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328B1 -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화상기 - Google Patents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화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328B1
KR100280328B1 KR1019980039659A KR19980039659A KR100280328B1 KR 100280328 B1 KR100280328 B1 KR 100280328B1 KR 1019980039659 A KR1019980039659 A KR 1019980039659A KR 19980039659 A KR19980039659 A KR 19980039659A KR 100280328 B1 KR100280328 B1 KR 100280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mage
unit
stat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869A (ko
Inventor
이춘원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1019980039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0328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6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only episcopic pro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 화상기에 관한 것으로, 조작부를 작동시키면, 제어부는 입력되는 조작부의 신호 상태를 판단하여, 출력 화면의 선택 영역을 설정된 단위만큼 가감시키면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는 이미 설정된 색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영역에는 정상적인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그로 인해, 사용자가 임의로 실물 화상기의 출력 상태를 선택할 수 있고, 출력되는 영상을 강조시켜 프리젠테이션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 화상기
이 발명은 실물 화상기(video presento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실물 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실물 화상기는 영상 입력기로서 기존의 램프를 이용하여 정지 화상을 투영하는 광학식 OHP(Over Head Projector)와는 달리 고체 촬상 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및 줌 렌즈(zoom lens) 등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물체나 컬러로 필름이나 사진 등의 실물을 촬상한 다음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니터나 비디오 기기 또는 컴퓨터 등의 영상 기기로 전송하는 기기이다.
그로 인해, 출력 영상의 편집이 가능하고, 회의석상에서의 자료 제시등 프리젠테이션용으로 주로 이용된다.
도 1에 종래의 실물 화상기를 도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실물 화상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의 실물 화상기는 필름 등의 물체를 올려놓은 촬상물 받침대(3)를 구비한 몸체부(2)와,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몸체부(2)의 한쪽 모서리 중앙에 설치되는 각회전부(4)와, 각회전부(4)에 연결되고 다수개의 단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6)와, 지지부(6)의 윗부분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부(7)와, 회전부(7)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렌즈부(8a)가 내장된 촬상부(8)와, 각회전부(4) 양옆으로 몸체부(2)에 설치되는 조명부(9)로 이루어진다.
또한, 촬상물이 필름 등의 투명한 물체일 경우에는 촬상물 받침대(3)에서 촬상부(8)쪽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 장치(5)가 촬상물 받침대(3) 위에 장착되고, 촬상물 받침대(3)의 일부분에는 실물 화상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a)가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각 회전부(4)와 지지부(6)의 상태를 조절하여 촬상 받침대(3) 위에 놓인 실물의 촬상 동작이 정확하고 선명하게 촬상부(8)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후,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연결된 외부의 영상 장치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필요할 경우 조작부(2a)를 조작하여 조명부(9)나 조명 장치(5) 등을 작동시키고, 출력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실물 화상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출력할 경우, 출력되는 영상의 상태는 모두 일정하다.
즉, 출력 화면의 휘도나 해상도가 모두 같기 때문에, 출력 화면의 상태는 단지 촬상물 받침대(3) 위에 놓인 원고 등의 실물의 상태에 따라서만 변경된다.
따라서, 프리젠테이션의 효과를 상승시키거나, 출력 화면을 강조하고 싶어도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별도로 변경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종이 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실물이 놓인 촬상물 받침대(3)의 일부분을 가려, 가려진 부분이 검은색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부분이 강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부분의 출력 효과를 강조할 경우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못할 경우 발표자가 발표 도중에 일일이 필요한 조작을 실행해야 하므로 원활한 프리젠테이션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수동으로 화면의 일부분을 가리는 것이므로 출력되는 화면 상태가 깨끗하게 출력되지 않아 반대로 프리젠테이션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물 화상기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화시켜 출력되는 영상을 강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물 화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 화상기의 블럭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동작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분할 상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출력 화면의 상태도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키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서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조작키의 동작에 따라, 선택되는 출력 화면의 해당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 이미 설정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여 설정색이 표시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여, 선택된 영역에 설정색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출력 화면은 다수개의 화면 상태로 분할되고, 각 분할된 화면 단위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조작키가 작동될 경우, 출력 화면의 초기 상태는 설정색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 화상기에 대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 화상기의 블록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동작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분할 상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출력 화면의 상태도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키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 화상기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렌즈부(10)와, 촬상부(20)와, 화상신호 처리부(3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40)와 램(50)과, 롬(60)과, 제어부(70)와, 및 영상 합성부(80)로 이루어지고, 실물 화상기의 영상 표시 장치(100)의 출력 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90)로 이루어진다.
렌즈부(10)는 원고 등의 실물을 결상하고, 촬상부(20)는 렌즈부(10)에 의해 결상된 상을 각 해당하는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화상 신호 처리부(30)는 촬상부(20)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용 가능한 상태로 변환한 후, 영상 출력을 위한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화상 신호 처리부(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램(50)은 각 해당 번지에 화상 신호 처리부(30)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고, 롬(60)은 실물 화상기의 제어 동작을 위한 고정 데이터와 설정색을 표시하기 위한 고정 데이타가 저장되며, 영상 합성부(80)는 제어부(70)의 제어 동작에 따라 램(50)과 롬(6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작부(9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선택된 상태로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면 상태가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키(901)와 하강키(902) 및 선택키(903)를 포함하여, 상승키(901) 또는 하강키(902)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출력 상태를 변경한 후 선택키(903)를 작동시켜 변경한 화면 상태를 최종적으로 선택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화면(101∼04)으로 분할되나, 분할되는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조작부(90)의 상승키(901)를 작동시킴에 따라 분할된 화면단위만큼 선택되는 화면의 선택폭을 넓힐 수 있고, 하강키(902)를 작동시킴에 따라 분할된 화면 단위만큼 화면의 선택폭을 줄일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각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면, 각 해당 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
그로 인해, 제어부(70)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90)의 동작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의 상태를 제어한다.
먼저, 촬상물 받침대 위에 원고 등의 실물이 놓여지면, 실물의 영상은 렌즈부(10)에 의해 결상되고, 촬상부(20)에 의해 결상된 영상을 적, 녹, 청의 3원색의 영상으로 각각 분리한 후, 각 적, 녹, 청의 영상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그런 다음 화상신호 처리부(30)로 입력된다. 화상신호 처리부(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0)의 제어 동작에 따라 촬상부(20)에서 입력되는 적, 녹, 청의 각 영상 신호를 이용 가능한 상태로 변경하고, 영상 신호를 색신호와 휘도 신호로 각각 분리한 후 신호 처리를 실행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를 램(50)의 각 해당 번지에 저장한다.
화상신호 처리부(30)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에 따라 영상 신호를 처리한다.
이와 같이 화상신호 처리부(30)에 의해 실물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가 처리되면, 제어부(70)의 제어 동작에 따라 램(50)과 롬(6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조작부(90)의 동작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여 해당 영상이 영상 표시 장치(100)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다수개로 분할된 영상 표시 장치(100)의 분할 화면(101∼104)에 대응하게, 램(50)의 각 해당 번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롬(60)에 저장된 설정된 영상 데이터는 조작부(70)와 연결된 제어부(7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 합성부(80)로 각각 출력되는 해당 영상 데이터의 출력 정도가 제어된다.
그로 인해, 영상 합성부(80)를 거쳐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의 각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이나 설정색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태로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면, 도 3을 참고로 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7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70)는 조작부(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조작부(90)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했는지를 판단한다(S11).
조작부(9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펄스 신호 등을 출력하는 푸시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의 조작 여부에 따라 조작부(9)는 각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신호 상태에 따라, 조작부(90)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된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초기 화면 상태를 모두 검은색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로 인해, 제어부(70)는 롬(60)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번지에 저장된 설정 영상 데이터가 영상 합성부(80)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S13). 그 결과 화상신호 처리부(30)에서 출력되는 램(50)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 대신에, 모두 검은색이 표시될 수 있는 설정 데이터가 영상 표시 장치(100)로 출력되어 영상 표시 장치(100)에는 모두 검은색이 표시된다.
그러나, 판단된 조작부(90)의 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된 상태가 아닐 경우엔, 제어부(70)는 정상적으로 화상신호 처리부(30)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가 영상 표시 장치(100)로 모두 출력될 수 있도록 램(50)의 동작을 제어한다(S12).
반면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90)가 작동함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초기에 모두 검은색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 후, 제어부(70)는 조작부(9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에 의한 조작된 키가 어느것인지를 판정한다(S14).
조작부(90)에서 입력되는 작동 신호가 상승키(901)로부터 출력되면, 제어부(70)는 사용자가 조작키(90)의 상승키(901)를 작동한 상태로 판단하고(S15), 조작키(90)의 하강키(902)로부터 작동 신호가 출력되면 하강키(902)가 작동된 상태로 판단한다(S17).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된 조작키(90)가 판정되면, 작동된 상승키(901) 또는 하강키(902)에 따라 모두 검은색을 표시하는 화면은 각 분할된 단위만큼 선택 범위가 가변되어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한 것과 같은 상태로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면 상태를 선택한다.
즉, 상승키(901) 또는 하강키(902)를 작동시키면서 분할 화면의 선택 범위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스크롤(scroll)한다.
그런 다음, 조작키(90)의 선택키(903)가 작동했는지를 판단한다(S19).
조작키(90)의 선택키(903)로부터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70)는 조작키(90)의 선택키(903)가 작동한 상태로 판단하여, 상승키(901) 또는 하강키(902)에 의해 설정된 범위를 최종 선택한다.
그로 인해, 제어부(70)는 선택된 분할 화면(101∼104)에는 검은색을 표시하고, 나머지 분할 화면(101∼104)에는 정상적으로 촬상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램(50)과 롬(60)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70)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영역에는 램(50)의 해당 번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합성부(80)로 출력되고, 나머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으로는 롬(60)에 저장된 설정 영상 데이터를 영상 합성부(80)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90)의 동작에 따른 램(50)과 롬(60)의 영상 데이타가 영상 합성부(80)로 입력되면, 영상 합성부(80)는 램(50)과 롬(60)에서 각각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합성한 후 영상 표시 장치(100)의 각 해당 영역으로 해당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로 인해,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면에서, 조작키(90)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부분은 검은색으로 표시되고, 나머지 부분에는 정상적으로 렌즈부(10)에 의해 결상된 영상이 출력된다.
따라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출력 상태는 조작키(90)의 조작에 따라 도 5a 내지 도 5b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영상 표시 장치(100)의 출력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출력 형태를 다양화할 수 있고,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검은색으로 표시되므로 출력되는 영상이 강조되어 프리젠테이션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수동으로 작동하여 출력 화면의 출력 상태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촬상물 받침대 위에 놓여진 실물의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신호 처리부와;
    상기 화상신호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각 해당 번지에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와;
    이미 설정색을 표시하기 위한 설정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제2 메모리부와;
    상기 조작부에서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조작부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수개로 분할된 출력 화면의 선택 범위를 판단하고, 비선택된 화면에는 제1 메모리부의 해당 영역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고, 선택된 부분은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메모리부와 제2 메모리부에서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 화면으로 출력하는 영상 합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의 영상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키가 작동될 경우, 출력 화면의 초기 상태는 설정색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의 영상 출력 장치.
  3. 외부에서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발생할 경우, 다수개의 화면으로 분할된 출력 화면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을 판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의 상태에 따라 해당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변경한 후 출력하여, 출력 화면의 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의 영상 출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발생할 경우, 출력 화면의 초기 상태는 설정색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의 영상 출력 방법.
  5. 수동으로 작동하여 출력 화면의 출력 상태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촬상물 받침대에 놓여진 실물을 결상하는 렌즈부와;
    렌즈부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로부터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신호 처리부와;
    상기 화상신호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각 해당 번지에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와;
    이미 설정색을 표시하기 위한 설정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제2 메모리부와;
    상기 조작부에서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조작부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수개로 분할된 출력 화면의 선택 범위를 판단하고, 비선택된 화면에는 제1 메모리부의 해당 영역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고, 선택된 부분은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설정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메모리부와 제2 메모리부에서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 화면으로 출력하는 영상 합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키가 작동될 경우, 출력 화면의 초기 상태는 설정색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
KR1019980039659A 1998-09-24 1998-09-24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화상기 KR100280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659A KR100280328B1 (ko) 1998-09-24 1998-09-24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화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659A KR100280328B1 (ko) 1998-09-24 1998-09-24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화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69A KR20000020869A (ko) 2000-04-15
KR100280328B1 true KR100280328B1 (ko) 2001-02-01

Family

ID=1955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659A KR100280328B1 (ko) 1998-09-24 1998-09-24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화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0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319B1 (ko) * 2007-09-04 2013-01-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임베디드 os를 탑재한 실물화상 시스템에서 영상을오버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69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9784B (zh) Camera device
US2002010978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4907095A (en) Still image trimming apparatus
JP4964028B2 (ja) 撮像装置
JP3959433B2 (ja) 写真シール自動販売方法とその装置
JP2000152042A5 (ko)
US20150022690A1 (en)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JPH10243274A (ja) 画像撮影装置
JP2001251476A (ja) 画像入出力装置および資料提示装置
JP4588366B2 (ja) 画像表示装置
JP6493664B2 (ja) 照明制御装置、照明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128386A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6386711B1 (en) Digital projector with scanner
KR100280328B1 (ko) 출력 화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실물화상기
TWI411291B (zh) 影像擷取裝置、包含此影像擷取裝置之投影器以及影像擷取方法
EP0680212B1 (en) Image input device for inputting images of a plurality of subjects by switching image pickup direction
JP2003295321A (ja) プロジェクタ制御装置
KR20000068404A (ko) 촬영용 기기
JP2004187140A (ja) 資料提示装置
TW200938935A (en) Imaging device
TW200930065A (en) Imaging device
JP3486575B2 (ja) 複合現実感提示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3507727B2 (ja) カメラ装置付き映像表示装置
JP2881395B2 (ja) 資料提示装置
JP2719645B2 (ja) 資料提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