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844B1 - 스피커의 보이스코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피커의 보이스코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844B1
KR100272844B1 KR1019980050095A KR19980050095A KR100272844B1 KR 100272844 B1 KR100272844 B1 KR 100272844B1 KR 1019980050095 A KR1019980050095 A KR 1019980050095A KR 19980050095 A KR19980050095 A KR 19980050095A KR 100272844 B1 KR100272844 B1 KR 100272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upport tube
voice coil
speaker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283A (ko
Inventor
박인환
박노철
Original Assignee
김지택
한국음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택, 한국음향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지택
Priority to KR101998005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84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의 보이스코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관에 감겨진 코일이 항상 자성체를 띠도록 하여 이러한 보이스코일을 스피커 제조시 별도의 지그를 이용해 상기 스피커를 구성하는 후방플레이트의 축봉에 끼워 설치할 때 특별히 신경을 쓰지 않더라도 상기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코일의 폭(b) 중심이 스피커를 구성하는 전방플레이트의 두께(t) 중심에 자동으로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의 향상에 의한 생산성 증대와 함께 상기 보이스코일을 스피커에 설치하였을 경우 상기 스피커의 음질향상에도 크게 기여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종이로 만들어진 원통형상의 지지관(81)과,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일정폭(b) 만큼 수회감겨진 코일(82)과, 상기 지지관(81)의 외측둘레면중 코일(82)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감싼상태로 접착되어 상기 코일의 양끝단부분을 지지관(81)에 고정시키는 접착테이프(83)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81)에 감겨진 코일(82)을 감싸도록 자성체물질층(84)을 더 구비하여서 된 스피커의 보이스코일을 제공하거나, 또한 상기한 구성의 보이스코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의 보이스코일과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스피커의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스피커의 구성요소중에서 입력된 음성신호 전류를 받아 자기회로 내로 유입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보이스코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Speaker)는 전기적인 음성신호 전류를 실제 소리로 나타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 1과 같이 커버(1) 내부에 전방마그네트(2)와 후방마그네트(3)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전,후방마그네트(2)(3) 사이에는 축봉(4)이 일체화된 후방플레이트(5)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마그네트(2)의 전면에는 전방플레이트(6)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전면에는 깔대기 형상으로 된 프레임(7)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플레이트(5)에 일체화된 축봉(4)에는 축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보이스코일(Voice Coil)(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이스코일은 댐퍼(9)에 의해 프레임(7)과 연결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신호공급선(10)에 의해 보이스코일(8)과 연결되게 단자(1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이스코일(8)에는 깔대기 형상이며 재질이 종이인 진동판(12)의 안쪽 둘레면부가 접착 고정됨과 함께 프레임(7)에는 상기 진동판(12)의 바깥쪽 둘레면부가 접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향시스템을 작동시키면 상기 음향시스템을 구성하는 엠프(Amp)의 음성신호 전류가 프레임(7)에 부착되어 있는 단자(11)로 입력되므로 이 입력된 전류는 계속해서 신호공급선(10)을 통해 보이스코일(8)까지 입력된다.
이와같이 음성신호 전류가 보이스코일(8)까지 입력되면, 상기 보이스코일이 후방플레이트(5)에 형성된 축봉(4)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후방마그네트(3)의 자속 발생에 따라 상기 후방플레이트(5)는 N극 자로(磁路)를 형성함과 함께 전방마그네트(2)의 자속 발생에 따라 전방플레이트(6)는 S극 자로를 형성하므로 상기 전방마그네트(2) 및 후방마그네트(3)와 전방플레이트(6) 및 후방플레이트(5)가 자기회로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보이스코일(8)로 입력된 음성신호 전류(I)가 상기 자기회로 내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전류는 프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힘(F)를 발생시키므로 상기 보이스코일(8)은 댐퍼(9)에 의해 반경방향인 도면상 상,하진동은 방지되면서 축방향인 도면상 좌,우진동만 계속적으로 행한다.
한편 자속을 발생시켜 전,후방플레이트(6)(5)와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전,후방마그네트(2)(3)는 하나의 커버(1)에 의해 일체로 감싸여져 있는데, 이는 상기 전,후방마그네트(2)(3)의 자력을 차단하여 자기회로의 구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보이스코일(8)이 축방향인 도면상 좌,우진동을 계속하면 깔대기 형상이며 재질이 종이인 진동판(12)의 안쪽 둘레면부가 상기 보이스코일(8)에 접착 고정됨과 함께 바깥쪽 둘레면부가 깔대기 형상의 프레임(7)에 접착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진동판(12)은 떨게되고 이 떨림은 매질(공기)을 통하여 소리로 전달되므로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확성음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은 스피커에서 입력된 음성신호 전류(I)를 받아 자기회로 내로 유입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보이스코일(8)의 종래 구조는 종이로 만들어진 원통형상의 지지관(81)과,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일정폭(b) 만큼 수회감겨진 코일(82)과, 상기 지지관(81)의 외측둘레면중 코일(82)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감싼상태로 접착되어 상기 코일의 양끝단부분을 지지관(81)에 고정시키는 접착테이프(8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종래 보이스코일은 종이를 이용해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지지관(81)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일정폭(b) 만큼 코일(82)을 수회감는 단계와, 상기 지지관(81)의 외측둘레면중 코일(82)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접착테이프(83)로 감싸 상기 코일(82)의 양끝단부분을 지지관(81)에 고정시키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제조된다.
따라서, 종이를 이용해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지지관(81)을 만든 다음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코일(82)을 일정폭(b)이 되도록 수회정도 감는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관(81)의 외측둘레면중 코일(82)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접착테이프(83)로 감으면 상기 코일(82)의 양끝단부분이 접착테이프(83)로 인해 지지관(81)에 고정되면서 종래 구조의 보이스코일이 만들어 진다.
상기에서 지지관(81)의 외측둘레면중 코일(82)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접착테이프(83)를 감아 상기 코일(82)의 양끝단부분이 상기 접착테이프(83)에 의해 지지관(81)에 고정되도록 한 것은, 취급과정에서 상기 코일(82)의 양끝단부분에 외력이 주어질 경우에도 상기 지지관(81)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함에 따라 상기 코일(82)이 지지관(81)에서 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에 있고, 또한 후술하는 과정에 의해 보이스코일(8)을 설치할 때 코일(82)의 양끝단을 스피커의 단자(11)에 연결된 신호공급선(10)과의 연결이 용이하게 행하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지지관(81)의 외측둘레면에 코일(82)이 감겨질 때에는 상기 코일의 외측둘레면에 절연물질과 융착물질이 발라져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절연물질로 인해 코일간의 접촉에 따른 쇼트발생이 일어나지 않음은 물론 융착물질로 인해 코일간의 본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데, 상기 코일간의 본딩은 코일(82)이 완전히 감긴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다시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럼 여기서 스피커의 제조시에 종래 보이스코일을 후방플레이트(5)의 축봉(4) 끼워 축방향으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과정을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회로를 구성하도록 전,후방 마그네트(2)(3)와 전,후방 플레이트(6)(5)를 일체화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플레이트(6)의 전면에 프레임(7)을 고정한 다음 종래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지지관(81)을 일단 별도의 지그에 꽉 끼우는데, 상기에서 지지관(81)을 별도의 지그에 꽉 끼우는 것은, 후술하는 작용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관(81)에 감겨진 코일의 폭(b) 중심이 전방플레이트(6)의 두께(t) 중심에 정확히 위치되게 보이스코일이 임시로 설치된 상태에서는 가급적 상기 보이스코일의 이동에 의한 위치변화가 쉽게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한편 종래 보이스코일의 지지관(81)이 지그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그를 도 5a와 같이 후방플레이트(5)의 축봉(4)에 끼우면 상기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코일의 폭(b) 중심이 전방플레이트(6)의 두께(t) 중심에 가급적 정확히 위치된 상태로 되면서 상기 종래 보이스코일이 임시적으로 설치된다.
이후에 5b와 같이 종래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지지관(81)과 스피커의 프레임(7)을 댐퍼(9)로서 연결하여 상기 보이스코일을 지지시킨 다음 계속해서 콘형상으로 된 진동페이퍼(12)의 내경부를 상기 지지관(81)에 접착 고정함과 함께 외경부를 프레임(7)에 접착 고정시키고, 계속해서 5c와 같이 지그를 잡아 당겨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지지관(81)에서 빼내면 결국 상기 지지관의 내측둘레면이 후방플레이트(5)에 형성된 축봉(4)의 외측둘레면과 갭(gap)을 유지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완전히 설치되는데, 상기 종래 보이스코일이 완전하게 설치된 후에는 외부에서 상기 보이스코일이 보이지 않도록 5d와 같이 진동페이퍼(12)의 중심부에 상기 진동페이퍼와 동일재질의 밀폐부재(13)를 접착시킨다.
한편 상기에서 종래 보이스코일을 설치할 때 지지관(81)에 감겨진 코일(82)의 폭(b) 중심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전방플레이트(6)의 두께(t) 중심과 일치하도록 한 것은, 자기회로의 자장이 후방플레이트(5)에 형성된 축봉(4)과 전방플레이트(6) 사이에서 가장 세게 나타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코일의 폭(b) 중심이 전방플레이트(6)의 두께(t) 중심과 일치하여야 만 실제로 스피커가 작동될 때 보이스코일의 좌,우진동폭이 상기 전방플레이트(6)를 기준으로 각각 동일해지고, 이에따라 음의 발생이 깨끗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보이스코일은 지지관에 감겨진 코일이 자성체를 띠고 있지 못하므로 이러한 보이스코일을 사용하여 스피커를 제조할 때 상기 보이스코일을 지그를 이용해서 설치하더라도 작업자가 세심한 신경을 쓰지 않으면 코일의 폭(b) 중심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전방플레이트의 두께(t) 중심에 정확히 오지 못하게 되므로 작업성의 저하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최초에는 코일의 폭(b) 중심을 전방플레이트의 두께(t) 중심에 정확히 일치하였을 경우에도 그 이후 공정에서 작업자도 모르게 다시 약간 틀어지는 경우가 잦아 결국 종래의 보이스코일을 스피커에 설치하였을 경우 상기 스피커의 음질이 대부분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 보이스코일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지그 설계와 그 제작을 조금이라도 정밀하게 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 설명된 바와같이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코일의 폭(b) 중심이 스피커를 구성하는 전방플레이트의 두께(t) 중심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므로 상기 지그의 설계 및 제작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도 늘어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지지관에 감겨진 코일이 항상 자성체를 띠도록 하여 이러한 보이스코일을 스피커 제조시 별도의 지그를 이용해 상기 스피커를 구성하는 후방플레이트의 축봉에 끼워 설치할 때 특별히 신경을 쓰지 않더라도 상기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코일의 폭(b) 중심이 스피커를 구성하는 전방플레이트의 두께(t) 중심에 자동으로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종이로 만들어진 원통형상의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일정폭(b) 만큼 수회감겨진 코일과,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중 코일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감싼상태로 접착되어 상기 코일의 양끝단부분을 지지관에 고정시키는 접착테이프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에 감겨진 코일을 감싸도록 자성체물질층을 더 구비하여서 된 스피커의 보이스코일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다른 형태에 따르면, 종이를 이용해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지지관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일정폭(b) 만큼 코일을 수회감는 단계와,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중 코일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접착테이프로 감싸 상기 코일의 양끝단부분을 지지관에 고정시키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지지관에 감져진 코일을 감싸도록 자성체물질층을 구비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서 된 스피커의 보이스코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스피커 구조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보이스코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보이스코일을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종래 보이스코일의 제조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5a 내지 5d는 종래 보이스코일을 스피커 제작시 전방플레이트의 축봉에 끼워 설치하는 과정을 참고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9a 내지 9d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스피커 제작시 전방플레이트의 축봉에 끼워 설치하는 과정을 참고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1. 지지관 82. 코일
83. 접착테이프 84. 자성체물질층
84a. 필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6 내지 도 8과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은 종이로 만들어진 원통형상의 지지관(81)과,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일정폭(b) 만큼 수회감겨진 코일(82)과, 상기 지지관(81)의 외측둘레면중 코일(82)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감싼상태로 접착되어 상기 코일의 양끝단부분을 지지관(81)에 고정시키는 접착테이프(83)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81)에 감겨진 코일(82)을 감싸도록 분말상태의 산화철을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발라 자성체물질층(84)을 더 구비한다.
상기한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은 종이를 이용해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지지관(81)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일정폭(b) 만큼 코일(82)을 수회감는 단계와, 상기 지지관(81)의 외측둘레면중 코일(82)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접착테이프(83)로 감싸 상기 코일(82)의 양끝단부분을 지지관(81)에 고정시키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지지관(81)에 감져진 코일(82)을 감싸도록 분말상태의 산화철을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발라 자성체물질층(84)을 구비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종이를 이용해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지지관(81)을 만든 다음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코일(82)을 일정폭(b)이 되도록 수회정도 감는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관(81)의 외측둘레면중 코일(82)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접착테이프(83)로 감으면 상기 코일(82)의 양끝단부분이 접착테이프(83)로 인해 지지관(81)에 고정되고, 이후로 상기 지지관(81)에 감겨진 코일(82)을 감싸도록 분말상태의 산화철을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바르면 자성체물질층(84)이 구비되면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이 만들어 진다.
상기한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자성체물질층(84)을 구비하기 위해 분말상태의 산화철을 사용하는 것은, 상기 산화철이 자계성능이 우수하면서도 가공된 상태에서의 입자가 매우 미세(0.43∼0.46μm 정도)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종래에서 기 설명된 내용을 참고하면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되어 생략한다.
그럼 여기서 스피커의 제조시에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후방플레이트(5)의 축봉(4)에 끼워 축방향으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과정을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회로를 구성하도록 전,후방 마그네트(2)(3)와 전,후방 플레이트(6)(5)를 일체화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플레이트(6)의 전면에 프레임(7)을 고정한 다음 보이스코일(8)을 구성하는 지지관(81)을 일단 별도의 지그에 헐렁하게 끼우는데, 상기 보이스코일(8)을 구성하는 지지관(81)을 별도의 지그에 헐렁하게 끼우는 것은, 후술하는 작용에서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임시로 설치할 때 상기 지그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코일(82)의 폭(b) 중심이 전방플레이트(6)의 두께(t) 중심에 정확히 위치되게 보이스코일의 이동이 원할해지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지지관(81)이 지그에 끼워진 상태에서 도 9a와 같이 상기 지그를 후방플레이트(5)의 축봉(4)에 끼우면 상기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코일(82)에는 코일을 감싸도록 분말상태의 산화철이 발라져 자성체물질층(84)을 구비하고 있고, 자기회로의 자장은 후방플레이트(5)에 형성된 축봉(4)과 전방플레이트(6) 사이에서 가장 세게 나타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처음부터 상기 지지관(81)에 감겨진 코일(82)의 폭(b) 중심을 전방플레이트(6)의 두께(t) 중심에 정확히 위치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코일(82)의 폭(b) 중심이 전방플레이트(6)의 두께(t) 중심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보이스코일이 지그에 끼워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이동되면서 임시적으로 설치된다.
이후에 9b와 같이 상기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지지관(81)과 스피커의 프레임(7)을 댐퍼(9)로 연결하여 상기 보이스코일을 지지시킨 다음 계속해서 콘형상으로 된 진동페이퍼(12)의 내경부를 상기 지지관(81)에 접착 고정함과 함께 외경부를 프레임(7)에 접착 고정시키고, 계속해서 9c와 같이 지그를 잡아 당겨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지지관(81)에서 빼내면 결국 상기 지지관의 내측둘레면이 후방플레이트(6)에 형성된 축봉(4)의 외측둘레면과 갭(gap)을 유지한 상태로 완전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이 완전하게 설치된 후에는 외부에서 상기 보이스코일이 보이지 않도록 9d와 같이 진동페이퍼(12)의 중심부에 상기 진동페이퍼와 동일재질의 밀폐부재(13)를 접착시킨다.
상기에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설치할 때 지지관(81)에 감겨진 코일(82)의 폭(b) 중심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전방플레이트(6)의 두께(t) 중심과 일치하도록 한 것은, 자기회로의 자장이 후방플레이트(5)에 형성된 축봉(4)과 전방플레이트(6) 사이에서 가장 세게 나타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코일(82)의 폭(b) 중심이 전방플레이트(6)의 두께(t) 중심과 일치하여야 만 실제로 스피커가 동작되는 과정에서 보이스코일(8)의 좌,우진동폭이 상기 전방플레이트(6)를 기준으로 각각 동일해지고, 이에따라 음의 발생이 깨끗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은 종이로 만들어진 원통형상의 지지관(81)과,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일정폭(b) 만큼 수회감겨진 코일(82)과, 상기 지지관(81)의 외측둘레면중 코일(82)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감싼상태로 접착되어 상기 코일의 양끝단부분을 지지관(81)에 고정시키는 접착테이프(83)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81)에 감겨진 코일(82)을 감싸도록 분말상태의 산화철이 입혀진 필름(84a)을 상기 코일(82)의 외측에 감아 자성체물질층(84)을 더 구비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은 종이를 이용해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지지관(81)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일정폭(b) 만큼 코일(82)을 수회감는 단계와, 상기 지지관(81)의 외측둘레면중 코일(82)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접착테이프(83)로 감싸 상기 코일(82)의 양끝단부분을 지지관(81)에 고정시키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지지관(81)에 감져진 코일(82)을 감싸도록 분말상태의 산화철이 입혀진 필름(84a)을 상기 코일(82)의 외측에 감아 자성체물질층(84)을 구비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종이를 이용해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지지관(81)을 만든 다음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코일(82)을 일정폭(b)이 되도록 수회정도 감는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관(81)의 외측둘레면중 코일(82)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접착테이프(83)로 감으면 상기 코일(82)의 양끝단부분이 접착테이프(83)로 인해 지지관(81)에 고정되고, 이후로 상기 지지관에 감겨진 코일(82)을 감싸도록 분말상태의 산화철이 입혀진 필름(84a)을 상기 코일(82)의 외측에 감으면 자성체물질층(84)이 구비되면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보이스코일이 만들어 진다.
이하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종래에서 기 설명된 내용과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을 참고하면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되어 생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코일은 항상 자성체를 띠고 있으므로 이러한 보이스코일을 스피커 제조시 별도의 지그를 이용해 상기 스피커를 구성하는 후방플레이트의 축봉에 끼워 설치할 때 특별히 신경을 쓰지 않더라도 상기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코일의 폭(b) 중심이 스피커를 구성하는 전방플레이트의 두께(t) 중심에 자동으로 정확하게 일치되므로 상기 보이스코일의 설치에 세심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최초에 코일의 폭(b) 중심을 전방플레이트의 두께(t) 중심에 정확히 일치한 상태에서도 상기 코일의 폭 중심은 전방플레이트의 두께 중심에 계속해서 일치할려고 하므로 보이스코일을 임시적으로 설치한 이후의 공정에서 완전하게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자도 모르게 상기 보이스코일의 위치가 다시 틀어지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아 결국 본 발명의 보이스코일을 스피커에 설치하였을 경우 상기 스피커의 음질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보이스코일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지그 설계와 그 제작을 정밀하게 하지 않더라도 기 설명된 바와같이 보이스코일을 구성하는 코일의 폭(b) 중심이 스피커를 구성하는 전방플레이트의 두께(t) 중심에 정확하게 일치되므로 상기 지그의 설계 및 제작에 따른 부수적인 비용이 매우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종이로 만들어진 원통형상의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일정폭(b) 만큼 수회감겨진 코일과,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중 코일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감싼상태로 접착되어 상기 코일의 양끝단부분을 지지관에 고정시키는 접착테이프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에 감겨진 코일의 감싸도록 자성체물질층을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의 보이스코일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관에 감겨진 코일의 외측에 분말상태의 산화철을 바름에 따라 상기 코일을 감싼상태로 자성체물질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의 보이스코일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관에 감겨진 코일의 외측에 분말상태의 산화철이 입혀진 필름을 감음에 따라 상기 코일을 감싼상태로 자성체물질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의 보이스코일 구조.
  4. 종이를 이용해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지지관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에 일정폭(b) 만큼 코일을 수회감는 단계와, 상기 지지관의 외측둘레면중 코일이 감겨져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접착테이프로 감싸 상기 코일의 양끝단부분을 지지관에 고정시키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지지관에 감져진 코일을 감싸도록 자성체물질층을 구비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의 보이스코일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분말상태의 산화철을 지지관에 감겨진 코일의 외측에 발라서 상기 코일을 감싼상태로 자성체물질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의 보이스코일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분말상태의 산화철이 입혀진 필름을 지지관에 감겨진 코일의 외측에 감아서 상기 코일을 감싼상태로 자성체물질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의 보이스코일 제조방법.
KR1019980050095A 1998-11-21 1998-11-21 스피커의 보이스코일과 그 제조방법 KR100272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095A KR100272844B1 (ko) 1998-11-21 1998-11-21 스피커의 보이스코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095A KR100272844B1 (ko) 1998-11-21 1998-11-21 스피커의 보이스코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283A KR20000033283A (ko) 2000-06-15
KR100272844B1 true KR100272844B1 (ko) 2000-11-15

Family

ID=1955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095A KR100272844B1 (ko) 1998-11-21 1998-11-21 스피커의 보이스코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28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04B1 (ko) 2006-11-27 2008-02-28 강윤규 스피커
CN104074904A (zh) * 2014-06-19 2014-10-01 西安交通大学 一种基于音圈电机的柔性结构振动主动控制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95A (ko) * 2002-06-12 2002-07-12 윤종오 자성체 코팅층을 포함하는 보이스코일용 보빈 및 이를포함하는 보이스코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04B1 (ko) 2006-11-27 2008-02-28 강윤규 스피커
CN104074904A (zh) * 2014-06-19 2014-10-01 西安交通大学 一种基于音圈电机的柔性结构振动主动控制系统及方法
CN104074904B (zh) * 2014-06-19 2016-02-24 西安交通大学 一种基于音圈电机的柔性结构振动主动控制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283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15218B (en) Microspeaker
EP0548579B1 (en) Balanced armature transducers with transverse gap
KR20000077382A (ko) 스피커
US10334367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0272844B1 (ko) 스피커의 보이스코일과 그 제조방법
JP2004312222A (ja) スピーカ装置
KR100290232B1 (ko) 스피커의보이스코일용동선과그제조방법
JP2607796Y2 (ja) スピーカ用磁気回路
JP3531257B2 (ja) スピーカの製造方法
JPH08317489A (ja) スピーカ装置
JP2592066Y2 (ja) スピーカ
EP1143764A1 (en) Speaker device
KR100711298B1 (ko) 초박형 마이크로스피커
JP2007318346A (ja) スピーカ装置の製造方法、スピーカ装置、およびスピーカ装置の組立治具
KR0172660B1 (ko)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JPH06292296A (ja) スピーカー
KR200245062Y1 (ko) 이어폰유니트
JP3911409B2 (ja) スピーカのボイスコイルボビン構造
JP2004187234A (ja) スピーカ装置
JPH09154198A (ja) スピーカ装置
JP5313640B2 (ja) ヘッドホンユニット及びヘッドホン
JP2004096671A (ja) スピーカ
JPH10322793A (ja) スピーカ装置
JP2003224900A (ja) スピーカ
KR200330088Y1 (ko) 소형 스피커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