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172B1 -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172B1
KR100277172B1 KR1019980050960A KR19980050960A KR100277172B1 KR 100277172 B1 KR100277172 B1 KR 100277172B1 KR 1019980050960 A KR1019980050960 A KR 1019980050960A KR 19980050960 A KR19980050960 A KR 19980050960A KR 100277172 B1 KR100277172 B1 KR 100277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ificant bit
address
elastic buffer
data
m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900A (ko
Inventor
이학묵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50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172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를 광(光)으로 송수신하는 광 링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광 네트워크의 변화에 의하여 탄성버퍼의 독출측 프레임 펄스가 기록측 프레임 펄스의 위치에 대하여 변동함에 기인하여 기록측과 독출측이 탄성버퍼의 상위 2K 바이트 영역이나 하위 2K 바이트 영역에서 동시에 동일 어드레스를 억세스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데이터 충돌에 의해 데이터가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고, 동일 프레임의 채널이 1개의 하위 또는 상위 2K 바이트 영역에 모두 기록되지 않고 인접 상위 또는 하위 2K 바이트 영역에 중첩되어 기록됨에 기인하여, 탄성버퍼의 채널 데이터를 독출하는 측에서는 탄성버퍼에 기록된 프레임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프레임을 독출해가기 때문에 0번, 1번, 2번 프레임의 순서로 기록된 데이터를 1번, 0번, 2번 프레임의 순서로 독출해가는 현상이 발생되어 채널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아 다중채널의 전송시 심각한 데이터 유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광 링크의 탄성버퍼를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경우 해당 탄성버퍼의 억세스 과정에서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중 채널의 연속성을 보장하므로, 화상데이터, 패킷 데이터 등을 광 링크를 통해 다중 채널로 전송하는 경우에 데이터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장치
본 발명은 데이터를 광(光)으로 송수신하는 광 링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링크의 탄성버퍼를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경우 해당 탄성버퍼의 억세스 과정에서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중 채널의 연속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 등에는 데이터를 광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광 링크를 구비하고 있는데, 광 링크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거나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데이터를 광으로 송수신한다.
이와같은 광 링크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터 처리부(DP), 탄성버퍼(EB), 전/광(電/光) 변환부(EO)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데이터 처리부(DP)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탄성버퍼(EB)를 경유하여 전/광 변환부(EO)측에 인가되고, 전/광 변환부(EO)는 해당 전기신호 타입의 데이터를 광신호 타입으로 변환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상대편 광 링크 측에 전송한다. 탄성버퍼(EB)는 듀얼포트를 구비하여 데이터 처리부(DP)와 전/광 변환부(EO)의 양측에서 억세스할 수 있는데, 데이터 처리부(DP) 측에서 탄성버퍼(EB)에 저장한 데이터를 전/광 변환부(EO) 측에서 독출해 가는 방식으로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도1에서 16M부는 16.384MHz로 동작하는 부분이고, 19M부는 19.44MHz로 동작하는 부분으로, 데이터 처리부(DP) 측에서는 탄성버퍼(EB)를 16.384MHz의 속도로 억세스하고, 전/광 변환부(EO) 측에서는 탄성버퍼(EB)를 19.44MHz의 속도로 억세스한다.
한편, 종래에는 탄성버퍼(EB)를 억세스 함에 있어서 도3에 도시된 방식으로 억세스 하였다. 즉, 데이터 처리부(DP) 측에서 탄성버퍼(EB)를 억세스하는 경우에는, MSB발생부(11)가 16.384MHz에 대한 8KHz 프레임 펄스인 16M-FP에 따라 생성한 MSB(최상위비트)인 16M-MSB를 탄성버퍼(EB)에 인가함과 동시에 16.384MHz의 클럭으로 카운트된 어드레스인 16M-ADD를 탄성버퍼(EB)에 인가함으로써 탄성버퍼(EB)를 억세스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광 변환부(EO)측에서 탄성버퍼(EB)를 억세스하는 경우에는, MSB발생부(12)가 19.44MHz에 대한 8KHz 프레임 펄스인 19M-FP에 따라 생성한 MSB(최상위비트)인 19M-MSB를 탄성버퍼(EB)에 인가함과 동시에 19.44MHz의 클럭으로 카운트된 어드레스인 19M-ADD를 탄성버퍼(EB)에 인가함으로써 탄성버퍼(EB)를 억세스하여 데이터를 독출해 간다.
탄성버퍼(EB)는 16.384MHz 클럭주파수와 19.44MHz 클럭주파수의 차이에 의한 충돌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4K 바이트의 저장용량을 가지며, 데이터 처리부(DP)측과 전/광 변환부(EO)측은 탄성버퍼(EB)의 저장영역을 상위 2K 바이트와 하위 2K 바이트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저장, 독출한다. 탄성버퍼(EO)의 상위 2K 바이트 영역과 하위 2K 바이트 영역을 구분 지정하여 주기위해서 상기 MSB를 사용하는데, 도2에 도시된 (C)의 16M-MSB와 (F)의 19M-MSB에 나타낸 바와같이, MSB는 로우레벨인 경우에 탄성버퍼(EB)의 하위 2K 바이트 영역을 지정하여 억세스하게 하고, 하이레벨인 경우에 탄성버퍼(EB)의 상위 2K 바이트 영역을 지정하여 억세스하게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C)의 최상위비트(16M-MSB)는 (A)의 프레임 펄스(16M-FP)에 따라 상태 변환되고, (B)의 어드레스(16M-ADD)는 데이터 프레임 순서대로 0∼2047 채널의 어드레스를 인가하는데, 최상위비트(16M-MSB)가 로우레벨인 하위 2K 바이트 영역에 대해서는 어드레스(16M-ADD) '2'에서 1번 프레임의 2번 채널이 기록되고 마지막 어드레스인 '2047'에서 1번 프레임의 2048번 채널이 기록된후 어드레스(16M-ADD) '0'에서 2번 프레임의 0번 채널이 기록되고 어드레스(16M-ADD) '1'에서 2번 프레임의 1번 채널이 기록된다. 다음 진행으로 최상위비트(16M-MSB)가 하이레벨로 천이되면서 상위 2K 바이트 영역으로 점프되어, 탄성버퍼(EB)의 상위 2K 바이트 영역의 어드레스 '2'에는 2번 프레임의 2번 채널이 기록된다.
이와같이 데이터 처리부(DP)측에서 어드레스(16M-ADD)와 최상위비트(16M-MSB)에 따라 탄성버퍼(EB)를 억세스하여 채널 데이터를 기록한 상태에서 전/광 변환부(EO)측에서도 상술한 바와같은 마찬가지 방식으로 어드레스(19M-ADD)와 최상위비트(19M-MSB)에 따라 탄성버퍼(EB)를 억세스하여 채널 데이터를 독출해가는데, 광 네트워크의 변화에 의하여 프레임 펄스 19M-FP가 프레임 펄스(16M-FP)의 위치에 대하여 변동함에 기인하여 데이터 처리부(DP)와 전/광 변환부(EO)측이 탄성버퍼(EB)의 상위 2K 바이트 영역이나 하위 2K 바이트 영역에서 동시에 동일 어드레스를 억세스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데이터 충돌에 의해 데이터가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어드레스(16M-ADD)는 프레임 펄스(16M-FP)가 로우레벨일때를 기준으로하여 1번 채널의 어드레스를 로딩하므로,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C)의 최상위비트(16M-MSB)에 의해 지정되는 하위 2K 바이트와 상위 2K 바이트 영역에서는 2번 채널 부터 데이터 기록되어, 동일 프레임의 0∼2047번 채널이 1개의 하위 또는 상위 2K 바이트 영역에 모두 기록되지 않고 인접 상위 또는 하위 2K 바이트 영역에 중첩되어 기록됨에 기인하여, 탄성버퍼(EB)의 채널 데이터를 독출하는 측에서는 탄성버퍼(EB)에 기록된 프레임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프레임을 독출해가기 때문에 0번, 1번, 2번 프레임의 순서로 기록된 데이터를 1번, 0번, 2번 프레임의 순서로 독출해가는 현상이 발생되어 채널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아 다중채널의 전송시 심각한 데이터 유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광 링크의 탄성버퍼를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경우 해당 탄성버퍼의 억세스 과정에서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중 채널의 연속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광 링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탄성버퍼의 억세스에 사용되는 신호의 타이밍도.
도3은 종래 탄성버퍼의 억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장치를 도시한 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MSB발생/제어부의 구성도.
도6은 도4에 도시된 충돌방지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MSB발생/제어부 23 : 충돌방지부
24 : MSB발생부 EB : 탄성버퍼
ACP : 어드레스 체크/펄스 발생부 I1, I2 : 인버터
OG : 오어게이트 CNT : 카운터부
DFF1, DFF2 : 디 플립플롭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저장영역을 소정수로 구분하여 사용하되, 제1 최상위비트에 의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제1 어드레스에 따라 채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최상위비트에 의해 지정된 저장영역의 데이터를 제2 어드레스에 따라 독출시켜 출력하는 탄성버퍼를 구비하는 광 링크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드레스에 따라 제1 최상위비트를 발생하여 상기 탄성버퍼에 인가하되 제1 어드레스에 첫째번 채널의 어드레스가 로딩될 때 동기되어 제1 최상위비트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MSB발생/제어부와; 상기 제1 최상위비트와 제2 최상위비트의 상태를 비교하여 데이터 기록측과 데이터 독출측에서 상기 탄성버퍼의 동일 저장 영역을 지정하는 상태가 소정 바이트 이내의 영역을 어드레싱하는 동안 지속되면 상기 탄성버퍼측에 인가되는 제1 최상위비트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충돌방지부를 포함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MSB발생/제어부는, 제1 어드레스의 상태를 체크하여 해당 제1 어드레스에 첫번째 채널의 어드레스가 로딩되었음을 검출하면 소정의 펄스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체크/펄스 발생부와; 인가받은 제1 최상위비트를 반전시키는 반전수단과; 자체 출력의 제1 최상위비트를 상기 반전수단을 통해 신호 입력단에 인가받고 프리세트단에 전원을 인가받고 클럭단에 상기 어드레스 체크/펄스 발생부로 부터의 펄스를 인가받아 동작하여, 클럭단에 입력되는 펄스의 변화에 따라 자체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제1 최상위비트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플립플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충돌방지부는, 제1 최상위비트와 제2 최상위비트를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오어게이트와; 상기 오어게이트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오어게이트로 부터 소정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에 카운팅을 수행하여 해당 카운팅 값이 소정값 이내 이면 소정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부와; 인가받은 제1 최상위비트를 반전시키는 반전수단과; 자체 출력의 제1 최상위비트를 상기 반전수단을 통해 신호 입력단에 인가받고 프리세트단에 전원을 인가받고 클럭단에 상기 카운터부로 부터의 신호를 인가받아 동작하여, 클럭단에 입력되는 신호의 변화에 따라 자체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1 최상위비트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플립플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버퍼(EB)에 대하여 억세스하여 데이터를 기록, 독출할 때 다중채널의 연속성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은 방식으로 탄성버퍼(EB)를 억세스 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데이터 처리부(DP)측에서 탄성버퍼(EB)를 억세스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MSB발생/제어부(22)가 어드레스(16M-ADD)에 따라 최상위비트(16M-MSB)를 발생하여 탄성버퍼(EB)에 인가하되 어드레스(16M-ADD)에 0번 채널의 어드레스가 로딩될 때 동기되어 최상위비트(16M-MSB)의 상태를 천이시키고, 충돌방지부(23)가 최상위비트(16M-MSB)와 최상위비트(19M-MSB)의 상태를 비교하여 모두 하위 또는 상위의 동일 2K 바이트 영역을 지정하는 상태가 1K 바이트 이내의 영역을 어드레싱하는 동안 지속되면 탄성버퍼(EB)측에 인가되는 최상위비트(16M-MSB)의 상태를 천이시킨다. 또한, 전/광 변환부(EO)측에서 탄성버퍼(EB)의 데이터를 독출해가는 경우에는, MSB발생부(24)가 19.44MHz에 대한 8KHz 프레임 펄스인 19M-FP에 따라 생성한 MSB(최상위비트)인 19M-MSB를 탄성버퍼(EB)에 인가함과 동시에 19.44MHz의 클럭으로 카운트된 어드레스인 19M-ADD를 탄성버퍼(EB)에 인가함으로써 탄성버퍼(EB)를 억세스하여 데이터를 독출해 간다.
한편, MSB발생/제어부(22)는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어드레스 체크/펄스 발생부(ACP), 디 플립플롭(DFF1) 및 인버터(I1)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어드레스 체크/펄스 발생부(ACP)는 어드레스(16M-ADD)의 상태를 체크하여 해당 어드레스(16M-ADD)에 0번 채널의 어드레스가 로딩되었음을 검출하면 로우레벨의 펄스를 디 플립플롭(DFF1)의 클럭단(CK)에 인가한다. 디 플립플롭(DFF1)은 자체의 출력(Q)을 인버터(I1)를 통해 신호 입력단(D)에 인가받고 프리세트단(PR)에 전원(Vcc)를 인가받고 클럭단(CK)에 어드레스 체크/펄스 발생부(ACP)로 부터의 펄스를 인가받아 동작하여, 클럭단(CK)에 입력되는 신호의 변화에 따라 출력단(Q)을 통해 출력되는 최상위비트(16M-MSB)의 상태를 천이시킨다.
또한, 충돌방지부(23)는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어게이트(OG), 카운터부(CNT), 인버터(I2) 및 디 플립플롭(DFF2)으로 구성된다. 오어게이트(OG)는 최상위비트(16M-MSB)와 최상위비트(19M-MSB)를 논리합하여 카운터부(CNT)측에 신호를 인가하는데, 최상위비트(16M-MSB)와 최상위비트(19M-MSB)가 로우레벨인때에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최상위비트(16M-MSB)와 최상위비트(19M-MSB)가 모두 하이레벨인때에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카운터부(CNT)는 오어게이트(OG)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되 오어게이트(OG)로 부터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에 카운팅을 수행하여 해당 카운팅 값이 1024이내 이면(즉, 오어게이트(OG)로 부터 인가되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1K 바이트 이내의 영역을 어드레싱하는 동안 지속되면), 로우레벨의 신호를 디 플립플롭(DFF2)의 클럭단(CK)측에 인가한다. 디 플립플롭(DFF2)은 자체의 출력(Q)을 인버터(I2)를 통해 신호 입력단(D)에 인가받고 프리세트단(PR)에 전원(Vcc)를 인가받고 클럭단(CK)에 카운터부(CNT)로 부터의 신호를 인가받아 동작하여, 클럭단(CK)에 입력되는 신호의 변화에 따라 출력단(Q)을 통해 출력되는 최상위비트(16M-MSB)의 상태를 천이시킨다.
즉, MSB발생/제어부(22)는 어드레스(16M-ADD)에 따라 최상위비트(16M-MSB)를 발생하여 탄성버퍼(EB)에 인가하되 어드레스(16M-ADD)에 0번 채널의 어드레스가 로딩될 때 동기되어 최상위비트(16M-MSB)의 상태를 천이시킴으로써, 탄성버퍼(EB)의 하위 2K 바이트 영역에 채널 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 어드레스(16M-ADD)에 0번 채널의 어드레스가 로딩되는 때에 정확히 최상위비트(16M-MSB; 도2의 (D)참조)를 로우레벨로 천이시켜, 하위 2K 바이트 영역에 데이터가 0번 채널로 부터 2047번 채널까지 기록되게 하여 2K 바이트 영역에 한 프레임의 데이터가 모두 기록되게 해서 데이터 독출시에 순서대로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독출 가능케하므로 채널의 연속성이 보장된다. 또한, 충돌방지부(23)가 최상위비트(16M-MSB)와 최상위비트(19M-MSB)의 상태를 비교하여 하위 또는 상위의 동일 2K 바이트 영역을 지정하는 상태가 1K 바이트 이내의 영역을 어드레싱하는 동안 지속되면 탄성버퍼(EB)측에 인가되는 최상위비트(16M-MSB)의 상태를 천이시켜 탄성버퍼(EB)에 대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측의 2K 바이트 억세스 영역을 다른 2K 바이트 영역으로 점프시킴으로써, 광 네트워크의 변화에 의하여 프레임 펄스(19M-FP)가 변동되어 탄성버퍼(EB)의 상위 2K 바이트 영역이나 하위 2K 바이트 영역에서 동시에 동일 어드레스를 억세스하는 현상을 방지해서 탄성버퍼(EB)에서의 충돌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광 링크의 탄성버퍼를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경우 해당 탄성버퍼의 억세스 과정에서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중 채널의 연속성을 보장하므로, 화상데이터, 패킷 데이터 등을 광 링크를 통해 다중 채널로 전송하는 경우에 데이터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Claims (3)

  1. 저장영역을 소정수로 구분하여 사용하되, 제1 최상위비트에 의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제1 어드레스에 따라 채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최상위비트에 의해 지정된 저장영역의 데이터를 제2 어드레스에 따라 독출시켜 출력하는 탄성버퍼를 구비하는 광 링크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드레스에 따라 제1 최상위비트를 발생하여 상기 탄성버퍼에 인가하되 제1 어드레스에 첫째번 채널의 어드레스가 로딩될 때 동기되어 제1 최상위비트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MSB발생/제어부와; 상기 제1 최상위비트와 제2 최상위비트의 상태를 비교하여 데이터 기록측과 데이터 독출측에서 상기 탄성버퍼의 동일 저장 영역을 지정하는 상태가 소정 바이트 이내의 영역을 어드레싱하는 동안 지속되면 상기 탄성버퍼측에 인가되는 제1 최상위비트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충돌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SB발생/제어부는, 제1 어드레스의 상태를 체크하여 해당 제1 어드레스에 첫번째 채널의 어드레스가 로딩되었음을 검출하면 소정의 펄스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체크/펄스 발생부와; 인가받은 제1 최상위비트를 반전시키는 반전수단과; 자체 출력의 제1 최상위비트를 상기 반전수단을 통해 신호 입력단에 인가받고 프리세트단에 전원을 인가받고 클럭단에 상기 어드레스 체크/펄스 발생부로 부터의 펄스를 인가받아 동작하여, 클럭단에 입력되는 펄스의 변화에 따라 자체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제1 최상위비트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플립플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방지부는, 제1 최상위비트와 제2 최상위비트를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오어게이트와; 상기 오어게이트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오어게이트로 부터 소정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에 카운팅을 수행하여 해당 카운팅 값이 소정값 이내 이면 소정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부와; 인가받은 제1 최상위비트를 반전시키는 반전수단과; 자체 출력의 제1 최상위비트를 상기 반전수단을 통해 신호 입력단에 인가받고 프리세트단에 전원을 인가받고 클럭단에 상기 카운터부로 부터의 신호를 인가받아 동작하여, 클럭단에 입력되는 신호의 변화에 따라 자체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제1 최상위비트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플립플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장치.
KR1019980050960A 1998-11-26 1998-11-26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장치 KR100277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960A KR100277172B1 (ko) 1998-11-26 1998-11-26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960A KR100277172B1 (ko) 1998-11-26 1998-11-26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900A KR20000033900A (ko) 2000-06-15
KR100277172B1 true KR100277172B1 (ko) 2001-01-15

Family

ID=1955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960A KR100277172B1 (ko) 1998-11-26 1998-11-26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1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900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1538A (en) Elastic store slip circuit apparatus for preventing read and write operations interference
US4587650A (en) Method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isochronous and nonisochronous data on a local area network
US4543652A (en) Time-division switching unit
US5479651A (en) Disc drive controller to detect defects in read/write circuits for a disc drive
US5136588A (en) Interleaving method and apparatus
US4158107A (en) Integral frame slip circuit
US49550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KR100277172B1 (ko) 광 링크의 다중채널 유실 및 충돌 방지장치
JPH098781A (ja) 伝送速度変換装置
KR100424850B1 (ko)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US4740994A (en) Method and circuit for suppressing sequential "zeroes" data
US5444658A (en) Elastic store memory circuit
JP2626551B2 (ja) 誤り許容パターンマッチング回路
KR950002722B1 (ko) 직렬-병렬 데이타 변환장치
US5425062A (en) Serial rate conversion circuit with jitter tolerant payload
KR100443014B1 (ko) 듀얼포트램을 이용한 상이위상 클럭간 데이터 전송 장치
US5577005A (en) Circuit for using chip information
KR0124771Y1 (ko) 병렬 데이타 선입 선출 장치
KR100224644B1 (ko) 직렬 입력 데이터의 수신 저장 장치
KR100315904B1 (ko) 톤 송신 로직의 오동작 방지 회로
KR20040019940A (ko) 액세스 회로
KR0164101B1 (ko) 광 케이블 텔레비젼 전송망에서의 가입자 접속/단말 장치간 통신을 위한 신호 프레임 통신장치
KR100268700B1 (ko) 비디오 디스크 레코더를 위한 고속 비디오 인터페이스회로
KR0137408B1 (ko) Fifo의 데이타 입출력 방법
JP3161795B2 (ja) 位相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