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085B1 -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사이의 접촉면을 증대시키는 기구를 갖는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사이의 접촉면을 증대시키는 기구를 갖는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085B1
KR100275085B1 KR1019970047609A KR19970047609A KR100275085B1 KR 100275085 B1 KR100275085 B1 KR 100275085B1 KR 1019970047609 A KR1019970047609 A KR 1019970047609A KR 19970047609 A KR19970047609 A KR 19970047609A KR 100275085 B1 KR100275085 B1 KR 100275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transfer paper
guide
image carri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719A (ko
Inventor
켄지 가라시마
코히찌 야마자끼
켄타로 마쯔모토
마나부 모찌즈끼
노리유끼 우쓰이
마사쿠니 콘자
가쯔히로 유우끼
아사미 마에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80024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담지체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전사기구가 제공된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화상담지체로부터의 토너상을 전사지로 전사할 때 전사기구와 대향하는 화상담지체의 원주면의 일부를 따라 전사지가 이송되고 이와 접촉한다.
화상담지체로부터 분리된 전사지를 정착유니트로 안내 및 이송하기 위하여 이송가이드가 포함된다.
상기 이송가이드는 전사지의 선단이 안내부재와 접촉시 전사지의 이송방향을 상류로 향하게 하고 이송가이드 혹은 안내 부재와 접촉하는 전사지 선단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송가이드 혹은 안내부재의 일부에 있는 전사지를 이송함으로써, 전사지와 화상담지체 사이의 접촉부위를 증대시킴을 증대시키는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사이의 접촉면을 증대시키는 기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등 전자사진술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화상담지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담지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공된 전사기구에 의해 전사기구와 마주보는 화상담지체의 원주면의 일부를 따라 접촉하여 이송되는 기록매체로 전사되며, 전사 후 그 기록매체는 탄력과 자중에 의해 화상담지체로부터 분리되어 정착유니트로 향하게 된다.
전자 사진술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는 알려져 있으며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등과 같은 제품에서 볼수 있다.
이같은 화상형성장치의 구조에 대한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화상담지체로서의 드럼형상 감광체 1, 대전기 2, 레이저광 혹은 원고를 노출하는 로광 유니트를 이용하여 광학기재유니트로부터의 원고정보를 지니는 광학적 광원 3, 현상유니트 4, 전사지 유입안내 부재 5, 전사지 혹은 투명필름시이트 같은 기록매체로서의 전사시이트, 감광체 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열된 코로나 대전가능한 전사차저 7, 제전/분리기구 8, 크리닝 유니트 9, 제전광 10, 이송안내판 11 및 정착유니트 12를 예시하고 있다.
감광체 1은 선택적으로 벨트형으로 형성될수 있으며, 이 벨트형 감광체 1은 예를들어 회전할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롤러 주위에 뻗어 있다.
도 1에서, 화상형성조작이 개시되면, 감광체 1이 화살표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대전기 2가 감광체 1의 표면을 대전한후 광학적 광원 3이 감광체 표면을 로광하여 그 표면에 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잠상은 현상유니트 4로부터 분배된 토너에 의해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된다. 그후 토너에 의해 현상된 가시상은 전사차저와 마주보는 전사부위에 도달하며 여기서 현상된 토너상이 전사지 6으로 전사되게 된다.
전사지 6은 급지유니트(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며 전사지유입안내부재 5에 의해 감광체 1상의 잠상형성 및 현상과 동기하여 전사부위로 안내된다. 전사지 6은 전사부위에서 감광체 1의 원주면에 따라 접촉하여 이송되며 반대극성을 갖는 전하로 전사차저 7에 의해 대전되며, 이에 따라 감광체 1상의 토너상을 전사지 6으로 전사한다.
그후 전사지 6은 제전/분리 기구 8에 의해 제전되어 전사지를 감광체 1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전사지 6은 그후 이송안내판 11에 의해 정착유니트 12로 안내되며, 여기서 정착 유니트 12의 가열롤러 및 압력롤러에 의해 토너상이 전사지 6으로 정착된다.
그후 전사지 6은 (도시되지 않음) 장치의 출구부를 통해 나가게 된다.
토너상이 전사지 6으로 전사된후, 감광체 1의 표면은 크리닝 유니트 9에 의해 크리닝됨으로써 잔류토너가 제거되며 제전광 10에 의해 제전된다.
이같이 하여 화상형성조작이 완료된다.
복수의 화상을 만드는 경우 상기 조작이 반복된다.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감광체 1로부터 전사지 6으로 토너상을 전사시킬 때, 전사지 6이 감광체 1의 표면과 접촉해야 하며 감광체 1의 원주면을 따라 감광체 1과 전사지 6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유지되어야 한다.
접촉 면적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예를들어 전사지 6이 감광체 1과 접촉하면서 이송되는 시간이 짧게 되면 전사지 6의 이송방향이 감광체로부터 화상의 전사후 불안정하게 되고, 그결과 전사지의 걸림(jamming)이 일어난다. 또한 화상이 전사되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토너상이 충분히 전사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화상질의 저하가 일어난다.
감광체 1과 전사지 6의 접촉부위는 드럼형 감광체 1의 직경이 크게 되면 동시에 커진다. 감광체 1이 벨트형상이면, 전사지 6이 벨트와 접촉하고 화상이 전사되는 지점에서 벨트의 곡율 반경을 증대시키도록 벨트-형 감광체 1을 지지하는 지지롤러를 배열함으로써 접촉부위는 커진다.
접촉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전사지로 화상이 전사된후 전사지가 감광체로 부터 분리되는 것이 보다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감광체 1과 전사지 6사이의 접촉부위를 비교적 크게 하면 제전/분리기구 8과 같은 분리기구를 이용하여 감광체 1로부터 전사지 6을 분리하나, 이는 구조를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단가를 상승시키게 된다.
반면, 드럼형 감광체 6의 직경을 적게 하거나 전사점에서의 벨트형 감광체 1의 곡율반경을 보다 적게 하면, 감광체로부터 전사지의 분리가 보다 쉽게 된다.
이 배열에서는, 탄성 및 전사지자체의 중량에 의해 전사지 6이 감광체 1로부터 분리되며, 이에따라 분리기구가 필요없게 된다.
그러나 직경이 보다 작은 감광체 1 또는 전사점의 곡율반경이 보다 작은 벨트형 감광체 1에서는 전사지 6과 감광체 1의 접촉부위가 불충분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불충분한 접촉부위는 전사지 6의 불안정한 이송 및 불충분한 화상전사를 야기하며 그결과 전사지 6의 걸림과 화상질 저하로 이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불충분한 접촉시간으로 인한 불충분한 대전 때문에 화상밀도가 떨어진다. 또한 전사시 전사지 6을 가로지르는 불균일한 전하로 인해 화상얼룩이 발생한다.
전사지 6을 가로지르는 불균일한 전하는 예를들어 전사차저의 와이어전극상에 있는 먼지로 인한 불균일한 전기 대전 혹은 전사지의 불균일 수분흡수로 인한 전사지 6을 통한 전하의 누출 등에 의해 생긴다.
상기 불균일 전하는 일반적으로 전사지 6과 감광체 1사이의 접촉부위가 충분히 크고 전사시 접촉시간이 충분히 길면 제거된다.
전사시 전사지 6을 통한 전하의 누설로 야기된 불균일전하로 인한 화상질 저하문제는 전사지 6의 저항이 전사지내의 수분증대로 인해 감소되기 때문에 높은 습도 조건하에서 특히 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담지체로부터 전사지로 토너상의 충분한 전사가 이루어지도록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사이의 접촉부위를 충분히 하게 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토너상 전사지점에서 드럼형 화상담지체의 직경이나 벨트상 화상담지체의 곡율반경이 비교적 적고 전사기구가 화상담지체와 분리된 위치에 배열되어 있을 때라도 토너상의 전사후 전사지를 안정되게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조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주요부를 예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2에서 전사지의 이송방향을 예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2에서 전사지의 다른 이송방향을 예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6은 도 2 실시예에서 전사지의 이송방향을 예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2 실시예에서 전사지의 다른 이송방향을 예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예시하고, 전사지의 이송방향의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9는 제전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주요부를 예시한 개략도
도 10은 다른 제전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예시한 개략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전기의 상태를 예시한 개략도
도 12는 제전기의 다른 상태를 예시하고 또한 그 같은 상태에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13은 제전기를 제어하기 위해 전사지의 걸림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갖는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 14는 제전기에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도
도 15는 전사전하가 제전기로 누설됨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16은 제전기구를 갖는 통상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를 예시한 개략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전기구를 예시한 개략 사시도
도 18은 전하를 균일하게 누설하기 위한 부재를 갖는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예시한 개략도
도 19는 전사기구의 하부로 전하를 균일하게 누설시키기 위한 부재를 갖는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드럼형 감광체(drum-shaped photoconductor)
2...대전기(charger)
4...현상유니트(developing unit)
5...전사지 유입안내 부재(transfer sheet entrance guide member)
6...전사지(transfer sheet)
7...전사차저(transfer charger)
7b ...와이어 전극(wire electrode)
9...크리닝 유니트(cleaning unit)
13...안내부재(guiding member)
15, 15'...제전기(discharger)
16...도전브러쉬(condnctive brush)
17...브러쉬 지지부재(brush support member)
19...솔레노이드(solenoid)
21...전사부위(transfer area)
22...센서(sensor)
상기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상담지체와 분리된 위치에 전사기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화상담지체로부터 전사지로 토너상을 전사시킬 때 전사기구와 대향하는 화상담지체의 원주면 일부와 접촉하여 전사지가 이송된다.
화상담지체로부터 정착유니트로 분리후 전사지를 안내하고 이송하기 위하여 이송가이드가 포함된다. 상기 이송가이드는 전사지의 선단이 안내부재와 접촉할 때 전사지를 상부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이송가이드 혹은 안내부재의 일부를 이송가이드 혹은 안내부재와 접촉하는 전사지의 선단위치부와 높은 위치로 안내하도록 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의 접촉부위를 증대시킨다.
상기 안내부재는 이송가이드로부터 상향으로 신장하고 전사지의 이송방향을 향하여 기우는 이송가이드에 제공될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안내부재는 전사기구로부터 하향신장하고 전사기구의 일측에서 전사지의 이송방향에 반대방향을 향해 기우며, 이송된 전사지의 선단이 안내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이송가이드와 일체로 형성될수 있다.
나아가 화상담지체로부터 분리된 전사지를 제전하는 제전기구를 상기 안내부재에 제공하고 전사지와 제전기구가 접촉시 전사지의 이송방향을 상부로 향하도록 배열할수 있다.
선택적으로, 화상담지체로부터 분리된 전사지를 제전하는 제전기구를 전사지가 제전기구와 접촉할 때 화상담지체로부터 분리된 전사지의 이송방향을 상부로 향하게 하도록 하는 안내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배열함으로써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의 접촉부위를 증대시킬수 있다.
또한 전사지와 접촉하는 전도성 접지부재를 전사기구의 상부에 제공할수 있으며 전사기구의 하부에 있는 이송가이드를 도전성으로 하며, 또한 전사지상에 불균일 대전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전사지에 인가된 전하를 균일하게 누출하도록 하기 위해 화상전사시 상기 전사지가 상기 전도성접지부재와 상기 이송가이드중 최소 하나와 접촉하도록 상기 전사기구상부의 전도성 접지부재와 안내가이드를 배열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기술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주요부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화상담지체로서의 드럼형 감광체 1, 대전기 2, 레이저광 또는 원고를 로광(露光)시키는 로광 유니트를 이용한 광착 기재 유니트로부터의 원고 정보를 지니는 광학적 광원(optical lighting) 3, 현상유니트 4, 전사지 유입안내부재 5, 전사지, 투명필름시이트등과 같은 전사지 6, 코로나 대전가능한 전사차저 7, 전사차저 7의 케이싱 7a, 와이어 전극 7b, 크리닝 유니트 9, 제전 유니트 10, 판상의 이송안내 부재 11'(이하 이송안내판 11' 라 한다), 및 정착유니트 12를 포함한다.
도 2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화상형성조작이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형 감광체 1의 직경을 종래보다 적은 30mm 이하로 되어 있으며, 도 1에서의 제전/분리기구 8과 같이 상부에 화상전사후 감광체 1로부터 전사지 6을 분리하는 기구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형으로 마이러(Mylar)로 만들어져 있는 인내부재 13이 상향으로 신장하고 전사차저 7의 측면에서 전사지 이송방향으로, 그리고 전사지 이송방향으로 전사차저 7 뒤에 경사진 이송안내판 11'에 제공된다.
도 2에서는, 화상형성조작이 개시되면 감광체 1은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대전기 2가 감광체 1의 표면을 대전한 다음, 광학적 광원(optical lighting)3은 감광체 표면을 로광하여 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잠상은 현상유니트 4에 함유된 현상제 내의 토너에 의해 가시상으로 현상된다. 그후 토너상은 토너상이 감광체 1로부터 전사지 6으로 전사되는 전사부위에 도달하고, 그 전사부위는 전사차저 7이 감광체 1과 대향하고 와이어 전극 7b로부터의 전하가 도달하는 부위이다.
상기 전사지 6은 전사지 공급 유니트(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사지 유입안내부재 5에 의해 안내되어 잠상형성 및 현상과 동기되어 전사부위로 이송된다.
상기 전사지 6은 전사부위에서 감광체 1의 원주면을 따라 이송 및 접촉하면서 전사차저 7에 의해 토너와 반대극성을 갖는 전하로써 대전되며, 이에 따라 감광체 1상의 토너상이 전사지 6으로 전사된다.
토너상의 전사후, 전사지 6은 탄성력 및 전사지 6의 자중에 의해 감광체 1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그후 전사지의 선단은 안내부재 13에 도달하고 전사지 6의 이송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그후 전사지 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사지 6의 선단위치가 이송안내판 11'와 접촉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안내부재 13위를 통과하면서 이송된다.
전사지 6의 선단이 감광체 1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지점은 도 3에 도시된 A지점이다. 그후 전사지 6의 선단은 이송안내판 11'에 제공된 안내 부재 13에 도달한다. 전사지 6의 선단이 안내부재 13의 표면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전사지 6의 이송위치는 감광체를 향해 이송안내판 11'에 대하여 상승되며, 분리지점 A는 감광체 1의 회전하부에서 방향이 바뀐다.
전사지 6의 선단이 안내부재 13을 통과한후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감광체 1로부터 전사지 6의 분리점은 도 4에서의 지점 B로 바뀐다.
따라서 감광체 1과 전사지 6사이의 접촉부위가 증가하고, 그결과 충분한 화상전사 및 전사후 전사지 6의 안정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조작이 앞서 기술된 바와같은 방식으로 수행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송안내판 11'에 안내부재 13가 제공된 대신 전사차저 7의 측면에 이송안내판 11'가 하향으로 굴곡되어 전사지 이송방향에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 14를 형성한다. 상기 이송안내판 11'와 일체로 경사부 14를 형성함으로써 장치의 단가를 저감시킬수 있다.
앞서의 실시예에서와같이, 화상이 감광체 1로부터 전사지로 전사된후 탄성력과 전사지의 자중에 의해 전사지 6은 감광체 1로부터 분리된다.
그후 전사지 6의 선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송안내판 11'의 경사부 14와 접촉하고, 그 전사지선단의 이송방향은 경사부 14에 의해 상방으로 향하게 된다. 전사지 6의 선단은 경사부 14의 표면을 따라 전진한 다음 경사부 14와 접촉하는 전사지 6의 선단 지점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이송안내판 11'의 평탄면을 따라 정착유니트로 12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지 6의 이송위치가 이송안내판 11'에 의해 감광체 1을 향해 상승되기 때문에 감광체 1로부터 전사지 6이 분리하는 지점이 도 6의 A 지점으로부터 도 7의 B 지점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전사지 6과 감광체 1사이의 접촉부위가 증대하고 이에 따라 충분한 화상전사 및 전사후 전사지 6의 안정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는, 화상형성조작이 앞서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부 14의 자유단으로부터 신장하는 연장선이 전사차저 7의 케이싱 7a 내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이송안내판 11'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말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부 14는,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경사부 14의 자유단으로부터 신장하는 연장선이 케이싱 7a의 가장자리 K 밑에 있는 지점에 있는 전사지 유출측의 케이싱 7a 평면을 가로지른다. 따라서, 전사지 6이 그 약한 강도, 약한탄성 혹은 꼬임으로 인해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부 14아래 부위내로 이송되더라도, 전사지 6은 전사차저 7의 케이싱 7a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전사차저 7내부의 와이어 전극 7b에 손상을 입히거나 그리고/또한 변위시키는 것을 막을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이송안내판 11'을 갖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와 도 1에 도시된 이송안내판 11을 갖는 통상의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화상전사결과를 비교한 실험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이들 양 장치에서, 직경 30mm인 드럼형 감광체 1이 사용되었으며 감광체1의 회전속도는 90mm/sec 였다. 현상유니트 4에 대하여는 2성분계 현상제가 사용되었으며 전사지 6으로서는 Ricoh Company, Ltd.의 Type 6200을 사용하였다. 3가지 다른 온도 및 습도조건하에서 실험을 행하였으며, 첫 번째 조건은 저온저습조건이 10℃/15%, 두 번째는 정상온도 및 습도인 23℃/60% 그리고 세 번째 조건은 고온 다습조건인 30℃/90% 였다.
전체면이 단색인 화상을 형성하고 한가지 경우에는 전사지 6의 일면에 전사시켰으며 다른 경우에는 전사지의 양면에 화상을 전사하였다.
전사지 6의 양면에 화상을 전사시켰을 때, 전사지 6의 제2 면에 전사된 화상을 평가하였으며, 그 평가결과를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온도/습도 10℃/15% 23℃/60% 30℃/90%
일면/양면 일면 양면 일면 양면 일면 양면
통상의 안내판 X
본발명의 안내판
표에서, 0은 만족스러운 화상전사, X는 불만족스러운 화상전사를, 그리고 △전사지 6의 일부에 불만족스러운 화상전사가 된 것을 나타낸다.
표1에 도시된 바와같이, 30mm의 소구경을 갖는 감광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사지 6과 감광체 1사이의 충분한 접촉부위가 전사차저 7의 측면에 이송안내판 11'에 제공된 경사부 14에서 얻어졌으며, 저습조건에서도 그리고 전사지 6의 양면에 화상이 전사되는 경우에도 충분하고도 안정된 화상전사가 이루어졌다.
이하 도 9~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감광체 1의 직경이 작을수록 감광체1 의 곡율 반경이 커지기 때문에 감광체 1로부터 전사지 6의 분리가 쉽게 되며, 또한 탄성과 전사지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전사지 6이 감광체 1로 부터 분리시키는 도 1의 제전/분리 차저같은 분리기구가 필요없게 된다.
그러나, 제전/분리 차저 8이 제거되면, 화상전사후 전사지 6이 제전되지 않고 전사된 화상의 질이 저하된다.
예를들어, 저습도 조건하에서는 전사지 6의 저항이 증대되기 때문에 화상전사시 인가된 전하가 전사지 6에 남아 있게 된다.
저사지 6이 정착유니트 12에 이송되면서 장치의 전도성 부품에 접촉하면, 즉 토너상이 전사지 6에 정착되기 전에는, 전사지 6의 남은 전하가 그 전도성 부품과 접촉하는 전사지 6의 일부를 통해 누설되고 전사지 6의 이같은 접촉 부위상의 토너상 부분이 무질서하게 된다, 즉 화상얼룩이 생긴다. 따라서 화상전사후 전사지6을 균일하게 제전시킬수 있는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따라서, 화상전사후 전사지 6을 균일하게 제전시킬 목적으로 제전기구가 포함된다. 이 제전기구는 전사지 6의 이송방향을 가르키는 안내부재로서 이용된다.
도 9는 상기 제전기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 장치에서는, 전사차저 7의 와이어 전극 7b에 의한 코로나 대전을 이용하여 화상전사시 전사지 6이 주어진 전하로 대전된다.
제전기 15는 화상전사후 감광체로부터 분리된 전사지 6을 제전시키기 위해 전사차저 7의 출구측이나 하류측에 제공된다.
제전기술의 예는 일본 특허출원 평성 7-36287에 개시되어 있다.
제전기 15는 전도성 브러쉬 16과 그 전도성 브러쉬 16의 저단측에서 전도성브러쉬 16은 지지하는 전도성인 브러쉬 지지부재 17을 포함한다.
상기 브러쉬 지지부재 17은 도전성이며 접지되어 있으며, 이에따라 도전성 브러쉬 16을 접지시키는 이송안내판 11'의 표면을 따라 접촉하는 이송안내판 11'에 고정되어 있다.
화상전사후 감광체 1로부터 분리된 전사지 6은 상기와같이 배열된 제전기 15의 도전성 브러쉬 16과 접촉시 제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전사후 감광체 1로부터 분리된후 전사지의 이송방향이 전사지 6의 선단이 제전기 15와 접촉시 위로 향하도록 제전기 15가 배열된다.
보다 상세히는, 전사지의 선단이 감광체 1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전사지 6의 선단은 도전성 브러쉬 16과 접촉하고, 전사지 6 선단의 이송방향은 위로 향한다.
전사지 6의 선단은 도전성 브러쉬 16을 따라 이송되고 그후 이송안내판 11'를 따라 이송된다. 전사지 6은 나아가 브러쉬 16에 의해 제전되는 동안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사지 6의 선단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도전성 브러쉬 16을 통과하게 이송된다.
이같이 전사지 6의 이송위치를 감광체 1을 향해 상승시킴으로써, 전사지 6과 감광체 1사이의 접촉 면적은 상기 제전기 15가 제공되지 않을 때 전사지 이송위치를 예시한 도 9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전사지 6이 이송되는 경우에 비하여 증대된다.
전사지 6이 상부로 향해 상승되기 때문에, 전사지 6의 선단이 감광체 1로부터 분리된후 감광체 1과의 접촉부위가 증대하며, 그 결과 충분한 화상전사 및 안정된 이송으로 이어진다.
상기 제전기 15와 상기 도전성 브러쉬 16이 균일한 제전을 제공하기 때문에 감광체 1로부터 전사지 6의 분리특성은 전사된 화상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다.
나아가, 제전기 15는 전사지 6의 이송방향을 전사지 6과 감광체 1의 접촉부위를 증대시키기 위해 상향으로 향하게 함과 동시에 화상전사후 전사지 6을 제전시키기 때문에 부품수가 줄어들고 그결과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전기 15는 제전기 15가 탑재되는 받침점 18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이송안내판 11'에 탑재될 수 있다.
도 10은 제전기 15가 전사지 6의 이송방향을 상부로 향하게 하는 상승된 위치에 있어 감광체 1의 측면을 향해 전사지 6에 볼록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1은 제전기 15가 상기 상승위치로부터 오목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1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전기 15는 브러쉬 지지부재 17의 끝단에 솔레노이드 19를 포함한다. 이 솔레노이드가 활성화되면 제전기 15는 이동하여 전사지 6의 이송방향을 위로 향하게 하는 상승위치로 유지된다.
솔레노이드 19가 릴리이스(활성화 되지 않으면)되면, 제전기는 브러쉬 지지부재17과 장치본체의 측면단(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제공된 스프링 20의 당기는 힘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오목위치로 받침점 18주위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전기 15가 전사지 6의 이송방향을 위로 향하도록 하는 상승위치와 상기 오목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제전기가 전사지 6의 마지막 끝이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부위 21에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상승위치로부터 상기 오목위치로 이동하도록 활성화시키는 수단이 제공된다.
도 10에서, 전사지 6은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전사지 공급기구(미도시됨)으로 부터 전사부위 21로 향해 이송된다. 전사지 이송방향으로 전사지 유입안내부재 5의 상부에는 전사지를 검출하는 센서 22가 제공된다.
제전기 15는 전사지 6의 선단이 센서 22에 도달할때까지 도 11에 도시된 오목위치에 유지된다. 센서 22가 전사지 6의 선단을 검출하면, 솔레노이드 19는 센서 22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활성화되고 이에 의해 제전기 15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오목위치에서 전사지 6을 상승시키는 위치로 회전한다.
이같이, 제전기 15는 화상전사가 시작되기 전에 전사지 6을 상승시키기 위해 센서 22로부터 검출신호가 있을 때 솔레노이드19에 의해 이동된다.
전사지 6의 이송방향은 전사지 6의 선단이 제전기 15와 접촉할 때 상부로 향하게 된다. 또한 제전기 15는 전사부위 21을 통과한후 도 10에서 A로 표시한 감광체 1의 측면부위를 향해 전사지 6내에 볼록 곡선을 형성한다.
솔레노이드 19는 전사지의 후단이 전사부위 21에 도달하기 직전에 릴리이스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솔레노이드 19는 전사지 6의 후단이 센서 22에 의해 검출된후 정해진 시간 t후 릴리이스 된다.
이시간 t는 전사지의 후단이 센서 22에 의해 검출된 위치로부터 전사부위 21 바로 앞의 위치까지 이송되는 시간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방식으로 솔레노이드 19를 활성화하고 릴리이스 시키기 위하여 타이머를 포함하는 제어기가 제공된다.
이같은 제어기는 컴퓨터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따라 프로그램된 통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수행될수 있다.
솔레노이드 19가 릴리이스 되면, 제전기 15는 스프링 20의 탄지력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오목위치로 당겨진다.
제전기 15는 감광체 1의 측면을 향해 전사지에 오목곡선을 형성하지 않거나 솔레노이드 19가 활성화된때 곡율 보다 적은 곡율을 갖는 전사지 6에 오목곡선을 형성하는 오목위치로 회전된다. 이와같이 전사지 6의 이송방향은 도 9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돌아간다.
도 10에서, 전사지 6은 전사지 6이 받침점으로서 감광체 1과 접촉하는 부위를 갖는 전사지 유입 안내부재 5에 의해 강제적으로 위로 상승된다.
또한, 제전기15가 상승위치에 있을 때, 전사지 6은 받침점으로서 전사부위 21을 갖는 제전기 15에 의해 강제적으로 위로 상승된다.
만일 전사지 6의 후단이 전사지 유입 안내부재 5를 통과할 때 도 12에 도시된 위치에서 전사지 6이 제전기 15에 의해 보지되고 있다면, 전사지 6의 후단 가장자리는 전사지 6자체의 경직성으로 인해 도 12에서의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탄발되어 감광체 1의 표면으로 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로 인해 전사지 6의 후단가장 자리부분에서는 화상전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 문제는 전사지 6의 경직성이 비교적 큰 경우 현저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전기 15를 전사지의 후단가장자리가 전사부위 21에 도달하기 직전에, 즉 전사지 6의 후단 가장자리가 전사지 유입안내부재 5를 통과하기 직전에 오목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따라 전사지 6이 비교적 경직성이 큰 경우라도 전사지 6의 후단 가장자리가 탄발되지 않아 그 부분의 화상전사 불량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전사부위 21 직전의 위치에 제공되는 센서 22는 전사지 6의 걸림을 검출하는 센서와 결합될수 있다.
도 13에는 전사지 이송방향으로 전사지 공급유니트 32의 하부에 전사지의 걸림을 검출하는 전사지 걸림센서 23이 제공되어 있다.
앞서의 실시예에서 솔레노이드 19를 활성화하고 릴리이스 시키기 위해 제공된 센서 22의 기능을 전사지 걸림센서에 제공할수도 있다.
솔레노이드 19는 전사지 6의 후단가장자리가 걸림센서 23에 의해 검출된후 시간 T 경과후 릴리이스 되도록 제어되며, 여기서 시간 T는 전사지 6의 후단 가장자리가 걸림센서 23에 의해 검출되어지는 부위에서 전사부위 21 바로 직전의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이송되는 시간이다.
다음에 도 14를 참조하여 제전기 15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사차저 7과 대향하는 부분에서 제전기 15에는 절연부재 24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부재 24가 도전성인 브러쉬 지지부재 17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브러쉬 지지부재 17은 다른 평면에서 이송안내판 11'에 전기적으로 고정 연결되어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같이, 화상전사시는 와이어 전극 7b와 감광체 1사이를 코로나 대전시키기 위해 전사차저 7의 와이어 전극 7b에 전압이 인가된다.
코로나 전하는 도 14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감광체 1을 향해 흐른다.
전사차저 7 가까이에 제전기 15가 배열되면, 와이어 전극 7b로 부터 코로나 전하의 일부가 다른 방향으로 누출된다. 도 15에서 브러쉬 지지부재 17로 향하는 화살표가 그 누설된 코로나 전하를 나타내는 것이다.
코로나 전하가 누설되면 불충분한 대전으로 인해 화상전사가 불만족스럽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코로나 전하 누설을 도 1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사 차저 7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절연부재 24를 브러쉬 지지부재 17에 고정하여 방지한다.
상기 절연부재 24와 유사한 절연부재를 앞서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제전기 15에 제공하여 코로나 전하의 누설을 막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만일 제전기 15가 제공되고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화상전사후 감광체로부터 분리된 전사지 6이 상기 제전기 15에 의해 제전된다면, 저습조건하에서 전사된 화상의 질저하는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습조건하에서는, 제전기 15와 같은 제전기구가 화상전사시 전사차저 7에 의해 인가되는 전하를 제전기 15를 통해 균일하게 누설한다.
따라서, 예를들어 전사차저 7의 와이어 전극으로부터의 불균일한 대전이나 전사지의 불균일한 수분으로 인해 전사지를 통한 불균일한 전하누설로 인한 전사지 6을 가로지르는불균일대전은 일어나지 않으며, 그결과 화상흠과 같은 화상질 저하는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전기 15의 구조가 간단하고 유니트 단가가 비교적 낮다고 하더라도, 제전기 15의 제공은 소구경의 감광체 1을 사용하여 감광체 1로부터 전사지를 분리하기 위한 기구를 제거함으로서 얻어지는 가격 저하를 상쇄시키는 것이다.
대체방안으로서,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같은 제전기 15대신, 전사차저 7다음에 전사지 이송방향으로 전사차저 7의 하류에 제전기구 15'를 배열할수 있다(도 16참조).
도 17은 이같은 제전기구 15'의 구조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전기구 15'는 절연지지부재 27과 그 절연지지부재 27과 일체로 조립되며 그 지지부재 27위에 톱날상단을 갖는 전도성 부재 25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부재 25는 고전압전원 28에 연결되어 있다.
도 16에서 전사지 유입 안내부재 5와 이송안내판 11은 모두 절연체이다.
상기 전도성 부재 25는 전사지 6의 하부에 위치하여 그 탄발력과 자중에 의해 감광체 1로부터 분리된 전사지를 제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전기 15'는 오직 감광체 1로부터 분리된 전사지 6을 제전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감광체 1로부터 전사지 6을 분리시킬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도 16 및 17에 도시된 바와같은 제전기 15'는 가격이 비싼 고전압전원 28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사지 6을 제전시키기 위해 이같은 제전기 15'를 사용함은 소구경 감광체 1을 사용하여 감광체 1로부터 전사지를 분리하기 위한 기구를 제거하여 성취된 단가절감을 또한 상쇄시키는 것이다.
도 18에 예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 및 10에서의 제전기 15나 도 16과 17에서의 제전기 15'와 같이 전사지 6을 제전시키기 위한 기구는 제공되지 않으며, 대신, 전사지 6을 전사지 이송방향으로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 2개의 레지스터롤러 26A 및 26B가 배열되며, 최소한 전사지의 이면과 접촉하는 레지스터 롤러 26B는 전도성 물질로 되어 있으며 접지된다.
또한 전사지 이송방향으로 전사부위 21의 하부에 배열된 이송안내판 11'는 전도성물질로 되어 있으며 접지되어 있다.
상기 레지스터 롤러 26B와 이송안내판 11'는 전사차저 7에 의한 코로나 대전에 의해 감광체 1의 표면상의 토너상을 전사지 6으로 전사시킬 때 전사지 6이 상기 레지스터롤러 26B' 또는 이송안내판 11'과 접촉되게 배열된다.
습도가 높게 되고 전사지의 수분흡수가 증대하면, 전사지 6의 저항은 감소한다.
감광체 1의 표면에 있는 토너상이 이상태, 즉 전사지 6의 저항이 감소된때, 에서 전사지 6으로 전사되면, 전사차저 7에 의해 전사지 6으로 인가된 전하는 상기 레지스터 롤러 26B 혹은 상기 이송안내판 11'에 혹은 이들 양자모두에 누설된다. 왜냐하면 전사지 6이 최소 이들중 하나와 접촉하기 때문이다.
이같이 전하를 균일하게 누설함으로써, 전사지 6을 통한 전하의 불균일 누설에 의해 야기되는 불균일대전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화상전사시 불균일 대전으로 야기되는 전사된 화상의 얼룩이 다습조건하에서도 생기지 않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사지 6의 선단이 이송안내판 11'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전사지 6은 레지스터롤러 26B와 접촉하기 때문에, 전사차저 7로부터 나온 전하가 전사지 6의 이면으로 흘러 레지스터롤러 26B를 통해 지면으로 누설된다. 또한 전사지 6의 후단이 레지스터롤러 26B를 통과시, 전사지 6은 이송안내판 11'와 접촉한다. 따라서, 전하는 전사지 6의 이면을 통해 흘러 이송안내판 11'를 통해 지면으로 누설된다.
이와같이 전사지 6에 인가된 전하는 토너상이 감광체 1로부터 전사되어지는 동안 지면으로 누설되며, 이에따라 불균일대전의 발생은 제거되고 이에따라 불균일대전으로 인해 전사지 6의 전표면에 생기는 화상 질저하는 도 16에 도시된 제전기 15'와 같은 제전기구가 제공되지 않을때에도 방지되는 것이다.
만일 전사지 6상의 전하를 지면에 누설시키는 부재가 상기 실시예에서의 레지스터 롤러 26B와 같이 전사지 이송방향으로 전사차저 7의 상류에만 제공된다면, 전사지 6상의 전하는 전사지 6이 이같은 부재를 일단 통과하면 지면에 누설되지 않는다.
만일 전사지 6상의 전하를 지면에 누설시키는 부재가 이송안내판 11'와 같이 전사차저 7의 하류에만 제공된다면, 전사지상의 전하는 전사지 6이 이송안내판 11'에 도달할 때 까지 지면에 누설될수 없다.
이들 배열중 어느것에서는, 다습조건하에서는 전사된 화상의 얼룩이 발생하나, 도 18에 도시된 본발명의 배열에서는 방지될수 있는 것이다.
정상 또는 저습조건하에서는, 전사지 6의 수분흡수는 낮고 전사지 6의 저항은 증대한다. 따라서 토너상 전사시 전사 처저 7에 의해 전사지 6으로 인가된 전하는 레지스터 롤러 26B 혹은 이송안내판 11'로 전혀 또는 거의 누설되지 않는다.
따라서, 저습조건하에서는, 불균일 대전이 일어나지 않으며, 이에따라 화상얼룩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나아가, 전하가 지면으로 누설되지 않기 때문에 전사 차저 7의 와이어 전극 7b에 공급되는 전류가 최소화되며, 이에 의해 전사차저 7의 코로나 대전에 의해 발생된 오존 역시 최소화된다.
나아가, 전사 차저 7에 대한 공급전류는 다습상태나 저습상태에서 증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사차저 7에 대한 공급전류는 항상 일정하게 할수 있고, 이에따라 전사차저 7의 제어가 단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레지스터롤러 26B와 이송안내판 11'와 같이 전사지를 이송시키는 부재를 전하를 누설시킬수 있는 재질로 만들고 또한 이들 유니트를 단순 접지시킴으로써, 화상전사동안 불균일한 대전 발생을 막을수 있으며, 이에따라 다습조건하의 비정상적인 화상생성을 막을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화상형성장치의 구조가 단순히 되고, 장치의 비용도 레지스터롤러 26B와 이송안내판 11'와 같이 화상형성조작에 필수불가결한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감소되는 것이다.
전사지 6의 이송방향으로 전사차저 7의 상류나 하류에 배열되는, 전사지 상의 전하를 누설하는 전도성 부재로서, 레지스터 롤러 26B 및 이송안내판 11'와는 다른 부재를 사용할수 있다.
예를들어,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지스터 롤러 26B를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사차저 7의 상부에 배열된 전하누설용 부재로서, 그리고 도 18 및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코로나 대전을 갖는 전사차저 7이 도시되어 있으너, 이 전사 차저 대신 전사지를 통해 감광체 1의 표면과 압압접촉하면서 회전하고 토너상을 감광체 1로 부터 전사지 7로 전사하기 위하여 토너와 반대극성을 갖는 전사지를 대전하는 전사롤러를 이용할수 있다.
상기 모든 실시예에서는 드럼형상의 감광체 1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같은 드럼형 감광체 1대신 벨트형 감광체 1을 사용할수 있다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와 전사기구로서 외이어 전극을 갖는 기루를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종류의 전사 기구 예컨데 바늘형 전극을 사용하는 전사기구를 사용할수 있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전사지와 화상담지체 사이의 접촉부위를 충분히 하여 전사지로의 토너상의 충분한 전사가 이루어 질뿐만 아니라, 직경이 비교적 적은 드럼형 화상담지체나 곡율 반경이 비교적 적은 벨트형 화상담지체의 경우에도 토너상의 전사후 전사지를 안정되게 이송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31)

  1. 원주면을 갖는 화상담지체;
    상기 화상담지체상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지로 전사하며,
    상기 화상담지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대향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그 대향하는 화상담지체의 원주면의 접촉 부위를 따라 전사지가 접촉이송되는 전사기구; 및
    상기 화상담지체로부터 분리후 상기 전사지를 정착유니트로 안내하고 이송하며,
    전사지의 선단이 안내부재와 접촉시 전사지의 이송방향을 상류로 향하도록 배열되고,
    이송가이드 혹은 안내부재와 접촉하는 전사지의 선단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이송가이드 혹은 가이드 부재의 일부에서 전사지를 이송하여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의 접촉부위를 증대시키도록 배열된 안내부재를 갖는,
    이송가이드;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에 제공된 안내부재는 전사지의 이송방향을 향해 경사를 이루면서 상기 이송가이드로 부터 상류로 신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전사기구의 일측에서 상기 이송가이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사지의 이송방향에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를 이루며 이로부터 하류도 신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는 경사진 안내부재의 자유단으로부터 신장하는 신장선이 상기 전사기구케이스의 내부로 직접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지 이송방향을 상류로 향하게 하는 안내부재는 화상담지체로 부터 분리후 전사지를 제전시키는 제전기구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기구는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사이의 접촉부위가 증대되도록 상기 전사지의 이송방향을 상류로 향하도록 하는 제1 위치와 그 제1 위치로부터 오목하게 된 제2 위치사이를 이동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지의 후단 가장자리가 전사기구가 화상을 전사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제전기구를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기구와 대향하는 제전기구의 일부에 절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기구와 대향하는 제전기구의 일부에 절연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담지체로부터 분리된 전사지를 제전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가이드의 안내부재에 제전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전기구는 전사지의 선단이 제전기구와 접촉할 때 전사지의 이송방향을 상부로 향하도록 하고 또한 제전기구의 일부에서 상기 전사지를 제전기구와 접촉하는 전사지의 선단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송하게 함으로써 화상담지체와 전사지의 접촉부위를 증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기구는 상기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사이의 접촉부위가 증대하도록 전사지의 이송방향을 위로 향하게 하기 위한 제1 위치와 그 제1 위치로 부터 오목하게 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지의 후단이 전사기구가 화상을 전사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제전기구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기구와 대향하는 제전기구의 일부에 절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기구와 대향하는 제전기구의 일부에 절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지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전사기구의 상류에서 상기 전사지와 접촉하는 전도성 접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가이드는 전도성이며 또한 상기 전사 기구상류의 전도성 접지부재와 상기 전도성 이송가이드는 상기 화상담지체 상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지에 전사될 때 전사지가 상기 전도성 접지부재와 상기 이송가이드중 최소 하나와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화상담지체; 및 화상담지체상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지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기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기구는 상기 화상담지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전사지는 상기 전사기구와 대향하는 화상담지체의 원주면의 일부를 따라 이송되면서 접촉되며, 또한 나아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전사지 이송방향으로 전사기구의 상류 및 하류에서 각각 전사지와 접촉하고, 화상이 화상담지체로부터 전사지로 전사될 때 상기 전도성 접지부재중 최소하나와 상기 전사지가 접촉하도록 배열된 전도성 접지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화상담지체;
    상기 화상담지체 상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지로 전사하며,
    상기 화상담지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열되어 있으며, 대향하는 화상담지체의 원주면의 일부에서 접촉부위를 따라 전사지가 이송되고 이와 접촉하는 전사기구; 및
    상기 화상담지체로부터 분리후 전사지를 정착 유니트로 안내 및 이송하며
    상기 화상담지체로 부터 분리된 전사지를 이송가이드로부터 상류로 안내하고 전사지 이송방향으로 화상담지체의 일측에 있는 부위를 향해 전사지내에 오목곡면을 이루고 또한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의 접촉부위를 증대시키도록 배열된 안내부재를 갖는,
    이송가이드;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전사지의 이송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상기 이송가이드로부터 상류로 신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전사기구의 일측에서 상기 이송가이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사지의 이송방향에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를 이루며 이로부터 하류로 신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는 경사진 안내부재의 자유단으로부터 신장하는 신장선이 상기 전사기구 케이스의 내부로 직접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화상담지체로부터 분리후 전사지를 제전하는 제전기구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기구는 전사지와 화상담지체 사이의 접촉부위를 증대시키도록 화상담지체로부터 분리된 전사지를 상기 이송가이드로부터 상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위치와 그 제1 위치로부터 오목하게 된 제2 위치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지의 후단 가장자리가 전사기구가 화상을 전사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제전기구를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기구와 대향하는 제전기구의 일부에 절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기구와 대향하는 제전기구의 일부에 절연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17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담지체로 부터 분리된 전사지를 제전시키기 위하여 이송가이드의 안내부재에 제전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전기구는 화상담지체로부터 분리된 전사지를 이송가이드로부터 상류로 안내하고 그리고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의 접촉부위가 증대하도록 상기 전사지 이송방향으로 화상담지체의 일측에 있는 부위를 향해 전사지내의 오목곡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기구는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이송가이드로부터 상향으로 전사지를 안내하기 위한 제1 위치와 그 제1 위치로부터 오목하게 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지의 후단이 전사기구가 화상을 전사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제전기구를 제1 위치에서 제2위치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기구와 대향하는 제전기구의 일부에 절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기구와 대향하는 제전기구의 일부에 절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17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전사지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전사기구의 상류에서 상기 전사지와 접촉하는 전도성 접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가이드는 전도성이며 또한 상기 전사기구상류의 전도성 접지부재와 상기 전도성 이송가이드는 상기 화상담지체 상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지에 전사될 때 전사지가 상기 전도성 접지부재와 상기 이송가이드중 최소 하나와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70047609A 1996-09-19 1997-09-18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사이의 접촉면을 증대시키는 기구를 갖는화상형성장치 KR100275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823596 1996-09-19
JP8-248235 1996-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19A KR19980024719A (ko) 1998-07-06
KR100275085B1 true KR100275085B1 (ko) 2000-12-15

Family

ID=1717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609A KR100275085B1 (ko) 1996-09-19 1997-09-18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사이의 접촉면을 증대시키는 기구를 갖는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0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19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9424B2 (ja) 画像形成装置
JPH05333717A (ja) 画像形成装置の転写装置
US76099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ollution control unit
US588413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device to increase contact area between a transfer sheet and an image carrier
JPH1124341A (ja) 画像形成装置
JP4752671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275085B1 (ko) 전사지와 화상담지체사이의 접촉면을 증대시키는 기구를 갖는화상형성장치
JP322302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82491A (ja) 転写搬送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3974A (ja) 画像形成装置
JPH08137298A (ja) 転写ベルトのクリーニング装置
US5172174A (en) Transfer device with insulated shield
JPH0836313A (ja) 画像形成装置
JP2685658B2 (ja) 転写分離装置
JPH11258919A (ja) 画像形成装置
JPH0318867A (ja) 画像形成装置
JP3717636B2 (ja) 画像形成装置
JP2754621B2 (ja) 静電搬送転写装置
KR100191201B1 (ko) 소모품에 장착된 전사장치
JPH10282804A (ja) 画像形成装置
JP3806171B2 (ja) 転写装置及びこの転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145639A (ja) 画像形成装置
JPH0619496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84822A (ja) 画像形成装置
JP2855647B2 (ja) 静電搬送転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