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521B1 -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521B1
KR100271521B1 KR1019980039528A KR19980039528A KR100271521B1 KR 100271521 B1 KR100271521 B1 KR 100271521B1 KR 1019980039528 A KR1019980039528 A KR 1019980039528A KR 19980039528 A KR19980039528 A KR 19980039528A KR 100271521 B1 KR100271521 B1 KR 100271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sar
pdu
po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780A (ko
Inventor
고석범
박재화
정학진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3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521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04L2012/5653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 H04L2012/5654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using the AAL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간 항등 비트율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로 AAL1을 채택하는 고속의 수신장치를 설계 구현하므로서, ATM 선입선출기 및 사용자 선입선출기에서 발생되는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상모드 지원은 물론 구조적 데이터 전달방법을 동시에 지원하였으며, 신호원 클럭 복원을 위한 동기식 잔여 시간 스탬프(SRTS) 모드를 지원하여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현재 개발되고 있는 각종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팀 예를 들어 주문형 시스팀(VOD), 화상회의 시스팀, 공동작업시스팀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실시간 멀티미디어 통신 시험망에 사용될 수 있는 잇점을 수반한다.

Description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 장치
본 발명은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TM Adaptation Layer 1 : 이하 AAL1 이라 칭한다) 수신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간 항등 비트율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로 AAL1을 채택하는 고속의 수신장치를 설계 구현하여, 패킷화 및 고속 구현에 따르는 문제를 해결하고, 셀 손실 및 오삽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유효한 사용자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해 주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관계로 통상 광대역을 이용하며, 이를 패킷화 및 고속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속 구현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대신 하드웨어를 사용하면 별 문제없이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지만 문제는 패킷화 하는데 있다.
이는 지연이 너무 커도 안되고, 망을 통과하면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오류 상황에 대한 대처 방안이 있어야 하며, 또한 신호원 클럭 복구 등의 여러 가지 부대기능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하나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구성하는 여러 매체들의 패킷와 및 프로토콜에 대한 요구사항이 서로 다른 문제가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접근 방법이 있으며, 그 일 예로는 동영상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정의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감안하여, 실시간 항등 비트율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로 AAL1을 채택하는 고속의 수신장치를 설계 구현하여, 패킷화 및 고속 구현에 따르는 문제를 해결하고, 셀 손실 및 오삽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유효한 사용자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해주기 위한 AAL1 계층 수신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AAL1 계층 수신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수신부 상세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ATM 선입선출기 2 : 수신부
3 : 클럭 복구부 4 : 사용자 선입선출기
5 : 제어부 21 : 헤더 검사기
22 : 신호원 클럭 복원기 23 : 프레임신호 복원기
24 : 데이터 저장기 25 : 제어신호 생성기
51 : ATM 인터페이스부 52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TM 계층으로 부터 입력되는 SAR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를 수신하기 위한 ATM 선입선출기와;
상기 ATM 선입선출기로 부터 SAR-PDU의 헤더를 받아 먼저 유효한지를 판단하고, 그 다음에 순서번호를 확인하여 손실이나 오삽입 등이 발생하였는지 검출하는 수신부와;
SAR-PDU로 부터 잔여시간 스탬프(RTS)를 추출하여 위상동기루프(PLL)로 클럭을 복구하는 클럭 복구부와;
구조적 데이터 전달(SDT) 모드인 경우에는 유로부하에서 포인터를 추출하여 프레임의 경계 정보를 입수하며, SAR-PDU의 유로부하를 외부 시스팀으로 전달하는 사용자 선입선출기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특징들,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패킷화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고정 비트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비스하기 위한 AAL1 계층의 수신부 기능을 담당하며, 크게 아래와 같은 두 가지의 종래 기술을 개선하고자 한다.
첫째, 종래에는 셀 손실과 오삽입의 구별 필요성이 검토 중이어서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수신부에서 셀 손실과 셀 오삽입의 구별을 연속한 두 셀의 순서번호를 보고 판단하는데, 현재 입력된 셀이 예상했던 순서번호를 가지지 않은 경우 일단 손실 또는 오삽입이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바로 그 다음에 들어오는 셀의 순서번호를 살펴 보았을 때, 만약 이 셀의 순서번호가 원래 예상했던 순서번호라면 앞의 셀은 오삽입으로 판단한다.
만약 그 다음의 셀이 원래 예상했던 순서번호를 가지지 않았다면 앞의 셀 이전에서 손실이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이처럼 셀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위 계층인 사용자 계층에 47바이트의 더미 셀에다가 1바이트의 제어신호를 묶어 48바이트를 올려 보내어 손실을 알리는 방식과, 아예 셀 손실을 알리는 어떤 정보도 보내지 않는 방식 등 두 가지 동작 모드가 가능하도록 설계 구현하였다.
셀 오삽입이 발생하면 오삽입된 셀은 폐기시키며, 오삽입의 발생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 바, 이는 실제로 셀의 순서가 뒤바뀐 경우와, 비트에러로 인해 다른 가상채널식별자(VCI)의 셀이 들어와서 우연하게도 헤더 오류검사를 무사히 통과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중 첫 번째는 ATM망의 연결성 성격으로 인하여 발생확률이 매우 작고, 대부분의 오삽입 셀은 두 번째에 기인하게 될 것으로 판단되는 바, 이때의 오삽입 셀은 폐기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 개선사항으로는 ATM 계층에서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egmenation And Reassemble-Protocol Data Unit : 이하 SAR-PDU라 칭한다)를 선입선출기(First In First Out : FIFO)에 쓸 때 사용하는 쓰기 신호(WR)를 카운팅하여 하나의 SAR-PDU만큼의 데이터가 쌓이면 읽기 시작신호(RD_START)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읽기 시작(RD_START)신호가 한 번 발생해서 선입선출기로 부터 데이터를 읽고 있는 도중에 또 다시 읽기 시작(RD_START)신호가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때 송신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선입선출기에 하나의 SAR-PDU만큼의 데이터를 쓰는 시간이 AAL1 계층에서 하나의 SAR-PDU를 처리하는 시간보다 짧아질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일이 발생할 수는 없다.
그러나 수신장치에서는 ATM 계층에서 연속적으로SAR-PDU를 처리할 경우 상기와 같은 일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읽기 시작신호(RD_START)가 한 번 발생하면 이에 대한 읽기완료(RD_OK)신호를 수신하기 전에는 읽기 시작신호(RD_START)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써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와 같은 이론을 바탕으로 구현한 본 발명의 수신장치를 보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AAL1 계층 수신부의 전체 블록을 나타낸 구성도로, ATM 계층으로 부터 입력되는 SAR-PDU를 수신하기 위한 ATM 선입선출기(FIFO)(1)와;
상기 ATM 선입선출기(1)로 부터 SAR-PDU의 헤더를 받아 먼저 유효한지를 판단하고, 그 다음에 순서번호를 확인하여 손실이나 오삽입 등이 발생하였는지 검출하는 수신부(2)와;
SAR-PDU로 부터 잔여시간 스탬프(Residual Time Stamp : 이하 RTS라 칭한다)를 추출하여 위상동기루프(PLL)로 클럭을 복구하는 클럭 복구부(3)와;
구조적 데이터 전달(Structured Data Transfer : 이하 SDT라 칭한다) 모드인 경우에는 유로부하에서 포인터를 추출하여 프레임의 경계 정보를 입수하며, SAR-PDU의 유로부하를 외부 시스팀으로 전달하는 사용자 선입선출기(4)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신부(2)는 본 발명의 핵심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AR헤더를 검사하는 헤더 검사기(21)와;
수신측 신호원 복구기능을 담당하는 신호원 클럭 복원기(22)와;
포인터로 부터 사용자 데이터의 경계 정보를 추출하여 프레임 신호 발생을 복구해 주는 프레임 신호 복원기(23)와;
상기 헤더 검사기(21)에서 순서 번호 처리를 통한 오류 검사를 위해 하나의 SAR-PDU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기(24)와;
상기 ATM 선입선출기(1)로 부터 읽기신호, 사용자 선입선출기(4)로 쓰기신호 및 상기 각 부 등에 관련된 주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기(2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5)는 ATM 선입선출기(1)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부로, 수신부(2)로 부터 데이터를 읽기 시작하라는 신호(RD_START)가 입력되면 ATM 선입선출기(1)로 부터 48바이트의 SAR-PDU를 읽어들이기 위해 ATM 선입선출기 입력신호(RD)를 48번 발생시키는 ATM 인터페이스부(51)와;
사용자 선입선출기(4)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부로, 수신부(2)로 부터 데이터를 쓰기 시작하라는 신호(WR_START)가 입력되면 수신부(2)로 부터 출력되는 47바이트의 SAR_PDU 데이터를 사용자 선입선출기(4)에 쓸 수 있도록 쓰기신호를 47번 발생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ATM 인터페이스부(51)에서 입력신호(RD)를 발생시킬 경우, 수신부(2)에서 헤더처리를 할 수 있도록 대기하였다가 나머지 47번의 읽기(RD)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어 데이터를 모두 읽고 나면 읽기 완료(RD_OK) 신호를 통해 동작 완료를 알려준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2)에서는 SDT를 사용할 경우 SAR_PDU가 P-포맷일 때는 사용자 데이터가 46바이트 뿐이므로 46번의 쓰기 신호(WR)를 발생시키며, 데이터 쓰기를 모두 완료하고나면 쓰기완료(WR_OK) 신호를 통해 동작 완료를 알려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ATM 선입선출기(1)를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헤더 검사기(21)는 SAR 헤더를 읽어서 레지스터에 저장한 후, 먼저 순환중복검사(CRC_CHK[2:0])와 홀짝 검사(PAR_CHK)를 수행하고 유효한지, 무효한지를 판별한다.
만일 무효하다고 판별되면 순서번호-상태(Sequence Number Status : SN_STATUS)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25)로 입력하여, 현재 읽혀져 들어온 데이터들을 폐기시키도록 하고, 반대로 유효하다고 판별이 되면, 이미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SAR-PDU1의 순서번호 SN1(Sequence Number 1)과 현재 입력된 유효한 SAR-PDU2의 순서번호 SN2, 그리고 예상했던 순서번호(RCV_SN)를 서로 비교하여 SAR-PDU1의 정상/오삽입/손실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오삽입이라면 오삽입을 나타내는 신호(CELL_MISIN)를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25)로 입력하여 쓰기 시작신호(WR_START)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셀의 손실과 오삽입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와 동시에 프레임 신호 복원기(23)에서는 현재 읽혀져 들어오는 SAR-PDU가 P-포맷이라면, 헤더 바로 다음이 포인터 필드이므로 P-셀(P-SEL) 신호를 통해 포인터 레지스터(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서 8바이트(PTR2[7..0])의 제 2 포인터 데이터를 읽어 들인 후, 더미 포인터인지 체크하고 포인터에 대한 홀짝 검사를 수행한 다음, 정상적인 포인터라면 상기 수신부(2)에서 사용자 선입선출기(4)에 쓰기 시작할 시점에서 제 1포인터 데이터로 7바이트(PTR1[6..0])를 넘겨 준다.
이어 사용자 선입선출기(4)에 데이터를 쓸 때 사용하는 쓰기(WR)클럭인 포인터레지스터카운터(PTR_CNT[6..0])를 구동할 때 상기에서 입력된 제 1포인터 데이터(PTR1)와 비교하여 프레임 펄스신호(FRM_PULSE)를 생성한다.
이때 셀 경계 사이에서 프레임 신호가 오랫동안 액티브 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퍼 인에이블신호(BUF_EN)로 게이트 시킨다.
그리고 상기 신호원 클럭 복원기(22)를 통해 ATM셀이 망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셀 지연 변이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헤더의 수렴 부계층 표시(Convergence Sublayer Indication : CSI) 필드에 실려온 RTS를 먼저 RTS버퍼(4×16비트의 크기임 :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저장시킨다.
이 RTS버퍼가 어느 정도 차게 되면 이 버퍼로 부터 RTS를 읽어내서 망으로부터 유도된 클럭으로 구동되는 RTS 4비트 카운터(RTS_CNT[3..0])와 비교하여 펄스를 발생시키며, 이때 생성된 위상동기(PLL_IN)신호는 신호원 클럭을 복원하는데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현재 입력된 셀에 오류가 없음이 검출되고, 클럭이 복원되면 데이터 저장기(24)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 선입선출기(4)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TM 선입선출기 및 사용자 선입선출기에서 발생되는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상모드 지원은 물론 구조적 데이터 전달방법을 동시에 지원하였으며, 신호원 클럭 복원을 위한 SRTS 모드를 지원하여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현재 개발되고 있는 각종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팀 예를 들어 주문형 시스팀(VOD), 화상회의 시스팀, 공동작업시스팀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실시간 멀티미디어 통신 시험망에 사용될 수 있는 잇점을 수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9)

  1. ATM 계층으로 부터 입력되는 분할 및 재결합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SAR-PDU)를 수신하기 위한 ATM 선입선출기와;
    상기 ATM 선입선출기로 부터 SAR-PDU의 헤더를 받아 먼저 유효한지를 판단하고, 그 다음에 순서번호를 확인하여 손실이나 오삽입 등이 발생하였는지 검출하는 수신부와;
    SAR-PDU로 부터 잔여시간 스탬프(RTS)를 추출하여 위상동기루프(PLL)로 클럭을 복구하는 클럭 복구부와;
    구조적 데이터 전달(SDT) 모드인 경우에는 유로부하에서 포인터를 추출하여 프레임의 경계 정보를 입수하며, SAR-PDU의 유로부하를 외부 시스팀으로 전달하는 사용자 선입선출기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SAR헤더를 검사하는 헤더 검사기와;
    수신측 신호원 복구기능을 담당하는 신호원 클럭 복원기와;
    포인터로 부터 사용자 데이터의 경계 정보를 추출하여 프레임 신호 발생을 복구해 주는 프레임 신호 복원기와;
    상기 헤더 검사기에서 순서 번호 처리를 통한 오류 검사를 위해 하나의 SAR-PDU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기와;
    상기 ATM 선입선출기로 부터 읽기신호, 사용자 선입선출기로 쓰기신호 및 상기 각 부 등에 관련된 주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검사기는 ATM 선입선출기를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면 SAR 헤더를 읽어 저장한 후, 순환중복검사와 홀짝 검사를 수행하여 데이터의 유.무효 판별을 한 후, 무효로 판별되면 현재 입력된 데이터들을 폐기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유.무효 판별에서 유효로 판별된 경우,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SAR-PDU의 제 1순서번호와, 현재 입력된 유효한 SAR-PDU의 제 2순서번호 및 예상했던 순서번호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 1순서번호에 해당하는 SAR-PDU의 정상/오삽입/손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SAR-PDU의 정상/오삽입/손실 여부를 판단한 결과 오삽입이면 오삽입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로 입력하여 쓰기 시작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신호 복원기는 현재 입력된 SAR-PDU가 P-포맷이면, 포인터 레지스터에서 포인터 데이터를 읽어 들여 더미 포인터인지 체크하고 포인터에 대한 홀짝 검사를 한 다음, 정상적인 포인터이면 상기 수신부에서 사용자 선입선출기에 쓰기 시작할 시점에서 제 1포인터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입선출기에 데이터를 쓸 때 사용하는 쓰기클럭인 포인터레지스터카운터를 구동시킬 시, 이 카운터 값과 상기 제 1포인터 데이터를 비교하여 프레임 펄스신호를 생성하고, 셀 경계 사이에서 프레임 신호가 액티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퍼 인에이블신호로 게이트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부로 부터 데이터읽기시작신호가 입력되면 ATM 선입선출기로 부터 SAR-PDU의 포맷에 따른 읽어야 할 바이트 수 만큼 ATM 선입선출기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ATM 인터페이스부와;
    수신부로 부터 데이터쓰기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수신부로 부터 출력되는 SAR_PDU 데이터를 사용자 선입선출기에 쓸 수 있도록 사용자 선입선출기 쓰기신호를 상기 SAR_PDU의 데이터 갯수에 해당하는 만큼 발생시킨 후, 데이터를 다 쓰고 나면 쓰기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TM 인터페이스부에서 ATM 선입선출기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경우, 수신부에서 헤더처리를 할 수 있도록 대기하였다가 나머지 데이터의 읽기신호를 발생시키고, 데이터를 모두 읽고 나면 읽기 완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 장치.
KR1019980039528A 1998-09-23 1998-09-23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장치 KR100271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528A KR100271521B1 (ko) 1998-09-23 1998-09-23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528A KR100271521B1 (ko) 1998-09-23 1998-09-23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780A KR20000020780A (ko) 2000-04-15
KR100271521B1 true KR100271521B1 (ko) 2000-11-15

Family

ID=1955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528A KR100271521B1 (ko) 1998-09-23 1998-09-23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520B1 (ko) * 2000-04-28 2002-12-16 주식회사 글로트렉스 비동기 전송 모드망에서 비동기 전송 모드 적응계층타입-1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의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780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8041A (en) Error handling in transmission of data that cannot be retransmitted
US5740173A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cell arrival monitoring system
JP3487806B2 (ja) 2重化aal1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同期化方法
JPH08204712A (ja) データ長補正システム
US5914954A (en) Buffer control system
CA2263188C (en) Atm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6442163B1 (en) Depacketizer and a frame aligner including the depacketizer
JP2002354027A (ja) リアセンブリ手段、サーキットエミュレーションサービス装置及びatm同期制御方法
US5642347A (en) Approach to direct performing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adaptation layer 5 reassembly
KR100271521B1 (ko)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수신처리장치
JP3603540B2 (ja) データ送信装置
JP3888741B2 (ja) セル伝送速度デカップリング方法
US71674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abnormal control cells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exchange subscriber unit
KR100271522B1 (ko) 고정비트율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비동기전송모드 적응계층1(aal1) 송신처리장치
JP2838674B2 (ja) Fc/atm網変換装置における確認フレーム転送方式
JP3076456B2 (ja) 同期制御方式
JP2845726B2 (ja) 非同期伝送モードの通信網における定ビットレート情報伝送の回線接続通知処理方法と装置
JPH07250082A (ja) Aalタイプ1処理装置
JPH08116326A (ja) 非同期転送モード通信方式におけるセル組立装置
JPH0697955A (ja) 伝送速度不一致検出装置
JPH05227136A (ja) 信号同期回路および信号同期方法
JP3570967B2 (ja) 2重化aal1変換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同期化方法
US6151303A (en) Method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ing and an ATM switching equipment
JPH08251172A (ja) クロック設定方法、クロック設定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H06164629A (ja) データ転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