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062Y1 - 이어폰유니트 - Google Patents

이어폰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062Y1
KR200245062Y1 KR2020010018166U KR20010018166U KR200245062Y1 KR 200245062 Y1 KR200245062 Y1 KR 200245062Y1 KR 2020010018166 U KR2020010018166 U KR 2020010018166U KR 20010018166 U KR20010018166 U KR 20010018166U KR 200245062 Y1 KR200245062 Y1 KR 200245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yoke
voice coil
permanent magnet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국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국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국전자
Priority to KR2020010018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062Y1/ko

Links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이어폰에서 전기적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부분으로서, 조립성 등을 감안하여 개선된 구조의 요크(11)를 구비하여 되는 다이나믹형 이어폰유니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 요크(11)는 영구자석(12)과 보이스코일(14)을 수용하는 원통부(11a)의 외주면에 이어폰하우징(20)내 원통형 지지부(21)와 큰 마찰력으로 접하도록 형성된 요철부(11d)와 그 내부 바닥면에 영구자석을 접착제로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너얼가공으로 표면이 거친 접착부(11e)를 가지며, 또한 보이스코일이 붙어 있는 진동판(15) 에지를 지지하는 플랜지부(11b)에는 그 보이스코일의 리드(14a)를 선택하여 인출할 수 있게 180°방향에 형성된 2개의 인출구(11c,11c')를 가진다. 이는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그 생산성을 높이고, 불량발생률 감소시켜 제품의 신뢰도를 높여주며, 그리고 구조적으로 슬림화가 가능하여 그 제품 적용범위 확대에도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이어폰유니트{Earphone Unites}
본 고안은 귀에 꽂아서 음악 등을 청취할 수 있게 된 이어폰(earphone)에서 전기적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부분으로서, 특히 조립 작업과 안정된 조립상태를 감안하여 개선된 요크를 가지는 이어폰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유니트로는 주로 다이나믹형 스피커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와같은 종래의 다이나믹형 이어폰유니트(10)와 이의 이어폰하우징(20)을 보인다. 이어폰유니트(10)는 요크(yoke; 11), 영구자석(12), 탑플레이트(top plate; 13), 보이스코일(voice coil; 14), 진동판(15), 회로기판(16), 보호덮개(17) 및 보호그릴(18)로 구성되며, 리벳(19)은 요크(11)에 영구자석(12)과 탑플레이트(13) 및 회로기판(16)을 고정하기 사용된 것이다. 요크(11)는 영구자석(12)을 지지하기 위한 원통부(11a)와 진동판(15)을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부(11b)를 가지며 그 플랜지부(11b) 일측에 보이스코일(14)의 리드(14a)를 외부의 회로기판(16)으로 인출시킬 수 있는 인출구(11c)를 가지고 있다.
이와같은 이어폰유니트(10)의 동작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보이스코일(14)은 음성(전류)신호로 여자되며, 그때 요크(11)와 탑플레이트(13) 사이에 누설되는 영구자석(12)의 자속과 쇄교하여 그 음성신호의 크기와 주파수에 따라 수직적으로 진동한다. 그러면 그 보이스코일(14)과 일체로 붙어 있는 진동판(15)이 함께 진동, 공기중에 음파를 발생함으로써 그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것이다.
한편, 이어폰하우징(20)은 전체적으로 이어폰유니트(10)의 요크(11) 이면부를 포위하는 형태로 되고, 그 안쪽에 요크(11)의 원통부(11a) 외주면을 꼭맞게 끼워둘 수 있는 원통형 지지부(21)를 가지고 있다. 도면중 22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오디오기기로부터 상기한 회로기판(16)을 통해 보이스코일(14)에 음성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코드(cord)이고, 부호 23은 이어폰하우징(10)과 유니트(20) 가장자리를 두루기 위한 마감용 밴드이다.
즉, 이어폰유니트(20) 조립후 그 요크(11)의 원통부(11a) 외부 바닥면에 리벳팅으로 고정된 회로기판(16)에 코드(22)를 접속한 상태에서 그 원통부(11a)를 이어폰하우징(20)의 원통형 지지부(21)에 끼운 상태로 그 이어폰유니트(10)와 이어폰하우징(20)의 가장자리를 마감용 밴드(23)로 둘러서 그 조립을 완료하게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다이나믹형 이어폰유니트의 조립구조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이어폰유니트 요크의 원통부와 이어폰하우징의 원통형 지지부간의 결합력이 약하여 작은 충격에도 불구하고 이어폰유니트가 그 이어폰하우징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사용중에도 유동됨으로써 회로기판상의 납땝부가 떨어지거나 재생시 이상소음이 발생되는 등 불량발생률이 높다는 것이다.
또한, 진동판을 조립하기 전 거기에 부착된 보이스코일의 리드 방향을 그 인출구쪽에 맞춰주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어폰유니트는 요크의 플랜지부상에 인출구가 한 곳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방향을 맞출 때 진동판을 좌 또는 우로 최대 180°까지 회전시켜야 하므로 그 작업이 지연되는 것은 물론, 그 과정에서 보이스코일이나 그 리드가 손상될 염려가 많으므로 그만큼 불량률도 높아진다.
한편, 다이나믹형은 다른 형식에 비하여 음질이 뛰어나므로, 주로 음악등을 청취하기 위한 이어폰에는 물론, 최근 음향성능이 강화되고 있는 개인휴대통신 단말기 등에도 많이 채택되고 있다. 그런데 이어폰은 물론, 개인휴대통신 단말기 등의 제품이 점차 경박단소화(輕薄短小化)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유니트의 슬림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이나믹형 이어폰유니트는 요크에 영구자석 등을 고정하기 위해 리벳팅하므로, 리벳의 머리가 진동판 공간을 비교적 크게 차지하여 유니트 전체를 슬림화하는데 장애가 되었다.
이에 대해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영구자석을 요크에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안이 고려되고는 있으나, 그 접착제만으로는 접착력이 약하여 장수명을 보장하기 힘들었고, 특히 접착 두께나 위치가 정확지 못하여 또다른 불량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첫째 이어폰하우징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보이스코일 리드의 인출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셋째 슬림화에 유리한 구조로 개선된 요크를 가지는 이어폰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이어폰유니트를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이어폰유니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유니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유니트의 개선된 요크상에 보이스코일 리드의 인출방향을 조절하는 작업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어폰유니트 11 : 요크
11a : 원통부 11b : 플랜지부
11c,11c' : 인출구 11d : 요철부
11e : 접착부 12 : 영구자석
14 : 보이스코일 14a : 리드
15 : 진동판 16 : 회로기판
20 : 이어폰하우징 21 : 원통형 지지부
전술한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자속을 발생하는 영구자석을 지지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로 여자되면 그 영구자석의 자속과 쇄교하여 진동하는 보이스코일을 수용하는 원통부, 그 보이스코일에 붙어서 함께 진동하여 공기중에 음파를 발생하는 진동판의 에지를 지지하며 보이스코일의 리드를 인출하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그 원통부와 대응하여 이어폰하우징에 형성된 원통형 수납부에 끼워서 장착하게 된 요크를가지는 이어폰유니트로서, 그 요크의 원통부 외주면에 상기 이어폰하우징의 원통형 수납부에 큰 마찰력으로 유동되지 않게 수납될 수 있는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두 번째 목적은, 상기 요크의 플랜지부에 상기 인출구를 180°위치에 놓이는 2개 또는 그 이상 형성하여, 보이스코일의 리드를 가장 가까이 있는 인출구쪽으로 그 인출방향 조절작업을 신속하게 마칠 수 있게 구현함으로써 달성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세 번재 목적은, 상기 요크의 원통부 내부 바닥면을 너얼가공하여 표면이 거친 접착부로 형성하고 그 접착부에 영구자석을 접착제로 견고하게 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달성하는 것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라 상기와 같이 개선된 구조의 요크를 가지는 이어폰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는 종래의 도 1 및 도 2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라 개선된 요크를 가지는 이어폰유니트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와 다르지 않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유니트(10)는 원통부(11a)와 플랜지부(11b)로 이루어진 요크(11), 자속을 발생하는 영구자석(12), 요크(11)와 공극을 형성하면서 그 공극에 자속을 누설시키는 자극면을 가지는 탑플레이트(13), 요크의 원통부 내 영구자석과 탑플레이트 주위의 공극에 수직적으로 진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보이스코일(14), 진동판(15), 회로기판(16), 보호덮개(17) 및 보호그릴(18)로 구성되며, 종래와 달리, 요크(11)의 원통부(11a) 외주면에 이어폰하우징(20)의 원통형 수납부(21)와 큰 마찰력으로 접촉토록 형성한 요철부(11d)와, 진동판(15) 에지가 접착고정되는 플랜지부(11b) 가장자리에 보이스코일(14) 리드(14a)를 선택하여 인출할 수 있게 180°방향으로 형성한 두 개의 인출구(11c,11c'), 그리고 종래의 리벳을 배제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영구자석(12)을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그 원통부(11a) 내부 바닥면을 너얼(knurl) 가공한 접착부(11e)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유니트(10)는 통상과 같이 유니트 조립후 그 요크의 원통부 외부 바닥면에 부착된 회로기판에 코드를 납땜하여 접속한 후 그 원통부를 이어폰하우징(20)의 원통형 지지부(21)에 끼워맞춘후 이이폰유니트(10)와 이어폰하우징(20)의 가장자리에 마감재(23)를 씌움으로써 도 4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다.
도 4의 원내 확대도 A를 참조하면, 요크(11)의 원통부(11a)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부(11d)가 이어폰하우징(20)의 원통형 지지부(21) 면에 강제 가압된 상태로 접하게 됨으로써 큰 마찰력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그 조립상태에서는 이어폰유니트가 이어폰하우징에서 쉽게 탈락되거나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요크(11)의 플랜지부(11b) 가장자리에는 2개의 인출구(11c,11c')가 180°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거기에 보이스코일(14)이 부착된 진동판(15)을 조립(접착)하기 전 보이스코일(14)의 리드(14a)를 그 2개의 인출구(11c,11c')중 가까이 위치된, 예를 들면 도면에서 우측에 위치된 인출구(11c')쪽으로 그 방향을 맞추면 된다. 즉, 보이스코일(14) 리드(14a)의 인출방향을 맞추기 위해서 종래에는 진동판을 좌 또는 우로 최대 180°까지 크게 회전시켰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좌 또는 우로 90° 이내로 회전시키면 된다. 따라서 그만큼 작업을 신속하게 마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보이스코일(14) 또는 리드(14a)가 손상될 염려가 줄므로 그만큼 불량률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4의 원내확대 B를 참조하면, 요크(11)의 원통부(11a) 내부 바닥면 일부에 형성된 접착부(11e)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영구자석(12)이 접착제(30)로 부착되어 있다. 그 접착부(11e)는 너얼가공에 의해 표면이 매우 거칠다. 따라서 접착제(30)의 접착면적이 증대되어 영구자석(12)의 부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어폰하우징에 견고하게 수납고정되는 이어폰유니트를 제공하여, 조립 또는 사용중 유니트가 쉽게 탈락되거나 유동되는 문제를 해결하며, 또한 보이스코일 리드의 인출방향을 조절하는 작업시간을 줄이고 그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량요인을 감소시키며, 그리고 영구자석을 접착제로도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이어폰유니트의 조립시간 단축으로 그 생산성이 향상되고, 불량률을 줄여서 제품의 신뢰도를 줄여주며, 구조적으로 슬림화가 가능하여 제품 적용범위를 확대시키는 등의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3)

  1. 자속을 발생하는 영구자석을 지지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로 여자되면 그 영구자석의 자속과 쇄교하여 진동하는 보이스코일을 수용하는 원통부(11a)와, 그 보이스코일에 붙어서 함께 진동하여 공기중에 음파를 발생하는 진동판의 에지를 지지하며 보이스코일의 리드를 인출하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1b)로 이루어지고, 그 원통부를 이어폰하우징에 형성된 원통형 지지부에 끼워서 장착하게 된 요크를 가지는 이어폰유니트에 있어서, 그 요크의 원통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하우징의 원통형 지지부에 큰 마찰력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 요철부(11d)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유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크가 그 플랜지부에 상기 보이스코일의 리드를 선택하여 인출할 수 있게 적어도 두곳 이상에 형성된 복수의 인출구(11c,11c')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유니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크가 그 원통부 내부 바닥면중 상기 영구자석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을 너얼가공으로 표면이 거친 접착부(11e)를 가지고 있고, 상기 영구자석이 그 접착부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유니트.
KR2020010018166U 2001-06-18 2001-06-18 이어폰유니트 KR200245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166U KR200245062Y1 (ko) 2001-06-18 2001-06-18 이어폰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166U KR200245062Y1 (ko) 2001-06-18 2001-06-18 이어폰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062Y1 true KR200245062Y1 (ko) 2001-10-31

Family

ID=7305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166U KR200245062Y1 (ko) 2001-06-18 2001-06-18 이어폰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0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874Y1 (ko) * 2004-05-04 2004-07-19 강상원 이어폰 유니트
KR102002529B1 (ko) * 2018-10-16 2019-10-01 안중환 노즐 일체형 스피커유닛을 구비한 이어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874Y1 (ko) * 2004-05-04 2004-07-19 강상원 이어폰 유니트
KR102002529B1 (ko) * 2018-10-16 2019-10-01 안중환 노즐 일체형 스피커유닛을 구비한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510B1 (ko) 고출력 마이크로스피커
US7760901B2 (en) Speake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307275B (zh) 高音扬声器及其制造方法和音效再现方法
KR100412221B1 (ko) 휴대 전화기용 소형 스피커
KR19980058033A (ko) 카오디오의 투웨이 스피커 일체형 구조
JP2004350199A (ja) スピーカ
CN110099338B (zh) 提高音响性能的音响设备
KR200245062Y1 (ko) 이어폰유니트
JP3140895B2 (ja) スピーカ装置
KR20110103597A (ko)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한 고효율 마이크로 스피커 구조
CN110572751B (zh) 扬声器组件、扬声器组件的组装方法以及发声设备
KR100503006B1 (ko) 소형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US8141675B2 (en) Micro-speaker
JP3904797B2 (ja) スピーカ装置
JP3605959B2 (ja) 楕円形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楕円形スピーカ
KR101558087B1 (ko) 진동판 모듈과 이를 이용한 장방형 스피커
WO2018051480A1 (ja) 電気音響変換装置
CN212910023U (zh) 一种扬声器
KR200249471Y1 (ko) 박막형스피커
JP2001016685A (ja) スピーカ
KR200330088Y1 (ko) 소형 스피커 유닛
JPS5912700A (ja) 複合型スピ−カ
JP2002218578A (ja) 多機能型発音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56874Y1 (ko) 이어폰 유니트
KR100503012B1 (ko)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