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222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222B1
KR100274222B1 KR1019980027021A KR19980027021A KR100274222B1 KR 100274222 B1 KR100274222 B1 KR 100274222B1 KR 1019980027021 A KR1019980027021 A KR 1019980027021A KR 19980027021 A KR19980027021 A KR 19980027021A KR 100274222 B1 KR100274222 B1 KR 100274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tegrated
boar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604A (ko
Inventor
백영상
김유숭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필립스 엘시디주식회사
론 위라하디락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필립스 엘시디주식회사, 론 위라하디락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80027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422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ant on signal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가지는 액정모듈(Liquid Crystal Modul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와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 구동 회로가 일체화된 통합보드와, 표시패널과 통합보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신호중계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인터페이스 회로와 액정 구동회로가 통합된 통합보드에 의해 보드(또는 기판)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패널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가지는 액정모듈(Liquid Crystal Module)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상구동회로에서 처리된 화상데이터를 해상도를 조정하여 액정모듈에 공급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액정표시장치에는 액정모듈과 액정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구동회로와 아날로그 형태의 입력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실제로, 액정표시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표시패널(28)과 표시패널(28)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24)와 소오스 드라이버(26)로 구성되는 액정모듈(22)과, 액정모듈(22)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구동회로(6)와, 아날로그 형태의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함과 아울러 해상도를 조정하여 액정모듈(22)에 공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2)를 구비한다. 액정구동회로(6)와 인터페이스 회로(2)는 각각 별도의 보드(또는 기판)에 실장되고 가요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 이하 "FPC"라 함)와 커넥터(Connector)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표시패널(28)은 액정셀들이 두장의 유리기판(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진 화소 매트릭스를 구비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4)는 화소 매트릭스의 로오라인들을 분할·구동하고 소오스 드라이버(26)는 화소 매트릭스의 칼럼라인들에 화상데이터를 공급하게 된다. 인터페이스 회로(2)는 입력된 해상도 또는 다양한 주파수의 데이터를 표시패널(28)의 해상도(예를 들면, XGA(1024×768))로 표시할 수 있도록 수평 동기신호 Hsync 및 수직 동기신호 Vsync를 생성하기 위한 멀티스캔 회로(12)와, 화상데이터 공급라인을 줄임으로써 전자기적 간섭(Electro-magnetic Interface)을 줄이기 위한 트랜스미터(4)를 구비한다. 멀티스캔 회로(12)는 다양한 해상도(VGA, SVGA, XGA 등)로 처리되는 입력화상 데이터를 표시패널(28)의 해상도에 적합하게 표시되도록 수평 동기신호 Hsync와 수직 동기신호 Vsync를 생성하게 된다. 트랜스미터(4)는 LVDS와 PLL(Phase Lock Loop)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의 직렬전송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공급라인수를 줄여 전자기적 간섭을 줄이게 된다. 데이터 공급라인은 FPC가 주로 사용된다. 이 FPC는 액정모듈(22)과 인터페이스 회로(2)가 포함된 시스템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도시하지 않음)를 경유하게 된다. 액정구동회로(6)는 트랜스미터(4)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메인클럭(Clk)과 적녹청(RGB)의 3원색 데이터를 분리하기 위한 리시버(8)와, 게이트 드라이버(24)와 소오스 드라이버(26)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10)와,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기준전압 생성부(14)와, 게이트 드라이버(24)의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16)와, 보조 캐패시터 전극(32)에 스토리지(Storage) 전압 Vst을 공급하기 위한 스토리지전압 생성부(18)와, 화소전극(30)에 공통전압 Vcom을 공급하기 위한 공통전압 생성부(20)를 구비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0)는 리시버(8)로부터 공급되는 메인클럭 CLKmain과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 Hsync, Vsync에 따라 게이트 드라이버(24)와 소오스 드라이버(26)에 스타트 펄스, 스캐닝 클럭 등을 공급함과 아울러 디지털 형태의 RGB 데이터를 공급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테이프 캐리어 페키지(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라 함)형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액정모듈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구성에서, TCP형 액정표시장치는 표시패널(28)의 좌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게이트 보드(34)와, 표시패널(28)의 하측에 설치되는 소오스 보드(36)와, 게이트 보드(34)와 소오스 보드(36)가 각각 표시패널(28)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태이프 캐리어(Tape Carrier)(46,50)와, 소오스 보드(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보드(38)를 구비한다. 게이트 보드(34)와 소오스 보드(36)는 제1 FPC(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소오스 보드(36)와 인터페이스 보드(38)는 제2 FPC(4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터페이스 보드(38)는 아날로그 형태의 입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부품들, 예컨데 도 1에 도시된 트랜스미터(4), 멀티스캔 회로(12) 등이 집적화된 칩 형태로 실장된다. 게이트 보드(34)와 소오스 보드(36)는 도 1에 도시된 리시버(8), 타이밍 콘트롤러(10), 기준전압 생성부(14),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16), 스토리지전압 생성부(18) 및 공통전압 생성부(20) 등의 표시제어부품들이 실장되어 인터페이스 보드(38)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 클럭 및 화상 데이터를 표시패널(28)의 해상도에 적합하게 변환하게 되며 게이트 드라이버(24)와 소오스 드라이버(26)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제1 테이브 케리어(46)에는 도 1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24)가 분할되어 집적화된 게이트 드라이버 IC(44)가 실장된다. 제1 테이프 케리어(46)는 표시패널(28)의 좌측변과 게이트 보드(34)에 이방성 도전체에 의해 접속된다. 제2 테이브 케리어(50)에는 도 1에 도시된 소오스 드라이버(26)가 분할되어 집적화된 소오스 드라이버 IC(48)가 실장된다. 제2 테이프 케리어(50)는 표시패널(28)의 하측변과 소오스 보드(36)에 이방성 도전체에 의해 접속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게이트 보드(34), 소오스 보드(36), 인터페이스 보드(38) 및 테이프 캐리어(46)등을 각각 필요로 하게 되며 이들이 많은 공간을 점유하게 되므로 표시패널(28)의 유효 화면영역이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각 보드들(또는 기판들)에서 동일한 부품이 각각 다른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중복 사용되는 부품들이 많아지게 되므로 재료비를 상승시키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게이트 보드(34), 소오스 보드(36) 및 인터페이스 보드(38)간의 접속을 위한 별도의 커넥터(Connector) 및 FPC(40,42) 등을 필요로 하게 되며 신호패스가 길어지게 되어 배선간 전자기적 간섭(EMI)이 증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전자기적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LVDS 트랜스미터(4)와 LVDS 리시버(8)와 같은 고가의 부품들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24)와 소오스 드라이버(26)를 표시패널(28)의 유리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탑재하게 되는 칩온글래스(Chip On Grass : 이하 "COG"라 함)형을 적용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탭형 표시장치에 비하여 유효 화면영역을 크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액정표시장치의 문제점과 동일한 단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드 또는 기판수를 줄이도록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박단소화되도록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수를 줄이도록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전송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원가를 저감하도록 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테이프 케리어 페키지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모듈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준전압 생성부의 제1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내는 상세 회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준전압 생성부의 제2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내는 상세 회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공통전압 생성부에서 직류 공통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상세 회로도.
도 7은 공통전압 생성부(66)에서 교류 공통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상세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모듈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모듈 앞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모듈 앞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모듈 앞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모듈 앞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인터페이스 회로 4 : 트랜스미터
6,58 : 액정구동회로 8 : 리시버
10,56 : 타이밍 콘트롤러 12,52 : 멀티스캔 회로
14,60 : 기준전압 생성부 16,62 :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
18,64 : 스토리지전압 생성부 20,66 : 공통전압 생성부
22,102,104,110 : 액정모듈 24 : 게이트 드라이버
26 : 소오스 드라이버 28 : 표시패널
30 : 화소전극 30′: 카운터 전극
32 : 보조 캐패시터 전극 34,94 : 게이트 보드
36,96 : 소오스 보드 38 : 인터페이스 보드
40,42,98,98′,99′,99″ : FPC 44 : 게이트 드라이버 IC
46,50,106 : 테이프 케리어 48 : 소오스 드라이버 IC
70 : 양극성 전압발생부 72 : 전압 선택부
74 : 양극성 전압발생부 880∼8815: 단위 전압 발생부
92 : 통합보드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와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 구동 회로가 일체화된 통합보드와, 표시패널과 통합보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신호중계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구동 집적회로가 테이프 케리어에 실장되는 테이프 케리어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와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 구동 회로가 실장된 통합보드와, 표시패널과 통합보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테이프 케리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구동 집적회로가 유리기판에 탑재되는 칩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털로 형태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와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 구동 회로가 일체화된 실장된 통합보드와, 표시패널과 통합보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필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구동 집적회로의 일부분이 유리기판상에 형성된 폴리 실리콘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와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 구동 회로가 일체화된 통합보드와, 통합보드를 표시패널에 접철 가능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테이프 케리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구동 집적회로를 유리기판상에 형성된 폴리 실리콘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와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 구동 회로가 일체화된 통합보드와, 통합보드를 표시패널에 접철 가능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필름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의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표시패널(28)과 표시패널(28)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24)와 소오스 드라이버(26)로 구성되는 액정모듈(22)과, 해상도를 조정하여 액정모듈(22)에 공급하기 위한 멀티스캔 회로(52)와, 액정모듈(22)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구동회로(58)를 구비한다. 액정구동회로(58)와 멀티스캔 회로(52)는 통합된 하나의 보드(92)(또는 기판)에 실장된다. 액정모듈(22)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멀티스캔 회로(52)는 입력된 해상도 또는 다양한 주파수의 데이터를 표시패널(28)의 해상도(예를 들면, XGA(1024×768))로 표시할 수 있도록 수평 동기신호 Hsync 및 수직 동기신호 Vsync를 생성하게 된다. 멀티스캔 회로(22)는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미터 등의 회로와 함께 액정구동회로(58)와는 다른 별도의 보드(또는 기판)에 구현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액정구동회로(58)와 동일한 보드(또는 기판)에 구현되어진다. 액정구동회로(58)는 게이트 드라이버(24)와 소오스 드라이버(26)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56)와,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기준전압 생성부(60)와, 게이트 드라이버(24)의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62)와, 보조 캐패시터 전극(32)에 스토리지 전압 Vst을 공급하기 위한 스토리지전압 생성부(64)와, 화소전극(30)에 공통전압 Vcom을 공급하기 위한 공통전압 생성부(66)를 구비한다. 타이밍 콘트롤러(56)는 메인클럭 CLKmain과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게이트 드라이버(24)와 소오스 드라이버(26)에 스타트 펄스, 스캐닝 클럭 등을 공급함과 아울러 디지털 형태의 RGB 데이터를 공급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준전압 생성부(60)의 제1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내는 상세 회로도이다.
도 4의 구성에서, 기준전압 생성부(60)는 양극성(+)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양극성 전압발생부(70)와, 부극성(-)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부극성 전압발생부(74)와, 양극성 또는 부극성의 전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소오스 드라이버(26)에 공급하기 위한 전압 선택부(72)를 구비한다. 양극성 전압발생부(70)는 고전위 공급전압 Vcc의 입력라인(701)과 도 3에 도시된 카운터 전극(30′)에 인가되는 카운터 전압 Vc의 입력라인(70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8 개의 저항(R0∼R7)을 구비한다. 고전위 공급전압 Vcc은 카운터 전압 Vc보다 고전위 레벨로 공급된다. 이 고전위 공급전압 Vcc는 제8 저항(R7)에 공급됨과 아울러 제8 양극성 전압 +V7으로서 출력된다. 양극성 전압 +V0∼+V6은 직렬 접속된 8개의 저항 사이의 노드에 접속된 버퍼(800∼806)로부터 생성된다. 제1 내지 제8 양극성 전압 +V0∼+V7은 각각 제1 내지 제8 승산기(840∼847)의 제1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부극성 전압발생부(74)는 저전위 공급전압 Vdd의 입력라인(741)과 카운터 전압 Vc의 입력라인(70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8 개의 저항(R0∼R7)을 구비한다. 저전위 공급전압 Vdd는 카운터 전압 Vc보다 저전위 레벨로 공급된다. 이 저전위 공급전압 Vdd는 제8 저항(R7)에 공급됨과 아울러 제8 부극성 전압 -V7으로서 출력된다. 부극성 전압 -V0∼-V6은 직렬 접속된 8개의 저항 사이의 노드에 접속된 버퍼(800∼806)으로부터 생성된다. 제1 내지 제8 부극성 전압 -V0∼-V6은 각각 제1 내지 제8 승산기(860∼867)의 제1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전압 선택부(72)는 T 플립-플롭으로 동작하게 되는 2 개의 D 플립-플롭(73,73′)을 구비한다. 제1 D 플립-플롭(73)의 클럭 단자 CK에는 수평 동기신호 Hsync가 입력되고 제2 D 플립-플롭(73′)의 클럭 단자 Ck에는 수직 동기신호 Vsync가 입력된다. 그러므로 제1 D 플립-플롭(73)은 수평 동기신호 Hsync를 반전하여 출력시키게 되고 제2 D 플립-플롭(73′)은 수직 동기신호 Vsync를 반전하여 출력시키게 된다. 제1 및 제2 D 플립-플롭(73,73′)의 출력은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 XOR(76)의 두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 XOR(76)의 출력신호는 비반전 레벨 쉬프터(78)과 반전 레벨 쉬프터(78′)에 공통으로 공급된다. 비반전 레벨 쉬프터(78)의 출력신호는 정극성 전압발생부(70)의 8 개 승산기(840∼847)에 공통으로 공급된다. 반전 레벨 쉬프터(78′)의 출력신호는 부극성 전압발생부(73)의 8 개 승산기(860∼867)에 공통으로 공급된다. 제1 및 제2 D 플립-플롭(73,73′)의 출력신호들이 다른 논리값을 가지게 되면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 XOR(76)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값을 가지게 된다. 그러면 비반전 레벨 쉬프터(78)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반전 레벨 쉬프터(78′)는 로우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극성 전압 발생부(70)의 8 개 승산기(840∼847)는 정극성 전압 +V0∼+V7을 소오스 드라이버(26)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D 플립-플롭(73,73′)의 출력신호들이 동일한 논리값을 가지게 되면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 XOR(76)의 출력신호는 로우레벨값을 가지게 된다. 그러면 비반전 레벨 쉬프터(78)는 로우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반전 레벨 쉬프터(78′)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정극성 전압 발생부(70)의 8 개 승산기(840∼847)는 개방되어 출력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되고 부극성 전압 발생부(74)의 8 개 승산기(860∼867)는 부극성 전압 -V0∼-V7을 소오스 드라이버(26)에 공급하게 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준전압 생성부(60)의 제2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내는 상세 회로도이다.
도 5의 구성에서, 기준전압 생성부는 서로 다른 레벨을 출력하기 위한 단위 전압 발생부(880∼8815)를 구비한다. 각 단위 전압 발생부(880∼8815)는 프리 증폭기(AMP1)와, 프리 증폭기(AMP1)의 출력단에 접속된 하나의 고정저항(R1,R2,...,또는 Rn)와, 연산 증폭기(AMP2)와, 연산 증폭기(AMP2)의 반전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는 가변 피드백 저항(VR1)과,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에 접속된 가변 옵셋저항(VR2)을 구비한다. 가변 피드백 저항(VR1)은 연산 증폭기(AMP2)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전압(V0∼V15)의 진폭 또는 전압범위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고 가변 옵셋 저항(VR2)는 기준전압(V0∼V15)의 진폭 중간값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공통전압 생성부(66)에서 직류 공통전압 Vcom DC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의 구성에서, 직류 공통전압 Vcom DC를 생성하기 위한 공통전압 생성부는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에 따라 고전위 전압 VH또는 저전위 전압 중 어느 하나를 화소전극(30)에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Q2)와, 제1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Q2)를 구동하게 하는 두 개의 분압저항(R1,R2)을 구비한다. 분압저항(R1,R2)에 의한 분압전압은 제1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에 문턱전압으로서 공급된다. 이 문턱전압이 하이레벨인 경우, 제1 트렌지스터(Q1)는 턴온되어 고전위 전압 VH이 화소전극(30)에 공급된다. 문턱전압이 로우레벨인 경우, 제1 트렌지스터(Q1)는 턴오프되고 제2 트렌지스터(Q2)는 턴온되어 저전위 전압 VL이 화소전극(30)에 공급된다.
도 7은 공통전압 생성부(66)에서 교류 공통전압 Vcom AC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의 구성에서, 교류 공통전압 Vcom AC를 생성하기 위한 공통전압 생성부는 기준전압이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고 펄스파형의 전압이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연산 증폭기(AMP)와, 분압전압으로서 기준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두 개의 분압저항(R1,R2)과, 연산 증폭기(AMP)의 출력신호 레벨에 따라 고전위 전압 VH또는 저전위 전압 VL중 어느 하나를 화소전극(30)에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Q2)과, 연산 증폭기(AMP)의 반전단자와 제1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Q2)의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피드백 저항(R3)를 구비한다. 분압저항(R1,R2)에 의한 분압전압은 연산 증폭기(AMP)의 비반전 단자에 기준전압으로서 공급된다. 연산 증폭기(AMP)는 제3 저항(R3)과 제4 저항(R4) 비만큼의 증폭값으로 반전단자에 공급되는 펄스신호를 증폭하여 제1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에 문턱전압으로서 공급한다. 제1 및 제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Q2)는 연산 증폭기(AMP)로부터 입력되는 문턱전의 하이레벨 기간에서 제1 트렌지스터(Q1)는 턴온되어 고전위 전압 VH이 화소전극(30)에 공급된다. 문턱전압의 로우레벨 기간에서 제1 트렌지스터(Q1)는 턴오프되고 제2 트렌지스터(Q2)는 턴온되어 저전위 전압 VL이 화소전극(30)에 공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TCP형에 적용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TCP형 액정표시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멀티스캔 회로(52)와 액정구동회로(58)가 함께 실장되는 통합보드(92)와, 표시패널(28)의 좌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게이트 보드(94)와, 표시패널(28)의 하측에 설치되는 소오스 보드(96)와, 게이트 보드(94)와 소오스 보드(96)가 각각 표시패널(28)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태이프 캐리어(46,50)와, 게이트 보드(94)와 소오스 보드(96)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1 FPC(98)와, 소오스 보드(96)와 통합보드(9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2 FPC(98′)를 구비한다. 통합보드(92)에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들(예를 들면, 멀티스캔 회로 등)과 액정을 구동하게 하는 회로들(예를 들면 타이밍 콘트롤러, 기준전압 생성부,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 스토리지전압 생성부, 공통전압 생성부 등)이 집적화되어 실장된다. 따라서, 통합보드(92)는 도시하지 않은 시스템의 그래픽 처리회로에서 공급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정하는 인터페이스 기능과 액정모듈(22)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 등을 공급하는 액정구동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1 테이브 케리어(46)에는 도 3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24)가 분할되어 집적화된 게이트 드라이버 IC(44)가 실장된다. 이 제1 테이프 케리어(46)는 표시패널(28)의 좌측변과 게이트 보드(94)에 이방성 도전체에 의해 접속된다. 제2 테이브 케리어(50)에는 도 1에 도시된 소오스 드라이버(26)가 분할되어 집적화된 소오스 드라이버 IC(48)가 실장된다. 이 제2 테이프 케리어(50)는 표시패널(28)의 하측변과 소오스 보드(96)에 이방성 도전체에 의해 접속된다. 게이트 보드(94)와 소오스 보드(96)에는 RGB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 IC(44) 및 소오스 드라이버 IC(48)에 전송하기 위한 버스라인들이 패터닝되어 있다. 이 버스라인들은 테이프 케리어(46,50)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땜납접속이나 이방성 도전체를 이용하여 테이브 케리어(46,50)에 접속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COG형에 적용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COG형 액정표시장치는 도 8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 IC(24)와 소오스 드라이버 IC(26)가 유리기판 상에 탑재되고 IC 입력라인이 유리기판 상에 패터닝된 표시패널(28)과, 표시패널(28)의 좌측변에 설치되는 제1 FPC(99)와, 표시패널(28)의 하측변에 설치되는 제2 FPC(99′)와, 도 3에 도시된 멀티스캔 회로(52)와 액정구동회로(58)가 함께 실장되는 통합보드(92)와, 통합보드(92)와 제2 FPC(99′)를 접속하기 위한 제3 FPC(99″)를 구비한다. 통합보드(92)는 도 8에 도시된 그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인터페이스 기능과 액정 구동 기능을 가지게 되는 부품들이 함께 실장된다. 통합보드(92)는 표시패널(28)의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 IC 입력단자용 패턴에 접속된 제1 내지 제3 FPC(99,99′,99″)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버 IC(44)와 소오스 드라이버 IC(48)에 접속된다. 한편, 제2 및 제3 FPC(99′,99″)는 하나의 FPC로 일체화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진보적 COG형(Advanced COG : 이하 "ACOG"라 함)에 적용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ACOG형 액정표시장치는 도 3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24), 소오스 드라이버(26) 및 버스라인들이 유리기판 상에 패터닝된 액정모듈(102)과, 도 3에 도시된 멀티스캔 회로(52)와 액정구동회로(58)가 함께 실장되는 통합보드(92)와, 통합보드(92)와 액정모듈(10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FPC(104)를 구비한다. 통합보드(92)는 도 8에 도시된 그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인터페이스 기능과 액정 구동 기능을 가지게 되는 부품들이 함께 실장된다. 도 9의 실시예와 대비할 때, 게이트 드라이버 IC(44)와 소오스 드라이버 IC(48)의 버스라인을 유리기판에 패터닝함으로써 FPC(104)의 라인수가 줄어들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부분 일체형 폴리 실리콘(Poly Si)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일체형 폴리 실리콘형 액정표시장치는 통합보드(92)와, 도 8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 IC(44)와 소오스 드라이버 IC(48)의 일부분이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 액정모듈(104)과, 통합보드(92)를 액정모듈(104)에 접철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테이프 케리어(106)를 구비한다. 통합보드(92)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테이프 케리어(106)에는 소오스 드라이버 IC가 실장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완전 일체형 폴리 실리콘(Poly Si)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일체형 폴리 실리콘형 액정표시장치는 통합보드(92)와, 도 8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 IC(44), 소오스 드라이버 IC(48) 및 버스라인들이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 액정모듈(110)과, 통합보드(92)를 액정모듈(110)에 접철가능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FPC(108)를 구비한다. 통합보드(92)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1에 도시된 부분 일체형 폴리 실리콘형 액정표시장치와 대비할 때 도 12에 도시된 완전 일체형 폴리 실리콘형 액정표시장치는 구동 IC들과 버스라인들이 표시패널에 일체화되어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이 단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인터페이스 회로와 액정 구동회로가 통합된 통합보드에 의해 보드(또는 기판)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보드수를 줄임으로써 경박단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통합보드에 인터페이스 회로와 액정 구동회로를 실장함으로써 관련부품을 공유할 수 있게 되어 부품수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종래 인터페이스 보드와 액정 구동보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FPC 및 커넥터 등이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통합보드에 인터페이스 회로와 액정 구동회로를 실장함으로써 인터페이스 회로와 액정구동회로간의 신호패스가 짧아지게 되므로 신호 전송시에 배선간 전자기적 간섭(EMI)이나 노이즈를 줄이게 되어 신호전송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신호전송시 전자기적 간섭(EMI)나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LVDS 트랜스미터와 LVDS 리시버와 같은 부품들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보드수, 부품수 및 FPC 등의 신호 전송선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와 상기 표시패널에 필요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들이 일체화된 통합보드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통합보드를 접속시킴과 아울러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 구동 회로가 실장되어진 테이프 케리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 집적회로에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라인들이 형성되는 보조보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보드는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멀티스캔부와,
    상기 표시패널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와,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기준전압 생성부와,
    상기 표시패널의 로오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전압 생성부와,
    화소전극에 공급되는 공통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공통전압 생성부와,
    상기 통합보드에는 보조 캐패시터 전극에 공급되는 스토리지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스토리지전압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구동 집적회로가 유리기판에 탑재되는 칩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와 상기 표시패널에 필요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가 일체화된 통합보드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통합보드를 접속시키기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에는 상기 통합보드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중계하는 버스라인들이 패터닝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구동 집적회로의 일부분이 유리기판상에 형성된 폴리 실리콘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와 상기 표시패널에 필요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들이 일체화된 통합보드와,
    상기 통합보드를 상기 표시패널에 접철 가능하게 접속시킴과 아울러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액정구동회로가 실장되어진 테이프 케리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구동 집적회로를 유리기판상에 형성된 폴리 실리콘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입력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와 상기 표시패널에 필요한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들이 일체화된 통합보드와,
    상기 통합보드를 상기 표시패널에 접철 가능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가요성 인쇄회로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9980027021A 1998-07-04 1998-07-04 액정표시장치 KR100274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021A KR100274222B1 (ko) 1998-07-04 1998-07-04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021A KR100274222B1 (ko) 1998-07-04 1998-07-04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04A KR20000007604A (ko) 2000-02-07
KR100274222B1 true KR100274222B1 (ko) 2000-12-15

Family

ID=1954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021A KR100274222B1 (ko) 1998-07-04 1998-07-04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42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523B1 (ko) 2003-05-24 2010-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과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KR20100127955A (ko) * 2009-05-27 2010-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349B1 (ko) * 2001-12-29 2005-08-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002497B1 (ko) * 2002-12-06 2010-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7012937A (ja) 2005-06-30 2007-01-18 Seiko Epson Corp 表示ドライバ
US20080266469A1 (en) * 2007-04-26 2008-10-30 Himax Technologies Limited Liquiid crystal on silicon (lcos) display and package thereof
CN110544454A (zh) * 2019-09-06 2019-12-06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芯片、显示面板、设备及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523B1 (ko) 2003-05-24 2010-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인쇄 회로 기판과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KR20100127955A (ko) * 2009-05-27 2010-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603219B1 (ko) 2009-05-27 2016-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04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3890B2 (ja) 液晶表示装置
JP4031396B2 (ja) 小型モジュール用平板表示装置
US7999799B2 (en) Data transfer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3964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6492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36146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060256099A1 (en) Display and timing controller
US7724225B2 (en) Display panel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690941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3003060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O2010095348A1 (ja) 表示装置及び駆動装置
KR10027422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423135B1 (ko) 저전압 차동 신호전송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모듈 및 그 시스템
KR100864921B1 (ko)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333969B1 (ko) 멀티 타이밍 컨트롤러를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KR20010039870A (ko) 액정 패널의 구동회로 및 액정제어 신호 발생회로와이들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제어방법
US7158128B2 (en) Drive unit and display module including same
KR100870498B1 (ko) 액정표시장치
JPH10282933A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77300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60937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393671B1 (ko) 결합 커패시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위한 구동장치
JP5192026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71718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60089915A (ko) 레벨 쉬프터 및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