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162B1 - 웨브의 비접촉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웨브의 비접촉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162B1
KR100270162B1 KR1019960003164A KR19960003164A KR100270162B1 KR 100270162 B1 KR100270162 B1 KR 100270162B1 KR 1019960003164 A KR1019960003164 A KR 1019960003164A KR 19960003164 A KR19960003164 A KR 19960003164A KR 100270162 B1 KR100270162 B1 KR 100270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nozzle
surface unit
carrying surface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솔린
마티 레프스퇴
에엘리스 마틸라이넨
베르텔 칼스테트
Original Assignee
프리만 에스코, 코스키 하리
발메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만 에스코, 코스키 하리, 발메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프리만 에스코, 코스키 하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4Advancing webs by direct action on web of mov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fluid action, e.g. to retard the running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34Apparatus for taking-out curl from web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18Drying webs by hot air
    • D21F5/185Supporting webs in hot air dryers
    • D21F5/187Supporting webs in hot air dryers by air j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01Supporting materials without tension, e.g. on or between foraminous belts
    • F26B13/104Supporting materials without tension, e.g. on or between foraminous belts supported by fluid jets only; Fluid blowing arrangements for flotation dryers, e.g. coanda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1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fluidised bed
    • B65H2406/112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fluidised bed for handling material along preferably rectilinear path, e.g. nozzle bed f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Advancing Web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웨브가 처리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방법 및 장치는 예컨대, 운반면 구역을 제공하는 송풍에의해 지지되고, 역전되며, 펼쳐지고, 운반되며, 그리고/또는 건조된다. 운반면 구역은 웨브의 진행방향에 횡방향으로 조정가능한 만곡형태를 갖는다. 장치의 노즐운반면 유니트는 장치의 프레임 부품이 고정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기계의 횡방향에 만곡형태로 굽혀진다. 장치는 장치의 프레임구조체가 고정위치에 지지되는 동안 웨브의 이동방향에 횡방향으로 노즐운반면 유니트를 만곡형태로 굽히기 위한 조정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브의 비접촉 처리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고 웨브의 이동방향으로 취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 수직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고 웨브의 횡방향을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 예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 개략 예시도.
제4도는 제2도의 B부분 개략 예시도.
본 발명은 웨브의 비접촉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웨브는 만곡형태를 갖는 운반면(carrier-face) 구역을 제공하는 송풍(blowings)에 의해 예컨대, 지지되고, 역전되며, 펼쳐지고, 운반되며, 그리고/또는 건조 처리된다. 운반면 구역의 만곡형태는 웨브의 진행 또는 이동방향에 횡방향으로 조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웨브, 특히 건조, 운반의 적용에서 종이, 판지 또는 웨브에 상당한 것의 비접촉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프레임부품 또는 다수의 프레임 부품들, 및 이 프레임 부품(들)에 관련하여 장치된 노즐-운반-면 유니트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종이 웨브, 판지 웨브, 또는 이에 상당하는 것을 건조시키고, 운반하는 것 등에의 몇몇 적용에서, 이 장치는 주름, 접힘 및 웨브의 불안정과 같이 기계의 횡방향으로 웨브의 이동에 관련된 어떤인자(factor)들을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는 한 방법은 기계의 횡방향으로 만곡된 웨브를 생산하는 것이다. 웨브의 비접촉처리에서, 이것은 사용되는 에어노즐(air nozzle)용 만곡 운반면을 발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공력(airbone) 웨브 건조는 예컨대 다양한 코팅적용에 사용되고, 특히 웨브의 양 측면이 동시에 처리되는 적용에 사용된다. 이러한 형식의 한 장치는 "심-사이저 컨셉트(sym-sizer concept)"라는 상표명으로 양수인에 의해 판매되는 코팅장치이다.
공력 웨브 건조에 관한 종래 기술에 관하여, 공개된 유럽특허출원 제 0 507 218호가 참고됐고, 이 출원은 건조기부를 기술하고 있으며, 이 건조기부는 만곡형을 갖는 비접촉 웨브 역전장치를 포함하여 웨브가 역전 곡선의 중간에서, 즉 상응하는 웨브의 중간구역에서 웨브의 횡구역에서 보다 더욱 큰 범위로 역전된다. 더욱이, 이 장치에서, 송풍압력들은 변부구역을 향한 것보다 중간구역에서 더 크게 선택되어 웨브는 기계의 횡방향에서 만곡형태를 얻는다. 이 장치에 의해 웨브의 이동방향에 횡방향으로 웨브에서의 물결(wave)형성이 감소되고, 주름(cockles)지는 것이 방지된다. 송풍 압력프로파일의 만곡형태는 만곡형태로 이루어지는 웨브 역전 장치에 의해서 또는 이에따라 송풍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유럽특허출원 제 0 507 218호에 기술된 장치에서, 제시된 작동모드중 어느 것을 수행하기 위한 적당한 해결책이 기술되지 않았다.
만곡 에어노즐에 관한 중요한 문제는 만곡되고 교체가능한 노즐과 고정되고 직선인 공기 송풍장치의 메인 프레임사이의 밀봉(sealing)에 대한 점이다. 미끄러지고 압축 가능한 실(seal, 밀봉장치)은 종래 기술의 장치에 사용되었으나, 이들 실은 가능한 이동을 제한하고, 정비 및 수리를 위한 관련 필요물들을 증가시키며, 다양한 마모부품의 수를 증가시킨다.
또다른 종래기술에 관하여, 유럽특허출원 제 0 548 419호가 참고됐고, 여기에서 송풍역전장치가 기술됐다. 이 송풍역전장치는 기계의 횡방향으로 만곡위치에서 볼트에 의해 조정되는 방식으로 형성된 노즐부품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 장치는 적당한 밀봉을 유지하도록 장치의 프레임 부품과 노즐부품사이에 독립되고 대단히 복잡한 밀봉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유럽특허출원 제 0 548 419호에서, 만곡형태를 조정하도록 다수의 다른 스크류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다욱이 이들 스크류에의 접근은 장치의 다른 구조적인 부품들이 방해되지 않게 이동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이 장치의 결점은 소정의 만곡형태를 제공하도록 프로파일(profile)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기술된 종래기술의 결점들이 없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곡형태의 조정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새롭고 개량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프레임부품에 대한 노즐의 이동중에 적당한 실이 만곡 운반면(curved carrier-face)을 제공하는 노즐과 프레임 부품사이에 설치된 새롭고 개량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 기술된 목적들 및 다른 것들을 달성하는 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만곡 운반면구역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의 노즐 운반면 유니트는 장치의 프레임 부품이 운전위치에 고정된 동안 기계의 횡방향으로 만곡 형태로 굽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조정장치 또는 편향수단을 포함하고, 이 수단에 의해 노즐 운반면 유니트는 장치의 프레임 부품이 고정 위치에 지지된 동안 웨브의 이동방향에 횡방향으로 만곡형태로 굽혀지며, 즉 이에 의해 프레임부품에 대해 노즐의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개량 장치가 달성되고, 여기에서 마모 밀봉부품 또는 이와 같은 것이 없으며, 만곡형태의 조정은 신속히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비교적 낮은 하중력을 사용함으로써 노즐의 운반면의 굽힘이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가 웨브를 처리하기 위해 공기를 분배하는 수단, 예컨데 노즐 슬롯(slot)들과, 노즐부품과 관련하여 형성된 운반면과, 공기 공급챔버로서 작동되는 즉 적어도 하나의 공기 공급챔버를 한정하는 수단을 구성하는 메인 고정프레임을 포함한다. 노즐부품은 기계의 횡방향으로 만곡되게 굽혀질 수 있고 오목 또는 볼록한 만곡형태로 조립체의 굽힘이 가능한 방식으로 횡방향 조임 스크류 및 너트들로 조립된다. 조임 스크류들은 메인 고정 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된 직사각형, 타원형 구멍들을 통과하고, 이에 의해 소정굽힘 또는 편향방향에 따라 스크류들이 구멍들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본래 만곡형태를 얻는 굽힘이동은 조정 스크류를 국부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달성되고, 조정스크류는 기계의 횡방향으로 송풍장치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 스크류는 소정 굽힘 방향에서 웨브에 대해 노즐부품을 바꾸어 놓고, 측방향 구멍들 즉, 프레임부품 또는 구조의 측벽 단부에 제공된 구멍들이 사각 형 구멍이 아니라 보통의 원형구멍이기 때문에 정위치에 고정된 노즐부품의 각 단부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여 노즐조립체의 중간 부품들이 조정스크류에 의해 바꾸어 놓여질 때 만곡형태의 달성이 보장된다. 이와같은 방식에서, 노즐부품의 중간구역이 웨브를 향해 바꾸어 놓여진다면 볼록 형태가 제공되고, 이에반해 노즐부품의 중간구역이 웨브로 부터 떨어지게 바꾸어 놓여지면 오목형태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단지 단일 조정스크류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웨브에 대해 노즐부품조립체의 굽힘을 허용한다. 물론, 기계의 횡방향으로 더 넓은 송풍장치가 사용된다면, 예컨데 약 5m이상의 길이가 사용된다면, 다수의 조정 스크류들 또는 다른 적당한 편향수단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의 특징은 횡방향으로 배치된 프로파일링 블록들 사이에 누설을 일으킴이 없이 운반면 조립체 즉 노즐 부품조립체의 이동을 허용하는 기계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장치의 인근 프로파일링 블록들 사이에 위치한 미끄럼 격벽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굽힘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그리고 노즐부품의 편향정도를 제한 및/또는 표시하기 위해 리미터(limiter)/표시기(indicato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계의 횡방향으로 만곡형태로 굽혀지도록 기대되는 바와같은 비접촉 웨브처리에 사용되는 그와같은 노즐구조들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양한 공력 노즐에 사용하기가 특히 적당하고, 특히 웨브가 양면/일면, 착색(pigmenting)/사이즈 프레싱(size-pressing)과 관련하여 건조될 때 적당하다.
다음에,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부호로 예시된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상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의 상술에만 결코 엄격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한 참고번호는 동일 부품들을 가르키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프레임부품 또는 구조체(11, 이하 '프레임구조체'로 통칭)를 포함하며, 이는 U형태를 갖고 웨브(W)의 전체폭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즉 웨브(W)의 이동방향(S)에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노즐 프레임(13)은 이에 연결된 립 플레이트(lip plates)(12)들을 구비하고 너트(21), 횡방향 볼트(22) 및 중간부품(24)들에 의해 프레임구조체(11)에 부착된다. 노즐 프레임(13)을 프레임구조체(11)에 부착하는 다른 조임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노즐 프레임(13)은 실질적으로 장치(10)의 중앙구역에 운반면(KP)을 형성한다. 운반면(KP)의 양측에서, 노즐개구(15)는 립 플레이트(12)와 노즐프레임 (13)사이에 형성된다. 공기는 실질적으로 웨브(W)를 향해 또는 운반면(KP)을 따르는 방향에서 이들 노즐개구(15)들을 통해 송풍된다. 조정장치(30)는 장치(10)의 프레임구조체(11)에 부착되고, 조정스크류(31)를 포함하며, 이에 너트(32, 34, 35)들이 예컨데 용접에 의해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인접한 중간판(39, 38)을 각각 갖는 너트(34, 38) 사이에 프레스부재(44)가 위치된다. 조정장치(30), 및 더욱 상세하게는 조정스크류(31)는 반대측면에서 노즐구조 또는 노즐운반면 유니트(17)가 위치되는 장치(10)의 측면에 대해 반대인, 즉 운반면조립체의 반대 측면에 장치(10)의 프레임구조체(11)로 관통된다. 스크류장치는 판(41)에 의해 프레임구조체(11)에 지지된다.
프레스부재(4)는 노즐운반면 유니트(17)에 항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특히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데 용접에 의해 nn지점에서 노즐 프레임(13)에 고정될 수 있다. 노즐프레임(13)에 프레스부재(44)의 이와같은 고정연결은 프레스부재 (44)가 웨브의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때 노즐프레임(13)의 이동이 오목형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정스크류(30)의 리미터/표시기 부품들은 참고번호 36, 37로 표시됐고 조정스크류(31)의 최대이동이 부재(37)와 부재(36) 사이의 너트(32)의 이동거리가 되도록 작용한다. 부재(36)는 바라는 경우 용접에 의해 판(41)에 결합될 수 있다.
조정장치(30)에 의해, 그리고, 특히 프레스부재(44)의 결합과 노즐프레임 (13)의 부분에 의해, 노즐 프레임/립 플레이트 조립체(12, 13)는 바라는 한 웨브(W)를 향해 눌려지고, 원할 때 웨브로부터 멀리 수축되는 것이 허용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스크류 장치(21), (22)(제1도)는 프레임구조체(11)의 측벽들에 형성된 사각형구멍(25)들을 관통하고, 이에의해 너트-스크류장치는 웨브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즉 예시된 실시예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맨끝의 측면구멍(26)들은 스크류를 수용하고, 장치(10)의 각 변부에서 폭(T) 방향으로 배치되며, 원형이고 이에따라서 장치(10)의 프레임구조체(11)상의 고정 위치에 장치(10)의 노즐운반면 유니트(17)의 단부 부품들을 고정한다. 조정스크류 (31)에 의해, 노즐 운반면 유니트(17)의 만곡형태가 웨브(W)의 이동방향에 횡방향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하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프레임구조체(11)가 직선을 유지하는 동안, 프레임구조체(11)의 내측에 위치된 노즐운반면 유니트(17)는 만곡되고, 즉 웨브(W)의 이동방향(S)에 횡방향으로 만곡형태를 갖는다. 이와같은 방식에서, 웨브(W)는 노즐구조(17)에서 노즐개구(15)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폭(T) 방향으로 인장되고, 이 경우에 이의 이동은 안정화되며 물결 또는 주름의 형성이 쉽지않다.
제3도는 제2도의 A구역을 도시하고, 노즐 슬롯 또는 개구(15) 밖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힘분력 다이아그램에 따라서, 노즐-립-판장치가 만곡될 때, 힘분력 F는 경사지고, 힘분력 FV(수직분력)와 FH(수평분력)는 웨브에 수직이며 웨브의 측면을 각각 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힘분력중, 힘분력 FH는 횡방향(T)으로 웨브(W)를 인장시킨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구조체(11)에 의해 형성된 공기 공급챔버는 블록들 사이에 배치된 격벽들에 의해 개별블록(48, 49)들로 분할 또는 구분된다. 격벽들은 인접단부들에서 경사면(46a, 47a)을 갖는 벽부품(46, 47)들로 각각 구성되고, 이 사이에 이동구역(45)이 형성된다. 이 이동구역에서, 벽부품(46, 47)들의 경사면(46a, 47a)들은 서로 결합하고 서로에 대해 미끄러져서 운반면 조립체의 이동은 횡방향에 위치된 프로파일링 블록(48)들 사이에 누설을 일으키지 않는다.
장치(10)는 폐쇄단부가 설치된다. 송풍공기는 프레임구조체(11)에 의해 형성된 블록챔버(48, 49)들 밖으로 나와서 노즐챔버(16)들로 통과되고 노즐개구(15)밖으로 송풍된다. 송풍에 의해 운반면(KP)에 압력구역이 생기고, 운반면은 웨브(W)를 지지하며 운반면과 비접촉으로 웨브를 더욱 이송시킨다. 횡방향 프로파일링 챔버 (48, 49)들에 의해, 송풍강도는 필요한 경우 기계의 횡방향으로 조정된다.
진보적인 방법 및 장치의 다른 변경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컨데, 오목 또는 볼록형태 이외의 만곡형태가 바람직한 경우, 그 다음 프레임에 대한 노즐의 고정지점들은 프레임의 단부 이외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같은 방식에서, 노즐운반면 유니트는 다양한 만곡형태의 형성을 가능하도록 서로 일정거리에 위치된 다수의 지점들로 부터 웨브의 이동방향에 횡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다.
상기에 제공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임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많은 다른 변형들이 이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게 명백해지고,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계획될 수 있다.

Claims (16)

  1. 웨브가 운반면 구역을 제공하는 공기 송풍에 의해 처리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방법에 있어서, 웨브의 이동방향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프레임에 위치된 노즐 운반면 유니트를 통해 웨브를 처리하는 공기를 송풍하는 단계, 고정 위치에 프레임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운반면구역에 만곡형태를 제공하도록 횡방향으로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의 프로파일을 조정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위치에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의 지지부분들이 웨브의 폭 방향에서 웨브의 변부들과 상응하는 지점들에 위치되는 단계, 웨브의 폭방향에서 노즐 운반면 유니트의 중간구역으로부터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를 굽히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는 상기 노즐운반면의 상기 중간구역이 웨브를 향해 이동되어 볼록형태를 제공하도록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는 상기 노즐운반면의 상기 중간구역이 웨브에서 멀어지게 이동되어 오목형태를 제공하도록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일정거리로 이격하여 위치된 지점들로부터 웨브의 폭방향으로 상기 노즐 운반면 유니트를 굽히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방법.
  6. 고정 위치에 지지되는 프레임구조체, 웨브의 이동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웨브에 대해 편향가능한 노즐운반면 유니트, 노즐운반면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노즐운반면을 상기 프레임구조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프레임구조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의 운반면구역에 만곡형태를 제공하도록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를 편향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웨브의 변부들에 상응하는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의 부분들을 상기 프레임구조체에 연결하고, 상기 편향수단이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의 중간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은 웨브의 이동방향에 횡방향으로 서로 떨어져서 위치된 위치들에서 상기 노들운반면 유니트의 편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체는 웨브의 이동방향에 횡방향으로 서로 떨어지게 위치된 공기챔버들을 한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챔버를 한정하는 수단은 격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격벽들은 각각의 인접쌍의 챔버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격벽들이 상기 인접쌍의 챔버들을 밀봉하도록 상기 프레임구조체에 대해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의 이동중에 서로 밀폐되게 미끄러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체는 측벽에 형성된 사각형 구멍들을 구비한 대향 측벽들을 포함하고, 장치가 또한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에 결합되어 상기 사각형 구멍들을 통해 연장되는 조임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조임부재들은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의 편향방향으로 상기 사각형 구멍들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체는 격벽에 형성된 사각형구멍들과 이의 각 단부에 위치된 원형구멍을 구비한 대향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는 상기 원형 구멍들을 통해 상기 프레임구조체에 고정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은 상기 프레임구조체에 결합되고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와 결합하는 조정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은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의 편향범위를 한정 및/또는 표시하는 리미터/표시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는 공기를 상기 운반면구역으로 송풍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장치.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운반면 유니트는 립 플레이트가 부착된 노즐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 운반면 유니트가 상기 노즐프레임과 상기 립 플레이트사이의 노즐개구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의 비접촉 처리장치.
KR1019960003164A 1995-02-10 1996-02-09 웨브의 비접촉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270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86,376 US5570519A (en) 1995-02-10 1995-02-10 Method and device in contact-free treatment of a web
US08/386,376 1995-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0162B1 true KR100270162B1 (ko) 2000-10-16

Family

ID=2352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164A KR100270162B1 (ko) 1995-02-10 1996-02-09 웨브의 비접촉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570519A (ko)
EP (1) EP0726220B1 (ko)
JP (1) JP2911808B2 (ko)
KR (1) KR100270162B1 (ko)
AT (1) ATE178559T1 (ko)
CA (1) CA2169206C (ko)
DE (1) DE69601960T2 (ko)
FI (1) FI103424B1 (ko)
TW (1) TW2847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03647B1 (en) * 1998-06-16 1999-03-25 Qi Press Controls Holding Bv Device to compensate for print misregister due to paper distortion on web offset printing presses
AT409301B (de) * 2000-05-05 2002-07-25 Ebner Peter Dipl Ing Vorrichtung zum führen eines metallbandes auf einem gaskissen
US6518514B2 (en) * 2000-08-21 2003-02-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ircuit board and production of the same
JP2002273272A (ja) * 2001-03-16 2002-09-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エア吹出ノズル
DE10256512A1 (de) * 2002-05-07 2003-11-20 Voith Paper Patent Gmbh Einrichtung zur Führung einer laufenden Papier-, Karton-, oder anderen Faserstoffbahn
FI20050596A0 (fi) * 2005-06-06 2005-06-06 Metso Paper Inc Järjestely ja menetelmä kuivatussylinterien välisen taskutilan tiivistämiseksi paperikoneessa tai vastaavassa
EP3260802B1 (en) 2016-06-23 2019-10-09 Valmet Technologies Oy Nozzle for a device for contact-free treatment of a running fiber web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56990B (de) * 1965-01-22 1967-12-21 Paul Nash Vorrichtung zum im wesentlichen gleichmaessigen Spannen oder Straffhalten einer sich bewegenden Flachmaterialbahn ueber deren gesamte Breite
DE2121856A1 (de) * 1971-05-04 1972-11-16 Kleinewefers Industrie-Company GmbH, 4150Krefeld Streichvorrichtung für Papierkalander
GB1505537A (en) * 1975-04-03 1978-03-30 Mount Hope Machinery Ltd Adjustable-bow bar or roll
FI75008C (fi) * 1986-03-14 1992-02-17 Valmet Oy Svaevtork och foerfarande foer effektivering av dess funktion.
JP2657408B2 (ja) * 1988-10-25 1997-09-24 井上金属工業株式会社 皺取り用空気ノズル箱
FI82019C (fi) * 1989-01-06 1991-01-10 Valmet Paper Machinery Inc Anordning foer stoedning, vaendning och breddning av en bana.
GB2245256A (en) * 1990-06-02 1992-01-02 Spooner Ind Ltd Pneumatic web guides
DE4110875A1 (de) * 1991-04-04 1992-10-08 Voith Gmbh J M Trockenpart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03424B (fi) 1999-06-30
CA2169206C (en) 1998-12-01
DE69601960D1 (de) 1999-05-12
FI103424B1 (fi) 1999-06-30
EP0726220B1 (en) 1999-04-07
US5570519A (en) 1996-11-05
JP2911808B2 (ja) 1999-06-23
TW284740B (ko) 1996-09-01
JPH08337341A (ja) 1996-12-24
DE69601960T2 (de) 1999-10-28
ATE178559T1 (de) 1999-04-15
EP0726220A2 (en) 1996-08-14
FI960513A0 (fi) 1996-02-05
CA2169206A1 (en) 1996-08-11
EP0726220A3 (ko) 1996-08-21
FI960513A (fi) 199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2413A (en) Turning bar for moving web
US4785986A (en) Paper web handl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air bar with dimensional optimization
US4197972A (en) Contactless turning guide having air slots longitudinally along running web edges
US5070627A (en) Directional diffusion nozzle air bar
EP0328227A2 (en) Positive pressure web floater dryer with parallel flow
US4197973A (en) High velocity web floating air bar having air flow straightening means for air discharge slot means
CA1103711A (en) High velocity web floating air bar having a recessed coanda plate
KR100270162B1 (ko) 웨브의 비접촉 처리 방법 및 장치
CA1317989C (en) Arrangement of pressure nozzles for the treatment of webs
US3807056A (en) Device for the contact-free support of a web of material
GB9323954D0 (en) Improvements relating to web drying
JPH09501903A (ja) 枚葉紙またはウェブを浮動式に案内する装置
CA1109498A (en) High velocity web floating air bar having an internal passage for transverse air discharge slot means
US3002700A (en) Nozzle on heat-treatment machines for textile fabrics and the like
EP0568301B1 (en) Air turn device with a trailing sheet assembly for a running web
WO2002044635A2 (en) Non-contact floating device for turning a floating web-private
US5832826A (en) Device and method for acting upon sheets in a sheet delivery system
CA2296118A1 (en) An apparatus for guiding an endless paper web
US6334751B1 (en) Air lock
JP3212246U (ja) 走行する繊維ウェブの非接触処理のための装置のノズル
KR960706591A (ko) 페이퍼 웨브 코팅 라인용 조립 장치(assembly for a paper web coating line)
KR20010108279A (ko) 냉간압연 시스템과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의 배출 영역에서특히 냉연대강을 건조시키고, 그리고 건조한 상태로유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3064592A (ja) 繊維質ウェブ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
US20030034138A1 (en) Apparatus for treating a fibrous web
US5152080A (en) Steerable air bar/edge dam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