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765B1 -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765B1
KR100269765B1 KR1019980004066A KR19980004066A KR100269765B1 KR 100269765 B1 KR100269765 B1 KR 100269765B1 KR 1019980004066 A KR1019980004066 A KR 1019980004066A KR 19980004066 A KR19980004066 A KR 19980004066A KR 100269765 B1 KR100269765 B1 KR 100269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telephone
button
function
di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675A (ko
Inventor
임제상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04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765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4Delay circuits;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 사용자가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위한 비상 전화번호를 해당 전화기에 미리 저장하여 놓은 경우, 자동 다이얼링 모드를 설정하여 놓은 상태에서 해당 전화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기저장된 비상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 되도록 하는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에서는 특정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 하는 원터치 버튼 기능을 수행할 뿐이어서 전화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어린이나 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경우 원터치 버튼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여 비상시 적절한 연락을 취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화기 사용자가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위한 비상 전화번호를 미리 저장하여 놓은 경우 자동 다이얼링 모드가 설정되면, 기능 해제 버튼 이외의 버튼 입력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비상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 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사람이라도 해당 전화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비상연락을 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 사용자가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위한 비상 전화번호를 해당 전화기에 미리 저장하여 놓은 경우, 자동 다이얼링 모드를 설정하여 놓은 상태에서 해당 전화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기저장된 비상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 되도록 하는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에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다이얼링 하는 기능으로는 원터치 버튼(단축 다이얼) 기능이 존재하였다. 이 원터치 버튼 기능은 사용자의 키 버튼 조작에 의하여 특정의 번호마다 대응되는 하나의 전화번호를 기억시키고, 그러한 후에, 사용자가 기억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고자 할 때, 송수화기를 오프 훅(Off Hook)하거나 스피커 폰을 온(ON) 한 후, 지정한 특정의 번호를 입력하면 그 번호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 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다이얼한 전화번호를 해당 전화기에서 저장하고 있다가 재다이얼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재다이얼 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경우, 전화기를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편리한 기능으로 이용되지만, 해당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던 사람이나 전화기 사용이 서투른 어린이나 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경우 사용 방법을 알 수 없으므로 일일이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여 연락을 취하거나 비상시에도 아무런 연락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화기에서는 특정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 하는 원터치 버튼 기능을 수행할 뿐이어서 전화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어린이나 장애인 또는 노약자의 경우 원터치 버튼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여 비상시 적절한 연락을 취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화기 사용자가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위한 비상 전화번호를 미리 저장하여 놓은 경우 자동 다이얼링 모드가 설정되면, 기능 해제 버튼 이외의 버튼 입력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비상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 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사람이라도 해당 전화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비상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에 의해 비상 전화번호가 저장된 상태에서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이 설정되면 자동 다이얼링 모드로 동작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이후, 키패드 조작에 의해 입력된 버튼을 검출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검출한 버튼이 기능 해제 버튼이 아니면 메모리부에 저장된 최상위 비상 전화번호를 인출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이후, 상기 비상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타이머의 시간 계수를 시작하게 한 후, 상대 통화자의 응답여부를 검출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4과정에서 상대 통화자의 응답이 검출되면 통화로를 연결해서 통화하게 하는 제 5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한편, 상기 제 2과정은 검출한 버튼이 기능 해제 버튼이면 자동 다이얼링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상기 제 4과정은 상대 통화자의 응답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대 통화자가 통화중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로부터 인가되는 시간이 자체의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시간을 경과하는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상대 통화자가 통화중이거나 소정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타이머를 제어하여 해당 시간 계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다음 비상 전화번호를 인출한 후, 상기 제 4과정으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통화 회로부 12 : 송수화기
13 : 국선음 감지회로부 14 : 버튼 인식회로부
15 : 키패드 16 : 중앙 제어부
17 : 타이머 18 : 메모리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기(TEL)는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회로부(11), 송수화기(12), 국선음 감지회로부(13), 버튼 인식회로부(14), 키패드(15), 중앙 제어부(16), 타이머(17), 메모리부(1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통화 회로부(11)는 중앙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공중전화망과 송수화기(12)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 또는 절단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송수화기(12)는 통화 음성신호를 입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국선음 감지회로부(13)는 중앙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전화회선을 통해 입력되는 발신음과 호출음 및 화중음과 송수화기 방치신호(Howling Tone)를 검출하여 해당 중앙 제어부(16)에 제공하며, 버튼 인식회로부(14)는 사용자에 의해 키패드(15)가 조작되면, 해당 키패드(15) 조작에 의한 버튼 입력을 검출하여 중앙 제어부(16)에 인가한다.
키패드(15)는 상대 통화자의 전화번호를 다이얼하거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의 설정 및 해제를 위한 키 버튼을 구비한다.
중앙 제어부(16)는 전화기(TEL)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동작을 제어 처리하는데, 메모리부(18)에 대한 비상 전화번호의 기록, 추출 동작과 버튼 인식회로부(14)의 키 버튼의 입력 검출 및 국선음 감지회로부(13)의 각종 국선음(발신음, 호출음, 화중음, 송수화기 방치신호)의 입력 검출과, 타이머(17)의 시간 계수 동작을 제어 처리하며, 사용자에 의해 자동 다이얼링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어떠한 키 버튼이라도 입력되면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며, 자체의 메모리에 소정시간을 저장한다.
타이머(17)는 중앙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시간을 계수하여 해당 중앙 제어부(16)에 인가하며, 메모리부(18)는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위한 비상 전화번호를 입력된 순서대로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TEL)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동작은 도면 도 2에 도시된 순서로 수행된다.
먼저, 사용자의 키패드(15) 조작에 의해 비상시 전화할 곳의 전화번호인 비상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중앙 제어부(16)는 해당 비상 전화번호를 입력되는 순서대로 메모리부(18)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의 키패드(15) 조작에 의해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이 설정되면(스텝 S21), 해당 전화기(TEL)는 자동 다이얼링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때, 중앙 제어부(16)는 통화 회로부(11)를 통해 송수화기(12)의 오프 훅(Off Hook)에 감지되거나, 버튼 인식회로부(14)를 통해 스피커 폰의 온(ON)이 감지된 후(스텝 S22), 해당 버튼 인식회로부(14)를 통해 사용자의 키패드(15) 조작에 의한 버튼 입력이 있는가를 감지하여(스텝 S23), 버튼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버튼이 기능 해제 버튼인가를 판단한다(스텝 S24). 스텝 S24에서 입력된 버튼이 기능 해제 버튼이면 중앙 제어부(16)는 자동 다이얼링 모드를 해제한 후(스텝 S29), 동작을 종료하고, 스텝 S24에서 입력된 버튼이 기능 해제 버튼이 아니면 메모리부(18)에 저장된 최상위 비상 전화번호(가장 먼저 입력된 비상 전화번호)를 해당 메모리부(18)로부터 인출한 후(스텝 S25), 해당 비상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타이머(17)를 제어하여 시간 계수를 시작하게 한다(스텝 S26). 스텝 S26이후, 중앙 제어부(16)는 국선음 감지회로부(13)를 통해 상대 통화자가 응답하는가를 판단하여(스텝 S27), 상대 통화자가 응답하면 통화 회로부(11)를 제어하여 통화로를 연결해서 통화하게 한 후(스텝 S28),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스텝 S27에서 상대 통화자가 응답하지 않으면 중앙 제어부(16)는 국선음 감지회로부(13)에 의해 화중음이 검출되는가를 감지해서 상대 통화자가 통화중인가를 판단하여(스텝 S30), 상대 통화자가 통화중이 아니면 타이머(17)에 의해 계수되어 인가되는 시간이 자체의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시간을 경과하는가를 판단한다(스텝 S31). 스텝 S31에서 인가되는 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 스텝 S27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인가되는 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하면 중앙 제어부(16)는 타이머(17)를 제어하여 해당 시간 계수를 초기화하고(스텝 S32), 메모리부(18)로부터 다음 비상 전화번호를 인출한 후(스텝 S33), 스텝 S26으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TEL)에서의 자동 다이얼링 기능은 해당 전화기(TEL) 사용자가 어린이나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과 같이 전화기(TEL) 사용이 서투른 사람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먼저, 전화기(TEL) 사용이 가능한 사용자가 해당 전화기(TEL)의 키패드(15)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8)에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위한 비상 전화번호를 미리 저장하여 놓고, 외출 시에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설정해 놓으면, 해당 전화기(TEL)가 자동 다이얼링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해 전화기(TEL)의 송수화기(12)가 오프 훅(Off Hook) 되거나 스피커 폰이 온(ON) 된 후, 키패드(15)에 구비된 어떠한 키 버튼이라도 입력되는 것이 버튼 인식회로부(14)에 의해 감지되면, 중앙 제어부(16)는 메모리부(18)에 저장된 비상 전화번호를 입력된 순서대로 하나씩 인출하여 해당 비상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 하는데, 통화가 이루어지기까지 반복 동작을 수행하여 비상시에 어린이나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이 다른 사람에게 간단하고 신속하게 연락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화기 사용자가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위한 비상 전화번호를 미리 저장하여 놓은 경우 자동 다이얼링 모드가 설정되면, 기능 해제 버튼 이외의 버튼 입력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비상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 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사람이라도 해당 전화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비상연락을 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사용자에 의해 비상 전화번호가 저장된 상태에서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이 설정되면 자동 다이얼링 모드로 동작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이후, 키패드 조작에 의해 입력된 버튼을 검출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검출한 버튼이 기능 해제 버튼이 아니면 메모리부에 저장된 최상위 비상 전화번호를 인출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3과정이후, 상기 비상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타이머의 시간 계수를 시작하게 한 후, 상대 통화자의 응답여부를 검출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4과정에서 상대 통화자의 응답이 검출되면 통화로를 연결해서 통화하게 하는 제 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은 검출한 버튼이 기능 해제 버튼이면 자동 다이얼링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과정은 상대 통화자의 응답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대 통화자가 통화중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로부터 인가되는 시간이 자체의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시간을 경과하는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상대 통화자가 통화중이거나 소정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타이머를 제어하여 해당 시간 계수를 초기화하고,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다음 비상 전화번호를 인출한 후, 상기 제 4과정으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19980004066A 1998-02-11 1998-02-11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269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066A KR100269765B1 (ko) 1998-02-11 1998-02-11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066A KR100269765B1 (ko) 1998-02-11 1998-02-11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675A KR19990069675A (ko) 1999-09-06
KR100269765B1 true KR100269765B1 (ko) 2000-10-16

Family

ID=1953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066A KR100269765B1 (ko) 1998-02-11 1998-02-11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7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675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3881A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 방법
KR100269765B1 (ko) 전화기에서의 비상시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537139B1 (ko) 회선인식장치
JP4601515B2 (ja) 迷惑電話対策音出力機能を有する電話機
JP2939702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0154454B1 (ko) 주변 음 청취가 가능한 전화기의 구동 방법
JP2614480B2 (ja) 電話装置
KR970011530B1 (ko)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600332B2 (ja) 電話端末装置
JPH0326705Y2 (ko)
JPH05145604A (ja) 電話機
JPH0678354A (ja) セキュリティホームテレホンシステム用電話機
JPH05114938A (ja) Isdn電話機
JPS63111747A (ja) 電話装置の発呼者選択回路
JPS61186051A (ja) 電話機の再ダイヤル装置
KR19990009177A (ko) 전화기 연동 도어폰의 외출시 전화발신 방법
JPS62159954A (ja) 電話機
JPH03284039A (ja) 電話コンセント装置
JP2005333553A (ja) 電話装置
JPH0774849A (ja) ファクシミリ判定装置
JPH01261066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5236163A (ja) 電話回線自動切替装置
JPH03211958A (ja) ボタン電話機
JPH04301953A (ja) 呼出音回数設定機能付電話機
KR930015502A (ko) 국선 자동 리다이얼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