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078B1 - 발광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078B1
KR100271078B1 KR1019970066847A KR19970066847A KR100271078B1 KR 100271078 B1 KR100271078 B1 KR 100271078B1 KR 1019970066847 A KR1019970066847 A KR 1019970066847A KR 19970066847 A KR19970066847 A KR 19970066847A KR 100271078 B1 KR100271078 B1 KR 100271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ssion
light
light emitting
discharge la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517A (ko
Inventor
요시오 가타야마
겐지 나카무라
마사히로 이에다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8007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and measurement of the incident light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방전등의 발광 상태를 도시하는 전압값의 검출시에 오차가 생겼을 때 즉석에서 사용자에 방전등의 전압이 점등전압 정격 범위에서 벗어나 있는 것을 경고한다.
발광하는 방전등(106)과 방전등(106)의 발광시간의 적산값을 계측하는 발광시간 적산 유닛(107)과, 발광 시간 적산 유닛(107)에 의해 검출된 발광 적산 시간과 그 기준값을 비교한 비교부(1082)와, 비교부(1082)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제 1 의 발광 모드 또는 제 2 의 발광모드중 한 모드를 선택해서 방전등(106)이 선택된발광 모드로 발광시키도록 하는 발광 모드 선택부(108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발광 제어 장치
본 발명의 고전압 나트륨 램프, 메탈 할로겐화물 램프 등의 방전등이나 백열등의 발광 장치의 발광 모드를 전환하는 자동차용 등의 발광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예를 들자면 일본국 특허 공개 제 94-243979호 공보에 도시된 종래의 발광 제어 장치의 개락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에서, (5)는 방전등, (8)은 스위치, (9)는 스위치(8)을 거쳐서 콘덴서(4b와 4c)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된 단자를 갖추고 있고 절연 파괴후의 방전등(5)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를 나타내고, (11)은 방전등(5)을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회로를 나타내고, (12)는 절연 파괴시에 방전등(5)을 흐르는 돌입적인 전류를 검출해서 절연 파괴가 일어났는지를 표시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절연 파괴 검출 회로를 나타낸다.
또한 (13)은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 유닛이고, 스위치(8)를온/오프하고 전압 검출 회로(9), 전류 검출 회로(11) 및 절연 파괴 검출 회로(12)에서 송출된 신호에 따라서 인버터 회로(2)로 출력하는 주파수를 제어한다. 또 (15)는 전압 검출 회로(9)에서 송신된 방전등(5)의 점등 전압값을 제어 유닛(13)이판정해서 점등 전압 정적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사용자에 경고를 주는 경고등이다.
동작에 있어서, 라이트 스위치가 온되고 방전등(5)에 절연 파괴가 생기면 방전등(5)에 돌입 전류가 통하고 이것을 검출한 절연 파괴 검출 회로(12)에서 절연파괴가 일어난 것을 표시하는 펄스 신호가 제어 유닛(13)에 출력된다.
다음에 절연 파괴 검출 회로(12)로부터의 그것의 펄스 신호에 응답해서 제어유닛(13)은 전압 검출 회로(9)가 변환한 방전등(5)의 전압을 읽어 이 방전등 전압값과 미리 제어 유닛(13)에 설정되어 있는 방전등(5)의 정상 상태의 규격값의 최소전압값을 비교한다. 이 비교 결과에서 방전 전압값의 편이 낮은 경우는 경고등을 점등한다.
또 방전등 전압값이 규격 최소 전압값 이상의 경우는 미리 제어 유닛(13)에 설처되어 있는 방전등(5)의 규격 최대 전압값과 방전등 전압값을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에서 방전등 전압값의 편이 높은 경우는 경고등을 점멸한다.
종래의 발광 제어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방전등의 발광상태를 표시하는 전압값의 검출시에 오차가 생겼을 때, 즉시 사용자에게 방전등의전압이 점등 전압 정격 범위에서 벗이난 것을 경고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방전등과는 별도로 경고등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경고등을 인식하지 아니하면 아니되고 이 때문에 경고를 보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별도로 경고둥을 설치하는 일이 없고, 소정의 발광 모드로 방전등 등의 발광 장치를 발광시키므로서 사용자에 발광 장치의 발광 상태를 알릴 수가 있는 발광 제어 장치를 얻는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제어 장치는 발광 수단의 발광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발광 수단의 발광 상태에 따라서 최소한 제 1 발광 모드와 제 2 발광 모드중에서 어느 한편을 선택하여 선택한 제 1 및 제 2 발광모드로 발광 수단을 발광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제어 장치는 제어 수단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발광 수단의 발광 상태와 발광 수단의 기준 발광 상태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비교수단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제 1 발광 모드 또는 제 2 발광 모드중 어느 한편을 선택하는 발광 모드 선택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제어 장치의 검출 수단은 발광 수단이 얼마나 오랫동안또 몇회나 사용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얻으므로서 발광 수단의 발광 상태를 검출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발광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발광 제어 장치에 방전등을 설치한 후의 경과 시간과 방전등이 발광한 적산 시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발광 제어 장치의 방전등의 선택된 발광 모드에 의해 방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발광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발광 제어 장치에 방전등을 설치한 후의 경과시간과 방전등이 발생한 적산 회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발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발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10도는 종래의 발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 : 방전등(발광 수단) 107 : 발광 시간 적산 유닛(검출수단)
108, 221, 502 : 제어 유닛(제어 수단)
1081, 2211, 5021 : 기억부
1082, 2212, 5022 : 비교부(비교 수단)
1083, 2213, 5023 : 발광 모드 선택부(발광 모드 선택 수단)
501 : 발광 회수 카운트 유닛(검출 수단)
801 : 광도 계측 유닛(검출 수단)
1101 : 온도 계측 유닛(검출 수단)
1401 : 전력 계측 유닛(검출 수단)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발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01)은 자동차 내에 설치된 전원부(102)는 전원부(101)의 온/오프를 행하는 스위치이고, (103)은 스위치(102)를 거쳐서 전원부(201)의 전압을 DC/DC 변환하는 DC/DC 컨버터 회로(103)가 변환한 신호를 증폭하는 인버터 회로이다.
인버터 회로(104)는 교대로 온, 오프되는 스위칭 소자(도시되지 않음)와 이스위칭 소자가 교류 변환한 전원부(101)의 전압을 희망하는 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 트랜스(도시되지 않음)와 결합 콘덴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105)는 인버터 회로(104)가 출력한 전압에 의해 발광 장치인 방전등(106)을 점화시키는 점화부이고, (107)은 방전등(106)의 발광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의 발광 시간 적산 유닛이고 이 발광 시간 적산 유닛이며, (107)은 발광 제어 장치에 설지되어 있는 방전등(106)이 발광 제어 장치에 부착된 때부터 지금까지 발광한 적산 시간을 계측한다.
또 (108)은 제어 유닛이고, 이 제어 유닛(108)은 방전등(106)이 발광 제어 장치에 부착된 후로 상기 방전등(106)이 발광한 시간의 합의 기준값(예를 들면, 1000시간)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1081)와, 방전등(106)의 발광 상태를 표시하는 적산 시간과 기억부(1081)에 미리 기억시킨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1082)와, 이 비교부(1082)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방전등(106)이 통상으로 발광하는 제 1 발광 모드이거나 예를 들자면 방전등(106)이 소정의 기간내에 점멸하는 제 2 발광 모드인가 어느 한편을 선택하고 이 선택 신호를 인버터 회로(104)에 출력해서 방전등(106)을 발광시키는 발광 모드 선택부(1083)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시간 적산 유닛(107)에 의해 계측된 발광 적산 시간이 기억부(1081)에 격납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발광 모드 선택부(1083)는 제 2 발광 모드를 선택한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는 그것의 기준값을 기준 발광 적산 시간이라 칭한다.
이와 같이 발광 모드 선택부(1083)에서 출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서 인버터 회로(104)는 점화부(105)를 거쳐서 방전등(106)을 제 1 발광 모드 또는 제 2 발광 모드의 어느 한편에서 발광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발광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발광 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온하면 발광 제어 장치가 기동하여 스위치(102)가 닫히고 그 결과 DC/DC 컨버터 회로(103)가 전원부(101)에 접속된다. 그래서 DC/DC 컨버터 회로(103)가 스위치(102)가 온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스텝 ST201). 또한 DC/DC 컨버터 회로(103)는 스위치(102)가 온되면 전원부(101)에서 DC/DC 컨버터 회로(103)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므로 판정을 하고 있다.
DC/DC 컨버터 회로(103)가 스텝 ST 201에서 스위치(102)가 온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는 DC/DC 컨버터 회로(103)는 인버터 회로(104)를 거쳐서 점화부(105)를 동작시키고 방전등(106)을 제 1 발광 모드로 발광시킨다(스텝 202). 한편 스텝 ST 201에 있어서 스위치(102)가 오프인채로 보존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어 유닛(108)은 스텝 ST 201을 반복한다.
스텝(202)의 처리후 발광 시간 적산 유닛(107)이 방전등(106)이 발광한 적산시간을 계측하고(스텝 ST 203) 비교부(1082)가 이 스텝 ST 203에서 계측한 발광 적산 시간과 기억부(1081)에 기억된 기준 발광 적산 시간을 비교한다(스텝 ST204).
스텝(204)의 비교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이용해서 설명을 한다. 도 3은 방전등(106)을 발광 제어장치에 설치한 후의 경과 시간과 방전등(106)이 발광한 적산 시간의 관계를 표시하고, 횡축은 발광 제어 장치에 설치하고서 부터의 시간을 종축은 발광등(106)을 발광 적산 시간(T)을 나타낸다. 또 T1은 기준 발광 적산 시간, T2는 방전등(106)의 발광할 수 있는 적산 시간의 한계를 표시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방전등(106)의 교환시기를 표시하고 있다. 즉 수명을 의미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축에 대해서 수평으로 되어 있는 복수의 곳(t1→t2, t3→t4, t5→t6, t7→t8)은 각각 스위치(102)가 오프되어 있고 발광적산시간에 변화가 없음을 나타내고, 그 밖의 복수의 곳(o→t1, t2→t3, t4→t5, t6→t7, t8→현재)은 각각 스위치(102)가 온 되고 발광적산시간이 증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비교부(1082)는 T1의 값(예를들자면 1000시간)과 발광시간 적산 유닛(107)이계측한 현재의 발광적산 시간(예를들자면 t4에 있어서 400시간)을 비교하여 어느 값의 편이 큰가를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T204에서, 계측한 발광적산 시간의 편이 크다(그러나 한계 적산시간 T2 이하)고 판정된 경우, 발광모드 선택부(1083)는 인버터 회로(104)로 방전등(106)을 소정 기간, 즉 소정의 회수로 점멸시키기 때문에 제 2의 발광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인버터 회로(104)가 점화부를 거쳐서 방전등(106)을 소정의 기간 동안 점멸 시킨다(스텝 ST205). 한편, 스텝 ST2204에 있어서 계측된 발광적산시간이 기준 발광적산시간 T1을 넘지 아니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어유닛(108)은 스텝 ST201로 되돌아가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T205에서 발광모드 선택부(1083)가 어떻게 방전등을 점멸시키는가에 대해서는 도 4a 및 4b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제 1의 발광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방전등을 단지 점등하기 위해 점등부에 부가하는 제어신호의 파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4b는 제 2의 발광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방전등을 점멸하기 위해 점화부에 부가하는 제어신호의 파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발광 모드에서는 인버터 회로(104)는 방전등(106)에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로의 스위칭을 1회만 실행시켜서 통상으로 점등시킨다. 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발광모드에서는 발광모드 선택부(1083)가 제 2의 발광모드를 선택하고서 소정 시간(T)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인버터회로(104)는 방전등(106)에 소정의 회수(예를들자면 3회)온/오프 간의 스위칭 동작을 실행시켜 점멸시킨다.
다음에 스텝 ST205에서 소정의 기간(T)(예를 들자면 30초간)중 방전등(106)을 점멸시켰는가 아닌가를 점화부(105)가 판정한다(스텝 ST206).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기간(T) 동안 방전등(106)은 소정의 회수 예를들자면 3만만 점멸한다. 상기 스텝 ST206에서 방전등(106)이 점멸을 개시하고서부터 소정의 시간(T)이 경과하였다고 판정한 경우는 방전등(106)의 점멸을 중단하고(스텝 ST207) 스위치(102)가 온을 계속중인가 오프하였는가를 재차 DC/DC 컨버터 회로(103)가 판정한다(스텝 ST208). 한편 스텝 ST206에 있어서 장전등(106)이 점멸을 개시하고서부터 소정시간(T)이 경과하지 아니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어유닛(108)은 스텝 ST205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 ST208에서 스위치(102)는 온을 계속중이라고 판단한 경우는 방전등(106)을 통상으로 발광시킨다(스텝 ST209). 상기 스텝(209)의 처리 후 제어유닛(108)은 스텝 ST203으로 되돌아가고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스텝 ST208에 있어서 스위치(102)는 이미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 되었다면 제어 유닛(108)은 스텝 ST201로 되돌아가 상기 처리를 반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있어서 발광 제어장치는 방전등(106)의 계측된 발광적산시간이 기준발광적산시간 T1을 초과하면 방전등(106)의 발광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기 쉬워지는 한계적산 시간에 달하기 전에 방전등(106)을 점멸시켜서 사용자에게 방전등(106)의 교환시기가 도래한 것을 알릴 수가 있다. 그런 까닭에 사용자는 방전등(106)의 교환시기가 도래한 것을 간단히 인식할 수가 있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의 형태(1)와 동일 또는 상당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501)은 방전등(106)의 발광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의 발광회수 카운트유닛이고 이 발광회수 카운트 유닛(501)은 발광제어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방전등(106)이 발광 제어장치에 부착된 때부터 이제까지 발광한 회수 예를 들면, 방전등(106)이 온된 회수를 계측한다.
또(502)는 제어 유닛이고 이 제어 유닛(502)은 방전등(106)이 발광 제어 장치에 부착된 후 발광한 회수의 기준값(예를들자면 1000회)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5021)와 방전등(106)의 발광상태를 표시하는 발광회수와 기억부(5021)에 미리 기억한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5022)와 이 비교부(5022)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방전등(106)이 보통으로 점등하는 제 1 발광모드가 예를 들자면 방전등(106)이 소정의 기간내에 점등하는 제 2 발광모드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고 이 선택신호를 인버터회로(104)에 출력해서 방전등(106)을 발광시키는 발광모드 선택부(5023)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회수 카운트 유닛(501)에 의해 계측된 발광회수가 기억부(5021)에 격납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발광모드 선택부(5023)는 제 2 발광모드를 선택한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는 그것의 기준값을 기준 발광 회수라 칭한다.
이와같이 발광모드 선택부(5023)에서 출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서 인버터 회로(104)는 점화부(105)를 거쳐서 방전등(106)을 제 1 발광모드 인가 제 2 발광모드중 한 모드로 발광시킨다.
도6은 도5에 도시한 발광제어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발광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예를 들면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온 하면 발광 제어 장치가 기동하여 스위치(102)가 닫히고 DC/DC 컨버터회로(103)가 전원부(101)에 접속된다. 그래서 제어 유닛(502)은 ST601∼ST602로 진행한다. 이들의 스텝 ST601∼ST602의 처리는 실시형태 1의 스텝 ST201∼ST202의 처리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602에서 방전등(106)을 발광시키후 발광회수 카운트 유닛(501)은 방전등(106)이 발광한 회수를 계측하고(스텝 ST603) 비교부(5022)는 이 스텝 ST601에서 계측한 발광회수와 기억부(5021)에 기억된 기준 발광 회수를 비교한다(스텝 ST604).
여기에서 스텝 ST604의 비교방법에 대해서 도 7을 사용해서 설명을 한다. 도 7은 방전등(106)을 발광 제어장치에 설치하고부터의 경과시간과 방전등(106)이 발광한 회수와의 관계를 표시하고 있고 횡축은 발광제어장치에 설치하고부터의 시간을, 종축은 방전등(106)을 발광시킨 회수(N)를 표시하고 있다. 또 N1은 기준 발광수 N2는 방전등(106)의 발광할 수 있는 회수의 한계를 표시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방전등(106)의 교환시기를 표시하고 있다. 즉 수명을 의미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힁축에 대해서 수평으로 되어 있는 곳(t1→t2, t3→t4, t5→t6, t7→t8)은 스위치(102)가 오프되어 있고 발광회수에 변화가 없음을 도시하고 또 그밖의 곳(0→t1, t2→t3, t4→t5, t8→현재)는 스위치(102)가 온 되어 있고 발광회수가 증가되어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
비교부(5022)는 N1의 값(예를들자면 1000회)과 발광회수 카운트 유닛(501)이 계측한 현재의 발광회수(예를들자면 t4에 있어서 400회)를 비교하여 어느쪽의 값이 큰가를 판정한다.
스텝 ST604에 있어서 발광회수 카운트 유닛(501)이 계측한 현재의 발광 회수의 편이 크다고 판정된 경우는 발광모드 선택부(5023)가 인버터 회로(104)에 방전등(106)을 소정의 기간 즉 소정의 회수만큼 점멸시키기 위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이 출력된 동작신호에 따라서 인버터회로(104)가 점화부를 거쳐서 방전등(106)을 소정의 기간 동안 점멸시킨다(스템 ST605). 한편 스텝 ST604에서, 발광회수 카운트 유닛(501)이 계측한 현재의 발광회수가 기준발광 회수를 넘지 아니함을 판정한 경우는 제어유닛(501)은 스텝 ST601에 되돌아가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그래서 이 스텝 ST605의 처리후 제어유닛(501)은 스텝 ST606∼ST609로 진행한다. 스텝 ST606∼ST609의 처리는 제 1 실시예의 스텝 ST606∼ST209의 처리와 같이 실행되므로 그것의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광 제어장치는 방전등(106)의 계측된 발광회수가 기준 발광회수 N1를 초과하면 방전등(106)의 발광상태가 불안정하게 되 한계회수 N2에 이르기 전에 방전등(106)을 절멸시켜서 사용자에 방전등(106)의 교환시기가 도래한 것을 알릴 수가 있다. 까닭에 사용자는 방전등(106)의 교환시기가 도래한 것을 간단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발광제어장치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발광시간적산유닛(107)과 제 2 실시예와 같은 발광회수 카운트 유닛(501)을 구비하고 있고 방전등(106)의 발광적산시간 및 발광 회수의 계측값과 그들의 기준값과의 비교를 하므로서 복수의 발광모드 중에서 어느 1개를 선택해서 방전등(106)을 선택한 1개의 발광모드로 발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발광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같은 부분 또는 해당부분에는 도 1 및 도 5와 같은 부호를 붙여서 그것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에서, (801)은 방전등(106)이 방출되는 광의 강도의 순시값을 계측하는 광도계측 유닛, (1101)은 방전등(106)의 주위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계측유닛, (1401)은 방전등(106)에 공급된 전력을 계측하는 전력 계측 유닛이다.
한편 (221)은 제어유닛이고, 이 제어유닛(221)은 방전등(106)의 발광 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복수의 기준값 즉 방전등(106)의 기준 발광 적산 시간, 기준 발광횟, 광강도의 기준값 주위온도의 기준값 및 전력의 기준값을 미리 기억한 기억부(2211)와 발광 시간 적산 유닛(107), 발광 회수 카운트 유닛(501), 강도 계측 유닛(801), 온도 계측 유닛(1101) 및 전력 계측 유닛(1401)이 계측한 복수의 계측값과 기억부(2211)에 미리 기억시킨 복수의 기준값을 각각 비교하는 비교부(2212)와 이 비교부(2212)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복수의 발광 모드중에서 어느 한편을 선택하여 이 선택 신호를 인버터 호로(104)에 출력해서 방전등(106)을 선택한 발광 모드에서 발광시키는 발광 모드 선택부(2213)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104)는 발광 모드 선택부(2213)에서 출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서 점화부(104)를 거쳐서 방전등(106)을 복수의 발광 모드중의 어느 한 모드로 발광시킨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도시하지 아니한 스위치를 온하면 스위치(102)가 닫혀져 DC/DC 컨버터 회로(103)가 전원부(101)에 접속시킨다. 그후 제 1 실시예와 같이 발광 시간 적산 유닛(107)은 방전등(106)이 발광한 발광 적산 시간을 계측하고 다시 실시형태(2)와 같이 발광 회수 카운트 유닛(501)은 방전등(106)이 발광한 회수를 계측한다. 그래서 비교부(2212)는 졔측한 발광 적산 시간 및 발광 회수와 기억부(2211)에 기억된 기준 발광 적산 시간 및 기준 발광회수를 각각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발광 모드 선택부(2213)로 송출한다.
그래서 그것의 비교결과가 계측한 발광 적산 시간 및 발광 회수가 함께 기준발광 적산 시간 및 기준 발광 회수에 각각 달하지 아니한 것을 표시하면 발광 모드선택부(2213)는 제 1 발광 모드를 선택해서 방전등(106)을 단지 점등하는 선택 신호를 인버터 회로(104)로 송출한다. 그밖의 발광 모드가 선택되면 방전등(106)은 소정의 회수만큼 점멸한다. 즉 비교 결과가 계측한 발광 적산 시간이 기준 발광 적산 시간을 초과하고 있으나 계측한 발광 회수가 기준 발광 회수에 달하지 아니한 것을 표시한다면 발광 모드 선택부(2213)는 제 2 발광 모드를 선택해서 방전등(106)을 소정의 회수 예를들면 3 회 점멸되는 선택 신호를 인버터 회로(104)로 송출한다. 다시 비교 결과가 계측한 발광 적산 시간 및 발광회수가 함께 기준 발광 적산 시간 및 기준 발광 회수를 각각 초과하고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면 발광 모드 선택부(2213)는 제 3 발광 모드를 선택해서 방전등(106)을 소정의 회수, 예를들면 5 회 점멸시키는 선택 신호를 인버터 회로(104)로 송출한다.
그런데 방전등(106)의 광강도는 그것의 사용에 따라 감소하여 그것의 주위 온도는 증대하고 공급되는 전력은 증대한다. 또 방전등(106)이 고장이 나면 광강도, 온도, 또는 전력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전등(106)의 교환시기가 도래한 때의 광강도, 주위온도 및 전력의 각 값을 기준값으로 하여 기억부(2211)에 미리 격납하여 비교부(2212)에 의해 방전등(106)의 계측한 광강도, 주위온도 및 전력과 그것의 대응하는 복수의 기준값을 각각 비교하여 발광 모드 선택부(2213)에 의해 비교부(212)로부터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제 4, 제 5 또는 제 6 발광 모드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따라서 이 제 3실시예에 의한 발광 제어 장치에 의하면 방전등(106)의 발광 적산시간, 발광 회로, 및 광강도 등의 어떤 것이 기준값을 초과하였는가에 따라서 발광 모드를 선택해서 방전등(106)을 발광시킬 수가 있으므로 발광 적산 시간, 발광 회수 등의 방전등(106)의 발광 상태에 관한 복수의 정보의 어떤것에 의거해서 경고인가를 사용자는 예를들면, 방전등(106)의 점멸 회수에서 간단하게 판단된다. 까닭에 사용자는 방전등(106)의 교환시기가 도래한 것이나 방전등(106)의 이상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제 4 실시예]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 의한 발광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도 1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9 에 있어서 (1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 2 발광 모드로 점멸하고 있던 방전등(106)을 제 1 발광 모드로 스위치시켜서 통상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모드 복귀 스위치이다.
기본적인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발광 모드 선택부(1088)가 제 2 의 발광 모드를 선택한 경우 인버터 회로(104)는 발광 모드 선택부(1083)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응답해서 전화부(105)를 거쳐서 방전등(106)을 소정 회수 점멸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방전등(106)이 제 2 의 발광 모드에서 점등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모드 복귀 스위치(110)를 조작하면 소정 회수 점멸전이라도 발광 모드 선택부(1083)는 제 1 발광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인버터 회로(104)로 송출한다. 이 결과 방전등(106)은 제 2 의 발광 모드에서 제 1 발광 모드로 절환되어 통상으로 발광한다.
따라서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모드 복귀 스위치(110)의 조작에 의해 제 2 발광 모드에서 제 1 발광 모드로 절환되어서 방전등(106)을 통상으로 발광시킬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이변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제 3 실시예에 의한 발광 제어 장치가 제 4 실시예에 의한 모드 복귀 스위치(110)를 구비해도 되는 것은 말한 나위도 없다.
[제 5 실시예]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발생 모드 선택부가 제 2 발광 모드를 선택한 경우 인버터 회로(104)는 발광 모드 선택부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응답해서 점화부(105)를 거쳐서 방전등(106)을 소정 회수 점멸시켜서 사용자에 발광 적산 시간이 기준발광 적산시간을 초과하는 것 등을 알리는 방법에 대신해서 방전등(106)을 단지 발광시키는 경우 이외의 방법으로서 방전등(106)의 발광 상태를 제어해서 사용자에 표시하는 방법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예를들면, 스위치(102)를 온으로 하여도 소정의 시간 동안 방전등(106)을 소등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전등(106)의 교환시가가 도래한 것 등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제 6 실시예]
상술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서는 발광 모드 선택부는 방전등(106)의 발광 모드를 선택한 때에 인버터 회로(104)에 선택 신호를 출력하도 록 하고 있었으나 스위치(102)에 선택한 발광 모드에 의한 제어 신호를 출력해서 방전등(106)을 선택해서 발광 모드로 발광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와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발광 수단의 발광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발광 수단의 발광 상태에 따라 최소한 제 1 발광 모드와 제 2 발광 모드중에서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제 1 또는 제 2 의 발광 모드에서 발광 수단을 발광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발광 수단을 점멸시켜서 사용자에 발광 수단의 교환 시기가 도래한 것 등을 알릴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광 수단의 교환 시기가 도래한 것 등을 간단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발광 제어 장치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한다.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발광 수단의 발광 상태와 발광 수단의 기준 발광 상태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제 1 의 발광 모드 또는 제 2 발광 모드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는 발광 모드 선택 수단을 갖추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발광 수단을 점멸시켜서 사용자에게 발광 수단의 교환시기가 도래한 것 등을 알릴 수가 있다. 까닭에 사용자는 발광 수단의 교환시기가 도래한 것 등을 간단히 인식할 수가 있아. 따라서 발광 제어장치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발광 수단의 발광 상태를 발광 수단의 사용 기간과 사용 회수를 표시하는 정보를 얻으므로서 예측하고 검출하도록 구성하므로서 발광 수단의 발광 적산 시간 또는 발광 회수에 의해 발광 수단을 선택한 발광 모드로 발광시킬 수가 있고 보다 섬세하게 발광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3)

  1.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발광 수단의 발광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발광 수단의 발광 상태에 따라서 최소한 제 1 발광 모드와 제 2 발광 모드중에서 어떤 한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발광 수단을 선택한 제 1 또는 제 2 의 발광 모드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발광 수단의 발광 상태와 발광 수단의 기준 발광 상태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제 1 발광 모드 또는 제 2 발광 모드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는 발광 모드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제어 장치.
  3. 제 1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검출 수단은 발광 수단의 사용된 기간 또는 사용 회수를 표시하는 정보를 얻으므로서 발광수단의 발광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히는 발광 제어 장치.
KR1019970066847A 1997-04-03 1997-12-06 발광 제어 장치 KR100271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85116A JPH10284267A (ja) 1997-04-03 1997-04-03 発光制御装置
JP97-085116 1997-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517A KR19980079517A (ko) 1998-11-25
KR100271078B1 true KR100271078B1 (ko) 2000-11-01

Family

ID=1384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847A KR100271078B1 (ko) 1997-04-03 1997-12-06 발광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49198A (ko)
JP (1) JPH10284267A (ko)
KR (1) KR100271078B1 (ko)
DE (1) DE19739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2804B2 (ja) * 1998-01-16 1999-11-29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JP3517583B2 (ja) * 1998-03-27 2004-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露光装置、デバイス製造方法及び放電灯
US6137242A (en) * 1999-01-14 2000-10-24 Phei Kuan Electronic Co., Ltd. Circuit for regulating output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different open-circuit time of input AC power source and the method thereof
DE10251133B3 (de) * 2002-10-31 2004-07-29 Gerd Reime Einrichtung zur Steuerung einer Beleuchtung, insbesondere für Fahrzeuginnenräume sowie Verfahren zu ihrer Steuerung
US20040219853A1 (en) * 2003-03-31 2004-11-04 Weir Charles R. Room finishing system
US7852300B2 (en) * 2006-02-06 2010-12-14 Exclara, Inc. Current regulator for multimode operation of solid state lighting
US8624738B2 (en) * 2008-03-17 2014-01-07 Radar Corporation Golf club apparatuses and methods
JP5246117B2 (ja) * 2009-09-11 2013-07-2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発光分析装置システム
US8624504B2 (en) * 2012-04-05 2014-01-07 Deere & Company Stairway light for work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1118A (en) * 1988-07-15 1992-05-05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Fluorescent lamp controllers
JP3187163B2 (ja) * 1992-04-23 2001-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JP2951500B2 (ja) * 1993-02-17 1999-09-20 三菱電機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US5646484A (en) * 1994-11-02 1997-07-08 Litebeams, Inc. High reliability incandescent portable illumination system
US5604406A (en) * 1995-03-29 1997-02-18 Intermacon Ag Portable lamp for use with rapid start metal halide bulbs
US5604411A (en) * 1995-03-31 1997-02-18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Electronic ballast having a triac dimming filter with preconditioner offset control
JP3174993B2 (ja) * 1995-05-12 2001-06-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灯点灯回路
US5696431A (en) * 1996-05-03 1997-12-0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Inverter driving scheme for capacitive mode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517A (ko) 1998-11-25
JPH10284267A (ja) 1998-10-23
US5949198A (en) 1999-09-07
DE19739531A1 (de) 199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6551A (en) Device for controlling lighting of discharge lamp and H-bridge circuit for use in such a device
JP3447776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271078B1 (ko) 발광 제어 장치
JPH09180886A (ja) 自動車の前照灯
US6184632B1 (en)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circuit to detect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a component of a lamp mounted in the apparatus
KR20130135761A (ko) 방전 램프 조명 장치, 자동차용 고휘도 방전 램프 조명 장치,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장치 및 차량
US20030160578A1 (en) Apparatus for lighting a discharge lamp at electric characteristics appropriate to a type of the discharge lamp
JP2010129234A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WO1997014275A1 (en) Circuit arrangement
US9119273B2 (en) Compact fluorescent lamp three-way ballast driver
JP4506073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H10284266A (ja) 発光制御装置
JP2006236664A (ja) 照明装置
JP4802554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US9232617B2 (en) Discharge lamp electronic ballast luminaire and vehicle with same
WO2000059273A1 (en) Supply coupling of a fluorescent lamp
EP1072171B1 (en) Circuit arrangement
JP4438496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照明システム
JP2007172933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US6445135B2 (en) Electric-discharge lamp control apparatus and electric-discharge lamp control method
JP4590991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2006261031A (ja) 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JP2004119166A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854512B1 (ko) 방전등용 안정기
JPH03302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