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537Y1 -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537Y1
KR890003537Y1 KR2019860007094U KR860007094U KR890003537Y1 KR 890003537 Y1 KR890003537 Y1 KR 890003537Y1 KR 2019860007094 U KR2019860007094 U KR 2019860007094U KR 860007094 U KR860007094 U KR 860007094U KR 890003537 Y1 KR890003537 Y1 KR 890003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reverse
ro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264U (ko
Inventor
이갑수
Original Assignee
기아산업 주식회사
김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산업 주식회사, 김선홍 filed Critical 기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7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537Y1/ko
Publication of KR8700182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2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37Y1/ko

Links

Landscapes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제 1도는 본고안에 따른 변속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캠레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캠레바의 전진5단 위치상태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캠레바의 후진위치상태도.
제 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암선택편과 안내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 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프트앤드의 작동상태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랜스퍼케이스 2 : 시프트로드
3,3' : 슬리이브 4 : 제1시프트포크
5 : 제2시프트포크 6 : 변속핸들레바
7 : 선택아암 8 : 시프트앤드
9 : 안내홈 10 : 캠레바
11: 캠로울러 12 : 후지레바
13 : 5단슬리이브 14 : 5단로드
15 : 후진아이들러기어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변속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1개의 캠레바를 이용하여 시프트장치가 전진5단과 후진으로 용이하게 변속되어지는 자동차용 변속개의 변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5단 및 후진변속장치를 갖춘 통상의 자동차에서 변속핸들레바를 작동시키게 되면, 변속기의 여러개의 스프트로드에 각각 고정된 시프트앤드의 작동에 따라 변속위치가 바뀌어 허브와 슬리이브 및 일련의 기어박스를 매개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변속장치는 각각의 시프트포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시프트앤드가 설치된 여러개의 시프트로드를 변속개내에 설치함으로서 그 장치가 복잡하고 조작의 번거로움의 수반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변속위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손쉽게 작동되어지는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프트포크와 시프트앤드가 고정설치된 1개의 시프트로드가 캠레바 및 이에 연결된 후진레바에 의해서 전진5단과 후진변속이 결정될 뿐만 아니라, 주행중 변속레버를 전지5단에서 감속으로 변속시킬 때 후진쪽으로 잘못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장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변속기구는 트랜지스퍼케이스(1)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지는 시프트로드(2)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트로드(2)에는 슬리이브(3,3')에 공지의 방법으로 연결되는 제1시프트포크(4)와 제2시프트포크(5)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상기 제1,2시프트포크(4,5)사이에는 변속핸들레바(6)의 하단에 고정 연결된 선택아암(7)에 의해 작동되는 시프트앤드(8)가 상기 시프트로드(2)에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시프트앤드(8)에 의해 좌우 이동되어지는 시프트로드(2)에는 안내홈(9)을 갖춘 캠레바(10)가 고정장착되되 이 캠레바(10)의 안내홈(9)에 끼워지는 캠로울러(11)를 이용하여 후진레바(12)와 연결되어지고, 상기 캠레바(10)의 하단부는 5단슬리이브(13)에 연결된 5단로드(1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후지레바(12)의 하단은 후진아이들러기어(15)에 끼워진 패드(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6은 걸림홈,17은 강철보올,18,19는 핀,20은 시프트인너,21은 조절핀, 22는 안내판,23은 홈,24는 설정스톱퍼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기구의 캠레바(1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로서, 자동차주행중 변속상태를 절환시키기 위하여 변속핸들레바(6)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에 연결된 선택아암(7)이 시프트로드(2)에 고정 연결된 시프트앤드(8)의 연결브라켓트(8')를 좌우로 밀게됨에 따라 상기 시프트앤드(8)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같이 상기 시프트앤드(8)가 움직임에 따라 시프트로드(2)도 함께 움직이되,상기 시프트로드(2)의 정확한 이동을 위하여 그의 한쪽선단에 형성된 걸림홈(16)에는 스프링으로 지지된 강철보올(17)이 위치하여 상기 시프트로드(2)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상기 시프트로드(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프트로드(2)에 부착된 안내홈(9)이 형성된 캠레바(10)가 핀(18)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후진레바(12)의 캠로울러(11)는 상기 캠레바(10)의 안내홈(9)을 따라 제1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이동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캠레바(10)가 변속조작될 때에 후진레바(12)의 캠로울러(11)도 함께 작동하게 되며, 상기 후지 레바(12)에 연결된 패드가 후진아이들러기어(15)에 끼우져 있으므로, 후진작동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진 아이들러기어(15)가 이동하여 공전기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직접 미끄럼이동시켜 후진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레바(10)의 하단에 핀(19)으로 고정연결된5단로드(14)는 5단슬리이브(1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5단변속시 시프트로드(2)와 시프트앤드(8)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5단로드(14)도 왼쪽으로 이동하여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이때에는 후진레바(12)에 연결된 후진아들러기어(15)는 공전기어를 미끄럼이동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기어를 변속하고자 할 때 상기 선택아암(7)은 이에 연결된 시프트앤드(8)의 연결브라켓트(8')를 좌우방향으로 밀게 되어 상기 시프트앤드(8)를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 시프트앤드(8)이동의 정확성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시프트인너(shift inner,20)를 상기 시프트앤드(8)에 적합하도록 설치하므로서 시프트앤드(8)의 이동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되어질 수 있어서 전진5단 및 후진 변속의 간단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된다.
또한 선택아암(7)에 의해 작동되는 시프트앤드(8)에는 조절핀(21)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조절핀(21)은 제4도 및 제5동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22)에 형성된 각단의 홈(23)에 끼져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주행시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전진5단에서 감속으로 변속할 때, 시프트앤드(8)의 조절핀(21)이 전진5단에서 곧바로 후진변속홈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트랜스퍼케이스(1)내에 설정스톱퍼(24)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설정스톱퍼(24)는 이에 장착된 스프링힘에 의해 시프트앤드(8)의 조절핀(21)이 전진5단에서 후진쪽으로 곧바로 진입될 때 상기 설정스톱퍼(24)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진5단에서 감속으로 변속할 때 운전자가 부주의로 후진변속쪽으로 변속레바를 위치시키게 되어도 설정스톱퍼(24)에 걸리게 되므로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이같은 변속 작용은 전진5단에서 감속변속시키고자 할 때 시프트앤(8)의 조절핀(21)이 곧바로 후지변속쪽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설정스톱퍼(24)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여러개의 시프트로드를 이용하지 않고 시프트포크(4,5)들과 시프트앤드(8)가 설치된 1개의 시프트로드(2)를 이용하여 캠레바(10)및 이에 연결된 후진레바(12)에 의해서 전진5단과 후진변속의 위치가 전확하게 결정되면서 손쉽게 작동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전진5단의 후진변속을 하기 위하여 시프트 포크를 갖춘 프트로드와 시프트앤드에 의해 슬리이브를 작동시키는 변속장치에 있어서, 트랜스퍼케이스(1)내에 설치되는 시프트로드(2)에는 제1시프트포크(4)와 제2시프트포크(5)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2시프트포크(4,5)사이에는 변속핸들레바(6)에 연결된 선택아암(7)에 의해 작동되는 시프트앤드(8)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시프트앤드(8)에 의해 작동되는 안내홈(9)을 갖춘 캠레바(10)는 상기 안내홈(9)에 끼워지는 캠로울러(11)를 이용하여 후진레바(12)와 연결되되,상기 캠레바(10)의 하단부는 5단슬리이브(13)에 연결된 5단로드(14)가 연결되어 있는 반면, 상기 후진레바(12)의 하단부는 후진아이들러기어(15)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KR2019860007094U 1986-05-21 1986-05-21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KR890003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094U KR890003537Y1 (ko) 1986-05-21 1986-05-21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094U KR890003537Y1 (ko) 1986-05-21 1986-05-21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264U KR870018264U (ko) 1987-12-23
KR890003537Y1 true KR890003537Y1 (ko) 1989-05-27

Family

ID=1925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094U KR890003537Y1 (ko) 1986-05-21 1986-05-21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5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264U (ko) 1987-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0443A (en) Transmission selector lever assembly
US4938042A (en) Shift lever locking apparatus
US8893571B2 (en) Transmission shift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monitoring the same
US4986399A (en) Shifter brake interlock system
US3793901A (en) Shifting mechanism for automatic transmissions of vehicles
US4581950A (en) Gear changing device
JPS62110532A (ja) 変速機のシフト機構
KR890003537Y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기구
EP0149020A2 (en) Transmission gear shift and control device, particularly for industrial vehicles
JPH1016594A (ja) 自動変速操作装置
JPH1029443A (ja) 自動変速装置用のギヤシフト装置
EP0718527A3 (de) Schalt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automatischen Getriebe
US5806368A (en) Gearshift device for a semiautomatically shiftable change-speed gearbox
JPH0141679Y2 (ko)
JP3377154B2 (ja) 変速機のギヤシフト装置
JPH0311476Y2 (ko)
GB556451A (en) Improvements in motor-propelled invalid carriages and like vehicles
KR880003111Y1 (ko) 4륜 구동자동차의 동력절환장치
KR100476260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0177961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역진방지장치
KR900009940Y1 (ko) 차량용 변속기
JPS6111784Y2 (ko)
KR200167537Y1 (ko) 체인지레버의 잠금버튼 해제구조
JPS6331136Y2 (ko)
JPS61370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