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509B1 -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509B1
KR100274509B1 KR1019970044242A KR19970044242A KR100274509B1 KR 100274509 B1 KR100274509 B1 KR 100274509B1 KR 1019970044242 A KR1019970044242 A KR 1019970044242A KR 19970044242 A KR19970044242 A KR 19970044242A KR 100274509 B1 KR100274509 B1 KR 100274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illumination intensity
backup light
rever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336A (ko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4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4509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45Reversin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에 차량을 후진할 경우 조도가 상승되게 하여 후방운전시야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의 후방부에는 미등(10)과 후진등(20)이 각각 온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구동모우터(30)가 장착되고, 이 구동모우터(30)의 회전축에는 다수개의 기어열이 형성된 제1,2회전기어(40a,40b)를 매개로하여 후진등(20)의 광도를 증대시켜 주는 제1,2반사경(50,60)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제1,2반사경(50,60)이 대향되는 차량의 모서리부에는 후진등(20)의 불빛을 반사시켜 주는 제3,4반사경(70,80)이 각각 고정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야간에 자동차를 후진시키면 후진등의 조도가 증대되어 주위를 밝게 비춰주게 됨과 동시에 후방운전시야가 확보되므로써, 야간 후진운전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접촉사고를 일으킬 위험도 줄어들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에 차량을 후진할 경우 조도가 상승되게 하여 후방운전시야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등화장치에는 조명용으로 전조등, 안개등, 후진등, 실내등, 계기판 등이 있고, 표시용으로 차고등, 차폭등, 주차등, 번호판등, 후미등이 있으며, 신호용으로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이 있고, 그 외에도 연료등, 장식등 등이 있다.
상기한 다수의 램프들은 운전자가 직접 스위치를 조작하여 등화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램프들은 조도가 너무 크거나 작을 경우에 문제가 되므로 적절한 조도를 유지시켜야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진등은 후진시에 후방접근차량이나 사람 등에게 현재의 차량이 후진하고 있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변속기의 변속레버를 후진의 위치로 조작하게 되면 점등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후진등은 근접차량이나 사람 등에게 현재의 차량이 후진하고 있는 것을 단지 알려주는 기능만을 목적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또한 자동차의 후진시에는 후방을 적당한 조도로 밝혀줄 수 있는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운전자가 후진시에 후방이 어두워서 접촉사고를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야간 후진시에 후진등의 조도를 밝게하여 후방의 주위를 적절히 밝혀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진운전을 용이하게 하고 접촉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부에는 미등과 후진등이 각각 온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구동모우터가 장착되고, 이 모우터의 회전축에는 다수개의 기어열이 형성된 제1,2회전기어를 매개로하여 후진등의 광도를 증대시켜 주는 제1,2반사경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제1,2반사경이 대향되는 차량의 모서리부에는 후진등의 불빛을 반사시켜 주는 제3,4반사경이 각각 고정설치 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의 미등과 후미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차량을 후진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모우터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2반사경을 통해 빛이 증대됨과 동시에 후진등의 조도가 향상되어 주위가 밝아지게 되므로써, 야간후진 운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접촉사고를 일으킬 위험도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미등 20 : 후진등
30 : 구동모우터 40a,40b : 제1,2회전기어
50,60 : 제1,2반사경 51 : 연결바
70,80 : 제3,4반사경 BAT : 밧데리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부에는 미등(10)과 후진등(20)이 각각 온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구동모우터(30)가 장착되고, 이 모우터(30)의 회전축에는 다수개의 기어열이 형성된 제1,2회전기어(40a,40b)를 매개로하여 후진등(20)의 광도를 증대시켜 주는 제1,2반사경(50,60)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제1,2반사경(50,60)이 대향되는 차량의 모서리부에는 후진등(20)의 불빛을 반사시켜 주는 제3,4반사경(70,80)이 각각 고정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의 후방부 즉, 미등(10)과 후미등(20)의 후방부에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된 구동모우터(30)가 장착되어 있으되, 이 구동모우터(30)의 회전축상에는 다수개의 기어열이 형성된 제1회전기어(40a)가 축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제1회전기어(40a)에는 다수개의 기어열이 형성된 제2회전기어(40b)가 치차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구동모우터(30)는 차량의 클러스터(도시되지 않음)와, 미등(10) 및, 후미등(20)이 모두 온된 상태에서만 일측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회전기어(40a,40b)의 회전축상에는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각각의 연결바(51)를 매개로하여 제1,2반사경(50,60)이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1,2반사경(50,60)은 상기 미등(10)이나 후미등(20)에서 반사되는 불빛을 증대시키게 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2반사경(50,60)에 대응되는 즉, 상기 차량의 후방부 모서리에는 제3,4반사경(70,80)이 고정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3,4반사경(70,80)은 상기 미등(10)이나 후미등(20)을 통해 조사되는 불빛을 상기 제1,2반사경(50,60)에 반사시키게 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야간에 클러스터가 점등된 상태로 운전자가 변속레바를 후진으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우터(3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후진등(20)의 불빛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2반사경(50,60)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이 제1,2반사경(50,60)의 불빛 증대작용에 의해 상기 후진등(20)의 조도가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후진시에 후방을 밝게 비추어주는 후진등에 의해 후진운전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접촉사고를 일으킬 위험도 줄어들게 된다.
한편, 주간에는 클러스터의 스위치가 점등되지 않기 때문에 원래의 조도로 후진등이 점등되게 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에 의하면, 야간에 자동차를 후진시키면 후진등의 조도가 증대되어 주위를 밝게 비춰주게 됨과 동시에 후방운전시야가 확보되므로써, 야간 후진운전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접촉사고를 일으킬 위험도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후방부에는 미등(10)과 후진등(20)이 각각 온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구동모우터(30)가 장착되고, 이 구동모우터(3)의 회전축에는 다수개의 기어열이 형성된 제1,2회전기어(40a,40b)를 매개로하여 후진등(20)의 광도를 증대시켜 주는 제1,2반사경(50,60)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제1,2반사경(50,60)이 대향되는 차량의 모서리부에는 후진등(20)의 불빛을 반사시켜 주는 제3,4반사경(70,80)이 각각 고정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
KR1019970044242A 1997-08-30 1997-08-30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 KR100274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242A KR100274509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242A KR100274509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336A KR19990024336A (ko) 1999-04-06
KR100274509B1 true KR100274509B1 (ko) 2001-02-01

Family

ID=4074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242A KR100274509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45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336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4509B1 (ko)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 증대장치
CN107107812B (zh) 与车辆进入管理相关联的迎接性可动照明和/或信号装置
KR100204701B1 (ko) 차량전조등의 조사각확대장치
KR0129335Y1 (ko) 자동차용 코너링램프의 보조 반사장치
KR0146472B1 (ko) 후진등 자동 제어장치
JP3112580B2 (ja) 安全性向上ランプ
KR0127548Y1 (ko) 자동차용 번호등의 광조절장치
KR0139063Y1 (ko) 자동차의 실내등 광도 조절 장치
KR101385160B1 (ko) 헤드램프
KR20090108748A (ko) 자동차용 후방 시계 확보장치
KR0146732B1 (ko) 자동차 룸 램프의 조명방향 조절장치
KR0124410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KR0145111B1 (ko) 자동차의 독서등 자동소등 장치
KR200207686Y1 (ko) 자동차 전조등의 각도조절장치
KR100269971B1 (ko) 차량의 위험 표지판 겸용 스톱램프
KR940000016Y1 (ko) 야광차량 번호판
KR200249373Y1 (ko) 라이트가 구비된 후방미러조립체
JPH0687371A (ja) 自動車のヘッドライト装置
KR0170824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KR0153149B1 (ko) 자동차용 안개등
KR20030097231A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조립체
KR19980030324A (ko) 상향등 차폐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헤드램프
KR200273368Y1 (ko) 기계식과 전자식을 겸비한 긴급차량의 경광등
KR200191649Y1 (ko) 긴급 구조차량의 2중색 경광등
KR970002662Y1 (ko) 자동차용 후사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