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999B1 - 셀 라인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셀 라인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999B1
KR100277999B1 KR1019980017699A KR19980017699A KR100277999B1 KR 100277999 B1 KR100277999 B1 KR 100277999B1 KR 1019980017699 A KR1019980017699 A KR 1019980017699A KR 19980017699 A KR19980017699 A KR 19980017699A KR 100277999 B1 KR100277999 B1 KR 100277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support
plate
cell line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338A (ko
Inventor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7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999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999B1/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라인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는 프레임이 그의 상부에 탑재되는 탑재판과 이 탑재판을 지지하기 위해 결합되는 제1지지대 및 탑재판에 대해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제1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된 제2지지대와 제1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대 그리고, 탑재판과 제2지지대 사이에 인입 및/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수의 부품이 수납된 킷트 박스를 적치시키기 위한 적치판을 갖는 운송용 대차로 구성됨으로써, 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과 이의 내,외부에 조립되는 다수의 부품을 수반하여 조립공정으로 함께 이송시킬 수 있어 이에 따른 셀 라인의 기본 설비 투자비용 및 유지비를 최소로 줄일 수 있고, 특히 다기종 소량생산 및 생산 물량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컨베이어 라인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삭제되어 제품이 이송되는 거리가 단축되고, 작업자의 불필요한 동작 및 인력손실을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모델의 변경시 각 조립공정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 라인용 이송장치
본 발명은 셀 라인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부품이 조립될 제품을 각각의 조립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를 개선하여 다기종 소량생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른 설비의 가동률 및 생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셀 라인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기기, 전자렌지 및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은 일정한 생산라인을 따라 이송되면서 다수의 부품들이 조립되는 공정 예를들어 조립, 검사공정 및 포장공정들을 순차적으로 거쳐 하나의 완제품으로 생산된다.
이러한, 생산라인은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일반 생산라인과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셀 생산라인으로 분류된다.
일반 생산라인은 통상 일자(一字)형으로 길게 배열한 컨베이어 상에 다수의 부품이 조립될 캐비닛이 탑재되어 있는 팔레트가 올려지게 된다. 이 팔레트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송체인에 의해 일정속도로 이송된다.
따라서, 컨베이어에 배치된 다수의 작업자는 트레이(tray) 내에 수납된 부품들을 캐비닛에 조립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 후 다음 작업자에게 이송시켜 제품을 최종으로 검사한 다음 포장하여 완제품을 적치한다.
한편, 한 사람의 셀 작업자에 의해 하나의 사이클로 순환되는 캐비닛을 최종적으로 검사하여 완제품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복층으로 된 셀 컨베이어와 회수 컨베이어의 설비로 구비되는 셀 생산라인은 트레이 내에 수납된 부품들을 크기가 각기 다른 캐비닛에 각각 조립한 다음 캐비닛을 셀 컨베이어 위에 탑재한다.
셀 컨베이어는 구동모터와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이송체인에 의해서 구동됨에 따라 이에 탑재된 캐비닛을 각각의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에서, 셀 컨베이어 상에는 일반 생산라인과 마찬가지로 크기가 다른 캐비닛들을 하나씩 탑재하기 위한 트레이가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공정작업이 완료된 캐비닛은 다시 회수 컨베이어를 따라 최초 셀 작업자로 이송됨에 따라 셀 작업자는 완제품을 적치하거나 또는 출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 생산라인 및 셀 생산라인에 있어서는, 다수의 부품들이 조립될 캐비닛이 컨베이어들에 의해 이송되었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컨베이어 라인을 설비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용됨은 물론 컨베이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비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생산라인 경우에는 한 가지 모델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는 적합하나, 제품의 모델이 변경되거나 또는 소량 다품종으로 생산할 때에는 생산라인을 전체적으로 변경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크게 낮아지고, 특히 설비 변경시 기존에 생산되었던 모델의 제품을 다시 생산할 수 없어 유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셀 생산라인은 캐비닛에 조립되는 부품의 수량이 많을 경우 또는 조립된 제품이 복잡할 때에는 설비 가동률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인력손실이 많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과 이의 내,외부에 조립되는 다수의 부품을 수반하여 조립공정으로 함께 이송시킬 수 있는 운송용 대차(臺車)를 구비함으로써, 셀 라인의 기본 설비 투자비용 및 유지비를 최소로 줄일 수 있고, 특히 다기종 소량생산 및 생산 물량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셀 라인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컨베이어 라인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삭제되어 제품이 이송되는 거리가 단축되고, 작업자의 불필요한 동작 및 인력손실을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모델의 변경시 각 조립공정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는 셀 라인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 라인용 이송장치의 흐름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 라인에 사용되는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장치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이송장치에 적용되는 스톱퍼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 라인용 이송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운송용 대차 12 : 탑재판
12a,40a : 이동공 14,16 : 제1 및 제2지지대
18 : 베이스 지지대 20 : 적치판
20a : 가이드홈 20b : 록킹홈
22 : 이송용 바퀴 24 : 가이드부재
26,30 : 브래킷 28,32 : 가이드롤러
34 : 강도보강부재 36 : 스톱퍼
36a : 록킹부 36b : 손잡이부
38 : 코일스프링 40 : 고정브래킷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는 프레임이 그의 상부에 탑재되도록 하는 탑재판과; 상기 탑재판과 결합되어 상기 탑재판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대와; 상기 탑재판에 대해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제1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된 제2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대; 및 상기 탑재판과 제2지지대 사이에 인입 및/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수의 부품이 수납된 킷트 박스를 적치시키기 위한 적치판을 갖는 운송용 대차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탑재판과 제2지지대에는 상기 적치판이 상기 탑재판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시 발생되는 마찰소음을 줄이기 위한 마찰방지수단이 마련되고, 탑재판에는 상기 적치판의 인출시 상기 탑재판에 대해 적치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셀 라인용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 라인용 이송장치의 흐름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제품 및 다수의 부품이 수납된 킷트 박스를 함께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A-A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에 사용되는 적치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톱퍼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각종 가전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부품을 탑재시킨 후 각각의 조립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가전제품 중에서 공조기기의 실외기에 대한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프레임(2)이 그의 상부에 탑재되는 탑재판(12)과 탑재판(12)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대(14)와 탑재판(12)에 대해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제1지지대(14)의 상부에 결합된 제2지지대(16) 및 제1지지대(14)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대(18) 그리고, 탑재판(12)과 제2지지대(16) 사이에 장착되어 프레임에 조립되는 다수의 부품이 수납된 킷트 박스(2)를 적치시키기 위한 적치판(20)을 갖는 운송용 대차(1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부품들은 공조기기의 실외기에 조립되는 모터, 압축기, 응축기 등의 중,소형 자재로 된다.
제1 및 제2지지대(14)(16)와 베이스 지지대(18)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파이프들이 그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이루도록 서로 고정되며, 베이스 지지대(18)에는 운송용 대차(10)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다수의 이송용 바퀴(22)가 결합되며, 이송용 바퀴(22)들의 내측에는 운송용 대차(1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부재(24)가 고정된다. 이 가이드부재(24)는 "ㄱ"형상의 형재가 사용된다.
적치판(20)은 탑재판(12)에 대해 서랍식으로 인입/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의 상면에는 "凹"형상으로 된 한 쌍의 브래킷(26)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되며, 브래킷(26)에는 킷트 박스(4)를 용이하게 적치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롤러(28)가 개재된다.
그리고, 적치판(20)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20a)이 소정깊이로 형성되며, 가이드홈(20a)이 끝나는 부위에는 적치판(20)의 인출시 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유동방지수단이 록킹 및/또는 해제되도록 록킹홈(20b)이 연통된다.
여기에서, 가이드홈(20a)은 유동방지수단이 록킹홈(20b)으로 정확하게 록킹되도록 유동방지수단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탑재판(12)과 제2지지대(16)에는 적치판(20)의 인입 및/또는 인출시 마찰소음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마찰방지수단이 마련된다. 이 마찰방지수단은 탑재판(12)과 제2지지대(16)의 하면 및 상면 양측에 고정된 브래킷(30)과 이에 복수개로 개재되어 적치판(20)의 상,하면에서 각각 점접촉되는 가이드롤러(32)로 된다.
그리고, 적치판(20)의 저면에는 이의 상부에 적치되는 킷트 박스(4)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브래킷(30)과 동일방향으로 강도보강부재(34)가 고정된다.
유동방지수단은 적치판(20)의 록킹홈(20b)에 대해 록킹 또는 해제되는 록킹부(36a)와 손잡이부(36b)로 된 스톱퍼(36)와 록킹부(36a)에 삽입되어 탑재판(12)에 대한 적치판(20)의 인출시 스톱퍼(36)를 탄력적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38)으로 구비된다.
스톱퍼(36)의 손잡이부(36b)는 탑재판(12) 외부로 노출되며, 록킹부(36b)는 탑재판(12)과 이의 저면으로 고정된 고정브래킷(40)에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된 이동공(12a)(40a) 내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셀 라인용 이송장치에 대한 작용을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부품 공급 셀 작업자는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부품을 킷트 박스(4) 내에 수납한 다음 이를 부품 공급 마샬링(6) 상부에 적재시킨다. 이때, 부품 공급 마샬링(6)의 전방측 바닥면에 운반용 대차(1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8)을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위치시킨다.
그 후, 가이드레일과 베이스 지지대에 고정된 가이드부재(24)를 상호 면접촉되도록 하여 운송용 대차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에서 최초 셀 작업자가 공조기기의 실외기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2)과 모터를 조립하여 운송용 대차(10)의 탑재판(12) 위에 올려놓는다.
이와같이 프레임(12)이 탑재된 운송용 대차(10)를 다음 셀 작업자 측으로 이송시키면, 운송용 대차(10)는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8)을 따라 셀 작업자로 이송된다. 이때, 셀 작업자는 적치판(20)을 잡아 당겨 탑재판(12)에 대해 인출한다.
즉, 부품 공급 마샬링(8)의 롤러를 따라 이송된 킷트 박스(4)가 적치되도록 적치판(20)을 인출시키면, 적치판(20)은 그의 상,하면이 탑재판(12)과 제2지지대(16)에 고정된 브래킷의 가이드롤러와 점촉되면서 구름운동으로 인출됨에 따라 마찰소음이 방지된다.
그리고, 탑재판(12)과 고정브래킷(40)에 각각 장착된 스톱퍼(36)의 록킹부(36a)는 적치판(20)의 인출시 이의 가이드홈(20a)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록킹홈(20b)으로 도달하면, 압축된 코일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이동공(12a)(40a)을 따라 하강되어 록킹홈(20b)으로 록킹되므로 운송용 대차(10)의 이송 중 또는 부품의 조립공정시 적치판(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압축기가 수납된 킷트 박스(4)를 셀 작업자 측으로 잡아당기면, 이 킷트 박스(4)는 적치판(20) 상면에 고정된 브래킷(26)의 가이드롤러(28)를 따라 이송되어 신속하게 적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적치판(20)은 이의 저면에 고정된 강도보강부재(34)에 의해서 킷트 박스(4)의 하중에 의한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프레임(2)에 압축기의 조립이 완료되면 운송용 대차(10)를 다음 셀 작업자 측으로 이송시키고, 일련의 작업으로 진행하는 응축기, 검사공정, 팬 조립공정으로 이송하여 부품의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적치판(20)을 탑재판(12)과 제2지지대(16) 사이에 인입시킨 다음 운송용 대차(10)를 진공펌프, 냉매 챠징 등의 공정으로 이송시킨 후 최종검사하여 완제품을 적치시킨다.
이때, 적치판(20)을 인입할 때에는 탑재판(12) 상부로 노출된 스톱퍼(36)의 손잡이부(36b)를 잡아 당기면서 적치판(20)을 탑재판(12) 측으로 밀면, 록킹홈(20b)에 록킹된 록킹부(36a)는 코일스프링(38)을 압축시키면서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록킹이 해제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적치판(20)을 인입방향으로 완전히 밀면 적치판(20)은 전술한 바와같이 탑재판(12)과 제2지지대(16)에 고정된 브래킷(30)의 가이드롤러(32)를 따라 용이하게 인입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탑재판(12)에 대한 적치판(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수단으로 스톱퍼(36)를 사용하였지만,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의 사용도 가능하며, 이의 장착위치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 라인용 이송장치에 의하면, 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과 이의 내,외부에 조립되는 다수의 부품을 수반하여 조립공정으로 함께 이송시킬 수 있는 운송용 대차(臺車)를 구비하여 셀 라인의 기본 설비 투자비용 및 유지비를 최소로 줄일 수 있고, 특히 다기종 소량생산 및 생산 물량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컨베이어 라인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삭제되어 제품이 이송되는 거리가 단축되고, 작업자의 불필요한 동작 및 인력손실을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모델의 변경시 각 조립공정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는 프레임이 그의 상부에 탑재되도록 하는 탑재판과;
    상기 탑재판과 결합되어 상기 탑재판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대와;
    상기 탑재판에 대해 일정거리로 이격되도록 제1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된 제2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대; 및
    상기 탑재판과 제2지지대 사이에 인입 및/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다수의 부품이 수납된 킷트 박스를 적치시키기 위한 적치판을 갖는 운송용 대차로 구성되는 셀 라인용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판과 제2지지대에는 상기 적치판이 상기 탑재판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시 발생되는 마찰소음을 줄이기 위한 마찰방지수단을 더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라인용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방지수단은 상기 탑재판과 제2지지대의 하면 및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복수개로 개재되어 상기 적치판의 상,하면에서 각각 점접촉되는 가이드롤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라인용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판에는 상기 적치판의 인출시 상기 탑재판에 대해 적치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라인용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적치판에 대해 록킹 또는 해제되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탑재판의 상부로 그 일부분이 노출되는 손잡이부로 된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에 삽입되어 상기 적치판의 인출시 상기 스톱퍼를 탄력적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라인용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대에는 상기 운송용 대차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상의 가이드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라인용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적치판에는 상기 킷트 박스를 구름운동으로 적치시키기 위해 복수의 가이드롤러가 개재되는 한 쌍의 브래킷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라인용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판에는 상기 킷트 박스의 적치시 이에 수납된 부품들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도보강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라인용 이송장치.
KR1019980017699A 1998-05-15 1998-05-15 셀 라인용 이송장치 KR100277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699A KR100277999B1 (ko) 1998-05-15 1998-05-15 셀 라인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699A KR100277999B1 (ko) 1998-05-15 1998-05-15 셀 라인용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338A KR19990085338A (ko) 1999-12-06
KR100277999B1 true KR100277999B1 (ko) 2001-01-15

Family

ID=6589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699A KR100277999B1 (ko) 1998-05-15 1998-05-15 셀 라인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42Y1 (ko) * 2013-01-25 2015-03-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중량물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338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21248A (zh) 一种具有升降结构的agv小车
CN113148533B (zh) 一种工业用的智能装卸货物的机器人装置
KR100277999B1 (ko) 셀 라인용 이송장치
CN111453325A (zh) 一种引火件载具盘自动下线的传递装置及其传递方法
CN218663560U (zh) 用于仓储设备的分拣装置和仓储设备
CN217147279U (zh) 一种玻璃加工自动输送仓储线
CN113071843B (zh) 一种和机器人相结合的仓储装置以及使用方法
CN214217047U (zh) 一种仓储货架
JP2010235213A (ja) 走行車システム
CN211282680U (zh) 一种具有升降结构的agv小车
CN207631905U (zh) 智能轨道输送装置
CN219313663U (zh) 仓储货物转运系统
KR102019636B1 (ko) 에어컨 부품 공급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KR100278000B1 (ko) 에어컨의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이송방법 및장치
CN219406505U (zh) 一种抽屉式全自动运料车及移运设备
CN219116318U (zh) Rgv小车及立体仓储系统
CN216510986U (zh) 应用于平推式窄带机的小车
CN219078126U (zh) 一种货物自动化储存单元
CN211390951U (zh) Agv智能小车发电用的燃料桶存放装置
CN218705950U (zh) 一种多晶硅成品转运及仓储系统
CN214376750U (zh) 一种运输装置及盒饭机
CN219428523U (zh) 一种新型灭菌柜内定位传动输送机构
CN108996155B (zh) 一种晾衣机全自动化生产线
JPS6093042A (ja) 搬送方法および装置
CN117566304A (zh) 一种物料自动堆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