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529B1 - 캐리어 테이프 - Google Patents
캐리어 테이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74529B1 KR100274529B1 KR1019930702362A KR930702362A KR100274529B1 KR 100274529 B1 KR100274529 B1 KR 100274529B1 KR 1019930702362 A KR1019930702362 A KR 1019930702362A KR 930702362 A KR930702362 A KR 930702362A KR 100274529 B1 KR100274529 B1 KR 1002745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tape
- tape
- distal end
- shap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테이프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유사 형상의 포켓을 한정하고 상부 표면을 통해 개방되는 스트립 형상부를 포함하는 단일형의 유연성 운송 테이프가 제공된다. 벽부는 바닥벽부 및, 상기 스트립 형상부와 상기 바닥벽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측벽을 구비한다. 이 바닥벽부는 테이프의 상부 표면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말단부 및, 이 말단부 위로 돌출하고 말단부 위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인접 표면을 갖는 돋을 새김부를 갖는다. 측벽부는 테이프의 상부 표면과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경선부를 갖는다. 또한, 이측벽부는 상기 돋을 새김부 위에 위치하고 상기 경선부로 부터 삽입된 부분이 설치된 축성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캐리어 테이프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부품 제조자로부터 그 부품을 신제품에 조립하는 다른 제조자로 부품을 운반하는 데 이용되는 형태의 캐리어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부품(예컨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판 스프링 (leaf spring) 또는 저항기, 플랫팩(flatpack), 커패시터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전자 부품 혹은 전기부품)을 부품 제조자로부터 그 부품을 신제품에 조립하는 다른 제조자로 운반하는데 이용되는 캐리어 테이프에 관한 기술은 많이 있어 왔다. 신제품으로의 부품의 조립은 통상적으로 자동 조립 장치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분리해서 그 부품을 신제품 조립시에 이용되게 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캐리어 테이프의 한 형태는 중합체로 된 스트립(strip)을 구비할 수 있고, 그 스트립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예정된 균일한 간격으로 일련의 동일한 포켓을 형성하는 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포켓이 상기 테이프에 의해 운반되는 동일한 부품을 꼭 알맞게 수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포켓은 스트립의 평면 내에서 장방형 또는 대략 "I"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될 수 있고, 또한 부품의 형상을 수용하기 위한 평탄하거나 원형의 하부를 가질 수 있다.
테이프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스트립을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로켓을 수용하는데 그리고 조립 장치에 대해 테이프를 따라 포켓의 위치 선정을 정확히 하는 데 이용되는 인덱싱 구멍(indexing holes)을 제공하기 위해 각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관통 개구를 갖는다. 또한, 스트립은 부품이 포켓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예컨대, 광학 스캐너를 이용함) 조립 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하도록 각 포켓의 중앙부를 따라 관통 개구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캐리어 테이프는 제1의 제조 장소에서 제조되고, 릴(예컨대, 미국 특허 제4,893,764 호에 개시되어 있는 릴;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고 포함시킨다) 표면에 감겨지고 운반될 부품의 공급자에게 운반된다. 부품 공급자는 릴로부터 캐리어 테이프를 분리하고, 캐리어 테이프를 따라 포켓에 부품을 채우고, 부품으로 채워진 포켓 위로 캐리어 테이프에 따라 착탈 가능한 커버 스트립을 접착하고 그 부착된 커버 스트립을 갖는 부품으로 채워진 캐리어 테이프를 릴에 감은 다음, 이것을 사용자에게 운송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릴로부터 테이프를 조립 장치 내에 옮기고, 그 조립 장치가 부품을 분리시킨다.
그와 같은 캐리어 테이프는 연속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반면에, 캐리어 테이프는 더욱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평탄한 중합체의 가열된 열가소성 스트립으로부터 포켓을 형성하기 위한 공구(tool)(예컨대, 암수형 다이 세트, 또는 그 위에 스트립이 진공 형성되는 암형 또는 수형 다이)를 이용해서 형성된다.
기존의 테이프 캐리어(carriers)는 운송된 물품을 자동 조립 장치로 제공하는 경우에 문제에 직면한다. 캐리어 테이프에 대하여 운송된 물품의 정확한 방향을 유지하는 것은 캐리어 테이프 성능상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 기술의 테이프 캐리어는 캐리어 테이프의 포켓 내에서 운송된 물품의 방향의 오정렬(misalignment) 또는 "시프팅(shifting)"을 허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오정렬은 X-Y 평면 내에서의 변위, 또는 각도(angular) 변위로 표시될 수도 있고, 운송 중의 진동에 의한 각종의 현상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포켓 내의 물품의 방향의 오정렬에 의해 (신제품을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자동 조립 장치가 신제품의 인쇄 회로 기판상의 부적절한 위치로 물품을 위치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다.
부품이 인쇄 회로 기판상에 정확히 배치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응용 분야에 있어서, 자동 조립 장치는 조립 장치대에 대한 부품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광학식 스캐너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광학식 스캐너 기구는 고가이고, 조립 공정동안 추가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캐리어 테이프에 의해 운송될 수 있는 부품의 일례로서는 플랫팩(flatback)(즉, 걸 윙(gull wing), J자형 벤드(J-bend) 및 플라잉 리드 플랫팩(flying lead flatpacks)을 들 수 있는데, 이 플랫팩은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컨넥터 핀 또는 "리드(lead)"를 구비한다. 상기 리드는 조립 장치에 의해 조립되는 신제품 내의 전기 회로에 부품을 접속시킨다. 예컨대, 플랫팩은 장방형 본체와 복수 개의 리드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본체에는 모서리를 형성하는 측면과, 상면 및 하면이 있으며, 상기 리드는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측면으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며 또한 하면 아래로 연장한다.
기존의 캐리어 테이프는 캐리어 부품을 보호할 때 문제점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캐리어 테이프에 의해 운송되는 부품은 극히 민감하고 파손되기 쉬워서 구부러짐, 부서짐, 휨, 파손 또는 원래 형태에 대한 다른 찌그러짐에 기인하는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되야 한다. 리드가 파손되었을 때에는 마찰 마모도 또한 문제로 된다. 특히, 전자 부품이 포켓으로부터 분리될 때, 리드는 테이프의 구조로 인해 약한 충돌에 의해서도 손상을 받을 수 있다고 믿어진다. 하면 아래에서 가장 멀리 있는 3개의 리드(즉, 하부의 3개의 리드)는 최저 평면을 형성한다. 다수의 응용 분야에 있어서, 부품의 나머지 리드는 그 최저 평면으로부터 0.004 인치(0.1 ㎜) 이상의 간격을 두어서는 안된다. 만약, 리드가 그 최저 평면으로부터 0.004 인치 이상의 일정 간격을 둔다면, 그 리드는 신제품내의 인쇄 회로 기판상의 회로에 접속되지 않을 수 있어서 신제품에 결함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전기 부품을 보호하는 데 적합한 캐리어 테이프에 관한 기술은 많이 있어 왔다. 그러한 테이프의 예가 영국의 릴 서비스 리미티드[Reel Services Limited]에 양도된 국제 공개 제 WO 90/04915호의 PCT 국제 특허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동일한 포켓들을 형성하며 복수 개의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벽을 구비하고, 그 포켓들은 직선으로 된 분리부를 갖는 돌출부와 상기 포켓을 형성하는 벽과 정렬된 릿지부(ridge)를 갖는다. 전기 부품은 진공 픽업부(vacuum pick-up)에 의해 분리될 때까지 돌출부 위에 놓여지게 된다. 전자 부품의 리드에 대해 돌출부 및 릿지부가 매우 근접하기 때문에, 돌출부 및 릿지부는 리드와의 잠재적인 접촉점을 제공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구조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리드의 손상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부연하자면, 부품이 돌출부로부터 상승된 상태로 있게 될 때, 포켓의 하부벽에 대해 회전하려는 경향이 종종 있다. 전자 부품의 이러한 회전으로 말미암아, 돌출부와의 접촉으로 인해 구부러짐과 같은 손상의 위험성에 리드가 노출되어 있다고 믿어진다. 캐리어 테이프에 대한 부품의 회전으로 인해 신제품의 부품이 오정렬되는, 즉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정전기에 의한 손상(Electrostatic damage : ESD)은 기존의 캐리어 테이프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이다. 부품을 캐리어 테이프 내에 설치하기 전에 마찰 전기에 의한 전하가 부품상에 존재하지 할지도 모른다. 또는, 포켓 내의 부품의 맞물림이 매우 느슨해져서 부품의 본체가 테이프 구조 및/또는 고착된 커버 테이프 스트립에 대해서 비벼대는 것이 허용되면, 마찰 전기에 의한 전하가 부품상에 축적될 지도 모른다. 캐리어 테이프의 사용 중 어떤 경우, 특히 전기 부품이 테이프 포켓으로부터 분리 될 때, 그러한 정전하가 부품으로부터 캐리어 테이프에 방출될 수 있다. 그 방출은, 예컨대 부품 내의 유전층에 손상을 임힘으로써 부품에 손상을 입히게 된다. 그것은 유전층을 횡단하는 시간 변화에 의해 나누어진 전압의 합성 변화(△V/△t)가 유전 재료의 파괴 전압을 초과하므로 유전 재료의 천공을 발생시키는 매우 급격한 방전의 결과이다. 어떤 부품에서는, 그 손상을 주는 전압 미분은 50 볼트 이하로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형태의 부품용 캐리어 테이프는 10E04 이상 및 10E12(OHMS/스퀘어) 이하의 표면 저항과, 10E03 이상 및 10E11 (OHM-CM) 이하의 수반하는 체적 저항률(concomitant volume resistivity)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의 공급자로부터의 부품을 신제품(비한정적으로 컴퓨터와 같은)에 조립하는 이용자에게 운반하는 데 특히 적합한 전술한 형태의 부품 캐리어 테이프가 제공되는 데,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운송시 발생하는 힘과 같은 기계적인 힘 또는 정전기력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캐리어 테이프는 모서리를 형성하는 측면, 상면 및 하면을 갖는 장방형 본체와, 상기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측면으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하고 또한 하면 아래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리드를 구비하는 전기 부품을 보호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왜냐 하면,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리드에 근접하는 테이프의 구조를 최소로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는 분리되기에 앞서 테이프에 대한 부품의 소망의 방향을 유지해 주고, 테이프에 대한 부품의 이동을 억제시켜 주는 테이프 스트립을 제공한다. 상기 테이프는 부품으로부터 테이프로의 정전 방전의 위험성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는 테이프 구조와 전자 부품의 리드간의 잠재적인 접촉점을 최소화해서 마찰 마모를 저감시킨다. 또한, 상기 테이프는 기계적인 휨 또는 왜곡 및 정전 방전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전자 부품의 리드를 보호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는 진공 픽업부를 구비하는 자동 조립 기수 또는 로봇 조립 기구에 의해 테이프 포켓으로부터 운송된 부품을 정연하게 분리한다. 또한, 그것은 포켓으로부터 부품을 분리하는 동안 포켓의 하면에 대한 부품의 회전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부분과, 그 테이프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또한 상부면을 통해 개방하는 복수 개의 동일한 형상으로된 포켓을 형성하는 벽을 구비하는 단일의 유연성 캐리어 테이프가 제공된다. 벽은 하벽부 및 스트립형 부분과 하벽부 사이에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한다. 하벽부는 테이프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말단부를 구비한다. 측벽부는 테이프의 상부면과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측벽부는 종방향 부분으로부터 안으로 들어간 부분을 갖는 성곽형 부분을 구비하고, 그 성곽형 부분은 운송된 부품의 표면과 맞물림해서 그 부품을 미리 결정한 소망의 방향으로 유지하는 맞물림면을 갖는다.
하벽부는 말단부 위로 돌출한 엠보싱부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그 엠보싱부는 말단부 위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접촉면을 갖는다. 그 엠보싱부가 구비될 경우, 성곽형 부분의 맞물림면은 일반적으로 접촉면 위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의 한 가지 실시예에 의하면, 포켓은 중앙부를 가지며, 스트립의 상부면은 상부 평면을 형성하고, 성곽형 부분은 상부 평면 내에서 대략 "W"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W"자 형상의 하부는 포켓의 중앙부에 대면한다. 접촉면은 불규칙한 육각형 형상의 4개의 표면을 구비하며, 육각형 형상의 표면은 육각형 형사의 표면이 그것에 관해서 대칭을 이루는 축선을 갖고, 접촉면은 테이프의 하부내에서 "X"자 형상을 형성하고, 접촉하는 접촉면의 축선은 중앙부에서 교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포켓은 상부 평면 내에서 모따기된(chamfered) 부분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성곽형 부분을 갖고, 그 모따기된 부분이 포켓의 중앙부에 대면하고, 접촉면은 환형 표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엠보싱부가 생략되고, 테이프의 하벽부와 부품의 본체의 하면이 접촉하게 된다. 이 실시예는 플립칩(flip-chip), 또는 부품의 본체 위에서 떨어져서 돌출하는 민감하고 손상되기 쉬운 부분을 갖는 다른 부품을 운반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제1도는 전자 부품을 운송하는 캐리어 테이프를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2-2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절취한 제1도의 캐리어 테이프 및 전자 부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3도는 나선형으로 감겨진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를 갖는 릴의 부분 측면도이다.
제4도는 자동 조립 장치에 의한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전자 부품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도면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장착 캐리어 테이프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6-6선을 따라 개략적으로 절취한 제5도의 캐리어 테이프 및 전자 부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전자 부품이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후 그 부품이 신제품의 인쇄 회로 기판상에 설치되는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장착 캐리어 테이프이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제9도는 제8도의 9-9선을 개략적으로 절취한 제8도의 캐리어 테이프 및 전자부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 "10" 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캐리어 테이프(10)는 부품 제조자로 부터의 부품을 신제품에 조립하는 다른 제조자에게 운송하는 데 이용된다. 부품을 신제품에 조립할 때에는 자동 조립 장치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부품을 순차적으로 분리해서 그 부품을 신제품의 조립에 사용되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캐리어 테이프(10)에 의해 운송되는 전자 부품(2)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는(10)는 토션 스프링, 판 스프링, 램프, 발광 다이오드(LED), 광섬유와 같은 광학 물품, 의료 교정용 브래킷(brackets)과 같은 치과용품 및 저항기, 플랫팩(flatpacks), 커패시터 또는 집적 회로 등과 같은 전자 또는 전기 부품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물품을 운송할 수도 있다.
캐리어 테이프(10)는 플랫팩(즉, 걸 윙(gull wing), i자형 벤드(bend), 적은 윤곽의 디바이스(small outline devices ; SOIC'S), 얇고 적은 윤곽의 디바이스(thin small outline devices; TSOIC'S), 플립칩 부품 또는 플라잉 리드 플랫팩)과 같은 전자 부품(2)을 보호하고 운송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전자 부품(2)은 본체(3)와, 적어도 하나의 컨넥터 핀, 땜납 범프(bump) 또는 "리드(lead)"(4)를 구비할 수 있다. 리드(4)는 조립 장치(40)에 의해 조립될 신제품에서 인쇄 회로 기판(42)위에 있는 전기 회로(43)에 부품(2)을 접속하게 한다(제 4 및 7도 참조). 그 플랫팩은 장방형 본체(3)와 복수개의 리드(4)를 구비한다. 그 본체(3)에는 모서리(7)를 형성하는 측면(6), 상면(8) 및 하면(9)이 있다. 리드(4)는 측면(6)으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하고 또한 하면(9) 아래로 연장한다.
대안적으로, 전기 부품은 플립칩(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이 플립칩은 상면과 하면을 갖는 비교적 얇은 본체를 구비하며, 그 본체는 능동 회로를 운송하는 표면에 부착된 일련의 땜납 범프를 갖는다. 이 땜납 범프는 매우 작고, 캐리어 테이프와의 마찰 맞물림으로부터 발생하는 마모와 같은 마모를 특히 받기 쉽다.
일반적으로, 캐리어 테이프(10)는 단일의 부분으로 되고, 또한 임의의 알맞는 얇은 중합체 재료[비한정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스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아크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ABS 플라스틱), 공중합체 등과 같은 열가소성 결정질 또는 비정질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는 열유연성이 있고 또한 릴(reel)(11)의 허브(hub)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질 수 있다(제3도 참조). 캐리어 테이프(10)는 테이프(10)의 상부면(13)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부분(12)과, 복수 개의 동일한 형상의 포켓(14)을 형성하는 벽을 구비하고, 상기 포켓(14)은 캐리어 테이프(10)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또한 상부면(13)을 통해 개방된다.
벽은 하벽부(16) 및 스트립형 부분(12)과 하벽부(16)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부(18)를 포함한다. 하벽부(16)는 테이프(10)의 상부면(13)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말단부(21)와, 그 말단부(21) 위로 돌출한 엠보싱부(23)를 구비하고, 그 엠보싱부(23)는 말단부(21) 위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접촉면(25)을 갖는다. 접촉면(25)은 전자 부품(2)의 하면(9)에 접촉하게 되어 말단부(21)에 대해서 전자 부품(2)을 상승된 상태로 있게 한다. 접촉면(25)은 또한 리드(4)의 하부와 말단부(21)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있다(제2도 참조).
측벽부(18)는 캐리어 테이프(10)의 상부면(13)과 말단부(21) 사이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20)을 구비한다. 또한, 측벽부(18)는 성곽형 부분(22)을 구비한다. 성곽형 부분(22)은 엠보싱부(23) 위에 위치되며 또한 종방향 부분(20)으로부터 안으로 들어간 부분을 갖는다. 성곽형 부분(22)은 리드(4)가 없는 전자 부품(2)의 모서리(7)와 맞물리는 맞물림면(24)을 구비하여, 캐리어 테이프(10)에 대하여 전자 부품(2)을 고정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캐리어 테이프(10)에 대해 전자 부품(2)의 방향을 유지시킨다. 또한, 성곽형 부분(22)은 포켓(14)으로부터 전자 부품(2)을 분리할 때 전자 부품(2)이 하벽부(16)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캐리어 테이프(10)는 중앙부(15)를 갖는 포켓(14)을 구비하고, 스트립형 부분(12)의 상부면(13)은 상부 평면을 형성하며, 성곽형 부분(22)은 그 상부 평면 내에 대략 W자 형상으로된 단면을 갖고, 그 W자 형상의 하부는 포켓(14)의 중앙부(15)에 대면한다.
대안적으로, 성곽형 부분(22) 및 맞물림면(24)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부품(2)을 포켓(14) 내에 꼭 알맞게 수용하기 위해 및 리드(4)를 갖지 않은 부품(2)의 부분[예를 들면, 모서리(7)]과 맞물리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알맞은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맞물림면(24)은 부품(2)의 모서리(7)와 맞물림함으로써 부품을 분리하기 전에 캐리어 테이프(10)에 대하여 부품(2)의 바람직한 방향을 유지 시켜주며, 캐리어 테이프(10)에 대한 부품(2)의 X-Y-Z 평면 내의 이동 및 각운동(角運動)을 저지한다.
자동 조립 장치(40)(제4도 및 제7도 참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캐리어 테이프(10)에 대한 부품의 방향이 특히 중요하다. 제4도는 자동 조립 장치(40)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10)로부터 전기 부품(2)을 분리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자동 조립 장치(40)는 부품(2)으로 채워진 포켓(14)을 순차적으로 전진시키는 동시에 릴로부터 캐리어 테이프(10)를 분리해내는 구동 스프로켓(5)을 구비한다. 장치(40)는 통상적으로 금속 스트립(41)과, 착탈 가능하게 접착된 커버 스트립(46)을 테이프(10)로부터 분리해서 부품(2)을 노출시키게 하는 테이크 업 릴(take up reel)(1)을 구비한다. 그 후, 노출된 부품(2)은 진공 픽업부(45)로 순차 이송되고, 그 진공 픽업부(45)는 부품(2)을 분리함과 동시에 그 부품을 인쇄 회로 기판(42)위에 있는 상의 전기 회로(43) 내에 설치한다(제7도 참조).
커버 스트립(46)은 테이프(10)의 가장자리만을 따라 배치된 점착 테이프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또는 테이프(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고용해 접착제에 의해서 테이프(10)에 접착될 수 있다.
자동 조립 장치(40)가 포켓(14)에 대해 원래 오정렬된 부품(2)을 분리하는데 이용될 경우, 자동 조립 장치(40)는 테이프(10)에 대한 부품(2)의 오정렬을 회로 기판(42)(제7도 참조)에 대해서 부품(2)을 오정렬되게 할 가능성이 있어서, 결국 신제품에 결함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은 진공 픽업부(45) 위의 부품(2)의 방향을 검사하기 위한 고가의 스캐너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맞물림면(24)은 테이프(10)에 대한 부품(2)의 방향을 유지하도록 부품(2)의 모서리(7)와 맞물린다. 그러므로, 성곽형 부분(22)은 자동 조립 장치(40)에 대해서 부품의 정확한 위치 제공을 가능하게 해서 자동 조립 장치(40)가 결과적으로 형성된 신제품의 회로 기판(42) 위의 정확한 위치로 부품(2)을 장착하는 것을 돕는다.
상기 캐리어 테이프(10)는 자동 조립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데 특히 적합하지만, 수작업에 의한 조립도 고려되야 한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의한 포켓(14)은 사용자에 의해 포켓(14)으로부터 손으로 분리하는 치과 교정용 물품과 같은 물품을 운반하는 데 적합할 수도 있다.
또한, 성곽형 부분(22) 및 맞물림면(24)은 부품으로부터 테이프로의 정전기 방출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전자 부품을 보호하게 된다. 맞물림면(24)은 캐리어 테이프(10)에 대한 부품(2)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부품과 테이프 사이의 상대 운동을 방지하므로, 부품(2)에 손상을 주는 정전하를 발생시키는 마찰 이동이 감소된다.
부언하면, 성곽형 부분(22) 및 맞물림면(24)은 흡착 또는 진공 픽업부(45)를 구비하는 자동 조립 장치 또는 로봇 조립 기구(40)에 의해 테이프 포켓(14)으로부터 운송된 부품(2)을 정연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포켓(14)으로부터 부품(2)을 분리할 때 맞물림면(24)은 캐리어 테이프(10)에 대한 부품(2)의 회전을 방지하는 벽으로서 작용한다. 부품이 포켓(14)에서 분리할 때, 부품(2)이 회전되지 않게 함으로써, 테이프(10)의 구조(즉, 엠보싱부(23))와의 접촉에 의해 부품이 손상받을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접촉면(25)은 4개의 불규칙한 육각형 표면을 구비하고, 그 표면은 이에 관해서 육각형 표면이 대칭되는 축선을 갖는다. 또한, 접촉면(25)은 테이프(10)의 하부(16) 내에서 대략 "X"자 형상(제1도 참조)을 형성하고, 접촉하는 접촉면(25)의 축선이 중앙부(15)에서 교차한다.
대안적으로, 엠보싱부(23) 및 접촉면(25)의 형상은, 전체적인 작용이 전자 부품(2)의 리드(4)를 말단부(21) 위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엠보싱부(23)와 리드(4)간의 잠재적인 접촉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 직선 부분 또는 아치 부분 혹은 직선 및 아치 부분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임의의 평탄한 다각형 표면일 수도 있다. 예컨대, 엠보싱부는 테이프의 길이 방향 축선에 수직하고 또한 부품의 리드(4)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된 두 개의 평행한 장방형 부분를 구비할 수 있다.
엠보싱부(23)가 운송된 전자 부품(2)의 리드(4)로부터 떨어져서 일정 간격을 두고 있도록 엠보싱부(23)를 배치하는 것은 테이프 구조와의 접촉에 의한 기계적인 휨 또는 왜곡에 기인하는 손상으로부터 리드(4)를 보호하고, 부품(2)으로부터 테이프(10)로의 정전 방전(예컨대, 마찰 전기의 대전)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리드(4)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절연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엠보싱부(23)가 완전히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10)는 스트립형 부분(12)의 각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종래의 일련의 등간격으로 배치된 동일한 크기의 관통 개구(27)를 구비한다. 그 관통 개구(27)는 구동 스프로켓(5)(제4도 참조)의 톱니를 수용하고, 또는 포켓(14)내로 부품을 로드시키거나 포켓으로부터 부품을 분리하는 자동 조립 장치(40)를 통하도록 캐리어 테이프가 구동 스프로켓(5)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는 스프로켓의 톱니를 수용한다. 도면에서는 스트립형 부분(12)의 양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관통개구(27)가 도시되어 있지만, 관통 개구가 스트립형 부분의 하나의 가장자리에 따라서만 존재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포켓(14) 내에 부품이 존재하는지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또는 포켓(14)으로부터 부품을 분리하기 쉽게 하는 프로브(probe)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공업 규격에 의해 요구되듯이, 캐리어 테이프(10)는 각 포켓(14)의 하벽부(16) 내의 중심에 일반적으로 배치된 하나의 관통 개구(29)를 갖는다.
다음에,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그 전체를 참조부호50으로 표시한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의 제2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 캐리어 테이프(50)는 테이프(10)의 구성요소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다수의 구성 요소를 갖고, 그 구성요소는 첨자 "A"를 덧붙인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캐리어테이프(10)와 동일한 형태의 캐리어 테이프(50)는 단일 부분으로 되고 또한 얇은 중합체의 재료로 형성되어, 캐리어 테이프는 유연성을 갖는다. 캐리어 테이프(50)는 테이프(50)의 상부면(13A)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부분(12A)과, 복수 개의 동일한 형태의 포켓(14A)을 형성하는 벽을 구비하고, 그 포켓(14A)은 캐리어 테이프(50)을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부면(13A)을 통하여 개방한다.
벽은 하벽부(16A)와, 스트립형 부분(12A)과 하벽부(16A)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부(18A)를 구비한다. 하벽부(16A)는 테이프(50)의 상부면(13A)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말단부(51)와, 그 말단부(51) 위로 돌출하는 엠보싱부(53)를 구비하고, 그 엠보싱부(53)는 말단부(51)위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접촉면(55)을 갖는다. 접촉면(55)은 전자 부품(2A)의 하면(9A)에 접촉하여 말단부(51)에 대해서 전자 부품(2A)을 상승된 상태에 있게 한다. 또한, 접촉면(55)은 리드(4A)의 하부와 말단부(5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다.
측벽부(18A)는 캐리어 테이프(50)의 상부면(13A)과 말단부(51) 사이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60)을 구비한다. 또한, 측벽부(18A)는 성곽형 부분(62)을 구비한다. 성곽형 부분(62)은 엠보싱부(53) 위에 위치하며 종방향 부분(60)으로부터 안으로 들어간 부분을 갖는다. 하나의 포켓(14A)당 4개의 성곽형 부분(62)중 세 개는 캐리어 테이프(10)와 같이 "W"자 형상이며, 리드(4A)를 갖지 않은 전자 부품(2A)의 모서리(7A)와 맞물림하는 맞물림면(66)을 구비하여, 캐리어 테이프(50)에 대해서 전자 부품(2A)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여 캐리어 테이프(50)에 대해서 전자 부품(2A)의 방향을 유지시킨다. 또한, 성곽형 부분(62)은 포켓(14A)에서 전자 부품(2A)을 분리할 때 전자 부품(2A)이 하벽부(16A)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게 한다.
캐리어 테이프(10)와는 달리, 캐리어 테이프(50)의 각 포켓(14A)의 하나의 성곽형 부분(67)은 모따기된 맞물림면(68)을 구비하고, 그 모따기된 맞물림면(68)은 부품(2A)과 비슷하게 모따기된 가장자리(70)와 맞물림되게 사용된다. 모따기된 맞물림면(68) 및 모따기된 가장자리(70)의 존재는 부품을 분리하기 전에 테이프가 자동 조립 장치(40)에 대해서 부품(2A)을 테이프(50)에 대한 소망의 방향으로 제시하는 것을 또한 확실하게 한다. 왜냐 하면, 부품은 하나의 형태(즉, 모따기된 가장자리(70)가 맞물림면(68)에 접촉하는 형태)로만 포켓(14A)내로 맞물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곽형 부분(62 및 67)은 또한 테이프(50)에 대한 부품(2A)의 방향의 정확한 제시를 자동 조립 장치(40)에 대해서 부여한다. 그와 같은 정확한 제시는 결과적으로 형성되는 신제품의 회로 기판(42)상에 부품(2A)을 특정의 자세로 배치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10)와 달리, 엠보싱부(53)의 접촉면(55)은 환형 표면(56)을 구비한다. 다시 설명하지만, 접촉면의 형상은, 전체의 작용이 전자 부품(2A)의 리드(4A)를 말단부(51)위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엠보싱부(53)와 리드(4A)사이의 잠재적인 접촉점을 최소화하는 것이라면, 직선 및 아치 부분 또는 직선 부분과 아치 부분의 조합으로 형성된 임의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그 형상은 원형, 다각형, 장방형, 삼각형, 6각형, 또는 그들의 조합 형태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50)는 스트립형 부분(12A)의 각 가장자리를 따라 종래의 일련의 등간격으로 배치된 같은 크기로된 관통 개구(27A)를 갖는다. 그 관통개구(27)는 구동 스프로켓(5)(제4도 참조)의 톱니를 수용하고, 또는 포켓(14)내로 부품을 로드시키거나 포켓으로부터 부품을 분리하는 자동 조립장치(40)을 통하도록 캐리어 테이프가 구동 스프로켓에 의해서 구동 될 수 있는 스크로켓의 톱니를 수용한다. 또한, 포켓(14A) 내에 부품이 존재하는 지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또는 포켓(14A)에서 부품을 분리하기 쉽게 하는 프로브(probe)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공업 규격에 의해 요구되듯이, 캐리어 테이프(50)는 각 포켓(14A)의 하벽부(16A) 내의 대략 중심에 배치된 하나의 관통 개구(29A)를 갖는다.
다음에,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 그 전체를 참조부호100으로 표시한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의 제3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 캐리어 테이프(100)는 테이프(10)의 구성 요소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다수의 구성 요소를 갖고, 그 구성요소는 첨자 "B"를 덧붙인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표시된다. 캐리어 테이프(100)는 엠보싱부가 없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예이다. 캐리어 테이프(100)는 플립-칩(도시하지 않았지만, 플립-칩은 상면과 하면을 갖는 비교적 얇은 본체를 갖는 전자 부품이고, 본체는 상면과 같은 능동 회로를 갖는 표면에 부착된 일련의 땜납 범프를 갖는다)을 운반하는 데에 특히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캐리어 테이프(10)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100)는 단일 부분으로 되고 또한 얇은 중합체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 유연성이 있다. 캐리어 테이프(100)는 이 테이프(100)의 상부면(13B)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부분(12B)과, 동일한 형상의 복수 개의 포켓(14B)을 형성하는 벽을 구비하고, 그 포켓(14B)은 캐리어 테이프(100)를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며 상부면(13B)을 통하여 개방한다.
벽은 하벽부(116)와, 스트립형 부분(12B)과 하벽부(116)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부(18B)를 구비한다. 하벽부(116)는 테이프(100)의 상부면(13B)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말단부(118)를 구비한다. 전자 부품(2B)의 하면(9B)이 하벽부(116)의 말단부(118)에 접촉하고, 리드 또는 땜납 범프(4B)는 포켓(14B)의 개방부를 향해 위로 돌출한다.
측벽부(18B)는 캐리어 테이프(100)의 상부면(13B)과 말단부(51) 사이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20B)을 구비한다. 또한, 측벽부(18B)는 종방향 부분(20B)으로부터 안으로 들어간 부분을 갖는 성곽형 부분(22B)을 구비한다. 그 성곽형 부분(22B)은, 리드 또는 땜납 범프(4B)가 없는 전자 부품(2B)의 모서리(7B)와 맞물리는 맞물림면(24B)을 구비해서, 캐리어 테이프(100)에 대해서 전자 부품(2B)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고 캐리어 테이프(100)에 대해서 전자 부품(2B)의 방향을 유지한다. 또한, 성곽형 부분(22B)은 포켓(14B)에서 전자 부품(2B)을 분리할 때 전자 부품(2B)이 하벽부(116)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게 한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100)는 스트립형 부분(12B)의 각 가장자리를 따라 종래의 일련의 등간격으로 배치된 같은 크기로 된 관통 개구(27B)를 갖는다. 그 관통 개구(27B)는 구동 스프로켓(5)(제 4도 참조)의 톱니를 수용하고, 또는 포켓(14B)속에 부품을 로드시키거나 부품을 포켓에서 분리하는 자동 조립 장치(40)를 통해 캐리어 테이프(50)가 구동 스프로켓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는 스프로켓의 톱니를 수용한다. 또한, 포켓(14B) 내에 부품이 존재하는 지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또는 포켓(14B)에서 부품을 분리하기 쉽게 하는 프로브(probe)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공업 규격에 의해 요구되듯이, 캐리어 테이프(100)는 각 포켓(14B)의 하벽부(116) 내의 대략 중심에 배치된 하나의 관통 개구(29B)를 갖는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3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이 없이 전술한 실시예에서 많은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출원서에서 기재된 구조에 제한되어서는 안 되고, 청구 범위의 언어에 의해 기재된 구조 및 그 구조의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21)
- 모서리를 형성하는 측면, 상면 및 하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최소한 하나의 리드를 가지며 모서리에는 리드가 없는 전자 부품을 운반하는 데 이용되는 단일의 유연성 캐리어 테이프로서,1)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부분과,2)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상부면을 통해 개방하는 복수 개의 유사한 형상의 포켓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벽을 구비하는 캐리어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벽은,a) 하벽부와,b) 상기 스트립형 부분과 상기 하벽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벽부는,(i)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말단부와,(ii) 상기 말단부 위에서 돌출하고 상기 말단부 위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있는 접촉면을 갖는 엠보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면은 전자 부품의 하면에 접촉해서 상기 말단부에 대해서 전자 부품을 상승된 상태에 있게 하고, 상기 측벽부는,(i) 상기 테이프의 상기 상부면과 상기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과,(ii) 상기 엠보싱부 위에 위치하고 상기 종방향 부분으로부터 안으로 들어간 부분을 갖는 성곽형 부분을 갖고, 상기 성곽형 부분은 리드가 없는 전자 부품의 측면과 맞물리는 맞물림면을 구비하여, 상기 운송 테이프에 대해서 전자 부품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대한 전자 부품의 방향을 유지시키고, 상기 성곽형 부분은 또한 상기 포켓으로부터 전자 부품을 분리하는 동안 상기 하벽부에 대한 전자 부품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중앙부를 가지며, 상기 스트립의 상기 상부면은 상부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성곽형 부분 중 최소한 하나는 상기 상부 평면 내에서 대략 "W" 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W" 저 형상의 하부가 상기 포켓의 중앙부에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포켓은 상기 상부 평면에서 모따기된 맞물림면을 갖는 단면을 형성하는 최소한 하나의 상기 성곽형 부분을 갖고, 상기 모따기된 맞물림면이 상기 포켓의 중앙부에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중앙부를 가지며, 상기 각 포켓내의 상기 접촉면은 4개의 불규칙한 육각형 표면을 구비하고, 각 육각형 표면은 이 육각형 표면이 이에 관해서 대칭을 이루는 축선을 갖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부 내에서 대략 X자형 형상을 형성하고, 접촉하는 접촉면의 축선은 상기 중앙부에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환형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전자 부품과 단일의 유연성 캐리어 테이프의 조립 구조로서, 상기 전자 부품은, 리드가 없는 모서리를 형성하는 측면, 상면 및 하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최소한 하나의 리드를 갖고, 상기 단일의 유연성 캐리어 테이프는,1) 상기 테이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부분과,2)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상부면을 통해 개방하는 복수 개의 유사한 형상의 포켓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벽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과 단일의 유연성 캐리어 테이프의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벽은,a) 하벽부와,b) 상기 스트립형 부분 및 상기 하벽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벽부는,(i) 상기 테이프의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말단부와,(ii) 상기 말단부 위에서 돌출하고 상기 말단부 위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접촉면을 갖는 엠보싱부를 갖고, 상기 접촉면은 전자 부품의 하면에 접촉해서 상기 말단부에 대해서 전자 부품을 상승된 상태에 있게 하고, 상기 측벽부는,(i) 상기 테이프의 상기 상부면과 상기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과,(ii) 상기 엠보싱부 위에 위치하고 상기 종방향 부분으로부터 안으로 들어간 부분을 갖는 성곽형 부분을 갖고, 상기 성곽형 부분은 리드가 없는 전자 부품의 측면과 맞물리는 맞물림면을 구비해서, 상기 테이프에 대해서 전자 부품을 고정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대한 전자 부품의 방향을 유지시키고, 상기 성곽형 부분은 상기 포켓으로부터 전자 부품을 분리하는 동안 상기 하벽부에 대한 전자 부품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중앙부를 가지며, 상기 스트립의 상기 상부면은 상부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성곽형 부분 중 최소한 하나는 상기 상부 평면 내에서 대략 "W"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W"자 형상의 하부가 상기 포켓의 중앙부에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포켓은 상기 상부 평면에서 모따기된 맞물림면을 갖는 단면을 형성하는 최소한 하나의 상기 성곽형 부분을 갖고, 모따기된 맞물림면은 상기 포켓의 중앙부에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중앙부를 가지며, 상기 각 포켓 내의 상기 접촉면은 4개의 불규칙한 육각형 표면을 구비하고, 각 육각형 표면이 육각형 표면이 그것에 관해서 대칭을 이루는 축선을 갖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테이프의 하부내에서 대략 X자형 형상을 형성하고, 접촉하는 접촉면의 축선은 상기 중앙부에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단일의 유연성 캐리어 테이프로서,1) 상기 테이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부분와,2)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상부면을 통해 개방하는 복수 개의 유사한 형상의 포켓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벽을 구비하는 캐리어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벽은,a) 하벽부와,b) 상기 스트립형 부분 및 상기 하벽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벽부는,(i) 상기 테이프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말단부와,(ii) 상기 말단부 위에서 돌출하고 상기 말단부 위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있는 접촉면을 갖는 엠보싱부를 갖고, 상기 측벽부는,(i) 상기 테이프의 상기 상부면과 상기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과,(ii) 상기 엠보싱부 위에 위치하고 상기 종방향 부분으로부터 안으로 들어간 부분을 갖는 성곽형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중앙부를 가지며, 스트립의 상기 상부면은 상부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성곽형 부분 중 최소한 하나는 상기 상부 평면내에서 대략 "W" 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W"자 형상의 하부가 상기 포켓의 중앙부에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포켓은 상기 상부 평면에서 모따기된 맞물림면을 갖는 단면을 형성하는 최소한 하나의 상기 성곽형 부분을 갖고, 상기 모따기된 맞물림면이 상기 포켓의 중앙부에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중앙부를 가지며, 상기 각 포켓내의 상기 접촉면은 4개의 불규칙한 육각형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육각형 표면은 이 육각형 표면이 그것에 대해서 대칭을 이루는 축선을 갖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테이프의 하부 내에서 X자형 형상을 형성하고, 접촉하는 접촉면의 축선은 상기 중앙부에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환형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모서리를 형성하는 측면을 갖는 본체와, 복수 개의 리드를 갖는 부품을 운반하는 단일의 유연성 캐리어 테이프로서, 상기 테이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부분과, 상기 테이프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상부면을 통해 개방하는 복수 개의 유사한 형상의 포켓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벽을 구비하고, 상기 포켓이 중앙부를 갖는 캐리어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벽은,a)하벽부와,b) 상기 스트립형 부분 및 상기 하벽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벽부는 상기 테이프의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말단부를 갖고, 상기 측벽부는,(i) 상기 테이프의 상기 상부면과 상기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과,(ii) 상기 종방향 부분으로부터 상기 포켓의 상기 중앙부를 향해서 안으로 들어간 부분을 갖는 성곽형 부분을 갖고, 상기 성곽형 부분은 부품의 본체의 모서리와 맞물리는 맞물림면을 형성하는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단일의 유연성 캐리어 테이프로서, 상기 테이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부분와, 상기 테이프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상부면을 통해 개방하는 복수 개의 유사한 형상의 포켓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벽을 구비하는 캐리어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벽은,a) 하벽부와,b) 상기 스트립형 부분 및 상기 하벽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벽부는 상기 테이프의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말단부를 갖고, 상기 하벽부는 말단부 위에서 돌출하는 엠보싱부를 갖고,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말단부 위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접촉면을 갖고,상기 측벽부는,(i) 상기 테이프의 상기 상부면과 상기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부분과,(ii) 상기 종방향 부분으로부터 안으로 들어간 부분과, 맞물림면을 형성하는 표면을 갖는 성곽형 부분을 갖고, 상기 성곽형 부분의 상기 맞물림면은 상기 엠보싱부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중앙부를 가지며, 상기 스트립의 상기 상부면은 상부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성곽형 부분중 최소한 하나는 상기 상부 평면내에서 대략 "W" 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W"자 형상의 하부가 상기 포켓의 중앙부에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포켓은 상기 상부 평면에서 모따기된 맞물림면을 갖는 단면을 형성하는 최소한 하나의 상기 성곽형 부분을 갖고, 상기 모따기된 맞물림면이 상기 포켓의 중앙부에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중앙부를 가지며, 상기 각 포켓내의 상기 접촉면은 4개의 불규칙한 6각형 표면을 구비하고, 각 6각형 표면은 6각형 표면이 그것에 관해서 대칭을 이루는 축선을 갖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하부내에서 대략 X자형 형상을 형성하고, 접촉하는 접촉면의 축선은 상기 중앙부에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환형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 모서리를 형성하는 측면, 상면 및 하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최소한 하나의 리드를 가지며 모서리에는 리드가 없는 전자 부품을 운반하는 단일의 유연성 캐리어 테이프로서,1) 상기 테이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부분과,2)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상기 상부면을 통해 개방하는 복수 개의 유사한 형상의 포켓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벽을 구비하는 캐리어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벽은,a) 상기 테이프의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말단부를 갖는 하벽부와,b) 상기 스트립형 부분 및 상기 하벽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포켓은 말단부에 대해서 상기 부품을 상승된 상태로 있게 하는 돌기 된 수단을 갖고, 상기 각 포켓은 부품과 맞물리는 상기 측면으로부터 삽입된 맞물림 수단을 구비하여, 부품을 상기 포켓으로부터 분리할 때까지 상기 포켓에 대한 부품의 방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65432591A | 1991-02-12 | 1991-02-12 | |
US7/654,325 | 1991-02-12 | ||
PCT/US1992/000615 WO1992014348A1 (en) | 1991-02-12 | 1992-01-24 | Packaging ta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703808A KR930703808A (ko) | 1993-11-30 |
KR100274529B1 true KR100274529B1 (ko) | 2000-12-15 |
Family
ID=2462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702362A KR100274529B1 (ko) | 1991-02-12 | 1992-01-24 | 캐리어 테이프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EP (1) | EP0571510B1 (ko) |
JP (1) | JP3330936B2 (ko) |
KR (1) | KR100274529B1 (ko) |
DE (1) | DE69205969T2 (ko) |
ES (1) | ES2079184T3 (ko) |
MY (1) | MY107709A (ko) |
SG (1) | SG50491A1 (ko) |
WO (1) | WO199201434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02210A (en) * | 1997-10-27 | 2000-08-15 |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 Carrier tape for electronic components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L83989A (en) * | 1986-09-25 | 1991-03-10 | Illinois Tool Works | Reuseable carrier tape |
US4893764A (en) * | 1988-06-09 | 1990-01-16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Component reel |
JPH0219271A (ja) * | 1988-07-06 | 1990-01-23 | Toshiba Corp | 半導体装置用テーピング部品 |
US4966281A (en) * | 1988-09-09 | 1990-10-30 | Nitto Denko Corporation | Electronic component carrier |
GB8825154D0 (en) * | 1988-10-27 | 1988-11-30 | Reel Service Ltd | Tape for storage of electronic components |
US4898275A (en) * | 1989-05-25 | 1990-02-06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Non nesting component carrier tape |
-
1992
- 1992-01-24 ES ES92906399T patent/ES2079184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01-24 JP JP50571092A patent/JP333093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2-01-24 KR KR1019930702362A patent/KR1002745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01-24 DE DE69205969T patent/DE69205969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2-01-24 WO PCT/US1992/000615 patent/WO1992014348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2-01-24 SG SG1996002746A patent/SG50491A1/en unknown
- 1992-01-24 EP EP92906399A patent/EP057151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02-03 MY MYPI92000177A patent/MY107709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571510A1 (en) | 1993-12-01 |
KR930703808A (ko) | 1993-11-30 |
DE69205969T2 (de) | 1996-07-04 |
JP3330936B2 (ja) | 2002-10-07 |
MY107709A (en) | 1996-05-30 |
ES2079184T3 (es) | 1996-01-01 |
SG50491A1 (en) | 1998-07-20 |
DE69205969D1 (de) | 1995-12-14 |
WO1992014348A1 (en) | 1992-08-20 |
JPH06505220A (ja) | 1994-06-16 |
EP0571510B1 (en) | 1995-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61901A (en) | Carrier tape | |
US5203143A (en) | Multiple and spli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tratums for carrier tape packaging system | |
EP0440694B1 (en) | Tape for storage of electronic components | |
WO1997018580A1 (en) | Carrier tape with adhesive and protective walls | |
EP0560373B1 (en) | Carrier tape for electronic through-hole components | |
EP0912082B1 (en) | Carrier tape for electronic components | |
US4958053A (en) | Carrier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4842135A (en) | Carrier tape and cover applying and removal devices for same | |
KR100274529B1 (ko) | 캐리어 테이프 | |
EP0876745B1 (en) | Component carrier tape | |
JPS60113998A (ja) | 電子部品集合体 | |
CA1313644C (en) | Carrier tape and cover applying and removal devices for same | |
US5005275A (en) | Carrier tape and cover applying and removal devics for same | |
WO1998052845A1 (fr) | Bande transporteuse pour composants electroniques | |
JPH02258573A (ja) | キャリアテープ | |
EP0711712B1 (en) | Tape and reel packaging system for single-in-line electronic circuits | |
JPS62271858A (ja) | 電子装置用キヤリアテ−プ | |
JP3491813B2 (ja) | 電子部品用キャリアテープ | |
JP3571361B2 (ja) | 電子部品実装方法及びフィルムキャリア収納体 | |
JPH01111605A (ja) | 梱包装置 | |
JPS626360B2 (ko) | ||
JP2603581B2 (ja) | 精密部品搬送用の連鎖型容器 | |
CN117136160A (zh) | 用于电子部件的承载带 | |
JPH10303338A (ja) | キャリヤテープ及びこのテープに対する被搬送部品出し入れ方法 | |
JP2000031690A (ja) | キャリアテープおよび半導体検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