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390B1 -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390B1
KR100271390B1 KR1019980045238A KR19980045238A KR100271390B1 KR 100271390 B1 KR100271390 B1 KR 100271390B1 KR 1019980045238 A KR1019980045238 A KR 1019980045238A KR 19980045238 A KR19980045238 A KR 19980045238A KR 100271390 B1 KR100271390 B1 KR 10027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ndc
mol
feeding bottle
pr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7324A (ko
Inventor
김경아
김영석
옥영숙
손병근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8004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3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2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호르몬 특히 비스페놀-A가 배출되지 않는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ⅰ] 일반식(I)의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NDC)를 80몰% 이상 함유하는 호모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사출하여 예비 성형체를 제조하고, [ⅱ] 제조한 예비 성형체를 160∼210℃로 재가열하고, [ⅲ] 재가열된 예비 성형체를 1∼10kgf/㎠ 압력으로 브로잉(Blowing)하여 일반식(I)의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NDC)를 80몰% 이상 함유하는 호모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된 유아용 수유병을 제조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
유아용 수유병으로서 처음 사용되었던 재료는 유리이다. 유리로 만든 유아용 수유병의 장점은 투명하여 내용물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깨지지만 않는다면 수천회 재사용도 가능하다. 그러나 유리 수유병은 무겁고 깨질 위험성이 있어 유아들이 사용하는 데 있어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유리 수유병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금 현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조한 수유병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수유병은 우선 유리 수유병과 같이 내용물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투명하고, 유리 수유병과는 달리 가볍고 깨질염려가 없다. 또한 자유자재로 형태 변형이 가능해 성형성도 우수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플라스틱 재료이지만 열에 의한 변형 온도(140 ∼ 146℃)가 높아 열탕살균을 수백회 하여도 계속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외적으로 문제시되어지고 있는 내분비교란화학물질로 의심되는 물질인 비스페놀-A가 열탕살균시 유출되는 문제가 있다.
환경호르몬이란 환경중에 존재하다가 생체에 들어가면 호르몬과 유사한 작용을 하여 호르몬 분비계를 교란시켜 생식기능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고 있는 화학물질의 총칭을 말한다. 환경호르몬은 내분비교란화학물질이라고도 불린다.
환경호르몬의 동물에 대한 영향은 1950년대부터 영국과 미국을 비롯한 지역에서 나오고 있었는데, 그 당시에는 원인물질이 무엇인지 잘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환경호르몬의 영향은 수달, 밍크, 갈매기, 악어, 잉어, 소라, 우렁 등 여러 동물에 미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동물에 생식이상, 불임, 임포섹스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최근에는 환경호르몬의 동물에 대한 영향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해안이나 강변의 소라, 고동 또는 잉어에서 임포섹스나 정소이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물질로서는 살충제, 다이옥신을 비롯하여 선박도료(트리부틸주석 등)나 경구피임약, 계면활성제인 노닐페놀 등이 추정되고 있다.
환경호르몬의 사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명확한 것은 유산예방에 합성여성호르몬(DES)를 사용한 산모에게서 태어난 여성에서 발생되는 자궁암 뿐이다. 최근 자주 화제에 오르고 있는 정자수의 감소나 정자의 활동저하에 대한 환경호르몬의 영향에 대해서는 현재 의심은 가지만 명확화 되어 있지는 않다.
내분비교란작용이 의심되는 화학물질(환경호르몬)의 수는 일본 환경청 연구반의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약 70여종에 이른다. 이를 용도별로 분류하면, 살충제·농약·플라스틱·수지의 원재료·첨가제, 중금속, 다이옥신, 합성여성호르몬(DES) 등이 있다. 미국 일리노이주 환경청에서는 약 70여종의 환경호르몬에 대해 그 확실성에 따라 세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확정된 물질은 노닐페놀 등 20여종, 가능성이 있는 물질은 비스페놀-A 등 29종, 추정되는 물질은 옥타클로스티렌 등 25종 이라고 한다.
비스페놀-A는 생식 장애와 기형아 출산 등을 일으키는 내분비교란화학물질(이하 환경호르몬)로 지목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가 환경호르몬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된 것은 1990년경 미국의 스탠포드대학 의학부에서 멸균수 실험용으로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제 프라스크가 에스트로겐성을 나타낸다는 것에서 발단되었다. 에스트로겐성을 나타낸 원인물질이 비스페놀-A이다. 당초 폴리카보네이트의 메이커인 제너럴 일렉트릭사는 10ppb 검출한계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스탠포드대학팀의 연구에 따르면 에스트로겐성을 나타내는 것은 2-5ppb의 비스페놀-A로 충분하다고 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97년 9월 대판시에서 어린이용 항균제가 든 폴리카보네이트 식기에서 식품위생법 기준(500ppm)을 초과하는 960-5440ppm의 비스페놀-A를 검출하여 회수명령을 내렸다. 메이커에서는 자주적인 회수와 함께 1998년 4월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식기의 생산중지를 결정했다. 다음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젖병을 95℃의 뜨거운 물에 넣으면 식품위생품 기준(2.5ppm)보다는 낮지만, 3-5ppb의 비스페놀-A를 검출한 것이 요꼬하마 국립대학의 환경과학연구센타에서 발표한 것이 발단이 되어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 수유병이 문제시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과 내파열성을 유지하면서도 열탕살균시 환경호르몬 배출이 없는 수유병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하고 깨질 염려가 없으며, 열탕살균시 환경호르몬의 배출이 없는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열탕살균시에도 환경호르몬 특히 비스페놀-A가 배출되지 않는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반식(I)의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NDC)를 80몰% 이상 함유하는 호모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병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일반식(I)의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NDC)를 80몰% 이상 함유하는 호모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사출하여 예비 성형체를 제조하고, [ⅱ] 제조한 예비 성형체를 160∼210℃로 재가열하고, [ⅲ] 재가열된 예비 성형체를 1∼10kgf/㎠ 압력으로 브로잉(Blowing)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대신 열변형 온도가 110∼120℃이고,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NDC)를 80몰% 이상 함유하는 호모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유아용 수유병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ⅰ]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이하“NDC”라고 한다), [ⅱ]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이하“DMT”라고한다) 또는 테레프탈산(이하“TPA”라고한다) 및 [ⅲ] 에틸렌글리콜(이하 “EG”라고한다)을 용융 공중합하여 제조한다. 이때 NDC의 함량은 80몰% 이상으로 한다. NDC의 함량이 80몰% 미만일 경우에는 환경호르몬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호모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NDC와 EG를 용융 공중합하여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NDC의 함량이 많을 경우 수지 자체의 결정성이 낮아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용융중합된 수지를 다시 고상중합하여 수지의 고유점도를 조절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앞에서 설명한 호모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사출하여 예비 성형체를 제조한다. 이때 1-스테이지(Stage) 기대를 사용할 수도 있고 2-스테이지(Stage) 기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예비 성형체를 포트(Pot)에서 160∼210℃로 재가열하고, 브로우 몰드(Blow Mold)내에서 1∼10kgf/㎠ 브로우 압력으로 블로잉 성형하여 유아용 수유병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유아용 수유병은 투명하고, 내파열성이 우수하며 열탕살균시 환경호르몬의 배출이 없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 보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DMT와 EG의 혼합물에 NDC 85몰%를 넣은 후 용융 공중합하여 코폴리에스터 수지를 제조한 후, 이를 고상중합하여 고유점도(Ⅳ)가 0.88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코폴리에스터 수지를 1-스테이지(니쎄이 ABS-100)인 용융사출기에 투입한후 용융사출하여 예비 중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예비 중합체를 포트(Pot)에서 180℃로 재가열 한후, 브로우몰드 내에서 3kgf/㎠의 브로우 압력으로 블로잉 성형하여 유아용 수유병을 제조한다. 제조한 유아용 수유병을 열탕살균하여 비스페놀-A의 배출량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EG와 NDC를 용융 공중합하여 호모 폴리에스터 수지를 제조한 후, 이를 고상 중합하여 고유점도(Ⅳ)가 0.88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호모 폴리에스터 수지를 2-스테이지인 용융사출기에 투입한후 용융사출하여 예비 종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예비 종합체를 포트(Pot)에서 200℃로 재가열한후, 브로우몰드 내에서 7kgf/㎠의 브로우 압력으로 블로잉 성형하여 유아용 수유병을 제조한다. 제조한 유아용 수유병을 열탕살균하여 비스페놀-A의 배출량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1-스테이지(니쎄이 ABS-100)인 용융사출기에 투입한 후 용융사출하여 예비 종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예비 종합체를 포트(POT)에서 150℃로 재가열한 후, 브로우몰드 내에서 9kgf/㎠의 브로우 압력으로 블로잉 성형하여 유아용 수유병을 제조한다. 제조한 유아용 수유병을 열탕살균하여 비스페놀-A의 배출량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2
폴리카보네이트를 통상의 압출성형(Direct Blow)법으로 성형하여 유아용 수유병을 제조한다. 제조한 유아용 수유병을 열탕살균하여 비스페놀-A의 배출량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비스페놀-A 배출량 측정결과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실시예 1 비교실시예 2
비스페놀-A 배출량(ppm) 0 0 0.4 0.2
본 발명에 있어서 비스페놀-A의 배출량은 헤레트 팩카드(Hewlett packard)사의 5965-9043E 방식인 형광검출기와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수유병은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NDC)가 80몰% 이상 함유된 호모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투명하고 깨질 염려가 없으며, 열탕살균시 환경호르몬의 배출이 없어 안전하다.

Claims (5)

  1.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NDC)를 80몰% 이상 함유하는 호모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병.
  2. 1항에 있어서, 호모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변형 온도가 110∼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병.
  3. 1항에 있어서, 호모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NDC) 80∼100몰%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20∼0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병.
  4. [ⅰ] 디메틸-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NDC)를 80몰% 이상 함유하는 호모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사출하여 예비 성형체를 제조하고, [ⅱ] 제조한 예비 성형체를 160∼210℃로 재가열하고, [ⅲ] 재가열된 예비 성형체를 1∼10kgf/㎠ 압력으로 브로잉(Blowing)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병의 제조방법.
  5. 4항에 있어서, 용융사출을 1-스테이지(Stage) 또는 2-스테이지(Stage) 기대에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수유병의 제조방법.
KR1019980045238A 1998-10-28 1998-10-28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7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238A KR100271390B1 (ko) 1998-10-28 1998-10-28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238A KR100271390B1 (ko) 1998-10-28 1998-10-28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324A KR20000027324A (ko) 2000-05-15
KR100271390B1 true KR100271390B1 (ko) 2001-03-02

Family

ID=1955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238A KR100271390B1 (ko) 1998-10-28 1998-10-28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541A (ko) * 2000-07-21 2000-11-06 구광시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유아용 수유병
KR20000059198A (ko) * 2000-07-21 2000-10-05 구광시 폴리에스테르계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324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1105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中空成形容器
JP2007084654A (ja) 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耐熱圧性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100271390B1 (ko)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TW564251B (en) Polyester resi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WO2001006981A1 (en) A suckling bottle for baby, and a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JP2004323627A (ja) 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KR20000063581A (ko)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49313A (ko)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JPS6485732A (en) Polyethylen naphthalate-based copolymer heat resistant bottle
JP3983636B2 (ja) 改質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KR100337549B1 (ko) 폴리에스테르계 유아용 수유병의 제조방법
KR100363917B1 (ko) 내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내열병
KR20000072070A (ko)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63541A (ko)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유아용 수유병
KR20000059198A (ko) 폴리에스테르계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49314A (ko) 내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내열병
EP1084191A2 (en) Hollow molded product comprising ethylene-2,6-naphthalene dicarboxylate polymer and ultraviolet absorber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KR20000059197A (ko)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유아용 수유병 및 그의 제조방법
EP0664201A2 (en) Method for producing reusable bottles formed from a mixture of pet and pc
KR100325120B1 (ko) 내열병용수지
KR100351374B1 (ko) 음료용 폴리에스테계 병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47387B1 (ko) 음료용 폴리에스터 병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977858A (ja) ポリエステル製中空容器
JP3465463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2003277491A (ja) 改質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