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499B1 - 다중 레벨 금속 집적회로내에 자기정렬된 바이어를 형성하는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레벨 금속 집적회로내에 자기정렬된 바이어를 형성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499B1
KR100272499B1 KR1019980031504A KR19980031504A KR100272499B1 KR 100272499 B1 KR100272499 B1 KR 100272499B1 KR 1019980031504 A KR1019980031504 A KR 1019980031504A KR 19980031504 A KR19980031504 A KR 19980031504A KR 100272499 B1 KR100272499 B1 KR 10027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ductive layer
aluminum
form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271A (ko
Inventor
바실리 킷치
Original Assignee
클라크 3세 존 엠.
내셔널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크 3세 존 엠., 내셔널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클라크 3세 존 엠.
Publication of KR19990029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85By forming conductive members before deposition of protective insulating material, e.g. pillars, stu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01L21/76883Post-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유전체에 의해 분리된 금속 층을 접속시키도록 자기 정렬된 금속 필라(pillar)를 사용하여 반도체 디바이스내에 바이어(via)를 형성하는 공정. 제 1 알루미늄 층은 반도체 기판상에 놓인 산화물 층상에 형성되고, 티타늄 질화물 층은 알루미늄 층상에 형성되며 최종적으로 제 2 알루미늄 층은 티타늄 질화물 층상에 형성된다. 한 연속적인 에칭 단계에서, 알루미늄/티타늄 질화물/알루미늄의 스택은 패터닝 및 에칭된다. 제 1 유전체는 데포지트되어 산화물 층의 노출된 영역 및 형성된 금속 스택상에 놓인다. 그리고 나서 웨이퍼는 평면화되어 제 2 알루미늄 층의 상부를 노출시킨다. 웨이퍼는 다시 패터닝되고 제 2 알루미늄 층은 에치 스톱(etch stop)으로서 티타늄 질화물을 사용하여 에칭된다. 제 2 유전체는 결과적인 갭을 채우도록 데포지트되고 CMP 공정은 웨이퍼를 평면화시키고 알루미늄 필라의 상부를 노출시키는데 사용된다. 제 3 알루미늄 층은 필라의 노출된 표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부 유전체상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다중 레벨 금속 집적회로내에 자기정렬된 바이어를 형성하는 방법
기술 분야
본발명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기정렬된 금속 필라(self-aligned metal pillar)내에 바이어(via)를 형성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집적회로는 한 개의 집적회로를 보통 형성하는 수만 수십만 개의 반도체 디바이스에 요구되는 레이아웃 영역을 감소시키는 수단으로서 다중 레벨 금속 상호접속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중 레벨 금속 스킴(scheme)에서 사용되는 두 개 이상의 금속 층이 전기적 단락없이 분리된 금속 층의 교차형성을 허용하는 유전체 층에 의해 분리되기 때문에 이러한 레이아웃 영역의 감소가 가능하다. 유전체에 의해 분리된 금속 층간의 의도적인 접속은 유전체내에 작은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를 알루미늄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채움으로써 만들어진다. 이러한 접속부는 바이어로 공지된 연속적인 금속 층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반도체 디바이스의 구조가 초미세한 범위내로 계속 축소되기 때문에, 다중 레벨 금속 상호접속부를 형성하는 동안 평면 금속 및 유전체 표면을 유지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평면성 결핍은 몇가지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들면, 포토레지스트 층에 의해 피복된 하부 토포그래피가 평탄성으로 인한 돌발 단계를 수반하는 경우, 포토레지스트 층의 두께는 균일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웨이퍼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공정에서 초기에 형성되는 피쳐(feature)상에 배치하는데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되는 경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는 이와같은 토포그래피 상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없다. 이러한 두께의 비균일성은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 층의 일부 영역들이 나중의 에칭 단계동안 하부 피쳐를 보호하는데 불충분한 두께를 초래하고 다른 영역들이 과도한 두께를 초래하여 포토레지스트 층의 완전한 두께는 초미세한 크기에서 포토리소그래피의 초점 깊이의 제한으로 인해 노출될 수 없다. 또한, 금속 및 유전체 층의 불량한 평면성은 금속 시트 저항, 전류-응력 고장에 대한 감수성, 전자 이동 문제, 및 전기적 개방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불량한 금속 스텝의 커버리지를 촉진시킨다. 게다가, 반도체 디바이스 공정에서 초기에 형성된 하부 금속 또는 유전체 층내의 불량한 평면성은 상기 공정에서 나중에 형성되는 하부 금속 또는 유전체 층내에 평면성을 설정하는데 어려움을 더욱 증가시킨다.
초미세한 반도체 디바이스내의 다중 레벨 금속 상호접속부에 대한 바이어 형성과 관련한 또다른 어려움은 바이어에 대한 유전체내에 형성된 개구를 지니는 상하부 금속 층의 정렬이다. 이러한 정렬은 초미세한 디바이스내의 디바이스 피쳐와 정렬 오차에 대한 이용가능한 감소된 허용차간의 작은 간격으로 인해 어렵다. 접속된 상하부 금속 층에 관련한 바이어의 오정렬은 감소된 디바이스 수율, 증가된 바이어 저항, 및 바이어내의 불량한 금속 커버리지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들어, 표준 바이어에서, 하부 금속 층에 대한 바이어의 오정렬은 하부 금속 층의 밑에 놓이는 유전체로의 오버에칭을 초래하여, 바이어 개구의 종횡비를 증가시키고 나중에 바이어를 금속으로 채우는 경우 적당한 스텝 커버리지를 방지한다; 결과는 바이어내의 불량한 접점 인터페이스 및 증가된 바이어 저항이다. 바이어에 대한 상부 금속 층의 오정렬은 하부 금속 층의 오버에칭 또는 노칭(notching)을 초래한다; 노칭된 하부 금속 층은 증가된 전류 밀도를 보여주며 결과적으로 전자이동 또는 전류 응력으로부터의 고장에 민감하다.
많은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바이어에 접속되는 상하부 금속 층의 레이아웃 치수는 바이어의 주변에서 레이아웃 프레임 또는 헤드를 형성하도록 바이어의 근처에서 확장된다. 이는 바이어를 프레이밍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은 부가적인 정렬 마진을 제공하여, 의도된 바이어 위치에 대한 상하부 금속 층의 부분적인 오정렬이 발생하는 경우 실제 형성된 바이어는 하부 금속 층의 일부상에 놓이거나 또는 상부 금속 층의 일부의 밑에 놓인다. 그렇지만, 반도체 디바이스 레이아웃에서 프레임된 바이어를 사용하는 역효과는 실장 밀도가 실질적으로 감소(또는 레이아웃 영역이 실질적으로 증가)된다는 것이다.
초미세 반도체 디바이스내의 다중 레벨 금속 상호접속부에 대한 바이어 형성과 관련한 세 번째 어려움은 바이어를 에칭하는 동안 폴리머 잔류물 형성에 의한 바이어의 접촉 저항이다. 이 잔류물은 플라즈마 에칭동안 형성되는 것이 전형적이며 바이어의 하부를 오염시켜 결과적으로 하부 금속 층과 바이어내의 금속간의 불량한 금속야금학적 접촉을 초래한다.
따라서, 형성된 금속 및 유전체 층의 표면 평면성을 향상시키고, 바이어 오정렬과 관련한 문제점들을 줄이고, 폴리머 잔류물과 관련한 접촉 저항 문제점들을 줄이며 관련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초미세한 반도체 디바이스내의 다중 레벨 상호접속부를 접속시키는 바이어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결과적으로 본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디바이스내에 바이어를 형성하는 향상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바이어 오정렬과 관련한 문제점들을 감소시키는 바이어를 형성하는 향상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수율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바이어를 형성하는 향상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스텝 커버리지를 향상시키는 바이어를 형성하는 향상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부가적인 목적은 접촉 저항을 향상시키는 바이어를 형성하는 향상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6은 본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단면으로 공정 단계를 예시한다.
도 7은 본발명의 자기 정렬된 이점을 보여주는 3중 층 금속 공정의 단면을 예시한다.
한가지 특정한 실시예에서, 본발명에 대한 상기 및 기타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유전체에 의해 분리되는 금속 층을 접속시키도록 자기 정렬된 금속 필라를 사용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내에 바이어를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성취된다. 제 1 도전성 층은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되고, 제 2 도전성 층은 상기 제 1 도전성 층상에 형성되며 제 3 도전성 층은 상기 제 2 도전성 층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제 3 도전성 층은 패터닝 및 에칭되어 제 1, 제 2 및 제 3 도전성 층의 패터닝된 부분을 형성한다. 제 1 유전체는 데포지트되어, 제 1, 제 2 및 제 3 도전성 층의 패턴닝된 부분간의 갭을 채우고, 반도체 기판의 노출된 부분상에 놓이는데, 여기서 웨이퍼는 노출된 제 3 도전성 층의 패턴닝된 부분을 남기는 화학 기계적 공정(CMP)을 사용하여 평면화된다.
그리고 나서 웨이퍼는 패터닝되고 제 3 도전성 층이 에칭되어, 에치 스톱(etch stop)으로서 제 2 도전성 층을 사용하여 필라를 형성하는데, 여기서 에치 화학물질은 제 3 도전성 층을 에칭하고 제 2 도전성 층과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
제 2 유전체 층은 제 3 도전성 층의 패터닝 및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갭을 실질적으로 채우도록 데포지트된다.
CMP는 웨이퍼를 평면화시키고 필라의 상부를 노출시키는데 사용된다.
제 4 도전성 층은 필라의 노출된 상부상에 놓이는 웨이퍼상에 형성된다.
도 1-6은 본발명의 한 특정 실시예에 따른 2중 금속을 사용하여 반도체 디바이스내의 금속 상호접속부의 상하부 층을 접속시키도록 바이어로서 사용되는 자기 정렬된 알루미늄 필라를 형성하는 공정을 단면으로 예시한다. 이 공정에서, 제 1 산화물 층(11)은 데포지트되어 반도체 기판(10)상에 놓이고, 제 1 알루미늄 층(12)은 데포지트되어 제 1 산화물 층(11)상에 놓인다. 다음으로, 티타늄 질화물 층(13)은 데포지트되어 제 1 알루미늄 층(12)상에 놓인다. 최종적으로, 제 2 알루미늄 층(14)은 데포지트되어 티타늄 질화물 층(13)상에 놓인다. 제 1 알루미늄(12), 티타늄 질화물(13) 및 제 2 알루미늄(14)의 스택은 패턴 및 에칭되어 제 1 알루미늄 층(12)내의 금속 상호접속부의 제 1 레벨에 대하여 바라는 대로 제 1 알루미늄(25), 티타늄 질화물 부분(26) 및 제 2 알루미늄 부분(27)을 남긴다. 제 2 산화물 층(28)은 데포지트되어 노출된 제 1 산화물 층(11)상에 놓이고 제 1 알루미늄 부분(25), 티타늄 질화물 부분(26) 및 제 2 알루미늄 부분(27)의 스택 사이의 갭을 채운다. 그리고 나서 웨이퍼는 웨이퍼를 평면화시키고 제 2 알루미늄 부분(27)의 상부를 노출시키도록 화학 기계적 공정(CMP)을 사용하여 평면화된다. 그리고 나서 제 2 알루미늄 부분(27)은 에치 스톱으로서 티타늄 질화물 부분(26)을 사용하여 필라(31)를 형성하도록 패터닝 및 에칭된다. 제 3 산화물 층(32)은 데포지트되어 웨이퍼상에 놓이고 제 2 알루미늄 부분(27)의 에칭에 의해 형성된 갭을 채운다. 그 다음으로 웨이퍼는 CMP를 사용하여 평면화되어 웨이퍼를 평면화시키고 필라(31)의 상부를 노출시킨다.
제 3 알루미늄 층(33)은 데포지트되어 제 2(28) 및 제 3(32)산화물 층상에 놓여 필라(31)의 상부 표면과 접촉시키는데, 결과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내의 금속 상호접속부의 두 레벨을 접속시킨다. 형성된 필라가 이 금속 층 모두 또는 어느 하나에 의해 프레이밍되는 것은 본발명에서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에 있어서, 제 1 산화물 층(11)은 형성되어 실리콘 기판(10)상에 놓인다. 제 1 산화물 층(11)만이 기판(10)상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계 산화물 영역, 폴리실리콘 영역, 금속 영역 및 활성 디바이스 영역과 같은 수많은 구조가 제 1 산화물 층(11)의 하부에 놓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하부 구조는 본발명의 실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않는데, 그 이유는 제 1 산화물 층(11)이 에치 백(etch back) 방법, 스핀 온 글래스(spin on glass; SOG), 리플로, CMP 또는 상부 층을 형성하기 전의 유사한 공정을 사용하여 평면화된다. 예를들면, 제 1 산화물 층(11)은 공지된 바와같은 포토레지스트로 에치 백에 의해 평면화된 데포지트된 BPSG 층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이 공정에서, 제 1 알루미늄 층(12)은 데포지트되어 제 1 산화물 층(11)상에 놓이고, 티타늄 질화물 층(13)은 데포지트되어 제 1 알루미늄 층(12)상에 놓이며, 제 2 알루미늄 층(14)은 데포지트되어 티타늄 질화물 층(13)상에 놓인다. 포토레지스트 층(23)은 제 2 알루미늄 층(14)의 표면상에 데포지트된다.
도 2에 있어서, 포토레지스트 층(23)은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 부분(24)을 남겨둔 채 패터닝된다. 제 1 및 제 2 알루미늄 층(12, 14)는 CL2, BCL3, 또는 HCL 같은 염소-기초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이방성적으로(anisotropically) 에칭되고, 티타늄 질화물 층(13)은 SF6, CF4또는 NF3같은 불소-기초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에칭되었고, 포토레지스트 부분(24)를 에칭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 1 알루미늄 부분(25)을 남겨두고, 티타늄 질화물 부분(26)은 제 1 알루미늄 부분(25)의 정상(top)에 위치하고, 제 2 알루미늄 부분(25)은 티타늄 질화물 부분의 정상에 적층 상태(stack)로 위치한다. 제 1 알루미늄 부분(25) 상에 에칭된 패턴은 금속 상호접속부부의 제 1 층에 대한 목적하는 패턴이다. 이 에칭 단계에 연이어, 제 1 알루미늄 층에 의해 도포되지 않은 제 1 산화물 층(11)의 구역은 노출된다.
포토레지스트 부분(24)은 티타늄 질화물 층(13)과 더불어 제 1 및 제 2 알루미늄 층(12, 14)의 에칭 중 건드리지 말아야 하므로, 본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통상의 하드 마스크를 사용하여 공지된 이러한 에칭 공정 중 포토레지스트 부분(24)을 강화한다.
도 3에 있어서, 제 1 산화물 층(28)은 고밀도 플라즈마(HDP) 산화물 데포지션 또는 SOG를 사용하여 데포지트되어, 노출된 제 1 산화물 층(11) 상에 놓이고, 제 1 및 제 2 알루미늄 층 및 티타늄 질화물 층(25, 27 및 26) 의 적층된 패턴 부분 사이의 갭을 충전한다. 제 2 산화물 층(28)은 이후 제 1 및 제 2 알루미늄 층 및 티타늄 질화물(25, 27, 및 25) 각각의 적층된 패턴 부분 정상을 노출시켜 표면을 평면화하는, 공지된 CMP를 사용하여 평면화된다. 포토레지스트 층(29)은 평면화된 알루미늄 부분(27) 및 제 2 산화물 층(28)의 표면상에 데포지트된다.
도 4에 있어서, 포토레지스트 층(29)는 포토레지스트 부분(30)을 남겨둔 채, 통상의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하여 패터닝되었다. 제 2 알루미늄 부분(31)은 필라된(pillared) 제 2 알루미늄 부분(31)을 남겨둔 채, CL2, BCL3또는 HCL 같은 염소-기초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이방성적으로 애칭되었다. 제 2 알루미늄 부분(27)을 에칭하는데 사용된 에칭 화학물질은 티타늄 질화물 부분(26)에 실질적으로 비반응성이고, 그래서 티타늄 질화물 부분(26)은 이러한 에칭 중 에치 스톱으로서 작용한다. 제 2 알루미늄 부분(27)의 에칭에 연이어, 필라된(pillared) 제 2 알루미늄 부분(31)의 의해 도포되지 않은 티타늄 질화물 부분(26)의 정상 표면은 노출된다. 그러므로, 본발명에 따르면, 자기-정렬된 알루미늄 필라가 형성되어 제 1 레벨의 금속 상호접속부와, 이후에 형성되는 제 2 레벨의 상호접속부를 접속시킨다. 형성된 알루미늄 필라는 어떠한 유도 스트레스 없이 하부 티타늄 질화물 층에 양호하게 부착하고, 그리하여 필라 변형 또는 박판화로 인한 문제는 회피된다.
티타늄 질화물 부분(25)의 정상 표면의 어떤 구역은, 포토레지스트 부분(30)에 의해 보호되지 않은, 제 2 알루미늄 부분(27) 상에 놓이는 구역이 에칭 중 제거된 이후 노출된다. 에칭 화학물질이 티타늄 질화물에 실질적으로 비반응성이지만, 어떤 티타늄 질화물 부분(26)은 그 정상 표면이 노출된 이후 서서히 제거되다. 그러므로, 티타늄 질화물 부분(26)은, 제 2 알루미늄 부분(27)이 완전히 에칭될 때까지 하부의 제 1 알루미늄 부분(25)을 보호할 만큼 충분히 두꺼워야 한다. 예를들면, 알루미늄 대 티타늄 질화물에 대한 화학물질의 선택성 비는 약 10:1이다. 그러므로, 티타늄 질화물 부분(26)의 두께는, 에칭 중 제 1 알루미늄 부분(25)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 2 알루미늄 부분(27)의 오버-에칭의 10분의 1 또는 그 이상이다.
도 5에 있어서, 제 3 산화물 층(32)은 HDP 산화물 데포지션 또는 SOG를 사용하여 데포지트되어 노출된 티타늄 질화물 부분(25)상에 놓이고, 갭을 메우는데, 이는 제 2 알루미늄 부분(31) 형성으로 인한 결과이다. 제 3 산화물 층(32)은 이후 CMP 공정을 사용하여 평면화되어 필라된 제 2 알루미늄 부분(31)의 정상을 노출시킨다.
도 6에 있어서, 제 3 티타늄 층은 데포지트되어 제 3 산화물 층(32) 및 필라된 제 2 알루미늄 부분(31) 상에 놓이고, 전기적 접점을 형성한다. 제 3 알루미늄 층은 이후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패터닝되어 제 3 알루미늄 부분(34)을 형성한다. 하부 제 3 산화물 층(32)은 평면화되고 필라된 제 2 알루미늄 부분(31)의 상대적으로 얇은 부분만이 제 3 산화물 층(32)의 표면 위로 돌출하므로, 제 3 알루미늄 층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 도포율, 표면 평면성으로써 데포지트된다. 패시베이션 층(34)은 형성되어 제 3 산화물 층(32)의 노출된 구역과 제 3 알루미늄 부분(34) 상에 놓인다.
본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데포지트되는 모든 금속, 포토레지스트, 및 유전체 층은 평면화 단계에서 실질적으로 평면인 하부 표면 또는 에칭된 후면 상에 데포지트될 수 있고, 그러므로 형성된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능력 및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중-레벨 상호접속부의 형성 중 평면을 유지하는 것은 서브-마이크론 반도체 디바이스의 성공적인 제조에 중요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있다.
도 7은,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형성된 바이어로서, 3중-레벨 금속 및 2 개의 자기-정렬 알루미늄 필라를 사용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면을 예시한다. 제 1 및 2 바이어는 상기한 도 1- 5에서 예시된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된다.
도 7에서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1 산화물(41)은 데포지트되어 반도체 기판(50)상에 놓인다. 제 1 알루미늄 부분(52), 제 1 티타늄 질화물 부분(53) 및 제 2 알루미늄 부분은 전기한 실시예에서 논의된 것처럼 형성된다. 제 1 알루미늄 부분(52)은 제 1 산화물 부분(51) 상에 놓이고, 제 1 티타늄 질화물 부분(53)은 제 1 알루미늄 부분(52) 상에 놓이고, 제 2 알루미늄 부분은 제 1 타타늄 질화물 부분 상에 놓인다. 제 2 산화물 층(55)은 데포지트되어 제 1 산화물(51)의 노출된 부분상에 놓인다. 제 2 산화물 층(55)은 에칭 백(back) 또는 유사 공정을 사용하여 평면화된다. 제 2 알루미늄 부분은 패터닝되어 제 1 필라(56)를 형성하여 패터닝된제 1 티타늄 질화물 부분(53) 상에 놓인다. 제 1 필라(56)는 완성된 디바이스에서 바이어(via)로서 사용된다. 제 1 알루미늄 부분(52)은 패터닝되어, 제 1 티타늄 질화물 층(53) 및 제 2 알루미늄 부분을 형성하는 동일한 에칭 중 제 1 레벨의 금속 상호접속부를 형성한다. 제 3 산화물 층(57)은 데포지트되어 제 1 티타늄 질화물 층(53)의 노출된 구역 상에 놓이고, 제 1 필라(56)를 형성하기 위한 제 2 알루미늄 부분의 에칭에 의해 발생된 갭을 메운다. 제 3 산화물 층(57)은 이후 CMP 공정을 사용하여 제 1 필라(56)의 정상을 노출시키면서 평면화된다.
제 2 바이어의 형성은 제 3 산화물 층(57)의 평면화에 연이어 시작하고, 도 1-6에 대해 예시된 본발명의 방법을 반복한다. 제 3 산화물 층(57)은 평면화되었고 이러한 공정에 의한 제 2 바이어 형성에 적합한 표면을 제공한다. 제 2 바이어의 형성을 개시하기 위하여, 제 3 알루미늄 부분(58), 제 2 티타늄 질화물 부분(59) 및 제 4 알루미늄 부분이 형성되어 제 3산화물 층(57) 및 제 1 필라(56)의 노출된 구역 상에 놓여서, 도 1-6에서 예시된 동일 공정을 사용하여 그 정상과 접촉한다. 제 3 알루미늄 부분(58)은 제 3 산화물 층(57) 상에 놓이고, 제 4 알루미늄 부분은 제 2 티타늄 질화물 부분(59) 상에 놓인다. 제 4 산화물 층(61)은 데포지트되어 제 3 산화물(57)의 노출된 구역 상에 놓인다. 제 4 산화물 층(61)은 이후 에칭 백 또는 유사 공정을 사용하여 평면화된다. 제 4 알루미늄 부분은 패터닝되어 제 2 필라(62)를 형성하여 패터닝된 제 2 티타늄 질화물 부분(59) 상에 놓인다. 제 2 필라(62)는 완성된 디바이스에서 바이어로서 사용될 것이다. 제 3 알루미늄 부분(58)은, 제 2 티타늄 질화물 부분(59) 및 제 4 알루미늄 부분을 형성하는 동일한 에칭 중, 패터닝되어 제 2 레벨의 금속 상호접속부를 형성한다. 제 5 산화물 층(63)은 이후 평면화되어 CMP 공정을 사용하여 제 2 필라(62)의 정상을 노출시킨다.
제 5 알루미늄 부분(64)은 이후 형성되어 제 5 산화물 층(63) 및 제 2 필라(62)의 노출된 부분 상에 놓여서 유전체 접점을 형성한다. 제 5 알루미늄 부분(64)은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제 3 레벨의 금속 상호접속부로서 작용하고, 패시베이션 층(65)이 형성되어 제 5 산화물 층(63)의 노출된 구역과 제 5 알루미늄 부분(6) 상에 놓인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 두 개의 바이어가 다중- 레벨 금속 상호접속부를 가지는 반도체 디바이스 내에 형성된다. 제 1 바이어에서, 제 1 필라(56)는 부분(52) 또는 (53)에 의한 어떠한 프레이밍 없이 형성된다; 제 1 필라(56)의 수평 치수는 부분(52) 및 (53)의 수평 치수와 동일하다. 제 2 바이어에서, 제 2 필라(62)는 부분(58) 또는 (59)에 의한 어떠한 프레이밍 없이 형성된다. 제 2 필라(62)의 수평 치수는 부분(58) 및 (59)와 동일하다. 더욱이, 제 2 필라(62)는 제 5 알루미늄 부분(64)에 의해 프레이밍되지 않는다. 본발명에 따르면, 상부 또는 하부 금속 층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프레이밍되지 않는 바이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밀집된 레이아웃을 요하는 반도체 디바이스에 사용하는데 유리한데, 왜냐하면 상부 또는 하부 금속 층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프레이밍되지 않는 바이어를 사용하는 것은 디바이스 패킹 밀도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본발명의 실시가 이중-레벨 및 3중 레벨 금속 반도체 디바이스에 대해 예시되었지만, 본발명은 다중-레벨 반도체 디바이스 내에서 어떠한 수의 레벨의 금속 상호접속부를 형성하는데도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는 본발명의 범위 내로 고려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서 사용된 유전체 층은 포스포실리케이트 유리(PSG), 보로실리케이트 유리(BSG), 보로포스포실리케이트 유리(BPSG), 플라즈마-향상된 산화물(PE0), 플라즈마-향상된 질화물(PEN) 또는 낮은 K 유전체와 같은 저온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어떠한 수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발명의 실시에 사용된 모든 또는 어떤 금속 층들은 서로 다른 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필라는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필라의 기저부에서의 에치 스톱 금속은 텅스텐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금속 상호접속부 층은 티타늄 또는 티타늄-텅스텐 합금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 텅스텐,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탄탈룸, 탄탈룸 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 형성된 반도체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본발명의 범위 내의 많은 금속 조합이 있다. 도전 금속 본발명의 실시를 위해서는 오로지 도전 금속 층만이 필요하고, 도전 금속 층은 위에 놓여질 도전 층에 대한 에치 스톱으로서 작용하고, 필라-형상화된 바이어의 기저부에서 형성된다.
본발명의 중요한 장점은 형성된 바이어가 하부 금속과 함께 자기-정렬한다는 것이다. 본발명의 바이어는 금속 층을 데포지트하고, 포토레지스트에 의해 보호되지 않는 주위 금속을 제거하여 금속 필라를 형성하고, 이후 이 형성된 필라 주위로 유전체를 데포지트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표준 바이어 형성 공정에서 구멍이 유전체 층 내에 형성되고, 이후 금속으로 채워진다. 서브-마이크론 기하학에서, 필라를 사용하여 바이어를 형성하는 것은 금속으로 구멍을 채우는데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필라의 형성은 충실하게-채워진 금속 바이어를 제공하는 반면, 구멍의 충전은 빈약한 금속 단계 도포율을 나타내는 부분적으로-충전된 금속 바이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빈약한 단계 도포율은 높은 종횡 비에 기인하고, 이는 서브-마이크론 디바이스에 대한 유전체 층 내에서 형성된 개방부(opening)의 필수적 특징이다. 더욱이, 복잡한 바이어 에칭, 바이어 청소, 바이어 충전 및 금속 정렬에 대한 바이어의 제거는 웨이퍼 제조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본발명의 방법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를 위한 많은 공정 내에 쉽게 합체될 수 있도록 도시되었다. 에치 스톱 층의 사용은, 전체 서브-마이크론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공정을 통하여, 실질적인 평면을 가진 바이어 및 다중-레벨 상호접속부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 및 구조의 다양한 변형법 및 대체법은 본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본발명이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청구된 발명은 이러한 특정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은 숙지되어야 한다. 다음의 청구항은 본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 이들 청구항 및 균등 범위 내의 구조 및 방법을 포함할 의도이다.
본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내에 바이어를 형성하는 향상된 방법, 바이어 오정렬과 관련한 문제점들을 감소시키는 바이어를 형성하는 향상된 방법, 수율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바이어를 형성하는 향상된 방법, 스텝 커버리지를 향상시키는 바이어를 형성하는 향상된 방법, 접촉 저항을 향상시키는 바이어를 형성하는 향상된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5)

  1. 반도체 디바이스내에 바이어(via)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상에 놓인 제 1 도전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도전성 층상에 놓인 상기 제 1 도전성 층과 다른 재료의 제 2 도전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도전성 층상에 놓인 상기 제 2 도전성 층과 다른 재료의 제 3 도전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도전성 층의 패터닝된 부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도전성 층을 동시에 에칭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부분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노출된 부분상에 놓인 제 1 유전체 층을 데포지트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유전체 층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도전성 층의 에칭에 의해 형성된 결과적인 갭을 채우는 단계;
    상기 제 3 도전성 층의 패터닝된 부분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제 1 유전체 층을 평면화시키는 단계;
    필라를 형성하도록 에치 스톱과 같은 상기 제 2 도전성 층을 사용하여 상기 제 3 도전성 층의 일부를 에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에칭 단계는 상기 제 2 도전성 층 보다 실질적으로 더 많은 상기 제 3 도전성 층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단계;
    제 2 유전체 층을 데포지트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유전체 층은 상기 제 3 도전성 층의 에칭에 의해 형성된 결과적인 갭을 채우는 단계; 및
    상기 필라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제 2 유전체 층을 평면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의 노출된 상부상에 놓인 제 4 도전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알루미늄, 텅스텐,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탄탈룸, 탄탈룸 질화물,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알루미늄, 텅스텐,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탄탈룸, 탄탈룸 질화물,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반도체 디바이스내에 바이어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상에 놓인 제 1 유전체 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유전체 층상에 놓인 제 1 금속의 제 1 도전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도전성 층상에 놓인 제 2 금속의 제 2 도전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도전성 층상에 놓인 상기 제 1 금속의 제 3 도전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도전성 층의 패터닝된 부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도전성 층을 동시에 에칭하고 상기 제 1 유전체 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유전체 층의 노출된 부분상에 놓인 상기 유전체 층을 데포지트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유전체 층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도전성 층의 에칭에 의해 형성된 결과적인 갭을 채우는 단계;
    상기 제 3 도전성 층의 패터닝된 부분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제 2 유전체 층을 평면화시키는 단계;
    필라를 형성하도록 에치 스톱과 같은 상기 제 2 도전성 층을 사용하여 상기 제 3 도전성 층의 일부를 에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에칭 단계는 상기 제 2 도전성 층 보다 실질적으로 더 많은 상기 제 3 도전성 층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단계;
    제 3 유전체 층을 데포지트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3 유전체 층은 상기 제 3 도전성 층의 에칭에 의해 형성된 결과적인 갭을 채우는 단계;
    상기 필라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제 3 유전체 층을 평면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필라의 노출된 상부상에 놓인 제 4 도전성 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19980031504A 1997-09-03 1998-08-03 다중 레벨 금속 집적회로내에 자기정렬된 바이어를 형성하는방법 KR100272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23,859 US5904569A (en) 1997-09-03 1997-09-03 Method for forming self-aligned vias in multi-metal integrated circuits
US8/923,859 1997-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271A KR19990029271A (ko) 1999-04-26
KR100272499B1 true KR100272499B1 (ko) 2000-12-01

Family

ID=2544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504A KR100272499B1 (ko) 1997-09-03 1998-08-03 다중 레벨 금속 집적회로내에 자기정렬된 바이어를 형성하는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5904569A (ko)
KR (1) KR100272499B1 (ko)
DE (1) DE19834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69619B (en) * 1998-05-26 2001-12-21 Winbond Electronics Corp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etal line
JP3266109B2 (ja) * 1998-08-05 2002-03-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デバイスの作製方法
EP1058304B1 (en) * 1999-05-31 2005-08-17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for autoaligning overlapped lines of conductor material provided in integrated electronic circuits
US6200900B1 (en) 1999-10-08 2001-03-1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for formation of an air gap in an integrated circuit architecture
US6339027B1 (en) 1999-11-22 2002-01-15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Process for borderless stop in tin via formation
US6350695B1 (en) * 2000-06-16 2002-02-26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Pillar process for copper interconnect scheme
JP4425432B2 (ja) * 2000-06-20 2010-03-03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620723B1 (en) 2000-06-27 2003-09-16 Applied Materials, Inc. Formation of boride barrier layers using chemisorption techniques
US6551929B1 (en) 2000-06-28 2003-04-22 Applied Materials, Inc. Bifurcated deposition process for depositing refractory metal layers employing atomic layer deposition and chem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s
US7732327B2 (en) 2000-06-28 2010-06-08 Applied Materials, Inc. Vapor deposition of tungsten materials
US7964505B2 (en) 2005-01-19 2011-06-21 Applied Materials, Inc. Atomic layer deposition of tungsten materials
US7405158B2 (en) 2000-06-28 2008-07-29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for depositing tungsten layers employing atomic layer deposition techniques
US6413872B1 (en) 2000-08-17 2002-07-0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p optimizing vias between conductive layers in an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US6765178B2 (en) 2000-12-29 2004-07-20 Applied Materials, Inc. Chamber for uniform substrate heating
US6825447B2 (en) 2000-12-29 2004-11-30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niform substrate heating and contaminate collection
US6951804B2 (en) 2001-02-02 2005-10-04 Applied Materials, Inc. Formation of a tantalum-nitride layer
US6878206B2 (en) 2001-07-16 2005-04-12 Applied Materials, Inc. Lid assembly for a processing system to facilitate sequential deposition techniques
US6660126B2 (en) 2001-03-02 2003-12-09 Applied Materials, Inc. Lid assembly for a processing system to facilitate sequential deposition techniques
US6355563B1 (en) * 2001-03-05 2002-03-12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Versatile copper-wiring layout design with low-k dielectric integration
US6734020B2 (en) 2001-03-07 2004-05-11 Applied Materials, Inc. Valve control system for atomic layer deposition chamber
US7087997B2 (en) * 2001-03-12 2006-08-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pper to aluminum interlayer interconnect using stud and via liner
US6849545B2 (en) 2001-06-20 2005-02-01 Applied Materials, Inc. System and method to form a composite film stack utilizing sequential deposition techniques
US7211144B2 (en) 2001-07-13 2007-05-01 Applied Materials, Inc. Pulsed nucleation deposition of tungsten layers
DE10149736C1 (de) * 2001-10-09 2003-04-17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Ätzen eines Metallschichtsystems
US6916398B2 (en) 2001-10-26 2005-07-12 Applied Materials, Inc. Gas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atomic layer deposition
US7780785B2 (en) 2001-10-26 2010-08-24 Applied Materials, Inc. Gas delivery apparatus for atomic layer deposition
DE10154820B4 (de) * 2001-11-08 2005-06-02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aske für Halbleiterstrukturen
US6729824B2 (en) 2001-12-14 2004-05-04 Applied Materials, Inc. Dual robot processing system
US6706639B2 (en) 2001-12-28 2004-03-16 Union Semiconductor Technology Corp. Method for interconnecting magnetoresistive memory bits
US6620670B2 (en) 2002-01-18 2003-09-16 Applied Materials, Inc. Process conditions and precursors for atomic layer deposition (ALD) of AL2O3
US6911391B2 (en) 2002-01-26 2005-06-28 Applied Materials, Inc. Integration of titanium and titanium nitride layers
US6998014B2 (en) 2002-01-26 2006-02-14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lasma assisted deposition
US6827978B2 (en) 2002-02-11 2004-12-07 Applied Materials, Inc. Deposition of tungsten films
US6833161B2 (en) 2002-02-26 2004-12-21 Applied Materials, Inc. Cyclical deposition of tungsten nitride for metal oxide gate electrode
US6720027B2 (en) 2002-04-08 2004-04-13 Applied Materials, Inc. Cyclical deposition of a variable content titanium silicon nitride layer
US7279432B2 (en) 2002-04-16 2007-10-09 Applied Materials, Inc.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n integrated barrier layer
US6821563B2 (en) 2002-10-02 2004-11-23 Applied Materials, Inc. Gas distribution system for cyclical layer deposition
KR100829367B1 (ko) * 2002-12-17 2008-05-13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트렌치 제조 방법
US6864171B1 (en) * 2003-10-09 2005-03-08 Infineon Technologies Ag Via density rules
US20060172526A1 (en) * 2003-10-16 2006-08-03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preventing edge peeling defect
RU2523064C1 (ru) * 2013-01-23 2014-07-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молекулярной электроники" (ОАО "НИИМЭ"),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многоуровневых медных межсоединений интегральных микросхем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ольфрамовой жесткой маски
US9685370B2 (en) 2014-12-18 2017-06-20 Globalfoundries Inc. Titanium tungsten liner used with copper interconnects
US10867853B2 (en) 2016-05-27 2020-12-15 Intel Corporation Subtractive plug and tab patterning with photobuckets for back end of line (BEOL) spacer-based interconnects
US11177171B2 (en) * 2019-10-01 2021-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capsulated top via interconnects
KR20220108246A (ko) 2021-01-25 202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0332A (en) * 1988-07-21 1989-03-07 Micro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multilayer copper interconnect
US4917759A (en) * 1989-04-17 1990-04-17 Motorola, Inc. Method for forming self-aligned vias in multi-level metal integrated circuits
US5258096A (en) * 1992-08-20 1993-11-02 Micron Semiconductor, Inc. Method of forming local etch stop landing pads for simultaneous, self-aligned dry etching of contact vias with various depths
US5354712A (en) * 1992-11-12 1994-10-11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 for forming interconnect structures for integrated circuits
US5451543A (en) * 1994-04-25 1995-09-19 Motorola, Inc. Straight sidewall profile contact opening to underlying interconnec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004884A (en) * 1996-02-15 1999-12-21 Lam Research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etching semiconductor wafers
US5858879A (en) * 1997-06-06 1999-01-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etching metal lines with enhanced profile control
US5827768A (en) * 1997-07-07 1998-10-27 National Science Council Method for manufacturing an MOS transistor having a self-aligned and planarized raised source/drain structure
US6037223A (en) * 1998-10-23 2000-03-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tack gate flash memory cell featuring symmetric self aligned contact structures
US6030896A (en) * 1999-04-21 2000-02-2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elf-aligned copper interconnect architecture with enhanced copper diffusion b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03629A (en) 2000-08-15
US6140238A (en) 2000-10-31
KR19990029271A (ko) 1999-04-26
US5904569A (en) 1999-05-18
DE19834917A1 (de) 199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499B1 (ko) 다중 레벨 금속 집적회로내에 자기정렬된 바이어를 형성하는방법
US4917759A (en) Method for forming self-aligned vias in multi-level metal integrated circuits
US6174804B1 (en) Dual damascene manufacturing process
US6509623B2 (en) Microelectronic air-gap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0387255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JP3672752B2 (ja) デュアルダマシン構造体とその形成方法
US6812572B2 (en) Bit line landing pad and borderless contact on bit line stud with localized etch stop layer formed in void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518671B1 (en) Bit line landing pad and borderless contact on bit line stud with localized etch stop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348734B1 (en) Self-aligned copper interconnect architecture with enhanced copper diffusion barrier
US6124200A (en) Method of fabricating an unlanded via
US6818547B2 (en) Dual damascene process
JPH11150114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413872B1 (en) Method op optimizing vias between conductive layers in an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US6884713B2 (en) Method for forming metal line of semiconductor device
US6200890B1 (en) Method of fabricating copper damascene
US20020048934A1 (en) Planarization method on a damascene structure
CN111211095B (zh) 导电互连线的制造方法
US6391745B1 (en) Method for forming overlay verniers for semiconductor devices
US708389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H11186274A (ja) デュアル・ダマスク技術
US604879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interconnects
US6297144B1 (en) Damascene local interconnect process
US6245667B1 (en) Method of forming via
US6271116B1 (en) Method of fabricating interconnects
KR100289672B1 (ko) 자기배열된언랜디드비아의금속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8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