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889B1 -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889B1
KR101036889B1 KR1020090052160A KR20090052160A KR101036889B1 KR 101036889 B1 KR101036889 B1 KR 101036889B1 KR 1020090052160 A KR1020090052160 A KR 1020090052160A KR 20090052160 A KR20090052160 A KR 20090052160A KR 101036889 B1 KR101036889 B1 KR 101036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clamp
lower case
clamp element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559A (ko
Inventor
강철교
김창일
Original Assignee
김창일
(주)지오피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일, (주)지오피케이 filed Critical 김창일
Priority to KR1020090052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889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Abstract

개시된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는 실습판에 대한 고정과 분리가 원터치 조작으로 이행되는 것으로, 상호 신축 조작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로 이루어지고, 그 신축에 따라 실습판의 슬롯 개구(11)로 삽입되는 클램프 웨지(110)와 같은 슬롯 개구에 이미 삽입된 상태에서 클램프 웨지에 의해 가압되어 슬롯 개구의 일측 가장자리 안쪽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211)을 가진 클램프 요소(210)를 구비한다. 이 장치는 실습판에 대고 상부케이스를 그대로 누르면 고정되고, 그 고정상태에서는 상부케이스를 잡아 들어 올림으로써 실습판으로 분리된다. 즉, 실습판에 대한 고정과 분리가 원터치 조작으로 이행되어 취급이 매우 간편해진 것이다. 또한 클램프 요소가 기계적으로 마찰하지 않으므로 수명을 연장시키고, 별도의 조작 손잡이가 없어도 되므로 점유공간을 적게 하여 기자재를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실습 기자재, 실습판, 클램핑장치, 클램프 요소

Description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ONE TOUCH CLAMPING APPARATUS FOR PRACTICAL TRAINING MATERIALS}
본 발명은 실습 기자재들을 배치하고 실연해 볼 수 있도록 각 실습 기자재에 부착되고 실습판에 대해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는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 한 번의 조작으로 고정 또는 분리 조작이 가능한 원터치 조작 방식의 새로운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기술분야의 학술적 연구나 기술개발을 위한 실험은 물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습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실험 실습 기자재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생산 장비나 구조물의 자동화시스템 구현을 위한 실험 실습 기자재로서 액추에이터, 밸브, 계기 등 다양한 공압 또는 유압장비와 함께 전기전자 제어장비가 사용되며, 과제에 따라 선택된 기자재들을 이리저리 배치 및 연결하여 과제 시스템을 구현하고 그것을 실제와 같은 조건으로 동작시켜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험 실습 기자재들을 배치 및 실연시키기 위해서는 기자재들의 각 위치와 상호간의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기자재들을 원시적으로 고정하는 것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그 배치를 변경하기가 용이하지 않 으므로 한정된 시간 내에 실험 실습을 마치는데 장애가 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실험 실습을 위해 각 기자재를 손쉽게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은 특정 구조의 실습판(10)과 이 실습판(10)에 탈착 가능한 본 발명의 주제와 같은 클램핑장치(20)가 사용된다. 실습판(10)에는 일정 간격마다 일정한 폭의 슬롯 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장치(20)는 각 기자재(30)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그 슬롯 개구(11)에 대한 탈착 조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클램핑장치에 대하여 종래에도 다양한 구조가 제안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70567에 개시된 클램핑장치는 경사면과 검림턱이 있는 후크(hook) 모양의 클램프 요소, 이 클램프 요소를 측방향으로 밀어붙이는 탄력을 보유하는 스프링, 이 스프링에 대항하여 클램프 요소를 일시적으로 후퇴시키는 조작이 가능한 레버부재를 구비한 한다. 후크형 클램프 요소는 경사면의 작용으로 실습판의 슬롯 개구를 통과한 후 그 슬롯 개구의 일측 가장자리 안쪽에 걸려서 이탈되지 아니하는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59291에 개시된 클램핑장치는 대략 90˚ 회전하여 그 회전위치에 따라 실습판의 슬롯 개구를 출입할 수 있는 자세와 그 개구 안쪽에 걸려 고정되는 자세로 전환되는 회전형 클램프 요소, 이 클램핑 요소가 달린 일측 기어부재와 손잡이가 달린 타측 기어부재가 맞물린 기어트레인을 구비한다. 즉, 손잡이 조작에 따라 클램핑 요소의 자세가 전환됨으로써 슬롯 개구에 대해 고정되거나 해제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4976에 개시된 클램핑장치는 앞에 설명된 클램핑장 치의 타측기어부재 대신 2개의 래크(rack)를 구비한다. 2개의 래크는 상기 클램프 요소가 달린 일측 기어부재 양측에 나란히 맞물려 교호로 누름 조작되는 버튼식으로 구성된다. 즉, 클램프 요소는 일측 래크에 의해 고정 상태로 되고, 타측 래크에 의해 그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습 교육은 한정된 시간에 실습을 마쳐야 하므로, 기자재를 실습판에 탈착시킬 때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고정 및 분리해 낼 수 있는 클램핑장치가 요구된다. 클램핑장치는 또한 많은 학생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하므로 내구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클램핑장치를 실습판에 고정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키는 취급에 있어서, 전술한 후크형 클램프 요소는 실습판의 슬롯 개구를 통과하면서 곧바로 고정되므로 원터치 조작으로 고정되나, 그 분리는 레버부재 조작에 의해 그 고정 상태가 해제된 다음에야 슬롯 개구를 빠져 나올 수 있으므로 2단계 조작이 불가피하여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회전형 클램프 요소는 슬롯 개구를 통과한 다음 회전 조작에 의해 고정 상태로 되고, 또 그 고정 상태에서 반대로 회전 조작되어야 해제되므로 그 고정과 분리 모두 2단계 조작으로 이행되므로 더욱 불편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클램핑장치들의 공통된 문제점은 수명이 짧다. 그 이유는 실습판에 고정 및/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클램프 요소들이 상당한 압력을 받은 채 실 습판과 마찰하여 금세 마모되기 때문이다.
한편, 종래의 클램핑장치들에 있어서, 전술한 스프링이나 기어부재 또는 래크는 조립성이 좋지 못하고, 레버부재나 손잡이는 실습판상의 적지 않은 공간을 점유하므로 기자재들을 근접하게 배치될 수 없게 하는 등 실습에 장애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첫째 실습판에 고정과 분리시키는 과정 모두 원터치 조작으로 이행되고, 둘째 클램프 요소의 기계적 마찰이 없어 장수명이 보장되고, 셋째 조립성이 크게 향상되고, 그리고 넷째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기자재들을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는 전혀 새로운 방식의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는, 실습 기자재들을 배치할 수 있는 상면을 가지며 그 상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슬롯이 개구되어 있는 실습판에 그 기자재들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기자재에 부착되는 상부케이스와 이 상부케이스 밑에 결합되어 상호간 상하 방향으로 신축 조작될 수 있는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신축 조작에 따라 상기 실습판의 적어도 어느 한 슬롯에 대해 고정 또는 해제되는 클램핑수단을 구비하여, 실습판 상면에 대고 누르면 고정되고 그 고정 상태에서 잡아 올리면 실습판으로부터 분리되어지게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상호간의 신축 운동을 안내하는 수단과,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상호간의 신축을 허용하면서 과도하게 신장되어 서로 분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과,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서로 수축 및 구속된 상태를 강제로 해제 및 복권시키는 수단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수단으로서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고 그 밑으로 돌출하여 상기 실습판 상면의 슬롯 개구부를 출입할 수 있고 그 슬롯 개구부의 일측 가장자리 안쪽을 걸어서 위쪽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는 걸림턱을 가지며 그 걸림턱이 그 슬롯 개구부의 일측으로 가압된 후 해제되면 복원하는 탄력을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요소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와 수축된 위치에서 상기 클램프 요소와 상기 슬롯 개구부 타측 가장자리 사이로 삽입되어 그 클램프 요소를 슬롯 개구부의 일측으로 가압 및 유지하는 웨지단을 가진 클램프 웨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수단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요소에 상기 클램프 웨지의 웨지단을 그 초기 위치에서 수용하여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유지하는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클램프 웨지가 하강된 상태에서 임의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상기 클램프 요소에 일부분에 걸려 유지되는 걸림단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클램프 요소가 상기 하부케이스와 다른 재질로서 별도로 제작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그 별도의 클램프 요소를 끼워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는 실습판 상의 원하는 위 치에 대고 그대로 눌러주면 고정되고, 그 고정 상태에서 상부케이스를 잡아서 들어 올리면 실습판으로부터 분리되어, 그 고정과 분리 모두 원터치 조작으로 이행된다. 따라서 취급이 매우 간편하고 기자재를 배치하여 과제를 구현하기까지의 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실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 요소는 실습판과 마찰하지 않고 단지 가압될 뿐이다. 따라서 마모로 인한 수명단축 문제가 해결되어 수명 연장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력한 스프링이나 기어트레인과 같은 부품 사용이 배제되므로 조립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기계에 의한 자동조립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양산이 가능하고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신축에 따라 고정 또는 분리되므로 점유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자재들을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는 등 효율적인 공간활용으로 보다 다양한 배치의 실험 실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에 따른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었다. 이들 도면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과장되는 등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 구성 요소의 명칭 등 용어는 각 요소의 기능이나 형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의 의미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 예로서의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는 도 2와 같이 대략 상자 모양의 덮개와 본체에 대응하는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로 이루어진다. 상부케이스(100)는 기자재(30)를 볼트 요소(31)를 체결할 수 있는 볼트체결홈(101)이 형성됨으로써 기자재(30)에 일체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볼트체결홈(101)은, 도면의 예시와 달리, 기자재(30)에 따라서 그 수가 더 적거나 더 많을 수 있으며, 각 위치 또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는 합성수지 사출성형물로서 상호간 신축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신축 조작에 따라 전술한 실습판 상면의 슬롯에 대해 원터치 조작으로 고정 또는 해제되는 클램핑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부가적인 것으로서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는 상호간의 신축 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수단,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조작 실수 등에 의해 자체적으로 수축 및 구속된 경우에 그 구속을 해제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램핑수단으로서 상부케이스(100)의 내측 천장으로부터 일체로 돌출한 클램프 웨지(110)와 하부케이스(200)에 결합된 별도의 클램프 요소(210)가 각측에 종 및 횡 방향으로 2개씩, 총 4개씩 구비되어 있다. 종과 횡 방향중 어느 한 방향에 마주하는 2개씩의 클램프 웨지(110)와 클램프 요소(210)에 의해 실습판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4 참조). 즉, 종과 횡 방향에 각각 형성한 것은 기자재를 90˚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클램프 웨지(110)와 클램프 요소(210)는 각 방향에 하나씩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기자재 배치 방향에 따라 각 방향에 맞추어 다른 방향을 향하거나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클램프 웨지(110)는 웨지단(111)과 걸림단(112)을 가진다. 각 클램프 요소(210)는 하부케이스(200)와는 다른 재질, 예를 들면 내마모성 내구성이 뛰어난 아세탈 수지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별도 성형되는 것으로, 전술한 슬롯의 개구부에 일측 가장자리를 걸도록 형성된 걸림턱(211)이 있는 후크부(212), 이 후크부(212)에서 원호 모양으로 연장되어 탄력을 보유하는 탄성부(213), 이 탄성부(213)에서 더 연장된 지지부(214)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클램프 요소(210)는 대체로 "R"자 모양이며, 후크부(212) 이면상의 탄성부(213)와의 사이에 클램프 웨지(110)의 웨지단(111)을 수용하여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가둘 수 있는 리세스(215)를 형성한다. 클램프 요소(210)에 대응하여 하부케이스(200)에는 각 내측 벽면 중앙부위에 클램프 홀더(201)가 형성되고, 각 클램프 홀더(201)와 근접한 바닥면에는 클램프 구멍(202, 도 4 참조)이 있다. 클램프 요소(210)는 그 지지부(214)가 하부케이스(200)의 클램프 홀더(201)에 꼭 맞게 끼워지고 유지됨으로써 하부케이스(200)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클램프 요소(210)의 후크부(212)는 클램프 구멍(202) 밖으로 돌출하여 전술한 슬롯의 개구부를 출입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프 구멍(202)의 크기는 슬롯 개구(11)의 폭과 대체로 같으며 약간 커도 무방하다.
각 클램프 웨지(110)는 각 클램프 요소(210)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케이스(100)의 내측 천장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두툼한 웨지단(111)과 걸림 단(112)을 가진다. 웨지단(111)은 초기 위치에서 클램프 요소(210)의 리세스(215)에 유지되어 있다가,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에 대해 수축 방향으로 하강되어지면 하부케이스(100)의 클램프 구멍(202)으로 삽입되어 클램프 요소(210)의 후크부(211) 이면을 측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걸림단(112)은 클램프 요소(210)의 탄성부(213) 아래쪽에 걸려서 클램프 웨지(120)가 임의로 상승하지 못하게 한다. 즉, 상부케이스(100)를 강제로 상승시키지 아니하는 한 클램프 웨지(110)의 웨지단(111)이 클램프 요소(210)의 후크부(211)를 가압하고 있는 고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도 5a~5c 참조).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신축 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상부케이스(100)의 각 내측 벽면과 이와 접하는 하부케이스(100)의 각 외측 벽면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속된 요홈부(120)와 돌기부(220)가 있다. 그 요홈부(120)와 돌기부(220)는 각 성형 위치가 맞바뀌어도 무방하며, 각 측의 다른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모양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상부케이스(100)의 각 외측 벽면 중앙부위에 형성된 파지부(102)는 실습판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00)를 잡아서 위로 당기기 쉽도록 아래로 갈수록 두께방향 안쪽으로 경사졌으며, 또 미끄러지지 않도록 그 표면이 너얼링된 것이다.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상부케이스(100)의 내측 천장과 하부케이스(200)의 내측 바닥면에 이탈방지 후크(130,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 후크(130,230)는 서로 엇걸리는 걸림턱(부호생략)을 가짐으로써,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신축 운동 을 일정 스트로크 내에서 허용하고, 그 스트로크 이상으로 과도하게 신장되어 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도 5a~5c 참조). 참고로, 이러한 기능은 전술한 클램핑 수단으로 구비된 클램프 웨지(110)의 웨지단(111)과 클램프 요소(210)의 리세스(215)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 발휘된다.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조작 실수 등에 의해 자체적으로 수축 및 구속된 경우에 그 구속을 해제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는, 별도의 해치캠(140)이 구비되고, 상부케이스(100)의 내측 천장 중앙부에 일체로 캠지지축(103)과 하부케이스(200)의 내측 바닥 중앙부에 뚫린 해치구멍(203)과 이 해치구멍(203)에 일체로 형성된 캠홀더(240), 그리고 별도의 스프링(150)이 구비되어 있다. 별도의 해치캠(140)은 2단 원통 모양으로서 단차 부위에 일정 주기의 톱니형 캠부(141), 상단면에서 일정깊이 파인 축지지홈(142), 축지지홈(142) 내 원주방향으로 캠부(141)의 주기와 같은 간격마다 형성된 걸림홈(143), 하단면에 형성된 드라이버홈(144)을 가진다. 캠지지축(103)은 해치캠(140)의 축지지홈(142)에 삽입되어 그 해치캠(14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그 회전을 일정 각도씩 제어하게 된 것으로, 콜릿(collet)형의 4갈래로 절결되고, 각 갈래의 외측면에 걸림홈(143)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제어돌기(104)를 가진다. 캠홀더(240)는 해치캠(140)의 캠부(141)와 대응하여 그 회전을 수직 승강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연동하는 연동캠부(241)를 가진다. 해치구멍(203)은 해치캠(140)의 하단면을 노출 시켜서, 별도의 드라이버 공구를 이용 해치캠(140)을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스프링(150)은 상부케이스(100)의 천장면과 하부케이스(200)의 바닥면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탄력을 보유하 게 된다. 이 스프링(150)의 탄력은 전술한 클램핑 수단에 의한 구속력보다 충분히 약하며, 그 클램핑 수단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경우에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를 신장시켜 초기 상태를 유지시키는데 바람직하다.
하부케이스(200)의 외측 저면에 안내돌기(204)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돌기(20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습판(10)의 슬롯 개구(11)에 약간 여유있게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클램핑 위치를 안내해 주며, 바람직하게는 1 슬롯에 적어도 하나씩 2 이상 슬롯에 대해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안내돌기(204)는 클램프 요소(210)의 돌출 부분이 다른 물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그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하부케이스(200)의 외측 저면에는 오목한 홈(부호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 받침부재(250)가 삽입고정되어 있다. 받침부재(250)는 예컨대 마차계수가 크고 신축성이 있는 고무재질로서, 실습판 상에서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하고, 또 고정시 신축적으로 압축됨으로써 그 고정상태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도 5a~5c 참조).
상부케이스(100) 상면에 설명되지 않은 구멍들은 그 사출성형용 금형 구조에 의해 불가피하게 형성된 것으로 특별한 기능을 위해 구비된 것은 아니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이상과 같이 실시된 본 발명의 클램핑장치가 고정(클램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 클램프 장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초기 상태에서는 클램프 웨지(110)의 웨지단(111)이 클램프 요소(210)의 리세스(215)에 유지되고, 상 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는 최대로 신장되어 있다. 초기 상태의 클램프장치를 하부케이스(200)가 밑을 향하게 하여 실습판(10) 상의 원하는 위치에 내려놓으면, 도 5b와 같이 안내돌기(204)가 실습판(10)의 슬롯 개구(11)로 삽입되고, 이 안내돌기(204)에 의해 안내된 클램프 요소(210)의 후크부(212)가 그 슬롯 개구(11) 안으로 진입하게 된다. 도 5b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00)를 아래로 누르면, 도 5c와 같이 클램프 웨지(110)의 웨지단(111)이 리세스(215)를 벗어나서 슬롯 개구(11)로 삽입되어, 먼저 삽입되어 있던 클램프 요소의 후크부(212)가 슬롯 개구(11)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그 이면을 측방으로 가압하고, 스스로는 그 후크부(212) 이면과 슬롯 개구(11)의 타측면 가장자리 사이에 끼이어 구속되어진다. 이때 클램프 웨지(110)의 걸림단(112)이 클램프 요소(210)의 탄성부(213) 밑에 걸려서 임의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클램프 웨지(110)의 웨지단(111)에 의해 측방으로 가압된 클램프 요소(210)의 후크부(212)는 걸림턱(211)이 슬롯 개구(11)의 일측 가장자리 안쪽에 걸리는 상태로 구속되며, 그 걸림턱(211)에 의해 슬롯 개구(11)를 빠져 나가지 못하는 상태로 저지되며, 따라서 실습판(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 클램핑장치의 고정은 실습판(10) 상에서 그대로 눌러서 고정하는 원터치 조작으로 이행되는 것이다.
도 5c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00)를 파지부(102)를 잡아서 위로 들어 올리면, 클램프 웨지(110)의 웨지단(111)이 강제로 이탈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면서, 클램프 요소(210)의 후크부(212)는 그 구속 상태가 해제되고 탄성부(213)에 의 해 슬롯 개구(11)를 빠져 나갈 수 있는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즉, 본 발명 클램핑장치의 분리 또한 상부케이스(100)를 잡고 들어 올리는 원터치 조작으로 이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 클램핑장치의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는 취급자의 실수 등에 의해 실습판상에서가 아닌 자체적으로 수축 및 구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를 강제로 신장시켜주면 되나, 전술한 해치캠(140)을 조작하면 보다 수월하게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를 구속 해제 및 복원시킬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수축 고정된 상태에서는, 해치캠(140)이 상부케이스(100)와 함께 하강하여 하부케이스(200)의 상의 캠홀더(240)에 수용되어지고, 이때 해치캠(140)의 캠부(141)와 캠홀더(240)의 연동캠부(241)가 연접하게 되고, 또한 해치캠(140)의 하단면이 하부케이스(200) 저면의 해치구멍(203)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별도의 드라이버 공구(40)를 그 해치구멍(203)에 위치된 해치캠(140) 하단면의 드라이버홈(144)에 끼워 캠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서로 연접한 캠부(141)와 연동캠부(241)의 캠 작용에 의해 해치캠(140)이 강제로 상승되어지고, 이에 의해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어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클램핑장치는 이상의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의 변형 또는 변용하는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클램핑장치를 부착한 실습 기자재들이 실습판에 고정 배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른 실습 기자재용 클램프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실시된 클램프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실시된 클램프장치의 하부케이스 저면을 보인 평면도,
도 5a 내지 5c는 도 2에 실시된 클램프장치가 실습판에 대해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종단면도들,
도 6은 도 2에 실시된 클램프장치가 자체적으로 클램핑된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상부케이스
110: 클램프 웨지
130,230: 이탈방지후크
140: 해치캠
200: 하부케이스
210: 클램프 요소

Claims (6)

  1. 실습 기자재들을 배치할 수 있는 상면을 가지며 그 상면에 일정한 간격마다 슬롯이 개구되어 있는 실습판에 그 기자재들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기자재에 부착되는 상부케이스와 이 상부케이스 밑에 결합되어 상호간 상하 방향으로 신축 조작될 수 있는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신축 조작에 따라 상기 실습판의 적어도 어느 한 슬롯에 대해 고정 또는 해제되는 클램핑수단을 구비하여, 실습판 상면에 대고 누르면 고정되고 그 고정상태에서 잡아 올리면 실습판으로부터 분리되어지는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상호간의 신축 운동을 안내하는 수단과,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상호간의 신축을 허용하면서 과도하게 신장되어 서로 분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과,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서로 수축 및 구속된 상태를 강제로 해제 및 복권시키는 수단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으로서,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고 그 밑으로 돌출하여 상기 실습판 상면의 슬롯 개구부를 출입할 수 있고 그 슬롯 개구부의 일측 가장자리 안쪽을 걸어서 위쪽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는 걸림턱을 가지며 그 걸림턱이 그 슬롯 개구부의 일측으로 가압된 후 해제되면 복원하는 탄력을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요소와, 상기 상부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와 수축된 위치에서 상기 클램프 요소와 상기 슬롯 개구부 타측 가장자리 사이로 삽입되어 그 클램프 요소를 슬롯 개구부의 일측으로 가압 및 유지하는 웨지단을 가진 클램프 웨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요소에 상기 클램프 웨지의 웨지단을 그 초기 위치에서 수용하여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유지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웨지가 하강된 상태에서 임의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상기 클램프 요소에 일 부분에 걸려 유지되는 걸림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요소가 상기 하부케이스와 다른 재질로서 별도로 제작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그 별도의 클램프 요소를 끼워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홀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핑장치.
KR1020090052160A 2009-06-12 2009-06-12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KR10103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160A KR101036889B1 (ko) 2009-06-12 2009-06-12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160A KR101036889B1 (ko) 2009-06-12 2009-06-12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59A KR20100133559A (ko) 2010-12-22
KR101036889B1 true KR101036889B1 (ko) 2011-05-25

Family

ID=4350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160A KR101036889B1 (ko) 2009-06-12 2009-06-12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232B1 (ko) 2013-05-22 2013-11-29 오재준 마모없고 결착력이 우수한 실습 기자재 장착용 원터치 클램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11B1 (ko) * 2012-10-19 2013-11-04 주식회사 영일교육시스템 모듈형실습부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567B1 (ko) * 1993-02-18 2000-12-01 로타르 뮐러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KR100507389B1 (ko) * 1996-06-19 2005-10-2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클램핑장치
KR100664976B1 (ko) * 2006-02-27 2007-01-04 강명헌 실험실습용 클램핑 장치
KR100812991B1 (ko) * 2007-11-21 2008-03-13 이정훈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567B1 (ko) * 1993-02-18 2000-12-01 로타르 뮐러 실연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능 요소
KR100507389B1 (ko) * 1996-06-19 2005-10-2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클램핑장치
KR100664976B1 (ko) * 2006-02-27 2007-01-04 강명헌 실험실습용 클램핑 장치
KR100812991B1 (ko) * 2007-11-21 2008-03-13 이정훈 클램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232B1 (ko) 2013-05-22 2013-11-29 오재준 마모없고 결착력이 우수한 실습 기자재 장착용 원터치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59A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794B2 (en)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US5022256A (en) Clamping device
KR101236092B1 (ko) 성형 물품을 몰드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54069B2 (en) Gripper with adjustable bumper stops
KR101036889B1 (ko) 실습 기자재용 원터치 클램핑장치
KR102036911B1 (ko) 물품을 위한 픽업 및 배치 도구
US20140042761A1 (en) Clamping device
CA2594050A1 (en) Hanger with ratcheting sliding-jaw clamps
KR101335232B1 (ko) 마모없고 결착력이 우수한 실습 기자재 장착용 원터치 클램핑 장치
CN109263005B (zh) 锁紧机构及具有其的注塑机
NO850729L (no) Holder for gjenstand som verktoey og redskap
RU2745234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для зажим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8287016B2 (en) Gripper for robot
ES2914032T3 (es) Mitad de herramienta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pieza moldeada por inyección con al menos un inserto tipo casquillo
KR101551331B1 (ko)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장치
KR102006160B1 (ko) 미용콘택트렌즈 제조 공정에서 상부몰드의 인쇄를 위한 상부몰드 고정지그
CN210132236U (zh) 气门锁夹压装机构及压装装置
KR101603094B1 (ko) 실습 기자재용 클램핑장치
KR102617066B1 (ko) 연결기 및 그 분리 도구
CN207735418U (zh) 轨道交通用e型弹条自动化生产线
KR20210013919A (ko) 악력기
JPH0650830U (ja) 射出成形金型における二段突き出し装置
CN216658243U (zh) 一种塑料制品成型用多点打孔装置
US9991688B2 (en) Opening aid
CN101372003B (zh) 涂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