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900B1 - 화상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입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79900B1 KR100279900B1 KR1019960704899A KR19960704899A KR100279900B1 KR 100279900 B1 KR100279900 B1 KR 100279900B1 KR 1019960704899 A KR1019960704899 A KR 1019960704899A KR 19960704899 A KR19960704899 A KR 19960704899A KR 100279900 B1 KR100279900 B1 KR 1002799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adapter
- holding
- image
- image inpu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2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using a lead screw or wor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39—Movement of the main scanning components
- H04N1/1043—Movement of the main scanning components of a sensor arr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39—Movement of the main scanning components
- H04N1/1048—Movement of the main scanning components of a lens or lens arran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04—Scanning transparent media, e.g. photographic fil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04—Scanning transparent media, e.g. photographic film
- H04N2201/0406—Scanning sli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04—Scanning transparent media, e.g. photographic film
- H04N2201/0408—Scanning film strips or rol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22—Media holders, covers, supports, backgrounds; Arrangements to facilitate placing of th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35mm 필름이든지 새로운 포토시스템에 대응하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필름의 화상을 판독하고 디지탈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는 화상입력장치으로서 35mm 필름(401,402)을 보유가능한 필름어댑터(100)와 새로운 시스템 대응하는 카트리지 필름(403)을 보유가능한 어댑터(300)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장치본체의 홈부(2)에 장착할수 있는 구성으로 장착필름의 화상을 선형 CCD 화상센서(9)를 스캐닝하므로써 판독하고 디지탈화상신호를 컴퓨터등에 입력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화상입력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화상입력장치인 필름화상 입력장치의 외관을 필름어댑터를 제외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필름화상 입력장치의 외장부재를 제외한 상태로 나타낸 기구부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필름화상 입력장치에 35mm 필름어댑터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제1도의 화살표A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에서 취한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필름화상 입력장치에 대응하는 35mm 필름어댑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35mm 필름어댑터에 장착되는 슬라이드필름 캐리어내에 장착되는 슬라이드필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제5도 35mm 필름어댑터에 장착되는 스트립필름 캐리어와 스트립형 필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스트립필름 캐리어에 필름을 삽입하고 닫은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제1도의 필름화상 입력장치에 적용가능한 카트리지필름 어댑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카트리지필름 어댑터내의 모터구동식 필름보냄/되돌림 기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는 제9도의 카트리지필름 어댑터에 적용가능한 새로운 포토시스템에 대응하는 필름카트리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2도는 제1도의 필름화상 입력장치에 있어서 35mm 필름화면을 판독하는 경우의 35mm 필름화면과 서브-스캐닝위치의 관계를 도시한 도이다.
제13도는 제1도의 필름화상 입력장치에 있어서 새로운 포토시스템 대응하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필름상의 각 화면을 판독하는 경우의 카트리지 필름화면과 서브-스캐닝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화상입력장치에 관련되고, 자세히는 사진용필름상의 화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 등에 입력하는 화상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촬영화면치수가 세로 24mm X 가로 36mm인 사진용의 35mm 타입필름(이하 35mm필름이라 한다)은 종래부터 널리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고, 그 필름상의 화상을 디지탈 화상신호로 변환하고 컴퓨터에 입력가능한 필름스캐너도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93-244349에 개시된 화상 디지탈화 장치에는 35mm,필름의 화상을 디지탈화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고, 이 장치로는 매 프레임마다 절단되고 슬라이드 마운트에 보유된 슬라이드필름 및 6 프레임마다 절단된 스트립형상의 네가티브 필름의 화상을 판독하고 디지탈화하여 컴퓨터에 입력할 수가 있다. 한편, 널리 보급되어 온 35mm 필름과는 달리 새로운 필름을 적용하는 새로운 포토시스템 즉 진보된 포토시스템이 월간지 “파퓰러 포토그래피(POPULAR PHOTOGRAPHY)” (1994년 10월호 8페이지)에 소개되어 있다. 이 새로운 포토시스템에서는 35mm 필름보다 폭이 좁은 미촬영 또는 현상된 필름이 인입부를 포함해서 소형의 필름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고, 촬영 또는 인화 또는 화상재생때에 카트리지밖에 끌어 내여지는 것으로서 통상 이용자가 필름스트립을 직접볼 수 없다. 이 새로운 포토시스템에 대응하는 필름카트리지의 구조는 예컨대 미합중국 특허 제5047794호(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92-237043)에 개시되어 있는 노광된 필름의 장전을 방지하는 록아웃수단을 가진 필름카세트(카트리지)에 나타나 있다. 이 필름카트리지는 일부 또는 상당히 노광된 필름카트리지가 여러가지의 카메라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새로운 포토시스템에 대응하는 소형의 필름카트리지는 만약 현상된 필름을 수납하여 필요한 때만 필름을 카트리지로부터 끌어내어 사용하도록 하면 필름 스캐너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특허 공개공보 93-244349호에 보여진 화상 디지탈화 장치는 35mm 필름의 화상픽업을 하므로 상기 소형의 필름카트리지를 적용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 카트리지에 수납된 필름상의 화상판독은 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새로운 포토시스템이 대응하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필름을 끌어내고 그 화상을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필름스캐너장치는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35mm 필름 또는 새로운 포토시스템용의 필름등 다른 타입의 필름화상을 판독하고 컴퓨터에 입력할 수가 있는 화상입력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화상입력장치는 필름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장치로서 제1타입의 필름을 보유가능한 제1의 필름보유수단과, 상기 제1타입의 필름과는 별도의 형식인 제2타입의 필름을 보유가능한 제2의 필름보유수단과, 상기 제1의 보유수단과 상기 제2의 보유수단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상기 화상입력장치본체에 대하여 탈착이 자유로운 장착수단과, 상기 필름을 조명하는 조명수단과, 상기 필름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선형 CCD 화상센서와, 상기 조명수단에 의해 조명된 상기 필름상의 화상을 상기 선형 CCD 화상센서상에 결상시키는 광학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화상입력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타입의 필름을 보유한 상기 필름보유수단을 장치본체에 장착하여 상기 조명수단 상기 선형 CCD 화상센서 및 상기 광학부재를 상기 장착된 필름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므로써 필름면을 스캐닝하고 그 다음에 상기 선형 CCD 화상센서는 화상데이타를 출력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의 화상입력장치인 필름화상 입력장치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실시의 형태의 장치에 사용되는 선형 CCD 화상센서의 화상판독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선형 CCD 화상센서는 수광화소가 일렬로 배열된 화상센서이다.
화상을 판독시 우선 CCD는 1라인의 화소를 판독하고 화상 데이타를 송출한 후에 CCD를 CCD의 화소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1화소만큼 이동하여 다음 1라인의 화소를 판독하고 화상 데이타를 송출한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한 장의 화상을 판독한다.
또 CCD가 1라인의 화상을 판독하는 동작을 메인-스캐닝라고 부르고, 다음 라인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해서 CCD를 이동하는 것을 서브-스캐닝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필름화상 입력장치에는 원고인 필름을 조명하는 조명수단과, 필름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선형 CCD 화상센서와, 상기 필름상의 화상을 상기 선형 CCD 화상센서상에 결상하기 위한 광학부재를 직선상에 배치한다. 상기 조명수단, 선형 CCD 화상센서 및 광학부재는 일체적으로 이동하여 서브-스캐닝을 한다. 그 다음에 필름상의 화상은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필름화상 입력장치(1; 제1도 참조)에는 그 입력장치본체(la)내에 필름을 보유하는 기구를 자유롭게 채택할 수 있다. 필름을 보유하기 위한 기구로서는, 장치본체(1a)에 선택된 탈착가능한 2개의 필름어댑터가 준비되어 있다.
그 하나는 슬라이드 및 스트립형상의 제1타입의 필름인 35mm 필름을 보유하기 위한 제1의 필름보유수단으로서, 후술하는 제5도의 사시도에 나타낸 필름어댑터(100)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새로운 포토시스템에 대응하는 필름카트리지에 수납되는 현상된 제2타입의 필름을 보유하기 위한 제2의 필름보유수단인 후술하는 제9도의 사시도에 나타낸 카트리지필름 어댑터(300)이다. 또한, 필름화상 입력장치(1)는 장착된 상기 필름어댑터의 종류를 검출하고 사용되는 필름의 화면크기에 대응한 최적의 서브-스캐닝 범위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의 필름화상 입력장치(1)와 35mm 필름어댑터(100) 및 카트리지필름 어댑터(300)의 구조 및 상기 어댑터를 장치본체(1a)에 장착한 경우의 동작등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필름화상 입력장치의 구조에 관해서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1도는 필름화상 입력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필름어댑터를 제외한 상태로 나타낸다. 제2도는 필름화상 입력장치(1)의 외장부재를 제외한 상태로 나타낸 기구부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필름화상 입력장치(1)에 35mm 필름어댑터가 장착한 상태에서의 제1도의 화살표A 방향에 본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B-B′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것처럼 장치의 본체(1a)에는 필름을 보유하는 필름어댑터(100) 또는 카트리지필름 어댑터(30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 또는 탈착수단인 홈부(2)가 설치된다. 제2도의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의 단면도등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본체(1a)의 내부에는 필름조명용의 조명수단으로서 냉음극관등으로 구성되는 막대형 램프(3)와 필름상의 화상을 선형 CCD 화상센서(9)상에 결상시키기 위한 광학부재인 렌즈(8)와 상기 선형 CCD 화상센서(9)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처리회로 및 장치전체를 제어하고 어댑터판단수단, 화상판독범위 변경수단등을 내장하는 CPU(13a)등이 실장된 제어회로기판(13)과 상기 렌즈, CCD 및 회로기판등을 보유하는 렌즈/CCD 보유부재(7)와, 이 보유부재(7)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로 평행한 나사축(15) 및 가이드축(16)와, 이 축(15,16)를 지지하는 서브-스캐닝판(1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3)는 램프보유부재(4)에 의해서 보유된다. 그 램프보유부재(4)는 실질적으로 L자 형으로서 그 한변에는 선단에 V자 형의 홈을 가지는 돌기(4a, 4b)가 설치된다. 판스프링(5,6)은 거의 직사각형이고, 램프(3)를 램프보유부재(4)의 돌기부(4a, 4b)에 고정하는 부재이다. L자형 램프보유부재의 다른 한 변은 필름보유부의 흠부(2)의 하방으로 통하고 렌즈/CCD 보유부재(7)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선형 CCD 화상센서(9)는 경질의 회로기판(10)에 솔더링 법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10)은 나사(11,12)에 의해서 렌즈/CCD 보유부재(7)에 고정되어 있다.
선형 CCD 화상센서(9)와 막대형 램프(3) 및 렌즈(8)는 직선상에 배치되고, 선형 CCD 화상센서(9)의 라인방향과 램프(3)의 축선은 평행하게 되도록 보유된다.
선형 CCD 화상센서(9)를 실은 회로기판(10)과 제어용 회로기판(13)은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프린트기판(14)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렌즈/CCD 보유부재(7)는 평행하게 설치된 나사축(15)와, 가이드축(16)에 의해서 이동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축(15)은 양단부가 직사각형의 서브-스캐닝판(1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축(16)도 그 양단부가 서브-스캐닝판(17)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나사축(15)은 나선흠을 가지고 있고 이 나선홈에 렌즈/CCD 보유부재(7)가 나사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나사축 회전구동용의 스테핑모터(18)가 서브-스캐닝판(17)에 장착되고 그 출력축에 고정된 기어(19)는 나사축(15)에 고정된 기어(20)와 맞물려 있어 이 모터(18)의 회전력을 나사축(15)에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스테핑모터(18)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나사축(15)가 회전하여 렌즈/CCD 보유부재(7)가 램프(3), 선형 CCD 화상센서(9), 렌즈(8)와 함께 상기 축(15)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화상센서(9)의 라인방향인 메인-스캐닝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서브-스캐닝이 행하여 진다.
서브-스캐닝판(17)에는 스위치(21)가 있다. 이 스위치(21)는 렌즈/CCD 보유부재(7)의 일단이 선형 CCD 화상센서(9)의 서브-스캐닝때의 기준이 되는 초기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렌즈/CCD 보유부재(7)가 화살표C 방향(제2도 참조)으로 이동하여 스위치(21)에 접촉한 위치를 서브-스캐닝의 초기위치로 한다.
커넥터(22)는 화상입력장치(1)와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를 접속하는 케이블을 달기위한 것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등에 의해서 회로기판(13)에 접속하고 있다.
위치결정핀(23, 24)은 필름어댑터의 장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부재이고, 장치본체(1a)의 홈부(2)의 벽면에 설치된 판스프링(25,26)으로 지지되어 홈부(2)을 향한 상태로 본체 벽면을 관통하고 출몰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본체(1a)의 홈부(2)의 저면에 설치된 접점(27,28)은 후술하는 카트리지필름 어댑터(300)를 홈부(2)에 장착시킨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홈부(2)의 저면에 설치된 접점(29,30,31)은 장착된 필름어댑터가 어떤 타입인가를 검출하는 어댑터판단수단으로서의 검출용 접점군이다.
35mm 필름어댑터(100)가 장착되면 상기 접점(29 및 30)이 통전하여 화상입력장치(1) 측은 35mm 필름어댑터(100)가 장착된 것을 검출한다. 또한, 카트리지필름 어댑터(300)가 장착된 경우에는 접점(30, 31)이 통전하여 카트리지필름 어댑터(300)가 장착된 것을 검출한다. 또한, 어느 어댑터도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접점(29,30,31)이 서로 통전하지 않으므로 아무것도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35mm 필름어댑터(100)의 구조에 관해서 상기 제3도와 제4도외에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35mm 필름어댑터(100)의 외관사시도이다.
제6도는 장착되는 슬라이드필름과 그것을 보유하는 슬라이드필름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스트립형의 필름과 그것을 보유하는 스트립필름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또한, 제8도는 제7도에 나타낸 캐리어에 필름을 삽입하고 닫은 상태의 스트립필름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5mm 필름어댑터(100)는 장치의 본체(1a)의 홈부(2)와 같은 외형을 가지며, 이 홈부(2)에 정확히 장착될 수가 있다. 이 필름어댑터(100)의 측면에는, 본체(1a)에 장착한 때의 위치결정을 위한 2개의 오목부(101, 10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름어댑터(100)를 본체(1a)에 장착하면 본체(1a)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위치결정핀(23, 24)이 각각 오목부(101,102)에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위치결정핀(23,24)은 판스프링(25,26)으로 눌려 있기 때문에 상기 필름어댑터(100)는 본체(1a)의 홈부(2)의 벽면(32)쪽으로 눌려지고 광축(0) 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된다. 동시에 광축(0)과 수직한 면내에서의 위치결정도 이루어진다(제3도 및 제4도 참조).
또한, 상기 필름어댑터(100)의 저면에는 본체 장착때에 상기 본체측의 검출접점(29,30)을 통전시키기 위한 도전성을 가지는 정보판별부재인 금속판(107)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필름어댑터(100)의 광축의 직교방향을 따라서 제6도에 나타낸 슬라이드필름 캐리어(200) 또는 제7도와 제8도에 나타낸 스트립필름 캐리어(25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인 슬릿(103)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필름어댑터(100)의 중간부의 광축(0)를 중심으로 한 직사각형의 개구(106)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개구(106)의 크기는 필름상의 화면크기와 같고, 이 위치에 놓여진 필름의 화상이 화상입력장치(1)측의 상기 선형 CCD 센서(9)에 의해서 판독된다.
또한, 상기 개구(106)의 아래쪽으로 설치되는 위치결정핀(104)은 판스프링(105)에 의해서 출몰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필름 캐리어(200)의 위치결정 오목부(203) 또는 상기 스트립필름 캐리어(250)의 위치결정 오목부(258)에 끼워 넣어 이 필름 캐리어(200)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제4도, 제5도, 제6도 및 제8도 참조).
제6도에 나타낸 슬라이드필름 캐리어(200)는 장착된 슬라이드필름(401)을 보유하는 캐리어이고, 슬라이드필름(401)을 삽입가능한 슬릿(202)과 슬라이드필름(401)의 화면크기와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개구(201)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203)는 상기 필름 캐리어(200)를 35mm 필름어댑터에 장착할 때의 위치결정을 위한 구멍이다.
상기 슬라이드필름 캐리어(200)를 필름어댑터(100)의 슬릿(103)에 삽입할 때 필름화면이 필름어댑터개구부(106)와 정렬되어야 한다. 그 때 필름어댑터의 위치결정핀(104)이 캐리어의 오목부(203)에 끼워 맞추어지며 적절히 움직이면서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된다(제4도,제5도,제6도 참조).
한편, 스트립상의 필름(402)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7도와 제8도에 나타낸 필름 캐리어(250)를 사용한다. 이 필름 캐리어(250)는 개폐가 자유로운 2개의 판상부재(251, 252)로 이루어져 각각 필름화면크기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개구(253, 254)가 필름(402)의 프레임 위치와 같은 위치에 설치하고 된다.
스트립형상필름(402)을 상기 스트립필름 캐리어(250)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스트립형 필름(402)을 판상부재(251)의 오목부(255)에 싣는다. 그리고 다른 판상부재(252)는 닫힌다. 판상부재(252)에 설치된 클로(claw; 256)가 판상부재(251)의 노치(257)에 결합되어 두 판상부재가 불시에 열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 스트립필름 캐리어(250)에 설치된 오목부(258)는 상술한 것과 같이 35mm 필름어댑터(100)에 장착한 때의 위치결정하는 오목부이고, 상기 슬라이드필름 캐리어(200)의 오목부(203)와 같은 작용을 한다.
다음에, 35mm 필름어댑터(100)를 장치본체(1a)에 장착한 경우의 필름화상 입력장치(1)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전원스위치가 턴온되면 서브-스캐닝용 스테핑모터(18)가 회전하여 렌즈/CCD 보유부재(7)가 제2도의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하고 초기위치(후술하는 제12도의 위치(P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지한다. 또한, 램프(3)도 온 상태로되어 회로기판(13)은 화상판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필름(401)을 장전한 슬라이드필름 캐리어(200)는 35mm 필름어댑터(100)에 장착된다. 그 35mm 필름어댑터(100)는 장치본체(1a)의 홈부(2)에 삽입된다.
장치본체(1a)의 위치결정핀(23, 24)과 상기 필름어댑터(100)의 위치결정 오목부(101, 102)가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필름어댑터(100)가 위치결정된다(제3도 참조).
이 상태로 상기 필름어댑터(100)의 저면에 있는 금속판(107)이 본체(1a)의 필름어댑터 검출접점(29,30)에 접촉하여 통전상태로 된다.
화상입력장치(1)는 35mm 필름어댑터(100)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면 CPU(13a)에 내장된 화상판독범위 변경수단에 의해 35mm 필름의 화면크기에 대응하는 메인-스캐닝 범위 및 서브-스캐닝 범위를 결정 내지 변경한다. 35mm 필름화면(G1)과 서브-스캐닝 위치의 관계를 도시한 제12도와 같이 렌즈/CCD 보유부재(7)의 이동범위 중 선형 CCD 화상센서(9) 중심의 각 이동위치를 초기위치를 P1로 하고 35mm 필름상의 화면의 일단의 위치를 P2로 하고 타단의 위치를 P3로 하면, 상기 서브-스캐닝 범위는 상기 초기 위치(P1)를 기준으로서 필름화상에 대응한 소정의 거리를 갖는 위치(P2)로부터 위치(P3)까지이며, 그 범위내에서 화상 데이터가 픽업된다.
또 상기 초기위치(P1)은 자세히 설명하면 렌즈/CCD 보유부재(7)의 단부가 상기 제3도의 스위치(21)에 접촉하여 그 출력이 변화될 때의 선형 CCD 화상센서(9)의 중심위치이다.
제12도에 있어서, D 방향은 선형 CCD 화상센서(9)의 메인-스캐닝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메인-스캐닝범위도 서브-스캐닝범위와 같이 필름화상에 대응하는 범위로 한정될 수도 있다. 35mm 필름의 경우 필름화면(G1) 치수가 세로 24mm × 가로 36mm이기 때문에 상기 서브-스캐닝 범위는 상기 일단의 위치(P2)가 스캐닝개시위치로 되고, 거기에서 상기 타단의 위치(P3)의 스캐닝종료위치까지의 거리가 36mm 가 된다.
또한, 상기 메인-스캐닝범위는 24mm 이다.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부에서 화상픽업 개시의 신호를 받으면 렌즈/CCD 보유부재(7)를 초기위치(P1)에서 스캐닝개시위치(P2)까지 고속으로 이동한다. 그 위치(P2)로부터 선형 CCD 화상센서(9)는 1라인분의 화상신호판독(메인-스캐닝)을 개시한다.
1라인분의 화상신호판독을 종료하면, 스테핑모터(18)를 소정량만 회전시켜 렌즈/CCD 보유부재(7)를 1화소분만큼 이동시킨다. 이 선형 CCD 화상센서(9)에 의한 1라인 판독과 렌즈/CCD 보유부재(7)의 보냄을 상기 스캐닝종료위치(P3)까지 반복하는 것으로써, 1프레임의 화상이 판독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탈화한 화상신호는 순차적으로 컴퓨터에 입력된다. 1프레임의 화상신호 판독을 종료하면, 렌즈/CCD 보유부재(7)를 초기위치까지 되돌리고 다음 화상픽업이 준비된다.
또 상술한 설명은 슬라이드필름(401)을 장전한 슬라이드필름 캐리어(200)를 이용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스트립형 필름(402)을 장전한 스트립필름 캐리어(250)가 장착한 35mm 필름어댑터(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동작은 동일이다.
또한, 필름, 필름 캐리어와 35mm 필름어댑터의 장착순서는 상기 순서에 한정하지 않고, 어떠한 순서라도 화상입력장치는 정확하게 동작한다.
다음에 상술한 새로운 포토시스템 대응하는 필름카트리지(300)의 구조에 관해서 제9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9도는 카트리지필름 어탭터(300)의 외관사시도이다. 제10도는 카트리지필름 어댑터(300)내의 모터 구동식 전동필름 보냄/되돌림 기구부의 사시도이다. 제11도는 상기 새로운 소프트시스템에 대응하는 필름카트리지(404)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9도에 나타낸 카트리지필름 어탭터(300)는 장치본체(1a)의 홈부(2)와 같은 외형을 갖고 이 홈부(2)에 정확히 장착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어댑터(300)에는 개폐뚜껑(302)을 가지는 필름카트리지(404)용 수납실(301)과 필름(403)의 급송로 위에 위치하고 필름화면과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의 개구(303)가 설치된다. 이 개구(303)의 위치에 급송된 필름화면상의 화상은 화상입력장치(1)의 렌즈(8)를 통해 픽업되고, 선형 CCD 화상센서(9)에 의해 판독된다.
상기 필름어댑터(300)의 측면에는 본체(1a)에 장착한 때의 위치결정을 위한 오목부(304,305)가 설치하고 있다. 이 오목부가 제공하는 위치결정작용은 상기 35mm 필름 어댑터(100)의 오목부(101, 102)의 경우와 같다.
또한, 상기 필름어댑터(300)의 표면에는 필름(403)을 카트리지(404)로부터 인출하고 이송하기 위한 조작스위치인 보냄-스위치버튼(306)과 필름(403)을 카트리지(404)내에 되돌리기 위한 되감기-스위치버튼(307)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필름어댑터(300)의 그 저면에, 장치본체(1a)에 장착된 때에 본체(1a)측의 접점(27,28)으로부터 모터구동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한 접점(326,327)과 본체(1a)측의 검출접점(30,31)을 통전시키기 위한 도전성이 있는 정보판별부재인 금속판(328)이 설치된다.
제10도에 나타내는 상기 필름어댑터(300)에 내장된 구동기구를 구성하는 모터 구동식 필름보냄/되돌림 기구부(330)에는 필름(403)의 보냄과 되돌림을 하기 위한 모터(308)와 그 모터(308)의 출력축에 고착된 피니언(311)과 필름카트리지(404)로부터 끌어 내여진 필름을 감기 위한 스풀로서 그 하부에 기어부(310)가 고착되는 감기 스풀(379)과 카트리지실(301)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카트리지(404)내의 스풀(405)(제11도 참조)에 연결가능하고 이 스풀(405)을 회전시키기 위한 축으로서 그 하부에 기어(323)가 고착된 구동축(324)과 상기 기어(310) 또는 기어(323)에 모터(308)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열(312-314)과 전달기어열(315-322)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308)의 회전력은 피니언(311)으로부터 전달기어(312, 313, 314)를 통해 기어(310)에 전달되어 감기 스풀(309)을 구동한다.
한편, 모터(308)의 회전력은 피니언(311)으로부터 전달기어 열(315 내지 322)을 통해 기어(323)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축(324)을 구동한다.
다음에 카트리지필름 어댑터(300)를 장치본체(1a)에 장착한 경우의 필름화상 입력장치(1)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필름 어댑터(300)를 장치본체(1a)의 홈부(2)에 삽입한다. 본체(1a)의 위치결정핀(23,24)과 카트리지필름 어댑터의 위치결정용 오목부(304,305)가 끼워 맞추어져 카트리지필름 어댑터가 위치결정된다. 이 상태로 카트리지 필름 어댑터(300)의 저면에 있는 접점(326, 327)이 본체의 전원공급용접점(27, 28)에 접촉하여 카트리지필름 어댑터(300)에 전원이 공급된다. 동시에 금속판(328)이 접촉하여 장치본체(1a)의 필름어댑터검출접점(30, 31)을 통전시킨다.
장치(1)는 검출접점(30, 31)이 통전된 상태이면 카트리지필름 어댑터(300)가 장착된 것을 검출한다. 그 다음에 화상입력장치(1)는 CPU (13a)에 내장된 화상판독범위 변경수단에 의해 카트리지필름의 화면크기에 대응하는 메인-스캐닝범위 및 서브-스캐닝범위를 결정 내지 변경한다.
그 서브-스캐닝범위로서는 필름카트리지수납된 필름화면(G2)과 서브-스캐닝위치의 관계를 도시한 제13도에 도시한 것처럼 선형 CCD 화상센서(9)중심의 각 이동위치를 초기위치(P1)로 하고 새로운 포토시스템에 대응하는 대응카트리지(404)의 필름(403)상의 화면의 일단의 위치를 P2′로 하고 타단의 위치를 P3′로 하면, 상기 위치(P2′)가 서브-스캐닝개시위치로 되고 상기 위치(P3′)가 서브-스캐닝 종료의 위치로 되어 위치(P2′)로부터 위치(P3′)까지가 상기 서브-스캐닝 범위로 된다.
제13도에 있어서, D 방향은 선형 CCD 화상센서(9)의 메인-스캐닝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메인-스캐닝범위도 서브-스캐닝범위와 같이 필름화상에 대응한 범위로 제한될수도 있다. 새로운 포토시스템에 대응하는 카트리지필름의 화면치수는 잡지 “파퓰러 포토그래피”(1994년 10월호 8페이지)에 따라 세로 16.7mm X 가로 30.2mm가 표준치수 이다. 따라서 상기 서브-스캐닝하여야 할 범위인 위치(P2′)로부터 위치(P3′)까지의 거리는 30.2mm이 된다. 또한, 상기 메인-스캐닝하여야 할 범위는 16.7mm가 된다.
상기 필름어댑터(300) 장착후 카트리지실(301)에 필름카트리지(404)를 삽입하고 뚜껑(302)을 닫는다. 필름보냄스위치버튼(306)을 누르면 모터(308)가 통전되어 각 기어가 제10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기 스풀(309), 구동축(324)도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축(324)에 의해 스풀(405)이 회전하면, 제11도에 나타내는 카트리지(404)의 슬릿(406)으로부터 필름(403)이 보내지고 감기 스풀(309)에 감겨지게되어 진다. 필름(403)상의 소망하는 프레임이 어댑터의 개구부(303)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도달하면, 보냄스위치 버튼(306)으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모터(308)의 통전을 멈춰 필름(403) 보냄동작을 정지시킨다. 그 후 렌즈/CCD 보유부재(7)를 상술한 초기위치(P1)를 기준으로 이동시켜 서브-스캐닝 범위인 위치(P2′, P3′)사이의 선형 CCD 화상센서(9)의 출력을 필름의 화상의 픽업데이타로서 넣지만, 그 처리 자체는 상기 35mm 필름어댑터(100)의 경우와 같다. 또 상술한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렌즈/CCD 보유부재(7)를 필름에 대하여 이동하며 스캐닝하지만 반대로 필름을 렌즈/CCD 보유부재에 대하여 이동하여 스캐닝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필름화상 입력장치(1)에 있어서는 필름을 보유하는 어댑터를 탈착가능한 별도의 어댑터로서 35mm 필름용의 필름어댑터(100)와 필름카트리지용의 필름어댑터(300)를 준비하였다. 따라서 이용자는 1개의 장치본체만으로 장착된 35mm 필름과 카트리지수납된 필름의 종류를 판별하여 그 화상을 판독하고 디지탈신호화하여 컴퓨터등에 입력하는 것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장착한 필름보유용의 어댑터의 종류를 화상입력장치로 검출하여 장착필름에 적절한 서브-스캐닝 범위를 설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쓸데없는 스캐닝이 없고, 짧은 시간내에 화상 데이타의 입력을 할 수 있다. 더욱이 필름을 보유하는 어댑터가 상술한 별도의 어댑터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새로운 타입의 필름시스템이 제안될 경우에도 그 필름시스템에 대응한 필름보유용의 어댑터만을 준비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름화상 입력장치를 적은 부담으로 각종의 필름시스템에 대응시킬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입력장치는 필름을 보유하는 필름보유수단을 필름의 타입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해 단일의 장치만으로 다른 형식의 필름의 화상을 판독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등에 간단히 넣을 수있는 화상입력장치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 필름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장치에 있어서, 제1타입의 필름(401,402)을 보유가능한 제1의 필름보유수단(100)과; 상기 제1타입의 필름과 다른 형식의 제2타입의 필름(403)을 보유가능한 제2의 필름보유수단(300)과; 일차원적인 조명범위를 갖는 상기 필름을 조명하는 조명수단(3)과; 상기 필름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선형 CCD 이미지센서(9)와; 상기 조명수단에 의해 조명된 상기 필름상의 화상을 상기 선형 CCD 이미지센서상에 결상시키는 광학부재(8)와; 상기 조명수단(3)과 상기 광학부재(8)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의 필름보유수단(100)과 상기 제2의 필름보유수단(300)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상기 화상입력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장착수단(2)과; 상기 조명수단(3)과 상기 선형 CCD 이미지센서(9)과 상기 광학부재(8)를 동일축상에 배치하여 보유함과 동시에, 상기 장착수단(2)을 피하도록 형성된 보유부재(4, 7)과; 상기 조명수단(3), 상기 선형 CCD 이미지센서(9) 및 상기 광학부재(8)를 유지하는 상기 보유부재(4, 7)를 상기 필름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이동하여, 필름면상의 스캐닝을 행하는 구동수단(15)과; 상기 제1의 필름보유수단에 탈착가능한 복수의 필름 캐리어(200, 250)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필름보유수단은, 상기 복수의 필름 캐리어중에서 선택한 1개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03)를 가지며, 상기 보유부재(4, 7)은 상기 제1 및 제2의 상기 필름보유수단이 장착되는 영역을 피하도록 대략 L 자 또는 U 자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수단(3)은, 봉상의 발광면을 갖고 있고, 또한, 상기 필름에 대하여 상기 CCD 이미지센서(9)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CCD 이미지센서의 라인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봉상의 발광면의 길이방향이 상기 라인방향과 동일하게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 필름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장치에 있어서, 제1의 화면사이즈를 갖는 제1타입의 필름(401, 402)을 보유가능한 제1의 필름보유어댑터(100)와; 제2의 화면사이즈를 갖는 상기 제1타입의 필름과는 다른 형식의 제2타입의 필름(403)을 보유가능한 제2의 필름 보유어댑터(300)와; 상기 제1의 보유어댑터와 상기 제2의 보유어댑터를 화상입력장치본체(1a)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하는 탈착수단(2)과; 상기 제1및 제2보유어댑터에 설치되고, 각각의 어댑터의 판별을 가능하게 하는 판별정보부재(107, 328)와; 상기 제1 또는 제2의 보유어댑터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판별정보부재에 의해, 어느 쪽의 필름보유어댑터가 장착된 것인가를 판단하는 어댑터판단수단(29, 30, 31)과; 상기 어댑터판단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제1타입의 필름 또는 상기 제2타입의 필름에 따른 범위의 화상을 판독하도록 판독범위를 변경하는 화상판독범위변경수단(13a)을 구비하며, 상기 제1타입의 필름은 35mm 타입필름(401, 402)이고, 상기 제2타입의 필름은 현상된 로울상 필름이 카트리지(404)안에 수납된 타입의 카트리지첨부 필름(403)이고, 상기 판별정보부재(107,328)는, 전기가 도통가능한 금속판으로 되고, 상기 보유어댑터와 상기 제2의 보유어댑터에서 다른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 필름상의 화상을 판독하는 선형 CCD 이미지센서(9)와; 직선적 조명범위를 갖고, 상기 선형 CCD 이미지센서에 평행한 봉상의 형상으로서, 상기 필름을 조명하는 조명수단(3)과; 상기 필름상의 화상을 상기 선형 CCD 이미지센서상에 결상하는 광학부재(8)와; 상기 필름의 타입은 적어도 2종류이고, 상기 각 필름을 유지하는 적어도 2개의 필름보유어댑터(100, 300)와; 상기 2개의 필름보유어댑터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화상입력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하는 착탈수단(2)과; 상기 조명수단, 상기 선형 CCD 이미지센서 및 상기 광학부재를 직선상에 배치하고, 상기 조명수단을 상기 필름보유어댑터를 피하도록 상기 광학부재 및 상기 선형 CCD 이미지센서에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보유부재(4, 7)와; 필름면상의 화상의 판독주사를 행하도록 상기 보유부재를 상기 필름에 평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수단(15)과; 적어도 2개의 필름보유어댑터중 어느 쪽의 필름보유어댑터가 장착된 것인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29,30,31)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종류의 타입의 필름중, 1개의 종류는 35mm 타입필름(401,402)이고, 다른 1개의 종류는 현상된 로울상 필름을 카트리지(404)안에 수납된 타입의 필름(4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상기 적어도 2종류의 타입의 필름의 각각의 화면사이즈에 따르는 상기 선형 CCD 이미지센서의 판독범위 및 CCD의 이동범위를 변경하는 주사 범위 변경수단(13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 필름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장치에 있어서, 제1타입의 필름(401,402)을 보유가능하게, 제1의 식별신호패턴을 갖는 제1신호패턴 부재(107)을 배설한 제1의 필름보유어댑터(100)와; 상기 제1타입의 필름과는 다른 화면사이즈로, 또한 로울상 필름이 카트리지에 격납된 제2타입의 필름(403)을 보유가능하게 상기 제1의 식별신호패턴과는 다른 제2의 식별신호패턴을 갖는 제2신호패턴부재(328)를 배설한 제2의 필름보유어댑터(300)와, 상기 제1의 보유어댑터와 상기 제2의 보유어댑터를, 화상입력장치본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하는 탈착수단(2)과; 상기 제1 또는 제2의 보유어댑터가 장착되었을 때, 어느쪽의 필름보유어댑터가 장착된 것인가를 상기 패턴에 따라서 검출하는 검출수단(29,30,31)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화상입력장치본체에 대하여 상기 보유어댑터가 탈착될 때, 상기 제1신호패턴부재 및 상기 제2신호패턴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기 신호접점(29,30,31)을 갖고, 상기 전기신호접점의 도통상태가 다름에 의하여 장착된 어댑터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필름보유어댑터는 장전된 필름을 급송이동가능한 구동기구(330)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 필름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화상입력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타입의 필름에 대응하여, 각각의 필름을 보유가능하도록 대략 동일외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종류의 필름 보유수단(100,300)과; 상기 필름 보유수단중에서 선택한 1개를 상기 화상입력장치본체에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필름보유수단의 어느것이 장착될 때에도 상기 화상입력장치 본체의 외형에 대하여 상기 필름 보유수단의 외형형상이 대략 일치하는 상태로 하는 탈착수단(2)을 구비하고, 상기 필름보유수단의 적어도 하나는, 로울상 필름(403)이 수납된 카트리지(404)를 장전보유하는 장전보유부재(301)와,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필름을 급송이동하는 구동원(308)을 포함하는 구동기구(3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 필름의 화상을 전기신호로서 판독하는 화상입력장치로서, 제1의 화면사이즈의 필름(401,402)을 보유하는 제1의 필름보유수단(100)과; 제2의 화면사이즈의 필름(403)을 보유하는 제2의 필름보유수단(300)과; 상기 제1의 필름보유어댑터와 상기 제2의 필름보유어댑터를, 화상입력장치 본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하는 장착수단(2)과; 상기 제1 및 제2의 필름보유어댑터에 설치되고, 각각의 어댑터의 판별을 가능하게 하는 판별정보부재(107,328)와; 상기 제1 또는 제2의 필름보유어댑터가 장착된 때, 상기 판별정부부재에 의하여, 어느필름보유어댑터가 장착된 것인가를 판단하는 어댑터 판단수단(29,30,31)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수단(2)은, 상기 필름보유어댑터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위치결정용 볼록부 또는 오목부(101, 102, 304, 305)중의 적어도 하나에 계합하는 위치결정수단(23,2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5)는, 판독화면범위 외의 위치를 초기위치로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구동기구의 구동원(308)은, 화상입력장치본체(1a)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고, 필름카트리지로부터의 필름의 급송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5-150553 | 1995-06-16 | ||
JP7150553A JPH098974A (ja) | 1995-06-16 | 1995-06-16 | 画像入力装置 |
PCT/JP1996/001494 WO1997000572A1 (fr) | 1995-06-16 | 1996-06-03 | Appareil d'introduction d'imag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79900B1 true KR100279900B1 (ko) | 2001-02-01 |
Family
ID=1549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704899A KR100279900B1 (ko) | 1995-06-16 | 1996-06-03 | 화상입력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5973729A (ko) |
JP (1) | JPH098974A (ko) |
KR (1) | KR100279900B1 (ko) |
CN (1) | CN1160934C (ko) |
DE (1) | DE19680169C2 (ko) |
WO (1) | WO199700057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89559A (ja) | 1996-02-21 | 1997-11-04 | Olympus Optical Co Ltd | 画像入力装置 |
US6542262B1 (en) * | 1997-02-19 | 2003-04-01 | Canon Kabushiki Kaisha | Scann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film feeding device |
US6331886B2 (en) * | 1998-02-09 | 2001-12-18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reading apparatus |
US6178016B1 (en) * | 1998-05-22 | 2001-01-23 | Eastman Kodak Company | Imaging apparatus for a photographic film image scanner |
JP3898869B2 (ja) * | 2000-03-28 | 2007-03-28 |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 画像データ入力装置 |
US20030002092A1 (en) * | 2001-06-28 | 2003-01-02 | Tecu Kirk Steven | System, method and adapter for scanning a roll of transparent media |
JP4417234B2 (ja) * | 2004-12-01 | 2010-02-17 | Hoya株式会社 | 撮像装置 |
US20090167853A1 (en) * | 2007-12-26 | 2009-07-02 | Crs Electronic Co., Ltd | Apparatus For Converting Film Images Into Digital Data |
US20090167854A1 (en) * | 2007-12-26 | 2009-07-02 | Crs Electronic Co., Ltd. | Apparatus For Converting Film Images Into Digital Data |
US20090257096A1 (en) * | 2008-04-10 | 2009-10-15 | Crs Electronic Co., Ltd | Apparatus With Display For Converting Photographs Into Digital Data |
USD835173S1 (en) * | 2017-09-29 | 2018-12-04 | Yuzhi Gui | Mini projec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29585A (en) * | 1991-02-19 | 1993-07-20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Film cartridge bar code scanner and controller for a digital imag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0934B2 (ja) * | 1980-02-25 | 1985-03-22 | 岡部 昌明 | 折り畳み自在な間仕切り |
JPS63123266A (ja) * | 1986-11-13 | 1988-05-27 | Canon Inc | 画像読取り装置 |
US4858003A (en) * | 1988-01-12 | 1989-08-15 | Eastman Kodak Company | Mechanism for handling slides and film strips |
US5092535A (en) * | 1988-04-11 | 1992-03-03 | Canon Kabushiki Kaisha | Film transport apparatus |
JPH02257760A (ja) * | 1989-03-30 | 1990-10-18 | Canon Inc | 画像読み取り装置 |
EP0410376B1 (en) * | 1989-07-25 | 1996-01-03 | Minolta Co., Ltd. | Image reproducing system |
US5047794A (en) * | 1990-07-31 | 1991-09-10 | Eastman Kodak Company | Film cassette with lock-out means for preventing load of exposed film |
EP0530027B1 (en) * | 1991-08-30 | 1998-08-05 | Nikon Corporation | An image digitizing system |
IL101374A0 (en) * | 1992-03-25 | 1992-11-15 | Scitex Corp Ltd | Apparatus for automatic scanning of a plurality of input media |
JP2906902B2 (ja) * | 1993-03-10 | 1999-06-21 |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 画像焼付方法及び装置 |
US5486895A (en) * | 1994-04-22 | 1996-01-23 | Eastman Kodak Company | Optical system for printing normal and panoramic images |
JPH0865469A (ja) * | 1994-08-24 | 1996-03-08 | Nikon Corp | フィルム画像入力装置 |
JPH0856277A (ja) * | 1994-08-11 | 1996-02-27 | Konica Corp | フィルム画像再生装置 |
US5673104A (en) * | 1995-10-06 | 1997-09-30 | Eastman Kodak Company | Photofinishing device with interchangeable film decks |
US5710642A (en) * | 1996-06-20 | 1998-01-20 | Eastman Kodak Company | Multi-format film scanner device |
-
1995
- 1995-06-16 JP JP7150553A patent/JPH098974A/ja active Pending
-
1996
- 1996-06-03 DE DE19680169T patent/DE19680169C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6-03 WO PCT/JP1996/001494 patent/WO199700057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1996-06-03 CN CNB961901306A patent/CN116093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6-03 KR KR1019960704899A patent/KR1002799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06-03 US US08/700,513 patent/US5973729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29585A (en) * | 1991-02-19 | 1993-07-20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Film cartridge bar code scanner and controller for a digital imag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9680169T1 (de) | 1998-01-22 |
CN1168210A (zh) | 1997-12-17 |
US5973729A (en) | 1999-10-26 |
DE19680169C2 (de) | 2003-04-10 |
WO1997000572A1 (fr) | 1997-01-03 |
JPH098974A (ja) | 1997-01-10 |
CN1160934C (zh) | 2004-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79900B1 (ko) | 화상입력장치 | |
US6195182B1 (en) | Scanner having a unit for identifying a type of film holding unit | |
US6331886B2 (en) | Image reading apparatus | |
EP0860979A2 (en) | Scann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film feeding device | |
US7307765B2 (en) | Image reading apparatus | |
JP3581516B2 (ja) | 画像処理装置及び読み取り制御方法 | |
JP2003075928A (ja) | 画像入力装置 | |
JP3495464B2 (ja) | マイクロフィルムカメラのマーク写し込み装置 | |
JP2003050433A (ja) | 画像入力装置 | |
JPH09289559A (ja) | 画像入力装置 | |
JP3282350B2 (ja) | フィルム画像読取装置 | |
JPH0832760A (ja) | フィルム画像入力システム | |
JPH0832773A (ja) | フィルム画像入力装置 | |
JP3513354B2 (ja) | スキャナー装置 | |
JPH01106564A (ja) | イメージスキャナ | |
JPH0837618A (ja) | 原稿ホルダー | |
JPH0865469A (ja) | フィルム画像入力装置 | |
JPH10150516A (ja) | スキャナ装置 | |
JP2005077867A (ja) | フィルムスキャナ | |
JPH0965054A (ja) | 画像入力装置 | |
JPH09312733A (ja) | フィルムスキャナ装置 | |
JPH11305354A (ja) | 画像入力装置 | |
JPH11205533A (ja) | スキャナ装置 | |
JPH1198310A (ja) | 画像読み取り装置 | |
JPH11239248A (ja) | 画像情報入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02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