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034B1 - 디스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034B1
KR100273034B1 KR1019970010525A KR19970010525A KR100273034B1 KR 100273034 B1 KR100273034 B1 KR 100273034B1 KR 1019970010525 A KR1019970010525 A KR 1019970010525A KR 19970010525 A KR19970010525 A KR 19970010525A KR 100273034 B1 KR100273034 B1 KR 100273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main body
opening
ho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7286A (ko
Inventor
히카루 미즈타니
겐지 오타
Original Assignee
사토 도리
히다치 마쿠세루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도리, 히다치 마쿠세루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도리
Publication of KR97006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7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6Means for locking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7Containers with interchangeabl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11B23/0316Constructional details, e.g. shape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광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인 디스크를 본체케이스에 넣고 뺄 수 있게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케이스내의 디스크가 단체 디스크와 교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하드측에서 용이하게 검출하고 또 마개를 경량화해서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디스크가 회전자유롭게 수용되는 본체케이스의 한 측면에 디스크 출입용의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고, 본체케이스에 개구부를 개폐하는 마개가 본체케이스의 평면과 평행한 면상에서 추축 주위에 수평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마개와 본체케이스 사이에 마개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잠금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잠금수단은 마개에 상하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상하 관통구멍의 내부에 걸어맞춤부재를 상하 관통구멍의 상단 또는 하단보다, 외부로 돌출하도록 마련하고, 본체케이스의 상하벽에 마개가 폐쇄상태에서 상하 관통구멍과 연통되는 상부구멍 및 하부구멍를 마련하고, 상부구멍 또는 하부구멍 중의 어느 한쪽에 걸어맞춤부재가 걸어맞춤상태로 되어 있고, 걸어맞춤부재는 이것이 걸어맞춰지는 상부구멍 또는 하부구멍에서 압압되는 것에 의해서 상하 관통구멍의 내부에서 파단분리(부러뜨려져 분리)되도록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 교환 후의 디스크 카트리지인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
본 발명은 광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인 디스크를 본체케이스에 넣고 뺄 수 있게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디스크 카트리지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성5-242626호가 있다. 거기에서는 본체케이스의 뒤측 끝부에 디스크를 넣고 뺄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를 마련하고, 이 개구부를 마개(뚜껑)로 덮고 있다. 마개는 본체케이스의 평면과 평행한 면상에서 추축 주위에 수평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마개의 회전운동 선단부에는 탄성암을 마련하고, 이 탄성암 선단의 고정발톱을 본체케이스측의 걸림구멍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개구부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핀 등의 압압부재를 상기 걸림구멍에 끼워 넣어서 상기 고정발톱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 마개를 열어 조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마개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은 본체케이스에 수용한 디스크와 디스크 카트리지와는 별체로 판매되는 단체(單體)디스크가 호환성을 구비하고 있어서, 본체케이스내의 디스크를 단체 디스크와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마개의 탄성암을 압압 변형시켜서 그 선단의 고정발톱을 걸림구멍에서 떼어낸다고 하는 상기 마개 개방구조에서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하드측에 장전했을 때에는 본체케이스내의 디스크가 단체 디스크와 교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불합리)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케이스내의 디스크가 단체 디스크와 교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하드측에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마개 폐쇄 잠금(lock)수단을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개를 경량화해서 개폐조작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A-A선 확대단면도.
제2도는 전체의 일부절단 평면도.
제3도는 마개를 연 상태에서의 주요부의 평면도.
제4도는 주요부의 측면도.
제5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의 일부절단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케이스 2 : 디스크
5 : 개구부 5a : 주면개구
5b : 측면개구 7 : 마개(뚜껑)
7A : 제1 마개 7B : 제2 마개
9 : 주면벽 10 : 측면벽
11 : 내주벽 12 : 회전운동베이스끝벽
13 : 공간부 20 : 상하 관통구멍
21 : 세로로 긴통 22 : 연결리브
23 : 걸어맞춤부재 24 : 약체부
25 : 본체케이스의 상부벽 26 : 본체케이스의 하부벽
27 : 상부구멍 29 : 하부구멍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기록매체인 디스크(2)가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되는 본체케이스(1)의 한 측면(8)에 디스크 출입용의 개구부(5)를 마련한다. 개구부(5)를 개폐하는 마개(뚜껑)(7)은 본체케이스(1)의 평면과 평행한 면상에서 추축(17) 주위에 수평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한다. 마개(7)과 본체케이스(1) 사이에는 마개(7)을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잠금수단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잠금수단은 마개(7)에 상하 관통구멍(20)을 형성하고, 이 상하관통구멍(20)의 내부에 걸어맞춤부재(23)을 상기 상하 관통구멍(20)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외부로 돌출하도록 마련한다. 본체케이스(1)의 상하벽(25), (26)에는 마개(7)이 폐쇄상태에서 상기 상하 관통구멍(20)과 연통하는 상부구멍(27) 및 하부구멍(29)를 마련하고, 상부구멍(27) 또는 하부구멍(29) 중의 어느 한쪽에 상기 걸어맞춤부재(23)을 걸어맞춤상태로 되게 한다. 걸어맞춤부재(23)은 이것이 걸어맞춰지는 상부구멍(27) 또는 하부구멍(29)에서 압압되는 것에 의해,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에서 파단(부러뜨려져) 분리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5)는 본체케이스(1)의 한 측면(7)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개구된 주면개구(5a)와 이 한 측면(8)의 양끝에 인접하는 다른 측벽(6), (6)의 이 한측면(8) 근처 끝부에 개구된 측면개구(5b), (5b)로 이루어진다. 마개(7)은 주면개구(5a)를 이것의 내부에 넣어 막는 주면벽(9), 이 주면벽(9)의 한쪽 끝부에서 직각으로 연장해서 돌출 형성되고 측면개구(5b)를 이것의 내부에 넣어 막는 측면벽(10) 및 주면벽(9)의 내면측에 디스크(2)의 원주를 따르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내주벽(11)을 갖고, 상기 측면벽(10)의 연장돌출측 끝부와 내주벽(11)의 한쪽 끝부는 일체로 연결된다.
주면벽(9)와 내주벽(11) 사이에는 공간부(13)을 마련한다. 이 공간부(13)의 내부에 상하 관통구멍(20)을 갖는 세로로 긴 통(21)을 배치함과 동시에, 이 세로로 긴 통(21)과 주면벽(9) 또는 내주벽(11)을 연결리브(22)에 의해 일체로 연결한다. 세로로 긴 통(21)의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에는 걸어맞춤부재(23)이 이 세로로 긴 통(21)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외부로 돌출하도록 파단분리(부러뜨려져 떨어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체케이스(1)의 상하벽(25), (26)에는 마개(7)이 폐쇄상태에서 상기 상하 관통구멍(20)과 연통되는 상부구멍(27) 및 하부구멍(29)를 마련하고, 상부구멍(27) 또는 하부구멍(29) 중의 어느 한쪽에 상기 걸어맞춤부재(23)을 걸어맞춤상태로 되게 한다.
상부구멍(27)과 하부구멍(29) 중의 어느 한쪽에 걸어맞춤부재(23)이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마개(7)은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체케이스(1)내의 디스크(2)를 교환할 때는 걸어맞춤부재(23)이 향하는 상부구멍(27) 또는 하부구멍(29)에서 걸어맞춤부재(23)을 세게 밀어넣는(압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23)을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에서 파단분리시킨다. 따라서, 마개(7)을 열고 디스크(2)를 개구부(5)에서 빼내어 단체 디스크와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2)가 교체된 디스크 카트리지는 걸어맞춤부재(f3)을 갖지 않으므로, 하드측의 검출부재를 상부구멍(27) 또는 하부구멍(29)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부재(23)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에서 파단분리된 걸어맞춤부재(23)은 상하 관통구멍(20)내로 자체 무게에 의해 낙하해서 하부구멍(29) 또는 상부구멍(27)에서 외부로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본체케이스(1)내에 잔존한 상태로 마개(7)의 개폐시에 맞물려 들어가는 등의 문제점(불합리)이 없어진다. 마개(7)은 주면벽(9)와 내주벽(11) 사이에 공간부(13)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그만큼 경량화할 수 있어 개폐를 원활하게 한다.
[발명의 실시예]
제1도∼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는 박형 사각형상의 본체케이스(1)의 내부에 상하 양면에 영상, 음성, 정보 등의 신호가 기록되는 광디스크 등의 디스크(2)를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한다. 본체케이스(1)은 플라스틱제의 상부케이스(la)와 하부케이스(1b)를 대면시켜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부케이스(1a) 및 하부케이스(1b)의 앞측부의 좌우방향 중앙부에서 뒤쪽을 향해 신호리드창(3)을 열고, 이 창(3)을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개폐하는 셔터(4)로 덮고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본체케이스(1)의 후단부에는 디스크(2)를 넣고 빼기 위한 개구부(5)를 마련하고 있다. 이 개구부(5)는 본체케이스(1)의 뒤측면(8)의 좌우 전체길이에 걸척서 형성되는 주면개구(5a)와 본체케이스(1)의 좌우측벽(6), (6)의 후단측에만 뚫린 측면개구(5b), (5b)로서, 평면적으로 볼 때 “
Figure kpo00001
” 형상으로 뚫려 있다. 이 개구부(5)는 마개(7)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
마개(7)은 각각이 플라스틱제의 좌우 대칭형상인 제1 마개(7A)와 제2 마개(7B)를 좌우 중앙에서 맞추는 좌우여닫이 방식으로 되어 있다. 제1 마개(7A)와 제2 마개(7B)는 각각 주면벽(9)와 주면벽(9)의 좌우방향 한쪽 끝부에서 앞쪽으로 직각으로 연장해서 돌출 형성된 측면벽(10), 주면벽(9)의 내면측에 디스크(2)의 원주를 따르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디스크(2)의 위치규제를 도모하는 내주벽(11) 및 상기 측면벽(10)의 전단부와 내주벽(11)의 전단부를 상기 주면벽(9)와 거의 평행하게 연결하는 회전운동베이스끝벽(12)를 갖는다. 주면벽(9)는 주면개구(5a)의 내부로 들어가서 이것을 막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벽(10)은 측면개구(5b)의 내부로 들어가서 이것을 막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마개(7A) 및 (7B)는 중량경감 및 재료절감을 위해서, 주면벽(9), 내주벽(11) 및 측면벽(10)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고 평면적으로 볼 때 대략 삼각형상인 공간부(13)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중공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주면벽(9)에는 마개를 열 때에 손가락 끝을 걸 수 있는 오목부(14)를 마련한다. 측면벽(10)의 외측면에는 본체케이스(1)의 후단 근처에 마련된 위치결정용 오목부(15)에 대응하는 “
Figure kpo00002
” 형상의 잘라냄부(16)을 마련한다.
제4도에 있어서, 제1 마개(7A)와 제2 마개(7B)는 각각 측면벽(10)과 회전운동베이스끝벽(12)가 교차하는 코너부 또는 이 근방 위치에서 추축(17)을 상하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성형한다. 이 추축(17)의 상하단은 상부케이스(1a), 하부케이스(1b)의 각 측벽(6)의 후단 근방 위치에 오목하게 마련된 축구멍(19), (19)에 회전운동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제1 마개(7A)와 제2 마개(7B)는 각각 개구부(5)의 주면개구(5a) 및 측면개구(5b)를 막는 폐쇄자세와 추축(17)을 중심으로 해서 본체케이스(1)의 평면과 평행한 면상에서 90° 수평으로 회전운동하여 주면개구(5a)를 개방시키는 전체 개방자세에 걸쳐서 전환이 자유롭다.
제1 마개(7A)와 제2 마개(7B)가 불시에 열리지 않도록 폐쇄자세로 유지하는 잠금수단을 갖는다. 이 잠금수단은 각 마개(7A), (7B)의 공간부(13)과 본체케이스(1) 사이에 마련된다.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마개(7A), (7B)의 공간부(13)의 내부에는 상하 관통구멍(20)을 갖는 원통형상 또는 각진 통(角筒)형상의 세로로 긴 통(21)을 배치함과 동시에 세로로 긴 통(21)을 내주벽(11)의 일부와 연결리브(22)에 의해 일체로 연결하고, 세로로 긴 통(21)의 내부에 걸어맞춤부재(23)을 부가적으로 마련한다. 이 들 세로로 긴 통(21), 연결리브(22) 및 걸어맞춤부재(23)은 각 마개(7A), (7B)와 동시에 일체로 성형한다.
제1도에 있어서, 걸어맞춤부재(23)은 이것의 상단에 상부가 잘린 원추부(23a)를 갖고, 이 상부가 잘린 원추부(23a)가 상하 관통구멍(20)의 상단보다,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에 두께가 얇은 약체부(24)를 거쳐서 일체로 구비된다. 그 약체부(24)는 이것의 하면측에 오목부(24a)를 갖는 위험단면으로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부재(23)을 이것의 위쪽에서 세게 밀었을(압압했을) 때에는 약체부(24)가 응력집중에 의해 파단(破斷)된다.
본체케이스(1)의 상하벽(25), (26)에는 각 마개(7A), (7B)가 폐쇄자세에서 상하 관통구멍(20)과 연통되는 상부구멍(27) 및 하부구멍(29)를 마련하고, 상부구멍(27)에 상기 걸어맞춤부재(23)의 상부가 잘린 원추부(23a)를 걸어맞춤상태로 되게 한다.
각 마개(7A), (7B)의 개폐에 따라 걸어맞춤부재(23)의 상부가 잘린 원추부(23a)가 상부구멍(27)의 내벽에 당접되고, 이 당접작용 정도로는 약체부(24)는 탄성에 의해 휠 뿐 파괴되지 않고 상부구멍(27)에 대해서 걸어맞춤부재(23)이 걸어맞춤 및 분리(係脫)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걸어맞춤부재(23)의 상부가 잘린 원추부(23a)와 상부구멍(20)의 걸어맞춤에 의해 각 마개(7A), (7B)는 폐쇄자세로 유지된다. 그러나, 걸어맞춤부재(23)을 상부가 잘린 원추부(23a)가 상부구멍(27)의 하단면보다, 더 아래쪽으로 깊숙히 내려가도록 세게 밀어넣으면, 약체부(24)가 응력집중에 의해 파괴되어 걸어맞춤부재(23)이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에서 파단분리 된다.
각 마개(7A), (7B)의 걸어맞춤부재(23)은 본체케이스(1)의 상부구멍(27)에 걸어맞춰져 있으므로, 각 마개(7A), (7B)는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 불시에 열리는 일이 없다. 디스크(2)를 교환하기 위해 넣고 뺄 때에는 상부구멍(27)에서 손가락 끝 등으로 걸어맞춤부재(23)을 그의 상부가 잘린 원추부(23a)가 상부구멍(27)의 하단면보다, 더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깊히 밀어넣으면, 약체부(24)가 파괴되어 걸어맞춤부재(23)이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에서 파단분리된다. 파단분리된 후, 걸어맞춤부재(23)은 세로로 긴 통(21)의 상하 관통구멍(20)내를 자체의 무게에 의해 낙하해서 하부구멍(29)에서 외부로 확실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본체케이스(1)내에 잔존하지 않으므로, 각 마개(7A), (7B)는 파단분리된 걸어맞춤부재(23)을 맞물려 들어가게 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개폐작동을 실행한다.
각 마개(7A), (7B)는 중량경감 및 재료절감을 위해 공간부(13)을 갖지만, 이러한 경우에 본체케이스(1)의 상부벽(25) 또는 하부벽(26)에 외부에서 압압하중이 가해지면, 상부벽(25) 또는 하부벽(26)은 공간부(13)에 의해 국부적으로 쉽게 휘어지게 된다. 그러나, 공간부(13)의 내부에는 세로로 긴 통(21)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그 경우에도 상부벽(25) 또는 하부벽(26)은 세로로 긴 통(21)에 의해 막아낼 수 있어 즉 세로로 긴 통(21)의 버팀(bracing)작용을 받아서 상부벽(25) 및 하부벽(26)의 국부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걸어맞춤부재(23)의 파단분리 후에는 각 마개(7A), (7B)을 열고 디스크(2)를 개구부(5)에서 꺼내어 단체 디스크와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2)가 교체된 디스크 카트리지는 걸어맞춤부재(23)을 갖지 않으므로, 하드측의 검출부재를 상부구멍(27)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23)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 디스크(2)가 교환된 디스크 카트리지인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세로로 긴 통(21)을 연결리브(22)에 의해 내주벽(11)과 일체로 연결하였지만, 그 대신에 세로로 긴 통(21)은 연결리브(22)에 의해 주면벽(9)의 일부와 일체로 연결하거나 또는 내주벽(11)과 주면벽(9)의 쌍방에 연결리브(22)에 의해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걸어맞춤부재(23)을 세로로 긴 통(21)의 상하 관통구멍(70)의 상단보다, 돌출하도록 마련하였지만, 그것과는 반대로 걸어맞춤부재(23)을 세로로 긴 통(21)의 상하 관통구멍(20)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해서 하부구멍(29)로 향하게 하여 걸어맞출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마개(7)이 좌우의 제1 마개(7A)와 제2 마개(7B)로 이루어지는 좌우여닫이 방식이면 그의 회전운동반경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회전운동각이 90°로 충분한 것과 아울러 본체케이스(1)의 외부에서 필요로 하는 마개(7)의 회전운동공간을 한충 더 협소화할 수 있어 주변의 다른 물체와의 접촉 등을 회피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체의 마개(7)에 의해 외문(한쪽열기) 사양으로 해도 좋다. 단체의 마개(7)은 주면개구(5a)의 전면을 막는 주면벽(9), 주면벽(9)의 양끝에 연속해서 마련되어 좌우의 측면개구(5b), (5b)를 막는 측면벽(10), (10), 주면벽(9)의 내면측에 마련된 내주벽(11), 좌우의 측면벽(10), (10)의 각 전단부와 내주벽(11)의 좌우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회전운동베이스끝벽(12) 및 회전운동 선단벽(12′)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좌우의 측면벽(10), (10)과 주면벽(7) 사이에 각각 공간부(13)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한쪽의 측면벽(10)과 회전운동베이스끝벽(12)와 교차하는 코너부 또는 그 근방 위치에 추축(17)이 마련되게 되고, 또 걸어맞춤부재(23)을 내장하는 세로로 긴 통(21)은 마개(7)의 좌우 양쪽의 공간부(13)의 내부 또는 어느 한쪽의 공간부(13)의 내부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개구부(5)는 본체케이스(1)의 뒤측면(8) 이외에 좌우 측벽(6), (6)중의 어느 한쪽에 마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케이스(1)측의 상부구멍(27) 또는 하부구멍(29)에 마개(7)측의 걸어맞춤부재(23)을 걸어맞추므로, 마개(7)의 폐쇄상태가 유지되어 마개(7)이 불시에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케이스(1)내의 디스크(2)를 교환할 때는 걸어맞춤부재(23)을 의식적으로 파단분리시키는 것에 의해서, 하드측의 검출부재를 상부구멍(27) 또는 하부구멍(29)에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 걸어맞춤부재(23)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 디스크 교환후의 디스크 카트리지인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에서 파단분리된 걸어맞춤부재(23)은 상하 관통구멍(20)내를 자체의 무게에 의해 낙하해서 하부구멍(29) 또는 상부구멍(27)에서 외부로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마개(7)의 개폐시에 맞물려 들어가는 등의 불합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마개(7)은 주면벽(9)와 내주벽(11) 사이에 공간부(13)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그 만큼 경량화할 수 있어 개폐조작을 경쾌하게 실행할 수 있다. 걸어맞춤부재(23)을 내장하는 상하 관통구멍(20)은 마개(7)의 공간부(13)내에 일체로 마련된 세로로 긴 통(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케이스(1)의 상하벽(25), (26)에 외부하중이 부가되었을 때도 이 상하벽(25), (26)은 공간부(13)에 의해 국부적으로 휘어변형되는 것을 세로로 긴 통(21)의 버팀작용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디스크(2)가 회전자유롭게 수용되는 본체케이스(1)의 한 측면(8)에 디스크 출입용의 개구부(5)가 마련되어 있고, 본체케이스(1)에는 개구부(5)를 개폐하는 마개(7)이 본체케이스(1)의 평면과 평행한 면상으로서 추축(17) 주위에서 수평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 마개(7)과 본체케이스(1) 사이에 마개(7)을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잠금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마개(7)에 상하 관통구멍(20)을 형성하고, 이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에 절어맞춤부재(23)을 상기 상하 관통구멍(20)의 상단 또는 하단보다, 외부로 돌출하도록 마련하고, 본체케이스(1)의 상하벽(25, 26)에 마개(7)이 폐쇄상태에서 상하 관통구멍(20)과 연통되는 상부구멍(27) 및 하부구멍(29)를 마련하고, 상부구멍(27) 또는 하부구멍(29) 중의 어느 한쪽에 상기 걸어맞춤부재(23)이 걸어맞춤 상태로 되어 있고, 걸어맞춤부재(23)은 이것이 걸어맞춰지는 상부구멍(27) 또는 하부구멍(27)에서 압압되는 것에 의해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에서 파단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 디스크(2)가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되는 본체케이스(1)에 디스크 출입용의 개구부(5)가 마련되어 있고, 이 개구부(5)는 본체케이스(1)의 한 측면(8)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개구된 주면개구(5a)와 상기 한 측면(8)의 양끝에 인접하는 본체케이스의 다른 측벽(6, 6)의 상기 한 측면(8) 근처 끝부에 개구된 측면개구(5b, 5b)로 이루어지고, 본체케이스(1)에는 개구부(5)를 개폐하는 마개(7)이 본체케이스(1)의 평면과 평행한 면상으로서 추축(17) 주위에서 수평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마개(7)이 주면개구(5a)를 그의 내부로 넣어 막는 주면벽(9), 이 주면벽(9)의 한쪽끝부에서 직각으로 연장해서 돌출 형성되고 측면개구(5b)를 그의 내부로 넣어 막는 측면벽(10) 및 주면벽(9)의 내면측에 디스크(2)의 원주를 따르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내주벽(11)을 갖고, 상기 측면벽(10)의 연장돌출측 끝부와 내주벽(11)의 한 끝부와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주면벽(9)와 내주벽(11) 사이에 공간부(13)을 마련하고, 이 공간부(13)의 내부에 상하 관통구멍(20)을 갖는 세로로 긴 통(21)이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세로로 긴 통(21)과 주면벽(9) 또는 내주벽(11)이 연결리브(2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세로로 긴 통(21)의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에 걸어맞춤부재(23)이 상기 세로로 긴 통(21)의 상단 또는 하단보다, 외부로 돌출하도록 파단분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본체케이스(1)의 상하벽(25, 26)에 마개(7)이 폐쇄상태에서 상하 관통구멍(20)과 연통되는 상부구멍(27) 및 하부구멍(29)가 마련되고, 상부구멍(27) 또는 하부구멍(29) 중의 어느 한쪽에 상기 걸어맞춤부재(23)이 걸어맞춤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걸어맞춤부재(23)이 마개(7)의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와 두께가 얇은 약체부(24)에 의해 파단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걸어맞춤부재(23)이 마개(7)의 상하 관통구멍(20)의 내부와 두께가 얇은 약체부(24)에 의해 파단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KR1019970010525A 1996-03-28 1997-03-26 디스크 카트리지 KR100273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436196A JP3491118B2 (ja) 1996-03-28 1996-03-28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96-104361 199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7286A KR970067286A (ko) 1997-10-13
KR100273034B1 true KR100273034B1 (ko) 2001-01-15

Family

ID=1437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525A KR100273034B1 (ko) 1996-03-28 1997-03-26 디스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03541A (ko)
JP (1) JP3491118B2 (ko)
KR (1) KR1002730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30868T2 (de) * 1995-09-21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Kassette mit herausnehmbarer platte
SG94718A1 (en) * 1998-05-23 2003-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tridge for a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3526007B2 (ja) 1999-01-08 2004-05-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207865A (ja) 1999-01-08 2000-07-28 Alps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カ―トリッジ
JP3499148B2 (ja) 1999-01-08 2004-02-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207864A (ja) 1999-01-08 2000-07-28 Alps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カ―トリッジ
JP3840346B2 (ja) 1999-01-08 2006-11-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4127372A (ja) * 2002-09-30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8378U (ko) * 1988-11-11 1990-05-23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4878A (en) * 1984-02-07 1986-01-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assette removable piece
NL8800820A (nl) * 1988-03-31 1989-10-16 Philips Nv Cassette.
US5285918A (en) * 1992-12-10 1994-02-15 Alpha Enterprises, Inc. Videocassette shipping container
US5445265A (en) * 1994-02-07 1995-08-29 Reynard Cvc, Inc. Storage container for information-bearing disc devices having printed matter retrieval means
JP3462318B2 (ja) * 1995-10-13 2003-11-05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8378U (ko) * 1988-11-11 1990-05-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03541A (en) 1999-05-11
JPH09265754A (ja) 1997-10-07
JP3491118B2 (ja) 2004-01-26
KR970067286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34473C (en) Security seal
KR100273034B1 (ko) 디스크 카트리지
ES2204588T3 (es) Recipiente inviolable.
US20030198177A1 (en) Holographic recording medium cartridge
CA1262703A (en) Plastic stopper with a snap hinge
US5946290A (en) Tamper-proof lid lock in disc cartridge
US4760931A (en) Safety container neck insert
ES2259135T3 (es) Dispositivo de cierre.
US20060144729A1 (en) Storage case
US6213330B1 (en) Thermoplastic storage container having a break away engaging means
ES2283693T3 (es) Cierre giratorio en forma de tapa para recipientes y recipiente que comprende dicho cierre.
US5042659A (en) Case for magnetic tape cassette
JPH09293355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906383B2 (ja) 振出容器
JPH09320232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111508A (ja) 不正開放防止機能付きヒンジキャップ
JP2560626Y2 (ja) 取り出し用キャップ
JP3906382B2 (ja) 振出容器
RU2817155C1 (ru) Крышка контейнера с закрываемым вентиляционным отверстием
JP4596419B2 (ja) 封緘式キャップ
JP4964530B2 (ja) コンパクト容器の開蓋機構
KR200239125Y1 (ko) 용기의 커버용 힌지장치
JP4698218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3296797B2 (ja) ボトルキャップ
JP3508041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