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860B1 - 외측의 강체 하우징 및 내측의 유연한 백으로 이루어진 신규 용기 - Google Patents

외측의 강체 하우징 및 내측의 유연한 백으로 이루어진 신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860B1
KR100279860B1 KR1019970014956A KR19970014956A KR100279860B1 KR 100279860 B1 KR100279860 B1 KR 100279860B1 KR 1019970014956 A KR1019970014956 A KR 1019970014956A KR 19970014956 A KR19970014956 A KR 19970014956A KR 100279860 B1 KR100279860 B1 KR 100279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ethylene
container according
meth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109A (ko
Inventor
벨랭제르 마리-삐에르 꼬르빅
알랭 불리룩스
도미니끄 바쎄
Original Assignee
베아트리체 델로스탈
아토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아트리체 델로스탈, 아토샹 filed Critical 베아트리체 델로스탈
Publication of KR97007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4VLD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10T428/1341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ckag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ag Fram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폴리아미드, 관능화된 에틸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관능화된 에틸렌 중합체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로 만들어진, 부탄 가스 압력 하에 외측의 강체 하우징 및 내측의 유연한 백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측의 강체 하우징 및 내측의 유연한 백으로 이루어진 신규 용기
본 발명은 외측의 강체 하우징 및 내측의 유연한 백으로 이루어진 신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별히,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가압 부탄 가스를 수용하도록 고안되었다.
이러한 용기는 공지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금속성(강철 또는 알루미늄) 인 외측의 강체 하우징 및 내측의 유연한 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백은 외측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밸브를 통하여 외측과 통해 있다. 가스, 특히 부탄 가스가 내측 백 및 강체 하우징 사이의 공간으로 도입되고 내측 백 상에 압력을 가한다. 기계적으로 밸브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스의 작용을 통해 백 내용물을 비울 수 있다. 이러한 용기는 백의 내용물이 추진성 가스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피하게 한다. 이러한 용기는, 예를 들어, 면도용 거품 용기 (dispensers) 등의 생산용으로 현재 일상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가장 좋은 용도로는, 내측 백이 여전히 강도를 유지하면서 유연하여서, 백이 제조된 직후, 강체 하우징 내로 도입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백의 내용물의 오염 및/또는 추진성 가스 압력의 손실을 피하기 위하여, 유연한 백은 매우 낮은 부탄 투과성을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백이 필요하다.
미국특허공개공보 제 3,873,667 호는 임의로 이오노머 수지를 갖는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유연한 또는 조립식 백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혼합물을 후속적으로 열처리된다. 따라서, 당 분야의 선행 기술에 따라, 하우징 내로 유연한 백을 도입하기 전에 추가적인 처리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공정의 복잡성 및 제조 원가를 상승시킨다.
폴리아미드, 특히 PA6 는 높은 강성을 가지며, 부탄 투과성에 있어서 양호한 성질을 나타낸다고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아미드는 생성된 백이 제조 직후 강체 하우징 내로 도입되기에 유연함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폴리아미드 조성물 내에 가소제를 포함시키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그 휨 탄성율 (flexural modulus) 을 허용치로 감소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가소제의 양이 10 중량 % 이상으로 매우 높다. 그러나 폴리아미드 조성물 내에, 가소제와 같은 상당량의 첨가제의 존재는 종종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변환을 위해 채택되는 높은 온도에서 유해 생성물의 방출, 특히 가스성 방출을 야기한다.
또한, 폴리올레핀은, 그들이 불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그들의 부탄 투과 특성이 너무 낮기 때문에, 상기 유연한 백의 제조용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은 유연한 백의 두께를 높이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백의 상당한 두께는 그것이 강체 하우징 내로 도입될 때 문제를 야기하며, 생산 원가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하기를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강체 하우징 내로 도입되도록 고안된 상기 유연한 백을 위한 조성물을 발견할 것이 요구된다 :
(a) 낮은 부탄 투과성을 갖고 ;
(b) 유해 물질 방출의 문제가 없이 변환 가능하고 ;
(c) 추가적인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
(d) 백이 제조 직후 강체 하우징 내로 도입되기에 충분히 유연함.
이제, 폴리아미드 및 에틸렌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특정 재료가 상기의 최종 용도에 적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측의 강체 하우징 및 부탄 가스 압력 하에 내측의 유연한 백으로 구성된 용기를 제공하며, 상기 내측의 유연한 백은 400 내지 2000 MPa 의 건조 휨 탄성율을 가지며 하기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로 만들어진다 :
(a)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1 종 이상의 폴리아미드 ;
(b)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그래프트 또는 삼원 공중합 관능화된 불포화 단량체 공중합체인 관능화된 1 종 이상의 에틸렌 중합체 ; 및 임의로
(c) 1 종 이상의 비관능화된 폴리에틸렌.
첫 번째 구현예에서, 백을 구성하는 재료들 중, 공중합체 (b) 는 :
(b1)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그래프트 또는 삼원 공중합된 카르복실산기 또는 무수 카르복실산 기를 가진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 ; 또는
(b2)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그래프트 또는 삼원 공중합된 에폭시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
다른 대안적 구현예에 따라, 상기 백은 하기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로 만들어진다 :
(a)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폴리아미드 ;
(b) 에틸렌/C1-C4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 및
(c) 비관능화된 폴리에틸렌.
또다른 대안적 구현예에 따라, 상기 백은 하기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로 만들어진다 :
(a)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폴리아미드 ;
(b) 에틸렌/C1-C4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 및
(c) 비관능화된 폴리에틸렌.
또다른 대안적 구현예에 따라, 상기 백은 하기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로 만들어진다 :
(a)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폴리아미드 ;
(b) 에틸렌/C1-C4 알킬 (메트)아클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b1) 및 에틸렌/C1-C4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b2) 의 혼합물.
후자의 구현예에서, 공중합체 (b1) 및 (b2)의 비율은 매우 광범위하며, 예를 들어 1/3 내지 10/1, 다시 1/1 내지 3/1 일 수 있다. 또한, 본 구현예에 따른 물질의 혼합물에 촉매를 첨가할 수 있다. 용어 “촉매”는 당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어지는 의미로 사용되며, 상기에 주어진 후자의 대안적 구현예의 경우, 2 개의 공중합체 (b1) 및 (b2)를 가교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기 백의 재료 중 비관능화된 폴리에틸렌은 0.920 이하의 밀도를 갖는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 상기 백의 재료 중 비관능화된 폴리에틸렌은 LDPE, LLDPE, 바람직하게는 VLDPE, 또는 메탈로센 PE 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기 백의 재료 중 폴리아미드는 PA6 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백의 재료는 (d) 1 종 이상의 가소제를 부가함유한다.
상기 백을 위한 유리한 재료는, 재료 중량을 기초로 하여 중량 % 단위로, 하기를 함유한다 :
(a) 50 내지 70 % 의 폴리아미드 ;
(b) 5 내지 20 % 의 관능화된 에틸렌 중합체 ;
(c) 15 내지 40 % 의 비관능화된 폴리에틸렌 ; 및 임의로
(d) 0 내지 10 % 의 가소제.
상기 백을 위한 또다른 유리한 재료는, 재료 중량을 기초로 하여 중량 % 단위로, 하기를 함유한다 ;
(a) 30 내지 70 % 의 폴리아미드 ;
(b) 70 내지 30 % 의 관능화된 에틸렌 중합체; 및 임의로
(c) 0 내지 10 % 의 가소제.
또다른 구현예에 따라, 백은 600 내지 1700 MPa,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1200MPa 의 건조 휨 탄성율을 갖는다.
또한, 또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기 백의 투과성은, 두께 200 ㎛ 및 면적 210 cm2에 대해서, 35 ℃의 온도에서, 3g/년 미만, 바람직하게는 1g/년 미만이다.
이제 본 발명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백이 예를 들어 0.1 내지 1 리터의 용량을 갖는, 통상적인 디자인을 갖는다. 먼저, 목부분이 그의 상부 높이에서 형성되는, 예를 들어 강철 및 알루미늄으로 만든 외측의 강체 하우징이 제조된다. 다음으로, 밀봉하기 전, 동안 또는 후에 미래 내용물 (future content) 및 추진성 가스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도입하면서, 상기 백을 하우징 내로 삽입하고, 목에서 함께 밀봉한다. 다음으로, 밸브를 목 위에 장치한다. 백은, 예를 들어 중합체 물질의 펠렛의 블로우 압출 또는 블로우 주입성형에 의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된다.
사용되는 가스는 부탄 가스로, 상기 용어는 특히 n-부탄, 이소-부탄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가스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내측의 유연한 백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에 있으며, 이는 폴리아미드, 관능화된 에틸렌 중합체 및, 임의로 비관능화된 폴리에틸렌 및 가소제를 기재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폴리아미드”는 하기의 축합생성물을 나타낸다 :
- 예를 들어, 6 내지 12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1 개 내지 수 개의 알파-오메가-아미노산 (상기 아미노산의 예로는 아미노카프로산, 아미노-7-헵탄산, 아미노-11-운데센산 및 아미노-12-도데칸산이 있다) ; 또는
- 상기 아미노산에 상응하는 1 개 내지 수 개의 락탐류 (상기 락탐의 예로는 카프로락탐, 오에난락탐 및 라우릴락탐 등이 있다); 또는
- 1 개 내지 수 개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이산 또는 그의 염을 갖는 1 개 내지 수 개의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및/또는 방향-지방족 디아민류, 또는 그의 염의 1 개 내지 수 개의 실질적으로 화학량론적인 조합 (상기 디아민류의 예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메타크실릴렌디아민,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BACM), 비스 (3-메틸-4-아미노-시클로헥실) 메탈 (DMACM) 및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이 있고, 이산의 예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크산 (sebacic acid), 수베르산 (suberic acid) 및 도세단디카르복실산이 있다) ; 또는
- 상기 단량체들의 혼합물 ; 및
- 폴리아미드와 상화적인 다른 중합체를 임의로 갖는, 생성된 축합생성물의 혼합물.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는 PA6, PA6.6, PA6.10, PA11, PA12, PA6.12 및 PA12.12 이다. 바람직한 폴리아미드는 PA6이다. 폴리아미드의 분자량은, 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되어지는 것과 같이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관능화된 또는 비관능화된) 에틸렌 중합체가 직경 0.1 내지 5㎛ 일 수 있는 결절 형태로 상 내에 분산되어 있는, 중합체 물질의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재료 중 폴리아미드/에틸렌 중합체 [성분 (b) 및 (c)] 비율은, 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되어지는 것과 같이, 넓은 범위에 걸쳐 다양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는 매트릭스 상을 구성하기 위하여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는, 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80 중량 %, 유리하게는 50 내지 70 중량 % 를 차지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관능화된 에틸렌 중합체” 성분 (b) 는, 공단량체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이고, 또한 사슬 상에 또는 사슬을 따라 반응기 또는 기를 갖는 에틸렌이 실질부를 구성하는 중합체 생성물을 나타낸다. 상기 성분 (b) 는 상기 기재된 것들 이외의 다른 공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그래프트화되고 삼원중합화된, 그리고 기능성을 갖고 있는 단량체는 카르복실산, 에폭시, 아미노 기능 또는 다른 것들로부터 유래된 기능기를 가질 수 있다.
성분 (b1) 으로서, 본 발명은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카르복실산 기능 또는 무수 카르복실산 기능을 갖는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제공하며, 상기 단량체는 그래프트화 또는 삼원중합화된다. 예를 들어, 총 공중합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 이상의 에틸렌, 및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의 무수물을 함유하는 에틸렌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무수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직쇄, 측쇄 또는 고리형 알킬 사슬이 10 이상, 예를 들어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것들이 사용된다. 이들의 예로는 n-, 이소- 및 3-차 부틸, 에틸, 에틸-2-헥실, 에틸-2-헥실,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 에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이다.
무수물로는, 말레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릭 메틸-2-말레산 무수물, 디메틸-2,3-말레산 무수물과 같은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말레산 무수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b1)은 엘프 아토켐사에서, 상표명 LOTADER
Figure kpo00001
로 구입이 가능하다.
성분 (b2)로서, 본 발명은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에폭시 기능을 갖는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제공하며, 상기 단량체는 그래프트화 또는 삼원중합화된다.
예를 들어, 총 공중합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 이상의 에틸렌, 및 0.01 내지 10 중량 %,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의 에폭시 단량체를 함유하는 에틸렌 및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에폭시 단량체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형) 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성분 (b1) 과 관련하여 상기의 것들이 사용되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에폭시-단량체로서, 미정의 에폭시시클로로헥실기 (예컨대, 에폭시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와 같이, 상기 공중합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폭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후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b2)은 엘프 아토켐사에서, 상표명 LOTADER
Figure kpo00002
로 구입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비관능화된 폴리에틸렌”은 관능화되지 않은 에틸렌의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나타낸다.
예로서 하기를 들 수 있다 :
- 폴리에틸렌 PE, 알파-올레핀을 갖는 에틸렌, 예를 들어 35 내지 80 중량 %의 에틸렌, 메탈로센 및 지글러 (Ziegler) PE의 공중합체 ;
- 하기로부터 선택된 1 개 또는 수 개의 생성물을 갖는 에틸렌 공중합체 : (i)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 (ii)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포화 카르복실산 비닐 에스테르 ; 및 (iii)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35 내지 80 중량 %의 에틸렌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
- 상기 폴리에틸렌과 일부분으로, 예를 들어 EPR 인 엘라스토머와 같은 다른 중합체와의 혼합물.
상기 공중합체는 무작위적으로 또는 배열된 순서로 공중합화될 수 있으며, 직쇄 또는 측쇄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HDPE, LDPE, LLDPE EH는 VLDPE) 또는 메탈로센 또는 지글러 PE ;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EVA); 에틸렌/메틸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의 분자량은, 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되어지는 바와 같이 넓은 범위에서 다양할 수 있다.
바람직한 비관능화된 폴리에틸렌은 VLDPE 폴리에틸렌이다.
수 개의 성분들의 혼합물 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폴리아미드” 는 2 개 내지 수 개의 폴리아미드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은 2 개 내지 수 개의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관능화된 폴리에틸렌”은 2 개 내지 수 개의 관능화된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b)”는 2 개 내지 수 개의 (b) 각각의 예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반응 촉매는 수 개의 성분들이 반응성 단량체와 함께 존재할 때 첨가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분 (b1) 및 (b2)의 혼합물에 디메틸탈로우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가소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의미를 갖는다. 예로는 부틸벤젠 술폰아미드 (BBSA), 에틸 헥실-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EHPB) 및 데실 헥실-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DHPB) 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은 통상적인 두께, 예를 들어 5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 ㎛ 이다.
만일 다층 구조를 수득하기 위하여 사용된 층에 추가로 1 개 또는 수 개의 다른 층들을 사용한다 할지라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을 야기하지 않는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을 예시한다. 따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비율은 중량 퍼센트로 주어진다. 실시예에서, MFI 는 용융된 상태에서 흐름 지수 (flow index) 를 나타낸다.
[실시예 1]
하기의 재료를 제조한다 :
17-20의 MFI (235 ℃, 2.16 kg)를 갖는 PA6 65부 ;
0.9의 MFI (190 ℃, 2.16 kg) 및 0.920 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25부;
5 의 MFI (190 ℃, 2.16 kg) 를 갖고 중량 조성이 90.9/6.0/3.1 인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삼원중합체 10부.
상기 재료의 성분을 3 개의 계측기를 통하여, 직경 40 mm 의 2 스크류 워너 압출기의 호퍼 내로 도입한다. 압출기 총처리량은 50 kg/시간이고 회전 속도는 150 r.p.m 이다. 슬리브 및 헤드에서 재료 온도는 각각 260 ℃, 230 ℃, 235 ℃ 및 255℃이다.
수득된 펠렛은 주입성형되어 80x10x4 mm 의 슬라브를 수득하고 건조 및 포장된 상태에서 그들의 휨 탄성율을 측정한다. 상기 펠렛은 또한 블로우 압출에 의하여 평균 두께 200 ㎛ 의 백으로 변화되고, 그의 부탄 투과성이 측정된다.
ISO 표준 178 에 따라 건조 상태에서 휨 탄성율을 측정하여, MPa 로 나타내었다.
ISO 표준 178 에 따라 포장된 상태 (23 ℃, 상대습도 50 % 에서 14 일) 에서의 휨 탄성율을 측정하여, MPa 로 나타내었다.
면적 ; 210 cm2; 두께 : 200 ㎛, 온도 35 ℃의 조건 하에서 무게 분석에 의한 부탄 투과성을 측정하였다. 부탄 투과성은 g/년으로 나타낸다.
[실시예 2]
하기 재료를 제조한다 :
17-20 의 MFI (235 ℃, 2.16 kg) 를 갖는 PA6 61 부;
0.9 의 MFI (190 ℃, 2.16 kg) 및 0.920 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24 부;
5 의 MFI (190 ℃, 2.16 kg)를 갖고 중량 조성이 90.9/6.0/3.1 인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삼원중합체 10 부 ;
가소제 (BBSA) 5 부.
제조 및 실행에 대해서, 각각의 구성 성분들에 대해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이 사용되며, 가소제는 압출기 중앙으로 주입된다.
[실시예 3]
하기 재료를 제조한다 :
17-20 의 MFI (235 ℃, 2.16 kg) 를 갖는 PA6 60 부 ;
0.8 의 MFI (190 ℃, 2.16 kg) 및 0.900 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32 부;
5 의 MFI (190 ℃, 2.16 kg) 를 갖고 중량 조성이 90.9/6.0/3.1 인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삼원중합체 8 부.
제조 및 실행에 대해서, 각각의 구성 성분들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이 사용된다.
[실시예 4]
하기 재료를 제조한다 :
17-20의 MFI (235 ℃, 2.16 kg) 를 갖는 PA6 57 부;
0.8 의 MFI (190 ℃, 2.16 kg) 및 0.900의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30 부;
5 의 MFI (190 ℃, 2.16 kg) 를 갖고 중량 조성이 90.9/6.0/3.1 인 에틸렌/부틸 아클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삼원 중합체 8 부 ;
가소제 (BBSA, EHPB 또는 DHPB) 5 부.
제조 및 실행에 대해서, 각각의 구성 성분들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이 사용되며, 가소제는 압출기 중앙으로 주입된다.
[실시예 5]
하기 재료를 제조한다 :
17-20의 MFI (235 ℃, 2.16 kg) 를 갖는 PA6 50 부;
5 의 MFI (190 ℃, 2.16 kg) 를 갖고 중량 조성이 68.2/30/1.8 인 에틸렌/부틸 아클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삼원중합체 37.5 부;
6 의 MFI 를 갖고 중량 조성이 64/28/8 인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삼원중합체 11 부;
언급된 1차 삼원중합체의 마스터 뱃치 내 말레산 무수물/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반응을 위한 촉매 (디메틸 탈로우 아민) 1 부.
제조 및 실행에 대해서, 각각의 구성 성분들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며, 단 상기의 경우에 계측기의 수가 4개다.
건조 휨 탄성율, 부탄 투과성, 포장된 상태에서의 휨 탄성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의 재료들을 시험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03
분명하게, 본 발명은 실시예로 주어진 구현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용이하게 이용가능한 많은 수정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낮은 부탄 투과성을 갖고, 유해 물질 방출의 문제가 없이 변환 가능하고, 추가적으로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백이 제조 직후 강체 하우징 내로 도입되기에 충분히 유연한 백을 제공한다.

Claims (16)

  1. 외측의 강제 하우징과 부탄 가스로 가압된 내측의 유연한 백을 갖는 용기에 있어서, 내측의 유연한 백의 건조 휨 탄성율이 400 내지 2000 MPa 이며, 상기 내측의 유연한 백은 하기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 (a)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1 종 이상의 폴리아미드 ; (b)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그래프트 또는 삼원 공중합 관능화된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관능 화된 1 종 이상의 에틸렌 중합체 ; 및 임의로 (c) 1 종 이 상의 폴리에틸렌.
  2.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 (b) 가 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 (b1)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그래프트 또는 삼원 공중합된 카르복실산기 또는 무수 카르복실산 기를 가진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 ; 또는 (b2) 에틸렌/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그래프트 또는 삼원 공중합된 에폭시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이 하기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로 만들어진 용기 : (a)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폴리아미드 ; (b) 에틸렌/C1-C4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 및 (c) 폴리에틸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이 하기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로 만들어진 용기 : (a)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폴리아미드 ; (b) 에틸렌/C1-C4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 및 (c) 폴리에틸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이 하기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를 만들어진 용기 : (a)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폴리아미드 ; (b) 에틸렌/C1-C4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 (b1) 및 에틸렌/C1-C4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b2)의 혼합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의 재료중 폴리에틸렌이 LDPE, LLDPE 또는 메탈로센 PE 인 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의 재료중 폴리에틸렌이 0.920 이하의 밀도를 갖는 용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의 재료중 폴리아미드가 PA6인 용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의 재료가 (d) 1 종 이상의 가소제를 부가 함유하는 용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의 재료가 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량 % 단위로, 하기를 함유하는 용기 : (a) 50 내지 70 % 의 폴리아미드 ; (b) 5 내지 20 % 의 관능화된 에틸렌 중합체 ; (c) 15 내지 40 % 의 폴리에틸렌 ; 및 임의로 (d) 0 내지 10 %의 가소제.
  11. 제1항에 있어서, 백의 재료가, 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량 % 단위로, 하기를 함유하는 용기: (a) 30 내지 70 % 의 폴리아미드 ; (b) 70 내지 30 % 의 관능화된 에틸렌 중합체 ; 및 임의로 (c) 0 내지 10 %의 가소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의 600 내지 1700 MPa의 건조 휨 탄성율을 갖는 용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의 부탄 투과성이, 두께 200 ㎛ 및 면적 210 cm2에 대해서, 35 ℃ 의 온도에서 3 g/년 이하인 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백이 700 내지 1200 MPa의 건조 휨 탄성율을 갖는 용기.
  15. 제13항에 있어서, 백의 부탄 투과성이 두께 200 ㎛ 및 면적 210 cm2에 대해서, 35 ℃의 온도에서 1 g/년 이하인 용기.
  16. 제6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이 VLDPE인 용기.
KR1019970014956A 1996-04-22 1997-04-22 외측의 강체 하우징 및 내측의 유연한 백으로 이루어진 신규 용기 KR100279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5036 1996-04-22
FR9605036 1996-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109A KR970070109A (ko) 1997-11-07
KR100279860B1 true KR100279860B1 (ko) 2001-02-01

Family

ID=949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956A KR100279860B1 (ko) 1996-04-22 1997-04-22 외측의 강체 하우징 및 내측의 유연한 백으로 이루어진 신규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935666A (ko)
EP (2) EP0803539A1 (ko)
JP (2) JP2992246B2 (ko)
KR (1) KR100279860B1 (ko)
CN (1) CN1069330C (ko)
CA (1) CA2203287A1 (ko)
NO (1) NO971831L (ko)
TW (1) TW334410B (ko)
WO (1) WO19970401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1234C1 (de) * 1998-09-09 1999-11-25 Inventa Ag Reversible thermotrope Kunststoff-Formmass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1791909B1 (en) * 2004-09-23 2010-12-29 PolyOne Corporation Impact-modified polyamide compounds
US7228712B1 (en) * 2005-03-24 2007-06-12 Stegenga Jack B Synthetic ice and associated methods
CN105754180B (zh) * 2009-11-06 2019-11-22 惠普开发有限公司 喷墨记录材料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51512B (ko) * 1964-05-07
US3433391A (en) * 1966-03-07 1969-03-18 Continental Can Co Dispensing container with collapsible compartment
US3467283A (en) * 1968-01-18 1969-09-16 Continental Can Co Dispensing container with collapsible compartment
US3873667A (en) * 1971-03-18 1975-03-25 Continental Can Co Process for preparing articles fabricated from polyolefin/polyamide blends having low permeability to gases
US5212238A (en) * 1988-12-22 1993-05-18 Ferro Corporation Toughened compositions of polyamide and functionalized rubber block or graft copolymers
ZA899629B (en) * 1988-12-22 1990-09-26 Ferro Corp Toughened compositions of polyamide and functionalized rubber block or graft copolymers
BR9205702A (pt) * 1991-03-05 1994-05-17 Allied Signal Inc Composiçáo de moldagem termoplástica e processo para sua produçáo
US5234993A (en) * 1991-11-08 1993-08-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king polyamide/polyolefin blends having superior improved toughness and stiffness
DE4407712A1 (de) * 1993-03-24 1994-09-29 Inventa Ag Ternäre Polymermischung und ihre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109A (ko) 1997-11-07
TW334410B (en) 1998-06-21
CA2203287A1 (fr) 1997-10-22
NO971831L (no) 1997-10-23
NO971831D0 (no) 1997-04-21
EP0895527A1 (fr) 1999-02-10
JP2992246B2 (ja) 1999-12-20
CN1166439A (zh) 1997-12-03
CN1069330C (zh) 2001-08-08
WO1997040101A1 (fr) 1997-10-30
US5935666A (en) 1999-08-10
EP0803539A1 (fr) 1997-10-29
JPH1053288A (ja) 1998-02-24
JP2000508707A (ja) 200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889B1 (ko) 폴리아미드 기재 열가소성 조성물
KR19980086985A (ko) 다층 복합제용 커플링제
ES2224930T3 (es) Deposito de carburante con estructura multicapa.
CN100439419C (zh) 共聚酰胺
CA2351152A1 (en) Polymer blend having good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JP3227118B2 (ja) ポリアミドと、ポリアミド/ポリエーテルブロックポリマーと、官能基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とからなる材料と、それから得られるフィルムおよび物品
EP0407880B1 (en) Multilayer contain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340611B1 (ko) 개선된인장강도를갖는굴곡성열가소성수지
US4803247A (en) Polyamide compositions having nitrile rubber and copolymer of ethylene and alpha-olefin therein
JPH01311149A (ja) 強じん、耐塩、耐燃料性組成物
JPH03108534A (ja) 大型容器
KR100279860B1 (ko) 외측의 강체 하우징 및 내측의 유연한 백으로 이루어진 신규 용기
JP3450893B2 (ja) ポリアミド含有ポリマー混合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US6451911B1 (en) Composition based on an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and its use
AU632962B2 (en)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JPH08283431A (ja) ポリアミドベースの二軸延伸フィルム
KR100227397B1 (ko) 내충격성 사출 폴리아미드 성분
EP0526230A1 (en) Polyolefin based blend containing reactive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S62138228A (ja) 複層中空成形容器の製造法
JPH08231805A (ja) 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物
JPH02286741A (ja) 耐衝撃非晶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