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207B1 -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207B1
KR100280207B1 KR1019980050819A KR19980050819A KR100280207B1 KR 100280207 B1 KR100280207 B1 KR 100280207B1 KR 1019980050819 A KR1019980050819 A KR 1019980050819A KR 19980050819 A KR19980050819 A KR 19980050819A KR 100280207 B1 KR100280207 B1 KR 100280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ller
main
call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797A (ko
Inventor
이상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미래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미래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미래텔레콤
Priority to KR101998005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020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04Arrangements at the exchange for service or number selection by vo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송화자 대기신호(Caller Identification on Call Waiting)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는 전화 가입자가 송화자 대기신호 처리기능을 보유한 전화기를 사용하여 다른 전화 가입자와 통화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3자에 의한 통화요청이 있을 경우 교환국에서 이 제 3 통화자의 통화요청신호 및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전화 가입자에게 송출하고, 전화 가입자가 이 정보를 통해 전화를 받을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송화자 대기신호 전송시 전화 가입자 본인의 음성신호 등에 의해 교환국으로부터 인가되는 제 3 통화자의 통화요청신호 및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받지 못함에 따라 발생하는 토크 오프(talk off) 또는 토크 다운(talk down)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통화자와 다른 전화 가입자의 전화 통화를 제어하며, 주통화자가 전화 통화를 하는 도중 제 3 통화자에 의해 주통화자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주통화자에게 다른 전화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가입자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곧바로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전송한다는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주통화자측으로부터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받을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ACK 신호가 인가되면 제 3 통화자의 정보가 포함된 FSK 신호를 출력하는 교환국과, 주통화자와 부통화자가 전화 통화를 할 때 제 3 통화자에 의해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교환국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FSK 신호를 입력받아 주통화자에게 제 3 통화자에 의한 통화요청이 있음을 알림과 동시에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전화 통화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에 의해 교환국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및 FSK 신호의 미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신호 검출단으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가 흘러들지 않도록 차단하는 주통화자측 전화기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화 통화시 음성신호 합성부를 통해 신호 검출부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가 흘러들지 않도록 차단하기 때문에 제 3 통화자에 의해 통화요청이 발생되어 교환국으로부터 인가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및 FSK 신호를 검출하지 못함에 따라 발생되는 전화기의 오동작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송화자 대기신호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
본 발명은 송화자 대기신호(Caller Identification on Call Waiting)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 가입자가 송화자 대기신호 처리기능을 보유한 전화기를 사용하여 다른 전화 가입자와 통화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3자에 의한 통화요청이 있을 경우 교환국(Central Office)에서 이 제 3 통화자의 통화요청신호 및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전화 가입자에게 송출하고, 전화 가입자가 이 정보를 통해 전화를 받을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송화자 대기신호 전송시 전화 가입자 본인의 음성신호 등에 의해 교환국으로부터 인가되는 제 3 통화자의 통화요청신호 및 제 3 통화자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받지 못함에 따라 발생하는 토크 오프(talk off) 또는 토크 다운(talk down)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화자 대기신호 서비스란 송화자 대기신호 처리기기(Customer Premises Equipment ; 이하, CPE라 약칭함)를 구비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전화 가입자(주통화자 또는 근단(near end))가 상대방 전화 가입자(부통화자 또는 원단(far end))와 이미 통화하고 있는 상태에서 주통화자와 통화하고자 하는 제 3 통화자가 있을 경우 교환국에서 주통화자에게 제 3 통화자의 통화요청신호 및 제 3 통화자 정보(전화번호, 이름, 시간 등)를 알려주고, 주통화자가 CPE에 표시되는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보고 전화 통화를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미국이나 유럽 등의 세계 각지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송화자 대기신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통화자(1)는 송화자 대기신호 서비스를 신청한 전화 가입자로서, 부통화자(2)와 전화 통화를 하는 도중 제 3 통화자(3)에 의한 통화요청이 있을 경우 후술되는 교환국(4)으로부터 전송되는 제 3 통화자의 통화요청신호 및 통화자 정보에 따라 제 3 통화자(3)와 통화할 수 있다.
교환국(4)은 주통화자(1)와 부통화자(2)의 전화 통화를 제어하며, 송화자 대기신호 서비스를 신청한 주통화자(1)가 전화 통화를 하는 도중 제 3 통화자(3)에 의해 주통화자(1)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주통화자(1)에게 다른 전화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가입자 경고신호(SAS : Subscriber Alerting Signal)를 출력하고, 곧바로 제 3 통화자(3)의 정보를 전송한다는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CAS : CPE Alerting Signal)를 출력하며, 후술되는 CPE(5)로부터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를 입력받아 제 3 통화자(3)의 정보를 입력받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리는 응답(Acknowledgement ; 이하, ACK라 약칭함)신호가 인가되면 제 3 통화자(3)의 정보가 포함된 주파수 편이 키잉(Frequency Shift Keying ; 이하 FSK라 약칭함)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교환국(4)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는 440Hz의 주파수로 300±50(ms) 동안 출력되고,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는 2130Hz와 2750Hz의 혼합주파수로 80±5(ms) 동안 출력되며, FSK 신호는 500(ms) 시간 이내에 출력된다.
그리고 교환국(4)은 주통화자(1)에게 제 3 통화자(3)에 의한 통화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가입자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순간 부통화자(2)의 음성 송수신회로(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차단하여 부통화자(2)에게 가입자 경고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CPE(5)는 교환국(4)과 전화기(도시되어 있지 않음) 사이에 설치되고, 주통화자(1)와 부통화자(2)가 전화 통화를 할 때 제 3 통화자(3)에 의해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교환국(4)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FSK 신호를 입력받으며, FSK 신호로 입력된 제 3 통화자(3)의 정보를 LCD 패널(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주통화자(1)가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CPE(5)는 교환국(4)으로부터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를 입력 받으면 100(ms) 시간 이내에 제 3 통화자(3)의 정보를 입력받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리는 ACK 신호를 교환국(4)으로 출력한다.
또한 CPE(5)는 교환국(4)으로부터 입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는 주통화자(1)가 들을 수 있도록 통과시키고,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와 FSK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에는 주통화자(1)가 이들 신호음을 들을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주통화자(1)의 음성 및 키패드 조작에 따른 FSK 신호의 수신을 방해하지 않도록 음성 송수신회로를 차단하며, 교환국(4)에서 출력된 FSK 신호가 모두 송신된 후 약 50(ms) 시간 이내에 주통화자(1)의 음성 송수신회로 차단을 해제하여 정상적인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송화자 대기신호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부통화자(2)가 송화자 대기신호 서비스를 신청한 주통화자(1)와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도중 제 3 통화자(3)에 의해 주통화자(1)의 전화번호가 교환국(4)으로 인가되면, 교환국(4)에서 주통화자(1)로 제 3 통화자(3)의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가입자 경고신호(440Hz 주파수의 톤신호)가 300±50(ms) 시간 동안 출력된다.
이와 같이 교환국(4)에서 주통화자(1)에게 가입자 경고신호가 출력될 때 교환국(4)에서는 부통화자(2)측의 음성 송수신회로를 차단하여 부통화자(2)에게 가입자 경고신호가 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교환국(4)에서 출력된 가입자 경고신호는 CPE(5)를 통해 주통화자(1)의 송수화기에 전달되고, 주통화자(1)는 이 가입자 경고신호를 듣고 다른 전화가 걸려와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교환국(4)에서는 가입자 경고신호를 출력한 후 곧바로 제 3 통화자(3)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대기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2130Hz와 2750Hz 주파수의 톤신호)가 80±5(ms) 시간 동안 출력된다.
이때 교환국(4)에서 출력되는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가 CPE(5)로 인가되는 순간, CPE(5)에서는 주통화자(1)에게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가 들리지 않도록 주통화자(1)의 음성 송수신회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제 3 통화자(3)의 정보를 입력받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리는 ACK 신호를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가 입력된 후 100(ms) 시간 이내에 교환국(4)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CPE(5)로부터 제 3 통화자(3)의 정보를 입력받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리는 ACK 신호가 교환국(4)으로 인가되면, 교환국(4)에서는 바로 제 3 통화자(3)의 정보가 포함된 FSK 신호를 500(ms) 시간 이내에 CPE(5)로 출력한다.
이처럼 교환국(4)으로부터 FSK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CPE(5)는 상술한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가 인가될 때와 마찬가지로 주통화자(1)가 FSK 신호음을 들을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주통화자(1)의 음성 및 키패드 조작에 따른 FSK 신호의 수신을 방해하지 않도록 음성 송수신회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제 교환국(4)에서 출력된 FSK 신호가 CPE(5)에 모두 인가되면 CPE(5)에서는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및 FSK 신호 인가시 차단된 주통화자(1)의 음성 송수신회로를 50(ms) 시간 이내에 해제하며, 교환국(4)에서도 주통화자(1)에게 가입자 경고신호를 인가할 때 차단시킨 부통화자(2)측의 음성 송수신회로를 해제하여 정상적인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CPE(5)에서는 교환국(4)에서 인가된 FSK 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 이름, 시간 등의 제 3 통화자(3) 정보를 자체 내에 구비된 LCD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주통화자(1)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주통화자(1)는 LCD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제 3 통화자(3)의 정보를 보고 부통화자(2)와 통화하는 도중 제 3 통화자(3)와 전화를 연결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주통화자(1)가 CPE(5)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3 통화자(3)의 정보를 확인한 후 제 3 통화자(3)와 통화하기 위해서는 후크 스위치(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한번 누르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부통화자(2)와 연결되었던 통화 라인이 제 3 통화자(3)와 연결되고, 부통화자(2)는 대기 상태로 된다.
한편, CPE(5)에서 송신한 ACK 신호를 교환국(4)에서 수신받지 못하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해 FSK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교환국(4)에서는 일정시간(예를 들어, 10초)이 경과된 뒤 다시 시도한다.
그리고 교환국(4)에서 FSK 신호를 송신한 뒤 주통화자(1)가 일정시간(예를 들어, 10초) 동안 제 3 통화자(3)와 통화하지 않는 경우, 교환국(4)에서는 주통화자(1)에게 가입자 경고신호를 재차 송신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송화자 대기신호 시스템은, CPE에서 교환국으로부터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주통화자의 음성신호에 의해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가 인가되었다고 판단하여 교환국으로 ACK 신호를 보내고 FSK 신호 입력시간동안 주통화자의 음성 송수신회로를 차단하는 토크 오프 현상이 종종 발생되어 주통화자측의 음성 송수신회로가 차단되는 시간동안 전화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또한, 교환국에서 CPE로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를 전송하여도 전화선로의 감쇄, 전송신호의 일그러짐, 통과음성의 합성 등에 의해 CPE에서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여 ACK 신호를 출력하지 못하기 때문에 교환국에서 제 3 통화자의 정보가 담긴 FSK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토크 다운이 발생되어 송화자 대기신호 서비스가 정확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통화자가 송화자 대기신호 처리기능을 보유한 전화기를 사용하여 부통화자와 통화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3자에 의한 통화요청이 있을 경우 교환국에서 이 제 3 통화자의 통화요청신호 및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주통화자에게 송출하고, 주통화자가 이 정보를 통해 전화를 받을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송화자 대기신호 전송시 주통화자 본인의 음성신호 등에 의해 교환국으로부터 인가되는 제 3 통화자의 통화요청신호 및 제 3 통화자의 정보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하는 토크 오프 또는 토크 다운 현상에 의한 전화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송화자 대기신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주통화자측 전화기 105 : 후크 스위치
110 : 하이브리드 115 : 수신 앰프부
120 : 수신부 125 : 송신부
130 : 송신 앰프부 135 : 신호 검출부
140 : 제어부 145 : 신호 발생부
150 : 표시부 155 : 진폭 조정부
160 : 음성신호 합성부 200 : 교환국
300 : 부통화자 400 : 제 3 통화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는 주통화자와 다른 전화 가입자의 전화 통화를 제어하며, 주통화자가 전화 통화를 하는 도중 제 3 통화자에 의해 주통화자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주통화자에게 다른 전화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가입자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곧바로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전송한다는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주통화자측으로부터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받을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ACK 신호가 인가되면 제 3 통화자의 정보가 포함된 FSK 신호를 출력하는 교환국과, 주통화자와 부통화자가 전화 통화를 할 때 제 3 통화자에 의해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교환국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FSK 신호를 입력받아 주통화자에게 제 3 통화자에 의한 통화요청이 있음을 알림과 동시에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전화 통화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에 의해 교환국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및 FSK 신호의 미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신호 검출단으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가 흘러들지 않도록 차단하는 주통화자측 전화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는 송화자 대기신호 처리기기가 내장된 전화기에 적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통화자측 전화기(100)는 송화자 대기신호 처리 기능이 구비된 전화기로서, 주통화자와 부통화자(300)가 전화 통화를 할 때 제 3 통화자(400)에 의해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후술되는 교환국(200)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FSK 신호를 입력받아 주통화자에게 제 3 통화자(400)에 의한 통화요청이 있음을 알림과 동시에 제 3 통화자(40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부통화자(300)와 전화 통화할 때 주통화자의 음성신호에 의해 교환국(200)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및 FSK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호 검출단으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가 흘러들지 않도록 차단한다.
그리고 교환국(200)으로부터 입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는 주통화자가 들을 수 있도록 통과시키고,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와 FSK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에는 주통화자가 이들 신호음을 들을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주통화자의 음성 및 키패드 조작에 따른 FSK 신호의 수신을 방해하지 않도록 음성 송수신회로를 차단하며, 교환국(200)에서 출력된 FSK 신호가 모두 송신된 후에는 주통화자의 음성 송수신회로 차단을 해제하여 정상적인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주통화자측 전화기(100)는 후크 스위치(105)와, 교환국(200)을 통해 입력되는 다른 전화 가입자의 음성신호를 후술되는 수신부(스피커)(120)로 전달하고, 송신부(마이크)(125)를 통해 입력되는 주통화자의 음성신호를 교환국(200)으로 전달하는 하이브리드(Hybrid)(110)와, 하이브리드(110)에서 출력된 다른 전화 가입자의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수신 앰프부(115)와, 주통화자가 다른 전화 가입자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수신부(120)와, 주통화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송신부(125)와, 주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송신 앰프부(130)와, 제 3 통화자(400)에 의해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교환국(200)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FSK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하는 신호 검출부(135)와, 신호 검출부(135)로부터 가입자 경고신호가 인가되면 이 신호를 주통화자가 들을 수 있도록 그대로 통과시키고,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가 인가되면 정보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리는 ACK 신호를 교환국(200)으로 출력하도록 신호 발생부(145)로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이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를 주통화자가 듣지 못하도록 수신 앰프부(115)로 뮤트제어신호를 출력하고, FSK 신호가 인가되면 이 FSK 신호를 통해 입력되는 제 3 통화자(40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부(150)로 표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0)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ACK 신호를 발생하여 교환국(200)으로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145)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교환국(200)으로부터 입력된 제 3 통화자(40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50)와, 송신 앰프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주통화자의 음성신호(V)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진폭 조정부(155)와, 교환국(200)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및 FSK 신호(S)를 신호 검출부(135)에서 정상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교환국(200)으로 출력되는 과정에서 궤환되는 주통화자의 음성신호(V)와 진폭 조정부(155)에서 출력되는 위상이 반전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V)를 상쇄시키는 음성신호 합성부(160)로 구성된다.
교환국(200)은 주통화자와 부통화자(300)의 전화 통화를 제어하며, 송화자 대기신호 서비스를 신청한 주통화자가 전화 통화를 하는 도중 제 3 통화자(400)에 의해 주통화자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주통화자측 전화기(100)로 다른 전화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가입자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곧바로 제 3 통화자(400)의 정보를 전송한다는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주통화자측 전화기(100)로부터 ACK 신호가 인가되면 제 3 통화자(400)의 정보가 포함된 FSK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교환국(200)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는 440Hz의 주파수로 300±50(ms) 동안 출력되고,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는 2130Hz와 2750Hz의 혼합주파수로 80±5(ms) 동안 출력되며, FSK 신호는 500(ms) 시간 이내에 출력된다.
그리고 교환국(200)은 주통화자에게 제 3 통화자(400)에 의한 통화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가입자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순간 부통화자(300)의 음성 송수신회로(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차단하여 부통화자(300)에게 가입자 경고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송화자 대기신호 처리 과정은 종래 기술에 언급된 부분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주통화자의 음성신호에 의한 기기의 오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주통화자가 부통화자(300)와 전화통화를 할 경우 송신부(125)를 통해 말하는 주통화자의 음성신호(V)는 교환국(200)으로 출력됨과 동시에 음성신호 합성부(160)로 일부분이 인가된다.
또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V)는 진폭 조정부(155)를 통해 위상이 반전된 후(-V) 음성신호 합성부(160)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음성신호 합성부(160)로 인가되는 주통화자의 음성신호(V)와 진폭 조정부(155)를 통해 위상이 반전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V)는 서로 상쇄되어 신호 검출부(135)로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 3 통화자(400)의 전화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교환국(200)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및 FSK 신호(S)만이 음성신호 합성부(160)를 통해 신호 검출부(135)로 인가되어 주통화자의 음성신호(V)에 의한 에러 없이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및 FSK 신호(S)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즉 교환국(200)에서 신호 검출부(135)로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주통화자의 음성신호(V)에 의해 신호 검출부(135)에서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가 인가되었다고 판단하고, 이로 인해 제어부(140)가 오동작되어 교환국(200)으로 ACK 신호를 보내고 FSK 신호 입력시간동안 주통화자의 음성 송수신회로를 차단하는 토크 오프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교환국(200)에서 출력되는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를 에러 없이 검출할 수 있게 되어 교환국(200)에서 제 3 통화자(400)의 정보가 담긴 FSK 신호를 전송받게 되어 종래에서와 같은 제 3 통화자(400)의 정보가 담긴 FSK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토크 다운 현상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에 의하면, 전화 통화시 음성신호 합성부를 통해 신호 검출부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가 흘러들지 않도록 차단하기 때문에 제 3 통화자에 의해 통화요청이 발생되어 교환국으로부터 인가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및 FSK 신호를 검출하지 못함에 따라 발생되는 전화기의 오동작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송화자 대기신호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주통화자와 다른 전화 가입자의 전화 통화를 제어하며, 주통화자가 전화 통화를 하는 도중 제 3 통화자에 의해 주통화자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주통화자에게 다른 전화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가입자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곧바로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전송한다는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주통화자측으로부터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받을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ACK 신호가 인가되면 제 3 통화자의 정보가 포함된 FSK 신호를 출력하는 교환국; 및
    주통화자와 부통화자가 전화 통화를 할 때 제 3 통화자에 의해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교환국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FSK 신호를 입력받아 주통화자에게 제 3 통화자에 의한 통화요청이 있음을 알림과 동시에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전화 통화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에 의해 상기 교환국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및 FSK 신호의 미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신호 검출단으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가 흘러들지 않도록 차단하는 주통화자측 전화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통화자측 전화기는;
    상기 교환국을 통해 입력되는 다른 전화 가입자의 음성신호를 수신부로 전달하고, 송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주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교환국으로 전달하는 하이브리드;
    제 3 통화자에 의해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교환국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FSK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신호 검출부로부터 가입자 경고신호가 인가되면 이 신호를 주통화자가 들을 수 있도록 그대로 통과시키고,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가 인가되면 정보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리는 ACK 신호를 상기 교환국으로 출력하도록 ACK 신호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를 주통화자가 듣지 못하도록 뮤트제어신호를 출력하고, FSK 신호가 인가되면 이 FSK 신호를 통해 입력되는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표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ACK 신호를 발생하여 교환국으로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교환국으로부터 입력된 제 3 통화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송신 앰프부를 통해 출력되는 주통화자의 음성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진폭 조정부; 및
    상기 교환국으로 출력되는 주통화자의 음성신호와 상기 진폭 조정부에서 출력되는 위상이 반전된 주통화자의 음성신호를 상쇄시켜 교환국에서 출력되는 가입자 경고신호, 송화자 대기 경고신호 및 FSK 신호를 상기 신호 검출부에서 정상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신호 합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
KR1019980050819A 1998-11-25 1998-11-25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 KR100280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819A KR100280207B1 (ko) 1998-11-25 1998-11-25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819A KR100280207B1 (ko) 1998-11-25 1998-11-25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797A KR20000033797A (ko) 2000-06-15
KR100280207B1 true KR100280207B1 (ko) 2001-02-01

Family

ID=1955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819A KR100280207B1 (ko) 1998-11-25 1998-11-25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02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797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0207B1 (ko) 송화자 대기신호시 음성신호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
JPH09233173A (ja) 信号検出回路及び電話装置
US6212270B1 (en) Control of telemetry interface gateway for a voice call
JP3749085B2 (ja) 電話装置
KR950007499B1 (ko) 멀티형 무선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JP2604886B2 (ja) 回線断検出方式
JPH11275263A (ja) 回線接続装置
JP3459566B2 (ja) 電話装置
JP3286590B2 (ja) 電話装置
JP3473270B2 (ja) 電話装置
JP2997663B2 (ja) 回線接続装置
KR0149703B1 (ko) 음성및데이터를송수신하는장치의음성통화모드절환회로및그제어방법
KR100754642B1 (ko) 디지털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EP0926873B1 (en) Control of telemetry interface gateway during a voice call
KR100208259B1 (ko) 전화기에서의 락 아웃 알람 표시 장치 및 방법
JP2949098B1 (ja) 回線接続装置
JP3460561B2 (ja) 電話装置
JPH11177657A (ja) Cas信号の検出のためにエコー消去器を使用する方法及び電話方式装置
JPS6248169A (ja) 情報通知方式
KR20000015155A (ko) 전화기에서 통화중 대기 상태를 알리는 방법
JPH04243372A (ja) 画像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7507191A (ja) 電気通信
JP2004015167A (ja) 携帯型電話機
JPH11346252A (ja) 通信端末装置
JPH0851392A (ja) 通話方式の報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