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092B1 - 전자부품 및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및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092B1
KR100276092B1 KR1019980022900A KR19980022900A KR100276092B1 KR 100276092 B1 KR100276092 B1 KR 100276092B1 KR 1019980022900 A KR1019980022900 A KR 1019980022900A KR 19980022900 A KR19980022900 A KR 19980022900A KR 100276092 B1 KR100276092 B1 KR 100276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ic component
circuit board
conductiv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099A (ko
Inventor
에이지 야마카와
미츠오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90007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23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light valves in general
    • G04G9/0029Details
    • G04G9/0035Details constructio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954Other 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H05K2201/10984Component carrying a connection agent, e.g. solder, adhes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31Leadless components
    • H05K3/3436Leadless components having an array of bottom contacts, e.g. pad grid array or ball grid array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렉트로루미네센스등과 같이 평판상으로 되어 있는 전자부품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부품(1)은 평판상의 전자부품본체(3, 4, 5)의 한쪽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2, 5) 중 한쪽의 제 1 전극(2) 상에 절연층을 통해 그 제 1 전극으로부터 다른쪽의 제 2 전극(5) 측까지 연장한 제 1 전극접속부(도 2의 (8))를 형성하는 한편, 다른쪽의 제 2 전극(5)에 제 2 전극접속부(7)를 형성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장치는 이 전자부품(1)에 전자기기케이스(15)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및 전자장치
본 발명은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등과 같이 평판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전자부품, 전자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계에 관한 것이다.
전자손목시계, 전자수첩, 그 밖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램프 등에 대신하여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등의 평판상의 발광소자(이하 [EL]이라 한다.)를 전자부품으로서 편입하고, 이에 따라 해당 전자기기의 기기케이스의 전체를 두껍게 하는 일없이 그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패널에서 표시하는 문자, 기호, 화상 등의 각종 정보를 이 EL로 조명하여 어두운 장소 등에 있어서도 충분히 그 정보가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한 구조의 것이 개발되어 있다.
즉 종래의 전자부품으로서의 EL의 경우, 표면전극, 발광층, 절연층 및 이면전극을 차례로 적층하고, 이 EL의 본체부는 전체가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표면전극 및 이면전극은 발광층을 끼우도록 적층되어 있으며, 공급된 전력을 발광층으로 공급하여 발광층을 발광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전극에는 전력의 공급을 실시하기 위한 2개의 전극접속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2개의 전극접속부 중 이면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이면전극접속부는 평판상의 EL 본체부의 이면 측에, 또 표면전극에 전력을 공급하는 표면전극접속부는 평판상의 EL 본체부의 표면 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전극접속부는 이면전극 측이 접속면으로 되어 노출하고 있다.
이 경우 이면전극접속부는 이면전극에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EL의 면내에 위치하는데, 표면전극접속부는 표면전극을 바깥쪽으로 연장설치하고, 이 연장설치된 부분에 적층되어 있다. 이것은 이면전극이 절연층으로 피복되기 때문에 절연층보다도 바깥쪽으로 위치시켜 접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면전극접속부는 EL의 면외에 위치하고, 이 면외의 위치에서 접속에 이용되는 것이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EL 등의 종래의 평판상의 전자부품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기기케이스를 두껍게 하는 일없이 소정의 작동을 실시할 수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전극접속부가 전자부품의 면외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만큼 외형치수가 크게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전자부품이 편입되는 기기케이스가 크게되어 전자기기를 소형화할 수 없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 상기한 EL, 액정표시패널 등의 전자부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코일이나 인터커넥터 등의 접속부재를 통해 각종의 회로기판과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접속부재는 전자부품과 회로기판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접속을 실시하는데, 전자부품과 회로기판의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이들 사이로의 접속부재의 편입이 어렵게 되어 맞붙임 작업이 귀찮게 된다. 이 때문에 전자부품과 회로기판 사이의 간격을 어느 정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전자기기의 박형화에 무리를 일으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외형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기기 전체를 소형 또한 경량화할 수 있는 전자부품, 전자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시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박형화를 실시할 수 있는 전자부품, 전자장치 및 시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부품은 평판상의 전자부품본체와 이 전자부품본체의 표리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과, 이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 중 한쪽의 제 1 전극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접속부를 갖으며, 상기 제 2 전극접속부는 상기 제 1 전극 상에 절연층을 통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부품에 따르면 제 2 전극접속부가 제 1 전극 측에 배치되는데, 절연층에 의해 제 1 전극과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전극과 도통하는 일없이 제 2 전극과의 접속이 확보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전극접속부 뿐만 아니라 제 2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전극접속부를 제 1 전극 상에 배치할 수 있어 전극접속부가 바깥쪽에 위치하는 일이 없어져 전자부품의 외형 치수가 작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기기케이스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기기기를 충분히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발명의 전자시계는 상기한 전자부품을 시계케이스 내에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실시한 시계에 따르면, 상기한 전자부품의 외형 치수가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전자부품을 내장하는 시계케이스의 전체 외형 치수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어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전자부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각 전극의 한쪽 또는 양쪽을 복수의 전극부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각 전극부의 각각에 상기 전극접속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전극부를 복수로 분할하고, 이 분할한 각 전극부에 대해 각각 전력을 공급하고, 이 분할한 전극부에 통하여 발광이나 표시 등의 출력 동작을 개개 독립하여 실시하도록 하면 전자부품을 크게 하는 일없이 복잡한 출력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전자부품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본체를 발광을 실시하는 발광소자, 표시를 실시하는 액정표시소자 또는 광전변환을 실시하는 광전변환소자의 어느 것 인가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전자부품에 따르면, 상기 전자부품본체를 발광소자, 액정표시소자 또는 광전변환소자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발광, 표시 또는 광전변환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장치는 단자부를 갖는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단자부에 대응한 위치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부품과, 이 전자부품의 전극과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전자부품의 전극 및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도전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장치에 따르면, 도전볼록부는 전자부품 또는 회로기판에 미리 형성되어 있으며, 전자부품과 회로기판을 맞붙임으로써 필연적으로 이들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도통시키도록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인터커넥터 등의 다른 접속부재를 전자부품과 회로기판의 사이에 편입할 필요가 없어서 접속부재 부착을 위한 귀찮은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간단하게 맞붙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자장치에 따르면, 접속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그 편입을 위한 간격이 전자부품과 회로기판 사이에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전자부품과 회로기판을 적극 접근시킬 수 있으며, 그 만큼 전자장치를 소형화 및 박형화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전자장치를 시계케이스 내에 내장하여 시계를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시계에 따르면, 소형화 및 박형화된 전자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소형화 및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의 전자장치는 평판상의 전자부품본체, 이 전자부품본체의 표리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 이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 중 한쪽의 제 1 전극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접속부를 갖으며, 상기 제 2 전극접속부가 상기 제 1 전극 상에 절연층을 통해 형성된 전자부품과, 이 전자부품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한쌍의 전극접속부에 대향하여 한쌍의 단자부가 형성된 회로기판과, 상기 전자부품의 전극접속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전극접속부 및 단자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도전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전자장치에 따르면, 전자부품의 전극접속부가 바깥쪽에 위치하는 일없이 소형의 전자부품으로 할 수 있다. 또 도전볼록부에 의해 전자부품 및 회로기판이 접속되기 때문에 코일, 인터커넥터 등의 다른 접속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간단하게 맞붙일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 및 박형화할 수 있는 전자장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전자장치를 시계케이스 내에 내장하여 시계를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는 소형화 및 박형화한 전자장치가 편입되기 때문에 소형화 및 박형화한 시계로 된다.
이와 같은 발명의 전자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자부품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간격 내에 상기 도전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간격 내에 도전볼록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전자부품과 회로기판의 직접접촉을 방지하는 스페이서 등의 별도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전자부품과 회로기판을 간단하게 맞붙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볼록부는 인쇄, 적하, 녹여붙임 또는 접착의 어느 것인가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방법에 따르면, 도전볼록부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전자장치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발명의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볼록부는 도전시트 또는 이방성시트를 통해 상기 전자부품의 전극접속부 또는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도전볼록부는 별개로 성형된 후 도전성시트 또는 이방성시트에 의해 전자부품 또는 회로기판에 장착된다. 도전성시트, 이방성시트는 도전성을 갖고 있으며, 이들을 통해 부착된 도전볼록부는 전극 또는 단자부와 도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발광부재, 액정표시부재 또는 광전변환부재의 어느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부품으로서 발광부재, 액정표시부재, 광전변환부재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함으로써 각각의 기능을 전자기기에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부품의 한 실시형태인 일렉트로루미네센스의 저면도.
도 2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3은 회로기판과의 맞붙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의 다른 실시형태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한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6은 전자장치에 사용하는 전자부품으로서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의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6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의 저면도.
도 8은 전자장치에 사용하는 다른 일렉트로루미네센스의 부분단면도.
도 9는 도 8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의 저면도.
도 10은 전자장치에 사용하는 또 다른 일렉트로루미네센스의 부분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의 저면도.
도 12는 도 6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의 변형형태의 부분단면도.
도 13은 도 8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의 변형형태의 부분단면도.
도 14는 도 10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의 변형형태의 부분단면도.
도 15는 전자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사용하는 회로기판의 단면도.
도 17은 도 15에 사용하는 다른 회로기판의 단면도.
도 18은 전자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
도 19는 전자부품으로서의 유리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20은 도 19의 측면도.
도 21은 필름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22는 도 21의 측면도.
도 23은 유리액정표시장치의 부분단면도.
도 24는 유리액정표시장치의 다른 부분단면도.
도 25는 전자장치의 변형형태의 단면도.
도 26은 다른 변형형태의 단면도.
도 27은 또 다른 변형형태의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손목시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일렉트로루미네센스 2: 표면전극
3: 발광층 4: 중간절연층
5: 이면전극 6: 이면절연층
7: 이면전극접속부 8: 표면전극접속부
9:도체부 10: 절연층
11: 회로기판 13, 14: 단자부
21, 22 : 도전볼록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부품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자부품을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에 적용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는 표면전극(2), 발광층(3), 중간절연층(4), 이면전극(5), 이면절연층(6)이 차례로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발광층(3)은 직사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쌍의 표면전극(2) 및 이면전극(5)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발광한다. 이 때문에 발광층(3)은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전자부품본체를 구성한다.
또 표면전극(2), 중간절연층(4), 이면전극(5) 및 이면절연층(6)은 어느 것이나 발광층과 똑같은 직사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이 적층된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는 전체가 얇은 평판상의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면전극(5)에는 평면원형의 이면전극접속부(7)가 부분적으로 적층되어 접속되어 있다. 이면전극접속부(7)는 이면전극(5)에 적층되어 있는 이면절연층(6)에 원형의 절개부(6a)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이 절개부(6a) 내에 설치함으로써 외부부재와의 접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표면전극(2)에 있어서는, 이면전극접속부(7)와 쌍을 이루는 표면전극접속부(8)가 접속되어 있다. 표면전극접속부(8)의 형성은 이면전극접속부(7)와 반대측의 표면전극(2)의 단부에 도체부(9)를 접속하고, 이 도체부(9)를 이면전극(5) 측으로 인출하여 도체부(9)의 인출단부를 이면전극(5)의 면내에 위치시키고, 또한 평면원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표면전극접속부(8)는 이면전극접속부(7)와 똑같이 이면전극(5) 측에 위치해 있으며, 쌍을 이루는 모든 전극접속부(7, 8)가 이면전극(5) 측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전극접속부(8)와 이면전극(5)의 사이에는 절연층(10)이 끼워 통해져 있으며, 이 절연층(10)에 의해 표면전극접속부(8), 즉 표면전극(2)과 이면전극(5)이 절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극(2, 5)이 단락 하는 일없이 전력 공급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표면전극접속부(8)는 발광층(3)에 적층되어 있는 이면전극(5)에 부분적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표면전극접속부(8)는 본체부인 발광층(3)의 면내에 위치해 있다. 한편 이면전극접속부(7)는 이면전극(5)에 적층되기 때문에 이 접속부(7)도 본체부인 발광층(3)의 면내에 위치해 있다.
이와 같이 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표면전극접속부(8)와 이면전극접속부(7)가 발광층(3)의 면내에 위치함으로써 전극접속부(7, 8)의 전체가 발광층(3)의 면내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발광층(3)의 면외로 돌출하는 부분이 없어져 있다. 이 때문에 발광층(3)의 외형 형상을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전체의 외형 형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발광층(3)의 전체를 수용하는 공간만으로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전체를 전자기기의 기기케이스 내에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기케이스를 크게 할 필요가 없어서 전자기기의 전체를 소형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3은 이상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실장구조를 나타낸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11)과 대향하도록 일렉트로루미네센스(1)가 맞붙여진다. 회로기판(11)에는 도시를 생략한 회로가 패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로에 반도체칩(12)이 실장되어 있다.
반도체칩(12)은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를 포함한 전자기기 전체의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다.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발광용의 단자부(13 및 14) 중 한쪽의 단자부(13)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이면전극접속부(7)에 대향하고, 다른쪽의 단자부(14)는 표면전극접속부(8)에 대향하고 있다.
일렉트로루미네센스(1) 및 회로기판(11)은 절연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5)에 맞붙여짐으로써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는 도 2의 상태를 반대로 하여 하우징(15)에 맞붙여진다. 이에 따라 이면전극접속부(7)가 한쪽의 발광용단자부(13)에 대향하고 표면전극접속부(8)가 다른쪽의 발광용단자부(14)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면전극접속부(7)와 단자부(13)의 사이에는 도선성금속을 감아 돌린 코일스프링(16)이 끼워 통해져 있으며, 또 표면전극접속부(8)와 단자부(14)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7)이 끼워 통해져 있다. 이에 따라 이면전극접속부(7)와 단자부(13)는 도선성의 코일스프링(16)을 통해, 또 표면전극접속부(8)와 단자부(14)는 똑같이 도선성의 코일스프링(17)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16, 17)의 스프링력에 의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 및 회로기판(11)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5)은 일렉트로루미네센스(1) 및 회로기판(11)을 눌러 붙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도시 생략).
이와 같은 실장구조에 있어서, 회로기판(11)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도선성의 코일스프링(16, 17)을 각각 통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 전체에 입력되기 때문에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발광층(3)이 발광된다. 이 때문에 그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액정표시패널(EP) 등의 다른 전자부품(도시 생략)을 이 발광층(3)의 발광에 의해 양호하게 조명할 수 있다.
이러한 실장구조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외형 형상 또는 외형 치수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실장구조 전체를 충분히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부품을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에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경우는 표면전극(2)이 2분할되어 있으며, 이 2분할된 표면전극(2)의 각 표면전극부(2a, 2b)는 서로 평행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각각의 표면전극부(2a, 2b)에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경우와 똑같이 표면전극접속부(8a, 8b)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은 각각의 표면전극부(2a, 2b)의 단부에 도체부(9a, 9b)를 접속하고, 이 도체부(9a, 9b)를 이면전극(5)측으로 인출하고, 이 도체부(9a, 9b)의 인출단부를 상기한 실시형태의 경우와 똑같이 이면전극(5)의 면내에 위치시키고, 또한 평면원형으로 성형하여 표면전극접속부(8a, 8b)로 함으로써 이루어져 있다.
또 각 표면전극접속부(8a, 8b)와 이면전극(5)의 사이에는 이들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층(11a, 11b)이 끼워 통해져 있다.
이 실시형태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에 따르면, 상기한 실시형태의 경우와 똑같이 이면전극접속부(7), 표면전극접속부(8a, 8b)로 이루어지는 모든 전극접속부를 발광층(3)의 면내에 위치시켜 발광층(3)의 가로 방향에 돌출 부분이 없는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구조를 충분히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분할되어 있는 2개의 표면전극(2a, 2b)으로부터 전력이 입력된 경우, 표면전극(2a, 2b)에 대응한 발광층(3)의 각 부위가 각각 개개 독립하여 발광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발광층(3)을 크게 하는 일없이 2군데에서 별개 독립으로 발광시킬 수 있어서 복잡한 발광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표면전극의 분할은 2분할만이 아니라 3 이상의 분할이어도 좋고, 또 이면전극(5)을 똑같이 분할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에 한정되지 않고 평판상의 본체부를 갖는 것이면 좋고, 표시를 실시하는 평판상의 액정표시부를 본체부로서 갖는 평판상의 액정표시소자, 광전변환을 실시하는 평판상의 광전변환부를 본체부로서 갖는 평판상의 광전변환소자, 그 밖의 전자부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를 실장한 경우의 실장구조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이면전극접속부(7) 및 표면전극접속부(8)에 도전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볼록부(21, 2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도전볼록부(21, 22)는 회로기판(11)의 대응한 단자부(13, 14)에 눌러 붙여져 있다.
도전볼록부(21, 22)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를 실장하기 전에 미리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이면전극접속부(7) 및 표면전극접속부(8)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전볼록부(21, 22)가 회로기판(11)의 발광용단자부(13, 14)에 눌러 붙여짐으로써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문에 이들을 접속하기 위한 코일스프링이나 인터커넥터 등의 접속부재를 편입할 필요가 없어서 접속부재 편입을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부품점수가 적어져서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 접속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접속부재 편입을 위한 간격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의 사이에 필요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을 적극 접근시킬 수 있고, 그 만큼 전자기기를 얇게 할 수 있다.
도전볼록부(21, 22)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이 접촉하지 않고 이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 같은 높이로 되도록 이면전극접속부(7) 및 표면전극접속부(8)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회로기판(11) 상에 반도체칩(12)이 실장되어 있으며, 이 반도체칩(12)의 상면과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하면의 사이에 간격(23)을 형성할 수 있는 높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높이를 갖는 도전볼록부(21, 22)를 설치함으로써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을 맞붙이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반도체칩(12))이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이들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설치하거나 접촉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도록 하우징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을 간단하게 맞붙일 수 있다.
이러한 도전볼록부(21, 22)의 형성은 도전성실리콘, 도전성잉크, 은페이스트 등의 도전성페이스트 또는 땜납 등의 도전재를 이면전극접속부(7) 및 표면전극접속부(8)에 인쇄하거나 도전재를 적하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조작은 간단하고 단시간으로 가능한 것에서 도전오목부(21, 22)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도전금속 또는 도전수지에 의해 도전볼록부(21, 22)를 별도 제작해 두고, 제작한 도전볼록부(21, 22)를 이면전극접속부(7), 표면전극접속부(8)에 녹여붙임 또는 접착함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성형의 자유도가 늘기 때문에 도전볼록부(21, 22)의 제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녹여붙임은 초음파가진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접착의 경우에는 도전성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5의 실장구조에 있어서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위쪽에 액정표시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24)는 하면에 전극(25, 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전극(25, 26)이 회로기판(11)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용단자부(27, 28)에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전극(25, 26)과 대향하는 표시용단자부(27, 28)가 각각 인터커넥터(29, 30)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회로기판(11)으로부터의 신호의 입력에 의해 액정표시장치(24)가 소정의 표시를 실시한다. 이 액정표시장치(24)에 대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는 발광에 의해 조명을 실시하기 때문에 어두운 장소에서도 사용자는 액정표시장치(24)의 표시 내용을 명확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도 11은 서로 구조가 다르게 되어 있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에 대해 도전볼록부를 형성하는 형태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표면전극(2), 발광층(3), 중간절연층(4), 이면전극(5) 및 이면절연층(6)은 도 2에 나타내는 경우와 똑같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를 구성하고 있다. 또 표면전극(2)에는 투명기판(19)이 적층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의 형태에서는 이면전극(5)이 위치하는데, 표면전극(2)이 바깥쪽으로 연장설치됨으로써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면외에 위치해 있다.
즉 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는 기본적으로는 도 28 및 도 29에서 나타낸 종래의 일렉트로루미네센스(100)와 똑같은 구조의 것이다.
이러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절연층(6)의 일부가 절개됨으로써 이면전극(5)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으며, 노출된 부분이 이면전극접속부(7)로 되어 있다. 이 이면전극접속부(7)에는 도전볼록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도전볼록부(32)는 이면절연층(6)보다도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도전볼록부(3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11)의 발광용단자부(13)에 눌러 붙여져서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표면전극(2)에 있어서도 똑같으며, 그 표면전극접속부에 도전볼록부(32)가 형성된다. 이 도전볼록부(32)는 이면전극(5)의 도전볼록부(32)와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형성되고, 이 도전볼록부(32)를 통해 표면전극(2)이 회로기판(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도전볼록부(32)는 미리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 때문에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을 맞붙임으로써 이들을 필연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접속부재를 불필요로 한 접속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도전볼록부는 도 5의 도전볼록부(21, 22)와 똑같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의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것 같은 높이로 되어 있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형태에서는 이면전극접속부(7) 및 표면전극접속부(8)가 면외로 연장설치된 부분에 가로병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접속부(7 및 8)에 대해 도전볼록부가 형성된다.
도 8은 표면전극접속부에 대해 도전볼록부(33)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이면전극접속부에 대해서도 똑같이 도전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회로기판(11)과의 접속이 실시된다.
도 10 및 11의 형태에서는 이면전극접속부(7) 및 표면전극접속부(8)가 면내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전극접속부(8)는 표면전극(2)에 접속되어 인출되어 있는 도체부(9)의 인출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 표면전극접속부(8)와 이면전극(5)의 사이에는 절연층(10)이 끼워 통해져 있다.
이러한 표면전극접속부(8)에 대해 도전볼록부(33)가 형성되고, 이 도전볼록부(33)를 통해 회로기판(11)과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도 12∼도 14는 도전볼록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6에 대응하고, 도 13은 도 8에 대응하며, 도 14는 도 10에 대응하고 있다.
이들의 형태에서는 도전볼록부(32, 33)는 시트(34)를 통해 이면전극접속부(7) 또는 표면전극접속부(8)에 부착되어 있다.
시트(34)로서는 양면 접착성의 도전성시트, 양면 접착성의 이방성시트가 사용되고, 이 시트(34)를 전극접속부(7, 8)에 접착하고, 그 후 시트(34)에 도전볼록부(32, 33)를 접착함으로써 부착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34)를 통해 도전볼록부(32, 33)를 부착하는 형태에서는 도전볼록부(32, 33)를 별도 제작해 둘 수 있어 그 제작이 용이함과 동시에 시트(34)의 적층수를 변경함으로써 도전볼록부(32, 33)의 높이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5∼도 17은 실장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회로기판(11)에 도전볼록부(35, 36)가 형성되어 있다.
도전볼록부(35)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11)의 발광용단자부(13) 상에 형성되고, 도전볼록부(36)는 발광용단자부(14)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볼록부(35, 36)가 형성된 회로기판(11)에 대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를 맞붙이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볼록부(35, 36)를 통해 회로기판(11)과 일렉트로루미네센스(1)가 접속된다.
이 때문에 이들 사이에 접속부재를 배치할 필요가 없이 접속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간단하게 맞붙일 수 있다.
또 회로기판(11)(반도체칩(12))과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사이에 간격(23)을 형성하도록 도전볼록부(35, 36)의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의 발광용단자부(13, 14) 상에 도전성시트, 이방성시트 등의 시트(34)를 부착하고, 이 시트(34) 상에 도전볼록부(35, 36)를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볼록부(35, 36)의 높이 조정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8은 실시구조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일렉트로루미네센스(1) 및 회로기판(11)의 양쪽에는 도전볼록부(21, 22, 35, 36)가 형성되어 있다.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도전볼록부(21)는 회로기판(11)의 도전볼록부(35)와 대향하고, 도전볼록부(22)는 도전볼록부(36)와 대향하고 있다.
회로기판(11)에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를 맞붙이면 대향한 도전볼록부(21, 22, 35, 36)가 서로 눌러 붙여져 회로기판(11)과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를 이들 도전볼록부(21, 22, 35, 36)를 각각 통해 확실히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19∼도 24는 전자부품으로서의 평판상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19 및 도 20은 유리기판을 사용한 유리액정표시장치(40), 도 21 및 도 22는 필름을 기판으로한 필름액정표시장치(50)이다.
이 들의 액정표시장치(40, 50)는 전극(41, 51)이 바깥둘레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이 전극(41, 51)이 회로기판과 접속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40, 50)에 있어서는 전극(41, 51)에 도전볼록부(45)가 형성된다. 이 도전볼록부(45)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41, 51)에 직접적으로 형성해도 좋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시트, 이방성시트 등의 시트(46)를 전극(41, 51)에 부착하고, 이 시트(46)에 도전볼록부(45)를 접합해도 좋다.
여기에서 필름액정표시장치(50)와 같이 전극(51)이 만곡되어 있어도 도전볼록부(45)를 이 만곡을 따라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불량을 일으키는 일없이 신뢰성이 있는 접속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5∼도 27은 유리액정표시장치(40)를 전자부품으로서 회로기판(11)에 접속한 경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5에 나타내는 구조의 경우 유리액정표시장치(40) 측에 도전볼록부(45)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로기판(11)은 이 도전볼록부(45)를 통해 유리액정표시장치(40)에 맞붙어 있다.
도 26에 나타내는 구조의 경우 회로기판(11)측에 도전볼록부(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리액정표시장치(40)는 이 도전볼록부(47)를 통해 회로기판(11)에 맞붙어 있다.
도 27에 나타내는 구조의 경우 유리액정표시장치(40) 측에 도전볼록부(45, 45)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로기판(11) 측에 이것과 대향하여 도전볼록부(47, 47)가 형성되어 있다.
어떤 맞붙임에 있어서도 유리액정표시장치(40) 측과 회로기판(11)을 도전볼록부(45, 46, 47)를 통해 전기적으로 확실한 접속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을 전자 손목시계에 적용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는 표면전극(2), 발광층(3), 중간절연층(4), 이면전극(5), 이면절연층(6)이 차례로 적층되는 것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발광층(3)은 직사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쌍의 표면전극(2) 및 이면전극(5)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것에 따라서 발광한다. 발광층(3)은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본체부를 구성한다.
또 표면전극(2), 중간절연층(4), 이면전극(5) 및 이면절연층(6)은 어느 것이나 발광층(3)과 똑같은 직사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이 적층된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는 전체가 얇은 평판상의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이면전극접속부(7) 및 표면전극접속부(8)에 도전부재로 이루어지는 도전볼록부(21, 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도전볼록부(21, 22)는 회로기판(11)상의 단자부(13, 14)에 눌러 붙여져 있다.
도전볼록부(21, 22)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를 실장하기 전에 미리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이면전극접속부(7) 및 표면전극접속부(8)에 형성되는 것이며, 도전볼록부(21, 22)가 회로기판(11)의 발광용단자부(13, 14)에 눌러 붙임으로써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회로기판(11)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8의 실장구조에 있어서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위쪽에 액정표시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24)는 하면에 전극(25, 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전극(25, 26)이 회로기판(11)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용단자부(27, 28)에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전극(25, 26)과 대향하는 표시용단자부(27, 28)가 각각 인터커넥터(29, 30)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회로기판(11)으로부터의 신호의 입력에 의해 액정표시장치(24)가 소정의 표시를 실시하게 되어 있다. 이 액정표시장치(24)에 대해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는 발광에 의해 조명을 실시하기 때문에 어두운 장소에 있어서도 액정표시장치(24)의 표시 내용을 확실히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8에 있어서 손목시계케이스(320)의 상부에는 시계유리(321)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손목시계케이스(320)의 하면에는 방수링(324)을 통해 뒤덮게(323)가 부착되어 있다. 이 손목시계케이스(320)의 내부에는 시계모듈(322)이 배치된다.
시계모듈(322)은 회로기판(11)과 아날로그무브먼트(331)와 상기한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와 이들을 맞붙이기 위한 하우징(하부하우징)(326)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26)은 위치결정돌기(32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위치결정돌기(326a)가 손목시계케이스(320)의 위치결정구멍(320a)에 끼워 맞춤으로써 손목시계케이스(320)에 위치 결정된다.
또 하우징(326)의 하면에는 바탕판(328)이 맞닿아 있으며, 이 맞닿음 상태에서 바탕판(328), 하우징(326)의 나사(329)를 관통시켜 그 선단을 손목시계케이스(320)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시계모듈(322)이 손목시계케이스(320)내에 고정되어 있다.
회로기판(1)은 이러한 하우징(320)의 위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는 하우징(320)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부재(327)에 의해 주변부분이 밀어 붙여짐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아날로그무브먼트(331)는 하우징(326)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또 아날로그무브먼트(331)는 회로기판(11)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중심 부분을 관통하고, 이들의 위쪽으로 돌출한 지침축(332)을 구비하여 이 지침축(332)에 시침, 분침, 초침으로 이루어지는 지침(333)이 부착되어 있다.
이 전자 손목시계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24)는 시각, 일자, 요일, 그 밖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전자 손목시계에서는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전극접속부(7, 8)가 이면전극(5)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일렉트로루미네센스(1)의 외관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를 수용하기 위한 손목시계케이스(320)의 전체를 충분히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일렉트로루미네센스(1)는 미리 형성되어 있는 도전볼록부(21, 22)를 통해서 회로기판(11)과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을 위한 별도의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접속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접속 작업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평판상의 전자부품이면 좋고 평판상의 태양전지 등의 광전변환장치, 평판상의 터치패널, 평판상의 각종 센서, 그 밖의 전자부품에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전자부품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상의 전자부품본체(도 2의 3, 4)와, 이 전자부품본체의 한쪽의 제 1 면 및 다른 면인 제 2 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극(도 2의 2, 5)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중 한쪽의 제 1 전극(도 2의 5)에 형성된 제 1 전극접속부(도 2의 7)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중 다른쪽의 제 2 전극(도 2의 2) 상에 절연층(도 2의 10)을 통해 형성되고, 또한 그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전극(도 2의 5) 측까지 연장한 제 2 전극접속부(도 2의 8)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자장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전자부품(도 2의 1)과, 이 전자부품을 내장한 전자기기 케이스(도 2의 1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전자부품의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각 전극의 한쪽 또는 양쪽은 복수의 전극부(도 4의 2a, 2b)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 분할된 복수의 전극부의 각각에 상기 전극접속부(도 4의 8a, 8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도 2,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부품본체는 평판상의 발광소자(도 2의 3), 액정표시소자(도 5의 24) 및 광전변환소자의 어느 것인 가이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자장치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적인 접속부(도 5의 13, 14)를 갖는 회로기판(도 5의 11)과 이 회로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에 대응한 위치에 전극(도 5의 7, 8)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부품(도 5의 1)과 이 전자부품의 전극과 상기 회로기판의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상기 전극 및 상기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도전볼록부(도 5의 21, 2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자장치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전자부품(도 5의 1)과 이 전자부품 상에 설치된 표시장치(도 5의 2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자장치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상의 전자부품본체(도 28의 3, 4), 이 전자부품본체의 양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도 28의 5, 2), 이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 중의 상기 제 1 전극(도 28의 5)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접속부(도 28의 7, 8)를 갖고, 상기 제 2 전극접속부(도 28의 8)가 상기 제 1 전극 상에 절연층(도 28의 10)을 갖고 상기 제 2 전극접속부(도 28의 8)가 상기 제 1 전극 상에 절연층(도 28의 10)을 통해 형성된 전자부품(도 28의 1)과, 이 전자부품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전극접속부에 대향하여 한쌍의 단자부(도 28의 13, 14)가 형성된 회로기판(도 28의 11)과 상기 전자부품의 전극접속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전극접속부 및 단자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도전볼록부(도 28의 21, 2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 실시형태의 전자기기는 상기한 전자장치(도 28의 1)와 이 전자장치를 내장한 전자기기케이스(도 28의 32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과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간격 내에는 상기 도전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도전볼록부는 인쇄, 적하, 녹여붙임 또는 접착의 어느 것인가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도전볼록부는 도전시트 또는 이방성시트(도 13, 14의 34)를 통해 상기 전자부품의 전극접속부 또는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부품은 발광부재, 액정표시부재 또는 광전변환부재의 어느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부품에 따르면,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접속부의 전체를 한쪽의 전극 측에 배치함으로써 전극접속부가 전자부품본체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의 전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자부품을 부착하는 전자기기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장치에서는 전자부품의 전극과 회로기판의 단자부를 접속하기 위해 이들의 전극 또는 단자부의 적어도 한쪽에 높이 조정 가능한 도전볼록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과 회로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코일이나 인터커넥터 등의 다른 접속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부재 편입을 위한 간격이 불필요하게 되어 전자부품과 회로기판을 접근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자장치의 전체를 박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계에서는 이상의 전자부품 또는 전자장치를 시계 케이스 내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이며, 또한 박형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2)

  1. 평판상의 전자부품본체(도 2의 (3), (4))와,
    이 전자부품본체의 한쪽의 제 1 면 및 다른쪽의 제 2 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의 전극(도 2의 (2), (5))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전극 중 한쪽의 제 1 전극(도 2의 (5))에 형성된 제 1 전극접속부(도 2의 (7))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중 다른쪽의 제 2 전극(도 2의 (2)) 상에 절연층(도 2의 (10))을 통해 형성되고, 또한 그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 1 전극(도 2의 (5)) 측까지 연장한 제 2 전극접속부(도 2의 (8))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2. 청구항 1 기재의 전자부품(도 2의 (1))과,
    이 전자부품을 내장한 전자기기케이스(도 2의 (1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각 전극의 한쪽 또는 양쪽은 복수의 전극부(도 4의 (2a), (2b))로 분할되어 있고, 이 분할된 복수의 전극부의 각각에 상기 전극접속부(도 4의 (8a), (8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본체는 평판상의 발광소자(도 2의 (3)), 액정표시소자(도 5의 (24)) 및 광전변환소자의 어느 것인가를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5. 전기적인 접속부(도 5의 (13), (14))를 갖는 회로기판(도 5의 (11))과,
    이 회로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접속부에 대응한 위치에 전극(도 5의 (7), (8))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부품(도 5의 (1))과,
    이 전자부품의 전극과 상기 회로기판의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전극 및 상기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도전볼록부(도 5의 (21), (2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청구항 1 기재의 전자부품(도 5의 (1))과,
    이 전자부품 상에 설치된 표시장치(도 5의 (2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평판상의 전자부품본체(도 28의 (3), (4)), 이 전자부품본체의 양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의 전극(도 28의 (5), (2)), 이 한쌍의 제 1 및 제 2의 전극 중 상기 제 1 전극(도 28의 (5))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쌍의 제 1 및 제 2 전극접속부(도 28의 (7), (8))를 갖고, 상기 제 2 전극접속부(도 28의 (8))가 상기 제 1 전극 상에 절연층(도 28의 (10))을 통해 형성된 전자부품(도 28의 (1))과,
    이 전자부품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한쌍의 전극접속부에 대향하여 한쌍의 단자부(도 28의 (13), (14))가 형성된 회로기판(도 28의 (11))과,
    상기 전자부품의 전극접속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전극접속부 및 단자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도전볼록부(도 28의 (21), (2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청구항 5 기재의 전자장치(도 28의 (1))와,
    이 전자장치를 내장한 전자기기케이스(도 28의 (3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과 상기 회로기판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격 내에는 상기 도전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볼록부는 인쇄, 적하, 녹여붙임 또는 접착의 어느 것인가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볼록부는 도전시트 또는 이방성시트(도 13, 14의 (34))를 통해 상기 전자부품의 전극접속부 또는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발광부재, 액정표시부재 또는 광전변환부재의 어느 것인가를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19980022900A 1997-06-20 1998-06-18 전자부품 및 전자장치 KR100276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644444 1997-06-20
JP9164444A JPH1115394A (ja) 1997-06-20 1997-06-20 電子部品、電子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時計
JP97-164444 1997-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099A KR19990007099A (ko) 1999-01-25
KR100276092B1 true KR100276092B1 (ko) 2000-12-15

Family

ID=1579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900A KR100276092B1 (ko) 1997-06-20 1998-06-18 전자부품 및 전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43259B1 (ko)
JP (1) JPH1115394A (ko)
KR (1) KR100276092B1 (ko)
CN (1) CN109982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5278A (ja) * 2002-01-24 2003-07-30 Seiko Instruments Inc 電子時計
KR101342731B1 (ko) * 2007-01-04 2013-12-19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기능을 갖춘 보호 패널
JP5515685B2 (ja) * 2009-11-26 2014-06-1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D690296S1 (en) 2011-02-01 2013-09-24 Data Ltd., Inc. Tablet computer
EP2485100A1 (fr) * 2011-02-08 2012-08-08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Montre comprenant une lunette et procédé de fixation d'une telle lunette
KR102263982B1 (ko) * 2014-10-20 2021-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321493A1 (en) * 2016-06-07 2020-10-08 Philips Lighting Holding B.V. Uv solid state output device
EP3882721B1 (en) 2020-03-18 2024-06-05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device and timepie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8869A (en) * 1976-07-31 1980-06-24 Citizen Watch Co., Ltd. Illumination device for electronic timepie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43259B1 (en) 2001-06-05
CN1207012A (zh) 1999-02-03
JPH1115394A (ja) 1999-01-22
KR19990007099A (ko) 1999-01-25
CN1099825C (zh) 200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0724A (en) Sheet-like miniaturized electronic device
EP2058692B1 (en) Display device and timepiece
JP361389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使用機器
US569419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light guiding plate disposed between circuit board and display panel
KR100276092B1 (ko) 전자부품 및 전자장치
TWI304909B (ko)
JP3212621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ライト及びそのシールド構造
JP2002268572A (ja) 表示用照明装置
US6519019B2 (en) Liquid crystal connected to circuit substrate and backlight via connector
KR100485967B1 (ko) 압착 접속 기판,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CN110970537A (zh) Led、驱动电路基板、显示面板及制作方法、显示装置
KR200163007Y1 (ko)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JP2563810Y2 (ja) 表示パネルの実装装置
JPH07218913A (ja) バックライト付き液晶表示装置
US5923620A (en) Modul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JP3757779B2 (ja) 液晶表示装置
JP2591653Y2 (ja) 液晶表示装置
JP2586751Y2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112065A (ko) 휴대용 기기를 위한 슬림화된 이엘 키패드
CN1411593A (zh) 显示和背光照明组件
JPH1172798A (ja) バックライト式液晶表示装置の構造
JPS6362015B2 (ko)
JP2586750Y2 (ja) 液晶表示装置
JPS6011508Y2 (ja) 液晶電子時計
JP2007041386A (ja) 電気泳動表示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電気泳動表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