)은, 경사 굽힘부(1321)와, 종방향 굽힘부(1325)와 두개의 외주 지지대역(1322, 1324)을갖고, 반경방향 텅(1372, 1373)의 주표면과 같은 평면내에서 연장된 두개의 보충 지지대역(1327)을 달고 있을 수도 있다.
이 외주 지지대역(1327)은 굽힘부(1325)와 동일 정면이며, 종방향 굽힘부(1326)를 통해 중앙대역(1322)에 연결된다.
따라서, 두개의 텅 또는 러그(1326, 1327)가 형성되고, 이 요소들은 조립체의 축을 향해 배향되고 종방향 굽힘부(1325)의 양 측면상에 놓여진다.
텅(1327, 1373)은 서로 분리되며, 텅(1373)의 형태는 제 2 도에 도시된 텅(671)과 유사한 형상을 갖고, 그 외주의 폭이 감소되어, 삼각대형 블레이드(1371)가 비대칭이 되게 하며, 외주 지지대역(1324)은 텅(1372)에 인접한 다른 외주 지지대역보다 큰 지지표면을 갖는다.
제 12 도 및 제 13 도를 참고하면, 물론 상기 블레이드(1471)의 외주 지지대역내에 보충 지지대역(1425)을 제공할 수 있다.
보충 지지대역(1425)은 중앙대역(1422)과 동일 평면내에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대역(1422)은 경사 굽힘부(1421)를 통해 텅(1472)의 주표면과 동일 평면내에서 외주 지지대역(1423)에 결합된다.
이 외부 지지대역(1423)은 굽힘부(1424)를 통해 보충 지지대역(1424)에 연결되며, 이 굽힘부는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해 경사진다. 상기 보충 지지대역(1425)은 텅(1472)의 보충 지지대역(622)과 동일 평면내에 존재한다.
또한 이 텅(1472)은 제 7 도 내지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굽힘부(1426)를 통해 텅(671)의 주표면에 결합되는 보충 지지대역(1427)을 갖는다.
이 모든 것은 거의 V자형인 슬롯(1428)으로 규정된다. 따라서 지지대역(1427)은 중앙대역(1422)과 동일 평면내 존재한다.
이런 모든 보충 대역에 의해서, 마찰 라이너는 양호한 안정성을 얻고, 이 것은 마모를 감소시키는데 바람직하다.
제 7 도 내지 제 9 도에 있어서, 물론, 마찰 라이너(131, 132)를 텅과 블레이드(771, 772)에 접착제로 고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마찰 라이너(131, 132)는 분리될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각 라이너는 연속적인 지지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유럽 특허 출원 제 0 579 554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지 돌출부는 마찰 패드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된 개구를 갖는다.
블레이드의 피트는 접선방향의 굽힘부(480)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피트 단부는 굽힘부를 마찰 휠의 중앙부에 연결한다.
제 2 도의 파단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부(621)와 보충 지지대역(622)은 반드시 대칭일 필요는 없고, 하나의 형은 다른 것과 비대칭으로 번갈아 나타날 수도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르면, 물론 반경방향 텅의 외주에서 지지대역을 제거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5 도에 있어서, 굽힘부(941)와 대역(942)을 제거할 수 있고, 대역(944)과 슬롯(946)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2 도에 있어서, 지지대역(622)과 굽힘부(621)는 제거될 수도 있고 대역(1427)은 보유될 수도 있다. 또한 반대방향으로 배향된 두개의 프레스 형성된개구와 보충 지지대역을 지지하는 접속 굽힘부를 결합할 수 있다.
모든 조합이 가능하다.
제 7 도 내지 제 9 도에 있어서, 3개의 보충 지지대역, 즉 부분(1125)과 텅(771)의 두개의 외주 지지대역은, 안정성이 상당히 바람직하고 라이너(131, 132)의 마모가 개선되도록 삼각도법으로 주의깊게 이격될 수 있다.
외주 지지대역을 중앙대역에 연결하는 경사 굽힘부는 물론 블레이드의 반경 방향의 대칭축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것은 중앙대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보충 지지대역은 텅의 반경방향의 대칭축상에 배열될 필요는 없다. 약간의 오프셋이 존재할 수 있다.
물론 블레이드(772)의 러그(1025)는 제 7 도의 러그(1125, 1124)로 대체될 수 있어서, 텅(771)을 향해 오프셋된 보충 결합대역을 형성한다.

Claims (11)

  1. 자동차용 클러치 마찰 휠 구성에 적합한 라이너 지지 디스크로서, 중앙부(16)와, 상기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와 동일 평면내의 일련의 반경방향 텅(671)과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반경방향 블레이드(672)로 분할된 외주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672)는 굽힘부(421)에 의해 연결된, 중앙 지지대역(423)과, 상기 중앙 지지대역(423)의 양 측면상의 두개의 외주 지지대역(422)을 갖고, 상기 외주대역(422)은 상기 중앙 지지대역(423)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유형의 라이너 지지 디스크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상기 텅(671)은 접속 굽힘부(621)에 의해 블레이드(672)의 중앙대역을 향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역(6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역(622)이 상기 텅(671)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텅(671)은 폭이 원주방향으로 감소된 자유단(622, 6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텅은 그 외주를 향해 테이퍼진 형상을 가져서,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16)에 연결된 루트 대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텅(671)이 지팡이형 슬롯(B4)에 의해 블레이드(672)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역(622)은 상기 외주대역(422)보다 깊이가 작으며 외주대역 접속 굽힘부(621) 보다 깊이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역(944, 1125, 1427)은 슬롯(946, 1126, 1428)에 의해 상기 텅의 주표면에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보충 지지대역과 상기 텅의 주표면과 결합된 굽힘부에 의해 규정된 러그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텅은 그 자유단에 접속 굽힘부(621)에 의해 블레이드의 지지대역을 향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지지대역(6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텅(1072)은 그 외주에 두개의 보충 지지대역(1121)을 갖고, 이 보충 지지대역은 두개의 굽힘부(1121)에 의해 텅(1072)의 주표면에 결합되고, 텅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라이너는 반경방향 블레이드와 텅상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지지 디스크.
KR1019940704147A 1993-03-19 1994-03-18 라이너지지디스크 KR100326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303193 1993-03-19
FR9303193A FR2702811B1 (fr) 1993-03-19 1993-03-19 Disque porte-garnitures pour support de garnitures de frottement,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FR9307475A FR2706958A1 (en) 1993-06-21 1993-06-21 Lining backing disc for supporting friction linings,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FR9307475 1993-06-21
US08/091060 1993-07-14
US08/091,060 US5452783A (en) 1992-07-15 1993-07-14 Liner support disc,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clutch
EP93401832.6 1993-07-15
EP93401832A EP0579554B1 (fr) 1992-07-15 1993-07-15 Disque porte-garnitures,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FR9313341A FR2712945B1 (fr) 1993-11-09 1993-11-09 Disque porte-garnitures pour disque de friction,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FR9313341 1993-11-09
PCT/FR1994/000297 WO1994021934A1 (fr) 1993-03-19 1994-03-18 Disque porte-garnitures,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719A KR950701719A (ko) 1995-04-28
KR100326783B1 true KR100326783B1 (ko) 2002-11-30

Family

ID=6664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4147A KR100326783B1 (ko) 1993-03-19 1994-03-18 라이너지지디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7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719A (ko) 199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773B1 (ko) 자동차 클러치용 라이너 지지 디스크
US5092820A (en) Torsion damping device with friction pads, in particular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00052595A (ko) 토크 전달 장치
US4646900A (en) Friction material and carrier plate assembly
KR19990063090A (ko) 클러치 디스크
MXPA06014546A (es) Dispositivo de friccion para un embrague, en particular de vehiculo automotor.
US7278523B2 (en) Dual clutch transmission with axially parallel clutches having an improved backing plate assembly
KR100301264B1 (ko) 다이어프램클러치기구
US5522490A (en) Liner support disc for supporting friction liners,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JP3498358B2 (ja) 摩擦クラッチのプレッシャプレート
US6354419B1 (en) Clutch mechanism with wear take-up device comprising balancing means
JP3427384B2 (ja) 自動車用摩擦ディスク
JPS61103015A (ja) クラツチカバー及びクラツチカバー組立体
US5794754A (en) Liner support disc for a clutch friction wheel,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KR100326783B1 (ko) 라이너지지디스크
JP3510289B2 (ja) 自動車クラッチ用のクラッチ摩擦板
US4781280A (en) Friction clutch
GB2269641A (en) Clutch disc assembly with lining springs
KR100310562B1 (ko) 자동차용클러치다이어프램
KR101032216B1 (ko) 마찰 디스크 및 클러치
KR20080018878A (ko) 클러치 디스크
KR100345426B1 (ko) 클러치마찰휠용라이너지지디스크
KR100326785B1 (ko) 라이너지지디스크
US5934434A (en) Disk with friction liners for a mechanical clutch
US20040104093A1 (en) Pressure force transmission plate for a friction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