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754B1 -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754B1
KR100270754B1 KR1019980020802A KR19980020802A KR100270754B1 KR 100270754 B1 KR100270754 B1 KR 100270754B1 KR 1019980020802 A KR1019980020802 A KR 1019980020802A KR 19980020802 A KR19980020802 A KR 19980020802A KR 100270754 B1 KR100270754 B1 KR 100270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line
valve
line
gas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883A (ko
Inventor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이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영 filed Critical 이선영
Priority to KR101998002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754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3웨이밸브의 프로세스밸브가 닫혀 있는 시기에는 배기라인 속의 가스들이 일정시간(약 0.3초)이상 지나면 분말화가 시작되어 배관내에 증착이 진행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가열장치와 냉각장치의 설치는 고비용이며,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2에서와 같이, 3웨이밸브(16)의 개폐상태 즉, 클린밸브(18)는 개방되어 있고 프로세스밸브(20)는 닫혀있는 조건에서 이를 감지한 콘트롤러(22)가 솔레노이드밸브(24)를 개방시켜서 일정압과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질소가스를 퍼지라인(26)으로 배출시키고, 배기라인(10)의 굴곡부 및 기타 분말증착 집중부위에 설치된 체크밸브(30)들을 통해서 퍼지라인(26)내의 상기 질소 가스를 배기라인(10)에 주기적으로 공급되게 하여 배기라인내의 분말증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라인을 떼어내서 하는 청소작업의 주기를 매우 길게 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작업의 연속성이 길어지며, 생산효율 또한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Exhaust pipe line auto purge method)
본 발명은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웨이퍼 처리공정을 마친 가연 배기가스가 3웨이밸브를 경유하여 스크러버로 보내지는 배기라인에 주기적으로 적정 온도를 갖는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배기라인 내부표면에 상기 가연 배기가스가 분말화하여 증착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이다.
반도체 제조공정에서는 다종의 프로세싱 가스(Processing gas)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반응 가스들은 대개가 독성이 강해서 인체에 치명적이고 또한 다른 가스나 공기와 혼합되면 폭발할 수는 가연성 가스기 때문에 공정후 상기 가스의 처리가 환경의 안전성면에서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스는 공정라인상에서 정화처리되어 무해한 가스로 배출되도록 의무화되어 있다.
예시도면 도 1은 종래 배기라인을 적용한 반도체 제작 공정을 보인 것으로, 보통 웨이퍼를 다량으로 처리하기 위해 다수의 챔버(chamber)가 구비되고, 각 챔버에는 프로세싱 가스 흡입라인과 클린가스 흡입라인이 연결되며, 챔버의 배출라인에는 진공펌프가 설치된다. 또한 진공펌프의 배출라인에는 3웨이밸브(16)와 배기라인(10)을 매개로 하여 반응가스 소각 정화용 스크러버(scrubber)를 통한 가연배기부와 산배기부가 연결된다.
반도체인 웨이퍼 생산시에는 가연성가스 및 부식성이 강한 산성가스를 이용하여 웨이퍼에 막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데, 위와 같이 가연성 가스를 이용하여 1차 가공이 끝나면 챔버를 청소하고 다시 2차 가공을 위하여 산성가스를 챔버에 주입하게 된다.
챔버 청소시에는 질소(N2)가스를 사용하는데 잔류 가연성가스의 청소시에는 가연배기부로 질소가스를 배출시키고, 잔류산성가스의 청소시에는 산배기부로 질소가스를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세정시 사용되는 질소가스는 불활성기체로 다른 가스와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안전하며, 챔버나 3웨이밸브 및 배기라인(10)에서 배기가스의 분말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 가연성 가스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분말화하여 배기되는 과정중에서, 즉 스크러버(가스처리장치)까지 연결하는 통로인 배기파이프 내부에 분말이 증착되어 통로가 좁게 하여 가스배기를 방해한다. 이로 인해 펌프 및 장비의 가동에 많은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파우더의 증착속도는 배기라인(10)의 길이와 비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기라인(10)은 주기적으로 공정을 중지시킨 다음 배관라인을 떼어내서 관내의 증착분말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기라인(10)의 외주에 별도의 가열장치(12)와 냉각장치(14)를 설치하여 배기라인(10)과 그속의 가스가 일정온도가 되도록 유지하므로써 가스가 분말화되는 온도변화를 사전에 차단하여 배기라인의 청소주기를 길게 하고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8은 클린가스를 산배기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개방하는 클린밸브이고, 20은 가연성 가스를 스크러버로 배출시키도록 개방하는 프로세스밸브이다.
그러나, 3웨이밸브(16)의 프로세스밸브가 닫혀 있는 시기에는 배기라인(10) 속의 가스들이 일정시간(약 0.3초)이상 지나면 분말화가 시작되어 배관내에 증착이 진행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가열장치(12)와 냉각장치(14)의 설치는 고비용이며,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기라인에 주기적으로 적정 온도를 갖는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배기라인 내부표면에 상기 가연 배기가스가 분말화하여 증착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진공펌프 후방의 3웨이밸브와 스크러버사이의 배기라인에 적정온도를 갖는 질소가스가 클린밸브는 열려 있고 프로세스 밸브는 닫혀있을 때 콘트롤러의 제어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픈시켜 배기라인의 요소마다에 설치된 체크밸브로 부터 배기라인내로 주기적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기라인에 집중적으로 분말이 증착되는 부위 즉, 굴곡부와 같은 위치에 질소가스 입력의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적정온도의 질소가스를 주기적으로 공급받아 배기라인내의 분말증착을 최소화하여 배기라인을 떼어내서 하는 청소작업의 주기를 매우 길게 하는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배기라인을 적용한 반도체 제작 공정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기라인, 16 - 3웨이밸브,
18 - 클린밸브, 20 - 프로세스밸브,
22 - 콘트롤러, 24 - 솔레노이드밸브,
26 - 퍼지라인, 30 - 체크밸브.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3웨이밸브(16)의 개폐상태 즉, 클린밸브(18)는 개방되어 있고 프로세스밸브(20)는 닫혀있는 조건에서 이를 감지한 콘트롤러(22)가 솔레노이드밸브(24)를 개방시켜서 일정압과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질소가스를 퍼지라인(26)으로 배출시키고, 배기라인(10)의 굴곡부 및 기타 분말증착 집중부위에 설치된 체크밸브(30)들을 통해 퍼지라인(26)내 상기 질소 가스를 배기라인(10)에 주기적으로 공급되게 하여 가연성 가스의 분말증착화를 최소화시키는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이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의 구성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3웨이밸브(16)의 클린밸브(18)와 프로세스밸브(2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24)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러(22)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4)의 개방에 따라 질소가스가 유입되는 퍼지라인(26)과, 상기 퍼지라인(26)과 배기라인(10)의 다수개소를 연결하는 체크밸브(30)로 구성된 것이되, 상기 배기라인(10)의 체크밸브(30) 설치위치는 배기라인(10)의 굴곡부와 그외 분말증착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스반응 챔버에서 프로세스 공정을 마치고 클린가스가 투입되면, 3웨이밸브(16)에서는 프로세스밸브(20)가 닫히고, 클린밸브(18)가 열리게 된다.
콘트롤러(22)에서 상기한 상태의 조건을 감지하게 되면 즉시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24)로 보내어 상기한 솔레노이드밸브(24)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24)의 개방으로 일정압과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세정용 질소가스를 퍼지라인(26)으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적정온도라는 것은 배기라인의 가연성 가스가 냉각이나 가열로 인해 분말화하지 않는 정도의 온도로써 사용되는 가연성가스의 종류에 따라 온도수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퍼지라인(26)을 통해 공급된 질소가스는 체크밸브(30)를 거쳐서 배기라인(10)의 분말이 많이 증착될 거라도 예상되는 지점에 공급되어져 가연성 가스의 정체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가연성 가스의 분말화를 억제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정중 분할개폐식으로 작동하는 3웨이밸브(16)의 개폐상태를 조건으로 하여 주기적으로 세척용 질소가스를 분말증착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배기라인(10)의 요소에 집중적으로 불어넣어줌으로써 배관을 다떼어내서 하는 청소주기를 매우 길게 할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웨이밸브(16)의 개폐상태 즉, 클린밸브(18)는 개방되어 있고 프로세스밸브(20)는 닫혀있는 조건에서 이를 감지한 콘트롤러(22)가 솔레노이드밸브(24)를 개방시켜서 일정압과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질소가스를 퍼지라인(26)으로 배출시키고, 배기라인(10)의 굴곡부 및 기타 분말증착 집중부위에 설치된 체크밸브(30)들을 통해서 퍼지라인(26)내의 상기 질소 가스를 배기라인(10)에 주기적으로 공급되게 하여 배기라인내의 분말증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라인을 떼어내서 하는 청소작업의 주기를 매우 길게 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작업의 연속성이 길어지며, 생산효율 또한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3웨이밸브(16)의 개폐상태 즉, 클린밸브(18)는 개방되어 있고 프로세스밸브(20)는 닫혀있는 조건에서 이를 감지한 콘트롤러(22)가 솔레노이드밸브(24)를 개방시켜서 일정압과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질소가스를 퍼지라인(26)으로 배출시키고, 배기라인(10)의 굴곡부 및 기타 분말증착 집중부위에 설치된 체크밸브(30)들을 통해 퍼지라인(26)내 상기 질소 가스를 배기라인(10)에 주기적으로 공급되게 하여 가연성 가스의 분말증착화를 최소화시키는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
KR1019980020802A 1998-06-05 1998-06-05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 KR100270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802A KR100270754B1 (ko) 1998-06-05 1998-06-05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802A KR100270754B1 (ko) 1998-06-05 1998-06-05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83A KR20000000883A (ko) 2000-01-15
KR100270754B1 true KR100270754B1 (ko) 2000-12-01

Family

ID=1953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802A KR100270754B1 (ko) 1998-06-05 1998-06-05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405B1 (ko) * 2001-11-02 2004-08-16 주성엔지니어링(주) 반도체 제조용 챔버의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83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3004B1 (en) Treating device using raw material gas and reactive gas
JPH07221075A (ja) アッシング処理方法
KR100270754B1 (ko)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
US6843809B2 (en) Vacuum/purge operation of loadlock chamber and method of transferring a wafer using said operation
JPH065520A (ja) 薄膜形成装置および薄膜形成方法
KR100437532B1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배기 구조
JP381581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排ガス処理装置
KR100807031B1 (ko) 반도체 제조장치의 챔버용 퍼지 시스템
JPH10312968A (ja) 排気切換方法及び排気切換装置
KR100461845B1 (ko) 액체운송장치의 안정성 확보 시스템
KR20200144643A (ko) 흄 제거를 위한 웨이퍼 클리닝 장치 및 그에 의한 웨이퍼 클리닝 방법
KR200168402Y1 (ko) 공정용 가스공급라인 자동퍼지장치
KR100213440B1 (ko) 유독가스 배출관
KR19990004094A (ko) 반도체장치 제조설비의 배관 퍼지장치와 그 퍼지방법 및 이들 퍼지장치와 퍼지방법을 이용한 제조설비의 클리닝 방법
KR200285964Y1 (ko) 웨이퍼의 식각 장치
KR100532810B1 (ko) 펌프파워 상승시스템
KR100346602B1 (ko) 로드 락 챔버의 반응성 가스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KR200244729Y1 (ko) 반도체제조용저압화학기상증착장치
KR0125242Y1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배기장치
KR0181904B1 (ko) 화학기상증착설비의 배기 시스템
KR19990052520A (ko) 삼로 밸브에 연결된 배기라인을 갖는 로드락 쳄버
WO2002049755A1 (fr) Procede et systeme de degazag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au plasma
KR20040013237A (ko) 화학기상증착 장치의 배기라인 파우더 발생 억제 장치
KR19980015194U (ko) 반도체소자 제조장치의 백-스트림(Back Stream) 방지회로
KR0167240B1 (ko) 반도체절연막 증착장비의 가스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