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242B1 - 선택 작동 라이터 - Google Patents

선택 작동 라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242B1
KR100278242B1 KR1019950701563A KR19950701563A KR100278242B1 KR 100278242 B1 KR100278242 B1 KR 100278242B1 KR 1019950701563 A KR1019950701563 A KR 1019950701563A KR 19950701563 A KR19950701563 A KR 19950701563A KR 100278242 B1 KR100278242 B1 KR 100278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er
fuel
housing
valve actuato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4650A (ko
Inventor
제임스엠.맥도노프
플로이드비.페이르반크스
진-미첼모니에르
Original Assignee
켈허 토마스 엠.
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켈허 토마스 엠., 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켈허 토마스 엠.
Publication of KR950704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4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F23Q2/164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28Lighter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ignition of the fuel
    • F23Q2/285Lighter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ignition of the fuel with spark ignition
    • F23Q2/287Lighter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ignition of the fuel with spark ignition piezo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부탄과 같은 연소될 가스매질을 수용하는 저장기(12)를 한정 짓는 본체, 보통은 닫힌 위치 그리고 가스매질의 방출을 허용하는 열린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배열된 밸브(20)를 갖추고 있는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라이터장치(10)가 나타나 있다. 이런 라이터(10)는 가스매질 방출구 근처(19, 22)에 선택적으로 스파크를 발생시켜서 가스매질을 점화시킬 수 있다. 이런 라이터 장치(10)는 보통은 밸브(22)의 작동을 막는 탄성적으로 풀릴 수 있는 밸브작동기(14)를 갖추고 있다. 밸브작동기(14)는 라이터 본체의 방해부분(12A)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제 11 도 참조)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해부분(14A)을 가지고 있어서 가스매질이 방출되어 스파크에 의해서 점화될 수 있다. 일단 밸브작동기(14)는 눌려서 풀리면, 닫힌위치 또는 걸쇠가 걸린 위치로 복귀하여 열린위치에 대한 밸브의 작동을 막는다. 라이터를 다시 사용하려면, 밸브작동기(14)가 다시 걸쇠가 풀린 위치로 이동되어 밸브(22)가 작동되고 뒤이어 가스매질의 점화가 일어날 수 있어야 한다.

Description

선택 작동 라이터
제1도는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라이터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라이터는 걸쇠가 걸린 배열을 취하고 있다.
제2도는 걸쇠가 걸린 배열로 있는 밸브작동기를 나타내는 제1도의 라이터의 부분적인 횡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낸 밸브작동기의 투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밸브작동기의 측면도이다.
제5도는 제3도에 나타낸 밸브작동기의 밑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며, 열린위치로 나타나 있는 선택스위치, 방해장치, 스파크의 발생과 연료의 흐름을 막도록 걸쇠가 걸린 위치로 나타나 있는 공이/연료 방출장치를 갖추고 있는 압전기 라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제7도는 닫힌 위치에 있는 스위치 그리고 걸쇠가 걸린 위치에 있는 공이/연료방출장치를 갖추고 있는 제6도의 압전기 라이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으로서 불꽃도 도시되어 있다.
제8도는 걸쇠가 풀린 배열상태에 있는 라이터의 선호되는 실시예의 투시도로서 이 배열에서 밸브작동기는 걸쇠가 풀린 위치에 있어서 밸브작동기의 눌림을 허용하여 밸브가 열려서 가스가 연료노즐을 통하여 방출되도록 허용한다.
제9도는 제8도의 라이터의 투시도로서 밸브작동기는 눌린 위치에 있고 밸브는 열려 있으며 불꽃이 나타나 있다.
제10도는 라이터의 선호되는 실시예의 부분적인 횡단면도로서 라이터는 걸쇠가 걸린 배열을 취하여 밸브작동기가 눌려서 작동하는 것을 막는다.
제11도는 제10도의 라이터의 부분적인 횡단면도로서 라이터는 걸쇠가 풀린위치에 있고 밸브작동기는 눌리지 않으며 라이터는 작동할 준비태세이다.
제12도는 제11도의 라이터의 부분적인 횡단면도로서 라이터는 부분적으로 걸쇠가 풀린 배열상태에 있으며 밸브작동기는 완전히 눌려서 연료의 흐름을 허용한다.
제13도는 제12도의 라이터를 더욱 자세히 나타내는 부분 횡단면도이다.
제14도는 밸브작동기가 완전히 눌려서 풀린후의 제12도의 라이터의 부분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연료장치 10 : 라이터
11 : 보정스프링 장치 12 : 주요본체부(하우징)
12A : 하우징의 방해부분 12B : 하우징 방해부분(캠장치)
12C : 캠장치 13 : 측면벽부분
13A : 신장된 부분 14 : 밸브작동기
14A : 밸브작동기 방해부분 14B : 밸브작동기 정지부분
15 : 내부챔버 17 : 홈
18 : 스파크 발생 휠부품 19 : 날이선 표면
20 : 중공연료노즐 21 : 플랜지
22 : 라이터들 23 : 플랜지
23A : 플랜지 확장부 24 : 구멍
26 : 스프링 28 : 밸브하우징
29 : 스프링 하우징 30 : 스프링
31 : 손가락으로 눌리는 표면 32 : 실드(shield)
35 : 밸브작동기(14)의 부분 36 : 확장부
37 : 밸브작동기 결합구조 37A, 37B : 홈
38 : 노즐구멍 39 : 하우징 결합구조
39A, 39B : 돌출부(홈) 40 : 밸브작동기 결합구조
40A, 40B : 밸브작동기 결합구조의 부분
64 : 연료방출장치(공이장치) 66 : 스파크 발생장치
68 : 전기차단스위치 70 : 방해장치
71 : 밸브장치
본 건은 "선택 작동 라이터"라는 제목으로 1991년 7월 1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 07/723,989 호의 부분 연속출원이며, 이것은 "선택 작동 라이터"라는 제목으로 1990년 11월 6일에 출원했다가 포기한 미국특허출원 제 07/609,668 호의 부분 연속 출원이고, 이것은 "선택 작동 라이터"라는 제목으로 1988년 9월 2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 07/239,734 호의 부분 연속출원인데, 이것은 1991년 3월 26일에 미국특허 제 5,002,482 호로 등록되었다. 본 건은 또한 "선택 작동 라이터"라는 제목으로 1992년 7월 10일에 출원된 미국특허 제 07/912,421 호의 부분 연속출원이며, 이것은 미국특허출원 제 07/609,668 호의 연속 출원이다. 이들 4개의 특허출원 각각은 여기서는 참고자료로서 통합된다.
본 건은 또한 1992년 6월 30일에 등록된 "양방향의 선택 작동 라이터"라는 제목의 미국특허 제 5,125,829 호 그리고 1992년 3월 3일에 등록된 "잠금용 밸브 캡을 갖춘 선택 작동 라이터"라는 제목의 미국특허 제 5,092,764 호와 관련된다. 본 건은 또한 각각 "선택 작동 라이터"라는 제목으로 본건과 동시에 출원된 3건의 미국특허출원과 관련된다. 이들 두개의 특허와 세개의 특허출원 각각은 여기서는 참고자료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예로 액체상태로 저장기에 저장되었다가 밸브장치를 통과하여 마침내 스파크 또는 다른 비슷한 장치에 의해서 점화되는 부탄과 같은 연료를 소비하는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부탄을 사용하는 담배 라이터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밸브작동기가 눌리는 것을 간섭하고 다시 밸브노즐로부터 연료가 방출되는 것을 그리고/또는 스파크의 발생을 방해하며 어린아이들이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어렵게 하는 선택적인 배열을 갖는다. 유리하게, 이 라이터의 이런 특징은 밸브작동기 비간섭 위치로 이동시켜서 불꽃의 발생을 촉진시킴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수많은 라이터들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중의 몇개의 어떤 사용자들은 라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이 어렵도록 디자인된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런 특징들중 몇개는 라이터가 적당히 정렬되지 않는한 연료원의 점화를 막도록 디자인된 기구, 연료원 공급밸브를 자동으로 잠그고, 보호배열을 방해하도록 디자인 기구(mechanism)에 관련된다.
최근에는 불꽃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라이터를 쉽게 작동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쪽으로 주의가 집중되어 있다. 이런 사람들이란 보통 5세 미만의 어린이들이다.
미국특허 제 4,784,601 호의 연료흐름을 제어하는 가스 레버의 하강을 방해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L자형의 미끄럼 가능한 스토퍼를 가진 가스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 라이터는 스토퍼의 수직 다리가 라이터 하우징의 상부표면으로부터 이동되도록 스토퍼를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L자형 미끄럼 가능 스토퍼는 라이터를 잠그는 것이 요구될때마다 수동으로 잠금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미국특허 제 4,784,602 호는 연료흐름을 제어하는 가스 레버의 하강을 방해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L자형의 미끄럼 가능 스토퍼를 가진 가스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 라이터는 스토퍼의 수직 핀이 라이터 하우징의 표면에 있는 구멍안으로 끼워지도록 스토퍼를 안쪽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작동된다. L자형 스토퍼는 라이터를 잠글때마다 수동으로 잠금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미국특허 제 4,786,248 호는 라이터 케이싱안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진 나비 래치가 장착된 압전기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나비 래치는 나비 푸셔의 누름을 방해하는 위치의 안팎으로 수동으로 미끄럼이 가능하다. 이 라이터는 나비 래치를 풀린 위치로 수동으로 미끄러뜨리므로써 작동하게 된다. 라이터의 작동후, 사용자는 라이터를 잠그기 위해 나비 래치를 수동으로 잠금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미국특허 제 4,904,180 호는 라이터의 사용후 자동적으로 잠금위치로 되돌아가는 잠금장치가 장착된 압전기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잠금장치는 스토퍼 및 이 스토퍼를 바람막이를 향해 조여주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라이터는 스토퍼가 바람막이로부터 떨어져 후방으로 당겨진후에만 작동될 수 있다. 라이터는 사용자에 의한 계속적인 힘의 적용없이는 스토퍼를 당겨진 후방 위치에 유지할 수 없다. 즉, 라이터를 풀린 위치에 유지할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다.
미국특허 제 1,895,032 호는 수동제어장치가 눌리는 것이 가능하므로써 라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동제어 장치가 라이터의 견부부분과 분리되어 이동이 가능한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제어장치는 라이터의 사용후 견부부분과 결합된 위치로 복귀한다. 라이터는 사용자의 계속적인 힘의 적용없이는 제어장치를 분리위치에 유지할 수 없다.
미국특허 제 4,830,603 호는 잠금장치가 밸브 작동 누름 버튼의 부분적으로 아래에 제공되어 있으며 연료용기와는 별도의 부속용기 안으로 뻗어 있는 담배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잠금장치는 누름버튼이 눌릴때마다 다시 잠겨진다. 특히, 강하게 신축성있는 스프링 강선의 한쪽 단부가 용기안에 단단히 유지된다. 스프링 강선의 한쪽 단부가 용기안에 단단히 유지된다. 스프링 강선의 다른 단부는 누름버튼의 아래쪽에 제공된 채널안으로 뻗은 하나의 탐침을 형성한다. 스프링 강선은 잠긴상태에서, 누름 버튼의 아래쪽에 있는 하부판을 고정시키므로써 누름단추의 누름을 방해한다. 라이터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스프링 강선의 고리형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접근이 가능하여 적절히 이동될 수 있어 탐침이 누름버튼의 아래쪽에 있는 채널안에서 이동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 4,832,596 호는 가스밸브 작동 레버를 이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 정지부재를 가진 담배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정지 부재는 전통적인 일회용 담배 라이터의 상부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다. 정지부재는 단부들중 하나가 라이터의 가스밸브 작동 레버 아래에 위치하도록 작동되어 가스밸브를 열 수 있는 방향으로의 레버의 이동을 방지한다. 레버는 정지부재가 스프링의 작용력의 반대방향으로 밀린후 작동되므로써 라이터의 가스밸브 아래에 있는 단부를 바깥쪽으로 미끄러뜨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4,717,335 호는 스파크 발생휠의 회전이 제한된 담배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파크 발생휠은 가스연료가 통과하는 노즐을 향해 스팥크를 전달하기 위해 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써 연료가 점화되어 라이터를 작동시킨다. 다른 방향으로의 스파크 발생휠의 회전은 스파크를 노즐로부터 떨어져 전달하게 된다. 스파크 발생휠은 하우징 구조물과 접촉하므로써 휠의 회전을 360°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휠에 부착된 핀형 구조물을 갖고 있다. 따라서, 스파크의 실제 발생 여부는 시도된 회전방향과 하우징 구조물에 대한 핀형 구조물의 위치에 의존한다. 이론적으로는 일단, 라이터가 작동되어 연료가 점화되고, 핀형 구조물이 전체 이동경로를 통과하면, 핀형 구조물이 하우징과 접촉하게 되어 연료 노즐 근처에서의 스파크 발생을 방해하기 때문에 라이터의 연속작동이 방해된다.
미국특허 제 4,028,043 호 및 제 4,049,370 호는 각각 라이터의 스파크 발생휠, 연료노즐 또는 가압 밸브 작동부재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판매전 탬퍼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유연한 웨브들에 의해 라이터 하우징에 부착도이며, 스파크 발생휠, 연료노즐 또는 가압밸브 작동부재를 노출시키기 위해 라이터의 판매후 사용자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나, 이러한 판매전 탬퍼 보호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일단 제거되면 가치가 없어지게 된다.
미국특허 제 3,547,566 호 및 제 3,899,286 호는 독립된 상태에서의 라이터의 작동을 방해하는 방향 감지장치를 가진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장치는 일정방향에서의 작동만을 방지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에 대한 충분한 보호를 제공할 수 없다.
미국특허 제 4,921,420 호는 전통적인 라이터 장치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이완장치를 가진 일회용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 라이터는 이완장치가 이완될때만 작동될 수 있다. 이완장치와 전통적인 라이터 장치의 간격은 어린이들이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어렵게하기 위해 충분히 크도록 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5,074,781 호는 가압밸브 작동기가 눌려져 라이터가 작동되도록 라이터의 한쪽을 향해 특정방향으로 회전 되어지는 잠금부재를 가진 담배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 5,076,783 호는 라이터의 반대편 단부까기 연장되어 잠금부재와 접촉하는 수직로드에 결합된 가압밸브 작동기를 가진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 5,090,893 호는 제 1 위치에 있을때 밸브작동기의 누름을 방해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가진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부재는 밸브작동기가 눌러질 수 있는 제 2 위치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다. 이 미끄럼부재는 수직운동을 할 수 없다. 부가적으로, 이 미끄럼부재는 제 1 위치에 있을때 라이터로부터 돌출한다.
어떤 사용자들에게는 라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이 더 어렵도록 디자인된 많은 기구들은 불필요하게 복잡하고 제조하기 어려우며, 사용하는 동안 기계적으로 고장나기 쉬우며 그리고/또는 부수적인 요소들이 라이터에 결합되어야 한다.
예로, 몇몇 장치에 사용되는 특별한 구조는 하우징이 이런 기구들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커야하기 때문에 라이터 하우징의 모양과 크기를 제한한다. 몇몇기구들은 상대적으로 쉽게 고장날 수 있어서 몇몇장치들은 충분히 신뢰성이 없다. 예로, 몇몇 기구들은 상대적으로 쉽게 지치거나 제거된다. 몇몇장치들은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가 사용하기에 똑같게 적당하지는 않고, 몇몇장치들은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되어야 하는 불편하게 모양지워지거나 또는 위치지워진 레버 또는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 몇몇장치들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후에 수동으로 라이터를 잠그어야 한다. 더구나, 이런 장치들중의 몇몇에서는 기구가 작동한후에 그리고 라이터가 작동되어 불꽃을 발생시키기 전에 사용자의 손안에 라이터를 재위치시켜야 한다. 예로, 몇몇 라이터들은 밸브작동장치로부터 충분히 떨어진곳에 또는 밸브작동기 장치보다는 라이터의 또다른 측면에 작동기구를 갖추고 있어서 라이터의 작동을 어렵게 한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어린아이는 다룰 수 없는 라이터의 개발은 아마도 존속할 수 없을 것이다. 기껏해야, 어린이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는 특징을 갖는 라이터를 만들도록 노력할 수 있으나, 어린이에게 안전한 라이터가 어떻게 존재할 것인지는 많은 요인들과 환경들에 달려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는 특징을 갖는 어떤 라이터는 어린이에 대해서 한계성을 가질 것이고, 이런 라이터들은 부모들이 라이터를 사용하는데 부주의하거나 또는 어린이들이 라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부모 또는 어른들에게 안전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제공하여서는 않된다. 더구나, 이런 라이터들은 어른들로 하여금 잠재적으로 더 위험한 성냥과 같은 대안적인 점화 형식을 사용하도록 할만큼 점화하기 어렵게 만들어지면 않된다.
본 발명은 신뢰할 수 있게 불꽃을 발생시키는 라이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 라이터는 5세 미만의 어린이들은 라이터를 작동시켜 불꽃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반면에, 어른들은 친근감 있게 작동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밸브작동기를 갖추고 있으며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불꽃을 발생시키는 라이터에 관한 것으로 밸브작동기는 보통은 걸쇠가 걸린 위치에 있고 그리고 라이터가 작동될 수 있는 걸쇠가 걸리지 않은 위치 또는 비간섭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밸브작동기는 자신이 눌릴 수 없는 걸쇠가 걸린 위치로부터 눌려서 연료가 흐를 수 있는 걸쇠가 풀린 위치로 안쪽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밸브작동기는 사용자가 가하는 힘없이도 걸쇠가 걸린 위치와 풀린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일단 밸브 작동기가 걸쇠가 풀린위치로 이동되면, 밸브작동기가 눌리고 풀려서 밸브작동기는 걸쇠가 걸린 위치로 복귀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의 라이터는 부수적인 요소들의 결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라이터의 밸브작동기는 사용자가 밸브작동기를 누르기 위해서 사용하는 같은 손가락으로 걸쇠가 걸린 위치로부터 걸쇠가 풀린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손안에 라이터를 재위치시킬 필요가 없다. 이 라이터는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가 사용하기에 똑같이 쉽다. 이 라이터는 어린이들에 대한 안전성의 효과를 감소시킴이 없이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에 의해서 가급적이면 비슷하게 작동된다. 즉, 밸브작동기는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에 의해서 작동되는가에 관계없이, 걸쇠가 걸린 위치로부터 걸쇠가 풀린위치까지 단일 경로만을 따라서 이동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별한 실시예는, 연료를 선택적으로 방출시키는 장치 그리고 연료를 점화시키는 장치를 갖추고 있는 향상된 라이터에 관한 것인데 밸브작동기가 눌릴 수 없는 제 1 위치로부터 눌려서 라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 2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는 밸브작동기가 향상된 것이다.
가급적이면,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의 안쪽에 있고, 밸브작동기는 외부력이 필요없이 제 2 위치에 유지된다. 부가적으로, 밸브작동기는 눌려서 풀린후에 제 1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밸브작동기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단일경로만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는데, 이 단일경로는 왼손잡이뿐만아니라 오른손잡이에게도 똑같이 적합하다.
이 라이터의 선호되는 실시예는 밸브작동기가 제 2 위치에서 눌림에 따라 이 밸브작동기를 제 1 위치를 향하여 바깥쪽으로 편향시키는 캠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 라이터는 제 1 위치에 있을때 밸브작동기가 눌리는 것을 막는 방해부분을 가지고 있다. 가급적이면, 밸브작동기는 제 1 결합구조를 가지며 라이터는 제 2 결합구조를 갖는데, 제 2 결합구조는 밸브작동기가 눌려서 풀린후에 제 1 결합구조에 치우침력을 가하여, 이 치우침력은 밸브작동기를 제 1 방향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밸브작동기를 치우치게 한다.
연료를 점화시키는 장치는 라이터돌 물질 그리고 이 라이터돌 물질에 선택적이고 마찰적으로 접촉하도록 위치지워지고 배치된 날이선 표면을 가지고 있는 회전식 스파크 발생휠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료를 점화시키는 장치는 압전기 스파크 발생장치와 같은 전기 스파크 발생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막무가내식으로는 작동하지 않고 보통은 걸쇠가 걸린 배열로 유지되며 하우징; 점화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 연료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장치; 그리고 보통은 연료의 흐름을 막고 그리고 눌려서 연료공급장치로부터 연료가 흘러나오도록 허용하는 밸브작동기를 갖추고 있으며 불꽃을 발생시키는 라이터에 관한 것인데, 밸브작동기는 비-방해위치로 이동된 후에만 눌릴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밸브작동기가 비-방해위치에 대하여 안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밸브작동기의 방해부분이 하우징의 방해부분과의 정렬에서 벗어나도록 이동하여 밸브작동기가 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향상된 라이터에 관한 것으로 연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밸브장치, 연료를 점화시키는 장치, 밸브장치를 작동시켜서 연료를 방출시키게 하는 밸브작동기 장치, 밸브작동기 장치에 의해서 연료노즐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질때 연료를 방출하는 연료노즐을 포함한 밸브장치로 구성되는데, 밸브작동기가 초기에 작동될때 연료노즐을 아래쪽으로 유지시키는 보정스프링이 향상된 점이다. 보정스프링은 가급적이면 밸브작동기 장치와 연료노즐의 부분사이에 위치하여 연료노즐을 아래쪽으로 구속시킨다. 보정 스프링은 가급적이면 금속코일 스프링이다. 연료노즐을 가급적이면 보통은 밸브작동기 장치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치우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라이터는 보통은 밸브작동기 장치의 작동을 방해하도록 위치지워진 방해장치를 포함하며, 보정스프링 장치는 이 방해장치가 밸브작동기 장치의 작동을 방해하도록 보통 위치 지워질때 밸브작동기 장치의 이동을 보정한다.
이 라이터의 작동에는 어느정도의 민첩함 그리고 여러 방향으로 특정 순서로 여러가지 힘들을 적용시키는것 뿐만아니라 집중된 힘들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가적으로, 이 라이터의 작동에는 어느정도의 인식력이 필요하다.
유리하게, 본 발명의 라이터는 걸쇠가 걸리는/걸쇠가 풀리는 특징을 제공하기 위해서 부수적인 요소들의 결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구나, 본 발명의 라이터는 수동의 걸쇠 걸기식 라이터이다. 유리하게, 이 라이터는 일단 눌려진 밸브작동기가 풀리면 걸쇠가 걸린 배열로 자동으로 돌아온다. 그러므로, 이 라이터는 걸쇠가 걸려서 연료의 흐름과 불꽃의 생성을 막는 정지상태 또는 디폴트 배열로 유지된다.
이 라이터는 왼손잡이 뿐만아니라 오른손잡이도 사용하기에 똑같이 쉽고 오른손과 왼손잡이에 의해서 비슷하게 작동된다. 더구나, 사용자는 자신의 손안에서 라이터를 재위치 시킬 필요없이 밸브작동기를 누르는데 사용한 손가락과 똑같은 손가락으로 래치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런것과 다른것들, 특징들,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뚜렷해질 것이다.
제 1 도에는 주요본체부분(12), 밸브작동기(14), 그리고 톱날이 세워진 표면(19)를 포함하는 스파크 발생휠부품(18) 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라이터(10)가 디폴트 또는 정지 배열상태로 나타나 있다. 유리하게, 디폴트 배열은 또한 걸쇠가 걸린 배열 로서 이 배열에서 밸브작동기(14)는 걸쇠가 걸린위치에 있어서 눌릴 수 없다. 하우징(12)의 방해부분(나타나 있지 않음)에 의한 간섭으로 인해서 밸브작동기는 걸쇠가 걸린 위치에 있을때 눌리지 못하게 저지된다. 밸브작동기(14)의 눌림은 연료가 연료노즐을 통해 흘러서 마찰적으로 라이터들과 맞물리는 스파크 생성휠부품(18)의 날이세워진 표면(19)에 의해서 생성된 스파크에 의해서 점화되도록 허용한다. 유리하게, 밸브작동기(14)가 정지 또는 디폴트 위치로 부터 벗어나 비-방해 위치로 놓이지 않는다면, 아무리 밸브작동기(14)를 눌러도 연료가 흐르지 않고 라이터는 작동하지 않는다. 제 1 과 2 도에 나타낸대로 밸브작동기(14)의 위치는 보통의 상태하에서 "디폴트 위치"로서 특징지워질 수 있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밸브작동기가 하우징에 대하여 다양한 배열, 모양 그리고 상대적인 위치가 존재하는데 하우징에서 밸브작동기는 방해 또는 걸쇠가 걸린 위치와 비-방해 또는 걸쇠가 풀린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호되는 실시예 위주로 설명될텐데 이 예에서 밸브작동기는 걸쇠가 걸린위치에 있을때는 눌릴 수 없지만, 걸쇠가 풀린 위치로 이동된 후에는 눌릴 수 있다. 걸쇠가 걸린 위치로부터 걸쇠가 풀린 위치로 밸브작동기가 이동하는 것에는 밸브작동기가 안쪽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이 포함된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서, 밸브작동의 이러한 안쪽으로의 운동에는 밸브작동기의 어떤 부분의 안쪽으로의 운동 또는 요소가 포함된다고 취급된다. 밸브작동기는 걸쇠가 풀린 위치로 사용자에 의해서 이동된 후에는 가급적이면 이 위치에 유지되고, 그리고 일단 사용자가 밸브작동기를 눌려서 풀어놓으면 가급적이면 걸쇠가 걸린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사용자는 기존 라이터의 주요 본체부를 손안에 잡고, 엄지손가락으로 스파크 발생휠을 밸브작동기의 표면을 향하여 회전시켜서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밸브작동기를 눌러서 연료가 연료 또는 밸브, 노즐을 통과하도록 허용한다. 휠에 의해서 발생된 스파크는 연료를 점화시킨다. 이것은 일회용 라이터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라이터에 대해 상대적으로 진부한 구조이다.
제 2 도에는, 제 1 도의 라이터의 횡단면도가 나타나 있는데 라이터는 걸쇠가 걸려 있다. 특히, 밸브작동기(14)는 본체부(12)의 측면벽의 확장부를 포함하는 측면벽 부분(13) 사이에 설치된다(제 1 도 참조). 밸브작동기(14)는 측면벽부분(13)들에 선회할 수 있게 설치된다. 유리하게, 신장된 구멍(13A)(제 1 도 참조)은 측면벽부분(13)들에 형성되어 밸브작동기의 확장부들을 수용하여서 밸브작동기는 안쪽과 바깥쪽으로 미끄러지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구멍들 둘레를 선회할 수 있다. 구멍(13A)들은 곡선형 부분들을 가지고 있는 신장된 구멍들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이경우에는 구멍들 내에서 밸브작동기가 미끄러짐으로써 밸브작동기 확장부들은 위쪽으로 그리고/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구멍(13A)들은 밸브작동기의 이동을 제한한다. 밸브작동기(14)는 밸브하우징(28)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지지되는 중공연료노즐(hollow fuel zozzle, 20)에 부착된다. 중공연료노즐(20)은 플랜지(21), 보정 스프링 장치(11) 그리고 플랜지 확장부(23A)에 의해서 밸브작동기(14)에 있는 슬롯과 같은 틈새내에 유지된다. 플랜지(21)와 플랜지 확장부(23A)는 각각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밸브작동기(14)에 있는 슬롯을 통하여 노즐(20)이 미끄러지는 것을 막도록 배열된다. 부가적으로, 스프링장치(11)는 플랜지(21)과 마찬가지로 제 2 도에 나타나 있듯이 연료노즐(20)에 부착된 플랜지(23)에 의해서 유지된다. 눌린 스프링장치(30)는 밸브작동기(14)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연료노즐(20)을 밸브하우징(28)과 본체부(12)안으로 아래쪽으로 구속시킨다. 특히, 눌린 스프링(30)은 플랜지(23)에 힘을 공급하는 스프링장치(11)에 밸브작동기(14)가 힘을 가하도록 하여, 노즐(20)을 밸브하우징(28)과 본체부(12)안으로 아래쪽으로 구속시키어 노즐(20)을 통해서 연료가 흐르는 것을 막는다. 부가적으로, 노즐(20) 근처에서 밸브작동기(14)의 아래쪽으로의 움직임은 밸브작동기(14)의 밑면과 플랜지 확장부(23A)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제한된다. 이런 실시예에서, 밸브작동기(14)가 사용되어 플랜지(21)에 힘을 가하여 노즐(20)을 들어올려서 연료를 방출시킨다. 밸브부품(완전히 나타나 있지 않음)은 노즐(20)의 움푹패인 단부 근처에 위치하여 밸브작동기(14)가 눌리고 노즐(20)이 들어올려질때 노즐(20)을 통해서 연료가 흐르도록 허용한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밸브작동기(14)의 작동은 일반적으로 노즐(20) 근처에 있는 밸브작동기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초래한다. 그러나, 제 2 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노즐(20)은 보정스프링(11)의 작용때문에 노즐(20) 근처에 있는 밸브작동기(14)의 위쪽으로의 초기이동동안 아래쪽으로 유지된다. 특히, 노즐(20)은 일단 노즐(20) 근처에 있는 밸브작동기가 위쪽으로 움직이면 위쪽으로 충분한 양만큼 움직여서 노즐(20) 근처에 있는 밸브작동기의 표면이 플랜지(21)와 접촉한다. 유리하게, 라이터가 걸쇠가 걸린 배열상태에 있을동안, 밸브작동기 방해부분(14A)와 하우징 방해부분(12A) 사이의 갭과 같은것 때문에 노즐(20) 근처에 있는 밸브작동기를 위쪽으로 움직이게 하는 동안 밸브작동기의 눌림은 연료노즐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전혀 초래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연료는 밸브작동기가 눌리고 반면에 라이터는 걸쇠가 걸린 상태에 있을때는 방출되지 않는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이런 보정스프링은 걸쇠가 걸린 상태일때 밸브작동기의 눌림을 허용하는 그렇지않으면 이런 눌림에 의해서 연료가 방출하게 되는 갭을 가지고 있는 라이터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라이터(10)는 또한 주요본체(12)내에 있는 스프링 하우징(29)과 라이터들에 의해서 한정된 구멍(24)내에 설치된 스파크를 일으키는 라이터돌(22)을 갖추고 있다. 라이터돌(22)은 휠부품(18)의 톱날이 선표면(19)을 향하여 스프링(26)에 의해서 구속된다.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휠부품(18)은, 가급적이면 적당하게 굳고 라이터돌(22)이 기대어 구속되는 날이선 표면(19)을 포함하는데, 기존의 방식대로 측면벽 확장부들(13)사이에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날이선 표면(19)은 적당한 홈을 포함하는데 이 홈은 톱니 이빨들을 한정지어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휠부품(18)이 회전할때 날이선 표면(19)은 점화스파크를 생성시키는 라이터돌(22)을 깎는다. 부가적으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휠부품(18)은 적당한 홈(17)을 포함하는데 이 홈은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휠부품(18)의 회전을 오퍼레이터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촉진시킨다.
주요본체(12)는 부탄과 같은 연료(9)로 가득한 내부챔버(15)를 한정짓는데 이 연료는 기존의 방식대로 기화하여 가스매질을 형성하고 이 매질은 밸브의 제어하에 연료노즐(20)을 통과한다. 주요본체(12)는 어떤 적당한 구조적 물질 또는 물질들로 구조되고, 가급적이면 플라스틱물질로 구조된다. 실드(32)는, 가급적이면 플라스틱물질로 구조되는데, 제공되어 불꽃둘레에서 바람막이 역할을 하여 연료의 점화를 돕는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주요본체(12)는 일반적으로 밸브작동기와 스프링, 스파크를 생성시키는 휠부품, 라이터돌과 스프링, 밸브장치를 제외한 라이터의 어떤 큰부분, 부분, 구조 또는 하부구조를 둘러싼다. 따라서, 하우징 방해부분(12A)으로서 설명될 것은 어떤 이러한 큰부분, 부분등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고 간주된다.
제 2 도에서, 밸브작동기(14)는 걸쇠가 걸린 배열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배열에서 하우징(12)의 방해부분(12A)은 밸브작동기(14)의 눌림을 방해하여 막도록 위치지워지고 배열된다. 특히, 밸브 작동기(14)의 방해부분(14A)은 밸브작동기(14)가 눌릴때 하우징(12)의 방해부분(12A)과 접촉하여 밸브장치의 작동 그러므로 연료의 방출을 막는다. 제 10-14 도와 연관지어 설명되듯이, 밸브작동기(14)는 안쪽으로 이동하여 마침내 밸브작동기(14)의 확장부들이 구멍(13A)들 내에서 이동의 한계에 다다른다. 부가적으로, 이런 안쪽위치에서, 밸브작동기 정지부분(14B)은 가급적이면 하우징(12)에 형성된 캠장치(12B)와 접촉한다. 이런 안쪽위치에서, 밸브작동기 방해부분(14A)은 하우징 방해부분(12A)과 더이상 정렬되지 않아서 밸브작동기(14)가 눌릴 수 있고 밸브작동기 방해부분(14A)이 아래쪽으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어서 밸브작동기로 하여금 연료노즐(20)을 들어올리게 한다. 라이터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사용자는 먼저 밸브작동기 방해부분(14A)을 하우징 방해부분(12B)과 관섭하지 않게 구속시켜야 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밸브작동기(14)를 안쪽으로 이동시켜서 방해부분(14A)이 방해부분(12A)과의 정렬에서 벗어나게 이동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 10-14 도와 연관지어 설명되듯이, 일단 사용자가 밸브작동기(14)를 충분히 안쪽으로 이동시키면, 밸브작동기는 사용자가 눌러서 풀어놓을때까지 걸쇠가 풀린 위치에 안쪽으로 유지된다.
제 3 도에는 밸브작동기(14)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밸브작동기(14)는 손가락에 의해서 눌릴 수 있는 표면(31), 확장부(36), 노끌구멍(38), 그리고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를 포함한다. 이런 결합구조는 밸브작동기의 대칭되는 두개의 반쪽들 각각에 형성된 두개의 홈을 포함한다. 확장부(36)은 본체부(12)의 측면벽 부분(13)에 있는 신장된 구멍들(13A)과 짝을 이루어 맞물려서 구멍들(13A)내에서 밸브작동기가 미끄러질 뿐만아니라 확장부(36)둘레를 밸브작동기가 선회한다. 노즐구멍(38)은 플랜지(21)과 (23) 사이의 연료노즐(20) 부분을 수용하여 잡기에 적합하다.
밸브작동기(14)는 충분히 큰 안정성과 강성틀을 갖는 물질로 구조되어서 라이터의 내용연수에 걸쳐서 계속하여 밸브작동기(14)의 방해부분(14A)과 하우징(12)의 방해부분(12A) 사이에 적당히 상대적으로 위치지워지는 것을 보장한다. 작동기 (14)는 가급적이면 아연 또는 유리가 채워진 폴리에테르이미드로 구조된다. 밸브작동기(14)를 형성할 수 있는 다른 물질들은 폴리에테르설폰같이 알루미늄과 다른 유리가 채워진 중합체들이며 이런 물질들의 조합은 말할 것도 없다.
제 2 도에서, 라이터에는 결합구조(39)가 제공된다. 이런 결합구조는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와 짝을 이루도록 모양지워지고, 배열되고, 위치지워지고 적응된다. 가급적이면, 이런 결합구조(39)는 하우징(12)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고 두개의 돌출부(39A, 39B)를 갖추고 있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결합구조(37, 39)는 다양한 모양, 위치, 배열을 취할 수 있다. 이것들의 특정구조는 본 발명에는 중요하지 않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구조(37)과 (39)는 적당한 갯수의 개별적인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 알 수 있듯이, 결합구조(37)과 (39) 사이의 상호작용은 라이터가 걸쇠가 풀린 배열뿐만아니라 걸쇠가 걸린 배열로 유지되도록 촉진한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밸브작동기의 측면도로서 밸브작동기 방해부분(14A) 뿐만아니라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의 홈(37A, 37B)을 나타낸다. 부가적으로, 제 4 도는 밸브작동기 결합구조(40)를 나타낸다. 이런 결합구조는 두개의 부분(40A, 40B)을 포함한다.
제 5 도에는, 제 3 도의 밸브작동기(14)의 밑면에 나타나 있다. 밸브작동기(14)의 부분(35)은 제 2 도에 나타낸대로 스프링(30)을 수용하도록 적응되고 그리고 돌출부재 또는 대안적으로, 밸브작동기(14)내로 부분적인 홈 또는 구멍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연료노즐은 노즐구멍(38)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는 스프링장치(11)와 연료노즐 플랜지(21, 23)(제 2 도 참조)에 의해서 노즐구멍(38)에 유지된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압전기 형식의 라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압전기 라이터는 공이 그리고 연료방출장치(64), 스파크 발생장치(66), 선택적인 전기차단 스위치(68), 방해장치(70) 그리고 밸브장치(71)로 구성된다. 압전기 라이터는 본 발명에 따라 작동하는 방해장치(70)를 포함함으로써 지지되는 공이장치(64)의 눌림을 제외하고는 기존의 방식대로 작동한다. 이런 공이장치(64)는 스파크의 생성을 막는 작동기를 포함한다. 특히, 작동기는 스파크 발생장치로부터 에너지원을 전기적으로 그리고/또는 기계적으로 고립시킴으로써 스파크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작동기는 연료의 흐름만을 선택적으로 막도록 조정될 수 있고 또는 스파크의 발생과 연료의 흐름 둘다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제 6 도에 도시되었듯이, 공이장치(64)의 작동을 막도록 공이장치(64)가 방해 장치(70)에 상대적으로 놓여있기 때문에 라이터는 걸쇠가 걸린 배열상태에 있다. 부가적으로, 선택스위치(68)는 열린, 또는 꺼진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제 7 도는 제 6 도의 압전기식 라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데 이 라이터는 걸쇠가 걸리지 않은 배열상태에 있다. 특히, 공이장치(64)는 공이장치(64)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방해장치(70)에 상대적으로 놓여 있다. 부가적으로, 스위치(68)는 닫힌, 또는 켜진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선택스위치(68)를 채택하려면 이것이 닫히고 공이장치(64)가 걸쇠가 걸리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연료가 점화되는 것이 요구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은 라이터가 작동된후에, 특히 밸브작동기가 눌려서 풀린후에 밸브작동기를 걸쇠가 걸린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시킨다.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와 하우징 결합구조(39) 사이의 상호작용은 제 2 와 10-14 도에 나타낸 캠장치(12B)와 마찬가지로 자동복귀를 촉진한다.
본 발명을 작동시킬때, 그리고 제 1, 8, 9 도에 나타냈듯이, 사용자는 먼저 밸브작동기(14)를 안쪽으로 이동시켜서(제 8 도 참조) 밸브작동기(14)의 방해부분(14A)을 하우징(12)의 방해부분(12A)과 간섭하지 않게 충분히 이동시켜서(제 2 도 참조) 궁극적으로 밸브작동기(14)가 눌려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허용되어야 한다. 밸브작동기(14)가 비-방해위치에 유지하도록 촉진시키기 위해서, 밸브작동기(14)는 제 11 도와 연관지어 자세히 설명되듯이 충분히 안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일단 밸브작동기가 충분히 안쪽으로 이동되면, 밸브작동기 정지부분(14B)은 캠장치(12B)에 인접하거나 또는 거의 인접하고, 밸브작동기 확장부(36)들은 구멍(13A)에 의해서 한정된 이동한계에 다다른다(제 2 도 참조). 따라서, 캠장치(12B)는 또한 조정부재로서 작용하여 밸브작동기(14)가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한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다른 요소들 또는 부분들이 사용되어 밸브작동기가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밸브작동기(14)의 이런 이동은 제 8 도에 도시되었듯이 라이터를 걸쇠가 걸리지 않은 배열로 위치시킨다. 이시점에서 밸브작동기(14)의 눌림과 스파크 발생휠부품(18)의 적당한 회전으로 인해서 라이터가 작동하게 되고 또한 밸브작동기(14)의 부분이 제 9 도에 표시된 것처럼 아래쪽으로 운동하게 된다. 특히, 발생된 스파크는 밸브작동기(14)가 노즐을 들어올려서 밸브를 작동시킬때 연료노즐로부터 방출되도록 허용되는 가스연료를 점화시키게 된다. 노즐 근처에서 밸브작동기(14)의 들어올림 작용은 연료챔버로부터 연료를 압출시켜서 연료가 가스 매질로서 노즐을 통과하여 흘러서 연소되도록 허용한다.
부가적으로, 밸브작동기(14)의 표면(31)이 눌림으로 인해서 밸브작동기는 걸쇠가 걸린 위치를 향하여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특히, 밸브작동기가 아래쪽으로 구속됨에 따라서, 밸브작동기 정지부분(14B) 아래쪽으로 그리고 캠장치에 기대어 구속되는데 캠장치는 밸브작동기(14)를 바깥쪽으로 구속시킨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밸브작동기(14)가 걸쇠가 풀린위치(제 5, 8-9 도 참조)로부터 걸쇠가 걸린 위치(제 1 도 참조)로 이동하는 것은 초기에는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를 구조(39)에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캠장치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그다음에는 밸브작동기(14)의 표면(31)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구조(39)에 의해서 구조(37)에 가해지는 힘때문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지금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는 밸브작동기 방해부분(14A)을 방해부분(12A)에 상대적으로 충분히 이동시킴으로써 디폴트인 걸쇠가 걸린 배열로부터 걸쇠가 걸리지 않은 배열로 위치지워질 수 있다. 이것은 밸브작동기(14)를 완전히 안쪽으로 미끄러뜨림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0-14 도는 밸브작동기 방해부분(14A)을 방해부분(12A)과 정렬되지 않게 위치시킴으로써 라이터의 걸쇠를 푸는데 필요한 연속적인 작용을 나타낸다. 특히, 제 10 도는 디폴트 또는 걸쇠가 걸린 위치에 있는 밸브작동기(14)를 나타낸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제 1 도와 10 도는 각각 밸브작동기가 똑같은 걸쇠가 걸린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위치에서, 표면(31)에 손가락 압력에 의한 밸브 작동기의 눌림은 밸브작동기(14)의 방해부분(14A)과 하우징(12)의 방해부분(12A)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저지된다. 제 10 도에 나타나듯이, 밸브작동기(14)의 방해부분(14A)이 그사이에 있는 작은 갭을 제외하고는 본체(12)의 방해부분(12A)과 인접하기 때문에 밸브작동기(14)는 더이상의 하향운동을 저지 받는다. 도면에서 부분 14A 와 12A 사이에 갭은 비례하여 그려질 필요는 없다. 부가적으로, 이런 갭은 본 발명의 적당한 작동에 필수적이지는 않다.
부가적으로, 밸브작동기가 제 11 도의 걸쇠가 풀린 위치로 안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밸브작동기가 아래로 이동하고, 특히 밸브작동기의 눌릴 수 있는 면(31)이 아래로 이동한다. 이때문에, 부분(14A)와 (12A) 사이의 작은갭은 라이터가 걸쇠가 걸린 상태일때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구멍(13A)에 대한 대안적인 모양들을 사용하면 밸브작동기 표면은 안쪽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아래쪽으로 전혀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10 도에서,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는 스프링(30)에 의해서 밸브작동기(14)에 가해진 힘때문에 밸브작동기가 걸쇠가 걸린 위치에 있을때 하우징 결합구조(39)에 접촉한다. 특히,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의 홈(37A)은 하우징 결합구조(39)의 돌출부(39A)와 맞물린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밸브작동기(14)가 걸쇠가 걸린 위치로부터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함으로써 구조(37) 근처에 있는 밸브작동기(14)의 부분은 초기에는 위쪽으로 이동하여 스프링(30)이 더 압축시킨다. 따라서, 외부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라이터는 10 도의 걸쇠가 걸린 배열로 유지된다. 부가적으로, 밸브작동기 확장부(36)들이 구멍(13A)들 내에서 바깥쪽으로의 이동한계에 다다름으로써(제 1 도 참조) 걸쇠가 걸린 밸브작동기가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제 10 도는 또한 하우징(12)내에 스프링(30)의 각각의 측면에 두개의 돌출부로서 형성된 캠장치(12C)를 나타낸다. 제 10 도에 나타나 있듯이, 밸브작동기 결합구조(40)는 캠장치(12C)의 오른쪽에 그리고 위쪽에 놓여있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캠장치(12C)와 밸브작동기 결합구조(40)는 다양한 모양, 위치 그리고 배열을 취할 수 있다. 이것들의 특정구조는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다. 부가적으로, 캠장치(12C)와 결합구조(40) 각각은 적당한 갯수의 개별적인 부분을 또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캠장치(12C)와 결합구조(40)는 이것들의 기능이 캠장치(12B)와 밸브작동기 정지부분(14B)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적당한 작동에는 필수적이 아니다.
제 11 도는 밸브작동기(14)가 걸쇠가 풀린 위치내로 안쪽으로 이동되어 눌릴 태세인 것을 나타낸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제 8 과 11 도 각각은 똑같은 걸쇠가 풀린위치에 있는 밸브작동기를 나타낸다. 방해부분(14A)을 포함한 밸브작동기(14)는 화살표로 표시되었듯이 안쪽으로 이동되어 마침내 밸브작동기 확장부(36)들이 구멍(13A)들 내에서 안쪽으로의 이동한계가 다다르고, 그리고/또는 밸브작동기 정지부분(14B)이 캠장치(12B)에 접하여 밸브작동기 방해부분(14A)을 하우징 방해부분(12A)과 간섭하지 않게 위치시킨다. 유리하게, 밸브작동기(14)가 걸쇠가 풀린 위치내로 안쪽으로 충분히 이동될때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와 하우징 결합구조(39)가 맞물리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눌리는 표면(31)으로부터 유지압력을 제거해도 밸브작동기(14)는 걸쇠가 걸린 위치를 향하여 되돌아 미끄러지지 않지만 그러나 라이터는 심지어 스프링장치(30)가 래치를 바깥쪽으로 치우치게 하는 힘을 래치(14)에 가하여도 밸브작동기(14)가 눌릴때까지 걸쇠가 걸린 배열로 유지된다. 다시말해서, 밸브작동기(14)의 손가락으로 눌리는 표면(31)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방해부분(14A)을 포함한 밸브작동기(14)를 안쪽으로 이동시켜서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로 하여금 다시 하우징 결합구조(39)와 맞물리게하여 밸브작동기 방해부분(14A)을 하우징 방해부분(12A)과 간섭하지 않게 위치시킴으로써 라이터는 작동하여 불꽃을 발생시킬 준비가 된다.
특히, 제 11 도의 걸쇠가 풀린 배열에 있을때,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의 홈(37B)은 하우징 결합구조(39)의 돌출부(39A)와 맞물린다.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의 홈(37A)은 하우징 결합구조(39)의 돌출부(39B)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부가적으로, 캠장치(12C)는 밸브작동기 결합구조(40B) 아래에 위치한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갭이 캠장치(12C)나 구조(40B) 사이에 나타나 있는데, 이런 갭은 본 발명의 적당한 작동에 필수적이 아니다.
제 11 도에 도시되었듯이, 손가락에 의해서 눌리는 밸브작동기(14)의 면에 적당히 아래쪽으로 손가락 압력을 가하면 제 12 도에 도시된 배열이 초래 되는데 이 배열에서 밸브작동기(14)는 눌려서 연료가 밸브와 연료노즐(나타나 있지 않음)을 통해서 흐르도록 허용한다. 특히, 그리고 제 13 도에 분명히 도시되어 있듯이, 밸브작동기(14)가 눌림으로 인해서 스프링(30)이 압축되고 연료노즐(20)이 위쪽으로 그리고 밸브하우징(28)과 본체부(12)에서 부분적으로 벗어나도록 구속된다. 연료노즐(20)을 위쪽으로 들어올림으로 인해서 연료가 챔버(15)로부터 밸브를 통하여 그리고 노즐(20) 밖으로 흐르도록 허용되어 라이터돌(22)과 스파크 발생 조립휠(18)의 날이선 표면(19)에 의해서 점화된다. 이런 연료는 충분한 압력이 밸브작동기(14)에 유지되는한 계속하여 흘러서 연소된다. 밸브작동기(14)의 하향운동은 하우징 방해부분(12A)에 인접한 하우징(12)의 부분에 접촉하는 밸브작동기 방해부분(14A)에 의해서 제한된다.
제 12 와 13 도에 나타나 있듯이, 밸브작동기 표면(31)이 눌림으로 인해서 밸브작동기(4)는 걸쇠가 걸린 위치를 향해서 바깥쪽으로 뿐만아니라 아래쪽으로 구속된다. 이러한 바깥쪽으로의 이동은 밸브작동기가 아래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밸브작동기 정지부분(14B)과 캠장치(12B)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런 접촉으로 인해서 밸브작동기(14)는 바깥쪽으로 제한된 거리만큼 이동하여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의 홈(37B)이 하우징 결합구조(39)의 돌출부(39A)로부터 이탈하게 하고,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의 홈(37A)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결합구조(39)의 돌출부(39A)와 맞물리도록 한다(제 12 와 13 도 참조). 부가적으로, 이런 이동으로 인해서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의 돌출부(37C)는 돌출부(39A)와 (39B) 사이에서 하우징 결합구조와 적어 부분적으로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또한 이러한 바깥쪽으로의 이동은 밸브작동기가 아래쪽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밸브작동기 부분(40B)와 캠장치(12C) 사이에 접촉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촉으로 인해서 밸브작동기(14)는 바깥쪽으로 제한된 거리만큼 이동하여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로 하여금 위에서 설명된대로 하우징 결합구조(39)에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걸쇠가 풀린위치(제 11 도 참조)로부터 걸쇠가 걸린 위치(제 12-14 도 참조)로 밸브작동기(14)가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은 초기에는 캠장치(12C) 뿐만아니라 캠장치(12B)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측면벽부분(13)들과 같은 하우징의 다른 부분들이 사용되어 밸브작동기의 다른 부분들을 편향시켜서 밸브작동기로 하여금 적당히 눌릴때 바깥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 14 도에 나타나 있듯이, 일단 손가락 압력이 밸브작동기(14)로부터 제거되면, 밸브작동기는 스프링(30)에 의해서 제공된 치우침력 때문에 위쪽으로 이동하고, 그리고 불꽃이 꺼진다. 유리하게, 밸브작동기(14)는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또한 걸쇠가 걸린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제 12 와 13 도와 연관지어 설명되듯이, 밸브작동기(14)의 눌림으로 인해서 밸브작동기는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밸브작동기홈(37B)은 하우징 돌출부(39A)로부터 이탈한다. 그러나, 밸브작동기(14)는 완전히 눌릴때조차, 완전히 바깥쪽으로 그리고 완전히 걸쇠가 걸리게 되지 않는다. 밸브작동기(14)는 완전히 위쪽으로 그리고 완전히 바깥쪽으로 이동될때만 완전히 걸쇠걸린 위치로 들어간다.
앞으로 알 수 있듯이, 밸브작동기가 완전히 눌릴때 하우징 결합구조(39)의 위치에 상대적인 밸브작동기 결합구조(37)의 위치로 인해서 치우침력이 발생하여 밸브작동기를 바깥쪽으로 치우치게 하고, 일단 밸브작동기가 풀리면 밸브작동기를 걸쇠가 걸린 위치로 바깥쪽으로 이동시킨다. 특히, 하우징 돌출부(39A)와 밸브작동기 홈(37A) 부분적으로 맞물림으로써(제 12, 13 도 참조) 밸브작동기가 눌린위치(제 12 도 참조)로부터 걸쇠가 걸린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서 밸브작동기를 바깥쪽으로 치우치게 하는 힘이 발생한다. 부가적으로, 제 12 와 13 도에 나타나듯이 스프링(30)은 래치를 바깥쪽으로 편향시키는 치우침력을 래치(14)에 가한다.
여기에서 밝힌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된 목적들을 만족시키도록 잘 계획된 것이 분명하지만, 수많은 변형들과 실시예들이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 의해서 고안될 수 있으며, 동봉한 특허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과 범위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들과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특히, 여기에서 설명되고 특허청구된 밸브작동기와 라이터는 일회용 라이터에 사용하는데 제한되지 않는다. 더구나, 본 발명은 걸쇠가 풀린 위치로 안쪽으로만 이동되는 밸브작동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슷하게, 밸브작동기는 다른위치에 있는 방해부분들에 의해서 방해받을 수 있다.

Claims (20)

  1. 연료 저장고를 형성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종방향 축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상기 연료저장고로 부터 연료를 방출하는 밸브수단; 방출된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수단; 상기 밸브수단을 결합기 위한 일체형 노즐개구부를 가지는 작동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작동수단의 가압부가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축을 따라 가압될 때 연료가 방출되고, 상기 작동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작동수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부분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부들내에 장착되는 라이터에 있어서, 비구속 위치로 상기 작동수단의 상기 가압부의 내측운동이 작동수단과 상기 하우징사이에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공간은 연료가 상기 연료저장고로 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상기 작동수단이 가압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로 충분하며, 상기 가압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축을 향해 내부로 이동되는 상기 비구속위치내에 상기 작동수단이 위치할 때 상기 작동수단과 작동이 이루어지게 결합되는 캠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수단이 가압될 때, 상기 종방향축으로 부터 구속위치로 상기 작동수단의 가압부를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캠수단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점화용 상기 수단은 부싯돌 재료와 상기 부싯돌 재료와 선택적으로 마찰을 일으키며 접촉하도록 위치하고 배열되는 치형표면을 가지고 회전가능한 스파크발생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점화용 상기 수단은 전기 스파크 발생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점화용 상기 수단은 피에조 전기 스파크 발생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제 1 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 2 결합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수단의 상기 가압부가 가압된 후 상기 제 2 결합구조는 편향력이 상기 제 1 결합구조에 가해지며, 상기 편향력은 하우징의 종방향축으로 부터 상기 작동 수단의 상기 가압부를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을 때 연료를 배출하는 연료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터는 추가로 상기 연료노즐을 하향으로 가압하도록 보상기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기 스프링수단은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8. 종방향축을 가지는 하우징; 연료공급용 연료공급수단; 상기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점화수단; 상기 연료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수단; 상기 밸브수단을 작동이 이루어지게 결합하기 위한 일체형 노즐개구부를 가지는 밸브작동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작동장치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료공급을 방해하고, 상기 밸브작동장치의 가압부가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축을 따라 제 2 위치로 가압되고, 상기 밸브작동장치의 간섭부는 비구속된 형상에 있을 때 상기 밸브작동장치의 상기 가압부가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축을 따라 운동을 간섭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위치로 가압되는 것이 정상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작동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그리고 피봇회전이 이루어지게 장착되게 구성되고 정상적으로 구속형태로 유지되는 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축을 향해 상기 밸브작동장치의 상기 가압부의 내측운동에 의해 간섭부는 상기 하우징내의 공동과 일직선상에 놓이며, 상기 라이터가 비구속형태에 놓이며, 상기 공동은 상기 밸브작동장치의 상기 가압부가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간섭부를 수용하는 충분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밸브작동장치의 상기 가압부를 상기 종방향축으로 부터 제 1 위치로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밸브작동장치와 작동이 이루어지게 결합하는 캡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밸브작동장치의 상기 가압부가 가압될 때 라이터가 비구속형태로 부터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은 부싯돌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부싯돌재료와 선택적으로 그리고 마찰이 이루어지게 접촉하도록 위치하고 배열되는 치형표면을 가지고 회전가능한 스파크발생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은 전기 스파크발생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은 피에조 전기 스파크 발생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작동장치는 제 1 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 2 결합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결합구조는 상기 밸브작동장치가 가압된 후에 상기 제 1 결합구조에 편향력을 가하고, 상기 편향력은 하우징의 종방향축으로 부터 상기 밸브작동장치의 상기 가압부를 외측으로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밸브작동장치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을 때 연료를 방출하는 연료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터는 추가로 상기 연료노즐을 하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보상기 스프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기스프링 수단은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5. 연료보관실을 가지는 하우징; 연료를 상기 연료보관실로 부터 방출하기 위한 연료 방출수단; 방출된 상기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수단; 엄지손가락 가압부를 가지고 상기 연료방출수단을 작동이 이루어지게 결합하기 위한 일체형 노즐 개구를 가져서,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축을 따라 가압될 때 연료가 방출되며, 상기 작동장치는 작동장치의 양측면에서 확장부들을 가지고, 상기 작동장치는 하부면에 제 1 결합구조를 가지며, 상기 작동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작동장치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부분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장치가 가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속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일부 위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장치의 상기 확장부들은 상기 작동장치의 측벽부들의 구멍내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그리고 피봇운동이 이루어지게 장착되어, 상기 작동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 축을 향해 내부로 피봇회전되고 이동되는 것이 가능한 라이터에 있어서, 비구속위치로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축을 향해 상기 작동장치의 상기 가압부의 내향운동은 작동장치가 가압되기에 충분한 크기로 상기 작동장치와 상기 하우징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작동장치가 비구속위치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결합구조와 결합하는 제 2 결합구조를 가지고, 상기 작동장치를 구속위치로 이동시키는 편향력을 상기 작동장치에 가하기 위해 상기 작동장치가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축을 따라 가압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구조들은 서로로부터 변위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작동장치와 작동이 이루어지게 결합하는 캠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6. 제15항에 있어서, 부싯돌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부싯돌재료와 선택적으로 마찰이 이루어지게 접촉하도록 위치하고 배열되는 치형표면을 가지고 회전가능한 스파크발생 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7. 제15항에 있어서, 점화용 상기 수단은 전기 스파크 발생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8. 제15항에 있어서, 점화용 상기 수단은 피에조 전기 스파크 발생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방출 수단은 상기 작동수단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을 때 연료를 방출하는 연료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라이터는 추가로 상기 연료노즐을 하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보상기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KR1019950701563A 1992-10-23 1993-10-22 선택 작동 라이터 KR100278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6559692A 1992-10-23 1992-10-23
US965596 1992-10-23
PCT/US1993/010158 WO1994010503A1 (en) 1992-10-23 1993-10-22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4650A KR950704650A (ko) 1995-11-20
KR100278242B1 true KR100278242B1 (ko) 2001-03-02

Family

ID=2551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563A KR100278242B1 (ko) 1992-10-23 1993-10-22 선택 작동 라이터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EP (1) EP0725915B1 (ko)
JP (1) JP3040820B2 (ko)
KR (1) KR100278242B1 (ko)
CN (1) CN1057375C (ko)
AT (1) ATE198650T1 (ko)
AU (1) AU675992B2 (ko)
BR (1) BR9307301A (ko)
CA (1) CA2147651C (ko)
DE (1) DE69329865T2 (ko)
DK (1) DK0725915T3 (ko)
ES (1) ES2154274T3 (ko)
GR (1) GR3035546T3 (ko)
MX (1) MX9306574A (ko)
MY (1) MY115296A (ko)
PT (1) PT725915E (ko)
SG (1) SG50608A1 (ko)
TW (1) TW261657B (ko)
WO (1) WO1994010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29512A (en) * 2005-08-25 2007-02-28 Swedish Match Lighters Bv A Child Resistant Roll-and-Press Lighter
JP5916281B2 (ja) * 2010-05-12 2016-05-11 東京パイプ株式会社 ライ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5032A (en) * 1927-01-24 1933-01-24 Thomas H Fisher Portable lighting device and fuel therefor
GB845002A (en) * 1955-10-12 1960-08-17 Rech S Tech Soc Et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ighters of the kind employing a removable reservoir
US3898031A (en) * 1974-05-17 1975-08-05 Richard Rusakowicz Gas fueled safety lighter
JPH0492142U (ko) * 1990-11-30 1992-08-11
FR2674003B1 (fr) * 1991-03-14 1995-08-11 Cricket Sa Briquet de securite, a ouverture de gaz differee.
JPH0626647A (ja) * 1991-10-17 1994-02-04 Masayuki Iwabori ライターにおける安全装置
US5197870A (en) * 1992-01-29 1993-03-30 Yang James C H Safety lighter
US5213495A (en) * 1992-02-04 1993-05-25 Pan Hsin Chung Safety lighter
FR2687766A1 (fr) * 1992-02-25 1993-08-27 Cricket Sa Briquet a gaz a l'epreuve des enf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4650A (ko) 1995-11-20
CA2147651C (en) 2002-07-30
CN1091192A (zh) 1994-08-24
WO1994010503A1 (en) 1994-05-11
DE69329865T2 (de) 2001-07-19
ATE198650T1 (de) 2001-01-15
CN1057375C (zh) 2000-10-11
JP3040820B2 (ja) 2000-05-15
SG50608A1 (en) 1998-07-20
CA2147651A1 (en) 1994-05-11
MY115296A (en) 2003-05-31
DE69329865D1 (de) 2001-02-15
AU675992B2 (en) 1997-02-27
PT725915E (pt) 2001-06-29
AU5448694A (en) 1994-05-24
ES2154274T3 (es) 2001-04-01
DK0725915T3 (da) 2001-05-21
JPH08506412A (ja) 1996-07-09
EP0725915A4 (en) 1995-09-19
EP0725915B1 (en) 2001-01-10
BR9307301A (pt) 1999-06-01
MX9306574A (es) 1994-06-30
GR3035546T3 (en) 2001-06-29
TW261657B (ko) 1995-11-01
EP0725915A1 (en) 1996-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62092B2 (ja) 二方向に選択的操作可能なライタ
KR100317067B1 (ko) 선택작동라이터
EP0544896B1 (e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KR100307213B1 (ko) 선택작동라이터
KR100278243B1 (ko) 선택 작동 라이터
US5584682A (e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with anti-defeat latch
US5607295A (en) Safety lock cigarette lighter
KR100278242B1 (ko) 선택 작동 라이터
CA2223593C (e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US5431558A (e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AU665014C (e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