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065B1 - 씨모스 공정에서 고속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씨모스 공정에서 고속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065B1
KR100274065B1 KR1019980032129A KR19980032129A KR100274065B1 KR 100274065 B1 KR100274065 B1 KR 100274065B1 KR 1019980032129 A KR1019980032129 A KR 1019980032129A KR 19980032129 A KR19980032129 A KR 19980032129A KR 100274065 B1 KR100274065 B1 KR 100274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olysilicon
layer
polysilicon layer
epitaxial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444A (ko
Inventor
엘-디와니 모니어
Original Assignee
클라크 3세 존 엠.
내셔널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크 3세 존 엠., 내셔널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클라크 3세 존 엠.
Publication of KR1999002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22Bipolar technolo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48Combination of bipolar and 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49Bipolar and MOS technolo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1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 H01L27/0617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field-effect type
    • H01L27/062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field-effect type in combination with bipolar transis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48/00Metal treatment
    • Y10S148/009Bi-M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고주파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는 최소의 추가 비용을 들이면서 CMOS 공정에 합체된다. 바이폴라 디바이스의 폴리실리콘 에미터 및 MOS 디바이스의 폴리 실리콘 게이트는 개별 폴리실리콘 층을 사용함으로써, 바이폴라 에미터 및 MOS 게이트가 서로 독립적으로 도우핑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한 공정 스킴은 MOS 디바이스가 부분분할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씨모스 공정에서 고속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집적 회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최소의 추가 비용을 들이면서 씨모스 ( CMOS ) 공정내에 고주파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를 합체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설명
1980 년 중반이래로, 동일 칩상에 바이폴라 및 CMOS 집적 회로 디바이스 구조를 공정들이 활용가능하게 되었다. 미국 특허 제 5,001,081 호 및 제 5,124,817 호 모두에는 단일 폴리실리콘 구조를 사용하여 바이폴라 및 CMOS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공정 ( 즉, 소위 BiCMOS 공정 ) 이 개시되어 있다.
초기 세대 BiCMOS 공정에서 사용된 단일 폴리실리콘 스킴은 이해할 수 있는 비용 이점을 지니면서,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및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를 모두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폴리실리콘 층을 사용하는 이점을 지닌다. 불행하게도, 폴리실리콘 에미터 및 폴리실리콘 게이트 두께사이의 내장된 오프세트는 최소의 에미터/베이스 접합 깊이를 제한하는 공정 윈도우를 초래시킴으로써, 고주파에 대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크기 조정을 초래시킨다. 더군다나, 바이폴라 에미터 및 MOS 게이트에 대한 단일 폴리실리콘 층은 폴리실리콘 도우핑, 예를들면 POCl3또는 자체 도우핑의 기타 수단에 대한 주입된 폴리실리콘 층을 수반한다. 주입된 폴리실리콘은 고저항율 ( POCl2공정 또는 자체 도우핑과 같이 폴리실리콘내로 도우펀트를 공급하는 기타 수단이 보다 높은 도우펀트 농도, 결과적으로 낮은 저항율을 공급할 수 있음 ) 을 수반한다. 그러므로, 가장 최근의 기술적 수준의 CMOS 공정에서의 주입된 폴리실리콘 게이트 층은 폴리실리콘 게이트 시이트 저항을 낮추도록 반드시 살리사이드를 필요로 한다. 그것은 BiCMOS ( 특히 고성능 폴리실리콘 에미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갖는 ) 로서의 고려로부터 여러 CMOS 공정을 배척한다. 고성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경우, 폴리실리콘 에미터의 도우펀트 농도는 재생가능한 특성을 유지하도록 정확히 제어되어야 한다는 점에 유념하여야 한다. 폴리실리콘의 주입은 양호하게 제어된 도우펀트 농도를 공급하는 데 활용가능한 주요 선택이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실리콘 BiCMOS 공정의 단점들이 인식되어 왔다. 예를들면, 제목이 " A 0.4 Micron Fully Complimentary BiCMOS Technology for Advanced Logic and Microprocessor Applications " 이며 IEDM - 91, 85 - 88 면에 실린 Sun 과 그의 동료명의의 논문에는 비교적 복잡한 스킴에 다수의 폴리실리콘 층을 사용하는 BiCMOS 공정이 기재되어 있다.
다른 공보로서, 제목이 " An Advanced 0.4 ㎛ BiCMOS Technology for High Performance ASIC Applications " 이며 IEDM - 91, 97 - 100 면에 실린 kirchgessner 와 그의 동료명의의 논문에는 단일 폴리실리콘 층 스킴과 연관된 몇가지 제약들을 해결하려는 시도들이 기재되어 있다. kirchgessner 와 그의 동료의 공정에서, 베이스 영역내의 폴리실리콘 에칭은 산화물상에서 정지함으로써, 폴리실리콘 에미터 및 게이트 두께사이의 내장 오프세트를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킴의 분명한 결점은 폴리실리콘 에미터 오버랩에 의해 에미터 개구부상에 만들어지는 에미터 맨틀하부의 고저항 베이스 영역이다. 이러한 맨틀 ( mantle ) 은 깊은 서브 미크론 ( sub - micron ) 공정에서의 에미터 폭에 필적할 수 있다. 추가적인 베이스 저항은 NPN바이폴라 디바이스의 고주파 성능에 치명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과 연관된 제약들을 완화시키는 단일 공정 스킴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 1P 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씨모스 ( CMOS ) 공정에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2A - 2E 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CMOS 공정에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를 제조하는 변형 방법을 예시하는 부분 단면도.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의 적극적인 크기 조정을 허용하면서, 본 발명의 단일 공정은 여전히 단일의 CMOS 공정 제조 순서를 유지한다. 그러한 방법에 의하면, 폴리실리콘 에미터 및 폴리실리콘 게이트는 개별 폴리실리콘 층을 사용함으로써, 폴리실리콘 에미터 및 MOS 게이트가 서로 독립적으로 도우핑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CMOS 트랜지스터 구조, 특히 PMOS 디바이스상의 어떠한 제약도 제거한다. 예를들면, 이러한 BiCMOS 공정의 부가적인 크기 조정은 예를들면 매몰 - 표면 채널 PMOS 의 CMOS 구조의 전개에 의해 구속받지 않는다. 개시된 공정 순서의 최종 단면이 살리사이드화될 바이폴라 및 MOS 디바이스를 도시하고는 있지만, 그러한 스킴은 살리사이드화될 MOS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공정에 대한 추가적인 이점이 몇가지 있다. 이는 여러 혼합된 신호 및 아날로그 기능에 흔히 필요한 내장된 폴리실리콘 - 폴리실리콘 선형 캐패시터를 제공한다. 그러한 스킴은 또한 살리사이드를 형성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첫째로, 이는 실리사이드의 형성에 이르기까지 ONO 층을 보유함으로써 실리사이드화에 대한 폴리실리콘 게이트의 표면 특성을 개선시키는 데, 산화 사이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도우핑된 폴리실리콘 층은 실리사이드화하는데 어려운 산화된 입자 ( grain ) 경계를 갖는 거친 표면을 전개시킨다. 둘째로, 이는 얇은 폴리실리콘 게이트 층의 사용을 허용하는 데, 얇은 폴리실리콘 층은 극히 제한된 열적 예산을 갖는 깊은 서브 미크론 CMOS 공정에 바람직스럽고, 그 이유는 얇은 폴리실리콘 층이 도우핑하기에 보다 용이하며 또한 웨이퍼 기하학적 위상을 감소시키기에 용이함으로써, 평탄화시키기에 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얇은 폴리실리콘 게이트 층상의 살리사이드 형성은 그 자체의 도전을 제공하는 데, 특히 두꺼운 실리사이드에 대한 게이트 산화물상의 밀착, 및 소오스/드레인 영역으로부터 산화물 스페이서 측으로의 실리콘의 타고 뻗음 ( crawl out ) 은 궁극적으로 게이트 및 소오스/드레인 영역사이의 전기적 단락을 초래시킨다. 이들 문제점 모두는 보다 높은 급속 열 어닐 ( RTA ) 온도에 의해 더욱 악화된다. 단락의 유사성은 소오스/드레인에 대한 산화물 스페이서 측의 폴리실리콘 게이트 상부간의 거리에 정비례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ONO 층의 두께와 동등한 산화물 스페이서의 상부로부터의 폴리실리콘 게이트 요부가 그러한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단락의 유사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동일 내용은 또한 폴리실리콘 에미터 - 베이스 단락에도 적용되고 동일 이유로 해서 폴리실리콘 에미터는 또한 ONO 층에 합치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그러나, 단락의 유사성이 하나의 다이 ( die ) 상의 트랜지스터의 수에 비례하기때문에, 폴리실리콘 에미터를 ONO 로 개장 ( retrofit ) 하든 않하든 그 용도 및 폴리실리콘 에미터 두께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의 보다 양호한 이해는 본 발명의 개념이 사용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이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실현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집적 회로 구조를 제조하는 공정은 지금부터 도 1A - 1P 에 제공된 부분 단면도와 연관지어 기술될 것이다. 특정 공정 파라메타가 어떠한 경우에도 제공되어 있지는 않지만, 당업자라면 제조하는 특정 디바이스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이러한 파라메타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고 인식할 것이다.
도 1A 는 상부에 형성된 실리콘 산화물 층 (102) 을 지니는 P - [ 100 ] 실리콘 기판 (100) 을 도시한 것이다. P + 매몰층 (104) 및 N + 매몰층 (106) 은 종래의 집적 회로 제조기법에 따라 상기 기판 (100) 내에 형성된다. 그후 대략 6000Å 두께의 P - 에피택셜 실리콘 층은 웨이퍼상에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도 1B 에 도시된 구조가 된다.
N - 웰 영역 (110) 을 형성하도록 N - 웰 주입단계이후에, 복합 산화물 층 ( 도시되지 않음 ) 은 웨이퍼의 표면상에 형성되고 전계 산화물 분리 영역 (112) 은 종래의 반도체 집적 회로 공정 기법에 따라 형성된다. 그후, 초기적인 최적의 싱커 ( sinker ) 주입이 이행되어 예비적인 N + 싱커 영역 (114) 을 제공하고, P - 웰, VTM및 PMOS VT주입은 웨이퍼의 CMOS 영역에서 이행된다.
그후 게이트 산화물 층 (116) 은 능동 디바이스 영역상에 성장되어 결과적으로 도 1C 에 도시된 구조가 된다.
도 1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폴리실리콘 ( 폴리 1 ) 층 (118) 은 그후 데포지트되고 종래의 기법, 예컨대 POCl3도우핑을 사용하여 선택된 도전 레벨로 도우핑된다. 그후, 산화물/질화물/산화물 ( ONO ) 층 (120) 은 도우핑된 폴리 1 층 (118) 상에 형성된다.
다음에, 도 1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 PR ) 마스크 (122) 는 N - 웰 (110) 을 노출시키도록 한정된다. 노출된 폴리 1 (118) 은 에칭되고 베이스 주입이 N - 형 베이스 영역 (124) 을 한정하도록 이행된다. 베이스 영역 (124) 상의 게이트 산화물 (116) 은 그후 습식 에칭되고 제 2 폴리실리콘 ( 폴리 2 ) 층 (126) 이 데포지트되어 결과적으로 도 1F 에 도시된 구조가 된다.
도 1G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미터 주입은 그후 디바이스상의 어느 부분이든 이행되어 폴리 2 층 (126) 을 바람직한 도전 레벨로 도우핑시킨다.
도 1H 를 참조하면, 에미터 마스크 ( 도시되지 않음 ) 는 그후 형성되고 제 2 폴리 실리콘 층 (126) 이 에칭되어 베이스 영역 (124) 상의 도우핑된 폴리 2 에미터 (126) 를 형성한다. 에미터 마스크는 그후 벗겨내고 게이트 마스크 ( 도시되지 않음 ) 가 형성되어, 폴리 1 층 (116) 이 도 1I 에 도시된 바와같이, MOS 디바이스용으로 상부 ONO (120) 를 갖는 폴리 1 게이트 영역 (118) 을 한정하도록 에칭된다.
그후의 공정은 종래의 공정 기법에 따라 이행된다. 즉, 도 1J 에 도시된 바와같이, 폴리실리콘 게이트 봉입 산화물 (130) 은 도 1H 구조상에 형성된다. PLDD 마스크 (132) 및 연계 ( link ) 주입 단계가 그후 이행된다. 도 1K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다음에 NLDD 마스크 (136) 및 주입 단계가 이행된다. 그후, 스페이서 산화물 층이 데포지트되고 도 1C 에 도시된 바와같이, 폴리실리콘 에미터 (126) 의 측벽 및 폴리실리콘 게이트 (118) 의 측벽상에 측벽 스페이서 (140) 를 형성하도록 에칭된다.
도 1M 을 참조하면, N + 및 P + 소오스/드레인 마스크 주입 단계는 이행되고 바이폴라 디바이스 영역은 포토레지스트에 의해 보호받는다. 다음에, 외인성 베이스 마스크 (144) 는 형성되고 외인성 베이스 주입은 바이폴라 영역에서 이행된다. 이 다음으로는 최종의 어닐 처리를 위한 선택적인 종래의 실리사이드 모듈 및 급속 열 처리 ( RTP ) 단계들이 이행되어 결과적으로 도 10 에 도시된 구조가 된다.
최종의 처리공정에서, 제 1 TEOS 층 (148) 이 데포지트되고 화학 및 기계적으로 폴리싱 ( polishing ) 된다. 그후, 접촉 마스크가 형성되어 에칭되고 TEOS 층 (148) 은 접촉 개구부를 제공하도록 에칭된다. 그후, 제 1 금속층 (150) 은 노출된 살리사이드 영역에 대한 접촉을 제공하도록 형성, 마스킹 및 에칭된다. 제 2 유전 재료층 (152) 은 화학기계적인 폴리싱 ( CMP ) 처리를 받으며, 스핀 - 온 글라스 ( spin - on glass ; SOG ) 는 또한 선택적인 것이다. 바이어 ( via ) 마스크 및 에칭 단계 다음에는 제 1 금속 플러그에 대한 접촉을 제공하도록 제 2 금속 층 (154) 에 데포지트된다. 제 2 금속 마스크 및 에칭단계이후에, 불활성화 스핀 온 글라스 및 질화물 층은 형성되고, 불활성화 부분이 에칭백되어 결과적으로 도 1P 에 도시된 최종 디바이스 구조가 된다. 그러한 공정은 다수의 금속 상호 접속 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A - 1P 와 연관지어 상기에 기술된 공정내에 합체될 수 있는 선택적인 공정 모듈에서, 도 2A 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 1D 를 포함하여 도 1D 에 이르기까지 상기에 기술된 공정으로부터의 초래되는 구조로부터 시작하면, 폴리 1 N + 주입 마스크 (200) 는 도 1D 구조상에 형성되어 분리 산화물 영역 (112) 상의 폴리 1 층 (118) 및 ONO (120) 을 노출시킨다. 그후, N + 주입이 이행되어 낮은 캐패시터 플레이트 (202) 및 포토레지스트 (204) 를 형성하도록 이행된다.
다음에, 도 2B 에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베이스 마스크, 폴리 1 에칭, 베이스 주입 및 바이폴라 산화물 에칭 단계가 이행되는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에 기술된 공정에 연이어, 제 2 폴리실리콘 층이 데포지트된다.
그후, 에미터 마스크 및 에칭단계가 이행된다. 에미터 마스크 및 에칭단계는 캐패시터의 상부 플레이트가 에미터 에칭시 형성되도록 캐패시터의 하부 플레이트상의 폴리 2 층의 마스킹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에 기술된 공정으로 되돌아가서, 폴리게이트 마스크 및 에칭단계는 CMOS 디바이스의 게이트 영역을 형성하도록 이행된다.
도 2E 는 폴리 - 폴리 캐패시터 및 폴리 레지스터와 아울러, NP 디바이스용 폴리 2 에미터 및 CMOS 디바이스용 폴리 1 게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최종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원에 기술된 발명 및 실시예에 대한 여러 변형들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며 이들 청구범위 및 등가범위에 속하는 구조 및 방법은 본 발명에 포함하고자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제조는 최소의 추가 비용을 들이면서 CMOS 공정에 합체된다. 또한, 바이폴라 디바이스의 폴리실리콘 에미터 및 MOS 디바이스의 폴리실리콘 게이트는 개별 폴리실리콘 층을 사용함으로써, 바이폴라 에미터 및 MOS 게이트가 서로 독립적으로 도우핑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그러한 스킴은 MOS 디바이스가 부분분할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실리콘 기판내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실리콘 기판은 제 1 도전 형태를 지니는 제 1 기판 영역 및 상기 제 1 도전 형태와는 반대인 제 2 도전 형태를 지니는 제 2 기판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판 영역은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 형태를 지니는 제 1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을 지니고, 상기 제 2 기판 영역은 내부에 형성된 제 2 도전 형태를 지니는 제 2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을 지니는, 실리콘 기판내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상에 실리콘 산화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 ;
    실리콘 산화물 층상에 제 1 폴리 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단계 ;
    제 1 폴리실리콘 층을 선택된 도전레벨로 도우핑하는 단계 ;
    도우핑된 제 1 폴리실리콘 층상에 유전재료 층을 형성하는 단계 ;
    제 2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상에 형성된 실리콘 산화물을 노출시키면서 제 1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상의 실리콘 산화물상에 제 1 폴리실리콘 층 및 유전재료를 남겨두도록 제 2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으로부터 도우핑된 제 1 폴리실리콘 층 및 유전재료를 제거하는 단계 ;
    제 2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에 제 2 도전 형태를 지니는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 2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에 제 2 도전 형태의 도우펀트를 도입하는 단계 ;
    제 2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으로부터 실리콘 산화물을 제거하는 단계 ;
    제 2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내에 형성된 베이스 영역상에 및 제 1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상의 유전재료상에 제 2 폴리실리콘 층을 형성하는 단계 ;
    제 2 폴리실리콘 층을 선택된 도전 레벨로 도우핑하는 단계 ;
    베이스 영역상에 도우핑된 폴리 2 에미터 영역을 한정하고 제 1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상의 제 2 폴리실리콘 층을 제거하도록 제 2 폴리실리콘 층을 에칭하는 단계 ;
    도우핑된 폴리 1 게이트 영역 및 상부 유전재료를 한정하도록 제 1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상의 도우핑된 폴리실리콘 층 및 유전재료를 에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도우핑된 폴리 1 게이트 영역은 실리콘 산화물에 의해 제 1 에피택셜 실리콘 영역과 분리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리콘 기판내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도우핑된 제 1 폴리실리콘 층상에 유전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후에, 도우핑된 제 1 폴리실리콘 층의 하나이상의 선택된 영역내로 추가적인 도우펀트를 도입시키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실리콘 기판내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의 제조방법.
KR1019980032129A 1997-08-08 1998-08-07 씨모스 공정에서 고속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KR100274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07,874 US5766990A (en) 1997-08-08 1997-08-08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 speed bipolar transistor in a CMOS process
US8/907,874 1997-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444A KR19990023444A (ko) 1999-03-25
KR100274065B1 true KR100274065B1 (ko) 2000-12-15

Family

ID=2542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129A KR100274065B1 (ko) 1997-08-08 1998-08-07 씨모스 공정에서 고속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66990A (ko)
KR (1) KR100274065B1 (ko)
DE (1) DE1983603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884B1 (ko) * 1998-05-04 2001-07-12 김영환 반도체소자및그제조방법
FR2786608B1 (fr) * 1998-11-30 2001-02-09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de fabrication de circuits integres bicmos sur un substrat cmos classique
KR100624925B1 (ko) * 1999-11-09 2006-09-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폴리 게이트 인버젼 트랜지스터
US6448124B1 (en) 1999-11-12 2002-09-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epitaxial bipolar BiCMOS
US6699741B1 (en) * 2002-08-16 2004-03-0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ingle poly 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that uses a selectively epitaxially grown highly-boron-doped silicon layer as a diffusion source for an extrinsic base region
KR100486297B1 (ko) * 2003-01-08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 상에 두꺼운 금속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방법
US7687887B1 (en) * 2006-12-01 2010-03-3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self-aligned bipolar transistor structure using a selectively grown emitt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4817A (en) * 1988-01-19 1992-06-2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olysilicon emitter and a polysilicon gate using the same etch of polysilicon on a thin gate oxide
US5179031A (en) * 1988-01-19 1993-01-1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silicon emitter and a polysilicon gate using the same etch of polysilicon on a thin gate oxide
US5001081A (en) * 1988-01-19 1991-03-19 National Semiconductor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silicon emitter and a polysilicon gate using the same etch of polysilicon on a thin gate oxide
US5081518A (en) * 1989-05-24 1992-01-1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Use of a polysilicon layer for local interconnect in a CMOS or BICMOS technology incorporating sidewall spacers
US5171702A (en) * 1989-07-21 1992-12-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for forming a thick base oxide in a BiCMOS process
US5082796A (en) * 1990-07-24 1992-01-2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Use of polysilicon layer for local interconnect in a CMOS or BiCMOS technology incorporating sidewall spacers
KR940003589B1 (ko) * 1991-02-25 199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BiCMOS 소자의 제조 방법
KR940007466B1 (ko) * 1991-11-14 1994-08-18 삼성전자 주식회사 BiCMOS 소자의 제조방법
JPH07161728A (ja) * 1993-12-10 1995-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335773A (ja) * 1994-06-10 1995-12-22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66990A (en) 1998-06-16
DE19836032B4 (de) 2005-02-17
DE19836032A1 (de) 1999-02-18
KR19990023444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6233B2 (en) Integration of high voltage self-aligned MOS components
US5773358A (en) Method of form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forming CMOS integrated circuitry
US6501139B1 (en) High-voltage transistor and fabrication process
JP2005509273A (ja) 半導体プロセスおよび集積回路
US4962053A (en) Bipolar transistor fabrication utilizing CMOS techniques
US5554554A (en) Process for fabricating two loads having different resistance levels in a common layer of polysilicon
US6949424B2 (en) Single poly-emitter PNP using DWELL diffusion in a BiCMOS technology
US6022768A (en) Method and mask structure for self-aligning ion implanting to form various device structures
JP2824263B2 (ja) 高電圧併合バイポーラ/cmos集積回路
KR100271266B1 (ko) 화학적기계연마를사용하여cmos와bicmos공정에서자기정렬외부콘택트를형성하는방법
JP2587444B2 (ja) Cmos技術を用いた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とその製造方法
KR100274065B1 (ko) 씨모스 공정에서 고속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방법
WO2005104224A1 (en) Method for integrating sige npn and vertical pnp devices on a substrate and related structure
US2007025439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650076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ual-spacer structure
US5065209A (en) Bipolar transistor fabrication utilizing CMOS techniques
EP076325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BiCMOS CIRCUIT
US597276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ipolar transistor by using only two mask layers
JPH09172062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939402B1 (en) Semiconductor apparatus comprising bipolar transistors and met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s and manufacturing method
US752173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tegrated circuit and integrated circuit with a bipolar transistor and a hetero bipolar transistor
JPH10214846A (ja) 縦型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247106B2 (ja) 集積回路の製法と集積回路構造
US6093595A (en) Method of forming source and drain regions in complementary MOS transistors
JPH11121639A (ja) N形ウエル補償注入が行われたBiCMOS集積回路と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