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544B1 -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544B1
KR100273544B1 KR1019950068261A KR19950068261A KR100273544B1 KR 100273544 B1 KR100273544 B1 KR 100273544B1 KR 1019950068261 A KR1019950068261 A KR 1019950068261A KR 19950068261 A KR19950068261 A KR 19950068261A KR 100273544 B1 KR100273544 B1 KR 100273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control shaft
plunger
shift
sel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564A (ko
Inventor
손수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68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544B1/ko
Publication of KR97004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3Shift finger arrangements, e.g. shape or attachment of shift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9Spring assisted shift, e.g. springs for accumulating energy of shift movement and release it when clutch teeth are alig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변속레버의 조작을 셀렉트 레버와 시프트 레버로 컨트롤 샤프트로 전달하여 컨트롤 샤프트에 장착된 핑거를 직선이동 및 선회이동시켜 각속 시프트 레일에 장착된 1-2, 3-4, 5-R속 러그를 셀렉트·시프트하여 변속을 실현하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에 있어서, 컨트롤 샤프트와 핑거의 마찰 손실과 유격 및 공차 누적을 감소시켜 변속기 조작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1-2, 5-R속 러그는 컨트롤 샤프트의 셀렉트 조작력을 받는 핑거의 선단에 의하여 압축되었다가 셀렉트 완료시 핑거를 리턴시키는 리턴수단을 포함하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Description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의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의 셀렉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종래기술에 관련하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시프트 레일을 작동시키는 컨트롤 샤프트와 핑거의 마찰 손실을 감소시키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차량용 변속기에는 자동변속기와 수동변속기가 있으며, 수동변속기는 운전자의 변속 레버 조작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변속기 조작기구가 제공된다.
이 변속기 조작기구는 변속레버에 연결된 셀렉트 케이블과 시프트 케이블을 통하여 시프트 레버와 셀렉트 레버로 조작력을 전달한다.
이 시프트 레버와 셀렉트 레버로 전달되는 조작력은 컨트롤 샤프트를 작동시키고, 컨트롤 샤프트는 각속 동기장치의 슬리브를 이동시키는 시프트 포오크가 장착된 시프트 레일을 직선이동·회전이동시켜 변속 조작을 한다.
이를 위하여 카운터 샤프트(51)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53)가 스플라인 결합된다. 그리고 이 카운터 샤프트(51)는 리턴 스프링(55,57)을 개재하여 변속기 케이스(59)에지지·장착된다.
그리고 카운터 샤프트(51)에 장착된 핑거(53)의 선단에는 각속 시프트 레일에 장착된 러그(61,63,65)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에 있어서, 운전자의 변속레버 조작으로 컨트롤 샤프트(51)에 전달되는 조작력은 일측 탄성부재(55)의 탄지력을 극복하면서 러그(61)를 셀렉트한 후 시프트하여 변속을 완료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컨트롤 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핑거나 탄성부재에 의하여 양측으로 탄지되기 때문에, 컨트롤 샤프트와 핑거의 마찰 손실과 유격 및 공차 누적의 증대에 의하여 변속기 조작감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 샤프트와 핑거의 마찰 손실과 유격 및 공차 누적을 감소시켜 변속기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변속레버의 조작을 셀렉트 레버와 시프트 레버로 컨트롤 샤프트로 전달하여 컨트롤 샤프트에 장착된 핑거를 직선이동 및 선회이동시켜 각속 시프트 레일에 장착된 1-2, 3-4, 5-R속 러그를 셀렉트·시프트하여 변속을 실현하며, 상기 1-2, 5-R속 러그는 컨트롤 샤프트의 셀렉트 조작력을 받는 핑거의 선단에 의하여 압축되었다가 셀렉트 완료시 핑거를 리턴시키는 리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리턴수단은 1-2, 5-R속 러그의 일측에 테이퍼로 형성되는 관통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후방에서 삽입·내장되어 플런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후측 러그에 결합되어 플러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를 포함한다.
[작용]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핑거의 셀렉트 시프트 조작력을 받는 1-2, 5-R속 러그에 리턴수단을 개재시키므로,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전달받은 컨트롤 샤프트의 핑거를 변속완료 후 리턴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면 부호 1을 컨트롤 샤프트(1)라 지칭한다.
이 컨트롤 샤프트(1)는 변속레버에 케이블로 연결되는 셀렉트 레버와 시프트 레버에 의하여 직선운동과 선회운동을 하도록 변속기 케이스(3)에 지지되며, 그 일측에는 핑거(5)가 장착된다.
이 핑거(5)의 선단에는 시프트 레일의 일측에 장착된 1-2, 3-4, 5-R속 러그(7,9,11)가 제공되며, 시프트 레일은 동기장치의 슬리이브에 결합되는 시프트 포오크를 장착한다.
이 러그(7,9,11)는 핑거(5)에 의하여 직선운동 및 선회운동하여 변속을 실현하며, 1-2, 5-R속 러그(7,9)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턴수단이 제공되어, 컨트롤 샤프트(1)의 셀렉트 조작력을 받는 핑거(5)의 선단에 의하여 압축되었다가 셀렉트 완료시 핑거(5)를 리턴시킨다.
이 리턴수단은 1-2, 5-R속 러그(7,9)의 일측에 테이퍼로 형성되는 관통홀(1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런저(15)와, 플런저(15)의 후방에서 삽입·내장되어 플런저(17)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7)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탄성부재(17)의 후측 1-2, 5-R속 러그(7,9)에는 스톱퍼(19)가 제공되어 플러저(15)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7)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동변속기 조작기구에 있어서, 변속레버에 셀렉트 조작력이 가해지면 케이블을 통하여 셀렉트 레버가 작동되어 컨트롤 샤프트(1)를 직선이동시킨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샤프트(1)에 장착된 핑거(5)가 탄성부재(17)의 탄지력을 극복하면서 플런저(15)에 척력을 가하면서 1-2속 러그(7)를 셀렉트 한다.
이 때, 플런저(15)는 테이퍼진 관통홀(13)을 따라 슬라이딩 후퇴하고, 스톱퍼(19)는 탄성부재(17)에 반력을 가하여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변속레버에 시프트 조작력이 가해지면 케이블을 통하여 시프트 레버가 작동되어 컨트롤 샤프트(1)를 회전운동시킨다.
따라서 컨트롤 샤프트(1)에 장착된 핑거(5)가 탄성부재(17)을 받는 상태에서 1-2속 러그(7)를 시프트하여 변속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변속이 완료되면 탄성부재(17)의 탄지력에 의하여 플러저(15)가 컨트롤 샤프트(1)에 장착된 핑거(5)를 중립 상태로 리턴시킨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 조작기구는 핑거의 셀렉트 시프트 조작력을 받는 1-2, 5-R속 러그에 리턴수단을 개재시켜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전달받은 컨트롤 샤프트의 핑거를 변속완료 후 리턴시키므로, 컨트롤 샤프트와 핑거의 마찰 손실과 유격 및 공차 누적을 감소시켜 변속기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변속 레버의 조작을 셀렉트 레버와 시프트 레버로 컨트롤 샤프트에 전달하여 컨트롤 샤프트에 장착된 핑거를 직선 이동 및 선회 이동시켜 각속 시프트레일에 장착된 1-2, 3-4, 5-R속 러그를 셀렉트 및 시프트 하여 변속을 실현하는 수동 변속기 조작 기구에 있어서, 상기 1-2, 5-R속 러그는 컨트롤 샤프트의 셀렉트 조작력을 받는 핑거의 선단에 의하여 압축되었다가 셀렉트 완료시, 핑거를 리턴시키도록 1-2, 5-R속 러그의 일측에 테어퍼지게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중공부를 가지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후방에서 러그에 결합되는 스톱퍼와 상기 플런저의 후방에서 일단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스톱퍼와 연결되어 플런저를 상기 스톱퍼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수동 변속기 조작 기구.
KR1019950068261A 1995-12-30 1995-12-30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KR100273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8261A KR100273544B1 (ko) 1995-12-30 1995-12-30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8261A KR100273544B1 (ko) 1995-12-30 1995-12-30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564A KR970046564A (ko) 1997-07-26
KR100273544B1 true KR100273544B1 (ko) 2000-12-15

Family

ID=1944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8261A KR100273544B1 (ko) 1995-12-30 1995-12-30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5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564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18399A (en) Gearshift apparatus for a vehicle.
US4228693A (en) Transmission shift control apparatus
EP1138546A3 (en) Transmission and clutch control
US4581950A (en) Gear changing device
KR100273544B1 (ko)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JPH1016594A (ja) 自動変速操作装置
KR100259641B1 (ko)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JPS60185639A (ja) 車両におけるクラツチと変速機の操作装置
KR100360652B1 (ko)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KR20050098518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9980056862A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0134363B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0270051B1 (ko) 수동 변속기의 백업 램프 스위치 구조
KR100260193B1 (ko) 수동변속기 제어 시스템
JPH10309955A (ja) 自動変速装置の変速操作装置
KR100273590B1 (ko)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KR100349858B1 (ko)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조작기구
KR10056941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950011270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200294548Y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
KR19980017105A (ko) 수동 변속 조작기구
JPH0518196Y2 (ko)
KR890003537Y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KR20030029347A (ko) 수동 변속 조작기구
JPS62124348A (ja) 走行作業車の変速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