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952B1 - 유선통신장치 자동응답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선통신장치 자동응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952B1
KR100275952B1 KR1019980023808A KR19980023808A KR100275952B1 KR 100275952 B1 KR100275952 B1 KR 100275952B1 KR 1019980023808 A KR1019980023808 A KR 1019980023808A KR 19980023808 A KR19980023808 A KR 19980023808A KR 100275952 B1 KR100275952 B1 KR 100275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ath
call
communication devic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862A (ko
Inventor
윤형식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23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952B1/ko
Priority to US09/333,959 priority patent/US6438214B1/en
Priority to CN99110905A priority patent/CN1246015A/zh
Publication of KR2000000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4Telephone line monitoring circuits therefor, e.g. ring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통신장치의 자동응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선통신장치가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교환기에서 발호신호가 발생하면, 발호 신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신호전송라인에 일정 레벨의 전압을 소정 시간 동안 공급하고, 신호전송라인에 전압 공급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발호 신호가 지속되면 자동응답 시스템을 동작시켜서 응답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교환기에 연결된 유선통신장치에서 수신측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통화를 원치 않아서 전화기를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해놓았을때 교환기를 통해 발호 신호가 전달되면 수신측과 발호측의 통화가 연결되기 전에 발호측에 현재 수신측 전화기가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음을 소정시간 동안 알림으로써, 발호측 사용자는 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신측 전화기의 자동응답 모드 설정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발호측 사용자로서는 수신측 전화기가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 불필요한 통화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화에 따른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으며, 교환기의 운용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유선통신장치 자동응답 시스템
본 발명은 유선통신장치의 자동응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통화를 원치 않아서 전화기를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해놓았을때 교환기에서 일정 회수의 발호 신호(calling signal)가 발생하면 미리 녹음되어 있는 응답 메시지가 자동으로 출력되어 발호에 응답하는 전화기의 자동응답 시스템(answer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발호측에서 발생하여 교환기를 통하여 전달되는 발호신호에 의해 착신음(tone ringer)이 발생할 때 자동응답 시스템은 이 착신음의 발생회수를 검출하여 이미 설정되어 있는 값을 만족하면 응답 메시지를 출력하여 발호에 응답한다. 발호에 응답할 때에는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등에 미리 녹음되어 있는 응답 메시지를 발호측으로 송출한다.
이때 발호측은 수신측의 자기 테이프 등의 메시지 저장수단에 원하는 메시지를 남길 수 있으며, 수신측은 수신된 메시지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근래에는 메시지 저장수단으로 자기 테이프 대신 디지탈 칩을 사용하여 반영구적인 수명과 양호한 음질을 제공한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착신 검출부(10)는 신호전송라인인 두 개의 국선(L1)(L2)을 통해 교환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검출한다. 국선(L1)(L2)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는 발호 신호와 데이타 신호(발호측에서 송출되는 음성 신호) 등이 있다.
착신 검출부(10)의 입력과 출력측에는 각각 하나씩의 스위치(11)(12)가 연결된다. 이 두 개의 스위치(11)(12)는 후크 스위치(hook switch)로서 스위치(11)는 국선 (L1)과 착신 검출부(10)의 입력 사이를 스위칭하며, 스위치(12)는 착신 검출부(10)의 출력을 경로 A 또는 경로 B로 분기한다.
착신음 발생부(13)는 교환기에서 송출되는 발호 신호가 스위치(12)의 경로 A를 통하여 입력되면 부저(buzzer)나 벨(bell)과 같은 외부표시장치(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음)를 구동하여 착신음을 발생시키며, 수신측 사용자는 이 착신음을 통하여 발호 사실을 알 수 있다.
스피치 네트워크(14)는 오프 후크 상태(수화기를 들어서 전화기와 교환기 사이에 폐회로가 형성되는 상태)일 때 교환기에서 송출되는 음성 신호가 스위치(12)의 경로 B를 통하여 입력되면 외부출력장치인 수화기의 스피커(15) 또는 전화기 본체에 내장된 스피커를 구동하여 가청 음성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로써 수신측 사용자는 발호측으로부터 송출되는 메시지를 전달받는 것이다.
라인 전압 레귤레이터(17)는 5V 또는 45V의 두 가지 전압을 출력하는데, 온 후크 상태일 때 45V의 전압을 출력하고 오프 후크 상태일 때 5V의 전압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화기의 자동응답 시스템은 교환기에서 일정 회수의 발호 신호가 발생하면 발호측과 수신측 사이에 신호전달라인이 연결되고(교환기에 의해), 미리 녹음되어 있는 응답 메시지가 자동으로 출력되어 발호에 응답함으로써 통화가 성립된다.
그러나 발호측 사용자가 수신측의 자동응답 시스템에 메시지를 남기지 않고 수신측 사용자와 직접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통화가 성립됨으로써 발호측 사용자는 불필요한 통화 요금을 지불해야 하고, 통신 시스템 차원에서는 부하가 증가하여 실제로 통화가 필요한 다른 사용자가 회선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의 효율을 크게 떨어뜨린다.
본 발명은 교환기에 연결된 유선통신장치에서 수신측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통화를 원치 않아서 전화기를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해놓았을때 교환기를 통해 발호 신호가 전달되면 수신측과 발호측의 통화가 연결되기 전에 발호측에 현재 수신측 전화기가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음을 소정시간 동안 알림으로써, 발호측 사용자는 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신측 전화기의 자동응답 모드 설정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응답 모드에서 불필요한 통화가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유선통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유선통신장치가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교환기에서 발호신호가 발생하면, 발호 신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신호전송라인에 일정 레벨의 전압을 소정 시간 동안 공급하고, 신호전송라인에 전압 공급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발호 신호가 지속되면 자동응답 시스템을 동작시켜서 응답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 시스템을 구비한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착신 검출부 11, 12, 111, 112 : 후크 스위치
13, 113 : 착신음 발생부 14, 114 : 스피치 네트워크
15, 115 : 스피커 16, 116 : 제어부
17, 119 : 라인전압 레귤레이터 118 : 자동응답모드 전압 레귤레이터
120 : 카운터 121 : 타이머
122 : 스위치 L1, L2 : 국선
T : 팁 라인 R : 링 라인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대표적인 유선통신장치인 전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 시스템을 구비한 전화기의 블록도이다.
착신 검출부(110)는 신호전송라인인 두 개의 국선(L1)(L2)을 통해 교환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검출한다. 국선(L1)(L2)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는 발호 신호와 데이타 신호(발호측에서 송출되는 음성 신호) 등이 있다. 착신 검출부(110)의 입력과 출력측에는 각각 하나씩의 스위치(111)(112)가 연결된다.
이 두 개의 스위치(111)(112)는 후크 스위치로서 도 2에는 온 후크 상태(수화기를 들지 않아 전화기와 교환기가 개방회로로 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후크 스위치의 제 1 스위치(111)는 국선 (L1)과 착신 검출부(110)의 입력 사이를 스위칭한다. 제 2 스위치(112)는 착신 검출부(110)의 출력을 경로 A 또는 경로 B로 분기한다.
착신음 발생부(113)는 제 2 스위치(112)의 경로 A를 통하여 교환기에서 송출되는 발호 신호가 입력되면 부저나 벨과 같은 외부표시장치를 구동하여 착신음을 발생시키며, 사용자는 이 착신음을 통하여 발호 사실을 알 수 있다.
스피치 네트워크(114)는 오프 후크 상태(수화기를 들어서 전화기와 교환기가 폐회로로 되는 상태)일 때 교환기로부터 송출되는 음성 신호가 제 2 스위치(112)의 경로 B를 통하여 입력되면 외부출력장치인 수화기의 스피커(115) 또는 전화기 본체에 내장된 스피커를 구동하여 가청 음성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로써 수신측 사용자는 발호측으로부터 송출되는 메시지를 전달받는 것이다.
전압 레귤레이터(117)는 20V의 전압을 출력하는 자동응답모드 전압 레귤레이터(118)와 5V 또는 45V의 전압을 출력하는 라인 전압 레귤레이터(119)로 구성된다. 자동응답모드 전압 레귤레이터(118)는 오프 후크 상태이고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20V의 전압을 출력한다. 두 가지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는 라인 전압 레귤레이터(119)는 온 후크 상태일 때 45V의 전압을 출력하고, 오프 후크 상태일 때 5V의 전압을 출력한다.
제 3 스위치(122)는 자동응답모드 전압 레귤레이터(118)의 출력단과 경로 B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 E와, 라인 전압 레귤레이터(118)의 출력단과 경로 B사이에 형성되는 경로 F 사이를 스위칭한다. 이 제 3 스위치(122)는 온 후크 상태에서는 경로 B에 45V의 전압이 공급되도록 경로 F에 연결되며,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온 후크 상태에서는 경로 B에 20V의 전압이 공급되도록 경로 E에 연결된다.
카운터(120)에는 소정의 기준 카운트 값(D)이 설정된다. 이 카운터(120)는 착신음 발생부(113)에서 발생하는 착신음의 수를 카운트하는데, 이 카운트 동작은 다음에 설명하는 타이머(121)의 활성화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카운트 값(D)은 발호측에서 발호 신호가 발생한 이후에 수신측에서 착신음(tone ring)이 몇 번 울린 다음에 응답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값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다.
타이머(121)에는 소정의 기준시간이 설정된다. 타이머(121)에서는 제 3 스위치(122)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 제어신호는 카운터(120)의 카운트 값이 기준 카운트 값(D)을 만족하는 시점부터 기준 시간동안 제 3 스위치(122)를 경로 E에 연결시키고,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제 3 스위치(122)를 경로 F에 연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신측 사용자가 기준 카운트 값(d)의 형태로 정해놓은 응답 메시지 출력시점이 되더라도 응답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는다. 위의 과정에서 수신측 사용자가 임의로 정해놓은 시간이 되면 응답 메시지를 출력하는 대신 신호전송라인에 20V의 전압을 공급한다.
신호전송라인에 20V의 전압레벨을 공급하는 것은 교환기가 수신측의 동작모드가 자동응답 모드임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신호전송라인에 20V의 전압을 공급하는 시간은 전화기의 제작과정에서 고정된 값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발호 신호의 발생 시점부터 20V의 전압 공급이 진행되는 동안 교환기는 발호측과 수신측을 연결하지 않기 때문에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본 발명의 자동응답 시스템의 핵심적인 동작특성으로서, 응답 메시지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발호측과 수신측이 상호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단지 교환기에 연결된 신호전달선인 팁 라인(T)과 링 라인(R)에 특정 레벨의 전압(20V)을 공급함으로써 발호측과 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교환기가 수신측의 자동응답모드 설정 사실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전압 공급의 대상이 되는 신호선은 국선(L1)(L2)과 전화기 사이를 연결하는 팁 라인(tip line)(T)과 링 라인(ring line)(R)이다. 이 팁 라인과 링 라인은 전화기를 국선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접속 플러그의 팁과 링에 연결되는 신호선이다. 접속 플러그의 금속 부분에서 가장 끝 부분을 팁(tip)이라고 한다. 이 팁 다음의 절연물로 만들어진 환형 부분을 링(ring)이라고 한다. 접속 플러그의 팁, 링에 접속된 선을 각각 팁 라인과 링 라인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완료된 다음에도 계속 발호신호가 지속되면(즉, 발호측 사용자가 수신측의 응답 메시지를 듣고 수신측의 기록 장치에 소정의 메시지를 남기고자 할 때) 수신측에서는 비로소 응답 메시지를 출력하고, 발호측이 남기는 메시지를 저장한다.
본 발명은 교환기에 연결된 유선통신장치에서 수신측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통화를 원치 않아서 전화기를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해놓았을때 교환기를 통해 발호 신호가 전달되면 수신측과 발호측의 통화가 연결되기 전에 발호측에 현재 수신측 전화기가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음을 소정시간 동안 알림으로써, 발호측 사용자는 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신측 전화기의 자동응답 모드 설정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발호측 사용자로서는 수신측 전화기가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 불필요한 통화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화에 따른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으며, 교환기의 운용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자동응답 시스템을 구비하고, 신호전송라인을 통해 교환기에 연결되는 유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선통신장치가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교환기에서 발호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발호 신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신호전송라인에 소정 레벨의 전압을 소정 시간 동안 공급하고, 상기 신호전송라인에 상기 소정 레벨의 전압의 공급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발호 신호가 지속되면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는 유선통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호 신호의 발생 시점부터 상기 소정 레벨의 전압공급 개시 시점까지의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하는 발호 신호 발생 이후의 자동응답 모드 동작시점인 유선통신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호 신호의 발생 시점부터 상기 신호전송라인에 상기 일정 레벨의 전압 공급이 완료되는 동안에는 통화가 연결되지 않는 유선통신장치.
  4. 자동응답 시스템을 구비하고, 신호전송라인을 통해 교환기에 연결되는 유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에서 상기 신호전송라인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착신 검출부와;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신호전송라인과 상기 착신 검출부 사이를 스위칭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착신 검출부의 출력을 제 1 경로 또는 제 2 경로로 분기하는 후크 스위치와;
    상기 교환기에서 송출되는 발호 신호가 상기 제 2 스위치의 상기 제 1 경로를 통하여 입력되면 외부표시장치를 구동하여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착신음 발생부와;
    제 1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자동응답모드 전압 레귤레이터와 제 2 출력전압 또는 제 3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라인 전압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라인 전압 레귤레이터는 온 후크 상태일 때 상기 제 2 출력전압을 발생시키고, 오프 후크 상태일 때 상기 제 3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레귤레이터와;
    상기 자동응답모드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단과 상기 제 2 경로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경로와 상기 라인 전압 레귤레이터의 출력단과 상기 제 2 경로 사이에 형성되는 제 4 경로 사이를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치와;
    소정의 기준 카운트 값이 설정되며, 상기 착신음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착신음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소정의 기준 시간이 설정되며,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상기 기준 카운트 값을 만족하는 시점부터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상기 제 3 경로에 연결시키고,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 3 스위치를 상기 제 4 경로에 연결시키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유선통신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온 후크 상태는 상기 제 1 스위치가 개방되고 상기 제 2 스위치가 상기 제 1 경로에 연결되는 상태이고, 상기 오프 후크 상태는 상기 제 1 스위치가 단락되고 상기 제 2 스위치가 상기 제 2 경로에 연결되는 상태인 유선통신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호 신호의 발생시점부터 상기 타이머의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유선통신장치.
KR1019980023808A 1998-06-24 1998-06-24 유선통신장치 자동응답 시스템 KR100275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808A KR100275952B1 (ko) 1998-06-24 1998-06-24 유선통신장치 자동응답 시스템
US09/333,959 US6438214B1 (en) 1998-06-24 1999-06-16 Answering system for a communication device
CN99110905A CN1246015A (zh) 1998-06-24 1999-06-24 通信设备的应答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808A KR100275952B1 (ko) 1998-06-24 1998-06-24 유선통신장치 자동응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862A KR20000002862A (ko) 2000-01-15
KR100275952B1 true KR100275952B1 (ko) 2000-12-15

Family

ID=1954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808A KR100275952B1 (ko) 1998-06-24 1998-06-24 유선통신장치 자동응답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38214B1 (ko)
KR (1) KR100275952B1 (ko)
CN (1) CN12460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553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단문메시지 편집전송방법
US20050078810A1 (en) * 2003-10-10 2005-04-14 Corvex, Inx. Automatic telephone call holding system
GB0905454D0 (en) 2009-03-30 2009-05-13 British Telecomm Call control
GB0905456D0 (en) 2009-03-30 2009-05-13 British Telecomm Call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220A (en) 1986-02-25 1987-04-21 Kraus Constantine R No answer mode for telephone systems
US5394445A (en) * 1993-06-25 1995-02-28 Ball; Randel H. Telephone call screening and answering device
US5483577A (en) * 1994-01-24 1996-01-09 Advanced Micro Devices, Inc. Single chip telephone answering machine, telephone, speakerphone, and ADSI controller
WO1997028631A1 (en) * 1996-02-01 1997-08-07 Northern Telecom Limited Telecommunications functions management system
US6026152A (en) * 1997-12-17 2000-02-15 Lucent Technologies Inc. Ring count controlled by incoming call related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862A (ko) 2000-01-15
US6438214B1 (en) 2002-08-20
CN1246015A (zh) 2000-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4788A (en) Telephone system and interface device
KR0155633B1 (ko) 자동응답시스템에서 전화수신 시 인사메세지 자동송출방법
WO1996016501A9 (en) An improved telephone system and interface device
KR100275952B1 (ko) 유선통신장치 자동응답 시스템
KR0155635B1 (ko) 3인통화 서비스가 가입된 자동 응답 전화기에서 착신신호를 외출지로 자동연결하는 방법
JP2946265B2 (ja) キャッチホン対応型電話装置
KR100323994B1 (ko) 전화기의 종단신호음 제거장치 및 방법
JP3286521B2 (ja) 電話装置
KR200332418Y1 (ko) 유선전화 착신자에게 통화연결음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
KR200440650Y1 (ko) 음성전화통보기
KR200240708Y1 (ko) 음성전송 단축다이얼 장치
KR100206852B1 (ko) 다기능 알람 자동응답 전화기 및 제어방법
JPH0771160B2 (ja) 電話交換装置
JPH07110025B2 (ja) 多数共同加入電話機装置
KR19990000365A (ko) 자동응답기에서 음성메세지 녹음방법
KR20000025073A (ko) 부재중 음성 메시지 자동 전달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1208948A (ja) 電話機
JPH04165740A (ja) 通信装置
JPH04192947A (ja) 家庭用簡易電話交換装置
KR19980050395A (ko) 자동 응답기능을 갖는 전화기에서 무선호출기로 녹음 갯수를 송출하는 방법
KR19990004535A (ko) 다수의 사서함 가입자를 가지는 자동응답전화기 및 그 운용 방법
JPH04323998A (ja) 電話交換機
KR19980047471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제어방법
JPS6342551A (ja) デジタル電話機
KR19980021388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상대방 식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