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567B1 -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 Google Patents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567B1
KR100270567B1 KR1019950703121A KR19950703121A KR100270567B1 KR 100270567 B1 KR100270567 B1 KR 100270567B1 KR 1019950703121 A KR1019950703121 A KR 1019950703121A KR 19950703121 A KR19950703121 A KR 19950703121A KR 100270567 B1 KR100270567 B1 KR 100270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functional element
recess
clamp member
educational purpo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489A (ko
Inventor
빈쿠처 에르
Original Assignee
로타르 뮐러
페스토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타르 뮐러, 페스토 카게 filed Critical 로타르 뮐러
Publication of KR960700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10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 B23Q3/102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for fixing elements in slo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G09B23/1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for building block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1/00Expanded, threaded, driven, headed, tool-deformed, or locked-threaded fastener
    • Y10S411/913Self-expanding anchor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부재(1)의 조립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지지 부재(1)에 맞물릴 수 있는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실연용 및/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에 관한 것이다. 고정 장치(8)는 기능 요소(5)의 하측부에서 돌출되고 지지 부재(1)에 설치된 조립 상태에서 지지부재(1)의 고정 오목부(3)에 결속되는 클램프 부재(15)를 구비한 클램프 장치(11)로서 형성된다. 클램프 부재(15)는 클램프 장치(11)의 작동요소(82)에 의해 수동으로 공구 없이 클램프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로 옮겨질 수 있으며, 클램프 부재(15)는 그 클램핑 상태에서는 고정 오목부(3)의 횡방향(16)으로 고정 오목부(3)의 오목부 표면에 맞대어 편향되고, 그 해제 상태에서는 감소된 편향력으로 오목부 표면에 맞대어 작용하거나 오목부 표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본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 또는 제6항의 전제부에 따른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에 관한 것이다.
개개의 구성 요소 또는 전체 회로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히 공기 역학, 유체 역학 및 전자 공학의 분야에서는 통상의 실제 구조를 참조하여야 한다. DE-GM 75 07 762로 부터 공지된 대로 서두에 기재한 형태로 배치할 경우, 개개의 기능 요소를 꽂아 넣을 수 있는 격자로 배치된 구멍을 가진 판형 받침부재가 사용된다. 각각의 기능 요소는 예컨대, 밸브, 작동 실린더 압력계, 전기 라인용 또는 공기압 라인용 접합관, 전자 제어기 등과 같은 공기압 장비, 유압 장비, 전기 장비 또는 전자 장비를 포함한다. 기능 요소는 회로 설계에 따라 조립되고 이어서 필요한 방식대로 유체적 또는 전기적으로 서로에 접속될 수 있다.
서두에 기재한 형태의 배치는 GB-A-2 151 387로부터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기능 유니트를 구비한 기능 요소가 조립될 수 있는 다수의 고정 오목부를 가진 판형 받침 부재를 포함한다. 기능 요소는 2개의 탄성 견부를 가진 기저체를 구비하며, 고정 오목부에 클램핑되어 조립될 수 있다. 받침 부재로 부터 제거하기 위해, 탄성 견부중 하나는 수동으로써 측부로 만곡되어야 한다.
공지의 기능 요소에서는, 받침 부재에 고정될 때 타협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과 같은 점에서 조작상 문제가 있다. 즉, 양호한 유지를 기약해 주는 높은 편향력은 조립 및 분해에 필수적인 높은 만곡력으로 인해 거의 실현될 수 없다. 반면에, 편향력이 감소되면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조작되고 가변적인 구조를 유도하도록 배치되는 서두에 기재한 형태의 기능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 범위 제1항 또는 제6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기능 요소는 하나 이상의 홈형 오목부를 구비한 받침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형태의 받침 부재는 예컨대 DE-0S 40 10 840으로부터 공지된 것이다. 이러한 받침 부재로는 사출 성형된 판형 구조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판형 구조 부재는 평행하게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되는 다수의 고정 오목부를 구비하며, 기능 요소는 존재하는 고정 오목부중 임의의 것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요소로서는 기능 요소가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선택된 고정 오목부에 결속되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클램프 부재를 구비한 클램프 장치가 설치된다. 클램프 부재는 그 클램핑 위치에서 고정 오목부의 표면에 맞대어 가압되어 기능 요소가 실제적으로 고정되어 걸리게 된다. 제거를 위해서는 클램프 부재가 분리 위치를 취하도록 단지 작동 요소에 작용을 가하면 되며, 분리 위치에서 기능 요소는 지장 없이 받침 부재로 부터 떼어질 수 있다. 공구는 불필요하며, 사람의 손에 의한 힘으로도 작동에 충분하다. 받침 부재에 설치하는 중에도 클램프 부재는 작동요소에 의해 분리 위치로 유지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상응하는 구성에서, 클램프 부재가 통상적으로 클램프 위치를 칠하다가 고정 오목부에 삽입되면 저절로 단시간에 분리 위치쪽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저절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기능 요소는 각각의 고정 오목부를 따라 각각의 임의의 위치로 무단적으로 배치되어 고정적으로 걸리게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클램핑 위치를 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세 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힘의 작용시 고정 오목부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요소에 의해 복잡한 회로도 매우 콤팩트하게 되고 장소 절감적으로 받침 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레버의 중개에 의해, 높은 클램핑력이 생성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단한 조작을 위해 변위력을 작게 유지할 수 있다.
클램프 부재와 공통으로 공통의 고정 오목부에 결속되는 지지 부재는 콤팩트한 치수를 가능하게 해주며, 지지판에 장착되는 기저체에 안정성을 부여해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청구 범위의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가 클램핑 위치에서 앵커식 고정 돌기로써 고정 오목부의 유지 돌기 배후에 맞물리게 되면 특히 보다 확실한 유지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조립면이 수평에 대해 경사지거나 거의 수직하게 정향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지지 부재는 기저체에 특히 부동적으로 설치되며, 클램프 부재는 상기 기저체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중심을 맞추기 위한 역할도 하며, 이때 지지 부재는 조립 위치에서 실제로 동시에 양 오목부 측면에 접함으로써 받침 부재에 대한 기능 요소의 횡방향 위치를 부동적으로 고정시킨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제1도는 조립 위치에서 받침 부재에 고정된 다수의 기능 요소를 받침 부재의 조립면 위에서 바라 본 상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제2도는 클램프 장치를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해 통상 존재하는 기능 요소의 기능 유니트를 제거하고 받침 부재는 부분 절취하여 나타낸 조립 위치에 있는 기능 요소의 사시도이며, 제3도는 기능 요소를 유니트와 함께 완전히 도시하고 동시에 2개의 고정 오목부에 조립되는 기능 요소의 구성을 좌반부에 일점 쇄선의 연장선으로 나타낸 제2도의 배치 구성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제4도는 도시 생략된 받침 부재의 고정 오목부의 네크 구역 영역의 윤곽을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화살표 IV의 방향으로 바라 본 제3도의 기능 요소의 저면도이다.
제1도로 부터 특정한 판형 받침 부재(1)를 찾아볼 수 있다. 이 받침 부재는 특히 직사각형 외곽을 가진다. 2개의 넓은 평판면중 하나는 평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조립면(2)을 형성 한다. 받침 부재에는 직선형 연장을 가지고 동일 간격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 오목부(3)가 설치된다. 이들 고정 오목부(3)는 조립면(2)으로부터 받침 부재(1)내로 들어가게 되며, 이에 따라 길이 방향을 따라 조립면(2) 쪽으로 개방된다. 고정 오목부(3)는 받침 부재(1)의 대향된 단부에까지 그 끝이 이어지며, 이것은 제2도의 확대도로부터 잘 알 수 있다. 받침 부재(1)로는 사출 성형된 형상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 오목부(3)에 의해 조립면(2)은 다수의 서로 나란한 표면부(4)로 분할된다.
제1도에는 또한 조립면(2)에 장착되어 각각 하나 이상의 고정 오목부(3)에 조립되는 다수의 기능 요소(1)가 도시되어 있다. 중앙의 기능 요소(1)는 동시에 2개의 고정 오목부(3)에 고정되며, 나머지 기능 요소(5)는 각각 단 하나의 고정 오목부(3)에 조립된다.
기능 요소(5)로는 특히 공압적, 유압적, 전기적, 전자적 또는 광학적 방식의 임의의 구조로 배치된 부품들이 사용된다. 개개의 기능 요소(5)는 적절한 라인(도시 생략)의 사용하에 임의로 서로에 접속될 수 있다. 조립면(2)상의 기능 요소(5)의 조립 장소는 임의로 선택 가능하며, 설치자가 필요에 따라 최적으로 생각되는 조립 장소를 선택하게 된다. 특히, 기능 요소(5)는 가능한 최적의 접속을 파악하기 위해 실제 설치될 장치를 시험의 목적으로 사전에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와 같이 되면, 실제의 거동을 입증해주는 실제 모델이 나오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배치를 하는 것은 복잡한 관계를 일목 요연하게 묘사해 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교육용으로 적합하다.
개개의 기능 요소(5)는 그 기능에 상응하게 적절한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예컨대. 이들 구성 요소는 밸브, 작동 실린더, 압력계, 전자 제어기, 공기압 라인용 또는 유압 라인용 접합관 등으로 될 수 있으며, 이들을 일일이 다 열거할 수는 없다.
무엇보다 제2도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오목부(3)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처리되는 것이 적합하다. 우선, 조립면(2)으로 부터 시작하여 네크 구역(6)이 설치되며, 이 네크 구역(6)에는 깊이 방향으로 보다 넓어지는 고정 구역(7)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네크 구역(6)의 안측에는 네크 구역(6)과 고정 구역(7) 사이의 전이 구역에 의해 형성되는 유지 돌기(9)가 제공된다. 고정 오목부(3)로는 일종의 T형 홈이 사용된다.
제2도 내지 제4도로 부터 상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능 요소(5)에는 기능 요소(5)를 받침 부재(1)의 조립면(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 장치(8)가 설치된다. 고정 장치(8)는 부가의 공구의 조력 없이도 사람의 손만으로 신속한 조립 및 분해를 할 수 있게 해주는 클램프 장치(11)로서 형성된다.
일례에 따른 기능 요소(5)는 가변형 구조를 가진다. 이 기능 요소(5)는 클램프 장치(11)가 설치되는 판형 기저체(12)를 구비한다. 기능 요소(5)가 받침 부재(1)에 설치된 조립 위치에서, 기저체(12)는 그 하측면으로써 조립면(2)상에 장착된다. 기저체(12)의 상측면에는 기능 유니트(13)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기능 유니트(13)는 정해진 회로를 조립하거나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술한 구성요소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실시예의 경우, 기능 유니트(13)는 2개의 공기압 라인용 접합관(14)과 하나의 압력계를 구비하며, 도면에서는 단지 하나의 접합관(14)만을 볼 수 있고 다른 부품은 절단면 상부에 놓여진다. 다른 기능 요소(5)도 마찬가지로 도시된 형태의 기저체(12)를 구비하지만 기능 유니트(73)로서는 다른 구조를 가진다. 기능 요소(5)는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므로, 교습용으로 일목 요연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해주는 구조 박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클램프 장치(1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클램프 장치(11)는 기능요소(5)의 하측부에서 돌출되어 실시예에서는 기저체(12)의 바닥면을 너머 돌출되는 클램프 부재(15)를 구비한다. 클램프 부재(12)의 길이는 클램프 부재(12)가 기능 요소(5)의 조립 위치에서 조립면(2)으로부터 부속 고정 오목부(3)내로 집어 넣어지면서 고정 오목부(3)의 바닥에 얹히지 않을 정도로 선정된다. 클램프 부재(15)는 이중 화살표(16)에 따른 기저체(12)의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횡방향(16)은 조립상태에서는 조립면(2)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고정 오목부(3)의 횡방향(17)과 합쳐진다 이와 같이, 클램프 부재(15)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클램핑 위치와 제3도 및 제4도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분리 위치 사이로 변위될 수 있다. 클램프 요소(15)는 클램핑 위치에서 고정 오목부(3)의 오목부 표면(18)에 맞대어 편향된다. 그 결과, 힘의 결합이 있게 되어 기능 요소(5)가 받침 부재(1)에 고정되고 특히 받침 부재(1)의 조립면(2)으로 부터 바로 떼어질 수 없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분리 위치에서는 클램프 부재(15)와 오목부 표면(18) 사이의 편향력이 현저히 감소되거나 클램프 부재(15)가 오목부 표면(18)으로 부터 떨어져 편향력이 완전히 중단되기 때문에 기능 요소(5)의 떼어짐이 특히 조립면(2)에 직각인 방향으로 가능하게 된다.
클램프 부재(15)가 클램핑 위치에서 분리 위치로 변위되는 것은 수동으로 공구 없이 클램프 장치(11)의 작동 요소(22)에 작용을 미침으로써 일어나게 된다. 작동 요소(22)는 실시예에서 잘 붙잡을 수 있도록 기능 요소(5)의 외곽을 지나 돌출된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는, 클램프 부재(15)가 슬라이더(23)의 일 구성 요소로 되며, 클램프 부재(15)는 슬라이더(23)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23)는 플라스틱재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슬라이더(23)는 기저체(12)에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3)가 움직이게 되면, 클램프 부재(15)도 함께 움직인다. 적어도 클램프 부재(15)가 클램핑 위치 뿐 아니라 분리 위치를 취할 수 있을 만큼 큰 변위 거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양 위치는 슬라이더의 양 단부 위치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슬라이더(23)는 그 위에 배치된 기능 유니트(13) 쪽으로 개방되어 기능 유니트(13)에 의해 차폐되는 기저체(12)의 절결부(24)내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절결부(24)는 아래쪽으로 기저체(12)의 바닥(25)과 경계를 이루며, 이 바닥(25)은 클램프 부재(15)가 통과하여 돌출되는 통과공(26)을 구비한다. 통과공(26)은 적어도 클램프 부재(15)가 횡방향 이동(16)에 필요한 여유 공간을 가질 만큼 넓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23)의 안내를 위해 슬라이더(23)가 일측으로 바닥(25)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슬라이더(25)는 위쪽으로 특히 왕관 형태의 하나 이상의 안내 요소(17)에 의해 적어도 일체로 간섭을 받게 되며, 안내 요소(27)는 기저체(12)에 고정되고 특히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23)의 높이 위치는 고정된다. 슬라이더(23)는 예컨대 기저체(12)의 마찬가지로 안내 요소(27)에 설치된 부분에 의해 측부쪽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기저체(12)의 부분은 슬라이더(23)의 조립 또는 분해를 위해 그 길이 방향을 가로 질러 일시적으로 굽혀질수 있는 탄성 만곡성 조립 요소로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클램프 부재(17)는 스프링에 의해 클램프 위치로 편향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23)와 기저체(12) 사이에서 스프링 장치(28)가 작용한다. 스프링 장치(25)는 클램프 부재(15)가 클램핑 위치를 취하게 되는 출력 상태로 슬라이더(23)를 편향시킨다. 스프링 장치(28)는 슬라이더(23)의 하부 및 바닥(25)의 상부의 영역에서 절결부(24)내에 배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의해, 기능 유니트(13)의 교환시 스프링 장치(28)가 실수로 튀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스프링 장치(28)는 일측으로 통과공(26) 바로 옆에 배치되어 바닥(25)으로 부터 높게 돌출된 기저체 벽부(32)에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 장치(28)는 타측으로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슬라이더 벽부(33)에 맞대어 작용할 수 있으며, 이 슬라이더 벽부(33)는 통과공(26)의 기저체 벽부(32)가 놓이는 바로 그 측부쪽으로 슬라이더(23)의 단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 부재(15)는 클램핑 위치에서는 통과공(26)의 기저체 벽부(32)에 인접하는 바로 그 길이 방향 가장자리쪽으로 인장된다. 따라서, 스프링 장치(28)는 극히 콤팩트하게 설치되며, 이때 예컨대 나선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압축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작동 요소(22)는 슬라이더(23)의 직접적인 구성 요소로 될 수 있으며, 이때 슬라이더(23) 및 작동 요소(22)는 클램핑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의 이동시 동일한 횡방향 이동(16)을 수행한다. 그러나, 별개의 작동 요소(22)가 일측으로 기저체(12)에 지지되고 타측으로 슬라이더(23)에 연결되는 선택적 구성 방식이 보다 유리하다. 이것은 작동 요소(22)가 지렛대 중개에 의해 슬라이더(23) 및 이에 따른 클램프 요소(15)에 작용하게 되는 구성을 가능하게 해준다. 강력한 스프링 장치(28)를 실시한 것을 전제로 클램프 부재(15)에 대한 강한 클램핑력이 달성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동 요소(22)의 조작시 가해지는 힘이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되어 추가의 변위 보조 수단이 필요없게 된다
실시예의 경우, 작동 요소(22)는 기저체(12)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선회 부재로서 형성된다. 지지점은 스프링 장치(28)와 반대쪽에 있는 슬라이더 단부의 영역, 특히 기저체(12)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그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조립 위치에서 보았을 때 고정 오목부(3)의 길이 방향(35)에 평행하게, 즉 슬라이더의 변위 방향(16)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선회축(34) 둘레로 선회될 수 있도록 작동 요소(22)가 기저체(12)에 지지된다. 예컨대, 작동 요소(22)에는 그 대향된 측부에서 각각 베어링 부재(36)가 설치되며, 이 베어링 부재(36)는 각각 기저체(12)의 베어링통(37)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기능 유니트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 기능 유니트에 의해 차폐되어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실시예에서의 작동 요소(22)는 레버의 기능을 가진다. 작동 요소(22)는 보다 짧은 제1 레버 아암(38)을 구비하며, 제1 레버 아암(38)은 선회축(34)으로 부터 시작하여 슬라이더(23)쪽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슬라이더(23)에 맞물리는 것이 적합하다. 보다 긴 제2 레버 아암(39)은 선회축(34)으로 부터 시작하여 슬라이더(23)와 특히 위로 경사지게, 적합하게는 짧은 레버 아암(38)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작동 요소(22)와 슬라이더(23) 사이의 맞물림은 짧은 레버 아암(38)이 그 자유 단부로써 슬라이더(23)의 절결부(40)에 결속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클램프 부재(15)의 클램핑 위치에서, 작용 요소(22)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출력 상태를 취하게 된다. 수동으로 추진하기 쉬운 보다 긴 레버 아암(39)은 화살표(41)를 따라 안쪽으로 슬라이더를 향해 선회될 수 있으며, 보다 짧은 레버 아암(38)은 해제 방향으로 슬라이더(23)에 작용하여 슬라이더(23)를 분리 위치로 변위시킨다. 긴 레버 아암(39)을 다시 이완시키면, 클램프 부재(15)는 추진되는 스프링력에 의해 저절로 클램핑 위치로 다시 도달되며, 이때 작동 요소(22)도 출력 상태로 되돌아 간다. 긴 레버 아암(39)이 작동 요소(22)의 출력 상태에서 조립면(2)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위쪽으로 기울어진 채 돌출되어 그 길이 축이 슬라이더(23)와 반대쪽을 향한 외측에서 조립면(2)과 예각을 이루는 것이 작동에 있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기능 유니트(13)는 작동 요소(22)의 영역에서 작동 요소(22)의 파지 및 선회 운동을 허용하는 절결부(43)를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다. 좁은 구성 양식을 실현하기 위해, 작동 요소(22)는 상측부의 영역에서 기저체(12)로 부터 돌출되어 그 측벽이 둘레를 따라 올려질 수 있게 되는 것이 적합하다.
조립 위치에서 동일한 고정 오목부(3)에 결속되고 클램핑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로 이동 가능한 2개 이상의 클램프 부재를 기능 요소(5)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예의 구성 방식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조립시 마다 기능 요소(5)를 정확히 재현 가능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해준다.
기저체(12)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램프 부재(15)에 추가 하여, 클램프 장치(11)에는 마찬가지로 기저체(12)의 바닥면을 지나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지지 부재(45)는 예컨대 다수의 2부품식 부재로 설치된다. 각각의 지지 부재(45)는 기저체(12)에 대해 이동될 수 없고 특히 부동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일체형 구성이 적합하다. 지지 부재(45)는 조립 위치에서 부속 고정 오목부(3)내로 돌출되며, 클램프 부재(15)가 클램핑 위치에서 오목부 측면(46)쪽으로 편향되는 동안, 지지 부재(45)는 제1 지지면(48)으로서 대향된 오목부 측면(47)에 맞대어 가압되어 버팀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능 요소(5)가 조립 위치에서 이미 정확한 정향으로 고정된다 할지라도, 지지 부재(45)가 제1 지지면(48)과 반대쪽을 향한 제2 지지면(49)을 구비하고, 제2 지지면(49)이 조립 위치에서 마찬가지로 고정 오목부(3)내에 놓여져서 클램핑 위치에서 클램프 요소(15)가 맞대어 작용하는 바로 그 오목부 측면(46) 쪽을 향하게 되는 것이 유리하다. 지지 부재(45)는 기저체(12)의 돌기로써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며, 지지면(48, 49)은 각각외 지지 부재(45)의 횡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외측면에 배치된다. 양 지지면(48, 49)의 횡방향으로 측정된 간격은 조립 위치에서 지지 부재(45)가 적어도 거의 틈새 없이 고정 오목부(3)에 수용되어 클램프 부재(15)의 상태에 상관 없이 양쪽에서 받침 부재(1)에 대해 기능 요소(5)를 횡방향으로 버티게 할 수 있도록 선정된다.
상황에 따라서는, 제1 및 제2 지지면(48, 49)은 상이한 지지 부재(45)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클램프 부재(15)가 길이 방향(35)으로 양측에서 각각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45)에 의해 측면을 에워싸게 되는 것이 유리하다. 지지 부재(45)는 현존 지지면에 의해 부속 고정 오목부(3)에 대한 기능 요소(5)의 정확한 중심 맞춤을 달성시키는 센터링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클램프 부재(15)가 횡방향(16)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앵커식 고정 돌기(53)를 구비하고, 이 앵커식 고정 돌기(53)가 기능 요소(5)의 조립 위치시 클램핑 위치에서 고정 오목부(3)의 유지 돌기(9)의 오목부 바닥쪽으로 향한 하측면에 배후로 맞물리게 되면, 기능 요소(5)가 고정 오목부(3)에 특히 확실하게 조립된다. 앵커식 고정 돌기(53)는 리브형으로 형성되고 클램프 부재(15)의 전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적합하다. 앵커식 고정 돌기(53)는 적합하게는 클램프 부재(15)의 일체로 형성되는 아래로 돌출된 자유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식 고정돌기(53)가 유지 돌기(9) 배후에 맞물리기 때문에, 기능 요소(5)는 높은 인장력에서도 떼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앵커식 고정 돌기(53)는 실시예에서는 유지 돌기(9)와의 연동시 오목부 바닥쪽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일으키고, 이 인장력이 슬라이더(23)에 의해 기저체(12)에 전달되어 기능 요소(5)가 부가적으로 조립면(12)쪽을 향한 계류면(55)이 횡방향에 대해 약간 경사지고, 앵커식 고정 돌기(53)의 옆으로 배치된 자유 단부쪽으로는 오목부 바닥을 향해 아래로 경사지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즉, 경사진 계류면(55)은 클램핑 위치애서 네크 구역(6)와 고정 구역(7) 사이의 연결 모서리(54)에 맞대어 작용하게 된다. 특히, 클램프 부재(15)의 분리 위치에서는 앵커식 고정 돌기(53)가 배후에 맞물리는 것이 완전히 중단되어 기능 요소(5)가 조립면(2)에 직각으로 메어질 수 있게 된다.
앵커식 고정 돌기(53)의 홈 바닥쪽을 향한 하측부에도 인입면(56)으로서 작용하는 경사면이 설치되는 것이 적합한다. 이 인입면(56)은 클램프 부재(15)의 홈 바닥쪽을 향한 자유 단부로 부터 시작하여 앵커식 고정 돌기(53)의 측부 자유 단부쪽으로 위쪽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기능 요소(5)를 받침 부재(1)에 설치할 때, 인입면(56)은 조립면(2)과 네크 구역(6) 사이의 연결 모서리(57)와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해 슬라이더(23)는 앵커식 고정 돌기(53)가 네크 구역(6)을 통해 고정 오목부(7)에 찰칵 채워질 때까지 스프링 장치(28)의 복원력에 맞서 분리위치쪽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비록 자명할지라도 작동 요소(22)는 조립을 위해 조작되지 않은 채 옮겨진다.
기능 요소(5)가 서로 별개로 작동되는 전술한 형태의 클램프 장치(11)를 다수 구비하는 것도 전적으로 가능하다. 이것은 특히 기능 요소(5)의 크기 때문에 다수의 고정 오목부(3)에 동시에 조립시키는 것이 대두되었을때 적합하다. 상응하는 구성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기능 요소(5)는 실선으로 도시된 구조 뿐 아니라, 이에 부가하여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구조(58)을 포함한다. 이 경우, 클램프 부재(15)가 부속 고정 오목부(3)의 서로 상반되거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오목부 측면에 맞대어 작용하도록 클램프 부재(15)를 배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2개의 작동 요소(22)는 손으로써 동시에 작동되므로, 확대된 기능 요소(5)도 편리하게 조작될 수 있다.
특히, 매우 긴 고정 요소(5)에서는 다수의 클램프 부재(15)가 길이 방향(35)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들 클램프 부재(15)는 공통의 또는 서로 별개의 슬라이더(23)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구성에 따라 일체적 또는 서로 별개적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9)

  1. 하나 이상의 홈형 고정 오목부(3)가 마련된 받침 부재(1)의 조립면(2)에 분리가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그러한 고정을 위해 받침 부재(1)에 맞물릴 수 있는 클램프 장치(11)를 구비하며, 클램프 장치(11)에는 받침 부재(1)에 장착되는 조립 위치에서 받침 부재(1)의 고정 오목부(3)에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 부재(15)가 마련되고, 클램프 부재(15)는 클램프 장치(11)의 작동 요소(22)에 의해 공구의 사용이 없이 수동으로 기저체(12)에 대해 클램핑 위치와 분리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클램핑 위치에 있는 클램프 부재(15)는 조립 위치에서 받침 부재(1)로부터 떼어지는 것이 저지되도록 고정 오목부(3)의 횡방향으로 고정 오목부(3)의 표면에 맞대어 편향되고, 분리 위치에 있는 클램프 부재(15)는 받침 부재(1)로부터 떼어질 수 있도록 고정 오목부(3)의 표면에 대해 감소된 편향력으로 작용하거나 그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식의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요소(5)에 있어서, 클램프 부재(15)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기저체(12)에 지지되고 작동 요소(22)에 결합되는 슬라이더(23)의 구성 부품이고, 슬라이더(23)와 기저체(12)와의 사이에는 클램프 부재(15)의 클램핑 위치쪽으로 슬라이더(23)를 편향시키는 스프링 장치(28)가 지지되며, 작동 요소는 기저체(12)에 대한 선회가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레버의 중개에 의해 슬라이더(23)에 작용하는 선회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치(28)는 슬라이더(23)와 기저체(12)의 바닥부(25)와의 사이에 있는 기저체(12)의 절결부(24) 속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22)는 기저체(12)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2아암 레버이며, 이 레버 중의 보다 짧은 레버 아암(38)은 슬라이더(23)에 결합되며, 보다 긴 레버 아암(39)은 수동 추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4. 제3항에 있어서, 긴 레버 아암(39)은 클램핑 위치에서 조립면(2)에 대해 경사지고 상향으로 기울어져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치(28)는 클램핑 위치에서 일정한 힘을 가할 때에 클램프 부재(15)와 받침 부재(15)와의 사이에 힘 결속식의 결합이 이루어져서 기능 요소(5)가 그에 부속된 고정 오목부(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6. 하나 이상의 홈형 고정 오목부(3)가 마련된 받침 부재(1)의 조립면(2)에 분리가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그러한 고정을 위해 받침 부재(1)에 맞물릴 수 있는 클램프 장치(11)를 구비하며, 클램프 장치(11)에는 받침 부재(1)에 장착되는 조립 위치에서 받침 부재(1)의 고정 오목부(3)에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 부재(16)가 마련되고, 클램프 부재(15)는 클램프 장치(11)의 작동 요소(22)에 의해 공구의 사용이 없이 수동으로 기저체(12)에 대해 클램핑 위치와 분리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클램핑 위치에 있는 클램프 부재(15)는 조립 위치에서 받침 부재(1)로부터의 떼어지는 것이 저지되도록 고정 오목부(3)의 횡방향으로 고정 오목부(3)의 표면에 맞대어 편향되고, 분리 위치에 있는 클램프 부재(15)는 받침 부재(1)로부터 떼어질 수 있도록 고정 오목부(3)의 표면에 대해 감소된 편향력으로 작용하거나 그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식의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5)에 있어서, 클램프 장치(11)는 기저체(12)의 하측면에 돌출된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45)를 구비하고, 지지 부재(45)는 조립 위치에서 측방으로 향하는 지지면(48)에 의해 클램프 부재(15)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고정 오목부 속에 넣어지며, 그 경우에 기저체(12)의 하측면은 받침 부재(1) 상에 장착되고, 클램핑 위치에 있는 클램프 부재(15) 및 제 1 지지면(48)은 그에 부속된 고정 오목부(3)의 횡방향(16)으로 대향되는 오목부 측면(46, 47)에서 받침판(1)을 추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7. 제6항에 있어서, 클램프 장치(11)는 기능 요소(5)의 하측면에 돌출된 지지 부재(45)를 구비하고, 지지 부재(45)는 조립 위치에서 클램핑 위치에 있는 클램프 부재(15)에 의해 추진되는 오목부 측면(46)쪽을 향하는 제 2 지지면(49)에 의해 그에 부속된 고정 오목부(3) 속에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8. 제7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지지면(48, 49)은 공통의 지지 부재(45)의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9. 제6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클램프 부재(15)는 축방향으로 2개의 지지 부재(45) 사이에 배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10. 제6항에 있어서, 클램프 부재(15)는 고정 오목부(3)의 횡방향(16)으로 조립면(2)에 평행하게 클램핑 위치와 분리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11. 제6항에 있어서, 클램프 부재(15)는 앵커식 고정 돌기(53)를 구비하고, 앵커식 고정 돌기(53)는 기능 요소(5)가 조립 위치에 있을 때에 클램핑 위치에서 고정 오목부(3)의 유지 돌기(9)의 배후에 맞물리며, 유지 돌기(9)는 고정 오목부(3)의 좁은 네크 구역(6)과 그보다 더 깊이 놓인 넓은 고정 구역(7)과의 사이의 전이 구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12. 제11항에 있어서, 앵커식 고정 돌기(53)는 경사 돌출부 또는 리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13. 제6항에 있어서, 기저체(12)에는 공압적, 유압적, 전기적, 전자적 또는 광학적 형식의, 교환이 가능한 기능 유닛(13)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14. 제6항에 있어서, 조립 위치에서 받침 부재(1)의 여러 다른 고정 오목부(3)에 맞물리고 고유의 작동 요소(22)가 각각에 부속되어 있는 측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다수의 클램프 부재(1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클램프 부재(15)는 고정 오목부(3)의 횡방향(16)으로 조립면(2)에 평행하게 클램핑 위치와 분리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클램프 부재(15)는 앵커식 고정 돌기(53)를 구비하고, 앵커식 고정 돌기(53)는 기능 요소(5)가 조립 위치에 있을 때에 클램핑 위치에서 고정 오목부(3)의 유지 돌기(9)의 배후에 맞물리며, 유지 돌기(9)는 고정 오목부(3)의 좁은 네크 구역(6)과 그보다 더 깊이 놓인 넓은 고정 구역(7)과의 사이의 전이 구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17. 제16항에 있어서, 앵커식 고정 돌기(53)는 경사 돌출부 또는 리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18.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저체(12)에는 공압적, 유압적, 전기적, 전자적 또는 광학적 형식의, 교환이 가능한 기능 유닛(13)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19.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립 위치에서 받침 부재(1)의 여러 다른 고정 오목부(3)에 맞물리고 고유의 작동 요소(22)가 각각에 부속되어 있는 측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다수의 클램프 부재(1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 요소.
KR1019950703121A 1993-02-18 1994-01-20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KR100270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9302386U DE9302386U1 (ko) 1993-02-18 1993-02-18
DEG9302386.3 1993-02-18
PCT/EP1994/000130 WO1994019786A1 (de) 1993-02-18 1994-01-20 Für demonstrations- und/oder schulungszwecke verwendbares funktions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489A KR960700489A (ko) 1996-01-20
KR100270567B1 true KR100270567B1 (ko) 2000-12-01

Family

ID=688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121A KR100270567B1 (ko) 1993-02-18 1994-01-20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20091A (ko)
EP (1) EP0685097B1 (ko)
KR (1) KR100270567B1 (ko)
BR (1) BR9405834A (ko)
DE (2) DE9302386U1 (ko)
ES (1) ES2094643T3 (ko)
WO (1) WO199401978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89B1 (ko) * 2009-06-12 2011-05-25 김창일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KR101257770B1 (ko) 2012-10-23 2013-04-24 이호현 원터치형 클램프
KR20200082767A (ko) * 2018-12-31 2020-07-08 이준열 카메라모듈 제조용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4382C1 (de) * 1996-06-19 1998-01-02 Bosch Gmbh Robert Klemmvorrichtung
US6129221A (en) * 1998-07-29 2000-10-10 Shaha; Kevin B. Modular storage rack system
US6131746A (en) * 1999-08-04 2000-10-17 Huang; Pao Ching Pot lid storing trough
US7175144B2 (en) * 2002-06-18 2007-02-13 Benq Corporation Detachable base support
US7066435B2 (en) * 2003-12-04 2006-06-27 Innovation Office Products, Inc. Universal wall mounting bracket
US7637302B2 (en) * 2005-06-30 2009-12-29 Hunter Douglas Inc. Lock lever mounting bracket for headrails on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7516771B2 (en) * 2005-06-30 2009-04-14 Hunter Douglas Inc. Lock lever mounting bracket for headrails on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8239971B2 (en) * 2008-03-05 2012-08-14 Norotos, Inc. Carriage and socket assembly for a night vision goggle mount
US8387940B2 (en) * 2009-12-01 2013-03-05 Gene Gros Adjustable boat seats and accessories
KR101125541B1 (ko) 2010-07-22 2012-03-22 주식회사 오토닉스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US8991639B2 (en) 2011-08-09 2015-03-31 Steven R. Kells Portable work bench paint tray with stair adaptor
US8657144B2 (en) * 2011-08-09 2014-02-25 Steven R. Kells Portable work bench paint tray with stair adaptor
US9560923B1 (en) * 2015-12-30 2017-02-07 Stanley D Winnard Magnetic tool holder
CN110142418B (zh) * 2019-04-18 2020-12-04 义乌市倩飞科技有限公司 测绘仪器加工用的车床
EP3937155A1 (de) 2020-07-08 2022-01-12 Wuekro GmbH Funktionsbausteine für ein didaktisches lehrmittel
CN112518624A (zh) * 2020-12-02 2021-03-19 湖南永盛玻璃工艺有限公司 一种铝合金门窗加工用夹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0497A (en) * 1969-11-01 1972-02-08 Hartz Mountain Pet Foods Inc Detachable support device for pegboards
US3722239A (en) * 1971-10-07 1973-03-27 F Mestre Steering wheel locking device for vehicles
GB8331150D0 (en) * 1983-11-22 1983-12-29 Economatics Education Ltd Technology teaching apparatus
JPH0530381Y2 (ko) * 1985-06-12 1993-08-03
US4826438A (en) * 1988-04-14 1989-05-02 Torres Mariano C Foldable learning station for making up technological operating circuits
US5154304A (en) * 1990-12-21 1992-10-13 Display Creations, Inc. Display panel assembly
NZ241458A (en) * 1991-02-05 1994-12-22 Cateye Co Ltd Interlocking rail and groove fastening for bicycle fittings such as light: transversely latching mechanism
US5264998A (en) * 1991-07-08 1993-11-23 U.S. Philips Corporation Electric lamp having a cap of synthetic resin
DE9210835U1 (ko) * 1992-08-13 1992-10-29 Hewlett-Packard Gmbh, 7030 Boeblingen, De
US5497965A (en) * 1994-05-27 1996-03-12 Mathieu, Jr.; Edward F. Releasable microphone stand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89B1 (ko) * 2009-06-12 2011-05-25 김창일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KR101257770B1 (ko) 2012-10-23 2013-04-24 이호현 원터치형 클램프
KR20200082767A (ko) * 2018-12-31 2020-07-08 이준열 카메라모듈 제조용 지그
KR102203531B1 (ko) * 2018-12-31 2021-01-14 이준열 카메라모듈 제조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405834A (pt) 1995-12-26
US5820091A (en) 1998-10-13
KR960700489A (ko) 1996-01-20
EP0685097B1 (de) 1996-11-27
DE59401164D1 (de) 1997-01-09
WO1994019786A1 (de) 1994-09-01
EP0685097A1 (de) 1995-12-06
ES2094643T3 (es) 1997-01-16
DE9302386U1 (ko) 199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567B1 (ko)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JP5247689B2 (ja) 引き出し係合装置
US6930260B2 (en) Switch matrix
AU574040B2 (en) Articulable positioning device
US5535881A (en) Crowfoot wrench holder
JP4801167B2 (ja) ケーブル又はワイヤを案内する装置
EP0953523B1 (en) Clamping member for at least one support pin for belt conveyor components
US4988553A (en) Mounting structure of switching unit
JP5227731B2 (ja) 配線用ボックス間柱固定金具
CA2978219A1 (en) Plate holder for holding a license plate
JP2009517991A (ja) ケーブル又はワイヤを案内する装置
US8256324B2 (en) Shifter with one-touch locking knob
KR20210045060A (ko) 커넥터 클립
JP2900145B2 (ja) 電線ボックス支持用棒材の取付具とその取付具を用いた電線ボックス取付構造
KR101125541B1 (ko) 실습기자재용 클램핑 장치
CN220757332U (zh) 一种边刷装置及清洁机器人
JP3911087B2 (ja) 位置検出装置のヘッドスライダの固定具
JPS6025606Y2 (ja) 多項目情報入力装置
DE20219422U1 (de) Unterputz-Installationsdose
GB2197383A (en) Interlocking mechanism
JP2002136350A (ja) 机における天板後部材の取付構造
JP2512360Y2 (ja) 板状物の係合具
KR0114980Y1 (ko) 카 오디오용 노브구조
JP2969511B2 (ja) 電線ボックス支持用棒材の取付具
JP3775997B2 (ja) 器具類取付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